KR20020096865A - 회동장치 - Google Patents

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865A
KR20020096865A KR1020020020376A KR20020020376A KR20020096865A KR 20020096865 A KR20020096865 A KR 20020096865A KR 1020020020376 A KR1020020020376 A KR 1020020020376A KR 20020020376 A KR20020020376 A KR 20020020376A KR 20020096865 A KR20020096865 A KR 2002009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haft
shaft portion
rotating body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924B1 (ko
Inventor
고스기아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9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42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being a cam and a torsion bar, e.g. motor vehicle hing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콤팩트화, 범용성, 저렴화를 실현하면서 다기능화를 도모하여 적용 기기나 장치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회동장치(1)는 회전체(11)를 본체(10)에 대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가지는 것이다. 구조의 특징은, 본체(10)에 부착되는 대략 통형상의 케이스(2)와; 케이스(2) 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축부(31)가 케이스(2)의 일단(2a)측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축부재(3)와; 케이스(2) 내에 배치되어 축부재(3)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4)와; 케이스(2) 내에 배치되며, 회전체(11)의 폐쇄위치방향으로의 압압조작에 의해서 회전체(11)를 폐쇄위치에서 걸어 유지하고, 회전체(11)의 재차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래치유니트(5)와; 상기 축부재(3)에 있어서의 케이스(2) 내에 삽입되는 대응 축부(34)에 꿰어지는 상태로 배치된 제동용 댐퍼유니트(6)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회동장치{ROTATION DEVICE}
본 발명은 회전체를 기기나 장치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부설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회전체는 덮개나 도어 등이고, 기기류나 수납장치 등의 본체에 지지축을 통해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경우, 회전체는, 일본국 특허 제2880943호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래치(로크수단)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걸려 유지되고, 본체와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부재(탄지수단)에 의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되고, 지지축에 작용하는 제동용 댐퍼에 의해서 그 회동속도가 부드럽게 제동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하도록 처리된다. 그러나, 상기한 기능부품인 래치, 스프링부재, 댐퍼 등은 회전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는 별개로 각각 부설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설치개소의 확보가 어렵고 또한 조립수순도 번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15 및 도 1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기능부품을 가능한 한 유니트화 함에 의해서 조립성, 부품관리, 설계의 자유도 등을 개선한 것도 있다. 도 15a와 도 16a는 본체 및 회전체와 회동장치 또는 유니트품의 배치관계를 나타내고, 도 15b와 도 16b는 이들 유니트품의 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유니트품(80)은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6212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바닥부를 가지는 통형상의 축받이(81)와, 걸어맞춤축부(82a) 및 축받이(81) 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삽입축부(82b)를 가지는 축부재(82)와, 삽입축부(82b)에 형성된 장홈(82c)에 충전되는 점성유체(83)와, 축부재(82)와 축받이(81)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점성유체(83)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봉체(84)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받이(81)가 본체(70A)에 부착되고 걸어맞춤축부(82a)가 회전체(71A)에 걸어맞춰지는 구성이다.
또, 도 16의 유니트품(90)은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9275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원통부재(85)에 대해서 양 단부(86a)가 돌출되도록 회동불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부재(86)와, 단부(86a)를 원통부(87a)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축부재(86)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양측 브래킷(87)과, 원통부(87a)의 내측 단면과 단부(86a)의 단면과의 사이의 공간(S)에 배치되어 브래킷(87)을 일방향으로 회동되게 탄지하는 스프링부재(88)와, 단부(86a)와 통부(87a)와의 사이의 간극에 개재된 댐퍼용 그리스(8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조에서는 원통부재(85)가 회전체(71B)의 부착부(71c)에 고정되고, 양 브래킷(87)이 본체(70B)에 형성된 관통구멍(70c)에 회동불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본체(70B)측에 설치되어 회전체(71B)를 개방위치에서 걸어 유지하는 래치(73)를 해제조작하면, 회전체(71B)는 스프링부재(88)의 탄지력에 의해서 도 16a에 나타낸 개방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또, 종래에는 일본국 공개특허 평9-22871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축과 스프링부재와 래치를 유니트화 한 것도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지지축과 댐퍼를 유니트화 한 것, 지지축과 댐퍼와 스프링부재를 유니트화 한 것, 지지축과 스프링부재와 래치를 유니트화 한 것이 있다. 그러나, 더 많은 기능부품을 유니트화 하여 조립성, 부품관리, 설계의 자유도 등을 더욱더 개선하고 싶다. 이 경우에는, 회동장치 내지는 유니트품으로서, 각 기능부품이 작동성 좋게 콤팩트하게 수납되는 것, 용도에 대응한 변경도 용이하여 범용성이 풍부한 것, 기존의 기능부품이라 하더라도 가능한 한 사용가능하게 하여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기 용이한 것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하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한 콤팩트화, 범용성, 저렴화를 실현하면서 다기능화를 도모하여 적용 기기나 장치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과 상품가치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회동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형태의 회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a의 좌측에서 본 측면도 및 회동장치의 배치도
도 3은 도 1의 회동장치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회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구성부재 중 주요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6은 도 1의 회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케이스의 측면과 복수 개소에서 단면으로 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형태의 회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9는 도 8a의 좌측에서 본 측면도 및 회동장치의 배치도
도 10은 도 8의 회동장치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회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구성부재 중 주요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13은 도 8의 회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케이스의 측면과 복수 개소에서 단면으로 한 단면도
도 15는 종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종래 구조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1B - 회동장치2,2A,2B - 케이스
2a - 일단2b - 타단
3 - 축부재31 - 지지축부
32 - 대경축부35 - 연결축부
4 - 스프링부재5 - 래치유니트
6 - 댐퍼유니트60 - 외통(하우징)
62 - 출력축10 - 본체
10a - 설치부12,13 - 축부
11 - 회전체11a - 걸어맞춤구멍
51 - 스트라이커52 - 핀
53 - 캠부재54 - 캠홈
55 - 하우징(푸시푸시 걸림기구)56 - 걸림편(푸시푸시 걸림기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1)를 본체(10)에 대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가지는 회동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부착되는 대략 통형상의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 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에 상당하는 지지축부(31)가 상기 케이스(2)의 일단(2a)측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축부재(3)와; 상기 케이스(2) 내에 배치되어 상기 축부재(3)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4)와; 상기 케이스(2)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11)의 폐쇄위치방향으로의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회전체(11)를 폐쇄위치에서 걸어 유지하고, 상기 회전체(11)의 재차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래치유니트(5)와; 상기 축부재(3)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2) 내에 삽입되는 대응축부(34)에 꿰어지는 상태로 배치된 제동용 댐퍼유니트(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회동장치(1)는, 케이스(1)가 본체(10)에 부동상태로 부착됨과 아울러 축부재(3)의 지지축부(31)가 회전체(11)에 부동상태로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체(11)가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을 받고 있는 축부재(3)를 통해서 개방위치로 회동되어 있다. 회전체(11)는, 개방위치에서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폐쇄위치방향으로 압압(회동)조작하면, 래치유니트(5)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걸려 유지된다. 개방위치로 전환할 경우에는, 회전체(11)를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재차 압압조작하면, 상기 래치유니트(5)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후,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의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된다. 회전체(11)는 각 회동과정에서 댐퍼유니트(6)의 제동작용을 받아 부드럽게 회동된다.
구조의 특징은, 축부재(3)를 케이스(2) 내로 삽입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스프링부재(4), 래치유니트(5), 댐퍼유니트(6)를 케이스(2) 내에 내장하여 탄지작용과 래치(로크)작용과 댐퍼(제동)작용을 구비한 유니트품을 실현한 점에 있다. 여기서, 래치유니트(5)와 댐퍼유니트(6)는 작동특성이 우수한 기존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기능화를 도모함으로써, 본체(10) 및 회전체(11)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확대하고, 부품관리나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여 기기류나 각종 장치의 본체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첫째로, 상기 래치유니트(5)는 상기 축부재(3)의 회동에 연동하여 축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스트라이커(51)와; 상기 케이스(2)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체(11)의 폐쇄위치방향으로의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스트라이커(51)를 걸어 유지하고, 상기 회전체(11)의 재차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푸시푸시 걸림기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래치유니트(5)에는 각종의 것이 있으나, 그 중에서 푸시푸시 걸림기구로서는 스트라이커(51)를 축부재(3)의 회동{즉, 회전체(11)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여 걸고/해제하는 구조로 하면, 케이스(2)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걸림력을 증대시키기 쉬운 이점이 있다.
둘째로, 상기 케이스(2) 내에 배치되며, 상기 축부재(3)와 연결된, 캠홈(54)이 형성되어 있는 캠부재(53)를 가지며, 상기 스트라이커(51)가 상기 캠홈(54)에 끼워맞춰져 있는 핀(52)을 통해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성이다. 이것은, 상기한 스트라이커(5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캠부재(53) 및 핀(52)을 개재함으로써 비교적 간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스(2) 내에 콤팩트하게 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로, 상기 스트라이커(51)는 축부(51a)의 선단에 걸어맞춤돌기(51b)를 가지며, 상기 캠부재(53)는 상기 스트라이커(51)의 축부(51a)가 내부에 끼워지는 대략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52)은 상기 스트라이커(51)의 축부(51a)에서 돌출되어 상기 캠홈(54)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2) 내에 형성된 가이드홈(25)을 따라서 작동하는 구성이다. 이것은, 상기 스트라이커(51)와 캠부재(53)와 핀(52)의관계를 특정한 것으로, 스트라이커(51)를 양호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케이스(2) 내에 대한 조립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네째로, 상기 댐퍼유니트(6)는 하우징(60)과 출력축(62)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60)이 상기 케이스(2) 내에 위치고정되고, 상기 출력축(62)이 상기 축부재(3)의 대응 축부(34)에 위치고정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케이스(2)와 축부재(3)와 댐퍼유니트(6)의 관계를 특정한 것으로, 댐퍼유니트(6)가 범용품이라 하더라도 축부재(3)와 케이스(2) 내의 형상 설정만으로 하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하우징(60)을 케이스(2) 내에 위치고정한 상태에서 축부재(3)의 대응 축부(34)를 압입방식으로 출력축(62)의 내경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다섯째로, 상기 축부재(3)는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해서 상기 지지축에 상당하는 지지축부(31), 상기 케이스(2)의 일단측 개구부를 거의 폐쇄하는 대경(大徑)축부(32), 상기 스프링부재(4)를 외측둘레에 배치하는 스프링용 축부(33), 상기 댐퍼유니트를 축설치하는 댐퍼용 축부(34), 상기 캠부재(53)의 대응부에 연결되는 연결축부(35)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것은, 축부재(3)가 스프링부재(4), 댐퍼유니트(6), 캠부재(53)를 직성상에 배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케이스(2) 내에 대한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회동장치(1)의 콤팩트화를 쉽게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은 회동장치의 케이스 내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회동체와의 관계에서 케이스를 단면한 도면, (b)는 (a)의 A-A선을 따라서 케이스를 단면한 도면이다. 도 2는 회동장치와 회전체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도 1a의 좌측에서 본 측면도, (b)는 회동장치의 회전체에 대한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c)는 회동장치의 회전체에 대한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회동장치를 부분적으로 단면한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래치유니트의 걸림해제상태를 나타내고, (b)는 걸림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회동장치의 구성부재를 나타내고, 도 5는 주요 구성부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a의 상태에서의 케이스 단품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케이스의 상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도 6의 B-B선 단면도, (c)는 도 6의 C-C선 단면도, (d)는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이것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4는 제 2 실시형태를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1에 대응하며, (a)는 회동체와의 관계에서 케이스를 단면한 도면, (b)는 (a)의 A-A선을 따라서 케이스를 단면한 도면이다. 도 9는 회동장치와 회전체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도 8a의 좌측에서 본 측면도, (b)는 회동장치의 회전체에 대한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대응하며, (a)는 래치유니트의 걸림해제상태를 나타내고, (b)는 래치유니트의 걸림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회동장치의 구성부재를 나타내고, 도 12는 주요 구성부재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8a의 상태에서 케이스 단품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케이스의 상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도 13의 B-B선 단면도, (c)는 도 13의 C-C선 단면도, (d)는 도 13의 D-D선단면도이다.
(전체 개요)
본 발명의 회동장치(1)는 제 1 실시형태의 회동장치(1A) 혹은 제 2 실시형태의 회동장치(1B)로서 구체화되며, 케이스(2), 축부재(3), 스프링부재(4), 래치유니트(5), 댐퍼유니트(6)를 필수로 하고 있다.
구조의 특징은, 케이스(2) 및 축부재(3)는 수지성형품이고, 스프링부재(4)는 코일 스프링이고, 래치유니트(5)는 스트라이커(51)가 회전체(11)의 압압(회동)조작에 의해서 걸려 유지되고, 재차 압입조작에 의해서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푸시푸시걸림기구로 이루어지고, 댐퍼유니트(6)는 축부재(3)에 꿰어진 상태로 축설치되는 공지의 유체식 제동기구로 이루어지며, 이것들이 유니트화 되어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는 케이스(2)를 제외한 구성이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실시형태의 동일한 부재 및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제 1 실시형태를 주체로 하여 설명하되, 그 중에서 제 2 실시형태의 변경점을 언급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부재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대응 도면을 이용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치환되는 것이 된다.
(장치의 구조)
제 1 실시형태의 회동장치(1A)는 전체 길이가 약 65∼75㎜정도이고(도면에서는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케이스(2A) 내에 있어서 축부재(3)를 따라서 스프링 부재(4), 댐퍼유니트(6), 래치유니트(5)의 순으로 배치한 유니트품이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실시형태의 회동장치(1B)는 전체 길이가 약 75∼85㎜정도이고, 케이스(2B) 내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축부재(3)를 따라서 스프링부재(4), 댐퍼유니트(6), 래치유니트(5)의 순으로 배치한 유니트품이다.
제 1 실시형태의 케이스(2A)는 일단(2a)에서 타단(2b)까지 거의 같은 외경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좌우가 관통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측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형성된 플랜지부(21)를 가지고 있다. 또, 이 플랜지부(21)에는 부착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A)의 외측둘레에는 상기한 플랜지부(21) 이외에, 일단(2a)에 가까운 부위에 내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22)과, 타단(2b)에 가까운 부위에 내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1쌍의 창부(23) 및 일측 창부(23)의 바로 앞에 형성된 짧은 직선홈(24)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홈(22)은 전체가 대략 T자형 홈형상을 이루며,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축부재(3)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원호형상 홈부(22a)와, 이 원호형상 홈부(22a)의 원호의 중간에서 길이방향으로{즉, 타단(2b)측을 향해서} 형성되어 스프링부재(4)의 대응 단부가 걸리는 직선 홈부(22b)로 이루어져 있다. 1쌍의 창부(23)는 대략 장방형상을 이루는 관통구멍으로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푸시푸시 걸림기구(56)를 구성하는 1쌍의 걸림편(56)이 도피하는 장소가 된다.
이것에 대해서, 케이스(2A)의 내측둘레의 개략 형상은,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부호 25a로 나타내는 부위{즉, 일단(2a)에서 짧은 직선홈(24)의 약간 앞까지}가 같은 형상이고, 부호 25b로 나타내는 부위{즉, 부호 25a의 부위에서 타단(2b)의 바로 앞까지}가 같은 형상이고, 타단(2b)의 내경이 장방형상의 개구부(25c)로 되어 있다. 즉, 부호 25a로 나타내는 부위와 부호 25b로 나타내는 부위의 내측둘레가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 부호 25a로 나타내는 부위의 최대 지름(L1)이 부호 25b로 나타내는 부위의 최대 지름(L2)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단차(25d)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2A)의 내측둘레에는 일단(2a)에서 창부(23)의 바로 앞까지 연속되게 연장되는 1쌍의 내측 가이드홈(26)과, 일단(2a)에서 단차(25d)의 약간 앞까지 연속되게 연장되는 단일의 댐퍼용 걸림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양 내측 가이드홈(26)은 약 180도 변위되어 있다. 걸림홈(27)은 양 내측 가이드홈(26)과 약 90도 변위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실시형태의 케이스(2B)는, 상기한 케이스(2A)와 비교하면, 타단(2b)이 장방형상의 개구부(25c)에서 연장된 연장통부(25e)를 가지고 있는 점과, 플랜지부(21) 대신에 걸림다리부(28)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연장통부(25e)에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의 배치부(10a)에 형성되는 축부(12)가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축부(12)는 전용품을 이용하여 설치부(10a)에 부착하거나 설치부(10a)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걸림다리부(28)는 도 9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걸림편(29)을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하고 있다. 탄성걸림편(29)은 'ㄷ'자 형상의 슬릿에 의해서 탄성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축부재(3)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해서 순차 형성된 지지축부(31), 대경축부(32), 스프링용 축부(33), 댐퍼용 축부(34), 연결축부(35)로 이루어진다.
지지축부(31)는 축부재(3)의 일단측에 위치하며, 케이스(2A)에서 돌출되어 회전체(11)의 걸어맞춤구멍(11a)에 걸어맞춰져서 결합되는 지지축이다.
대경축부(32)는 케이스(2A)내의 일단(2a)측에 거의 수납되는 부분이다. 대경축부(32)의 외측둘레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홈(36)과, 원호형상 홈부(22a)에 대응하는 부착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구멍(37)은 후술하는 스프링 핀(7)을 압입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나, 스프링 핀(7)을 나사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스프링용 축부(33)는 그 외측둘레의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38)를 가지고 있다.
댐퍼용 축부(34)는 스프링용 축부(33)보다도 지름이 작게 되어 있으며, 스프링 축부(33)의 단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된 1쌍의 돌기(39)를 가지고 있다.
연결축부(35)는 축부재(3)의 타단측에 위치하며, 다른 부분과는 다르게 단면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4)는 대경축부(32)와 스프링용 축부(33)간의 단차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스프링용 축부(33)에 축설치된 상태에서 타단(4b)측이 직선 홈부(22b)의 내측에 걸리고, 일단(4a)측이 걸림홈(36)에 걸린다.
상기 래치유니트(5)는 스트라이커(51)와, 스트라이커(51)를 축부재(3)의 회동에 연동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캠부재(53)와, 스트라이커(51)를해제가능하게 걸어서 유지하는 푸시푸시 걸림기구로 이루어진다. 래치유니트(5)로서는 푸시푸시 걸림기구가 범용품이나, 스트라이커(51)가 캠부재(53)를 통해서 축부재(3)의 회동에 연동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스트라이커(51)는 원기둥형상의 축부(51a)와, 축부(51a)의 선단에 돌출형성된 걸어맞춤돌기(5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부(51a)에는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멍(51c)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52)의 양단이 축부(51a)의 외측둘레에서 돌출되는 상태가 되도록 핀(52)이 관통구멍(51c)에 압입된다. 또한, 축부(51a)에 핀용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핀(52)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며, 중요한 점은 상기한 1쌍의 내측 가이드홈(26)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것이라면 된다.
캠부재(53)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이 개구된 대략 통형상을 이루며, 일단측이 상기한 단차(25d)에 걸어맞춰지는 대경부(53a)로 되어 있고, 타단측이 상기 대경부(53a)보다도 약간 지름이 작고 긴 통형상부(53b)로 되어 있다.
대경부(53a)의 단면에는 상기한 연결축부(35)와 걸어맞춰지는 장방형상의 연결구멍(53c)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53b)에는 캠홈(54)이 내외를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5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핀(52)의 양단이 대응부에서 돌출되며, 이 돌출상태에서 캠부재(53)가 핀(52)의 전후이동에 의해서 회동되는 나선상의 홈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도 3a의 상태에서 축부재(3)가 회동되어 캠부재(53)를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핀(52)이 나선상의 캠홈(54)과 상기한 직선홈인 내측 가이드홈(26) 양측을 트레이스하면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의 우측으로 스트라이커(51)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푸시푸시 걸림기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A)에 있어서의 장방형상의 개구부(25c)에 장착되며, 일단측이 크게 개구된 하우징(55)과; 하우징(55) 내에 수용되며, 상기 걸어맞춤돌기(51b)를 해제가능하게 걸어서 유지하는 1쌍의 걸림편(56)을 가지는 슬라이드 이동체(57)와; 슬라이드 이동체(57)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도 1b에 나타낸 하우징(55) 내의 스프링}과, 슬라이드 이동체(57)에 형성된 하트캠홈(58)과; 하우징(55) 내에 축지지된 트레이서(59)와; 트레이서(59)에 돌출형성되며, 하트캠홈(58)과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체(57)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하트캠홈(58)을 일순하는 트레이스 핀(59a)으로 이루어진다. 또, 하우징(55)은,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측이 일단(一段) 높게 돌출형성된 돌출부(55a)와, 양 측부에 형성된 탄성걸림편(55b)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구조는 범용품의 구조이나, 케이스(2) 등에 대응하여 설계함으로써, 예를 들면 양 걸림편(56)의 작동이 케이스(2)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우징(55)을 소형화함으로써, 회동장치(1)를 더욱더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댐퍼유니트(6)는, 도 3a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동부(60a)를 형성하고 있는 외통(60)과; 공동부(60a) 내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회전자(61)와; 공동부(60a) 내에 일부가 삽입되며, 회전자(61)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통(60)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있는 출력축(62)과; 외통(60)의 일단측에 부착되어 출력축(62)의 빠짐을 방지하는 캡(63)과; 캡(63)과 출력축(62)의 사이 및 출력축(62)과 외통(60)의사이에 장착되어 공동부(60a) 내에 충전되는 그리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64a, 64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통(60)은 하우징이고, 그 외측둘레에 돌출형성된 걸림벽부(60b)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출력축(62)은 공동부(60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통부분(62a)이 최소 지름으로 되어 있으며, 이 원통부분(62a)의 단면에 돌출형성된 1쌍의 규제편부(62b)를 가지고 있다.
(조립요령)
이상의 각 부재는 다음의 예와 같이 케이스(2)에 조립됨으로써 회동장치(1: 1A,1B}로서 유니트화 된다.
케이스(2)에는 우선 푸시푸시 걸림기구가 조립된다. 즉, 하우징(55)을 케이스(2)의 일단(2a)측에서 타단(2b)측으로 양 걸림편(56)을 좁히면서 삽입한 후, 하우징(55)의 후측부분을 개구부(25c)에 압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하우징(55)의 탄성걸림편(55b)이 개구부(25c)의 가장자리에 맞닿아서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이 개구부(25c)를 통과하게 되고, 케이스(2)의 외측에 이르렀을 때에 탄성복원됨으로써, 하우징(55)이 돌출부(55a)와 1쌍의 탄성걸림편(55b)에 의해서 개구부(25c)가 형성된 부위에 끼워져 유지되는 상태로 부착된다.
이어서, 스트라이커(51)가 핀(52)에 의해서 조립된 캠부재(53)를 케이스(2) 내에 삽입한다. 즉, 캠부재(53)의 통형상부(53b)에 스트라이커(51)의 축부(51a)를 삽입한 후, 핀(52)을 일측의 캠홈(54)에서 관통구멍(51c)을 거쳐 타측의 캠홈(54)으로 삽입하되 핀(52)의 양단이 통형상부(53b)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51)와 함께 케이스(2) 내에 삽입한다. 이 경우, 캠부재(53)는 핀(52)의양단이 내측 가이드홈(26)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이 가이드홈(26)을 따라서 케이스(2) 내로 이동하게 되며, 대경부(53a)가 상기 케이스(2) 내의 단차(25d)에 맞닿아서 규제될 때까지 압입되게 된다.
이어서, 댐퍼유니트(6)가 케이스(2) 내에 조립된다. 이 경우, 댐퍼유니트(6)는, 걸림벽부(60b)가 케이스(2)의 일단(2a)측에서 상기 걸림홈(27)을 따라서 삽입됨으로써 회동금지되게 위치고정된다.
이어서, 스프링부재(4)가 케이스(2) 내에 끼워진다. 이 경우, 스프링부재(4)는 그 타단(4b)이 직선 홈부(22b)에 위치규제된 상태로 배치되고, 일단(4a)이 축부재(3)의 케이스(2) 내로의 조립시에 탄지력의 발현방향으로 비틀리면서 걸림홈(36)에 걸리게 된다.
즉, 축부재(3)는, 그 연결축부(35)측부터 케이스(2) 내로 삽입함에 따라서 스프링부재(4)의 코일 내를 통과하고, 댐퍼유니트(6)의 내경{원통부분(62a) 및 외통(60)의 내경}에 꿰어지는 상태로 통과하기 약간 전에 스프링부재(4)의 일단(4a)을 걸림홈(36)에 걸고서 약 30도 정도 회전시키면서 재차 압입함으로써 상기 연결축부(35)가 캠부재(53)의 연결구멍(53c)에 끼워맞춰진다. 그 후, 축부재(3)는, 스프링 핀(7)이 케이스(2)의 원호형상 홈부(22a)를 통해서 부착구멍(37)에 고정됨으로써 케이스(2)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회동장치(1)는 용이하게 조립된다.
조립상태에 있어서는, 캠부재(53)는 단차(25d)에 맞닿아서 위치규제된 상태에서 축부재(3)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된다. 또한, 축부재(3)는, 댐퍼용 축부(34)가 댐퍼유니트(6)의 원통부분(62a)에 압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돌기(39)가 규제편부(62b) 사이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회동시에는 댐퍼유니트(6)의 제동력을 출력축(62)을 통해서 받게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래치유니트(5)에 있어서의 하우징(55)의 후측부분이 케이스(2A)에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55)의 후측부분이 케이스(2B)의 연장통부(25e) 내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다.
(사용상태)
이상의 회동장치(1)는, 케이스(2)가 본체(10)에 부동상태로 부착됨과 아울러 축부재(3)의 지지축부(31)가 회전체(11)에 부동상태로 부착된다.
여기서, 본체(10)는 각종의 기기류나 수납장치의 하우징이고, 회동장치(1)를 배치하는 배치부(10a)가 케이스(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 회전체(11)는 본체(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나 덮개 등이고, 축부재(3)의 지지축부(31)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11a)이 형성된다. 즉, 본체(10) 및 회전체(11)는, 예를 들면,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기 등의 본체(70A) 및 회전체(71A) 혹은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납장치 등의 본체(70B) 및 회전체(71B)를 상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의 회동장치(1A)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1)를 배치부(10a)에 위치결정되도록 배치한 후, 나사 등의 고정부재(8)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부착된다. 회전체(11)는 지지축부(31)가 걸어맞춤구멍(11a)에 걸어맞춰져서 결합됨으로써 지지축부(31)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기 유지된다. 또한, 회전체(11)는 통상적으로 그 일방측이 걸어맞춤구멍(11a)과 지지축부(31)의 결합관계에 있고, 타방측이 본체(10)측의 대응부와의 사이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3)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실시형태의 회동장치(1B)에 있어서는, 걸림다리부(28)를 배치부(10a)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구멍에 압입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탄성걸림편(29)을 통해서 부착된다. 회전체(11)는 지지축부(31)가 걸어맞춤구멍(11a)에 걸어맞춰져서 결합됨으로써 지지축부(31)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회전체(11)는 그 일방측이 걸어맞춤구멍(11a)과 지지축부(31)의 결합관계에 있고, 타방측은 본체(10)측의 축부(12)가 연장통부(25e)와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또, 각 실시형태는 회전체(11)의 회동각도(Z)가 본체(10)(개구부 등)에 대해서 약 120도 회동되는 예이다. 단, 회전체(11)의 회동각도(Z)는 원호형상 홈부 (22a)나 캠홈(54) 등을 약간 변경하는 것만으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작동)
이상의 회동장치(1)는, 회전체(11)가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의해서 개방위치로 이동되고, 이 개방위치에서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압압(회동)조작을 하면, 본체(10)의 폐쇄위치{즉,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 등}에서 래치유니트(5)에 의해서 유지된다.
즉, 작동적으로는, 회전체(11)의 폐쇄위치방향으로의 회동조작에 의해서 스트라이커(51)가 상기한 축부재(3), 캠부재(54), 핀(52)의 관계에서 하우징(55)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걸어맞춤돌기(51b)가 슬라이드 이동체(57)에 맞닿게 되고, 도 3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57)를 하우징(55) 내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것과 연동하여 양 걸림편(56)이 하우징(55) 내로 이끌려 들어가면서 걸어맞춤돌기(51b)를 파지한다. 동시에, 트레이스 핀(59a)과 하트캠홈(58)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양 걸림편(56)이 후퇴위치에서 걸림으로써, 회전체(11)가 폐쇄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한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회전체(11)를 재차 폐쇄위치방향으로 압압조작하면, 도 3 및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스 핀(59a)과 하트캠홈(58)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고,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체(57)가 상기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되밀리게 됨으로써 양 걸림편(56)이 하우징(55)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 결과, 걸어맞춤돌기(51b)는 양 걸림편(56)에 의한 파지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한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걸림구조를 채용하면, 케이스(2)에 대한 조립성이 좋고, 또한 케이스(2) 내에 있어서의 스트라이커(51)와의 위치관계를 작은 스페이스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11)는 케이스(2)내의 댐퍼유니트(6)의 제동작용을 축부재(3)를 통해서 받게 됨으로써 부드럽게 회동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스프링부재(4)와 댐퍼유니트(6)와 래치유니트(5)가 케이스(2) 내에 직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케이스(2) 내에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축부재(3)와의 관계도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회동장치(1)는, 각 실시형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2)만을 변경함으로써용도에 대응한 전혀 다른 외형상의 것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술요소를 제외하고,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형가능한 것이다. 그 일예로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체(10)에 대한 부착구조를 반대로 하거나 그 외의 부착구조를 채용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동장치는 지지축부를 형성하고 있는 축부재와 함께 스프링부재, 댐퍼유니트 및 래치유니트를 케이스 내에 내장할 수 있도록 유니트화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품에 비해 다기능화를 도모하여 적용 기기나 장치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과 상품가치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회동체를 본체에 대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가지는 회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대략 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에 상당하는 지지축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단측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축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축부재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체의 폐쇄위치방향으로의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회동체를 폐쇄위치에서 걸어 유지하고, 상기 회동체의 재차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래치유니트와,
    상기 축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대응 축부에 꿰어지는 상태로 배치된 제동용 댐퍼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니트는,
    상기 축부재의 회동에 연동하여 축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체의 폐쇄위치방향으로의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어 유지하고, 상기 회전체의 재차 압압조작에 의해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푸시푸시 걸림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축부재와 연결된, 캠홈이 형성되어 있는 캠부재를 가지며,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캠홈에 끼워맞춰져 있는 핀을 통해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는 축부의 선단에 걸어맞춤돌기를 가지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축부가 내부에 끼워지는 대략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은 상기 스트라이커의 축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캠홈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니트는 하우징과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케이스내에 위치고정되고, 상기 출력축이 상기 축부재의 대응 축부에 위치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장치.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해서 상기 지지축에 상당하는 지지축부, 상기 케이스의 일단측 개구부를 거의 폐쇄하는 대경축부, 상기 스프링부재를 외측둘레에 배치하는 스프링용 축부, 상기 댐퍼유니트를 축설치하는 댐퍼용 축부, 상기 캠부재의 대응부에 연결되는 연결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장치.
KR10-2002-0020376A 2001-06-19 2002-04-15 회동장치 KR100465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84743A JP4440495B2 (ja) 2001-06-19 2001-06-19 回動装置
JPJP-P-2001-00184743 2001-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865A true KR20020096865A (ko) 2002-12-31
KR100465924B1 KR100465924B1 (ko) 2005-01-13

Family

ID=1902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376A KR100465924B1 (ko) 2001-06-19 2002-04-15 회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40495B2 (ko)
KR (1) KR100465924B1 (ko)
TW (1) TWI24262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047B1 (ko) * 2002-07-22 200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회전 장치
WO2006137622A1 (en) * 2005-06-24 2006-12-28 Chul Hee Lee Automatic close system which shuts down several fire doors simultaneously
WO2006137621A1 (en) * 2005-06-24 2006-12-28 Chul Hee Lee Automatic close device and system of fire door
KR101252165B1 (ko) * 2006-09-21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562B (zh) * 2013-07-12 2015-12-09 秦源 螺旋滚动传动机构
CN107150871B (zh) * 2017-06-05 2022-11-11 广东亿科智能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按压式垃圾桶盖及垃圾桶
DE102018115607B4 (de) * 2018-06-28 2023-08-03 Grammer Aktiengesellschaft Verstellbarer Höhenbegrenzer und Fahrzeugsitz
EP3903655A4 (en) * 2018-12-27 2022-09-28 Sugatsune Kogyo Co., Ltd. DAMP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491B2 (ja) * 1995-01-30 1996-10-16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
JP3737160B2 (ja) * 1995-03-31 2006-01-18 富士通株式会社 折り畳み携帯電話機用ヒンジ機構及び折り畳み携帯電話機
JP3618161B2 (ja) * 1996-02-21 2005-02-09 株式会社ニフコ 軸ラッチ装置
JP3753801B2 (ja) * 1996-08-01 2006-03-08 富士通株式会社 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有する折り畳み携帯電話機
JPH10131947A (ja) * 1996-10-28 1998-05-2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複合トルクヒン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047B1 (ko) * 2002-07-22 200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회전 장치
WO2006137622A1 (en) * 2005-06-24 2006-12-28 Chul Hee Lee Automatic close system which shuts down several fire doors simultaneously
WO2006137621A1 (en) * 2005-06-24 2006-12-28 Chul Hee Lee Automatic close device and system of fire door
KR101252165B1 (ko) * 2006-09-21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40495B2 (ja) 2010-03-24
KR100465924B1 (ko) 2005-01-13
JP2002371741A (ja) 2002-12-26
TWI242621B (en)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184B2 (en) Slide hinge for small-sized information terminal
US7213428B2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JP3686845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00562576B1 (ko) 개방형 트레이
US7302818B2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KR100465924B1 (ko) 회동장치
EP1577471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JPWO2005095742A1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JP2017043893A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JP2003278813A (ja) 回転ダンパー
GB2613710A (en) Opening/closing body lock device
JP7377988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CN110173153B (zh) 推拉门锁换向机构以及推拉门锁
JP3845229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リッドロック装置
KR100558983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JP3354307B2 (ja) ダンパ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回転機構
JPH10299310A (ja) 鎌 錠
KR200330259Y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347712Y1 (ko) 가동캠이 샤프트에 걸음되는 힌지조립체
JP3937226B2 (ja) 自己閉作動装置
JP2500668B2 (ja) 電子機器の開閉構造
KR0173629B1 (ko) 도어 체크 링크의 오일 충진구조
JP3977588B2 (ja) ラッチ受け
JP2022067833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50011857A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