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974A -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974A
KR20020095974A KR1020010034361A KR20010034361A KR20020095974A KR 20020095974 A KR20020095974 A KR 20020095974A KR 1020010034361 A KR1020010034361 A KR 1020010034361A KR 20010034361 A KR20010034361 A KR 20010034361A KR 20020095974 A KR20020095974 A KR 20020095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roller table
moving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974A/ko
Publication of KR2002009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23D47/04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for conveying work to, or discharging work from,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등의 공장내에서 형강재를 이송하는 롤러 테이블장치에 있어서, 형강재의 이송시 절단기가 통과할 롤러와 롤러사이의 간격을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구성은 각각의 모터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들과 각 롤러들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벽으로 이루어진 롤러 테이블에 있어서, 그 롤러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 테이블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형강재를 절단하는 절단기와, 절단기의 회전날이 통과되는 롤러와 롤러사이의 간격을 가변 조정하기 위한 롤러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형강재의 절단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과 아울러,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a control device of roller table}
본 발명은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강등의 강재를 이송하는 롤러를 전,후진시켜 형강재의 절단길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으로는 고로에서 제조된 용선을 제강로로 이송한 후에 정련하여 강을 제조하게 된다.
제강로에서 제조된 강은 압연용 강괴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주작업을 가지며, 그 연주작업시 압연 혹은 압출품의 소재로 슬라브, 빌레트등의 형상으로 주조되고 압출기, 압연기에서 가공되어 강판, 형강재등으로 제조된다.
제강공정이 완료된 소재를 압연공장으로 이송하여 재 가열후 압연을 하여 형강재를 만들고, 이는 롤러 테이블을 타고 이송되면서 고속 회전되는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어 적정 길이의 형강으로 제작되는 공정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롤러 테이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각각의 모터(25) 회전에 의해 다수개의 롤러(22)들이 회전되고 그 롤러(22)의 양단부가 측벽(24)에 지지되는 롤러 테이블(20)과, 그 롤러 테이블(20)의 일측에 전,후 및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절단기(30)로 구성된다.
형강재의 절단공정은 롤러 테이블(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연속적으로 이송중인 형강재(10)를 고속 회전하는 절단기(30)가 형강재(10)측으로 전진하면서 적정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절단기(30)가 전,후진 이동되는 일측의 측벽은 절단기(30) 칼날의이동시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절단기(30)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단공정은 형강재의 절단길이를 절단기의 좌,우 이동에 의해서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소비자들의 요구가 미터단위가 아니라, 센티미터단위의 세밀한 길이를 요구할 때에는 절단기를 이동하더라도 롤러와 롤러사이의 간격이 좁고 일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절단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롤러와 롤러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형강재의 절단길이를 가변되게 할 수 있도록 한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롤러 테이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형강재20 : 롤러 테이블
22 : 롤러24 : 측벽
24a : 장공25 : 롤러 모터
27 : 지지레일30 : 절단기
45 : 베어링50 : 파지부
60 : 솔레노이드밸브65 : 실린더
70 :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며, 그 롤러들의 회전에 의해 형강등의 강재가 상측으로 이송되고 일측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절단기에 의해 이송중인 형강재가 절단되는 롤러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의 후방측에 위치한 롤러를 형강재의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절단기의 절단작업시 형강재의 절단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롤러 이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미리 형강재의 절단길이를 입력하면, 제어부에서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롤러를 이동시킨 후에 형강재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요구되는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을 참조, 각각의 모터(25)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22)들과 각 롤러(22)들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벽(24)으로 이루어진 롤러 테이블(20)과, 롤러 테이블(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 테이블(20)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형강재(10)를 절단하는 절단기(30)와, 절단기(30)의 회전날(32)이 통과되는 롤러(22)와 롤러(22)사이의 간격을 가변 조정하기 위한 롤러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롤러 이동수단은 측벽(24)에 롤러(22) 양단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24a)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롤러 모터(25)의 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레일(27)이 형성되며, 측벽(24)의 외측에 위치한 롤러(22)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50)와, 파지부(50)의 단부에 설치되어 파지부(50)를 형강재(10)의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솔레노이드밸브;60)와, 솔레노이드밸브(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롤러(2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지지레일(27)은 롤러 모터(25)의 하부지지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파지부(50)는 단부가 롤러(22)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하도록 대략 "C"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 측벽중 절단기(30)가 통과하는 측벽(24)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게 절단기(30)가 간섭되지 않는 높이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50)와 롤러(22)의 양단부 사이에는 롤러(22)의 양단부 회전을 위해 베어링(45)을 개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레노이드밸브(60)는 제어부(70)의 전기적인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롤러(22)의 양단부를 끌어 당기는 인장력으로 작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각 롤러(22)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강재(10)를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단기(30)를 전,후진하여 형강재(10)의 절단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소비자가 보다 세밀한 길이를 요구할 때에는 롤러(22)의 위치를 변경시켜 절단기(30)의 회전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부(70)는 작업자가 조정판(미도시)을 통해 절단길이를 입력하면, 이에 적합한 제어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60)에 출력하여 파지부(50)에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양단부가 파지부(50)에 결합된 롤러(22)은 솔레노이드밸브(60)의 인장력에 의해서 형강재(10)의 이송방향에 대해 전,후로 이동되며, 이때 모터(25)는 그 하부가 지지레일(27)을 따라 같이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롤러(22)의 양단부는 측벽(24)에 형성된 장공(24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롤러(22)가 형강재(10)의 이송방향에 대해 전,후진됨에 따라롤러(22)와 롤러(22)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이 롤러(22)와 롤러(22)의 사이로 절단기(30)의 회전날을 통과시키면, 형강재(10)가 적정 길이로 절단된다.
이에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절단길이에 맞추어 제어부(70)를 가변 조정함으로써, 소비자들 개개인의 요구에 적합하게 형강재(10)의 길이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가지는 부품에 대해서는 상세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하게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각각 모터(2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22)들과 그 롤러(22)들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측벽(24)을 가지는 롤러 테이블(20)에 있어서, 그 측벽(24)의 외측에서 롤러(22)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파지부(50)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파지부(50)를 형강재(10)의 이송방향에 대해 전,후진시키는 실린더(65)와, 절단할 길이에 적합한 유압 또는 공압을 실린더(65)에 공급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한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이동부를 솔레노이드밸브(60)가 아닌 실린더(65)를 채용한 것이다.
그리고, 실린더(65)는 유압의 공급에 따라 전,후진이 가능한 복동식 실린더를 채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부(70)에서는 콤프레셔(미도시)에서 생성되어 실린더(65)내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의 압력 및 공급 위치를 조정하여 롤러(22)의 전,후진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22)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미 설명부호 "65a"과 "65b"은 실린더(65)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배출하기 위한 파이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앞서의 선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실린더(65)를 공압 실린더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70)로 적합한 절단길이가 입력되면, 제어부(70)에서 실린더(65)내에 적정압력의 에어를 파이프(65a)를 통해 실린더(65)내에 공급하여 롤러(22)를 형강재(10)의 이송방향측으로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실린더(65)내에 공압이 제공됨에 따라, 실린더(65)의 내부로 공급된 만큼의 에어가 파이프(65b)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롤러(22)의 양단부와 일체화된 파지부(50)가 형강재(10)의 이송방향으로 전진(또는 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22)가 이동되어 절단기(30)가 통과할 롤러(22)와 롤러(22)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어서, 롤러(22)에 의해 이송되는 형강재(10)가 절단기(30)의 고속 회전되는 회전날(32)에 의해 절단되는 공정에서 절단길이를 가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22)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실린더(65)내에 파이프(65b)를 통해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전진 동작과 역순으로 이동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지니는 개념과 정신의 범위내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얼마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롤러의 이동수단을 하나로 표현하였으나, 공장내의 환경에 따라 복수개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롤러와 롤러사이의 간격을 가변 조정하여 롤러를 타고 이송되는 형강재의 절단길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형강재의 절단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과 아울러,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5)

  1. 각각의 모터(25)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롤러(22)들과 그 롤러(22)들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측벽(24)으로 이루어지며, 그 롤러(22)들의 회전에 의해 형강재(10)가 상측으로 이송되고 일측에 전,후진가능하도록 설치된 절단기(30)에 의해 이송중인 형강재(10)가 절단되는 롤러 테이블(20)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30)의 후방측에 위치한 롤러(22)를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시켜 절단기(30)의 절단작업시 형강재(10)의 절단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롤러 이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바닥에 상기 롤러 모터(25)의 하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레일(27)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4)에 롤러(22)의 양단부가 이동가능하도록 장공(24a)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24)의 외측에서 상기 롤러(22)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50)와,
    상기 파지부(5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파지부(50)를 선택적으로 후진/복귀시키기 위한 이동부와,
    상기 형강재(10)의 절단길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에 적합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이동수단은, 상기 파지부(50)의 단부와 상기 롤러(22)의 단부 외주면 사이에 베어링(45)이 개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파지부(50)를 형강재(10)의 이송방향에 대해 전,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어 상기 파지부(50)를 선택적으로 형강재(10)의 이송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실린더(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KR1020010034361A 2001-06-18 2001-06-18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KR20020095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361A KR20020095974A (ko) 2001-06-18 2001-06-18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361A KR20020095974A (ko) 2001-06-18 2001-06-18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974A true KR20020095974A (ko) 2002-12-28

Family

ID=2770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361A KR20020095974A (ko) 2001-06-18 2001-06-18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9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35B1 (ko) * 2006-09-15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 용액경화로의 서포트롤 축 지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986U (ko) * 1973-06-14 1975-02-27
JPS61200807U (ko) * 1985-06-05 1986-12-16
US5730274A (en) * 1996-04-16 1998-03-24 Hk Systems, Inc. Gap optimizer
JP2000318825A (ja) * 1999-05-07 2000-11-21 Okura Yusoki Co Ltd 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986U (ko) * 1973-06-14 1975-02-27
JPS61200807U (ko) * 1985-06-05 1986-12-16
US5730274A (en) * 1996-04-16 1998-03-24 Hk Systems, Inc. Gap optimizer
JP2000318825A (ja) * 1999-05-07 2000-11-21 Okura Yusoki Co Ltd 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35B1 (ko) * 2006-09-15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 용액경화로의 서포트롤 축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5811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hot rolled steel strip
KR20190050430A (ko)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KR100609075B1 (ko) 금속 로드 사면 가공장치
KR20020095974A (ko) 롤러 테이블의 조정장치
EP25542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inuous rolling
US4478393A (en) Apparatus for thermal longitudinal parting of rectangular metal plate bars, in particular of cut-to-length continuous-casting plate slabs
TWI496633B (zh) 由金屬熔融物製造厚鋼板的方法與垂直連續鑄造裝置
KR102385740B1 (ko) 피처리물 절단장치 및 피처리물 절단방법
HU224681B1 (hu) Melegen hengerlő berendezés
KR100391444B1 (ko) 블랭크 가이드 롤러의 자동 위치 제어장치
CN220641978U (zh) 一种不锈钢板加工用放卷机
CN211661230U (zh) 一种用于切割钢板桩的固定式热锯机变速调节机构
KR101257556B1 (ko) 압연라인의 텅 절단장치
JPH02194917A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板厚自動変更装置
KR100496539B1 (ko) 소재 비틀림 방지를 위한 소재의 그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83992B1 (ko) 테이퍼 로울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64325B1 (ko) 주편 이송장치
JP2006306092A (ja) 形材を製造する装置
JP4165724B2 (ja) 板厚圧下プレス装置及び方法
JPH11895A (ja) 板材搬送コンベア及び該搬送コンベアを持つ子割セメント板の製造装置
JPS6225461B2 (ko)
JPH02205407A (ja) 鋼板の開先加工装置
JP3140455B2 (ja) コイル材の切断装置
JP2003191026A (ja) プレス金型における修正コマ調整装置
JPH05147098A (ja) 芯金埋込ゴム製品開口幅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