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861A -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 Google Patents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861A
KR20020093861A KR1020027012707A KR20027012707A KR20020093861A KR 20020093861 A KR20020093861 A KR 20020093861A KR 1020027012707 A KR1020027012707 A KR 1020027012707A KR 20027012707 A KR20027012707 A KR 20027012707A KR 20020093861 A KR20020093861 A KR 2002009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oil supply
oil
data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013B1 (ko
Inventor
모리타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9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8Devices for lubricating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니들, 잭, 싱커 등의 편성부에, 필요한 편성부재에 필요할 때에 윤활유를 급유할 수 있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가 개시된다. 니들, 잭, 싱커 등의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적산하여 소정의 회수를 넘으면 제트 방식의 노즐로부터 해당하는 편성부재에 윤활유를 급유한다.

Description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A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AN OIL FEEDING DEVICE}
본 출원인은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333649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편성기 본체측에 설치하는 공급펌프(feed pump)와 니들베드 상을 왕복 주사(走査)하는 캐리지(carriage)에 설치하는 브러시(brush) 등의 윤활유 접촉부재를 가요성(可撓性)의 오일튜브(oil tube)(중계 파이프(interconnecting pipe))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횡편기에서는 윤활유를 도포(塗布)하는 브러시가 캐리지에 탑재(搭載)되어 있으므로 캐리지의 이동범위, 즉 편성포 편성이 이루어지는 범위에서 급유된다. 이 때문에 니들베드의 편침(編針) 전부를 사용하지 않는 예를 들면 편성폭(編成幅)이 작은 편성포를 편성하는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캐리지를 소정의 회수 걸러서 니들베드 측단(側端)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급유솔(oil feeding brush)까지 이동시켜 캐리지에 탑재하는 캠(cam)에 윤활유를 도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끝내고, 캐리지의 필요없는 이동과 급유가 불필요한 편침으로의 급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윤활유를 브러시에 충전(充塡)하는 작업은 오퍼레이터(operator)가 수동으로 펌핑(pumping)하거나 급유펌프(oil feeding pump)가 전동펌프(motor-driven pump)의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마다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다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수동 펌핑의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때때로 윤활유를 충전하는 작업을 잊어서 편침과 캠의 결합장소에 눌어 붙기나 마모(磨耗)가 발생한다. 또한 펌핑의 타이밍(timing)이 나쁘면 불필요한 편침에 급유된다. 전동 펌핑의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마다, 소정의 매수 편성할 때마다 등 정기적으로 급유되지만 횡편기는 원형 편성기(circular knitting machine)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원주를 순환하도록 편성되는 것은 아니고 편성 데이터(kintting data)나 편성폭에 대응하여 캐리지가 니들베드 상을 적당한 위치에서 반전(反轉)하여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니들베드의 다른 구간의 편침 상을 캐리지를 왕복 이동시켜서 2매 이상의 편성포를 동시에 편성하는 편성방법(속칭 2매 편성포 편성(two-fabric knitting), 3매 편성포 편성, 다수 매 편성포 편성)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브러시(brush), 펠트(felt) 등 모세관(毛細管) 현상을 이용하는 접촉부재에 의한 급유에서는 각 편성포간에 있는 편성에 사용되지 않는 편침에까지 필요하지 않은 급유가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횡편기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니들(needle), 잭(jack), 싱커(sinker) 등의 편성부재에 급유(給油)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급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2는 편성포의 소정 매수(枚數)의 편성을 나타낸다.
도3은 편성포가 소정 매수 편성되는 사이의 각 편침의 조작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급유 데이터 처리의 플로우 챠트(flow chart)이다.
도5는 도4의 스텝3에서의 편성 데이터 분석 서브루틴(knitting data analysis subroutine)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6은 블록(block) 단위로 급유할 경우의 저장되는 급유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7은 실시예의 급유장치 및 기구부를 중심으로 하여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8은 브러시(brush)를 이용하는 윤활유 피더(oil feeder)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9는 제트 방식(jet-type)의 노즐(nozzle)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은, 편성포 편성에 있어서의 니들, 잭, 싱커 등 편성부재의 각각의 사용도에 따라 적시(適時)에, 다시 말하면 효과적인 포인트(point)(장소와 시간을 포함한다)에서 각 편성부재에 급유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니들베드의 소정 장소의 편성부재에 선택적으로 급유를 하는 것이 가능한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는, 니들(needle), 잭(jack) 등의 복수의 편성부재를 진퇴(進退)하도록 배치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상기 니들베드 상을 왕복 주사(走査)하고 편성 데이터(knitting data)에 따라 캠(cam)에 의하여 소정의 편성부재를 선택하여 조작하는 캐리지(carriage)와, 상기 편성부재에 윤활유를 급유(給油)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로서,
상기 급유장치를,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부와,
캐리지측에 설치되어 윤활유를 상기 편성부재에 급유하는 윤활유 피더(oil feeder)와,
윤활유 공급부에서 윤활유 피더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파이프(pipe)로 구성하고,
편성 데이터 또는 캐리지의 이동궤적(移動軌跡)에 의거하여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내어 급유 데이터(oil feeding data)로서 출력하기 위한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급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급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면서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에 자동적으로 급유한다.
이와 같이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되는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나 캐리지의 이동궤적에 의거하여 니들베드 위에 배열되는 니들이나 잭 등의 편성부재로부터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내어 이를 급유 데이터로서 표현한다. 또 급유 데이터는 편성 데이터 중에 미리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급유 데이터에 의거하고, 제어수단에 의하여 급유장치를 작동시켜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에 급유한다. 이렇게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에 급유하기 때문에 모든 편성부재에 급유하는 경우와는 달리 효율적으로 급유할 수 있다. 또한 급유는 편성 중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성효율이 향상되고 또 급유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도 편성부재에 손상을 끼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수단은 윤활유 피더를 제어한다. 응답성(應答性)의 느린 윤활유 공급부의 급유펌프 등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윤활 피더를 제어하면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에 선택적으로 급유하는 것이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구하여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낸다. 편성 데이터를 이용하면 어느 편성부재가 몇 번 사용되었는지가 용이하게 밝혀진다.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는 개개의 편성부재마다 정확하게 구하여도 좋고 또는 개략적으로 구한 값이라도 좋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편성 데이터로부터 편성 전에 구한다. 이렇게 하면 편성 전에 편성 데이터를 미리 읽어서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구할 수 있고, 편성 중에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데이터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포 편성에서의 캐리지의 이동궤적을 구하고, 구한 이동궤적으로부터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낸다. 캐리지의 이동궤적으로부터 개개의 편성부재가 몇 번 사용되었는지가 밝혀지고, 어떤 이동궤적 내의 편성부재가 사용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부재가 캐리지에 의하여 조작되는 회수를 적산(積算)하여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낸다. 여기에서는, 캐리지가 편성부재를 선택하여 조작하면 이를 검출하고 적산하여 조작회수를 구한다. 이렇게 하면 캐리지의 동작으로부터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성부재를 복수의 블록(block)으로 나누고,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블록마다 찾아내고, 윤활유 피더는 블록마다 편성부재에 급유한다. 블록마다 급유하기 때문에 윤활유 피더는 개개의 편성부재에 선택적으로 급유할 수 없는 것이라도 좋고,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는 블록단위로 대강 구하면 좋다.
이러한 윤활유 피더는, 예를 들면 편성부재와 접촉하여 윤활유를 공급하는 브러시(brush)나 펠트(felt), 스펀지(sponge), 천(cloth), 벨트(belt) 등의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접촉부재를 편성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와 비접촉 위치와의 사이에서 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actuator)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에서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면 필요한 블록에 선택적으로 급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개개의 편성부재마다 캐리지에 의한 조작회수를 구하고, 구한 조작회수가 규정치(規定値)를 넘은 편성부재를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로 한다. 이렇게 하면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정확하게 찾아내어 선택적으로 급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윤활유 피더가 윤활유를 스프레이(spray)하는 제트 방식(jet-type)의 노즐(nozzle)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은 개개의 편성부재마다 선택적으로 윤활유를 스프레이하고,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에 캐리지의 진행과 동시에급유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은, 캐리지가 편성부재를 선택하는 것과 동기(同期)하여 상기 편성부재에 윤활유를 스프레이한다. 이렇게 하면 편성부재를 캐리지가 선택할 때마다 이에 동기하여 그 편성부재에 급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복수 매의 편성포에 걸쳐 적산(積算)하여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복수 매의 편성포에 걸치는 캐리지의 이동궤적으로부터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편성포 1매에서는 급유할 필요가 없지만 복수 매의 편성포를 편성함으로써 급유가 필요하게 되는 편성부재에 확실하게 급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flat bed knitting machine)의 급유장치(oil feeding device)의 적절한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의 급유장치에서는, 편성기 본체 프레임(frame)측에 설치하는 윤활유를 공급하는 공급펌프(feed pump)와 니들베드(needle bed) 상을 왕복 주사(走査)하는 캐리지(carriage)에 설치하는 제트 방식(jet-type)의노즐(nozzle) 등의 윤활유 피더(oil feeder)가 가요성(可撓性)의 오일 튜브(oil tube) 등으로 중계(中繼)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성 데이터(knitting data)를 미리 읽어서 분석하여 편성 중에 급유(給油)가 필요한 편성부재(여기에서는 편침(knitting needle))를 찾아낸다. 편성 데이터는 편성포의 편성에 필요한 데이터로서, 패턴(pattern), 제어(control), 루프 길이(loop length), 패터닝(patterning), 색실(color yarn), 테이크 다운(takedown) 등의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니트 디자인 시스템(knit design system)(이하 "CAD"라고 한다)을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고 또한 직접 편성기의 컨트롤 디바이스(control device)에 수동으로 입력하여 작성할 수도 있다. CAD에서 작성한 편성 데이터를 편성기의 컨트롤 디바이스가 읽어서 실제로 편성을 하기 전에 분석하여 편성포 1매를 편성하는 사이의 각 편침의 조작회수(사용회수)를 구한다. 그리고 실제 편성하는 사이에 사용회수가 미리 규정한 값을 넘은 편침에 급유한다.
도1은 본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블럭도(block diagram)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주제어장치(main controller)3을 구비하고 있다. 주제어장치3은, 각종 데이터를 취급하여 연산처리(演算處理)하는 CPU5의 동작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프로그램 메모리(program memory)인 ROM7,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한 작업용 메모리인 RAM9 및 버스(bus)11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computer)를 주체로 하고, 버스11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input/output interface)(I/F)13이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3에는, 오퍼레이터(operator)가패널(panel)에 표시되는 컴맨드 키(command key)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패널(touch panel)15, 플렉시블 디스크(flexible disk)나 하드 디스크(hard disk) 혹은 광자기 디스크(magnet optical disk) 등의 드라이브(drive)의 외부기억장치17이나 편성기 본체19가 접속되어 있다. 편성기 본체19로부터의 입력으로서, 캐리지 위치·이동방향, 니들베드(needle bed)의 래킹 위치(racking position)가 있고, 편성기 본체로의 출력으로서 색실, 니들 실렉션(needle selection), 캠(cam), 캐리지 구동모터(carriage driving motor), 급유 구동부(oil feeding device)23 등이 있다.
ROM7에는, 편성기의 게이지(gage), 윤활유의 종류 등 각종 데이터 설정용 프로그램73, 74, 급유처리를 하기 위한 급유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71, 편성기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편성기 제어 프로그램72가 기억되어 있다. 또 RAM9에는 편성 데이터91, 게이지 데이터92, 윤활유 데이터93, 급유 데이터94 등 상기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도2는 편성포A의 편성이 반복하여 이루어져 소정 매수(枚數)의 편성포A가 편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3은 세로축을 사용회수, 가로축을 바늘번호로 하여 편성포A가 복수 매 편성될 때의 각 편침의 사용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편성포의 1∼4매째를 A1∼A4로 나타내고, 각 편성포마다의 편침의 사용회수를 a1∼a4로 나타낸다. 급유를 하기 위한 바늘의 사용회수의 규정치(規定値)를 예를 들면 500회로 하고, 이를 넘을 때마다 급유된다. 1매째의 편성포A1을 편성하는 사이에, y4∼y5 사이에 있는 바늘은1000회 이상 사용되어 그 결과 2회의 급유가 소정의 코스(course)에서 이루어진다. 또 상기 y4∼y5 사이의 바늘을 제외하고 x2∼x3 사이의 바늘에는 1회 급유된다. x1∼x2, x3∼x4의 바늘은 1매째의 편성포 편성에서 급유는 이루어지지 않고 2매째의 편성포A2가 편성되는 사이에 처음으로 급유된다. 3매째의 편성포A3의 편성에서 y2∼y3 사이의 바늘이나 y6∼y7 사이의 바늘에 두 번째 급유를 하고, 4매째의 편성포A4의 편성에서 y1∼y2 사이의 바늘이나 y7∼y8 사이의 바늘에 두 번째 급유를 한다.
윤활유 데이터(lubricant oil data)93은 니들(needle), 잭(jack), 싱커(sinker) 등의 급유되는 각 편성부재와 이에 사용되는 윤활유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이들은 윤활유 설정 프로그램74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조합과 게이지, 편성기의 속도 등의 파라미터(parameter)에 의거하여 급유를 위한 규정치가 급유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71에 의하여 산출되거나 수동으로 임의로 설정된다.
급유 데이터(oil feeding data)94에는, 급유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71에 의하여 구한 각 편침의 사용회수와, 이 사용회수가 급유를 위한 규정치를 넘기 때문에 급유가 필요하게 되는 시간 데이터(time data)가 기억된다. 이 시간 데이터는 예를 들면 n매째의 편성포An의 몇 번째 코스인가라는 데이터로서, 데이터의 정밀도(精密度)는 적시(適時)의 타이밍에서 급유를 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이와 같이 편성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편성포 1매당 각 편침의 사용회수를 구하고, 이를 생산 예정에 소요되는 편성 매수분의 적산 데이터(cumulative data)에 전개(展開)하여 소정 매수분의 편성포가 편성되는 사이에 급유하여야 할 각 편침에 적시에 급유한다.
다음에 상기의 급유장치에 의한 각 편침의 급유 포인트(oil feeding point)를 생성하는 처리에 관하여 도4의 플로우 챠트(flow chart)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1에서 처리를 시작하고, 스텝2에서 CAD로 작성한 편성 데이터91을 컨트롤 디바이스1의 외부기억장치17로부터 읽어낸다. 스텝3에서 읽어낸 편성 데이터91을 분석하여 각 편침의 사용회수를 적산(積算)함으로써 1매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사이에 필요한 편침의 급유 포인트를 구한다. 다음에 스텝4에서, 설정된 매수분의 편성포의 처리가 완료되었는가 아닌가를 체크(check)하고,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5에서 다음 편성포 편성에 필요하게 되는 편침에 대한 급유 포인트를 산출한다. 이렇게 하여 소정의 매수분의 처리가 완료되면 종료한다(스텝6).
도5는 도4에서의 스텝3의 편성 데이터의 분석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편성 데이터에서의 각 제어 코스(control course)(변수i)를 첫 번째 코스로부터 최종코스까지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각 편침의 사용회수를 메모리에 적산(積算)하여 기억한다. 이렇게 하여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급유가 필요하게 되는 각 편침의 급유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제로 편성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이에 급유 구동부23이 구동되어 급유가 적시에 이루어진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편성에 사용되는 각 편침의 사용회수가 규정치를 넘을 때에 그들의 편침에 급유한다. 예를 들면 이에 대신하여 니들베드의 편침을 소정의 개수마다 블록(block)으로 나누어 각 블록 내에서의 바늘 사용회수의 최고치가 규정치를 넘을 때에 그 블록의 복수의 바늘에 급유하여도 좋다. 도6은 블록단위로 급유될 경우의 저장되는 급유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바늘 블록이 몇 매째의 편성포의 어느 코스에서 급유되는지가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2)
이 실시예에서는, 윤활유 피더(oil feeder)가 브러시(brush)나 펠트(felt)와 같은 접촉부재로 이루어지고, 접촉부재는 전자 액추에이터(electromagnetic actuator) 등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어 급유가 필요할 때에 브러시 등이 편침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적상(滴狀)의 윤활유가 편침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진출하고, 그렇게 되지 않을 때에는 후퇴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브러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편침의 사용회수에 의거하여 구동할 수도 있지만 코스 단위로 브러시의 ON/OFF를 절환(切換)하거나 니들베드의 편침을 소정의 개수마다 블록으로 나누어 블록 단위로 브러시의 ON/OFF를 절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브러시의 진출 및 후퇴의 응답성(應答性)이 그다지 빠르지 않더라도 니들베드의 필요한 장소의 편성부재에 급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매 편성포 편성(two-fabric knitting)을 할 경우에는, 각 편성포간에 존재하는 편성에 사용되지 않는 바늘의 구간을 급유하지 않는 블록으로서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편성 데이터로부터 상기한 바늘의 구간을 구하여 급유하지 않는 블록으로서 지정하고, 캐리지가 이 구간을 통과하는 사이에는 액추에이터를 OFF로 하여 브러시를 후퇴시킨다. 이 때문에 편성폭(編成幅) 내의 편성부재는 예를 들면 소정의 코스수(course 數)마다 급유되어 필요없는 급유가 방지된다.
(실시예3)
이 실시예의 급유장치는 매우 미량(微量)의 윤활유의 토출제어(吐出制御)가 가능한 피더(feeder)를 구비하고 있어 니들 실렉션 장치(needle selector)의 액추에이터의 구동과 마찬가지로 캐리지의 진행과 함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필요한 바늘이 선택되도록 편성에 사용되는 바늘의 버트(butt)에 급유가 실시된다. 이 때의 급유량은 1회의 사용에 필요한 양만이 급유된다.
(기구부(機構部))
도7∼도9에 상기한 실시예에 관하여 기구부를 중심으로 나타낸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19는 상기의 편성기 본체로서, 본체 프레임100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102를 탑재(塔載)하고, 니들베드 상에는 바늘104 등다수의 편성부재를 병렬로 배치한다. 본체 프레임100에 급유펌프(oil pump)106을 설치하고, 중계 파이프(interconnection pipe)112를 통하여 캐리지108에 탑재한 윤활유 피더110에 윤활유를 송유(送油)한다. 컨트롤 디바이스1은 윤활유 피더110을 제어하고, 캐리지108의 궤적(軌跡)이나 바늘의 선택과 조작에 의하여 사용회수를 구하는 경우에 편성기 본체19로부터 캐리지의 위치나 바늘의 선택과 조작에 관한 정보를 받는다. 또 일반적으로 캐리지는 편성부재를 선택하면 그 편성부재를 조작한다.
114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서, 컨트롤 디바이스의 전원을 오프(off)할 때에 편성부재의 누적 사용회수의 데이터가 지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하루의 사용에서는 윤활유를 급유하기 위한 규정회수까지 사용되지 않는 편성부재에서도 여러 날을 경과하여 누적치(累積値)가 규정회수에 도달하면 급유된다. 또한 이에 대신하여 컨트롤 디바이스1은, 전원을 투입할 때에 보통은 하루의 작업을 시작할 때에 모든 편성부재에 급유하도록 급유 데이터를 발생시켜도 좋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윤활유 피더의 예(例)인 브러시122는, 편성부재의 버트120마다 설치되어 캐리지108에 내장(內藏)되고, 예를 들면 펠트124에 중계 파이프로부터의 윤활유를 축적하여 액추에이터126, 여기에서는 솔레노이드(solenoid)에 의하여 버트120에 접촉하는 위치와 후퇴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블록단위로 급유할 경우에 급유의 조건은 블록 내의 바늘의 사용회수의 최대치가 규정치에 도달하는 것이다. 블록은 고정 블록에서도 좋고, 편성폭(編成幅)을 하나∼복수의 블록으로 하여도 좋다.
제트 방식(jet-type)의 노즐(nozzle)132을 도9에 나타내었다. 노즐132는 순환 파이프(recirculation pipe)130에 설치되고, 마이크로 히터(micro-heater)134에 의하여 항상 노즐132 부근의 윤활유를 예열(豫熱)하고, 급유 데이터에 의거하여 마이크로 히터134를 제어한다. 순환 파이프130은 일단(一端)이 급유펌프에 접속되고, 고점성(高粘性)의 윤활유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 내의 윤활유를 항상 운동시키고, 타단(他端)이 급유펌프측의 오일통(oil sump)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히터134의 예열에 의하여 노즐132 부근에서 윤활유는 분사(噴射), 즉 스프레이(spray) 전에 점도(粘度)를 내린다. 급유 데이터에 의하여 특정한 편성부재에 윤활유를 분사하는 것이 요구되면 마이크로 히터134의 파워(power)를 늘려 윤활유를 급격하게 발포(發泡)시켜서 노즐132에서 스프레이한다.
(리마크(remark))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편성포의 컨트롤 디바이스에서 편성 데이터를 읽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편성에 필요한 각 편침의 급유 포인트(oil feeding point)를 구한다. 이들의 처리에 대신하여 CAD를 사용하여 편성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CAD에 인스톨(install)한 분석 프로그램(analytical program)을 이용하여 각 편침의 급유 포인트를 얻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편성기는 편성 데이터를 읽은 후에 곧 편성포 편성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트웨어를 구성하는 각 조각을 앞쪽 몸통, 뒤쪽 몸통,우측 소매, 좌측 소매의 순서로 각각 편성하고, 이들을 1개의 단위로 하여 반복하여 편성하는 속칭 스케줄 니트(schedule knit)라고 불리우는 생산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1벌의 편성포가 편성포 1매에 상당한다. 이 경우 스케줄 니트 1회분의 편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편침의 급유 포인트를 구한다.
또한 편성 데이터를 미리 읽는 대신에, 실제로 편성의 사이에 캐리지의 이동에 따라 캐리지에 의하여 주사(走査)되거나 니들 실렉션(needle selection)되는 바늘을 검출하여 그 회수를 누적하고, 이 값이 규정치를 넘었을 때에 급유 포인트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편성 전의 편성 데이터의 분석이 불필요하며 또한 편성되는 편성포의 디자인이 변경되더라도 계속하여 이전의 카운트 값(counted value)을 받을 수 있다. 또 첫회의 편성포 편성의 사이에 실제로 편성에서의 캐리지의 이동궤적(移動軌跡)을 모니터(monitor)하여, 특히 니들 실렉션 상황을 모니터하여 이에 따라 2매째 이후의 편성포에서의 급유 포인트를 구하여도 좋다. 또한 캐리지의 이동궤적을 편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규정치를 넘었거나 넘을 때에 급유하는 것이란 규정치가 예를 들면 500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500회째, 1000회째 … 라는 엄격한 의미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현재의 코스에서 사용회수가 500회에 도달하는 편침이 있더라도 이 편침을 다음 번에 사용하는 코스의 번호를 구하고, 이 코스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실행되는 경우는 급유 타이밍(oil feeding timing)을 다음 코스로 지연시켜도 좋다. 이렇게 데이터 처리를 하면 급유가 이루어지는 편침으로부터 윤활유가 흘러 내리는 것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니들베드에 실렉터(selector), 실렉트 잭(select jack), 잭(jack), 니들(needle), 싱커(sinker) 등 복수의 다른 편성부재가 수용되어 있어 각 편성부재의 조작용 버트가 캐리지의 캠에 결합하여 조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되는 윤활유의 종류나 편성부재의 재질(材質) 등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회수의 규정치를 설정하여 급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4)

  1. 니들(needle), 잭(jack) 등의 복수의 편성부재를 진퇴(進退)하도록 배치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상기 니들베드 상을 왕복 주사(走査)하고 편성 데이터(knitting data)에 따라 캠(cam)에 의하여 소정의 편성부재를 선택하여 조작하는 캐리지(carriage)와, 상기 편성부재에 윤활유를 급유(給油)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로서,
    상기 급유장치를,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부와,
    캐리지측에 설치되어 윤활유를 상기 편성부재에 급유하는 윤활유 피더(oil feeder)와,
    윤활유 공급부에서 윤활유 피더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파이프(pipe)로 구성하고,
    편성 데이터 또는 캐리지의 이동궤적(移動軌跡)에 의거하여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내어 급유 데이터(oil feeding data)로서 출력하기 위한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급유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급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면서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에 자동적으로 윤활유를 급유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윤활유 피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구하여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4. 제3항에 있어서,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편성 데이터로부터 편성 전에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5. 제2항에 있어서,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포 편성에서의 캐리지의 이동궤적을 구하고, 구한 이동궤적으로부터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6. 제5항에 있어서,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부재가 캐리지에 의하여 조작되는 회수를 적산(積算)하여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찾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부재를 복수의 블록(block)으로 나누고,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블록마다 찾아내고, 윤활유 피더는 블록마다 편성부재에 급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8. 제7항에 있어서,
    윤활유 피더에 편성부재와 접촉하여 윤활유를 공급하는 접촉부재와, 접촉부재를 편성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와 비접촉 위치와의 사이에서 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actuator)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에서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9. 제2항에 있어서,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개개의 편성부재마다 캐리지에 의한 조작회수를 구하고, 구한 조작회수가 규정치(規定値)를 넘은 편성부재를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10. 제9항에 있어서,
    윤활유 피더가 윤활유를 스프레이(spray)하는 제트 방식(jet-type)의 노즐(nozz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개개의 편성부재마다 선택적으로 윤활유를 스프레이하고,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에 캐리지의 진행과 동시에 급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캐리지가 편성부재를 선택하는 것과 동기(同期)하여 상기 편성부재에 윤활유를 스프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13. 제3항에 있어서,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복수 매의 편성포에 걸쳐 적산(積算)하여 급유가 필요한 편성부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14. 제5항에 있어서,
    급유 데이터 처리수단은 편성부재의 조작회수를 캐리지의 이동궤적에 의거하여 복수 매의 편성포에 걸쳐 적산(積算)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20027012707A 2000-05-17 2001-05-14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0777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4971 2000-05-17
JPJP-P-2000-00144971 2000-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861A true KR20020093861A (ko) 2002-12-16
KR100777013B1 KR100777013B1 (ko) 2007-11-16

Family

ID=1865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707A KR100777013B1 (ko) 2000-05-17 2001-05-14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19075B2 (ko)
EP (1) EP1283919B1 (ko)
JP (1) JP3904928B2 (ko)
KR (1) KR100777013B1 (ko)
CN (1) CN100335701C (ko)
AU (1) AU2001256726A1 (ko)
DE (1) DE60110408T2 (ko)
ES (1) ES2237568T3 (ko)
TW (1) TW579395B (ko)
WO (1) WO20010882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3261B2 (en) 2002-01-14 2011-11-22 Sud-Chemie Inc. Multi-layered dehydrogenation catalyst system and process of use
JP5057712B2 (ja) * 2006-06-30 2012-10-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給油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6712B (en) * 1981-03-09 1984-09-05 Roser Erich Oil lubrication system
US4464913A (en) * 1983-01-12 1984-08-14 Consolidated Foods Corporation Knitting machine control system
DE3624982A1 (de) * 1986-07-24 1988-04-14 Sipra Patent Beteiligung Druckoel-schmiereinrichtung
JPH0677112B2 (ja) 1989-03-31 1994-09-28 コパル電子株式会社 光偏光器の冷却装置
JPH03154000A (ja) * 1989-11-08 1991-07-01 Riyuube Kk 編機における潤滑装置
JP2808346B2 (ja) 1990-06-27 1998-10-08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自動給油およびエヤー噴出方法
DE4108563A1 (de) * 1991-03-15 1992-09-17 Limon Fluhme & Co De Flach-strickmaschine
JP2530260B2 (ja) 1991-05-08 1996-09-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給油装置
GB2259718B (en) * 1991-09-17 1995-06-14 Carraig Donn Patent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knitting machines
JP3013129B2 (ja) 1992-09-21 2000-02-28 リューベ株式会社 丸編み機の潤滑装置
ES2127888T3 (es) * 1994-03-14 1999-05-01 Lube Corp Metodo y equipo de lubricacion para un telar circular.
CN1108707A (zh) * 1994-03-17 1995-09-20 鲁贝株式会社 圆形编织机的润滑方法和装置
CN2289814Y (zh) * 1996-12-19 1998-09-02 廖炳煌 圆盘针织机的针头注油控制器
DE19727498A1 (de) * 1997-06-27 1999-01-07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mit einer Rippscheibenanordnung und einer Schmi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88244A2 (en) 2001-11-22
DE60110408D1 (de) 2005-06-02
KR100777013B1 (ko) 2007-11-16
JP2003533605A (ja) 2003-11-11
AU2001256726A1 (en) 2001-11-26
EP1283919B1 (en) 2005-04-27
CN1636089A (zh) 2005-07-06
WO2001088244A3 (en) 2002-06-13
TW579395B (en) 2004-03-11
ES2237568T3 (es) 2005-08-01
EP1283919A2 (en) 2003-02-19
CN100335701C (zh) 2007-09-05
JP3904928B2 (ja) 2007-04-11
DE60110408T2 (de) 2005-09-29
US20030140660A1 (en) 2003-07-31
US6619075B2 (en)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2876B2 (ja) タフティング機のためのステッチ分布制御システム
CN101148811B (zh) 一种制造提花枪刺簇绒产品的织机
US5899152A (en) Yarn feed system for a tufting machine
KR100540376B1 (ko)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생성장치
KR102226578B1 (ko) 횡편기
KR100777013B1 (ko) 급유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JP6108882B2 (ja) 横編機と横編機での編成方法
JPWO2004094712A1 (ja) 弾性糸使用の編成方法および装置
US5758518A (en) Method of forming transit yarn fastening portion
JP6141557B1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ガイド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方法
US20050183466A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KR101387960B1 (ko) 횡편기에 의한 편성방법 및 편성데이터의 편집장치
CN102677382A (zh) 具有分段压针及嵌入式提花结构的电脑针织圆机
DE10136045B4 (de) Sticknähmaschine
KR101378725B1 (ko) 횡편기
CN101798728B (zh) 缝纫机和线张力设定方法
CN114127353B (zh) 簇绒机
KR20100040798A (ko) 사출 성형기의 성형 조건 파형의 묘화 설정 방법
EP3460112B1 (de) Verfahren zum einarbeiten einer kettenwirkmaschine und kettenwirkmaschine
US2395817A (en) Knitting machine
JP2000336563A (ja) 横編み機における編成方法
DE10007482A1 (de) Tufting-Verfahren und Tufting-Maschine
GB2303224A (en) A knitted garment produc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