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725B1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725B1
KR101378725B1 KR1020070101303A KR20070101303A KR101378725B1 KR 101378725 B1 KR101378725 B1 KR 101378725B1 KR 1020070101303 A KR1020070101303 A KR 1020070101303A KR 20070101303 A KR20070101303 A KR 20070101303A KR 101378725 B1 KR101378725 B1 KR 101378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needle
racking
knitting machine
needl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078A (ko
Inventor
히로카즈 니시타니
요시히로 우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3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래킹 가능한 횡편기에서 래킹시에 선침을 하여 편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침장치 및 횡편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캐리지13의 위치는, 횡편기11에 니들베드1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니들 실렉션 게이지11a의 요철을, 캐리지17에 탑재되는 위치센서18로 검출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산출된다. 니들베드12는, 래킹 기구19에 의하여,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의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0은, 래킹 기구19를 제어할 때에 래킹에 의하여 변화되는 니들베드12의 횡편기11에 대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횡편기11에 대한 캐리지13의 위치와 래킹으로 횡편기11에 대하여 변화되는 니들베드12의 위치를 조합하면, 래킹에 의한 니들베드12의 캐리지13에 대한 위치변화가 구해지고,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16을 제어하여 선침을 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캐리지(carriage)에 탑재하는 캠기구(cam 機構)에 의하여 편침(編針)을 구동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침을 선택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편침을 나란하게 설치하고, 캐리지를 길이방향으로 왕복 주행시켜서, 캐리지에 탑재하는 캠기구에 의하여 편침을 구동하여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다.
캠기구에 의하여 구동되는 편침의 편성동작에는, 니트(knit), 턱(tuck) 및 미스(miss)의 기본적인 3종의 동작이 포함된다. 편침이 편성동작을 하는 니들베드갭에서, 전후의 니들베드를 대향시켜서, 전후의 니들베드의 편침 사이에서의 코이동이나 전후의 니들베드의 상대적인 이동인 래킹을 가능하게 하면, 다채로운 편성조직(編成組織)을 편성할 수 있다. 캐리지를 니들베드에 대하여 주행시키면서 개개의 편침을 미리 입력된 편 성 데이터에 따라서 편성 구동하기 위해서, 캐리지에는 선침기구(選針機構)도 탑재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선침기구에는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needle selection actuator)가 구비되고, 편침의 선택은 니들베드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캐리지의 주행 중의 위치는, 니들베드에 대하여 직접 검출하는 것은 아니고, 특허문헌1의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횡편기의 프레임에 니들베드와 평행하게 별도로 설치하는 니들 실렉션 게이지(needle selection gauge)로부터 센서로 검출하고 있다. 니들 실렉션 게이지는, 금속판에 편침의 피치와 동등한 요철(凹凸)이 새겨져서, 니들 실렉션 게이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자기 센서(磁器 sensor)로서, 이동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캐리지의 위치를 알면 캐리지에 탑재되는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의 위치도 산출할 수 있고, 각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를 편침의 위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선침을 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캐리지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래킹을 하여 니들베드를 이동시켜도, 센서로 주행 중의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선침에 반영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선침은 캐리지의 주행 중에 하고, 래킹은 캐리지의 정지 중에 하도록, 선침과 래킹을 나누어서 하도록 하고 있다.
캐리지의 주행 스트로크(stroke)에 대해서는, 캐리지의 이동을 최적화하여 스티치의 형성에 필요한 최소의 이동행정(移動行程)으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장치를 가지는 횡편기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 허문헌2 참조). 특허문헌2에서는, 캐리지 위치, 캐리지 이동방향 및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면서, 편성포 폭, 니들베드 이동, 현재 만들어야 할 스티치열, 다음의 스티치열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한다. 최적화 회로에 포함되는 마이크로세서는, 편침 선택장치가 스티치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편침을 작동시키면서, 편성포 폭에 대하여 최소의 캐리지 이동행정을 만들어 내는 출력신호를 캐리지 구동 전동기에 공급한다. 다만 니들베드 이동을, 최소의 캐리지 이동행정에 어떻게 반영시킬지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래킹을 하는 경우는, 이동의 범위 외까지 캐리지를 이동시켜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1 : 재표2003-091490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특허 제2627522호 공보
특허문헌1, 2와 같은 횡편기에서는, 횡편기에 대하여 검출되는 캐리지의 위치에 의거하여 선침을 한다. 이러한 선침장치에서는, 선침에 래킹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래킹은 캐리지의 정지 중에 이루어지고 있다. 선침과 래킹을 나누어서 하면, 선침을 하는 캐리지의 주행 중에 래킹의 영향에 대응하는 추가의 처리도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캐리지의 주행 스트로크가 커져서 편성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래킹 가능한 횡편기에서 선침을 래킹시에 하여, 편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을 따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왕복 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하는 캠기구에 의하여 편침을 구동하고, 니들베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래킹도 가능한 횡편기로서,
횡편기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를, 횡편기의 프레임에 니들베드와 평행하게 고정하는 니들 실렉션 게이지에 의하여 검출하는 캐리지 위치 검출수단과,
래킹의 제어를 하는 래킹 제어수단과,
횡편기에 대한 니들베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니들베드 위치 검출수단과,
니들베드 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횡편기에 대한 니들베드의 위치 및 캐리지 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횡편기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에 의거하여 니들베드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수단과,
위치산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되는 니들베드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에 의거하여 래킹에 의한 니들베드의 이동 중에, 편침의 선택을 하도록 제어하는 선침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래킹 제어수단은, 래킹을, 상기 래킹 전의 편성코스에서 상기 캐리지가 편성단부를 빠져서 정지하고 나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래킹 제어수단은, 래킹을, 상기 캐리지가 주행 중에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편기에 대한 캐리지 및 니들베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니들베드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를 산출한다. 산출된 니들베드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에 의거하여 래킹에 의한 니들베드의 이동 중에 편침에 대한 선택을 하므로, 래킹시의 니들베드와 캐리지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여 선침을 효율적으로 하여 편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를 정지시키고 하는 래킹시에 선침을 할 수 있다. 캐리지의 정지위치를, 편성포의 편성폭으로부터 래킹의 이동폭 이상 떨어뜨릴 필요는 없어지고, 캐리지의 주행 스트로크를 감소시켜서 편성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의 이동 중에 래킹을 하여도, 래킹 의 영향을 포함한 위치정보에 의거한 선침을 할 수 있다. 래킹을 캐리지의 주행 중의 편성동작에 포함시켜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성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예에 관한 횡편기11의 개략적인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횡편기11에서는, 니들베드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캐리지13이 왕복 주행하여 편성포14의 편성을 할 수 있다. 캐리지13에는 각각 1 또는 복수조의 캠기구15가 탑재되고, 캠기구15의 주행방향의 전후에는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16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캐리지13에는,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16으로 선침을 하기 전에 각 편침을 초기상태로 되돌리는 복귀캠17도 설치된다. 횡편기11에 니들베드1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니들 실렉션 게이지11a의 요철을, 캐리지13에 탑재되는 캐리지 위치 검출수단으로서의 위치센서18이 검출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캐리지13의 위치가 산출된다. 이러한 니들 실렉션 게이지11a와 위치센서18에 의한 위치검출의 구성은, 특허문헌1의 도2에 개시되어 있다. 니들베드12는, 래킹 기구19에 의하여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의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횡편기11의 캐리지13이나 래킹 기구19의 제어는 컨트롤러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1에서는, 캐리지13이 주행방향을 반전(反轉)할 때에, 일단 정지하여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캐리지13은 편성포14의 편성폭의 우측에 위치에 정지하여 있다. 편성포14의 우측 단부(端部)와 캐리지13의 좌측 단부의 사이에 래킹에 의한 이동 폭만큼의 간격을 둘 필요는 없다. 캐리지13을 정지한 채로 니들베드12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래킹을 하는 때에는, 니들베드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캐리지13이 좌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캐리지13이 주행방향을 반전하여 좌측으로 이동을 시작할 때에 하는 선침을 선행하여 한다.
선침을 하기 위해서는, 래킹시에도, 캐리지13의 위치를 니들베드12에 대하여 검출할 필요가 있다. 캐리지13을 정지시키고 래킹을 하면, 위치센서18이 검출하는 위치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컨트롤러20은, 래킹 기구19를 제어할 때에 래킹에 의하여 변화된 니들베드12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센서18이 검출하는 횡편기11에 대한 캐리지13의 위치와 래킹 중에 횡편기11에 대하여 변화되는 니들베드12의 위치를 조합하면, 래킹에 의한 니들베드12의 캐리지13에 대한 위치 변화가 구해지고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16을 제어하여 선침을 하게 할 수 있다.
도2는, 래킹시의 선침동작을 포함하는 횡편기11의 편성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스텝a0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스텝a1에서는 일반편성을 한다. 일반편성은 래킹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위치센서18에 의하여 검출되 는 주행 중의 캐리지13의 위치의 변화에 의거하여 선침을 한다. 스텝a2에서는, 편성하는 편성포14의 단부(端部)에서 캐리지13을 정지시킨다. 스텝a3에서는, 편성종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편성종료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a4에서 래킹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래킹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s5에서 래킹을 한다. 래킹 중에 선침동작이 가능하면 래킹 및 선침을 한다. 스텝a5의 래킹 및 선침이 종료하든지 스텝a4에서 래킹이 없다고 판단될 때에는, 스텝a6에서 캐리지13의 반전주행을 시작하고 스텝a1로 되돌아간다. 스텝a3에서 편성종료라고 판단할 때에는, 스텝a7에서 종단처리(終端處理)를 하는 동시에 편성동작을 종료한다.
도3은, 래킹을 캐리지13의 주행 중에 하는 횡편기11의 편성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스텝b0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고, 스텝b1에서는 일반편성을 한다. 스텝b2에서는, 일반편성 중에 래킹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래킹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b3에서 래킹을 한다. 래킹 중에 선침동작이 가능하면 선침을 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위치센서18로 캐리지13의 위치를 횡편기11에 대하여 검출한다. 래킹 기구19에 의한 래킹 중의 횡편기11에 대한 니들베드12의 위치를 검출하여 캐리지13의 위치와 조합하면, 래킹의 방향이 캐리지13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이거나 반대 방향이어도, 마찬가지로 니들베드12에 대한 캐리지13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스텝b3의 래킹 및 선침이 종료하든지 스텝b2에서 래킹이 없다고 판단될 때에는, 스텝b4에서, 편 성하는 편성포14의 단부에서 캐리지13을 정지시킨다. 스텝b5에서는, 편성종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편성종료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b6에서 캐리지13의 반전주행을 시작하고 스텝b1로 되돌아간다. 스텝b5에서 편성종료라고 판단할 때에는, 스텝b7에서 종단처리를 하는 동시에 편성동작을 종료한다.
도4는 도1의 횡편기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횡편기11에서는, 전후의 각 니들베드12에 대하여 각각 캐리지1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 캐리지 제어부(前 carriage 制御部)21과 후 캐리지 제어부(後 carriage 制御部)22로 각각 제어한다. 각 니들베드의 캐리지13에 있어서 횡편기11의 프레임에 대한 위치는, 도1에 나타내는 니들 실렉션 게이지11a에 편침의 피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요철이나 명암의 줄무늬 등을 자기적(磁氣的) 또는 광학적(光學的)으로 검출하는 위치센서18의 출력에 의거하여, 캐리지 위치 2상신호 검출부(carriage 位置 2相信號 檢出部)23이 검출한다. 전후의 니들베드12의 래킹에 의한 이동은, 횡편기11의 프레임에 대한 니들베드12의 위치로서, 니들베드 위치 검출수단으로서의 전 래킹 인코더(前 racking encoder)24 및 후 래킹 인코더(後 racking encoder)25로 각각 검출한다. 도1의 래킹 기구의 구동을 스텝핑 모터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래킹에 의한 니들베드12의 이동을 인코더로 직접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래킹의 구동을 수행하는 출력신호의 펄스 수 등으로부터 이동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12의 캐리지13의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16은, 전 액추에이터 ON/OFF 출력부26 및 후 액추에이터 ON/OFF 출력부27이 각각 구동한다.
전 캐리지 제어부21과 후 캐리지 제어부22의 내부는, 기본적으로 동등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 캐리지 제어부21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후 캐리지 제어부22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전 캐리지 제어부21에는, 소프트웨어 처리부30으로서, 단위변환부31, 캐리지 속도산출부32, 속도보정부33 및 선침 데이터 기억부(needle selection data 記憶部)34가 포함된다. 하드웨어 처리부40으로서는, 캐리지 위치 카운터41, 가산기42, 출력위치 판정기43 및 액추에이터 ON/OFF 설정기44가 포함된다.
선침 데이터 기억부34에 기억되는 선침 데이터는, 니들베드12 전체에 대한 것이 된다. 이 선침 데이터는, 횡편기11의 편성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CPU50으로부터 출력된다.
CPU50은, 편성포 데이터 기억부51 및 편성기 파라미터 기억부5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합하여 편성 데이터53으로서 입력하고, 편성코스 마다 선침 데이터를 출력한다. 편성포 데이터 기억부51에는, 편성해야 할 편성포의 형상이나 모양, 사용하는 편사 등에 관한 데이터가 미리 작성되어서 기억된다. 편성 파라미터 기억부52에는, 횡편기11에서 편성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파라미터가 기억된다. CPU50이 출력하는 코스 마다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캐리지 구동부54가 캐리지13을 구동하는 방향, 속도, 주행범위를 제어한다. 구동에 의하여 변화되는 캐리지13의 위치는 위치센서18에 의하여 검출된다. 전후의 니들베드12의 래킹의 이동은, CPU50이 출력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래킹 구동부55가 전후의 래킹 기구19를 각각 구동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동의 결과는, 전후의 니들베드12의 위치로서, 전 래킹 인코더24 및 후 래킹 인코더25로 각각 검출된다.
전후의 니들베드12에 대한 캐리지13의 위치는, 가산기42의 출력으로서 CPU50에 입력된다. 단위변환부31, 캐리지 속도산출부32, 속도보정부33, 캐리지 위치 카운터41 및 가산기42는, 니들베드12에 대한 캐리지13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CPU50은, 니들베드12에 대한 캐리지13의 위치에 의거하여 래킹에 의한 니들베드12의 이동 중에 편침의 선택을 하도록 제어하는 선침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예에 관한 횡편기11의 개략적인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의 횡편기11에서, 캐리지를 편성포의 편성단부에 정지시키고 나서 래킹을 하는 경우의 선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3은 도1의 횡편기11에서, 캐리지의 주행 중에 래킹을 하는 경우의 선침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4는 도1의 횡편기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횡편기(橫編機)
11a 니들 실렉션 게이지(needle selection gauge)
12 니들베드(needle bed)
13, 13a, 13b 캐리지(carriage)
14 편성포
16, 16a, 16b, 16c, 16d 니들 실렉션 액츄에이터(needle selection actuator)
18 위치센서
19 래킹 기구
20 컨트롤러
23 캐리지 위치 2상신호 검출부(carriage 位置 2相信號 檢出部)
24 전 래킹 인코더(前 racking encoder)
25 후 래킹 인코더(後 racking encoder)
26 전 액추에이터 ON/OFF 출력부(前 actuator ON/OFF 出力部)
27 후 액추에이터 ON/OFF 출력부(後 actuator ON/OFF 出力部)
34 선침 데이터 기억부(needle selection data 記憶部)
50 CPU
51 편성포 데이터 기억부
53 편성 데이터

Claims (3)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따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왕복 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하는 캠기구(cam 機構)에 의하여 편침(編針)을 구동하고, 니들베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래킹(racking)도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로서,
    횡편기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를, 횡편기의 프레임에 니들베드와 평행하게 고정하는 니들 실렉션 게이지(needle selection gauge)에 의하여 검출하는 캐리지 위치 검출수단과,
    래킹의 제어를 하는 래킹 제어수단과,
    횡편기에 대한 니들베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니들베드 위치 검출수단과,
    니들베드 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횡편기에 대한 니들베드의 위치 및 캐리지 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횡편기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에 의거하여 니들베드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수단과,
    위치산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되는 니들베드에 대한 캐리지의 위치에 의거하여 래킹에 의한 니들베드의 이동 중에, 편침의 선택을 하도록 제어하는 선침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킹 제어수단은, 래킹을, 상기 래킹 전의 편성코스에서 상기 캐리지가 편성단부(編成端部)를 빠져서 정지하고 나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킹 제어수단은, 래킹을, 상기 캐리지가 주행 중에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20070101303A 2006-10-11 2007-10-09 횡편기 KR101378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8048A JP5079298B2 (ja) 2006-10-11 2006-10-11 横編機
JPJP-P-2006-00278048 2006-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78A KR20080033078A (ko) 2008-04-16
KR101378725B1 true KR101378725B1 (ko) 2014-03-27

Family

ID=3918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303A KR101378725B1 (ko) 2006-10-11 2007-10-09 횡편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79298B2 (ko)
KR (1) KR101378725B1 (ko)
CN (1) CN101161892B (ko)
DE (1) DE102007048863B4 (ko)
IT (1) ITTO20070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8723B2 (ja) * 2011-09-09 2015-12-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編成方法及び編成データの編集装置
CN103541139B (zh) * 2013-11-01 2015-01-07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针织横机的机头感测片
CN108109219A (zh) * 2017-11-20 2018-06-01 福建睿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的生产考核方法、系统、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1048A (en) * 1979-12-17 1981-07-23 Shima Idea Center Racking apparatus of traverse knitting machine
JPS5823942A (ja) * 1981-08-05 1983-02-12 巽精機株式会社 成形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横メリヤス編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5449A (en) * 1979-12-10 1981-07-11 Shima Idea Center Yarn guide lever moving control apparatus in traverse knitting machine
DD248615B1 (de) * 1984-12-27 1990-10-10 Textima Veb 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strickmaschinen
DE3614220C1 (de) * 1986-04-26 1987-10-01 Stoll & Co H Steuermagnetanordnung fuer eine Mustervorrichtung an Strickmaschinen zur elektrisch gesteuerten Nadelauswahl
DE3707178A1 (de) * 1986-09-10 1988-03-24 Stoll & Co H Einrichtung zur ansteuerung einer flachstrickmaschine
DE3707174A1 (de) * 1986-09-10 1988-03-24 Stoll & Co H Einrichtung zur ansteuerung einer flachstrickmaschine
DE3702050A1 (de) * 1987-01-24 1988-08-04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mit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DE19756055A1 (de) * 1997-12-17 1999-06-24 Stoll & Co 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TW548358B (en) * 2000-08-22 2003-08-21 Shima Seiki Mfg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US6968715B2 (en) * 2002-04-23 2005-11-29 Shima Seiki Mfg., Ltd. Magnetic needle selecting device of weft knit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1048A (en) * 1979-12-17 1981-07-23 Shima Idea Center Racking apparatus of traverse knitting machine
JPS5823942A (ja) * 1981-08-05 1983-02-12 巽精機株式会社 成形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横メリヤス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78A (ko) 2008-04-16
CN101161892A (zh) 2008-04-16
ITTO20070709A1 (it) 2008-04-12
DE102007048863A1 (de) 2008-04-17
DE102007048863B4 (de) 2020-09-03
JP2008095235A (ja) 2008-04-24
CN101161892B (zh) 2011-07-13
JP5079298B2 (ja)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238B1 (ko) 인타샤 패턴의 편성방법과 편성포, 니트 디자인 장치및 편성 프로그램
KR101378725B1 (ko) 횡편기
EP1548163B1 (en) Yarn feeding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
JP2015089474A (ja) ミシン
KR101569011B1 (ko) 횡편기와 횡편기에서의 편성방법
JP5161108B2 (ja) 選針方法および横編機
US11286595B2 (en) Control method of pattern loading for high speed double needle bar warp knitting machine
JP4526956B2 (ja) ミシン
CN1664208B (zh) 一种纺织机器和它的控制方法
CN100459409C (zh) 步进电机的驱动控制装置及缝纫机
WO2009116419A1 (ja) 横編機及び横編機のラッキングを用いた編成方法
JP2006169675A (ja) 横編機の給糸装置
US5862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edle driving motors in a knitting machine
JP2011083455A (ja) ミシン
JP4965960B2 (ja) タンデム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JP5827945B2 (ja) 直線運動機械に供給される糸長を自動的に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EP1668176B1 (en) Improved knitting machines and methods of knitting
KR102102337B1 (ko) 횡편기를 통해 다양한 두께를 갖는 3차원 직물을 편직하는 방법
CN108179535B (zh) 电脑横机及其编织方法、具有存储功能的装置
KR102323156B1 (ko)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KR102323158B1 (ko)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KR102323161B1 (ko)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JP2020133009A (ja) 歯口隙間の大きさが変更可能な横編機構造
JPH08127947A (ja) 編み機における編み針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