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192A -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192A
KR20020092192A KR1020020029749A KR20020029749A KR20020092192A KR 20020092192 A KR20020092192 A KR 20020092192A KR 1020020029749 A KR1020020029749 A KR 1020020029749A KR 20020029749 A KR20020029749 A KR 20020029749A KR 20020092192 A KR20020092192 A KR 20020092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nector
side connector
engaging portion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135B1 (ko
Inventor
노리타케세이이치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9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모터측과 외부장치 측과의 접속작업을 저가로 또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터(13)내에 배치된 모터 보빈(13c)의 권선용 접속단자(13f)를 어떠한 부재를 통하지 않고 외부측 장치측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속시키는 모터측 결합부(22a) 및 외부측 결합부(22b)를 구비한 모터측 커넥터(20)를 이용함으로써 모터측과 외부장치측과의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모터{CONNECTOR APPARATUS FOR MOTOR AND MOTOR}
본 발명은 외부장치측 커넥터와 모터측 커넥터를 연결시키도록 한 모터용 커넥터장치 및 이 모터용 커넥터장치를 이용한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에서는 모터보빈에 감긴 구동코일(권선)의 단부가 핀형상을 이루는 권선용 접속단자에 대해 납땜됨과 동시에 이 권선용 접속단자가 기판측에 대해 마찬가지로 납땜에 의해 접속되며 또한 그 기판측에서 뻗어나오는 비닐선이콘트롤러 등의 외부장치 측까지 둘러 쳐진다. 그리고 그 모터측에서 뻗어나오는 비닐선의 연출단에는 모터측 커넥터가 배치되고 이 모터측 커넥터는 상기 외부장치측 커넥터에 감합됨으로써 모터의 권선용 접속단자에 대해 외부장치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행해진다.
그러나 이와같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모터용 커넥터장치에서는 상술과 같은 대부분의 부품이 사용되는 것으로 부품관리나 생산성이 양호하지 않은 데다 납땜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환경도 양호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저가이면서 양호하게 커넥터의 접속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이 모터용 커넥터 장치를 이용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모터용 커넥터 장치의 모터측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측 커넥터 장치를 냉장고의 모터식 댐퍼장치의 구동부에 이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모터식 댐퍼장치의 구동부의 종단면 설명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모터식 댐퍼장치를 이용한 냉장고의 일 예를 나타낸 종단면 설명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서는 모터측 커넥터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여러개의 접속부재와, 이들 여러개의 접속부재를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의 연재방향의 일단측에는 상기 권선용 접속단자가 감합하는 모터측 결합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이 접속부재의 연재방향의 타단측에는 상기 외부장치측 커넥터가 감합하는 외부측 결합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청구항 1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장치에 의하면모터보빈의 권선용 접속단자가 어떠한 부재를 통하지 않고 모터측 커넥터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속되게 되고, 최소의 부품구성으로 효율적으로 접속작업이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서는 상기 청구항 1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의 홀더가 모터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이 모터케이스에 대해 감착되는 것으로 상기 청구항 1의 작용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가 모터와 일체적으로 적절히 취급된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서는 상기 청구항 1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의 각 접속부재가 상기 모터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본체연설부를 갖고, 이 본체 연설부의 연재방향에서의 양단부분에 상기 모터측 결합부 및 외부측 결합부가 서로 이간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측 결합부 및 외부측 결합부는 상기 모터의 축방향으로 이간하도록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재의 외부측 결합부에 대한 외부장치측 커넥터의 착탈방향이 상기 모터측 결합부에 대한 상기 권선용 접속단자의 착탈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청구항 3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의 작용에 덧붙여 외부측 결합부에 대해 외부장치측 커넥터를 착탈시켰을 때 그 외부장치측 커넥터의 착탈에 의한 부하가 모터측 결합부와 권선용 접속단자와의 접속부분에 대해 직접적으로 걸리는 경우가 없다.
또 청구항 4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서는 상기 청구항 3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의 각 접속부재는 상기 본체 연설부의 연재방향을 향해 봤을 때의 단면형상이 상기 모터측 결합부와 외부측 결합부를 잇도록 되 접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청구항 3의 작용에 덧붙여 소형의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재에 의해 모터측 커넥터의 강성이 효율적으로 향상되게 되고 상기 청구항 3의 작용이 소형의 장치로 실현되게 된다.
또 청구항 5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서는 청구항 4에 덧붙여 모터측 결합부는 상기 본체 연설부의 되 접힌 형상의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측 결합부의 대향면 사이에 상기 권선용 접속단자가 탄성적으로 협지되는 형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본체 연설부의 되 접힌 형상을 이용하여 모터측 결합부가 효율적으로 형성되게 되며 상기 청구항 4의 작용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청구항 6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서는 청구항 1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가 모터에 대해 일체의 유닛화된 상태로 감합되는 것으로 모터측 커넥터를 부착하는 작업이 간략화 또는 생략된다.
또 청구항 7에 관한 모터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다음 본 발명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이 모터용 커넥터 장치를 이용한 모터를 냉장고에 사용되는 댐퍼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하는 본 발명을 적용한 냉장고(1) 전체는 냉동실(2)과, 냉장실(3)과, 야채실(4)로 구분되고 상기 냉동실(2)의 저부에 에바포레이터(5)가 배치된다. 그 에바포레이터(5)의 후부에는 팬모터(6)가 배치되고 얻어진 냉기를 상술한 냉동실(2), 냉장실(3) 및 야채실(4)로 송풍순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에바포레이터(5)와 냉장실(3) 사이에는 간막이판(7)이 배치되어 상기 에바포레이터(5)의 냉기가 냉장실(3)에 직접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한편 이 간막이판(7)의 후부와 냉장고(1)의 후부 내벽 사이에는 냉기유통로(8)가 형성되고, 그 냉기유통로(8)의 야채실(4)을 지나는 부분에 모터식 댐퍼장치(10)가 끼워져 들어간다. 즉 상기 모터식 댐퍼장치(10)가 냉기유통로(8)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끼워지고, 그 모터식 댐퍼장치(10) 자체가 냉기유통로(8)를 겸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 모터식 댐퍼장치(10)는 상기 냉장실(3)의 배면부에도 설치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모터식 댐퍼장치(10)를 2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모터식 댐퍼장치(10)는 냉장실(3)과 야채실(4)의 양쪽에 설치하지 않고 어느 한쪽에만 설치해도 좋으며 덧붙여 냉동실(2)용으로 부착해도 좋고, 또는 전 실에 각각 부착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 모터식 댐퍼장치(10)에 배치된 구동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동부는 2장의 배플(11a)(11b)을 구동하는 것이 되며, 수지제의 케이스(12)와, 이 케이스(12)내에 고정배치된 쌍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원으로서의 스텝핑모터(13)와, 그 스텝핑모터(13)의 회전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치차열(14)과, 스텝핑모터(13)의 회전을 배플(11a)(11b)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로서의 구동차(15)로 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체(12)의 개구부분에는 덮개모양 부재(12)가 피복된다.
여기서 상술한 스텝핑모터(13)에 있어서는 대략 원통모양을 이루는 모터케이스(13a)의 내부에 구동코일(권선)(13b)이 감겨진 한쌍의 모터보빈(13c)(13c)이 장착됨과 동시에 그것들의 모터보빈(13c)(13c)의 내측에는 회전축(13d)과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13e)가 배치된다.
또 상기 각 모터보빈(13c)에 장착된 구동코일(권선)(13b)의 단면 부분은 상기 모터케이스(13a)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된 여러개의 권선용 접속단자(13f)의 근본부분에 권회되도록 하여 접속되고, 그것들 여러개의 권선용 접속단자(13f)에 대해 후술과 같이 직접적으로 접속된 모터측 커넥터(20)가 상기 모터케이스(13a)에 대해 감착되도록 하여 부착된다. 또한 이 모터측 커넥터(20)에는 도시를 생략한 외부 콘트롤러에서 뻗어나오는 배선 선단부분에 배치된 외부장치측 커넥터가 결합하도록 하여 접속된다.
상기 모터측 커넥터(20)는 평면에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홀더(21)내에 여러개의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재(22)를 열(列)모양으로 구비하고, 그것들의 각 접속부재(22)는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상기 수지제 홀더(21)내에 매설된다. 이 수지제 홀더(21)에 배치된 결합 다리부(21a)는 상기 모터케이스(13a)의 일부를 절개하도록 하여 형성된 계지부(13g)의 테두리부에 감합된다. 이와같이 하여 모터케이스(13a)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부착된 상기 모터측 커넥터(20)의 수지제 홀더(21)는 상술한 댐퍼장치의 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제 케이스체(12)의 측벽면에 형성된 오목부(12a)에 대해 모터의 축방향을 따라 삽입함으로써 장착된다.
또 상기 모터측 커넥터(20)에 배치된 접속부재(22)는 특히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이 되며, 그 접속부재(22)의 일단측(도 1의 하단측)에는 상기 모터측의 권선용 접속단자(13f)가 삽입·감합되는 모터측 결합부(22a)에 배치된다. 또 그 접속부재(22)의 타단측(도 1의 상단측)에는 상술한 외부장치측 커넥터(도시생략)가 감합되는 외부측 결합부(22b)가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접속부재(22)는 상기 스텝핑 모터(13)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가늘고 긴 모양의 본체 연설부(22c)를 가지며, 그 본체 연설부(22c)의 연재방향(도 1의 상하방향)에서의 양단부분에 상술한 모터측 결합부(22a) 및 외부측 결합부(22b)가 모터축의 방향(도 1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본체 연설부(22c)를 그 연재방향 즉 상기 모터측 결합부(22a) 및 외부측 결합부(22b)의 이간방향을 향해 봤을 때의 단면형상은 상기 모터측 결합부(22a)와 외부측 결합부(22b)를 잇도록 대략 U자모양으로 되 접힌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 U자형상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에 상술한 모터측 결합부(22a) 및 외부측 결합부(22b)가 각각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모터측 결합부(22a)는 상기 본체 연설부(22c)가 되 접힌 U자의 평행부분에 상당하는 한쌍의 본체 연설부(22c)(22c)끼리를 서로 대략 평행하게 근접배치시킴으로써 형성되며 그 모터측 결합부(22a)를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대향면 사이에 획성(劃成)된 협소간극내에 상술한 스텝핑모터(13)측의 권선용 접속단자(13f)가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협지되게 된다. 즉 상술한 모터측 결합부(22a)를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본체 연설부(22c)(22c)의 각각은 서로 분리하여 별개로 형성된 한쪽으로 드는 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측 커넥터(20)에서의 도 1상연부분에서 동 도면 하측을 향해 가늘고 긴모양으로 직하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즉 상기 양 본체 연설부(22c)(22)의 각각이 서로 분리된 별개의 가요성 부재로서 배치됨으로써 상술한 모터측 결합부(22a)에서의 탄성이 양호하게 확보된 구성이 된다.
또 상기 외부측 결합부(22b)는 상기 본체 연설부(22c)의 도 1상단측에서의 대략 U자모양의 일측 테두리에서 도 1의 아래쪽을 향해 가늘고 긴모양으로 뻗어나오는 단자부(22b1)를 갖고 있으며 그 단자부(22b1)에 대해 상술한 외부장치측 커넥터(도시생략)가 감합되게 된다. 즉 이 외부측 결합부(22b)에 대한 외부장치측 커넥터의 착탈방향(상하방향)은 상기 모터측 결합부(22a)에 대한 권선용 접속단자(13f)의 착탈방향(수평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장치에 의하면 모터보빈(13b)의 권선용 접속단자(13f)가 어떠한 부재를 통하지 않고 모터측 커넥터(20)의 모터측 결합부(22a)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접속작업이 행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모터측 커넥터(20)가 모터케이스(13a)의 계지부(13g)에 감합되어 이 모터케이스(13a)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부착되는 것으로 모터측 커넥터(20)가 모터와 일체로 효율적으로 취급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모터측 커넥터(20)의 외부결합부(22b)에 대한 외부장치측 커넥터의 착탈방향이 모터측 커넥터(20)의 모터측 결합부(22a)에 대한 권선용 접속단자(13f)의 착탈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측 결합부(22b)에 대해 외부장치측 커넥터를 착탈시켰을 때 그 외부장치측 커넥터의 착탈에 의한 부하가 모터측 결합부(22a)와 권선용 접속단자(13f)와의 접속부분에 대해 직접적으로 걸리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모터측 커넥터(20)에서의 접속부재(22)의 연재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이 모터측 결합부(22a)와 외부측 결합부(22b)를 잇도록 되 접힌 대략 U자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형의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재(22)에 의해 모터측 커넥터(20)의 전체의 강성이 효율적으로 향상되게 되고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모터측 커넥터(20)의 접속부재(22)에서의 본체 연설부(22c)의 대략 U자모양으로 되접힌 대향형상을 이용하고, 모터측 결합부(22a)가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모터측 커넥터(20)의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모터측 커넥터(20)를 스텝핑 모터(13)측과 일체의 유닛화한 상태로 감합하여 취급하도록 형성해 두면 모터측 커넥터(20)를 부착하는 작업을 간략화 또는 생략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행해진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상술한 실시예는 냉장고의 댐퍼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 외 여러 종류 다양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장치는 모터보빈의 권선용 접속단자를 어떠한 부재를 통하지 않고 외부측 장치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속시키는 모터측 결합부를 구비한 모터측 커넥터에 의해 모터측과 외부장치측과의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모터측과 외부장치측과의 접속작업을 간단한 구조이며 저가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장치는 상기 청구항 1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를 모터케이스의 계지부에 감합시키고, 이 모터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부착함으로써 모터측 커넥터를 모터와 일체로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상술한 청구항 1에 관한 효과에 덧붙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는 상기 청구항 1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의 외부측 결합부에 대한 외부장치측 커넥터의 착탈방향을, 모터측 결합부에 대한 권선용 접속단자의 착탈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외부측 결합부에 대해 외부장치측 커넥터를 착탈시켰을 때 그 외부장치측 커넥터의 착탈에 의한 부하가 모터측 결합부와 권선용 접속단자와의 접속부분에 대해 직접적으로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청구항 1에 관한 효과에 덧붙여 커넥터의 접속작업을 더욱 더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장치는 상기 청구항 3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에서의 본체 연설부의 연재방향으로 봤을 때의 단면형상을, 모터측 결합부와 외부측 결합부를 잇도록 되 접힌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모터측 커넥터의 강성을 소형형상으로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청구항 3에 관한 효과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는 상기 청구항 4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에서의 본체 연설부의 되 접힌 형상을 이용하여 모터측 결합부를 형성하고, 모터측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청구항 4에 관한 효과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의 생산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관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는 청구항 1에 덧붙여 모터측 커넥터를 모터에 대해 일체의 유닛화한 상태로 감합하고, 모터측 커넥터를 부착하는 작업을 간략화 또는 생략화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효과에 덧붙여 모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외부장치측 커넥터와 모터측 커넥터를 연결시킴으로써 모터내에 배치된 모터보빈의 권선용 접속단자에 대해 상기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커넥터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여러개의 접속부재와, 이들 여러개의 접속부재를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의 연재방향의 일단측에는 상기 권선용 접속단자가 감합하는 모터측 결합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이 접속부재의 연재방향의 타단측에는 상기 외부장치측 커넥터가 감합하는 외부측 결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커넥터의 홀더는 모터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이 모터케이스에 대해 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커넥터의 각 접속부재는 상기 모터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하게연재하는 본체연설부를 갖고,
    이 본체 연설부의 연재방향에서의 양단부분에 상기 모터측 결합부 및 외부측 결합부가 서로 이간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재의 외부측 결합부에 대한 외부장치측 커넥터의 착탈방향이 상기 모터측 결합부에 대한 상기 권선용 접속단자의 착탈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커넥터의 각 접속부재는 상기 본체 연설부의 연재방향을 향해 봤을 때의 단면형상이 상기 모터측 결합부와 외부측 결합부를 잇도록 되 접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결합부는 상기 본체 연설부의 되 접힌 형상의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측 결합부의 대향면 사이에 상기 권선용 접속단자가 탄성적으로 협지되는 형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커넥터는 모터에 대해 일체의 유닛화된 상태로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커넥터 장치.
  7. 제 1항에 기재한 모터용 커넥터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20029749A 2001-06-01 2002-05-29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모터 KR100905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67388A JP3914719B2 (ja) 2001-06-01 2001-06-01 モータ用コネクタ装置
JPJP-P-2001-00167388 2001-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192A true KR20020092192A (ko) 2002-12-11
KR100905135B1 KR100905135B1 (ko) 2009-06-29

Family

ID=1900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749A KR100905135B1 (ko) 2001-06-01 2002-05-29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72915B2 (ko)
JP (1) JP3914719B2 (ko)
KR (1) KR100905135B1 (ko)
CN (1) CN12608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1987B2 (ja) * 2002-06-13 2007-09-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
JP2008133974A (ja) * 2006-11-27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ンパー装置
JP2013122344A (ja) * 2011-12-12 2013-06-20 Panasonic Corp ダンパー装置および物品貯蔵装置
JP5989466B2 (ja) * 2012-09-05 2016-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5989467B2 (ja) * 2012-09-05 2016-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DE102013211968A1 (de) * 2013-06-25 2015-01-0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insbesondere Elektromo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8103A (en) * 1977-09-15 1978-10-03 Amp Incorporated Double-ended connecting device
US4557544A (en) * 1984-12-17 1985-12-10 Amp Incorporated Terminal for connecting a lead wire to a coil wire
FR2671439B1 (fr) * 1990-11-21 1994-10-21 Jidosha Denki Kogyo Kk Petit moteur electrique comportant un connecteur d'alimentation en energie.
KR950007351Y1 (ko) * 1992-06-11 1995-09-07 정몽원 파워윈도우 모타의 전원공급 연결장치
JP3096003B2 (ja) * 1996-05-21 2000-10-10 株式会社東富士製作所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200159354Y1 (ko) * 1996-12-30 1999-10-15 배길성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JP2001085116A (ja) * 1999-09-17 2001-03-30 Texas Instr Japan Ltd 端子金具
US6296513B1 (en) * 2000-05-17 2001-10-02 Tyco Electronics Amp, K.K.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t least two wires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9965A (zh) 2003-01-08
KR100905135B1 (ko) 2009-06-29
JP2002359034A (ja) 2002-12-13
US20020182944A1 (en) 2002-12-05
US6672915B2 (en) 2004-01-06
CN1260871C (zh) 2006-06-21
JP3914719B2 (ja)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4089B2 (ja) 電動オイルポンプ
US6104110A (en) Electrical noise suppressor for direct current motor
US10938269B2 (en) Motor with stress absorbing portions
EP2808982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with integrated driving apparatus
KR101935283B1 (ko) 전동식 압축기용 인버터 어셈블리
US11777359B2 (en) Electric work machine
KR20200087728A (ko) 전기 단자들의 플러그-인 접속을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 압축기 구동 장치
KR100905135B1 (ko)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모터
WO2018088304A1 (ja) コンデンサユニット、電動圧縮機
KR20200059878A (ko) 전동식 압축기
US10958136B2 (en) Drive apparatus
WO2018088317A1 (ja) コンデンサユニット、電動圧縮機
KR20190124556A (ko) 전동기 구동장치
US20230302622A1 (en) Electric work machine
US20220200389A1 (en) Battery pack, power tool system, and charging system
US20190078588A1 (en) Blower device
WO2019198517A1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JP2009100598A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WO2019198514A1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KR20040003411A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JP7281641B2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電動オイルポンプ
KR20010098000A (ko) 스타터의 브러시커버
JP3810761B2 (ja) 圧縮機用モータ保護装置のクラスタブロック
US20230344318A1 (en) Integrated high speed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US1199080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