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354Y1 -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354Y1
KR200159354Y1 KR2019960063699U KR19960063699U KR200159354Y1 KR 200159354 Y1 KR200159354 Y1 KR 200159354Y1 KR 2019960063699 U KR2019960063699 U KR 2019960063699U KR 19960063699 U KR19960063699 U KR 19960063699U KR 200159354 Y1 KR200159354 Y1 KR 200159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bobbin
terminal
connec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528U (ko
Inventor
문희철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60063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35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05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5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130)의 체결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빈(110) 및 커넥터하우징(140)의 일측에 록킹수단(1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빈(110) 및 커넥터하우징(140)의 일측에 록킹수단(100)을 형성함에 따라 단자(120) 및 커넥터(130)의 체결력을 보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록킹수단(100)에 의해 커넥터하우징(140)을 항상 일방향으로만 조립함으로써, 커넥터(130)가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본 고안은 전력을 받아서 기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회로용 코일선을 감는 보빈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커넥터가 구비된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는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빈(10)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측에 코일선이 감기는 코일감김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감김부(11)의 일측에는 단자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결합부(12)의 일측에는 전극을 접속시키는 동체 접속용 이음쇠인 단자(20)가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다.
종래의 커넥터 하우징(30)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2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커넥터(40)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40)에는 전기를 통전시키는 전선(50)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하우징(30)의 커넥터(40)는 보빈(10)의 단자결합부(12)에 배설된 다수의 단자(20)에 외삽됨으로써, 전기적 회로를 결선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넥터 하우징(30)은 단순히 단자(20)에 커넥터(40)가 외삽되어 고정됨에 따라 쉽게 빠질 위험성이 있고, 또한, 역방향으로 삽입하여 오조립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킴과 오조립 발생을 방지하는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모터용 보빈에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A를 따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화살표 B를 따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모터용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빈의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록킹수단 110 : 보빈
113 : 걸림홈 120 : 단자
130 : 커넥터 140 : 커넥터 하우징
141 : 걸림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는 전기 회로용 코일선을 감는 보빈과, 전극을 접속시키도록 상기 보빈의 일측에 배설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커넥터가 배설된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모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체결력을 크게함과 동시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빈 및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에 록킹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제5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회로용 코일선을 감는 보빈(110)이 있고, 상기 보빈(110)의 중앙측에 코일선이 감기는 코일감김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감김부(111)의 일측에는 단자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결합부(112)의 일측에는 전극을 접속시키는 동체 접속용 이음쇠인 단자(120)가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보빈(110)의 일측에는 상기 단자(12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커넥터(130)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설된 커넥터 하우징(140)이 있고, 커넥터 하우징(130)에는 전기를 통전시키는 전선(150)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빈(110) 및 커넥터 하우징(140)의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130) 및 단자(120)의 체결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40)이 항상 일방향으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록킹수단(1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킹수단(10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4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41)과, 상기 걸림턱(141)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보빈(1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1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립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보빈(110)의 단자결합부(112)에 다수의 단자(120)를 결합시키고, 상기 단자결합부(112)에 다수의 커넥터(130)가 구비된 커넥터 하우징(140)을 덮어 상기 커넥터(130)를 단자(120)에 외삽한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14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41)을 상기 보빈(1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113)에 내삽시켜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보빈(110) 및 커넥터 하우징(140)은 걸림턱(141)을 걸림홈(113)에 삽입시켜 고정함에 따라 커넥터(130)가 단자(120)에 견고하게 외삽되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넥터 하우징(140)이 항상 일방향으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130)의 오삽입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보빈 및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에 록킹수단을 형성함에 따라 단자 및 커넥터의 체결력을 보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이 항상 일방향으로만 조립함으로써, 커넥터가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전기 회로용 코일선을 감는 보빈과, 전극을 접속시키도록 상기 보빈의 일측에 배설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커넥터가 배설된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모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30)의 체결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빈(110) 및 커넥터 하우징(140)의 일측에 록킹수단(1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10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4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41)과, 상기 걸림턱(141)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보빈(1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1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KR2019960063699U 1996-12-30 1996-12-30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KR200159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699U KR200159354Y1 (ko) 1996-12-30 1996-12-30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699U KR200159354Y1 (ko) 1996-12-30 1996-12-30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528U KR19980050528U (ko) 1998-10-07
KR200159354Y1 true KR200159354Y1 (ko) 1999-10-15

Family

ID=1948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699U KR200159354Y1 (ko) 1996-12-30 1996-12-30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3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135B1 (ko) * 2001-06-01 2009-06-29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모터
KR101060965B1 (ko) 2009-07-17 2011-09-02 현담산업 주식회사 다양한 커넥팅 구조가 가능한 3상 모터의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3상 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135B1 (ko) * 2001-06-01 2009-06-29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용 커넥터 장치 및 모터
KR101060965B1 (ko) 2009-07-17 2011-09-02 현담산업 주식회사 다양한 커넥팅 구조가 가능한 3상 모터의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3상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528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31119A (ja) 電線処理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EP0837542B1 (en) Connector assembly for the windings of a stator of an electric motor
US5382855A (en) Electric drive motor with interchangeably-mounted connector
KR200159354Y1 (ko) 모터용 보빈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장치
KR20150028966A (ko) 차량 장치용 상호 연결 조립체 및 상호 연결 방법
US6414580B1 (en) Electrical noise suppressing device for motors
JP2623438B2 (ja) コイル線材とリード線の接続構造
US6030258A (en) Electrical connector
US5724018A (en) Device with four-legged coil
JPH0851019A (ja) 電装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US20070105449A1 (en) Contact holding structure of connector
CN213027665U (zh) 三相线接线座
JP3313074B2 (ja) 変換コネクタ
JP4249844B2 (ja) 電流接触線のための入口給電装置
KR100752714B1 (ko) 교육용 리드선의 연결장치
KR0122235Y1 (ko) 모터의 마그네틱 와이어와 터미널 단자의 접속구조
KR200159355Y1 (ko) 모터용 보빈의 단자 고정장치
CN212783952U (zh) 信号焊线型插座结构
KR0123551Y1 (ko) 모우터의 브러쉬용 터미날 단자구조
KR10059182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200404084Y1 (ko) 교육용 리드선의 연결구조
KR100568073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JP3454694B2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0245406Y1 (ko) 모터의 커넥터 구조
JPH0992400A (ja) 自動車用リレーコネクタおよび該リレーコネクタ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