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097A - 산업용 차량 - Google Patents

산업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097A
KR20020091097A KR1020027011009A KR20027011009A KR20020091097A KR 20020091097 A KR20020091097 A KR 20020091097A KR 1020027011009 A KR1020027011009 A KR 1020027011009A KR 20027011009 A KR20027011009 A KR 20027011009A KR 20020091097 A KR20020091097 A KR 20020091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ain
link
accelerator pedal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191B1 (ko
Inventor
우에다쥰
오오에노리히로
기쿠치에이이치
Original Assignee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50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84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78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532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95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3341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213Interconn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34Accel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와 좌우회전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4) 및 고정수단(14)에 의한 좌석위치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수단(28)이 포크리프트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수단(14)은, 차체측에 고정된 고정판(15)과, 좌석(4)에 설치된 결합레버(25)로 구성되고, 고정판(15)에, 전방으로 향한 위치(A)와 좌우 회전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제3노치부(17, 18, 19)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레버(25)는, 제1∼제3노치부(17, 18, 19)에 대하여 결합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고정해제수단(28)에 의해 제1∼제3노치부(17, 18, 19)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산업용 차량{INDUSTRIAL VEHICLE}
종래, 포크리프트에서는, 좌석에 앉은 조작자가 후방을 향한 운전자세로 포크리프트를 후진주행시켜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것에 대해서, 상기 좌석은 전방을 향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진주행시, 상기 조작자는 상반신을 180°가까이 뒤로 뒤튼 무리한 자세로 포크리프트를 운전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작자의 피로가 증가하고, 후방의 시야도 확보하기 어려웠다. 또한, 좌석에 대하여 좌우 한쪽방향에서 승강할 때, 승강성이 나빴다.
상기의 대책으로서, 도 32∼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140)의 좌석(141)이 전방을 향한 위치(A)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씩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포크리프트(140)를 전진주행시키는 경우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141)을 전방을 향한 위치(A)로 한 채로, 조작자(146)는 좌석(141)에 앉아서 전방을 향하여 운전한다. 또한, 포크리프트(140)를 후진주행시키는 경우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141)을 전방을 향한 위치(A)로부터 오른쪽으로 약45°의 우회전위치(R)까지 회전시킴으로써, 포크리프트(146)의 후방을 향한 자세가 편안하게 되고, 피로경감이나 후방시야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141)을 왼쪽을 향한 위치(A)로부터 좌방향으로 약35°의 좌회전위치(L)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좌석(141)에 대하여 좌측방향에서 승강할 때의 승강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석(141)은,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의 엔진을 덮고 있는 보닛(142)에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보닛(142)이 설치되어 있는 곳은 운전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운전부에는 핸들이나 각종 조작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146)는, 좌석(141)에 앉은 상태로, 핸들이나 각종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하역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때, 조작자(146)는, 하역작업의 내용이나 순서를 기재한 서류(143)(예컨대, 입출고 전표 등)를 보면서, 상기 핸들이나 각종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비해서, 좌석(141)의 한쪽방향의 보닛(142)의 외면에, 상기 서류(143)를 끼우는 홀더(14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146)는, 서류(143)를 홀더(143)에 끼워서, 이 서류(143)를 보면서 하역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서류(143)는 홀더(143)에 의해 보닛(142)상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서류(143)가 보닛(142)상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성의 포크리프트(140)에 의하면, 주행 중 등에 있어서, 좌석(141)이 용의하지 않게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속페달(145)이 좌석(141)의 전방우측에 1곳 설치되어 있고, 도 32에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146)가 전방으로 향한 위치(A)의 좌석(141)에 앉아 있는 경우에는, 가속페달(145)을 통상대로 오른발로 조작할 수 있지만,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위치(R)의 좌석(141)에 앉아 있는 경우에는, 가속페달(145)을 오른발로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때, 가속페달(145)을 왼발로 조작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조작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144)는 보닛(14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144)의 위치는 좌석(141)에 앉은 조작자(146)의 손의 위치로부터 상당히 아래쪽으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좌석(141)에 앉은 상태로, 서류(143)를 홀더(144)로부터 착탈하는 경우, 조작자(146)는 상반신을 구부린 자세로 홀더(144)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작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좌석(141)에 앉은 조작자의 눈높이로부터 홀더(144)까지의 거리(고저 차)가 멀기 때문에, 서류(143)를 보기 어렵다는 문제도 생겼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좌석이 용의하지 않게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좌석을 전방으로 향하는 위치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한 경우에 있어서도, 가속페달을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좌석에 앉은 상태로, 서류홀더에 대한 서류의 부착분리가 용이하게 행해지고, 또한, 서류홀더에 부착된 서류가 조작자로부터 보기 쉬운 산업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포크리프트와 같이 전후주행을 행하는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고정수단과 고정해제수단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고정수단과 고정해제수단의 평면도이고, 좌석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고정수단과 고정해제수단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우회전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고정수단과 고정해제수단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좌회전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고정수단과 고정해제수단의 일부 확대평면도,
도 6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배면도,
도 7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측면도,
도 8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평면도,
도 9는, 동 산업용 차량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동 산업용 차량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우회전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동 산업용 차량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좌회전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업용 차량의 가속페달의 연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3은, 동 산업용 차량의 가속페달의 연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도,
도 14는, 동 산업용 차량의 주 가속페달을 밟은 경우의 연동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동 산업용 차량의 부 가속페달을 밟은 경우의 연동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업용 차량의 가속페달의 연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X-X선을 따른 도면,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Y-Y선을 따른 도면,
도 19는, 도 16에 있어서의 Z-Z선을 따른 도면,
도 20은, 동 산업용 차량의 주 가속페달을 밟은 경우의 연동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동 산업용 차량의 부 가속페달을 밟은 경우의 연동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평면도,
도 23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우측면도,
도 24는,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배면도,
도 25는,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사시도,
도 26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암 레스트로부터 받침대를 분리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암 레스트에 장착된 받침대의 우측면도,
도 28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암 레스트에 장착된 받침대의 일부 잘라낸 정면도,
도 29는,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암 레스트의 피삽입구멍에 받침대의 삽입프레임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0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암 레스트의 평면도,
도 31은, 동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암 레스트의 우측면도(도 9에서의 X-X선을 따른 도면),
도 32는, 종래예의 산업용 차량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종래예의 산업용 차량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우회전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종래예의 산업용 차량의 평면도이고, 좌석을 좌회전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종래예의 산업용 차량의 좌석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산업용 차량은, 차체에, 세로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좌석이 설치되고, 상기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와,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부터 소정각도 회전한 회전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좌석위치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산업용 차량을 전진주행시키는 경우,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 하고,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차량을 후진주행시키거나 또는 좌석에 대하여 승강할 경우, 고정해제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향한 위치에 있어서의 좌석의 고정을 해제하고, 좌석을 회전위치까지 회전하고, 그후,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와 회전위치에 각각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좌석이 용의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산업용 차량은, 차체에 설치된 운전부에, 좌석이 전방으로 향한 위치에 대하여 적어도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운전부에, 전방으로 향한 위치에 있는 좌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주 가속페달과,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부터 소정각도 회전한 회전위치에 있는 좌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부 가속페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산업용 차량을 전진주행시키는 경우는,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 한 채로, 조작자는 좌석에 앉아서 전방을 향해서 운전한다. 이때, 조작자는 주 가속페달을 조작한다.
또한, 산업용 차량을 후진주행시키는 경우는,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부터 회전위치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조작자의 후방으로 향한 자세가 편안하게 되고, 피로경감이나 후방시야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조작자는 부 가속페달을 조작한다.
이와 같이 가속페달을 2곳에 설치하고, 이 중 주 가속페달이 전방으로 향한 위치의 좌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진주행시, 조작자가 주 가속페달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부 가속페달이 회전위치의 좌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진주행시에 있어서도, 조작자는 부 가속페달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산업용 차량은, 차체의 운전부에 좌석이 설치되고, 상기 좌석의 일측부에 암 레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암 레스트에, 서류홀더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서류홀더를 흡착하는 흡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서류홀더를 받침대상에 탑재함으로써, 서류홀더가 흡착수단에 의해 받침대에 흡착된다. 이로써, 서류홀더가 받침대에 단단히 고정되고, 작업중에 받침대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없다. 그리고, 서류를 서류홀더에 끼워서 지지함으로써, 조작자는 좌석에 앉은 상태로 서류를 보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받침대는 암 레스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대상에 탑재된 서류홀더는 좌석의 한쪽측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서류홀더의 위치는 좌석에 앉은 조작자의 손의 위치로부터 가깝기 때문에, 조작자는, 상반신을 구부리지 않고, 서류홀더에 대한 서류의 부착분리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좌석에 앉은 조작자의 눈높이로부터 서류홀더까지의 거리(고저 차)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서류가 보기 쉽게 된다.
또한, 서류홀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서류홀더를 받침대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받침대를 암 레스트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받침대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도 1∼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산업용 차량의 일예인 포크리프트(1)의 평면도이고, 차체(2)의 운전부(3)에는 좌석(4)이나 핸들(49)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석(4)의 우측부에는, 좌석(4)에 앉은 조작자의 팔꿈치를 얹기 위한 암 레스트(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석(4)은, 착좌부(4a)와, 등받침부(4b)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석(4)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8)이 설치되고, 이 하부프레임(8)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상의 회전축(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3)의 바닥(10)에는 원통형상의 고정축수부재(11)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9)이 고정축수부재(11)에 위쪽에서 수평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이로써, 상기 좌석(4)은, 회전축(9)과 고정축수부재(11)를 지나는 세로축심(7)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석(4)은, 고정수단(14)에 의해, 전방으로 향한 위치(A)(도 9 참조)와,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소정각도(약 45°)만큼 오른쪽으로 회전한 우회전위치(R)(도 10 참조)와,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소정각도(약 35°)만큼 왼쪽으로 회전한 좌회전위치(L)(도 11 참조)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14)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수부재(11)의 외주부에는 고정판(15)(고정부재의 일예)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판(15)의 외주부에는, 상기 전방으로 향한 위치(A)에 대응하는 제1노치부(17)(피결합부의 일예)와, 우회전위치(R)에 대응하는 제2노치부(18)(피결합부의 일예)와, 좌회전위치(L)에 대응하는 제3노치부(19)(피결합부의 일예)와, 우회전위치(R)에 대응하는 한쪽의 스토퍼면(21)과, 좌회전위치(L)에 대응하는 다른 쪽의 스토퍼면(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8)에는, 세로축(24)을 중심으로 해서 수평 요동 가능한 결합레버(25)(결합부재의 일예)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레버(25)의 요동에 의해, 결합레버(25)의 일단이 상기 제1 내지 제3노치부(17, 18, 19)에 대하여 결합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레버(25)의 타단과 하부프레임(8)의 사이에는 인장코일스프링(26)(가압수단의 일예)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레버(25)는, 인장코일스프링(26)에 의해, 결합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상기 결합레버(25)는, 고정해제수단(28)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노치부(17, 18, 19)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고정해제수단(28)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암 레스트(5)에는, 세로축(29)을 중심으로 해서 전후방향으로 수평회전 가능한 고정해제용의 조작레버(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30)의 일단은 암 레스트(5)로부터 좌석(4)의 우측부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30)의 타단과 결합레버(25)의 타단은, 풀 케이블(pull cable)(31)(연결기구의 일예)로 연동연결되어 있다.
상기 풀 케이블(31)은, 일단이 암 레스트(5)내의 고정프레임(33)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이 하부프레임(8)의 고정프레임(34)에 접속되어 있는 피복튜브(35)와, 이 피복튜브(35)내에 삽입통과되어 안내되는 와이어(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8)에는 각형상의 부착프레임(38)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부착프레임(38)에는, 우회전위치(R)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스토퍼면(21)에 접촉하는 한쪽의 스토퍼부재(39)와, 좌회전위치(L)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스토퍼면(22)에 접촉하는 다른 쪽의 스토퍼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8)의 네모서리에는 각각 롤러(42)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각 롤러(42)는, 상기 바닥(10)상에 지지되고, 좌석(4)의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 레스트(5)에는, 포크(43)를 승강시키는 승강용 레버(44)나 마스트(45)를 전후로 경사지게 하는 경사용 레버(46)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3)에는, 전방으로 향한 위치(A)에 대응하는 주 가속페달(47)과, 우회전위치(R)에 대응하는 부 가속페달(48)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포크리프트(1)를 전진주행시키는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에 있다. 이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레버(25)의 일단이 제1노치부(17)에 결합함으로써, 좌석(4)은 전방으로 향한 위치(A)에 고정된다. 좌석(4)에 앉은 조작자(146)는 주 가속페달(47)을 밟음으로써, 포크리프트(1)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포크리프트(1)를 후진주행시키는 경우, 조작자(146)는, 조작레버(30)의 일단을 잡아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30)를 전방전환위치(B)로부터 후방전환위치(C)까지 회전시킨다. 이로써, 결합레버(25)의 타단이 풀 케이블(31)의 와이어(36)에 의해 인장되고, 결합레버(25)가 한쪽으로 요동하여, 결합레버(25)의 일단이 제1노치부(17)로부터 분리하기 때문에, 전방으로 향한 위치(A)에서의 좌석(4)의 고정이 해제되고, 좌석(4)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로, 조작자(14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에 앉은 채로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우회전위치(R)까지 회전시킨다. 이때, 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회전위치(R)에 있어서, 한쪽의 스토퍼부재(39)가 한쪽의 스토퍼면(21)에 접촉하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좌석(4)은, 우회전위치(R)까지 회전한 시점에서 정확하게 정지하고, 우회전위치(R)를 지나쳐 가는 일이 없다. 그리고, 조작자(146)가 손에서 후방전환위치(C)의 조작레버(30)의 일단을 놓으면, 인장코일스프링(26)의 가압력(인장력)에 의해 결합레버(25)가 다른 쪽으로 요동하고, 결합레버(25)의 일단이 제2노치부(18)에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30)가 풀 케이블(31)로 인장되어 후방전환위치(C)로부터 전방전환위치(B)로 복귀한다. 이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이 우회전위치(R)에 고정되고, 조작자(146)의 후방으로 향한 자세가 편안해지고, 피로경감이나 후방시야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때, 조작자(146)는 부 가속페달(48)을 밟음으로써, 포크리프트(1)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좌석(4)에 대하여 왼쪽에서 승강하는 경우, 조작자(146)는, 조작레버(30)의 일단을 잡아서, 조작레버(30)를 전방전환위치(B)로부터 후방전환위치(C)까지 회전시킨다. 이로써, 결합레버(25)의 타단이 풀 케이블(31)의 와이어(36)에 의해 인장되고, 결합레버(25)가 한쪽으로 요동하여, 결합레버(25)의 일단이 제2노치부(18)로부터 분리하기 때문에, 우회전위치(R)에서의 좌석(4)의 고정이 해제되고, 좌석(4)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로, 조작자(14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에 앉은 채로 좌석(4)을 좌회전위치(L)까지 회전시킨다. 이때, 도 5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회전위치(L)에 있어서, 다른 쪽의 스토퍼부재(40)가 다른 쪽의 스토퍼면(22)에 접촉하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은, 좌회전위치(L)까지 회전한 시점에서 정확하게 정지하고, 좌회전위치(L)를 지나쳐가는 일이 없다. 그리고, 조작자(146)가 손에서 후방전환위치(C)의 조작레버(30)의 일단을 놓으면, 인장코일스프링(26)의 가압력(인장력)에 의해 결합레버(25)가 다른 쪽으로 요동하고, 결합레버(25)의 일단이 제3노치부(19)에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30)가 풀 케이블(31)로 인장되어 후방전환위치(C)로부터 전방전환위치(B)로 복귀한다. 이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이 좌회전위치(L)에 고정되고, 조작자(146)의 승강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조작자(146)가, 조작레버(30)를 전방전환위치(B)로부터 후방전환위치(C)까지 회전하여, 좌석(4)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까지 회전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30)를 전방전환위치(B)로 복귀함으로써, 결합레버(25)의 일단이 제1노치부(17)에 결합하고, 좌석(4)이 전방으로 향한 위치(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와 우회전위치(B)와 좌회전위치(L)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좌석(4)이 용의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석(4)에 따른 하중은, 복수의 롤러(42)를 통하여 분산되어, 바닥(10)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체중이 무거운 조작자(146)가 좌석(4)에 앉더라도, 충분히 그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좌석(4)을 회전했을 경우, 각 롤러(42)는 바닥(10)상을 회전하기 때문에, 좌석(4)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고, 회전 중에 있어서도 충분히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소정각도(약 45°)만큼 오른쪽으로 회전한 위치를 우회전위치(R)로 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소정각도(약 35°)만큼 왼쪽으로 회전한 위치를 좌회전위치(L)으로 하고 있지만, 상기 각 소정각도는 35°나 4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30°나 60°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30)를 후방전환위치(C)로 전환한 후, 조작자(146)가 손에서 상기 조작레버(30)의 일단을 놓으면, 인장코일스프링(26)의 가압력(인장력)을 이용하여, 조작레버(30)가 풀 케이블(31)로 인장되어 후방전환위치(C)로부터 전방전환위치(B)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조작자(146)가 수동으로 조작레버(30)를 전방전환위치(B)로 복귀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결합레버(25)와 조작레버(30)를 풀 케이블(31)(연결기구의 일예)로 연동연결하고 있지만, 풀 케이블(3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링크기구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롤러(42)를 4개 설치하여 있지만,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일예로서 포크리프트(1)를 예시하였지만, 포크리프트(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도 9∼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 가속페달(47)은 전방으로 향한 위치(A)에서의 좌석(4)에 대하여 전방우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 가속페달(48)은 우회전위치(R)에서의 좌석(4)에 대하여 전방우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부 가속페달(48)을 밟았을 때, 상기 주 가속페달(47)이 연동기구(55)를 통하여 부 가속페달(48)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동기구(55)는, 주 가속페달(47)을 밟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또한 주 복귀스프링(5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주 가속링크(57)와, 부 가속페달(48)을 밟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또한 부 복귀스프링(5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부 가속링크(59)와, 상기 양 가속링크(57, 59) 사이에 접속된 풀 케이블(60)(연동 케이블의 일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 가속링크(57)는, 운전부(3)에 수평으로 설치된 주 지지축(61)에 끼워져 있고, 상하방향의 제1 및 제2암부(62, 63)와 위쪽으로 기울어진 제3암부(6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암부(62)에 설치된 주 부착축(65)의 선단에는, 상기 주 가속페달(47)의 이면측에 접촉하는 회전 가능한 주 지지롤러(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 복귀스프링(56)은 상기 주 지지축(61)에 끼워져 있고, 또한, 상기 풀 케이블(60)의 일단이 상기 제2암부(63)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차체(2)에 설치된 엔진(66)의 스로틀밸브(67)는, 스로틀용 풀 케이블(68)(스로틀 케이블의 일예)을 통하여, 제3암부(64)에 연동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 가속링크(59)는, 연결부(3)에 수평으로 설치된 부 지지축(69)에 끼워져 있고, 위쪽을 향한 제1암부(70)와 위쪽으로 기울어진 제2암부(71)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암부(70)에 설치된 부 부착축(72)의 선단에는, 상기 부 가속페달(48)의 이면측에 접촉하는 회전 가능한 부 지지롤러(7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 복귀스프링(58)은 상기 부 지지축(69)에 끼워져 있고, 또한, 상기 풀 케이블(60)의 타단이 상기 제2암부(71)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풀 케이블(60)은, 고정된 외피부재의 내부에 와이어를 통한 구성을 가지며, 잡아당길 때만 상기 와이어를 통하여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 지지롤러(54, 73)가 연결부(3)의 바닥(10)의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그 이외의 부재는 바닥(10)의 아래쪽에 수납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포크리프트(1)를 전진주행시키는 경우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 한 채로, 조작자(146)는 좌석(4)에 앉아서 전방으로 향해 운전한다. 이때, 조작자(146)는 오른발로 주 가속페달(47)을 조작한다.
또한, 포크리프트(1)를 후진주행시키는 경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우회전위치(R)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왼손으로 핸들을 조작하면서, 조작자(146)의 후방으로 향한 자세가 편안하게 되고, 피로경감이나 후방시야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조작자(146)는 오른발로 부 가속페달(48)을 조작한다.
이와 같이 가속페달(47, 48)을 2곳에 설치하고, 이 중,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가속페달(47)이 전방으로 향한 위치(A)에 있는 좌석(4)에 대하여 전방우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진주행시, 조작자(146)는 주 가속페달(47)을오른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가속페달(48)이 우회전위치(R)에 있는 좌석(4)에 대하여 전방우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진주행시에 있어서도, 조작자(146)는 부 가속페달(48)을 오른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진주행시, 도 14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가속페달(47)을 밟은 경우, 주 가속링크(57) 주 복귀스프링(5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방향(D)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스로틀용 풀 케이블(68)이 인장되어서 스로틀밸브(67)가 개방된다.
또한, 주 가속페달(47)의 밟는 힘을 약하게 하거나 주 가속페달(47)로부터 오른발을 뗀 경우, 도 14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가속링크(57)가 주 복귀스프링(56)의 가압력에 의해 타방향(E)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스로틀밸브(67)가 폐쇄된다.
또한, 후진주행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가속페달(48)을 밟은 경우, 부 가속링크(59)가 부 복귀스프링(5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방향(D)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풀 케이블(60)이 인장되고, 이로써, 주 가속링크(57)도 주 복귀스프링(5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방향(D)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스로틀용 풀 케이블(68)이 인장되어 스로틀밸브(67)가 개방된다.
또한, 부 가속페달(48)의 밟는 힘을 약하게 하거나 부 가속페달(48)로부터 오른발을 뗀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가속링크(59)가 부 복귀스프링(58)의 가압력에 의해 타방향(E)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시에, 주 가속링크(57)도 주 복귀스프링(56)의 가압력에 의해 타방향(E)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스로틀밸브(67)가 폐쇄된다.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가속페달(48)을 밟은 경우, 부 가속링크(59)가 부 복귀스프링(5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방향(D)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주 가속링크(57)도 주 복귀스프링(5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방향(D)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부 가속페달(48)을 밟을 때에 있어서는, 상기 부 복귀스프링(58)(도 12 참조)의 가압력에 의한 저항과 상기 복귀스프링(56)(도 12 참조)의 가압력에 의한 저항을 합한 저항이 부 가속페달(48)에 작용되기 때문에, 큰 밟는 힘을 필요로 한다.
(제3실시형태)
이 점을 고려하여, 각 가속페달(47, 48)을 조작할 때의 밟는 힘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로 해서 도 16∼도 21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가속페달(47)과 부 가속페달(48)의 사이에는, 스로틀밸브(67)에 연동하는 연동기구(7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동기구(77)는, 주 가속페달(47)을 밟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또한 주 복귀스프링(7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주 가속링크(79)와, 부 가속페달(48)을 밟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또한 부 복귀스프링(8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부 가속링크(81)와, 상기 주 가속링크(79)와 동일 축심(82)상을 회전 가능한 한쪽 및 다른 쪽의 중간링크(83, 84)와, 상기 부 가속링크(81)와 다른쪽의 중간링크(84)의사이에 접속된 풀 케이블(85)(연동 케이블의 일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 가속링크(79)와 한쪽 및 다른 쪽의 중간링크(83, 84)와 주 복귀스프링(78)은, 운전부(3)에 수평으로 설치된 주 지지축(86)에 끼워져 있다.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 가속링크(79)의 유단부에는 주 부착축(87)과 주 결합편(주 결합부의 일예)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 부착축(87)의 선단에는, 주 가속페달(47)의 이면측에 접촉하는 회전 가능한 주 지지롤러(8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 결합편(88)은, 주 가속링크(79)가 일방향(D)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한쪽의 중간링크(83)의 일단부(83a)에 일방향(D)측으로부터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 가속링크(81)는, 운전부(3)에 수평으로 설치된 부 지지축(90)에 끼워져 있고, 위쪽으로 향한 제1암부(91)와 위쪽으로 기울어진 제2암부(9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암부(91)에 설치된 부 부착축(93)의 선단에는, 부 가속페달(48)의 이면측에 접촉하는 회전 가능한 부 지지롤러(9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 복귀스프링(80)은 상기 부 지지축(90)에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쪽의 중간링크(84)의 유단부에는 중간 결합편(95)(중간 결합부의 일예)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 결합편(95)은, 다른 쪽의 중간링크(84)가 일방향(D)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한쪽의 중간링크(83)의 타단부(83b)에 일방향(D)측으로부터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결합편(95)은 한쪽의 중간링크(83)의 타단부(83b)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주결합편(88)은 한쪽의 중간링크(83)의 일단부(83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풀 케이블(85)의 일단은 부 가속링크(81)의 제2암부(92)의 선단에 접속되고, 선단은 다른 쪽의 중간링크(84)의 유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로틀용 풀 케이블(68)(스로틀 케이블의 일예)의 일단이 상기 한쪽의 중간링크(83)의 일단부(83a)에 접속되고, 타단이 엔진(66)의 스로틀밸브(6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 지지롤러(89, 94)가 운전부(3)의 바닥(10)의 위쪽으로 돌출하여 있고, 그 이외의 부재는 바닥(10)의 아래쪽에 수납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진주행시, 도 17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가속페달(47)을 밟은 경우, 주 가속링크(79)가 주 복귀스프링(7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방향(D)으로 회전한다. 이때,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가속링크(79)의 주 결합편(88)이 한쪽의 중간링크(83)의 일단부(83a)에 일방향(D)측으로부터 결합하기 때문에, 한쪽의 중간링크(83)는 주 결합편(88)을 통하여 주 가속링크(79)와 함께 일방향(D)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스로틀용 풀 케이블(68)이 인장되어 스로틀밸브(67)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 가속링크(79)가 일방향(D)으로 회전하여, 주 결합편(88)이 한쪽의 중간링크(83)의 일단부(83a)에 결합하고 있는 경우, 다른 쪽의 중간링크(84)의 중간 결합편(95)은 한쪽의 중간링크(83)의 타단부(83b)에 대하여 이간하기 때문에, 상기 주 가속링크(79)와 한쪽의 중간링크(83)가 일방향(D)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 부 가속링크(81)와 다른 쪽의 중간링크(84)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 그대로 있다.
또한, 후진주행시, 도 19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가속페달(48)을 밟은 경우, 부 가속링크(81)가 부 복귀스프링(8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방향(D)으로 회전하고, 이 부 가속링크(81)에 의해 풀 케이블(85)이 인장되고, 이로써, 다른 쪽의 중간링크(84)가 부 가속링크(81)와 함께 일방향(D)으로 회전한다. 이때,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중간링크(84)의 중간 결합편(95)이 한쪽의 중간링크(83)의 타단부(83b)에 일방향(D)측에서 결합하기 때문에, 한쪽의 중간링크(83)는 중간 결합편(95)을 통하여 다른 쪽의 중간링크(84)와 함께 일방향(D)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스로틀용 풀 케이블(68)이 인장되어 스로틀밸브(67)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 가속링크(81)가 일방향(D)을 회전하여, 중간 결합편(95)이 한쪽의 중간링크(83)의 타단부(83b)에 결합하여 있는 경우, 주 가속링크(79)의 주 결합편(88)은 한쪽의 중간링크(83)의 일단부(83a)에 대하여 이간하기 때문에, 부 가속링크(81)와 한쪽의 중간링크(83)와 다른 쪽의 중간링크(84)가 일방향(D)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 주 가속링크(79)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 그대로 있다.
이와 같이, 주 가속페달(47)을 밟은 경우, 주 가속링크(79)는 일방향(D)으로 회전하지만 부 가속링크(81)는 회전하지 않고, 또한, 부 가속페달(48)을 밟은 경우, 부 가속링크(81)는 일방향(D)으로 회전하지만 주 가속링크(79)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로써, 주 가속페달(47)을 밟을 때, 주 복귀스프링(78)의 가압력에 의한 저항만이 주 가속페달(47)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주 복귀스프링(78)의 가압력에 대항한 밟는 힘으로 주 가속페달(47)을 밟을 수 있다. 또한, 부 가속페달(48)을 밟을 때, 부 복귀스프링(80)의 가압력에 의한 저항만이 부 가속페달(48)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부 복귀스프링(80)의 가압력에 대항한 밟는 힘으로 부 가속페달(48)을 밟을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 가속페달(48)을 조작할 때의 밟는 힘은 제2실시형태에 비하여 경감된다.
또한, 상기 제3실시형태에서는, 후진주행시에 부 가속페달(48)을 밟고 있지만, 전진주행시에 부 가속페달(48)을 밟는 것도 가능하다.
(제4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도 9∼도 11 및 도 22∼도 3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2)의 운전부(3)에는, 엔진(66)을 덮고 있는 보닛(1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닛(105)의 상면이 바닥(10)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석(4)을 회전했을 때, 암 레스트(5)는 좌석(4)과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도 22∼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레스트(5)의 우측면에는, 바인더(116)(서류홀더의 일예)를 지지하는 받침대(117)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바인더(116)는, 예컨대 입출고 전표 등의 서류(119)를 끼워서 유지하는것이고, 사각형 박판형상의 본체(116a)와, 이 본체(116a)의 상면에 설치되고 또한 서면(書面)(119)을 끼우는 끼움부재(116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금구(116b)는, 스프링 등에 의해, 서면(119)을 끼워서 붙이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117)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6∼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한쌍의 평판형상의 가로프레임(122)의 일단부에 각각, 평판형상으로 세로방향의 삽입프레임(123)(삽입부의 일예)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쪽 가로프레임(122)의 하면으로부터 양쪽 삽입프레임(123)의 측면에는, L형상의 보강판(1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쪽 가로프레임(122)의 타단부 사이는 평판형상의 상부 연결프레임(125)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양쪽 보강판(124)의 하단부 사이는 평판형상의 하부 연결프레임(126)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받침대(117)는, 암 레스트(5)의 우측면에 설치된 전후 한쌍의 부착용 브래킷(129)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들 양쪽 브래킷(129)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9∼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양쪽 브래킷(129)은 각각, 암 레스트(5)의 우측면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두어 대향하는 중앙 세로판부(130)와, 이 중앙 세로판부(130)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달아 설치되어 암 레스트(5)의 우측면에 붙여져 있는 단부 세로판부(131)에서, 평면으로 봐서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양쪽 브래킷(129)의 중앙 세로판부(130)와 암 레스트(5)의 우측면의 사이에는 피삽입구멍(132)(피삽입부의 일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세로판부(130)에는 상하방향의 노치부(133)가 형성되고, 이노치부(133)의 상부는 중앙 세로판부(130)의 상단면에 개방되어 있다.
도 27∼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17)의 양쪽 삽입프레임(123)의 하부는, 상기 양쪽 브래킷(129)의 피삽입구멍(132)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삽입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17)의 양쪽 보강판(124)의 하부는, 상기 양쪽 브래킷(129)의 노치부(133)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삽입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117)의 삽입프레임(123)과 하부 연결프레임(126)의 간격(F)은 브래킷(129)의 중앙 세로판부(130)의 두께(G) 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117)의 양쪽 가로프레임(122)의 상면과 상기 바인더(116)의 본체(116a)의 이면에는, 서로 착탈 가능한 면 패스너(135)(흡착수단의 일예)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면 패스너(135)는 파일을 이용한 착탈 가능한 테이프이다.
이하에, 상기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7∼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대(117)의 양쪽 삽입프레임(123)의 하부를 위쪽으로부터 양쪽 브래킷(129)의 피삽입구멍(132)으로 삽입함으로써, 받침대(117)가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암 레스트(5)의 우측면에 장착된다. 이때, 받침대(117)의 양쪽 보강판(124)의 하부는 위쪽으로부터 양쪽 브래킷(129)의 노치부(133)에 삽입되고, 양쪽 보강판(124)의 하부가 양쪽 노치부(133)의 저면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삽입프레임(123)의 피삽입구멍(132)으로의 삽입량이 규제된다.
그리고,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인더(116)를 받침대(117)의 앙쪽 가로프레임(122)상에 탑재함으로써, 바인더(116)측의 면 패스너(135)와 받침대(117)측의 면 패스너(135)가 서로 흡착하기 때문에, 바인더(116)가 받침대(117)상에 단단히 고정되고, 작업중에, 받침대(117)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하역작업의 내용이나 순서를 기재한 서면(119)을 바인더(116)에 끼워서 유지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146)는 좌석(4)에 안은 상태로 서면(119)을 보면서 작업이 행해진다. 이때, 받침대(117)는 암 레스트(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대(117)상에 탑재된 바인더(16)는 좌석(4)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바인더(116)의 위치는 좌석(4)에 앉은 조작자(146)의 손의 위치로부터 가깝기 때문에, 조작자(146)는 상반신을 구부리지 않고, 바인더(116)에 대한 서면(119)의 부착분리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좌석(4)에 앉은 조작자(146)의 눈높이로부터 바인더(116)까지의 거리(고저 차)가 축소하기 때문에, 서면(119)이 보기 쉽게 된다.
또한, 포크리프트(1)를 후진주행시키는 경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146)는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우회전위치(R)까지 회전시킨다. 이로써, 좌석(4)에 앉은 조작자(146)의 후방으로 향한 자세가 편안하게 되고, 피로경감이나 후방시야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좌회전위치(L)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조작자(146)가 좌석(4)에 대하여 왼쪽으로부터 승강할 때의 승강성이 향상한다.
상기와 같이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좌우로 회전시킨 경우, 좌석(4)과 함께 받침대(117)도 회전한다. 따라서, 조작자(146)가 좌석(4)에 앉아서, 좌석(4)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A)로부터 우회전위치(R)나 좌회전위치(L)로 회전한 경우라도, 바인더(116)에 끼워진 서면(119)이 보기 쉽고, 또한, 바인더(116)에 대한 서면(119)의 부착분리도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대(117)를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양쪽 삽입프레임(123)의 하부가 양쪽 피삽입구멍(132)으로부터 위쪽으로 분리되는 동시에, 양쪽 보강판(124)의 하부가 양쪽 노치부(133)로부터 위쪽으로 분리된다. 이로써, 받침대(117)를 암 레스트(5)로부터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고, 받침대(117)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상기 제4실시형태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대(117)를 좌석(4)의 오른쪽에 설치하여 있지만, 왼쪽에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제4실시형태에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대(117)의 삽입프레임(123)을 전후 한쌍(2개) 설치하는 동시에 브래킷(129)을 전후 한쌍(2개) 설치하고 있지만, 상기 삽입프레임(123)을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는 동시에, 브래킷(129)을 상기 삽입프레임(123)과 같은 수 연달아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제4실시형태에서는, 흡착수단의 일예로서 면 패스너(135)를 사용하였지만, 자석테이프나 점착테이프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은, 좌석이 전방으로 향한 위치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포크리프트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체에, 세로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좌석이 설치되고,
    상기 좌석을, 전방으로 향한 위치와,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부터 소정각도 회전한 회전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이 고정수단에 의한 좌석위치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차체측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좌석에 설치된 결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전방으로 향한 위치와 회전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피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각 피결합부에 대하여 결합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가압수단에 의해 결합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동시에, 고정해제수단에 의해 피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해제수단은, 좌석의 한쪽측에 설치된 조작레버와, 이 조작레버와 결합부재를 연동연결하는 연결기구로 구성되고,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결합부재가 연결기구를 통하여 피결합부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좌석의 하부에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각 롤러는, 좌석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부 상에 지지되고, 좌석의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5. 차체에 설치된 운전부에, 좌석이 전방으로 향한 위치에 대하여 적어도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운전부에, 전방으로 향한 위치에 있는 좌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주 가속페달과, 전방으로 향한 위치로부터 소정각도 회전한 회전위치에 있는 좌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부 가속페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주 가속페달은 연동기구를 통하여 부 가속페달에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동기구는, 주 가속페달을 밟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또한 주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주 가속링크와, 부 가속페달을 밟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또한 부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부 가속링크와, 상기 양쪽 가속링크 사이에 접속된 연동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부 가속링크의 회전이 상기 연동케이블을 통하여 주 가속링크에 전달되고,
    스로틀밸브가 스로틀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주 가속링크에 연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주 가속페달과 부 가속페달의 사이에 연동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동기구는, 주 가속페달을 밟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또한 주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주 가속링크와, 부 가속페달을 밟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또한 부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부 가속링크와, 회전 가능한 한쪽 및 다른 쪽의 중간링크와, 상기 부 가속링크와 다른 쪽의 중간링크의 사이에 접속된 연동케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주 가속링크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한쪽의 중간링크에 결합하는 주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다른 쪽의 중간링크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한쪽의 중간링크에 결합하는 중간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주 결합부가 한쪽의 중간링크에 결합하고 있는 경우, 중간 결합부는 한쪽의 중간링크에 대하여 이간 가능하게 되고, 중간 결합부가 한쪽의 중간링크에 결합하고 있는 경우, 주 결합부는 한쪽의 중간링크에 대하여 이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 가속링크의 회전이 상기 연동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다른 쪽의 중간링크에 전달되며,
    스로틀밸브가 스로틀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한쪽의 중간링크에 연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8. 차체의 운전부에 좌석이 설치되고,
    상기 좌석의 한쪽측부에 암 레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암 레스트에, 서류홀더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서류홀더를 흡착하는 흡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좌석은 암 레스트와 일체로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암 레스트에 피삽입부가 형성되고,
    받침대에, 상기 피삽입부에 대하여 삽입 분리 가능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KR1020027011009A 2000-03-01 2000-06-14 산업용 차량 KR100655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5071A JP2001248461A (ja) 2000-03-01 2000-03-01 産業用車両
JPJP-P-2000-00055071 2000-03-01
JPJP-P-2000-00067883 2000-03-13
JP2000067883A JP2001253275A (ja) 2000-03-13 2000-03-13 車両の回転式座席装置
JPJP-P-2000-00069579 2000-03-14
JP2000069579A JP3973341B2 (ja) 2000-03-14 2000-03-14 産業用車両の座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097A true KR20020091097A (ko) 2002-12-05
KR100655191B1 KR100655191B1 (ko) 2006-12-08

Family

ID=2734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009A KR100655191B1 (ko) 2000-03-01 2000-06-14 산업용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5239B2 (ko)
EP (1) EP1260477A1 (ko)
KR (1) KR100655191B1 (ko)
CN (1) CN100355643C (ko)
TW (1) TW548213B (ko)
WO (1) WO20010645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6102B (en) 2002-12-13 2006-03-08 Linde Ag Fork lift truck with a swivelling seat
DE202004003047U1 (de) 2004-02-27 2004-06-17 Reichhardt, Andreas, Dipl.-Agr.-Ing. Konsole für eine an der Konsole befestigte Sitz- und Bedieneinheit eines Nutzfahrzeugs
US7121608B2 (en) * 2004-09-23 2006-10-1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Rotating and/or swiveling seat
US7059680B2 (en) * 2004-09-23 2006-06-1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eat repositioning device with release on control handle
US7520567B2 (en) * 2004-09-23 2009-04-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at repositioning
JP2007331593A (ja) * 2006-06-15 2007-12-27 Toyota Industries Corp 走行操作ペダル及び走行操作ペダルを備えた産業車両
US8392049B2 (en) 2006-07-17 2013-03-05 Nmhg Oregon, Llc Multi-direction vehicle control sensing
US7772969B2 (en) * 2007-04-19 2010-08-10 Prohaska Dean P Vehicle with always forward system
US8235161B2 (en) * 2007-07-06 2012-08-07 Nmhg Oregon, Llc Multiple-position steering control device
WO2010033956A1 (en) 2008-09-22 2010-03-25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wivel seat with adjustable swivel resistance
DE102010026383B4 (de) 2010-07-07 2022-06-30 Linde Material Handling Gmbh Mobil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Flurförderzeug, mit einem Dokumentenhalter
AU2012200739B2 (en) 2011-02-10 2014-11-06 Joy Global Underground Mining Llc Enclosed cab system for mining equipment
US8985263B2 (en) 2011-03-01 2015-03-24 Joy Mm Delaware, Inc. Seat module for a mining vehicle
AU2012258458B9 (en) 2011-12-01 2014-11-06 Joy Global Surface Mining Inc Cab module for a mining machine
USD667851S1 (en) 2011-12-01 2012-09-25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Cab module
WO2013116531A1 (en) * 2012-01-31 2013-08-08 Caterpillar Inc. Electro-mechanical seat swivel system
DE202014009101U1 (de) 2013-11-19 2015-02-09 Nacco Materials Handling Group, Inc. Rückwärts-Steuergriff für einen Stapler
JP5926869B1 (ja) * 2015-06-09 2016-05-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US9707865B1 (en) * 2016-05-04 2017-07-18 Deere & Company Operator seat swivel with arm release
US10076975B2 (en) * 2016-08-11 2018-09-18 Goodrich Corporation Brake release for aircraft seat
CN108237952B (zh) * 2016-12-26 2023-08-22 江苏卡威汽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油电混合汽车
CA3068564A1 (en) * 2017-06-28 2019-01-03 Gj Menard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to an operator a forward direction of travel of a machine
EP3450386A1 (en) * 2017-09-01 2019-03-06 Palfinger AG Forklift
US11427450B2 (en) * 2018-06-01 2022-08-30 Hyster-Yale Group, Inc. Lift truck having advantageous design elements
US11767207B2 (en) * 2021-04-12 2023-09-26 Hangcha Group Co., Ltd. Multi-dimensional adjustable forklift driv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3643A (en) * 1948-12-30 1952-04-22 Joy Mfg Co Switch control mechanism
CH523168A (de) * 1969-03-13 1972-05-31 Bungartz & Peschke Gmbh & Co K Mehrzweckfahrzeug
JPS4886248A (ko) * 1972-02-18 1973-11-14
NL7604010A (nl) * 1976-04-15 1977-10-18 Texas Industries Inc Trekker.
JPS6228508Y2 (ko) * 1980-07-28 1987-07-22
JPS6223299Y2 (ko) * 1981-06-09 1987-06-13
JPS5963072U (ja) * 1982-10-20 1984-04-25 株式会社クボタ 車「りよう」の操舵装置
JP2929338B2 (ja) * 1991-11-25 1999-08-03 株式会社タチエス 自動車用シートの転向装置
US5346035A (en) * 1993-01-04 1994-09-13 Nippon Yusen Kaisha Fork lift truck with rotatable seat and operator controls
JPH0752690A (ja) 1993-08-09 1995-02-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用ペダル装置
JPH0899800A (ja) * 1994-09-30 1996-04-16 Nippon Yusoki Co Ltd フオークリフトの油圧操作用入力装置
US5921340A (en) * 1996-03-21 1999-07-13 Linde Aktiengesellschaft Industrial truck with a swivelling driver's seat
JPH11208327A (ja) * 1998-01-28 1999-08-03 Tachi S Co Ltd 回転シート
US6679349B1 (en) * 2002-02-20 2004-01-20 Robert W. Pollish, Jr. Fork lif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7559A (zh) 2003-08-20
US6955239B2 (en) 2005-10-18
US20040211616A1 (en) 2004-10-28
WO2001064576A1 (fr) 2001-09-07
EP1260477A1 (en) 2002-11-27
KR100655191B1 (ko) 2006-12-08
CN100355643C (zh) 2007-12-19
TW548213B (en)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191B1 (ko) 산업용 차량
CN101636295A (zh) 可收纳式车辆用座椅的锁定结构
US20090273220A1 (en) Ottoman Device
KR20080080255A (ko) 트랙터
JP2020159757A (ja) 車両自動運転装置のペダルアクチュエータ
JP2003341399A (ja) 産業車両のシート装置
US4871137A (en) Seat lifting apparatus
EP0808740B1 (en) Seat lift mechanism in automotive vehicle
CN112046346A (zh) 座椅滑动支撑单元、座椅滑动支撑装置、座椅总成和车辆
US20010027904A1 (en) Lever apparatus
JP3761309B2 (ja) 跳上げシートのロック解除機構
JP3973341B2 (ja) 産業用車両の座席装置
KR200162101Y1 (ko) 자동차의 변속 조작기구 지지구조
JPH042581Y2 (ko)
KR102124331B1 (ko) 조종부 구조
WO2007136058A1 (ja) 作業車両
JPH0534032Y2 (ko)
KR100296698B1 (ko) 자동차용시트리클라이닝장치
JPH068917Y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S6325228Y2 (ko)
JP3462105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位置、姿勢可変装置
KR100192222B1 (ko) 자동차의 체인지레버 핸드레스트구조
JPS6213135Y2 (ko)
JP2006246859A (ja) 乗用田植機
JP2007314108A (ja)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のチル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