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900A - 잉크 장치 및 그 측면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잉크 장치 및 그 측면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900A
KR20020090900A KR1020020029445A KR20020029445A KR20020090900A KR 20020090900 A KR20020090900 A KR 20020090900A KR 1020020029445 A KR1020020029445 A KR 1020020029445A KR 20020029445 A KR20020029445 A KR 20020029445A KR 20020090900 A KR20020090900 A KR 20020090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oller
ink ejection
blad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578B1 (ko
Inventor
오우미야노부요시
마에자와히데유끼
마에다야스노부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18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inking selected parts of printing formes

Landscapes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장치는 잉크 분출 롤러와, 전방 단부가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에 밀접하게 위치되도록 위치 조절가능한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상기 잉크 분출 롤러와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협동하여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분출통을 형성하도록 아치형 전방 단부면이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기 위해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로부터 각각 직립 유지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장치에서 영구 자석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접촉하여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매립된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쌍은 잉크 분출 롤러의 축을 따라 잉크 분출 블레이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잉크 장치 및 그 측면 플레이트{Inking Apparatus and Side Plate Thereof}
본 발명은 윤전기와 같은 인쇄기에 사용되는 잉크 장치 및 잉크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측면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롤러가 제공되는 잉크 장치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막 형태의 잉크를 플레이트 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해 인쇄기에 합체된다. 이러한 잉크 장치는 잉크 분출 롤러, 잉크 분출 블레이드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분출통은 잉크 분출 롤러, 잉크 분출 블레이드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잉크 장치에서, 잉크 분출통에 저장되고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로 공급되는 잉크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균일한 두께를 갖는 막 형태로 만들어져 플레이트 실린더로 공급된다.
인쇄기에 합체되는 종래의 잉크 장치에서, 잉크 분출통은 인쇄기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인쇄 시트의 최대 폭에 맞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인쇄가 작은 폭의 인쇄 시트를 사용하여 수행될 경우에는, 잉크 분출 롤러로부터 플레이트 실린더까지 배열된 롤러들의 폭방향 대향 단부에 고착된 잉크는 사용되지 않고 그대로 남게 된다. 따라서, 롤러들의 폭방향 대향 단부에 고착된 잉크는 점차로 과잉 공급되는 상태가 되어,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롤러들의 대향 단부로 흘러서 인쇄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 잉크 분출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잉크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전방 단부와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간격 조절 나사들에 의해 정확하게 조절된다.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전방 단부와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의 정확한 조절은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조절은 성가신 일이면서 윤전기의 작업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잉크 분출 분배 조절 장치가 합체되는 잉크 장치에는 이러한 불편함이 없다. 그러나, 잉크 분출 분배 조절 장치는 매우 고가여서 윤전기의 비용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방해한다. 잉크 분출 분배 조절 장치가 잉크 분출을 분배하지만, 인쇄 시트의 폭은 잉크 분출의 분배된 수와 일치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인쇄 시트의 폭이 잉크 분출통의 폭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잉크 분출 분배 조절 장치와 값싸고 소형의 인쇄기와의 합체는 잉크 분출분배 조절 장치를 합체하기 위한 비용 증가와 잉크 분출 분배 조절 장치의 합체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비교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분출 블레이드 또는 다른 것들을 교체함이 없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잉크 분출통의 폭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잉크 장치와, 잉크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잉크 장치는 잉크 분출 롤러, 그 전방 단부가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위치조절 가능한 잉크 분출 블레이드, 각각이 잉크 분출 블레이드로부터 직립 유지되어 아치형 전방 단부면이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서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분출통이 잉크 분출 롤러 및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영구 자석이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원하는 위치로 측면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접촉하여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가 잉크 분출 롤러의 축을 따라 잉크 분출 블레이드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 상의 잉크 고착 영역이 변화될 때,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는 영구 자석의 자력으로부터 해제되어 잉크 분출 블레이드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영구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다시 잉크 분출 블레이드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매체의 폭에 따라 측면 플레이트의 쌍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잉크가 잉크 분출 롤러로 과다하게 공급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교체가 불필요하므로, 시험 작업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부품 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면에 매립되는 다른 영구 자석이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와 밀착 접촉하여 전방 단부면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어, 잉크가 잉크 분출통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는 잉크 분출통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그 전방부의 상부측 상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져서,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에 과다하게 고착된 잉크가 잉크 분출통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는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를 형성하는 재료 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가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사전에 방지된다.
측면 플레이트의 쌍 사이에 개재된 분할 부재가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로의 잉크의 공급이 억제되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더 제공되고, 분할 부재는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아치형 전방 단부면과,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활주식으로 접촉하는 바닥면과,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원하는 위치에 분할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그 바닥면에 매립되는 영구 자석을 구비하여, 잉크 공급이 억제되는 영역이 잉크 분출 롤러 상의 선택적인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분할 부재는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와 밀착 접촉하여 전방 단부를 유지하기 위해 전방 단부면에 매립되는 영구 자석을 더 가질 수 있으므로, 잉크의 공급이 억제되는 잉크 분출 롤러 상의 영역속으로의 잉크의 누설이 방지된다. 분할 부재는 전방 단부면의 상부측 상에 형성된 한 쌍의 경사부를 가질 수 있으므로,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에 과도하게 고착된 잉크는 잉크의 공급이 억제되는 영역속으로 잉크가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잉크 분출통으로 원활하게 유도된다. 양호하게는, 분할 부재는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를 형성하는 재료 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므로,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는 분할 부재의 전방 단부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사전에 방지된다.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적어도 상부면은 바람직하게는 강자성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영구 자석의 자력은 측면 플레이트 및 분할 부재를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긴밀한 접촉을 유리하게 유지하도록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분출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 장치의 측면 플레이트로서,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는 잉크 분출 롤러 및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협동하고,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전방 단부는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위치 조절가능하고,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는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직립 유지되어 아치형 전방 단부면이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활주식으로 접촉하기 위한 바닥면과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소정의 위치에 측면 플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바닥면에 매립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매체의 폭에 따라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잉크가 잉크 분출 롤러에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측면 플레이트에서,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와 밀착 접촉하여 전방 단부면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영구 자석이 전방 단부면에 끼워져서, 잉크가 잉크 분출통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잉크 분출통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전방 단부면의 상부측 상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에 과도하게 고착된 잉크는 잉크의 공급이 억제되는 영역으로 흐르지 않고, 잉크 분출통으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측면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황동(brass)으로 형성되어, 잉크 공급 롤러의 외주부가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사전에 방지된다.
상기 및 다른 목적, 효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장치를 합체하는 인쇄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의 개념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잉크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잉크 장치의 일부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측면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6은 도4에 도시된 측면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7은 도5에서 선 Ⅶ-Ⅶ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8은 잉크 장치의 두 측면 플레이트가 서로 밀착 접촉하면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잉크 장치에 합체되는 분할 부재의 측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분할 부재의 평면도.
도11은 도9에 도시된 분할 부재의 정면도.
도12는 도10에서 선 ⅩⅡ-ⅩⅡ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인쇄기
14: 프레임
15: 플레이트 실린더
17: 잉크 장치
18: 잉크 분출 롤러
19: 잉크 분출 블레이드
21: 잉크 분출통
22: 측면 플레이트
26: 경사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장치가 인쇄기에 적용된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1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개념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을 포함함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내에서 다른 기술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조는 도1에 도시되고, 잉크 장치의 주요 부품은 도2에서 확대되는 방식으로 도시되며, 그 평면 구조는 도3에 도시된다. 한 쌍의 좌우 프레임(14)은 가이드 레일(11) 상에 배치된 인쇄기(12)의 기부(13)상에서 유지된다. 실린더형 플레이트 실린더(15)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이러한 프레임(14) 상의 대향하는 축 단부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은 인쇄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실린더(15)의 외주부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인쇄 실린더(16)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한 쌍의 좌우 프레임(14)상의 대향 축 단부에서 회전하도록 또한 지지되어, 웨브(W)는 인쇄 실린더와 플레이트 실린더(15) 사이의 간극을 통과한다. 플레이트 실린더(15) 및 인쇄 실린더(16) 사이의 간극은 (도시되지 않은) 간극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장치(17)가 플레이트 실린더(15)의 위에 합체된다. 이러한 잉크 장치(17)는 잉크 분출 롤러(18), 전방 단부가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조절가능한 잉크 분출 블레이드(19), 잉크 분출 롤러(18) 및 잉크 분출통 블레이드(19)와 협동하면서 잉크(Ⅰ)를 저장하기 위해 잉크 분출통(21)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22), 및 잉크 분출 롤러(18)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잉크 전사 롤러(23)로부터 플레이트 실린더(15)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형성 롤러(24)까지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22)는 아치형의 전방 단부면(20)이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잉크 분출통(19)으로부터 직립 유지된다. 잉크 전사 롤러(23) 및 형성 롤러(24)를 포함하여, 잉크 분출 롤러(18) 및 이에 연속하는 롤러 군은 한쌍의 프레임(14) 상에서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잉크 분출 롤러(18)로부터 잉크 전사 롤러(23)까지 공급된 잉크(I)는 롤러 군에 의해 혼합되는 중에, 플레이트 실린더(15)에 장착된 인쇄 플레이트 상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잉크 필름으로서 형성 롤러(24)를 통해 피복된다.
활주식 가이드 플레이트(28)는 잉크 분출 롤러(18)의 축을 따라 프레임(14)에 고정된 브래킷(25)의 기계가공된 경사부(26)의 양단부의 각각에 제공된다. 스틸 플레이트로 제작되는 잉크 분출 블레이드(19)는 활주식 가이드 플레이트(28)를 거쳐 브래킷(25)의 기계가공된 경사부(26) 상에 활주식으로 위치된다. 프레임(14)에 결합된 복수개의 간극 조정 나사(27)는 잉크 분출 블레이드(19)의 근접 단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프레임(14)에 대해 간극 조정 나사(27)의 나사 결합량을 조절함으로써, 잉크 분출 블레이드(19)의 전단부와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부 사이의 간극을 최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플레이트(22)의 측면도가 도4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평면도 및 정면도가 도5 및 도6에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5의 선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잉크 분출 블레이드(19)의 표면과 밀착 접촉되는 측면 플레이트(22)의 바닥면(29) 상에, 복수 개(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영구 자석(30)이 자력을 이용하여 잉크 분출 블레이드(19) 상의 소정 위치에서 측면 플레이트(22)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로 고정된다. 이러한 영구 자석(30)은 측면 플레이트(22)의 바닥면(29)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측면 플레이트(22) 내에 매립된다. 따라서, 자력에 대하여 잉크 분출 블레이드(19)로부터 측면 플레이트(22)를 해제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3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위치에서 잉크 분출 롤러(18)의 축을 따라 잉크 분출 블레이드(19)에 대해 측면 플레이트(22)를 재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인쇄기(12) 내에 사용된웨브(W)의 폭에 대응하여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잉크(I)가 잉크 분출 롤러(18)의 대향 축방향 단부 영역으로 과도하게 퍼져서 플레이트 실린더(15)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플레이트(22)는 잉크 분출 블레이드(19) 또는 잉크 분출 롤러(18) 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황동으로 제조되어,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부가 잉크 분출 블레이드(19)의 아치형 전방 단부면(20)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측면 플레이트(22)의 바닥면(29)이 잉크 분출 블레이드(19)와 밀착 접촉하도록 유지된다.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부와의 접촉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방 단부면(20)의 내부 영역 내에 스폿면(spot face)(31)이 형성된다. 자력으로 인한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연과 측면 플레이트(22)의 전방 단부면(20)의 밀착 접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영구 자석(32)이 나사로 스폿면(31)에 고정된다. 영구 자석(32)의 단부면이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영구 자석(32)의 단부면이 측면 플레이트(22)의 아치형 전방 단부면(20) 보다 내부에 위치되도록, 영구 자석(32)이 측면 플레이트(22)로 매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32)이 잉크 분출 블레이드(19)로 끌어당겨지도록 측면 플레이트(22) 내에 삽입되는 중에, 잉크 분출 블레이드(19) 자체가 영구 자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측면 플레이트(22)는 그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은 측면 플레이트(2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잉크 분출통(21)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33)는 측면 플레이트(22)의 전방 단부면(20)의 상부측 상에 제공된다. 잉크(I)가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연의 전체 영역에 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경사부(33)는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부에 고착되어 그 양단부를 향해 퍼지는 잉크(I)를 잉크 분출통(21)으로 벗겨내는 기능을 한다.
잉크(I)가 잉크 분출 롤러(18)의 축방향 양단부에 퍼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잉크 분출 블레이드(19) 상에 전술된 복수개의 인접한 측면 플레이트(22)의 쌍을 배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잉크 분출 롤러(18)의 외주부으로의 잉크 공급이 억제되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측면 플레이트(22)의 쌍의 사이에 분할 부재(34)가 개재될 수 있다(도8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 구조가 도8에 도시되어 있으며, 분할 부재(34)의 측면도가 도9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평면도 및 정면도가 도10 및 도11에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10의 선ⅩⅡ-Ⅹ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1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품을 지칭하도록 사용되고,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밀착 접촉하는 복수개의 측면 플레이트(22)(본 실시예에서 2개)가 자력을 이용하여 잉크 분출 블레이드(19)의 각각의 단부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잉크 분출 롤러(18)의 축을 따라 위치된 내부 측면 플레이트(22) 사이의 거리는 사용된 웨브(W)의 인쇄면의 폭과 일치한다. 분할 부재(34)의 기본 형상 및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경사부(33)가 그 각각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잉크 분출 롤러(18)의 축을 따라 위치되는 두 개의 외부 측면 플레이트(22)는 그 사이의 구역을 향해 잉크 분출 롤러(18)의 축방향 양 단부에 퍼지는 잉크(I)를 안내한다. 잉크 분출 롤러(18)에 대한 잉크(I)의 공급이 억제되는 영역은 분할 부재(34)의 폭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분할 부재(34)를 상이한 폭을 갖는 부재와 대체함으로써, 잉크(I)의 공급이 억제되는 영역이 잉크 분출 롤러(18)의 축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화 및 변경이 광범위한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사상 내의 모든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매체의 폭에 따라 측면 플레이트의 쌍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잉크가 잉크 분출 롤러로 과다하게 공급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교체가 불필요하므로, 시험 작업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부품 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잉크 분출 롤러와, 전단부가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에 밀접하게 위치되도록 위치 조절가능한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상기 잉크 분출 롤러와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협동하여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분출통을 형성하도록 아치형 전방 단부면이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기 위해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로부터 각각 직립 유지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쌍이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축을 따라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에 접촉되는 각각의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바닥면 내에 영구 자석이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면 내에 매립되는 다른 영구 자석이 전방 단부면을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와 밀착하여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잉크 분출통을 향해 경사지도록 그 전방부의 상부측 상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낮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로의 잉크의 공급이 억제되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아치형 전방 단부면을 갖는 분할 부재와,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활주식으로 접촉하기 위한 바닥면과, 상기 분할 부재를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바닥면 내에 매립되는 영구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는 전방 단부를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와 밀착하여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그 전방 단부면에 매립되는 영구 자석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는 그 전방 단부면의 상부측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는 상기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낮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상부면은 강자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
  10.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분출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 장치의 측면 플레이트로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 쌍이 잉크 분출 롤러와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협동하고,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전방 단부가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에 밀접하게 위치되도록 위치 조절 가능하며, 각각이 아치형 전방 단부면이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잉크 분출 블레이드로부터 직립 유지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잉크 분출 블레이드와 활주식으로 접촉하는 바닥면과,
    잉크 분출 블레이드의 소정 위치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그 바닥면에 매립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의 측면 플레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다른 영구 자석이 잉크 분출 롤러의 외주부와 밀착 접촉하게 전방 단부면을 유지하기 위해 전방 단부면 내에 더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의 측면 플레이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잉크 분출통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가 전방 단부면의 상부측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의 측면 플레이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황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장치의 측면 플레이트.
KR1020020029445A 2001-05-28 2002-05-28 잉크 장치 및 그 측면 플레이트 KR100825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9043A JP4015377B2 (ja) 2001-05-28 2001-05-28 インキ装置およびその側板
JPJP-P-2001-00159043 2001-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900A true KR20020090900A (ko) 2002-12-05
KR100825578B1 KR100825578B1 (ko) 2008-04-25

Family

ID=1900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445A KR100825578B1 (ko) 2001-05-28 2002-05-28 잉크 장치 및 그 측면 플레이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82819B2 (ko)
EP (1) EP1262322B1 (ko)
JP (1) JP4015377B2 (ko)
KR (1) KR100825578B1 (ko)
CN (1) CN1268489C (ko)
DE (1) DE60221072T2 (ko)
MY (1) MY132042A (ko)
SG (1) SG100793A1 (ko)
TW (1) TW5538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3147B2 (ja) * 2003-07-17 2009-11-25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機のインキ壷装置
JP3976727B2 (ja) * 2003-12-08 2007-09-19 リョービ株式会社 印刷機のインキ練り方法及び印刷機
JP3899426B2 (ja) * 2005-03-29 2007-03-28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印刷機
JP3823211B1 (ja) 2005-03-29 2006-09-20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印刷機
CN101045368B (zh) * 2006-03-28 2010-10-06 海德堡印刷机械股份公司 刮墨刀型墨斗
DE102011086885B4 (de) * 2011-11-22 2013-06-27 Bundesdruckerei Gmbh Iristrenner mit Magnethalterung
JP6718194B2 (ja) * 2016-03-01 2020-07-08 株式会社Isowa 段ボールシート印刷装置
CN107379758A (zh) * 2017-08-10 2017-11-24 柳州市吉顺彩印有限责任公司 一种紧固印刷刮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638A (en) * 1908-02-26 1908-12-22 Robert R Page Fountain-divider.
US3635161A (en) * 1969-11-04 1972-01-18 Dayco Corp Fountain divider
US3831517A (en) * 1972-12-22 1974-08-27 Dayco Corp Fountain divider
JPS57148653A (en) * 1981-03-10 1982-09-14 Komori Printing Mach Co Ltd Ink pot of printing machine
US4991504A (en) 1988-12-15 1991-02-12 De La Rue Giori S.A. Ink duct for a printing machine
DE4004597A1 (de) 1990-02-12 1991-08-14 Bundesrep Deutschland Farbkasten fuer eine druckmaschine
US5823110A (en) * 1993-07-20 1998-10-20 I Mar Planning Inc. Inking arrangement for printing presses
JP3182675B2 (ja) * 1993-07-20 2001-07-03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印刷機のインキ供給装置
JPH10128957A (ja) * 1996-10-28 1998-05-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オフセット印刷機のインキ壺装置
JP3254575B2 (ja) * 1997-05-15 2002-02-12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インキつぼ装置のインキ仕切具
US5983797A (en) * 1997-11-17 1999-11-16 Howard W. DeMoore End seal engaging bearer of anilox roller assembly
DE19928880A1 (de) * 1998-07-06 2000-01-13 Heidelberger Druckmasch Ag Farbkasten in einer Druck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578B1 (ko) 2008-04-25
DE60221072T2 (de) 2008-03-20
DE60221072D1 (de) 2007-08-23
JP2002347215A (ja) 2002-12-04
JP4015377B2 (ja) 2007-11-28
TW553833B (en) 2003-09-21
SG100793A1 (en) 2003-12-26
MY132042A (en) 2007-09-28
EP1262322B1 (en) 2007-07-11
CN1268489C (zh) 2006-08-09
US20020174787A1 (en) 2002-11-28
US6782819B2 (en) 2004-08-31
EP1262322A1 (en) 2002-12-04
CN1388000A (zh) 200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578B1 (ko) 잉크 장치 및 그 측면 플레이트
JPH04224959A (ja) 輪転印刷機のためのインキ装置
EP0461426B1 (en) Pressurized printing fluid input system for keyless lithographic printing
US5113761A (en) Inking device
JPH0425142B2 (ko)
KR20110001930A (ko) 대면적 그라비어 인쇄기의 인쇄전자용 잉크 공급장치
JPH07205413A (ja) アニロックスローラへのインキ塗布装置
US5454310A (en) Segmented oscillating fluid evaporator roller for printing presses
JPS60242064A (ja) 輪転印刷機の版胴の版盤にインキを着けるインキ装置
US4538514A (en) Inking or damping unit for rotary printing machines
US20060272527A1 (en) Printing groups of a printing machine
US20220080720A1 (en) Linear ink dispensing system
EP0709189B1 (en) Rollers
US7908966B2 (en) Cylinder of an inking or dampening system
JPH04234655A (ja) キーなしリトグラフ印刷装置
FI106190B (fi) Raakelipalkki
JPH0757335B2 (ja) グラビア塗工供給装置
JP4271292B2 (ja) インキ装置
US4798138A (en) Liquid distribution system
JPS6036168A (ja) 書籍印刷機及びオフセツト印刷機におけるインキ調量装置
US2823607A (en) Portable color ink fountain
EP1149702A4 (en) INK SUPPLY DEVICE FOR A PRINTING PRESS
WO2017200084A1 (ja) 印刷機の湿水装置
KR20000058115A (ko)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JP2023181918A (ja) 缶印刷装置のインカーユニット及び缶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