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994A -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994A
KR20020086994A KR1020010026031A KR20010026031A KR20020086994A KR 20020086994 A KR20020086994 A KR 20020086994A KR 1020010026031 A KR1020010026031 A KR 1020010026031A KR 20010026031 A KR20010026031 A KR 20010026031A KR 20020086994 A KR20020086994 A KR 20020086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key input
function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198B1 (ko
Inventor
김종명
정재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198B1/ko
Priority to CNB021401268A priority patent/CN1180650C/zh
Priority to DE60234406T priority patent/DE60234406D1/de
Priority to US10/144,336 priority patent/US7151515B2/en
Priority to EP02010689A priority patent/EP1256833B1/en
Publication of KR2002008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994A/ko
Priority to US11/506,124 priority patent/US81157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5Dielectric stack 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LC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기능을 가지는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와 그를 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후면 편광판의 재질을 변경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이 오프(OFF)되면 외부의 빛을 완전 반사하여 거울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이 온(ON)되면 본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일정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전면 편광판과,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전면 편광판으로부터 투사된 빛을 배열된 분자축으로 편향시키고,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장의 방향으로 상기 분자축을 평행하게 정렬하여 상기 분자축에 따라 편향시키는 액정과,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정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모두 반사시키고,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액정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모두 통과시키는 후면 편광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액정표시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EMBODYING FUNCTION OF MIRROR IN POTABLE TERMINAL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LCD)를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화서비스 및/또는 개인정보서비스 등을주요 기능으로 제안되었으나 소비자의 요구와 생산 업체간의 경쟁으로 인하여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안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제작된 부가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예로서, 거울 또는 반사체를 단말기의 플립(Flip)이나 배터리(Battery)후면에 부착한 휴대용 단말기가 있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거울을 사용함으로써 따로 거울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하기 위한 방안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거울 또는 반사체를 부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반거울 또는 반사체를 몸체의 일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단말기의 부피가 커지고 디자인 면에서 제약을 받으며 또한 파손의 위험이 증가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열거한 문제점들을 제거하면서 거울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거울기능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와 그를 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전원이 오프 되면 거울처럼 외부의 빛을 완전 반사하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후면 편광판(Rear Polarizer)의 재질을 변경하고, 상기휴대용 단말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능키를 구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기능키를 조작할 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시킴으로서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거울로 동작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LCD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울기능을 가지는 LCD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울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구성도로서, 각 구성요소들을 나타냄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부(112)는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 혹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소정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만일 외부로부터 발신되는 호가 착신되는 경우, 호 착신에 대한 무선 신호는 상기 무선부(112)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되어 링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통화와 관련된 여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음성처리부(11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고,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상기 무선부(112)로 출력한다.
키입력부(50)는 각종 모드의 설정을 위한 키, 통화 종료키,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 및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LCD(Liquid Crystal Display)오프(OFF) 기능 선택을 위한 키(Key) 등 다수의 키를 가진다. 상기 LCD오프 키는 임의의 키기 지정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미 구현된 여러 키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실시자의 요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메모리부(108)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Program)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Service Data)를 저장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는 제어부(100) 내부에 실장 된다.
제어부(100)는 통상 원 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chip Microprocessor)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무선부(112)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감지 및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06)로부터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인가 받아 그에 해당하여 미리 프로그램 된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한다.
LCD(10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장치로서 동작하며, 다이얼링(Dialing)되는 전화번호, 단말기의 여러 상태 정보, 그 외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여러 정보 등을 표시한다.
전원제어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상기 LCD(104)의 온/오프 동작을 구동시킨다.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거울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도 1의 LCD(104)는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내측 표면에 산화인듐을 주성분으로 하는 ITO(Indium Tin Oxide)막과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막으로 코팅(coating)된 전면 및 후면 유리기판(Glass)과 그 사이에 채운 액정 및 상하 유리기판 면에 편광판(Front/Rear Polarizer)을 부착한 구조로 간략히 도시하였다. 여기에 반사판을 깔고 광원을 주면 디스플레이용 액정패널이 되는데 구조적으로 액정셀(유리기판과 그 사이에 채운 액정을 포함함)(Cell)과 편광판 사이에 컬러필터(Color Filter)를 삽입할 수 있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액정셀의 양면에 편광측이 서로 직교 또는 평행하도록 부착되어 액정셀을 통과하는 동안 편광 축의 회전 정도에 따라 투과 광의 세기가 조절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전면 편광판에서 편광된 빛은 액정을 통과하면서 외부자기장의 영향으로 변화되는 액정배열에 따라 비틀리게 되어, 후면 편광판이 빛의 진동방향으로 편광되어 있으면 빛이 편광판을 통과하여 밝게 나타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편광된 빛은 후면 편광판을 통과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액정표시장치가 어둡게 보인다. 즉 인가전압의 유무에 따라 빛의 투과, 불투과가 바뀌는데, 이러한 투과광 농도 비에 의해 문자나 숫자 및 도형 등이 표시된다. 또한 후면 편광판은 편광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액정표시화면의 외관특성을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울기능 구현을 위한 액정표시장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질을 변경한 후면 편광판(200)을 구비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이 없을 경우에 입사된 빛을 완전 반사시키도록 한다.
액정은 입사된 빛을 분자축에 편향시키는데, 액정표시장치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액정의 분자축이 전기장과 평행하게 정렬하므로 전면 편광판을 통과하여 편광된 빛은 액정셀 내에서 편광상태가 바뀌지 않는다. 반면에 액정표시장치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전면 편광판을 통과하여 편광된 빛은 액정의 분자축으로 편향되어 후면 편광판에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도 2b의 후면 편광판(200)은 일정 방향(후면 편광판의 투과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광된 빛이 입사되면, 입사된 빛을 완전 반사하는 재질로 구현되며, 거울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성의 외관(은색)을 갖거나 컬러 편광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 후면 편광판(200)으로 입사되는 빛이 완전 반사되도록 후면 편광판(200)을 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후면 편광판(200)은 문자나 숫자 또는 그래픽을 액정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밝은 부분(편광된 빛이 통과한 부분으로 배경부분이 된다)과 어두운 부분(편광된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흡수된 부분으로 문자 등의 표시부분이 된다)이 역전되어 나타난다. 즉 배경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둡게 나타나던 문자 등의 표시부분이 배경부분보다 더 밝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인도가 낮아지는 문제가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저하된 시인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도 2b의 보상필름(202)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상필름(202)은 액정표시장치에 전압이 인가되어 일반적인 문자나 숫자 및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면 편광판(200) 때문에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이 흐려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등을 선명하게 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울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후면 편광판(200)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거울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거울기능이 구현되는 액정표시장치의 특징은 인가되는 전원이 없으면 거울로서 동작하고, 전원이 인가되면 일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되어있는 경우에도 액정표시장치는 거울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1 및 도 2b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의 제어부(100)는 대기상태를 수행하며 300단계에서 키입력이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키입력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모든 종류의 키에서 어떠한 키든지 입력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300단계의 판단동작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이다. 제어부(100)는 300단계에서 키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시간을 카운트하여 302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일정시간 내에 별도의 키입력이 없었는지를 판단한다. 302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306단계에서 도 1의 전원제어부(102)를 제어하여 도 1의 LCD(104)를 오프 시킨다. 즉, LCD(30)에 표시되는 모든 정보는 사라지고 LCD(104)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정시간 경과 시 LCD(104)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에 옵션(Option)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시간 이상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LCD(104)의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를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은 시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거울기능 사용 시 거울기능 온에 대응된 키 입력 없이 바로 거울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300단계에서 키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입력이 거울기능 온에 대응된 키입력 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거울기능 온에 대응된 키입력은 단말기의 메뉴에 거울 온/오프 기능을 부가하거나 키입력부(106)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의 임의의 키를 거울기능 온/오프 키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거울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사용하여 명령을 입력토록 한다. 즉, 304단계의 거울기능 온에 대응된 키입력에 의하여 제어부(100)는 306단계에서 전원제어부(102)를 제어하여 LCD(104)를 오프 시킨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요소 중 후면 편광판(200)은 일정 방향(후면 편광판(200)의 투과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광된 빛이 입사되면 입사된 빛을 흡수하지 않고, 완전 반사하는 재질로 구현된다. 상기 완전 반사 재질은 LCD(104)의 전원을 오프 시켰을 경우 LCD(104)를 거울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성의 외관(은색)을 갖거나 컬러 편광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전원이 오프 되면 전면 편광판을 통과하여 편광된 빛을 액정의 분자축으로 편향되도록 하여 입사된 빛은 후면 편광판을 통과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후면 편광판의 편광축을 평행하게 함으로써 도 3의 306단계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이 오프 되면, 후면 편광판(200)으로 입사되는 빛이 완전 반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거울기능 오프에 대응된 키입력 발생 또는 호 착신이 있으면 306단계에서 오프 되었던 LCD(104)를 온 시켜 일반 디스플레이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거울기능 오프에 대응된 키입력은 임의의 한 키를 지정하여(예로서 Clear Key 또는 Send Key 등) 이 키를 일반 키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을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일정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전면 편광판과,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전면 편광판으로부터 투사된 빛을 배열된 분자축으로 편향시키고,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장의 방향으로 상기 분자축을 평행하게 정렬하여 상기분자축에 따라 편향시키는 액정과,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정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모두 반사시키고,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액정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모두 통과시키는 후면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이 없는 경우에 입사된 빛을 완전 반사시키는 재질을 가지는 후면 편광판을 적어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와, 사용자에 의한 거울기능 온/오프에 대응된 키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키입력에 대응된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키입력장치와, 일정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의 거울기능 온/오프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고, 키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원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며,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이 온 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방법은,
인가되는 전원이 없으면 거울로서 동작하고, 전원이 인가되면 일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일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 중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키입력이 거울기능 온에 대응된 키입력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거울기능 온에 대응된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거울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거울기능 수행 중 사용자에 의한 거울기능 오프에 대응된 키입력이나 호 착신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이나 호 착신이 발생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일반 디스플레이 기능으로 복귀하여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부가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일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 중 키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경과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거울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울기능 장치 및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거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거울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거울을 가지고 다니는 불편을 제거하고,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거울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몸체에 거울 또는 반사체를 부착하는 방식에서 보인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가 제품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사되는 빛은 모두 반사시키는 재질을 가지는 후면 편광판을 적어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와,
    사용자에 의한 거울기능 온/오프 키 입력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장치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의 거울기능 온/오프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후면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상 필름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3.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사되는 빛은 모두 반사시키는 재질을 가지는 후면 편광판을 적어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와,
    사용자에 의한 거울기능 온/오프 키 입력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장치와,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키입력장치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키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후면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상 필름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5. 인가되는 전원이 없으면 거울로서 동작하고, 전원이 인가되면 일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일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 중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키입력이 거울기능 온에 대응된 키입력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거울기능 온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거울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거울기능 수행 중 사용자에 의한 거울기능 오프에 대응된 키입력이나 호 착신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이나 호 착신이 발생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을 온 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일반 디스플레이 기능으로 복귀하여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일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 중 상기 키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경과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거울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방법.
  7.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일정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전면 편광판과,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전면 편광판으로부터 투사된 빛을 배열된 분자축으로 편향시키고,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장의 방향으로 상기 분자축을 평행하게 정렬하여 상기 분자축에 따라 편향시키는 액정과,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정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모두 반사시키고,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액정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모두 통과시키는 후면 편광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기능 구현을 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010026031A 2001-05-12 2001-05-12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0630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031A KR100630198B1 (ko) 2001-05-12 2001-05-12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
CNB021401268A CN1180650C (zh) 2001-05-12 2002-05-12 在便携式终端中执行镜面功能的装置和方法
DE60234406T DE60234406D1 (de) 2001-05-12 2002-05-13 Gerät und Verfahren zur Ausführung einer Spiegelfunktion in einem portablen Endgerät
US10/144,336 US7151515B2 (en) 2001-05-12 2002-05-13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mirror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EP02010689A EP1256833B1 (en) 2001-05-12 2002-05-13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mirror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11/506,124 US8115711B2 (en) 2001-05-12 2006-08-17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mirror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031A KR100630198B1 (ko) 2001-05-12 2001-05-12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994A true KR20020086994A (ko) 2002-11-21
KR100630198B1 KR100630198B1 (ko) 2006-09-29

Family

ID=1970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031A KR100630198B1 (ko) 2001-05-12 2001-05-12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151515B2 (ko)
EP (1) EP1256833B1 (ko)
KR (1) KR100630198B1 (ko)
CN (1) CN1180650C (ko)
DE (1) DE60234406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427A (ko) * 2003-06-03 2004-12-1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전환가능한 디스플레이/미러 방법 및 장치
KR100475061B1 (ko) * 2002-10-11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유리를 이용한 거울기능 겸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엘시디 디스플레이장치
KR100751114B1 (ko) * 2005-02-04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크기 가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0854A (en) 1993-02-26 1999-06-08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polymeric solid films, manufacturing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such solid films, and processes for making such solid films and devices
US5668663A (en) 1994-05-05 1997-09-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mirrors and devices
US6891563B2 (en) 1996-05-22 2005-05-10 Donnelly Corporation Vehicular vision system
US8294975B2 (en) 1997-08-25 2012-10-23 Donnelly Corporation Automotive rearview mirror assembly
US6326613B1 (en) 1998-01-07 2001-12-04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mirror assembly adapted for containing a rain sensor
US6172613B1 (en) 1998-02-18 2001-01-09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vehicle information display
US6124886A (en) 1997-08-25 2000-09-26 Donnelly Corporation Mod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US6445287B1 (en) 2000-02-28 2002-09-03 Donnelly Corporation Tire inflation assistance monitoring system
US8288711B2 (en) 1998-01-07 2012-10-16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with forwardly-viewing camera and a control
US6329925B1 (en) 1999-11-24 2001-12-11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added feature modular display
US6693517B2 (en) 2000-04-21 2004-02-17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mirror assembly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vehicle accessories and occupants
US6477464B2 (en) 2000-03-09 2002-11-05 Donnelly Corporation Complete mirror-based global-positioning system (GPS) navigation solution
EP1263626A2 (en) 2000-03-02 2002-12-11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US7370983B2 (en) 2000-03-02 2008-05-13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US7167796B2 (en) 2000-03-09 2007-01-23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navigation system for use with a telematics system
US7581859B2 (en) 2005-09-14 2009-09-01 Donnelly Corp. Display device for exterior rearview mirror
US7255451B2 (en) 2002-09-20 2007-08-14 Donnelly Corporation Electro-optic mirror cell
DE60220379T2 (de) 2001-01-23 2008-01-24 Donnelly Corp., Holland Verbessertes fahrzeugbeleuchtungssystem
AU2003253709A1 (en) * 2002-03-18 2003-09-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irror with built-in display
US6918674B2 (en) 2002-05-03 2005-07-19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rearview mirror system
US7329013B2 (en) 2002-06-06 2008-02-12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with compass
EP1514246A4 (en) 2002-06-06 2008-04-16 Donnelly Corp COMPASS INTERIOR COURTESY MIRROR SYSTEM
US7310177B2 (en) 2002-09-20 2007-12-18 Donnelly Corporation Electro-optic reflective element assembly
EP1543358A2 (en) 2002-09-20 2005-06-22 Donnelly Corporation Mirror reflective element assembly
JP4063082B2 (ja) * 2003-01-1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子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KR101110737B1 (ko) 2003-02-20 2012-02-24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거울
JP4316960B2 (ja) * 2003-08-22 2009-08-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装置
US7446924B2 (en) 2003-10-02 2008-11-04 Donnelly Corporation Mirror reflective element assembly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US7308341B2 (en) 2003-10-14 2007-12-11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100469078C (zh) * 2005-04-15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利用外部光源的节能手机
ATE517368T1 (de) 2005-05-16 2011-08-15 Donnelly Corp Fahrzeugspiegelanordnung mit zeichen am reflektierenden teil
EP1949666B1 (en) 2005-11-01 2013-07-1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with display
CN101083807A (zh) * 2006-06-02 2007-12-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讯设备
US20080038042A1 (en) * 2006-08-08 2008-02-14 Guy Laura E Watch with cosmetic applicator
US8154418B2 (en) 2008-03-31 2012-04-1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CN101303831A (zh) * 2008-06-13 2008-11-12 Tcl天一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显示装置的背光控制方法
DE102010043200A1 (de) * 2010-02-10 2011-08-11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GmbH, 75196 Anzeigeelement für eine Anzeigeeinheit in einem Fahrzeug
JP6147996B2 (ja) * 2012-11-27 2017-06-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20150020852A (ko) * 2013-08-19 201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468639B2 (en) * 2015-02-20 2022-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ve occlusion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devices
CN105374322A (zh) * 2015-12-15 2016-03-0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液晶显示屏控制系统及其手机
US11262790B1 (en) 2020-02-03 2022-03-01 Delta Tech Llc Low-profile smart mirror with backside moun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1339C3 (de) * 1975-03-17 1979-02-08 Sharp K.K., Osaka (Japan) Spiegel mit Informationsanzeige
JPS5384598A (en) 1976-12-29 1978-07-26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unit
JPS6341889A (ja) * 1986-08-07 1988-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8101657A (ja) * 1994-09-30 1996-04-16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crtディスプレイの消費電力制御方法
EP0884622A3 (en) 1997-06-09 1999-10-27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timepiece
US6106121A (en) * 1997-07-10 2000-08-22 Chrysler Corporation Rear view mirror with integrated matrix display
US6099758A (en) * 1997-09-17 2000-08-08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Broadband reflective polarizer
US6611249B1 (en) * 1998-07-22 2003-08-26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de aspect ratio flat panel display monitor independent white-balance adjustment and gamma correction capabilities
JP2000196718A (ja) * 1998-12-30 2000-07-14 Kenji Sato 携帯型電子機器
JP2000352724A (ja) * 1999-06-14 2000-12-19 Olympus Optical Co Ltd 表示装置
US6311077B1 (en) * 1999-07-08 2001-10-30 M3 Advisory Services, Inc. Combined cosmetics compact and cellular radiotelephone
KR200188124Y1 (ko) * 2000-02-10 2000-07-15 차재성 거울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020009199A (ko) * 2000-07-25 2002-02-01 이구순 유기체발광판을 장치한 휴대전화의 반사 화면창
US6643224B1 (en) * 2000-11-02 2003-11-04 Citizen Watch Co., Ltd. Timepiece including multiple liquid crystal displays
KR100373550B1 (ko) * 2001-04-18 2003-03-03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휴대폰의 거울기능을 가진 화면 표시창
JP2002374339A (ja) * 2001-06-15 2002-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JP3698097B2 (ja) * 2001-12-11 2005-09-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061B1 (ko) * 2002-10-11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유리를 이용한 거울기능 겸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엘시디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104427A (ko) * 2003-06-03 2004-12-1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전환가능한 디스플레이/미러 방법 및 장치
KR100751114B1 (ko) * 2005-02-04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크기 가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650C (zh) 2004-12-15
DE60234406D1 (de) 2009-12-31
EP1256833A3 (en) 2005-02-02
KR100630198B1 (ko) 2006-09-29
EP1256833B1 (en) 2009-11-18
US8115711B2 (en) 2012-02-14
US7151515B2 (en) 2006-12-19
US20020167511A1 (en) 2002-11-14
EP1256833A2 (en) 2002-11-13
US20060274018A1 (en) 2006-12-07
CN1387384A (zh) 200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1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울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
US683910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display regions of light reflection mode and light transmission mode
US8224391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n LED backlight unit
US717696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cellular phone
KR1016333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82367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1517345A (ja) 携帯機器の両面ディスプレイ
US20030001985A1 (en) Electronic display
JP2004503182A (ja) データの表示用の光学プロジェクタを内蔵したセルラ電話機
JP2004023651A (ja) 電話機
JP2007011316A (ja) 表示端末装置
KR101632209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2303863A (ja) 液晶表示装置
JP4175730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658546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10064417A (ko) 이동 단말기
JP2001237934A (ja) 表示パネルを有した電子機器及び携帯用無線通信装置
KR200310600Y1 (ko) 거울 기능을 갖춘 휴대폰
JP200512199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携帯機器
KR100781280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50077369A (ko) 플래시기능을 구비한 미러용 액정표시장치
KR200600210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JP2003319037A (ja) 携帯電話機
JP2002009936A (ja) 携帯電話機
JP2004053925A (ja) 携帯電話機用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