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066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066A
KR20060021066A KR1020040069882A KR20040069882A KR20060021066A KR 20060021066 A KR20060021066 A KR 20060021066A KR 1020040069882 A KR1020040069882 A KR 1020040069882A KR 20040069882 A KR20040069882 A KR 20040069882A KR 20060021066 A KR20060021066 A KR 20060021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window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351B1 (ko
Inventor
허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351B1/ko
Priority to CNB2005100018839A priority patent/CN100518199C/zh
Publication of KR2006002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후방에 백라이트(Back Light)를 설치하여 액정을 투과한 빛에 의해 표시가 가능한 투과형 액정부와;
전방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액정의 후반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광이 후방으로부터 액정을 투과하여 전방으로부터 액정부의 표시가 관찰되는 반사형 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창, 반사형, 투과형, 디스플레이, 액정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외부 창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용 액정의 일부분은 투과형으로 하고, 일부분은 반사형으로 구성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외부 창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외부 창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와 듀얼 폴더 타입의 단말기 등이 있다. 외부 창(100)을 통해 데이터와 함께 현재시각, 수신 감도 및 배 터리의 잔여 용량 등이 표시된다.
근래의 통신 단말기는 외부 창이 컬러화되고 크기가 넓어지면서 내부 창만큼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또한 컬러화에 따라 화질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외부 창에 사용되는 액정은 그 자체는 발광하지 않고 액정을 투과하는 외부의 빛을 제어하여 표시기능을 발휘한다. 액정을 통해 표시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투과형인데, 액정의 후방에 백라이트가 구비된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통신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도 2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백라이트(12)에서 발생한 빛이 투과형 액정(11)을 통과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3은 상기 백라이트(12)의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이다. 가장 밝게 화면을 볼 수 있어 대부분의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백라이트를 사용하여야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므로 전력의 소모가 크고, 태양 등의 외부 광원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다른 형태로는 반사형이 있다. 액정의 후방에 반사판을 배치하여 액정의 전방으로부터 들어간 빛을 반사시켜, 그 반사광이 액정을 투과하는 방식이다.
또 다른 형태로는 백라이트를 사용하여 화면을 보거나,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태양광 아래에서 어느 정도 화면을 볼 수 있는 반투과형이 있다. 이러한 반투과형은 백라이트의 사용여부에 상관없이 모두 화면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 밝기가 어둡다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 투과형 액정과 함께 현재 통신 단말기에 사용 중인 방식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통신 단말기에 적용중인 투과형 액정 장치는 백라이트 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소비 전력이 높다. 따라서, 통화 대기 시간이 감소되므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외부 창을 오프(off)시킨다. 이러한 경우, 현재 시각이나 배터리 잔량 및 수신 감도 등을 확인할 수 없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현재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방에 백라이트(Back Light)를 설치하여 액정을 투과한 빛에 의해 표시가 가능한 투과형 액정부와; 전방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액정의 후반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광이 후방으로부터 액정을 투과하여 전방으로부터 액정부의 표시가 관찰되는 반사형 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반사형 액정부를 통해 현재 시각, 수신 감도 및 배터리 잔여용량이 표시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투과형 액정부와 반사형 액정부는 기구적으로 분리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외부 표시 창을 갖는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의 외부 표시 창에 적용 가능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이중 창(dual window)을 갖는 단말기의 보조 창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창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래의 투과형 액정표시 장치와 달리, 액정의 일부영역이 반사형 액정(21)으로 구성된다. 백라이트(22)에서 발생한 빛은 투과형 액정을 통과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반사판(23)은 백라이트의 빛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반사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반사형 액정(21)의 하단에는 반사판(24)이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의 종래 단말기의 외부 창과 달리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a는 통화 대기 중인 상태의 단말기 상태를 나타내며, 도 4b는 통화 개시 또는 착신 호를 수신 받은 상태의 단말기 외부 창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은 일부분은 투과형 액정으로 나머지 부분은 반사형 액정으로 구성된다. 반사형 액정은 수신감도와 현재 시각 및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기 위한 제 1 외부 창(210)을 위한 구성이다. 투과형 액정은 통신 데이터와 기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외부 창(220)을 구성한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화 대기 중에는 제 2 외부 창(220)을 구동하기 위한 백라이트는 오프(off)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을 반사시켜 액정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외부 창(210)은 별도의 전원 공급이 없어도 수신감도와 현재 시각 및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단지, 현재 시각을 확인하거나 배터리 잔량 등을 확인하기 위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곧 통화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게 되며,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4b는 단말기에 착신 호가 전달되었거나,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개시를 수행한 경우의 외부 창을 나타낸 것이다. 제 2 외부 창(220)의 하단에 형성된 백라이트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투과형 액정을 통해 데이터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제 1 외부 창은 반사형 액정으로 구성되었으므로 전원의 인가와 무관하게 현재 시각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과형 액정부와 반사형 액정부는 서로 기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두 액정부 각각에 LCD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은 언급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을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표시 창을 갖는 어떤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PDA나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 또는 듀얼 폴더 타입의 단말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가지 형태의 정보를 나타내는 액정 표시장치에서 항상 정보를 표시해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반사형 액정을 사용하고, 선택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은 투과형 액정을 사용하는 것을 주요 사항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항상 정보를 표현해야 하는 부분을 반사형 액정으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의 일부분을 반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전력의 소모 없이 현재 시각이나 수신감도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후방에 백라이트(Back Light)를 설치하여 액정을 투과한 빛에 의해 표시가 가능한 투과형 액정부와;
    전방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액정의 후반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광이 후방으로부터 액정을 투과하여 전방으로부터 액정부의 표시가 관찰되는 반사형 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액정부를 통해 현재 시각, 수신 감도 및 배터리 잔여용량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형 액정부와 반사형 액정부는 기구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표시 창을 갖는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의 외부 표시 창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이중 창(dual window)을 갖는 단말기의 보조 창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40069882A 2004-09-02 2004-09-02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6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882A KR100662351B1 (ko) 2004-09-02 2004-09-02 이동 통신 단말기
CNB2005100018839A CN100518199C (zh) 2004-09-02 2005-01-24 移动通信终端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882A KR100662351B1 (ko) 2004-09-02 2004-09-02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066A true KR20060021066A (ko) 2006-03-07
KR100662351B1 KR100662351B1 (ko) 2007-01-02

Family

ID=3613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882A KR100662351B1 (ko) 2004-09-02 2004-09-02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2351B1 (ko)
CN (1) CN10051819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30B1 (ko) * 2006-11-28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유닛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0416B (zh) * 2016-05-16 2019-05-07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装置及智能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30B1 (ko) * 2006-11-28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유닛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4615A (zh) 2006-03-08
CN100518199C (zh) 2009-07-22
KR100662351B1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7267B (zh) 显示装置及显示屏模组
US73015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elements activated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display is performed by the first or second liquid crystal panel
US72230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backlighting a plurality of displays with a common light source
KR100453088B1 (ko) 액정표시장치
EP2036072B1 (en) Display stack-up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displays
US7507000B2 (en) Illumination sens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EP2233967A2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JP4523246B2 (ja) 液晶表示装置
RU2343510C2 (ru) Двухрежимный дисплей
KR100940334B1 (ko)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JP2006211019A (ja) 携帯端末機
KR101632209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070603A (ja) 両面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無線電話機
CN111464675B (zh) 后盖组件及电子设备
KR1006623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4361727A (ja) 表示装置
JP2004078047A (ja) 両面表示機器
KR100601927B1 (ko) 복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 및 복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JP2005338427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12199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携帯機器
JP2001268186A (ja) 携帯電話機能付き携帯機器
JP2003131225A (ja) 表示装置
JP3770888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690822B1 (ko) 휴대 단말기의 집광 장치
KR100455770B1 (ko) 듀얼 액정화면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백라이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