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231A - 릴시트 - Google Patents

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231A
KR20020086231A KR1020020024096A KR20020024096A KR20020086231A KR 20020086231 A KR20020086231 A KR 20020086231A KR 1020020024096 A KR1020020024096 A KR 1020020024096A KR 20020024096 A KR20020024096 A KR 20020024096A KR 20020086231 A KR20020086231 A KR 20020086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reel seat
nut
fishing ro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961B1 (ko
Inventor
하시모토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8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너트형의 릴시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의 배트부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릴시트를 제공한다.
릴시트 본체(33)의 선단부에 보호부(32)를 형성했다. 양자는, 일체로 형성된다. 보호부(32)는, 낚싯대 본체(22)의 배트부(31)를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했다. 보호부(32)의 길이 s는, 너트부재(26)가 슬라이드하더라도 너트부재(26)와 배트부(31)가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했다.

Description

릴시트 {REEL SEAT}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릴시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이하, 단지 「릴」이라고 함)이 장착되는 낚싯대는, 일반적으로, 낚싯대의 그립부분에 릴시트라고 하는 부품이 조립된다. 도 6은, 종래의 릴시트가 낚싯대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낚싯대(1)는, 낚싯대 본체(2)와 릴시트(3)를 구비한 그립부(4)를 가진다. 릴시트(3)는, 그립부(4)에 장착되어 있다. 낚싯대 본체(2)의 근본 부분은, 릴시트(3)를 관통하여 그립부(4)의 후부에까지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낚싯대 본체(2)의 근본 부분에 관해서, 릴시트(3)에 삽입되는 부분(5)이 「조인트부」라고 정의되고, 조인트부(5)에 연속하여 릴시트(3)로부터 돌출된 부분(6)이「배트부」 라고 정의된다. 또, 낚싯대의 종류에 따라서는, 낚싯대 본체가 그립부까지 삽입되지 않는 타입의 것도 있다.
릴시트(3)는, 릴시트 본체(7)와, 너트부(8)를 가지고 있다. 너트부(8)는, 릴시트 본체(7)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릴(9)이 릴시트(3)에 장착되는 작업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릴(9)의 레그부(11)가 릴시트 본체(7)의 릴탑재부(10)에 탑재된다. 다음에, 너트부(8)가 회전되고, 너트부(8)는, 화살표(12)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릴(9)의 레그부(11)는, 릴시트 본체(7)의 후드부(13)와 너트부(8)의 후드부(14) 사이에서 조여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릴(9)이 릴시트(3)에 장착된다. 또, 이와 같이, 너트부(8)가 릴시트 본체(7)의 전방측(낚싯대 본체(2)의 배트부(6)측)으로부터 조여지는 타입의 것은, 「프론트너트형 릴시트」라고 정의된다.
릴시트(3)가 이러한 구조이기 때문에, 릴(9)이 장착 및 분리될 때는, 너트부(8)가 회전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 때 너트부(8)가 배트부(6)와 스치기때문에, 배트부(6)가 손상을 받게 될 우려가 있다. 낚싯대(1)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배트부(6)의 손상은, 확실하게 방지될 필요가 있다.
만일, 너트부(8)와 배트부(6)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면, 배트부(6)가 보호되지만,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간극에 먼지 등이 들어 간다. 이로 인해, 결국 배트부(6)가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고, 이 대책은 유효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너트형의 릴시트로서, 낚싯대 본체의 손상, 특히 배트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에 따른 릴시트는, 낚싯대 본체의 조인트부가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는 동시에, 낚시용 릴이 장착되는 프론트너트형의 릴시트에 있어서, 낚시용 릴의 레그부가 탑재되는 탑재면부 및 상기 탑재면부에 탑재된 낚시용 릴의 레그부의 일단부를 덮는 제1 후드부를 가지는 릴시트 본체와 릴시트 본체의 외측에 나사 기구를 통해 끼워 넣어지고, 상기 탑재면부에 탑재된 낚시용 릴의 레그부의 타단부를 덮을 수 있는 제2 후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후드부가 상기 레그부의 타단부를 덥는 고정위치와 상기 레그부의 타단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너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릴시트 본체는, 상기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를 둘러싸 유지하는 보호부를 가지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고정위치에 있는 너트부의 단부 보다도 낚싯대 본체의 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싯대 본체의 조인트부가 릴시트에 삽입되면,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는, 보호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보호부는, 낚싯대 본체의 팁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부가 슬라이드된 경우라도, 너트부와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가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2) 상기 소정의 거리는, 최소한, 상기 너트부의 슬라이드방향의 치수와 너트부가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더한 치수에 대응하는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너트부가 어떻게 슬라이드하더라도, 너트부는, 낚싯대 본체와 접촉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부의 연장거리는, 30mm∼200m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보호부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릴시트가 장착된 낚싯대는, 바다 등에서 사용된 경우라도, 낚싯대의 보호부는 부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낚싯대 본체를 장기간에 걸쳐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호부는, 릴시트 본체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보호부는, 릴시트 본체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너트부가 슬라이드되는 경우에, 너트부와 보호부가 복잡해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너트부가 원활히 슬라이드된다.
(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릴시트 본체에 보호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부가 슬라이드된 경우라도, 너트부와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가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낚시용 릴이 장착 및 분리될 때에,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가 손상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보호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부와 너트부 사이에 간극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보호부와 너트부 사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일이 없고, 가령 먼지가 침입한 경우라도, 직접 낚싯대 본체가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보호부와 너트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낚싯대 전체의 외관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원하는 디자인을 실시해도 된다. 이에 따라, 낚싯대는, 베리에이션의 디자인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시트가 장착된 낚싯대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낚싯대의 주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릴시트가 장착된 낚싯대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릴시트가 낚싯대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시트가 채용된 낚싯대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주요부 확대단면도이며, 릴시트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낚싯대(20)는, 그립부(21)와, 그립부(21)에 연결된 낚싯대 본체(22)를 가진다. 그립부(21)는, 낚시인이 낚싯대(20)를 홀드하기 위한 그립(23)과, 이 선단부에 설치된 릴시트(24)를 구비하고 있다.
릴시트(24)는, 낚시용 릴(25)(도 2 참조)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릴시트(24)는, 이른바 프론트너트타입의 것이며, 너트부재(26)(너트부)가 전방으로부터(도면중 좌측으로부터) 나사결합됨으로써, 낚시용 릴(25)(이하,단지「릴(25)」이라고 함)의 레그부(27)(레그부의 일단부) 및 레그부(28)(레그부의 타단부)가 릴탑재부(29)(탑재면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 본체(22)의 조인트부(30)는, 릴시트(24) 및 그립(23)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낚싯대 본체(22)가 그립부(21)와 연결되어 있다. 또, 그립(23)은, 예를 들면, 수지나 코르크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것은, 릴시트(24)의 구조에 있다. 즉, 릴시트(24)는, 낚싯대 본체(22)의 배트부(31)를 덥는 보호부(32)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보호부(32)는, 릴시트(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하, 릴시트(24)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릴시트(24)는, 릴시트 본체(33)와, 이것에 나사결합되어 장착된 너트부재(26)를 가진다. 릴시트 본체(33)는, 그립(23)에 대하여 소요의 공지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낚싯대(20)의 장식을 위해, 릴시트 본체(33)와 그립(23) 사이에, 링부재(42) 등이 개재되어도 된다.
릴시트 본체(33)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을 사용하여 성형 몰드에 의해 성형되지만,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등에 의해 성형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32)가 릴시트 본체(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릴시트 본체(33)는, 보호부(32)와 함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32)와 릴시트 본체(33)는, 미리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소요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릴시트 본체(33)는, 너트부재(26)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맞물림부(34)와 릴(25)이 고정되는 릴고정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릴시트 본체(33)에는, 그 중심축선을 따라 삽입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공(36)에, 낚싯대 본체(22)의 조인트부(30)가 삽입 통과되게 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23)에도 삽입공(36)과 동일한 구멍(37)이 형성되어 있으며, 낚싯대 본체(22)의 조인트부(30)는, 삽입공(36) 및 구멍(37)에 삽입 통과되어 유지된다.
너트맞물림부(34)는, 단면이 대략 원형의 파이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너트맞물림부(34)의 외주면에, 수나사(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릴고정부(35)는, 상면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의해 릴탑재부(29)가 구성되어 있다. 릴탑재부(29)는, 릴(25)의 레그부(27, 28)가 탑재된다.
또, 릴시트 본체(2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후드부(39)(제1 후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드부(39)는, 릴탑재부(29)의 후단부의 상방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릴탑재부(29) 및 후드부(39)에 의해 소정의 오목부(4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0)에 릴(25)의 레그부(27)가 삽입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릴시트(2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베이트 릴용 것이다. 따라서, 릴시트 본체(33)에 트리거(41)가 형성되어 있다. 낚시인은, 캐스팅 시에, 트리거(41)를 이용하여 낚싯대(20) 및 릴(25)을 유지한다. 그리고, 트리거(41)로부터 릴시트 본체(33)의 하면에 걸쳐서, 매끄러운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곡면이 형성됨으로써, 낚시인은, 릴시트(24) 부분을 잡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에, 너트부재(26)는, 너트본체(43)와 후드부재(44)를 가지고 있다.
너트본체(43)는, 예를 들면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본체(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본체(43)는, 그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공(4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45)의 내경은, 릴시트 본체(33)의 너트맞물림부(34)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공(45)의 내면에, 암나사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46)와 상기 너트맞물림부(34)에 형성된 수나사(38)가 맞물려 있다.
또, 너트본체(43)의 기단부에, 이른바 열쇠형의 홈(4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7)은, 너트본체(43)의 둘레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37)에, 후드부재(44)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세한 맞물림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후드부재(44)는, 너트본체(4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드부재(4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재(44)는, 후드부(48)(제2 후드부)가 형성된 고정부(49)와, 상기 홈(47)에 결합되는 맞물림부(50)를 가진다. 후드부(48)는, 릴(25)의 레그부(28)를 고정한다.
맞물림부(5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부(50)의 선단부(51)는, 단면이 대략 L자의 열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단부(51)가 상기 홈(47)에 끼워 넣어져 있다. 단, 선단부(51)는, 홈(47)과의 사이에 소정 간극을 가지고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 후드부재(44)는, 너트본체(43)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본체(43)가회전된 경우라도, 후드부재(44)가 이것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고정부(49)는, 맞물림부(50)보다도 직경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49)의 상부에, 후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48)는, 맞물림부(50)와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후드부(48)는, 릴탑재부(29)의 전단부의 상방을 덥도록 형성되어 있고, 릴탑재부(29) 및 후드부(48)에 의해 소정의 오목부(52)가 구성되어 있다. 릴(25)의 레그부(28)는, 이 오목부(52)에 삽입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낚싯대(20)를 조작하는 사람이, 릴탑재부(29)에 릴(25)의 레그부(27, 28)를 탑재하고, 너트부재(26)를 나사결합하면, 너트부재(26)가 릴시트 본체(3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고, 릴(25)의 레그부(28)가 고정부(49)의 오목부(52)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낚싯대(20)를 조작하는 사람이, 다시 너트부재(26)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릴(25)의 레그부(27)가 후드부(39)에 덮히는 동시에 레그부(28)가 후드부(48)에 의해 덮히고, 양 후드부(39, 48)에 의해 레그부(27, 28)가 조여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 이 때의 너트부재(26)의 위치(도 2에 나타낸 위치)가「고정위치」라고 정의된다. 또, 이 고정위치에 있어서, 너트부재(26)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너트부재(26)는 도면중 좌측에 슬라이드하여, 릴(25)의 레그부(28)가 후드부(48)로부터 퇴출된다. 이 때의 너트부재(26)의 위치는, 「개방위치」라고 정의된다.
다음에, 보호부(32)는, 릴시트 본체(33)의 너트맞물림부(34)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32)의 내경은,낚싯대 본체(22)의 배트부(31)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다. 즉, 보호부(32)는, 낚싯대 본체(22)의 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배트부(31)를 둘러싼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32)의 길이 s는 72mm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보호부(32)의 길이 s는, 그 선단(54)으로부터 고정위치에 있는 너트부재(26)의 단부(53)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치수는, 너트부재(26)의 길이 방향의 치수(슬라이드방향의 치수)와 슬라이드거리를 더한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다만, 길이 s는 이 치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0mm∼200mm의 범위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대 본체(22)의 배트부(31)는, 보호부(32)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또한 이 보호부(32)는, 낚싯대 본체(22)의 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너트부재(26)가 슬라이드된 경우라도, 너트부재(26)와 배트부(31)가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릴(25)의 장착 및 분리시에, 낚시인이 너트부재(26)를 조작하더라도 낚싯대 본체(22)의 배트부(31)에 상처 등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보호부(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부(32)와 너트부재(26) 사이에 생기는 간극은, 극히 작아진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간극에의 먼지 등의 침입은 방지되고, 가령 먼지 등이 간극에 침입한 경우라도, 낚싯대 본체(22)가 손상을 받지 않는다.
또, 보호부(32)와 너트부재(26)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없앰으로써, 낚싯대(20) 전체로서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한, 낚싯대(20)의 설계자는,보호부(32)에 원하는 디자인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부(32)에 스텝부(55, 56)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장식적 효과가 가해져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부(32)에 노치부(57, 58) 등이 형성되고, 모양을 가할 수 있다. 또, 보호부(32)에 낚싯대(20)의 스펙 등이 표시되어도 된다. 기타, 여러 가지 베리에이션의 디자인이 실시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32)의 길이 s가 72mm로 설정되어 있고, 이 치수는, 보호부(32)의 최소 치수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너트부재(26)가 상기 고정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어떻게 슬라이드되더라도, 낚싯대 본체(22)와 너트부재(26)가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싯대 본체(22)의 배트부(31)는, 확실하게 보호된다.
또, 보호부(32)가 릴시트 본체(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개로 구성되어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릴시트 본체(33)에 대한 보호부(32)의 위치 결정(특히 중심축선의 일치)가 정확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너트부재(26)가 슬라이드될 때에, 너트부재(26)와 보호부(32)가 복잡해지거나 하는 일이 없어, 너트부재(26)가 원활히 슬라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32)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이나 티탄합금 등에 의해 보호부(32)를 구성해도 된다.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보호부(32)를 구성함으로써, 릴시트(24)가 채용된 낚싯대를 낚시인이 바다 등에서 사용했다고 해도, 보호부(32)가 부식되는 일이 없고, 낚싯대 본체(22)의 배트부(31)는, 장기간에 걸쳐 보호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변형예가 설명된다.
이상의 설명은, 릴(25)로서 베이트 릴이 채용된 경우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을 장착하는 릴시트에 관해서도 적용된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릴시트(61)가 채용된 낚싯대(60)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릴시트(61)는, 스피닝 릴을 장착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릴시트(61)는, 도 1에 나타낸 트리거(41)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릴의 레그부를 고정하기 위한 후드부(62, 63)는, 릴시트(61)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릴시트(61)에 대한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릴시트(24)와 동일하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낚싯대 본체(22)의 배트부가 보호부(32)에 의해 둘러싸여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 보호부(32)가 낚싯대 본체(22)의 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부재(26)가 슬라이드된 경우라도, 너트부재(26)와 배트부가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릴시트 본체에 보호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부가 슬라이드된 경우라도, 너트부와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가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낚시용 릴이 장착 및 분리될 때에,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가 손상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보호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부와 너트부 사이에 간극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보호부와 너트부 사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일이 없고, 가령 먼지가 침입한 경우라도, 직접 낚싯대 본체가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보호부와 너트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낚싯대 전체의 외관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원하는 디자인을 실시해도 된다. 이에 따라, 낚싯대는, 베리에이션의 디자인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2)

  1. 낚싯대 본체의 조인트부가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는 동시에 낚시용 릴이 장착되는 프론트너트형 릴시트에 있어서,
    낚시용 릴의 레그부가 탑재되는 탑재면부 및 상기 탑재면부에 탑재된 낚시용 릴의 레그부의 일단부를 덮는 제1 후드부를 가지는 릴시트 본체와,
    릴시트 본체의 외측에 나사 기구를 사이에 두고 끼워 넣어지고, 상기 탑재면부에 탑재된 낚시용 릴의 레그부의 타단부를 덮을 수 있는 제2 후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후드부가 상기 레그부의 타단부를 덮은 고정위치와 상기 레그부의 타단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너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릴시트 본체는, 상기 낚싯대 본체의 배트부를 둘러싸 유지하는 보호부를 가지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고정위치에 있는 너트부의 단부 보다도 낚싯대 본체의 팁측에 소정 거리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최소한, 상기 너트부의 슬라이드방향의 치수와 너트부가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더한 치수에 대응하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는, 30mm∼200mm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릴시트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릴시트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릴시트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릴시트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릴시트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릴시트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시트.
KR1020020024096A 2001-05-10 2002-05-02 릴시트 KR100849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9721A JP2002330678A (ja) 2001-05-10 2001-05-10 リールシート
JPJP-P-2001-00139721 2001-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231A true KR20020086231A (ko) 2002-11-18
KR100849961B1 KR100849961B1 (ko) 2008-08-01

Family

ID=1898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096A KR100849961B1 (ko) 2001-05-10 2002-05-02 릴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330678A (ko)
KR (1) KR100849961B1 (ko)
CN (1) CN1207962C (ko)
TW (1) TW5246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6550B2 (ja) * 2020-03-27 2023-04-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用リールシート、釣竿用ハンドル部材及び釣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354U (ko) * 1989-12-01 1991-08-13
JP4305581B2 (ja) * 1998-12-08 2009-07-29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JP3662776B2 (ja) * 1999-06-08 2005-06-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リール装着装置
JP2001028975A (ja) * 1999-07-16 2001-02-06 Megabasu Kk 釣り竿
JP2001086905A (ja) * 1999-09-22 2001-04-03 Mamiya Op Co Ltd リール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7962C (zh) 2005-06-29
CN1385066A (zh) 2002-12-18
JP2002330678A (ja) 2002-11-19
KR100849961B1 (ko) 2008-08-01
TW524664B (en) 200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384B1 (ko) 스피닝 릴의 로우터
JPH04222725A (ja) 油圧シリンダのピストン棒のための保護装置
US5291683A (en) Fishing rod
KR100849961B1 (ko) 릴시트
KR920007495Y1 (ko) 욕실용 샤워헤드 연결구
JP2011162002A (ja) 車両用ドアミラー
KR940003091B1 (ko) 산업용 로보트의 케이블 처리구조
JP2019035974A (ja) カメラボディ
JP4925686B2 (ja) 蓋体の枢支構造、及び該構造を具えた電気機器
US6588893B2 (en) Spectacle having no eyewire on rim lens
US5033224A (en) Fishing reel foot fixing device
JP3068726B2 (ja) 釣竿のリールシート取付構造
KR101044822B1 (ko) 낚싯대
KR100947807B1 (ko) 낚싯대
JP3399488B2 (ja) 手 摺
JP2002186386A (ja) リール脚固定装置
KR200387228Y1 (ko) 소리 발생 기능을 구비한 릴 시트
JP3193223B2 (ja) ロックホルダ
JP4313685B2 (ja) 釣竿
JP6955709B2 (ja) サドル
KR0134267Y1 (ko) 마이크로폰의 구조
JP2001025337A (ja) リールシート
KR950005827Y1 (ko) 낚싯대의 리일 시이트
JP3908066B2 (ja) リールシート
JP2017145896A (ja) サ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