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822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822B1
KR101044822B1 KR1020040075765A KR20040075765A KR101044822B1 KR 101044822 B1 KR101044822 B1 KR 101044822B1 KR 1020040075765 A KR1020040075765 A KR 1020040075765A KR 20040075765 A KR20040075765 A KR 20040075765A KR 101044822 B1 KR101044822 B1 KR 10104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
grip
fishing rod
hoo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250A (ko
Inventor
야마나카신이치로
츠치야마유키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5007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싯대의 그립의 구조의 개량. 그립에 설치된 릴 시트부의 구조의 개량에 의하여, 그립의 세경화(細徑化) 실현.
[해결 수단] 이 낚싯대의 그립(12)은 케이싱을 구비한다. 케이싱에 코어 부재(25)가 끼워 넣어지고, 코어 부재(25)에는 슬라이드 부재(41)가 설치된다. 코어 부재(25)에는 낚싯대 본체가 관통 지지된다. 슬라이드 부재(41)는, 후드부(42)를 구비하고 있고, 낚시용 릴의 다리부를 협지(挾持)하는 가동 후드를 구성한다. 후드부(42)는, 계합 볼록부(45)를 가지고, 이것이 코어 부재(25)의 안내홈(39)에 끼워 넣어진다. 슬라이드 부재(41)는, 코어 부재(25)에 설치된 감합(嵌合) 오목부(34)에 끼워 넣어지고,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코어 부재(25)에 맞물릴 수 있다. 환상(環狀) 너트 부재(23)는, 슬라이드 부재(41)와 나사 감합한다.
Figure R1020040075765
낚싯대, 그립, 릴 시트부, 슬라이드 부재, 코어 부재

Description

낚싯대 {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그립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그립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그립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그립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루어용 낚싯대의 구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낚싯대 11 : 낚싯대 본체
12 : 그립 21 : 릴 시트부
22 : 케이싱 23 : 환상 너트 부재
25 : 코어 부재 26 : 고정 너트 부재
27 : 개구부 28 : 시트 부재
30 : 나사 감합부 31 : 유지부
32 : 슬라이드 안내부 33 : 수나사
34 : 감합 오목부 35 : 시트부
36 : 연결부 37 : 가늘고 긴 볼록 줄기
38 : 위치 결정 핀 39 : 안내홈
40 : 고정 후드 41 : 슬라이드 부재
42 : 후드부 43 : 감합편
44 : 오목부 45 : 계합 볼록부
47 : 단부 48 : 수나사
49 : 조작 너트 50 : 연결 고리
51 : 슬라이드판 53 : 체결 너트
54 : 록 너트 56 : 단부
57 : 암나사
본 발명은, 낚싯대 본체 및 이것을 지지하는 그립을 구비한 낚싯대의 구조, 특히 그립에 설치된 릴 시트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루어용 낚싯대 (전형적으로는 이른바 배스 로드 등)의 구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루어용의 낚싯 대(1)는, 낚싯대 본체(2)와, 이것을 지지하는 그립(3)을 구비하고 있고, 이 그립(3)에는, 낚시용 릴(4)이 장착되는 릴 시트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 시트부(5)는, 고정 후드(6) 및 가동 후드(7)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한 쌍의 후드(6, 7)에 의하여 낚시용 릴(4)의 다리부(8)가 협지(挾持)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용 릴(4)은 그립(3)에 고정된다 (특허 문헌 1 참조).
그립(3)에는, 가동 후드(7)가 수용되는 수용실(9)이 설치되어 있고, 이 수용실(9)에 가동 후드(7)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그립(3)에는, 가동 후드(7)를 조작하는 조작링(1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링(10)은 그립(3)에 장착되어 있고, 그립(3)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링(10)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암나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후드(7)에는 수나사(1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나사(12) 및 암나사(11)가 나사 감합(嵌合)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링(10)이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가동 후드(7)는 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이것에 의하여, 낚시용 릴(4)의 다리부(8)가 협지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274812호
이와 같이, 조작링(10)에 의하여 가동 후드(7)가 슬라이드 조작되는 타입의 낚싯대(1)에서는, 그립(3)의 외경 치수(D)가 커져 버린다. 왜냐하면, 그립(3)의 외경 치수(D)는, 낚싯대 본체(2)의 외경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것에 가동 후드(7)의 두께 치수 등이 가산되어 결정되지만, 이 때, 낚싯대 본체(2)의 외경 치수는, 낚싯대 본체(2)의 기계적 강도가 확보되기 위하여 일정치 이상이 확보될 필요 가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그립(3)의 외경 치수의 최소치가 일정 이상으로 제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한편 그립(3)은, 실제 낚시에 있어서 낚시꾼이 파지(把持)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낚시꾼에게 있어서 낚싯대(1)의 조작성이 향상하기 위해서는, 그립(3)의 구조는, 그 외경 치수가 작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립의 구조가 개량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 본체의 강도가 확보되면서 그립의 소경화(小徑化)가 실현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이 달성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릴 시트부를 가지는 그립 및 그립에 전후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지지된 낚싯대 본체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낚시용 릴의 다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開口部)가 설치된 통상(筒狀) 케이싱과, 당해 통상 케이싱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 상기 낚싯대 본체가 관통된 통상의 코어 부재와, 당해 코어 부재의 상기 개구부가 설치된 측의 외주면(外周面)에 접촉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전후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상 케이싱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코어 부재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외주면과 나사 감합하는 환상(環狀) 너트 부재를 가지고, 상기 릴 시트부는, 상기 통상 케이싱의 상기 개구부의 후단측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1 후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 후드부를 가지고, 상기 코어 부재는, 박육화(薄肉化)되는 것에 의하여 외주면에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 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후드부의 상기 감합 오목부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감합편을 가지고 있으며, 당해 감합편은, 상기 감합 오목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후드부가 낚시용 릴의 다리부의 일방측을 수용하는 고정 후드로서 기능하고, 슬라이드 부재가 낚시용 릴의 다리부의 타방측을 수용하는 가동 후드로서 기능한다. 낚시꾼이 환상 너트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환상 너트 부재와 나사 감합하는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하고, 제2 후드부가 제1 후드부에 대하여 근접하여, 이반(離反)한다. 따라서, 제2 후드부가 제1 후드부에 근접했을 때는, 낚시용 릴의 다리부는, 제1 후드부 및 제2 후드부에 의하여 협지되어, 그립에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의 감합편은, 코어 부재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코어 부재의 두께 치수와 슬라이드 부재의 두께 치수와의 합계 치수는, 종래의 것보다도 작아진다. 왜냐하면, 감합 오목부는, 코어 부재가 박육화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어 부재에 관통되는 낚싯대 본체의 외경 치수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라고 하더라도, 슬라이드 부재와 나사 감합하는 환상 너트 부재의 외경 치수가 종래의 것보다도 작아진다.
(2) 상기 제2 후드부에 계합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당해 계합 볼록부가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만 허용된 상태에서 계합하는 슬라이드 안내홈이 상기 코어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계합 볼록부가 상기 슬라이드 안내홈에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코어 부재와 연결된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환상 너트 부재의 전방측 부터 상기 코어 부재의 선단부와 나사 감합하고, 상기 환상 너트를 상기 통상 케이싱 간에 고정하는 고정 너트 부재가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슬라이드 부재는,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코어 부재에 간단하게 끼워 넣어지고, 이 상태에서 환상 너트 부재가 장착된다. 이 환상 너트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나사 감합하기 때문에, 환상 너트 부재가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한다. 또한, 고정 너트 부재가 코어에 나사 감합되는 것에 의하여 환상 너트 부재가 위치 결정 고정된다. 즉, 코어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부재, 환상 너트 부재 및 고정 너트 부재가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이들이 간단하게 조립되고, 분해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2 후드부에 쓰레기 등이 부착한 경우에, 고정 너트 부재가 코어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릴 시트부의 청소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적당한 도면이 참조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정면도이다.
이 낚싯대(10)는 루어용 원피스 타입의 것이고, 낚싯대 본체(11)와, 그 후단부를 지지하는 그립(1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립(12)에는, 릴 시트부(21, 후에 상술)가 설치되어 있다. 릴 시트부(21)는 낚시용 릴의 다리부를 협지하여, 당해 낚시용 릴을 그립(12)에 고정하는 것이다.
낚싯대 본체(11)는, 단일의 봉상(棒狀)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립(12)의 내부에 관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낚싯대 본체(11)는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부재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 본체(11)가 구성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낚싯대 본체(11)는, 기존의 요령으로, 예를 들어, 카본 섬유 강화 수지 (프리프레그)가 소정 형상으로 재단되고, 이것이 통상으로 돌려 감겨지는 것에 의하여, 원통상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 본체(11)에는, 복수의 낚시줄 가이드(13 ~ 20)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낚시줄 가이드(13 ~ 20)는, 상기 릴 시트부(21)가 설치된 측에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낚싯대(10)는, 베이트 릴이 장착되는 타입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10)가 특징으로 하는 점은, 그립(12)의 구조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립(12)은, 그 골격을 구성하는 케이싱(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케이싱(22)에는 상기 낚시용 릴의 다리부를 유지하는 한 쌍의 후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환상 너트 부재(23)가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후드부 (후술의 고정 후드(40) 및 후드부(42))가 상기 다리부를 협지하지만, 이 기구가 후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환상 너트 부재(23)가 소경화되고, 그 결과, 그립(12)의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그립(12)의 확대 사시도이다. 그립(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22) 및 환상 너트 부재(23)를 가지지만, 이 환상 너트 부재(23)와 케이싱(22)과는 분할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도 3은, 그립(12)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환상 너트 부재(23)가 케이싱(22)으로부터 분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립(12)은, 케이싱(22)과, 케이싱(22)의 후단에 설치된 팔꿈치 접촉부(24)와, 케이싱(22)의 전단부측에 끼워 넣어져, 전방으로 돌출된 코어 부재(25)와, 코어 부재(25)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상기 케이싱(22)의 전단에 설치된 환상 너트 부재(23)와, 코어 부재(25)에 나사 감합된 고정 너트 부재(26)를 가진다.
케이싱(2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수지에 의하여 구성되고,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2)의 상부에는 개구부(27)가 설치되어 있고, 낚시용 릴의 다리부는, 이 개구부(27)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개구부(27) 내에는, 시트 부재(28)가 배치되어 있고, 이 시트 부재(28) 상에 낚시용 릴의 다리부가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개구부(27)의 후단에 연속하여 고정 후드(40, 제1 후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후드(40)는, 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낚시용 릴의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은, 이 오목부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덧붙여, 고정 후드(40)의 구체적 형상은 종래의 고정 후드와 같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낚싯대(10)는 베이트 릴이 장착되는 타입이기 때문에, 케이싱(22)의 하부에는, 트리거(2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팔꿈치 접촉부(24)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면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꿈치 접촉부(24)는, 낚시꾼이 낚싯대(10)를 조작할 때에 낚시꾼의 팔꿈치에 접촉되는 곳이고, 낚시꾼은 안정된 낚싯대(10)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도 4는, 그립(12)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에 있어서 코어 부재(25), 환상 너트 부재(23) 및 고정 너트 부재(26)의 분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코어 부재(25)는, 전체로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낚싯대 본체(11)가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코어 부재(25)는, 나사 감합부(30), 유지부(31) 및 슬라이드 안내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코어 부재(25)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나사 감합부(30)는, 코어 부재(25)의 선단부에 의하여 구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감합부(30)는, 고정 너트 부재(26)가 나사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유지부(31)는 코어 부재(25)의 중앙부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3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감합 오목부(34)는, 코어 부재(25)의 중앙부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박육화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안내부(32)는, 코어 부재(25)의 후단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 부재(28, 도 2 참조)와 맞대어진 시트부(35)와, 시트부(35)의 하방에 설치된 연결부(36)를 가진다.
시트부(35)의 상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 부재(28)와 함께 낚시용 릴의 다리부가 놓이는 재치면(載置面)을 구성한다. 연결부(36)는, 코어 부재(25)가 상기 케이싱(22) 및 환상 너트 부재(23)와 확실히 위치 결정 상태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고안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6)는, 그 양측면에 가늘고 긴 볼록 줄기(37)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그 후단 면에 위치 결정 핀(38)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늘고 긴 볼록 줄기(37)는, 환상 너트 부재(23) 측과 계합하는 것과 함께 (도 3 참조), 케이싱(22) 측과 계합한다 (도 2 참조). 또한, 위치 결정 핀(38)은, 케이싱(22)의 소정부에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코어 부재(25)가 케이싱(22)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35)와 연결부(36)와의 경계 부분에는, 안내홈(39, 슬라이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39)은, 시트부(35)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안내홈(39)의 내벽면은, 좌우 방향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내측에 오목하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코어 부재(25)는, 슬라이드 부재(41)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부재(41)는, 후드부(42, 제2 후드부)와, 이것에 연속하여 형성된 감합편(43)을 가진다. 슬라이드 부재(41)는, 코어 부재(25)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부재(41)는, 코어 부재(25)의 상기 시트부(35)가 설치된 측 (상기 케이싱(22)의 상기 개구부(27)가 설치된 측)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다.
후드부(42)는, 후단에 개구를 가지는 오목부(44, 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고, 이 오목부(44)에 상기 낚시용 릴의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이 삽입되고 유지된다. 덧붙여, 이 오목부(44)의 내벽면 형상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후드부(42)에는, 그 양측면에 계합 볼록부(45, 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 볼록부(45)는, 좌우 방향 내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계합 볼록부(45)는, 도 4에 있어서 화살표(46)가 도시하는 방향 (전후 방향)을 따라서 안내홈(39)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후드부(42)는, 안내홈(39)으로 안내되어 전후 방향을 따라서만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합편(43)은, 후드부(42)의 하방측, 즉 후드부(42)의 상기 감합 오목부(34)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41)의 후드부(42)와 감합편(43) 간에는 단부(47, 段部)가 형성되어 있고, 감합편(43)은, 후드부(42)로부터 하방으로 들어가 있다. 감합편(4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상(圓弧狀)으로 만곡된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감합편(43)의 곡률 반경은, 상기 감합 오목부(34)의 저면의 곡률 반경에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후드부(42)가 시트부(35)에 끼워 넣어지면, 감합편(43)은, 코어 부재(25)의 감합 오목부(34)에 끼워 넣어져, 후드부(42)의 슬라이드를 따라서 감합 오목부(34) 내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즉, 슬라이드 부재(41)는, 상기 낚시용 릴의 다리부를 협지하기 위한 가동 후드로서 기능하고, 상기 고정 후드(40, 도 2 참조) 및 슬라이드 부재(41)의 후드부(42)는, 낚시용 릴을 고정하는 릴 시트부(21)를 구성한다. 또한, 감합편(4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48)는, 환상 너트부(23)와 나사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환상 너트 부재(23)는, 조작 너트(49) 및 연결 고리(5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너트(4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암나사(57, 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고리(50)는 조작 너트 (49)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 너트(49)는, 연결 고리(50)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고리(50)에 대하여 조작 너트(49)가 매끄럽게 회전하기 위하여, 연결 고리(50)와 조작 너트(49)와의 경계 부분에 슬라이드판(51)이 개재(介在)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판(51)은,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하여 구성된다. 연결 고리(50)의 내벽면 형상은, 상기 코어 부재(25)의 슬라이드 안내부(32)의 외형면 형상에 대응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고리(50)는, 코어 부재(25)에 간극 없이 끼워 넣어져, 케이싱(22)의 전단에 장착된다 (도 2 참조).
이 때, 조작 너트(49)는, 코어 부재(25)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41)와 나사 감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너트(49)의 암나사(57)가 슬라이드 부재(41)의 수나사(48)와 나사 감합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너트(49)가 회전되면, 슬라이드 부재(41)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슬라이드 부재(41)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는, 후드부(42)가 상기 고정 후드(4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낚시용 릴의 다리부를 협지할 수 있고, 슬라이드 부재(4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는, 후드부(42)가 상기 고정 후드(40)로부터 이반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너트(49)의 외주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는 홈(5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는 홈(52)은, 낚시꾼이 조작 너트(49)를 조작할 때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 너트 부재(26)는, 체결 너트(53) 및 록 너트(54)를 가진다. 체결 너트(5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 부재(25)의 선단측으로부터 당해 코어 부재(25)에 끼워 넣어지고, 코어 부재(25)의 수나사(33)와 나사 감합한다. 체결 너트(53)가 단단히 조여지는 것에 의하여, 환상 너트 부재(23)가 상기 케이싱(22)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록 너트(54)도 똑같이 코어 부재(25)의 상기 수나사(33)와 나사 감합한다. 록 너트(54)를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하여, 체결 너트(53)의 느슨해짐이 방지된다.
도 5는, 그립(12)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확대도이다.
낚싯대(1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낚싯대 본체(11)가 코어 부재(25)의 내부에 관통되고, 코어 부재(25)에 의하여 지지된다. 낚싯대 본체(11)는, 케이싱(22)을 관통하여 팔꿈치 접촉부(24)까지 관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코어 부재(25)에 슬라이드 부재(41)가 접촉된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슬라이드되면서 코어 부재(25)에 끼워 넣어진다. 코어 부재(25)의 선단측으로부터 환상 너트 부재(23)가 끼워 넣어지고, 조작 너트(49)가 슬라이드 부재(41)와 나사 감합한다.
케이싱(22)이 코어 부재(25)의 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코어 부재(25)가 케이싱(22)에 위치 결정되고, 환상 너트 부재(23)의 연결 고리(50)가 케이싱(22)의 전단면에 접촉한다. 체결 너트(53)가 코어 부재(25)의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코어 부재(25)와 나사 감합된다. 체결 너트(53)가 단단히 조여진 후, 록 너트(54)가 코어 부재(25)에 걸려 단단히 조여진다. 덧붙여, 체결 너트(53)와 조작 너트(49) 간 및 록 너트(54)와 체결 너트(53) 간에, 각각 슬라이드판(55)이 개재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너트(49)가 슬라이드 부재(41)와 나사 감합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너트(49)가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후드부(42)가 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낚시용 릴의 다리부는, 상기 고정 후드(40) 및 상기 후드부(42)에 의하여 협지되어, 그립(12)에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41)의 감합편(43)은, 코어 부재(25)의 감합 오목부(34)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코어 부재(25)의 두께 치수와 슬라이드 부재(41)의 두께 치수와의 합계 치수는, 종래의 것보다 작아진다. 즉, 슬라이드 부재(41)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코어 부재(25)의 외경 치수가 종래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코어 부재(25)에 관통되는 낚싯대 본체(11)의 외경 치수가 종래의 것과 같더라도, 슬라이드 부재(41)와 나사 감합하는 조작 너트(49)의 외경 치수가 종래의 것보다도 작아진다. 그 결과, 환상 너트 부재(23)의 외경 치수가 작아지고, 그립(12)이 세경(細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41)는, 코어 부재(25)의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간단하게 끼워 넣어지고, 이 상태에서 환상 너트 부재(23) 및 고정 너트 부재(26)가 장착되기 때문에, 그립(12)의 조립 작업은 용이하다. 슬라이드 부재(41)의 감합편(43)은, 코어 부재(25)의 감합 오목부(34)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41)가 도면 중 우측으로 슬라이드된 경우에는,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1)의 감합편(43)은, 코어 부재(25)의 유지부(31)와 슬라이드 안내부(32)와의 경계 부분에 형성된 단부(56, 段部)에 접촉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41)는, 그립(12)이 분해되지 않는 한 그립(12)으로부터 분리 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고정 너트 부재(26)는, 코어 부재(25)와 나사 감합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코어 부재(25)로부터 간단하게 분해된다. 고정 너트 부재(26)가 분해되는 것에 의하여, 환상 너트 부재(23) 및 슬라이드 부재(41)도 간단하게 분해되기 때문에, 그립(12)의 분해 작업도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후드부(42)의 주변에 쓰레기 등이 부착한 경우에는, 그립(12)이 분해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41)가 분리되기 때문에, 릴 시트부(21)의 청소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41)가 코어 부재(2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것이지만, 슬라이드 부재(41)에 돌출하여 설치된 계합 볼록부(45, 도 4 참조)가 코어 부재(25)에 형성된 안내홈(39)에 끼워 넣어져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41)가 코어 부재(25)의 시트부(35)를 감싸도록 계합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41)는, 시트부(35)에 대하여 위치의 어긋남을 일으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낚시용 릴의 다리부는, 슬라이드 부재(41)의 후드부(42) 및 케이싱(22)의 고정 후드(40)에 의하여 확실히 협지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이 장착되는 타입의 낚싯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의 그립의 환상 너트 부재가 설치된 부분의 외경 치수가 작아지기 때문에, 낚싯대 본체의 강도가 확보되면서 그립의 소경화가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낚시꾼에게 있어서 사용하기 쉬운 낚싯대의 설계가 가능해진다.

Claims (2)

  1. 릴 시트부를 가지는 그립 및 그립에 전후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지지된 낚싯대 본체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낚시용 릴의 다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開口部)가 설치된 통상(筒狀) 케이싱과, 당해 통상 케이싱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 상기 낚싯대 본체가 관통된 통상의 코어 부재와, 당해 코어 부재의 상기 개구부가 설치된 측의 외주면(外周面)에 접촉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전후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상 케이싱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코어 부재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외주면과 나사 감합(嵌合)하는 환상(環狀) 너트 부재를 가지고,
    상기 릴 시트부는,
    상기 통상 케이싱의 상기 개구부의 후단측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1 후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 후드부를 가지고,
    상기 코어 부재는 박육화(薄肉化)되는 것에 의하여 외주면에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후드부의 상기 감합 오목부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감합편(嵌合片)을 가지고 있으며, 당해 감합편은 상기 감합 오목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드부에 계합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당해 계합 볼록부가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만 허용된 상태에서 계합하는 슬라이드 안내홈이 상기 코어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계합 볼록부가 상기 슬라이드 안내홈에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코어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환상 너트 부재의 전방측에서부터 상기 코어 부재의 선단부와 나사 감합하고, 상기 환상 너트를 상기 통상 케이싱 간에 위치 결정하는 고정 너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낚싯대.
KR1020040075765A 2004-01-27 2004-09-22 낚싯대 KR101044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8582A JP4252906B2 (ja) 2004-01-27 2004-01-27 釣竿
JPJP-P-2004-00018582 2004-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250A KR20050077250A (ko) 2005-08-01
KR101044822B1 true KR101044822B1 (ko) 2011-06-30

Family

ID=3487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765A KR101044822B1 (ko) 2004-01-27 2004-09-22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52906B2 (ko)
KR (1) KR101044822B1 (ko)
CN (1) CN100548118C (ko)
TW (1) TWI3126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4771A (en) * 2006-12-13 2008-06-18 Gerry Woodcock A fishing rod handling member
JP5327827B2 (ja) * 2007-08-01 2013-10-30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
CN101375680B (zh) * 2008-10-11 2011-12-21 山东环球渔具股份有限公司 一种钓鱼竿及加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861U (ko) * 1990-05-22 1992-01-31
JPH0435768U (ko) * 1990-07-20 1992-03-25
JP2002017212A (ja) 2000-07-03 2002-01-22 Mamiya Op Co Ltd 釣用リールの取り付け方法、リールシート、釣用リール、及び釣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861U (ko) * 1990-05-22 1992-01-31
JPH0435768U (ko) * 1990-07-20 1992-03-25
JP2002017212A (ja) 2000-07-03 2002-01-22 Mamiya Op Co Ltd 釣用リールの取り付け方法、リールシート、釣用リール、及び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250A (ko) 2005-08-01
TW200524523A (en) 2005-08-01
TWI312660B (en) 2009-08-01
CN100548118C (zh) 2009-10-14
JP4252906B2 (ja) 2009-04-08
CN1647629A (zh) 2005-08-03
JP2005210917A (ja)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42810B2 (ja) リール固定装置
KR101044822B1 (ko) 낚싯대
KR101131803B1 (ko) 낚싯대
KR20020069157A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102062710B1 (ko) 릴 시트용 팜 레스트, 릴 시트, 및 낚싯대
KR20020089203A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5700281B2 (ja) バット及びフィッシングロッド
JP2013146216A (ja) 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に用いるフードユニット
KR101066844B1 (ko) 낚싯대
JP2019146536A (ja) リールシート及びサポートグリップ
JP2013146218A (ja) リールシート
JP691728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カバー部材の取付構造
JP2019154371A (ja) リールシート
JP5662716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バット
KR100947807B1 (ko) 낚싯대
WO2023074406A1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5489959B2 (ja) バット及びフィッシングロッド
JP2011050291A (ja) 魚釣用リール
KR100998892B1 (ko) 낚싯대
JP2007089415A (ja) 釣竿
KR100849961B1 (ko) 릴시트
JP388423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908066B2 (ja) リールシート
KR20240013649A (ko) 낚싯대 핸들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JP2023163560A (ja)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