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740A -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740A
KR20020085740A KR1020010029545A KR20010029545A KR20020085740A KR 20020085740 A KR20020085740 A KR 20020085740A KR 1020010029545 A KR1020010029545 A KR 1020010029545A KR 20010029545 A KR20010029545 A KR 20010029545A KR 20020085740 A KR20020085740 A KR 20020085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loess
solution
och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성
이이림
Original Assignee
최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성 filed Critical 최미성
Priority to KR102001002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5740A/ko
Publication of KR2002008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76Dyeing with mineral dy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성 염료인 황토(loess)를 이용하여 화학염료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친화 적인 황토 염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성능, 즉 원적외선 방사율이 있고, 강한 점력을 이용하여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을 간편하고 쉽게 제거하고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성능을 직물에 염착시키기 위한 황토염재를 개발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미 우수한 성능이 있다고 판단되어 많은 생활용품에 이용되고 있는 황토를 이용하여 의복재료가 되고 있는 면을 카티온화와 같은 선 공정을 거쳐 개질시킨 후 황토염색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오렌지 색상(Orange color)을 나타낼 뿐 아니라 천연염재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환경 친화 적인 염색공정을 이용하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카티온화는 카티온화제의 종류와 개질대상의 구조와 물성과 관계 있으며 염색대상이 셀룰로오스일 경우, 카티온화제의 종류와 개질대상의 구조와 물성뿐 아니라 알카리의 종류와 사용량에도 관계 있으므로 이의 관련 카티온화제의 모든 종류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Loess Dyeing Method for Cotton Fabric}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황토염재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화학적으로 성능이 우수한 황토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염색을 하여 사용케 함으로써 보다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황토염재개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속에서 화학물질 특히 화학염료에 의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현대인의 문제일뿐 아니라 미래의 후세들에게는 더욱 중요한 과제이다.
이로 인해, 화학염료 사용의 증가에 따른 공장의 폐수는 우리주변의 환경을 위협하고 있고 그 심각성이 더해가고 있어 대체용품의 개발이 시급하다. 면직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피부에 존재하는 독소를 없애는 등 기능을 향상시킨 제품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종래에 전통적인 방법인 황토를 물에 풀어 사용한 염재 대신 과학적인 방법에 근거를 두기 위해 60㎛ 채(sieve)에 걸러 불순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염색시 직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입자를 골고루 고르며 염재의 산성도를 조절하기 위해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이 향상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성능이 우수한 황토를 이용하여 면직물을 염색하여 사용함으로서 강한 점력과 원적외선이 방사와 같은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황토염액를 만들기 위해서는 60㎛ 채에 걸러 황토 400g당 증류수 1 ℓ의 비율로 섞어 잘 저은 다음 2주동안 상온에서 방치해 둔다. 황토 염액의 PH를 4∼5로 맞춘다. 실크는 선공정으로, 면은 후공정으로 카티온화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염색의 견뢰도를 높이기 위해 후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에 염색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셀룰로오스 분자에 아민기나 4차 암모늄기를 도입하여 셀룰로오스를 카티온화시킨다. 면섬유에 카티온화를 시키면 염료의 음이온과 섬유간의 친화성이 높아지고 약산성 또는 중성하의 조건에서도 반응염료로 염색이 가능하게 된다. 카티온화제로는 Glycid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Glytac A)과 Chloropropionyl chloride-amine (Lewis, 1993)이 있고 Polyamide-epidhlorohydrin resin (Burkinshaw, 1989), Dimethylene-bis (3-Chloro-2-Hydreopropyltriethyl Ammonium Chloride)등이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카티온화제의 종류와 개질대상의 구조와 물성에 관계가 있으며, 셀룰로오스와 반응할 경우 알칼리 존재하에 처리하며 알칼리의 종류와 사용량에 따라서도 카티온화의 효율과 효과가 달라지며 그 공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욕비는 1:50 (bath ratio), 양이온화제는 3-Chloro-2-Hydreo-propyltriethyl Ammonium Chloride이다.
둘째 양이온화제 제4급 암모늄 염 4%(o.w.b.) + NaOH 1%(o.w.b.) + 조제는 비이온성 침투제인 Clean N-15 2㎖/ℓ를 섞어서 면 시료를 10 × 20cm로 잘라 10분 침지시킨다.
세째 2dip & 2nips 한 다음 70℃에서 3분 건조시킨다.
네째 110℃에서 3분간 열처리한다. 이를 수세하고 5㎖/ℓ의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중화처리한 다음 충분히 수세후 건조시킨다.
다음단계는 황토 염색의 본 공정 단계로서
첫째 황토염재와 시료 욕비는 1:100으로 하여 염료를 만든다.
둘째 30° 까지 온도를 올린 후 시료를 천천히 넣어 잘 저어준다. 실크 직물은 온도를 60° 정도, 면직물은 90 ∼ 10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세째 40분간 침지 및 교반시킨다. 네째 수세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다음단계로는 황토염색후 시료의 후처리 및 염착량 측정하는단계로서
첫째 황산철 (FeSo4)를 3%용액으로 만들어 둔다.
둘째 염색한 시료를 하루동안(24시간) 담권둔 다음 수세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천연염재인 황토는 분해력과 자정력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으며, 6각형의 다공질이며 다량의 탄산칼슘(caco3)를 갖고 있어 강한 점력을 가지며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보이는 특성이 있어 예로부터 건강요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광물성 염료인 황토를 이용하여 면 직물에 적용하여 제품으로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신비한 색상을 도출해 내고,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독소를 제거하는 등 건강을 증진시키는 의복재료를 탄생시킨다.

Claims (1)

  1. 면직물을 이용하는 황토염재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 황토염재의 염착성을 높이기 위한 카티온화 과정; 카티온화 처리 후 황토빛의 색을 도출해내는 염색방법 및 과정; 상기 과정 후 황토빛의 선명도를 높이기위해 직물을 FeSo4, 3%용액에 24시간 동안 직물이 완전히 잠기도록 담궈 색상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염재개발 방법.
KR1020010029545A 2001-05-09 2001-05-09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KR20020085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545A KR20020085740A (ko) 2001-05-09 2001-05-09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545A KR20020085740A (ko) 2001-05-09 2001-05-09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740A true KR20020085740A (ko) 2002-11-16

Family

ID=2770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545A KR20020085740A (ko) 2001-05-09 2001-05-09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7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681B1 (ko) * 2002-04-08 2004-09-22 백미자 황토머드염료제조방법 및 황토머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0452181B1 (ko) * 2002-01-28 2004-10-08 김삼수 황토염료 제조방법
KR100473396B1 (ko) * 2002-02-18 2005-03-08 (주) 수양 임의의 색상을 갖는 기능성 직물 및 그 염색방법
KR100575280B1 (ko) * 2001-11-13 2006-05-02 이호 염료의 결착력이 개선된 황토염료 및 이를 이용한 천연직물 염색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7918A (ja) * 1982-09-27 1984-04-03 Susumu Kaneko 黄土染料およびその浸染法
JPH08176965A (ja) * 1994-12-21 1996-07-09 Hideki Sekine 微粒子化した顔料による染色技法
KR19990007624A (ko) * 1998-10-13 1999-01-25 문상배 천연염료의 염색방법
KR20000043501A (ko) * 1998-12-29 2000-07-15 성주록 황토염색방법
KR100262351B1 (ko) * 1998-01-16 2000-08-01 주병진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KR20000061257A (ko) * 1999-03-25 2000-10-16 최옥자 황토를 이용한 무명의 염색방법
KR100290316B1 (ko) * 1998-07-27 2001-11-22 이준호 황토및갯벌을이용한천연섬유직·편물의콜드패드염색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7918A (ja) * 1982-09-27 1984-04-03 Susumu Kaneko 黄土染料およびその浸染法
JPH08176965A (ja) * 1994-12-21 1996-07-09 Hideki Sekine 微粒子化した顔料による染色技法
KR100262351B1 (ko) * 1998-01-16 2000-08-01 주병진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KR100290316B1 (ko) * 1998-07-27 2001-11-22 이준호 황토및갯벌을이용한천연섬유직·편물의콜드패드염색방법
KR19990007624A (ko) * 1998-10-13 1999-01-25 문상배 천연염료의 염색방법
KR20000043501A (ko) * 1998-12-29 2000-07-15 성주록 황토염색방법
KR20000061257A (ko) * 1999-03-25 2000-10-16 최옥자 황토를 이용한 무명의 염색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80B1 (ko) * 2001-11-13 2006-05-02 이호 염료의 결착력이 개선된 황토염료 및 이를 이용한 천연직물 염색방법
KR100452181B1 (ko) * 2002-01-28 2004-10-08 김삼수 황토염료 제조방법
KR100473396B1 (ko) * 2002-02-18 2005-03-08 (주) 수양 임의의 색상을 갖는 기능성 직물 및 그 염색방법
KR100449681B1 (ko) * 2002-04-08 2004-09-22 백미자 황토머드염료제조방법 및 황토머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11874B (zh) 一种尼龙纤维的染色工艺
DE69233075T2 (de) Faserbehandlung
KR100292986B1 (ko) 천연염료의염색방법
CN104746365A (zh) 一种真丝织物的无盐染色工艺
CN104404791A (zh) 一种纤维素纤维的差异化无盐低碱染色工艺
DE3831464A1 (de) Verfahren zum alkali-freien faerben und bedrucken von cellulosefasern
CN104762828A (zh) 一种化纤的直接染料染色工艺
KR20020085740A (ko)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KR100535320B1 (ko) 천연염료를 이용한 직물류의 염색방법
JP2003049372A (ja) 天然色素によるセルロース繊維製品の染色法
KR100216167B1 (ko) 인디고염료의 염색방법
KR101844917B1 (ko)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JPS5940957B2 (ja) カチオン化セルロ−ズ系繊維染色物の表面処理方法
KR101985468B1 (ko) 멜란지 외관을 가지는 인공피혁의 염색방법
Rehman et al. Eco-friendly dyeing of cellulosic fabric using Direct Red 28 and Direct Blue 15 dyes
CN109371723A (zh) 一种超细纤维面料的制备方法
JP3692475B2 (ja) 繊維製品の斑染め染色方法
JPH11158785A (ja) 染色方法
MX2007005607A (es) Productos textiles teñidos por medio de colorantes cationicos y proceso para su fabricacion.
TURŞUCULAR Congress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KR100447960B1 (ko) 높은 일광견뢰도를 갖는 황백을 이용한 염색방법
JPH054475B2 (ko)
CN115162033A (zh) 一种低资源消耗的活性染料无盐低碱染色方法
JPH07258983A (ja) 銅後処理型反応染料による吸尽染色法及び染色物の後処理法
Ristić et al. CHEMICAL CATIONIZATION OF COTTON FABRIC FOR IMPROVED ABSORPTION OF DIRECT DY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