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351B1 -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 Google Patents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351B1
KR100262351B1 KR1019980001172A KR19980001172A KR100262351B1 KR 100262351 B1 KR100262351 B1 KR 100262351B1 KR 1019980001172 A KR1019980001172 A KR 1019980001172A KR 19980001172 A KR19980001172 A KR 19980001172A KR 100262351 B1 KR100262351 B1 KR 100262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dyeing
dye
dy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5741A (ko
Inventor
구홍림
Original Assignee
주병진
주식회사좋은사람들
구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병진, 주식회사좋은사람들, 구제남 filed Critical 주병진
Priority to KR1019980001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3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76Dyeing with mineral dy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섬유에 대한 황토 입자의 흡착률을 높여줌과 동시에 면섬유용 고착제를 이용하여 섬유 내부에 흡착되어 있는 황토 입자를 견고하게 고착시켜 줌에 의해 일반 염색 제품에 상응하는 높은 세탁 견뢰도를 갖는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황토를 물에 희석/교반한후 순차적인 작은 입자 크기로의 선별과정을 거쳐 미립화 상태의 황토입자만을 함유한 고농도 황토염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황토입자의 흡착율을 높이기 위해 염색될 생지원단을 정련한후 양이온화 상태가 되도록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고농도 황토염료를 10-30%o.w.f.로 물에 희석한후 전처리된 생지원단을 염색조에 투입하고 100-130℃ 사이의 온도에서 염색을 실행한후 냉각후에 온수세하는 염색단계와, 상기 황토 염색된 원단을 면섬유 고착제로 처리하여 흡착된 황토입자를 고착시키는 후처리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본 발명은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섬유에 대한 황토 입자의 흡착률을 높여줌과 동시에 면섬유용 고착제를 이용하여 섬유 내부에 흡착되어 있는 황토 입자를 견고하게 고착시켜 줌에 의해 일반 염색 제품에 상응하는 높은 세탁 견뢰도를 갖는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토는 우리 주변에 널리 산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를 물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면직물을 염착하여 의복 등으로 착용한 바 있다.
이러한 황토의 광물조성은 일반적으로 석영 40-80%, 장석과 운모가 10-20%, 탄산염 광물 5-35%, 실트 2-5%의 조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실트는 감섬석, 인희석, 흑운모, 녹니석, 남정석, 녹렴석, 석류석, 휘석, 금홍석, 규선석, 십자석, 전기석, 지르콘 등과 같은 중광물로 구성되어 있고, 세립은 몬모릴로나이트, 일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등과 같은 점토질 광물이 주성분으로 존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황토의 화학성분을 살펴보면, 실리카(SiO2) 50-60%, 알루미나(Al2O3) 8-12%, 3가 산화철(fe2O3) 2-4%, 2가 산화철(feO) 0.8-1.1%, 산화칼슘(CaO) 4-16%, 산화마그네슘(MgO) 2-6% 및 약 0.5%의 산화티탄(TiO2)과 산화망간(MnO)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10-15%이고, 공극률이 50-55%이나 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라 공극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황토는 상기한 무기질 이외에도 유기물질인 다양한종류의 효소들이 존재하고 있다. 예를들면, 토양의 산화력의 지표로서 알려져 있으며 생물에 대하여 독소를 나타내는 과산화수소(H2O2)를 제거하여 적절한 토양환경을 만들어 주는 카탈라아제, 디페놀옥시다아제, 당을 분해시키는 사카라아제, 단백질의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들어 황토는 상기와 같은 무기물의 작용에 의하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있고, 효소의 작용에 의해 수질개선효과, 치료효과, 미용효과 등 많은 용도가 발견되고 있어 황토로 만든 주택 또는 황토 바닥재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황토 염색방법은 일반적으로 염료가 귀하던 시대에 일반서민이 면직물을 그대로 의복으로 가공하여 착용할 경우 더러움이 쉽게 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황토물에 물들이는 기초적인 염착에 불과한 것이었다. 이경우 염착상태는 얼룩에 의한 염착불량과 세탁 등에 의한 탈색이 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황토 염색방법은 현재의 일반적인 염료를 사용한 염색방법, 즉 염료를 섬유에 부착시켜서 고착화함에 의해 다수회 착용/세탁을 할지라도 변색이 되지 않는 '염색'이란 개념과는 질적인 수준을 달리하고 있다. 그결과 오늘날에 있어서는 값싼 화학염료와 염색기술이 개발되어 종래의 황토 염색방법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최근들어 이러한 종래의 황토 염색방법의 문제점인 탈색과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염착효과를 제공하고자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이 한국공개특허 제97-62180호에 제안되었다.
상기한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염색방법은 황토분을 분리하여 0.005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미세 황토분만을 채취하여 이를 물에 현탁시켜 황토 염욕을 제조하고, 황토염욕을 가열하여 염욕의 온도를 90℃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섬유를 침지시켜 5-10분간 교반함에 의해 황토염착시킨후 염착된 섬유를 건져내어 건조와 세탁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황토분을 이용한 염색방법에 있어서도 황토염색된 섬유의 성능을 시험한 결과 한국공업규격 KS K 0430에 따른 세탁 견뢰도의 변퇴항목이 2-3급 정도의 수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일반적인 면섬유 제품에 요구되는 세탁 견뢰도의 변퇴수준이 4급 정도임을 감안할때 상품화가 어려운 정도의 염색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기술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종래기술은 황토분의 입자 크기를 조절하고, 염색온도를 상승시키며 또한 자연 세척법에 의해 섬유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황토분을 제거하는 방법 등 모두가 '물리적'인 방법만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더욱이 황토입자의 화학적인 물성과 물리적인 구조는 면섬유와 친화력이 없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물리적 방법을 통한 물리적인 결합만으로는 일반 염색 제품에 상응하는 세탁 견뢰도를 갖는 제품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에따라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를 계속한 결과 황토입자는 전기적으로 마이너스(-) 전하를 약하게 띄고 있는 점을 발견하여 원단을 양이온화 전처리하여 황토입자의 흡착률을 높이고 흡착된 황토입자를 면섬유 고착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고착시킴으로써 세탁 견뢰도의 변퇴정도를 획기적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황토 염색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면섬유에 대한 황토 입자의 흡착률을 높여줌과 동시에 면섬유용 고착제를 이용하여 섬유 내부에 흡착되어 있는 황토 입자를 견고하게 고착시켜 줌에 의해 일반 염색 제품에 상응하는 높은 세탁 견뢰도를 갖는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토를 물에 희석/교반한후 순차적인 작은 입자 크기로의 선별과정을 거쳐 미립화 상태의 황토입자만을 함유한 고농도 황토염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황토입자의 흡착율을 높이기 위해 염색될 생지원단을 정련한후 양이온화 상태가 되도록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고농도 황토염료를 10-30%o.w.f.로 물에 희석한후 전처리된 생지원단을 염색조에 투입하고 100-130℃ 사이의 온도에서 염색을 실행한후 냉각후에 온수세하는 염색단계와, 상기 황토 염색된 원단을 면섬유 고착제로 처리하여 흡착된 황토입자를 고착시키는 후처리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황토염료의 흡착율을 획기적으로 높임과 동시에 흡착된 염료가 세탁을 거칠지라도 변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세탁 견뢰도를 가질 수 있는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염색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농도 황토염료의 준비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채취된 황토를 나무뿌리와 입자가 큰 돌맹이 등을 골라서 제거하고, 약 15wt.%의 희석비로 물에 풀어서 적어도 약 60분간 교반하여 둔다.
그후 잘교반된 황토 현탁액을 150μm 매쉬의 표준망채를 사용하여 작은 크기의 풀뿌리, 모래 등을 제거한다. 이어서, 순차적으로 매쉬 크기를 예를들어, 106, 75, 63, 53, 45μm로 낮추면서 황토 현탁액을 걸러 미세 황토입자를 갖는 황토액을 채취하고, 얻어진 황토 현탁액을 초음파 방식의 균질화기(Homogenizer)를 사용함에 의해 황토입자를 미립화 상태가 되도록 초음파 분쇄를 거쳐 고농도 황토염료를 준비한다. 이때 추후 염색단계에서 정확한 희석비율을 쉽게 맞출 수 있게 준비된 황토염료의 순수농도를 측정하여 둔다.
한편, 황토입자의 흡착율을 높이기 위한 생지원단의 전처리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면섬유용 생지원단을 면섬유용 정련제로서 예를들어, 가성소다(NaOH)를 함유한 계면활성제 사이의 액비를 바람직하게는 약 1:10으로 설정된 정련욕에서 정련하여 섬유내의 유지분이나 기타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어서 후수세를 충분히 해주어 섬유중의 불순물과 잔류 계면 활성제를 제거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2회정도의 열탕 처리과정을 거칠 수 있다.
그후 상기한 정련처리에 따라 알카리 상태인 원단을 중화처리 한다음 양이온화제(카치온화제)를 5wt.% 투입하여 PH를 4-6 사이의 약산성이 되도록 맞춘 다음 약 70℃에서 약 30분간 침지하여 양이온화 처리한후 탈수하여 건조시킴에 의해 염색될 원단에 황토염료가 쉽게 흡착될 수 있는 상태로 준비한다.
이러한 염색될 원단의 양이온화 처리는 황토입자가 아주 약한 마이너스 전위를 띄고 있기 때문에 황토 염색단계에서 섬유내에서 황토입자의 흡착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황토의 염색단계는 앞에서 준비된 고농도 황토염료를 10-30% o.w.f.(on the weight of fiber) 범위로 물에 희석한후 초음파로 약 60분간 처리하여 균질화하고, 전처리된 원단을 액비 약 1:10 비율로 가동하면서 분산제를 투입하고 균염성을 확보하기 위해 황토염료를 약 20분간에 걸쳐 서서히 투입한다.
그후 1.5℃/분 속도로 100-130℃ 온도까지 승온하여 고압하에서 적어도 10분간 염색하고 약 70℃까지 냉각한 다음 오버플로우(overflow) 수세를 실시한다. 계속하여 80℃ 열탕 등에서 온수세를 5-6회 정도 실시하여 염액이 맑아질때 까지 실시한다.
끝으로 황토입자를 고착시키기 위한 후처리단계는 먼저 열탕후 소핑제(Soaping)를 투입하여 약 98℃에서 20분간 소핑하고 열탕과 온수세로 미흡착 황토염료를 제거한다.
그후 면섬유 고착제를 3wt.% 투입한후 약 40℃에서 20분간 처리하고 원단을 꺼내어 탈수, 건조시키면 섬유에 흡착되어 있는 황토염료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일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한 염색제품에 상응하는 세탁 견뢰도를 갖는 황토 염색제품이 얻어진다.
한편 상기한 고농도 황토염료를 10%o.w.f. 이하로 물로 희석하는 경우는 염색후 농도가 원하는 정도로 얻어지지 못하며, 30%o.w.f. 이상인 경우에는 염료의 사용량만 낭비할 뿐 염색후 농도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게 되므로 황토염료의 희석농도는 10-30%o.w.f.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온도는 100-130℃ 범위가 적합하다. 그 이유는 100℃ 이하인 경우에는 균염성이 떨어지게 되고, 130℃ 이상인 경우 염색제품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고압을 유지하기 위한 고가의 특수설비가 필요하고, 작업 위험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황토입자의 성질을 고려하여 염색될 원단을 양이온화 전처리함에 의해 황토입자의 흡착률을 높이고 흡착된 황토입자를 면섬유 고착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고착시킴으로써 세탁 견뢰도의 변퇴정도를 획기적으로 끌어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채취된 황토를 나무뿌리와 입자가 큰 돌맹이 등을 골라서 제거하고, 약 15wt.%의 희석비로 물에 풀어서 60분간 교반하여 두었다. 그후 잘교반된 황토 현탁액을 150μm 매쉬의 표준망채를 사용하여 작은 크기의 풀뿌리, 모래 등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순차적으로 매쉬 크기를 106, 75, 63, 53, 45μm로 낮추면서 황토 현탁액을 걸러 미세 황토입자를 갖는 황토 현탁액을 채취하고, 얻어진 황토 현탁액을 초음파 방식의 균질화기(Homogenizer)로 분쇄하여 고농도 황토염료를 준비하였다. 이때 준비된 황토염료의 순수농도를 측정하여 두었다.
한편, CM40s 면사를 이용하여 편직한 니트용 평편직 원단을 가성소다(NaOH)를 포함한 넌이온(nonion) 계면활성제 사이의 액비가 1:10으로 설정된 정련욕에서 98℃에서 60분간 정련하고, 후수세를 충분히 행하였다. 그후 중화처리를 한다음 양이온화제(카치온화제)로서 ALCOfIX 2206 5wt.%를 투입하여 PH를 5로 맞춘 다음 약 70℃에서 30분간 침지한후 탈수하여 건조시킴에 의해 염색될 원단을 준비하였다.
그후 고농도 황토염료를 25%o.w.f.로 물에 희석한후 초음파로 60분간 처리하여 균질화하고, 전처리된 원단을 액비 1:10 비율로 가동하면서 Setamol WS를 분산제로 사용하여 1g/ℓ를 투입하고 황토염료를 20분간에 걸쳐 서서히 투입한다. 그후 1.5℃/분 속도로 110℃ 온도까지 승온하여 고압하에서 40분간 염색하고 70℃까지 냉각한 다음 오버플로우(overflow) 수세를 실시하였다. 계속하여 80℃ 열탕 등에서 온수세를 5회 실시하였다.
끝으로 Nonion 소핑제(Liponox NCI)를 2g/ℓ 투입하여 98℃에서 20분간 소핑하고 열탕과 온수세로 미흡착 황토염료를 제거하였다. 그후 면섬유 고착제로서 Protex GRD를 3wt.% 투입한후 40℃에서 20분간 처리하고 원단을 꺼내어 탈수, 건조시킴에 의해 실시예 1의 면섬유 원단을 염색하였다.
이경우 상기한 실시예 1의 염색방법에서 황토입자의 최적인 크기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황토입자의 크기 만을 4가지로 변경하면서 염색을 진행하여 염색된 원단에 대한 세탁 견뢰도(변퇴)와 처리후 농도를 시험한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이경우 원단을 양이온화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염색을 진행하였다.
황토입자의 크기 조건
입자 크기 처리방법 염색후 농도 세탁 견뢰도(변퇴)(1)
비교예 1 불순물만 제거 2∼3
비교예 2 150μm 이하 표준망체 사용 2∼3
비교예 3 40μm 이하 표준망체 사용 3∼4
비교예 4 10μm 이하 표준망체+분말 분쇄기 사용 3∼4
표 1에서 ◎ : 아주진함, ○ : 진함, △ : 약함을 나타낸다.
상기한 비교예 4에서 사용한 분말 분쇄기는 건식 분쇄기이다.
상기 실험결과 표준망체를 이용하여 입자크기를 40μm 이하로 황토입자를 고르게 채취한 예가 농도와 세탁 견뢰도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도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입자의 크기와 크게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을 양이온화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는 경우 세탁 견뢰도는 모두 유사하게 4 정도의 제품이 얻어지며, 단지 염색후의 농도에만 상기와 같은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의 염색방법에서 염색될 원단의 전처리, 즉 양이온화시키기 위한 카치온화제의 최적 PH 값을 확인하기 위하여 PH 값 만을 약산성, 중성, 약알카리의 3가지로 변경하면서 염색을 진행하여 염색된 원단에 대한 세탁 견뢰도(변퇴)와 염색후 농도를 시험한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카치온화제의 PH 조건
PH 조건 염색후 농도 세탁 견뢰도(변퇴)
본 발명예 PH 4∼6 4
비교예 5 PH 6∼8 3∼4
비교예 6 PH 8∼10 2∼3
표 2에서 ◎ : 아주진함, ○ : 진함, △ : 약함을 나타낸다.
상기 실험결과 카치온화제 사용시 PH 조건을 약산성으로 처리한 본 발명예가 염색후 농도와 세탁 견뢰도(변퇴)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도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황토염료가 약한 마이너스 전위를 띄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의 염색방법에서 황토염색시의 염색온도에 대한 최적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색온도 만을 4가지로 변경하면서 염색을 진행하여 염색된 원단에 대한 염색후 농도와 균염성을 시험한후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염색온도 조건
염색온도 염색후 농도 균염성 비 고
비교예 7 60℃ 이하
비교예 8 60℃∼100℃
본 발명예1 100℃∼120℃ 고압용기 필요
본 발명예2 120℃ 이상 고압용기 필요
표 3의 염색 농도에서 ○ : 보통, ◎ : 진함
또한 표 3의 균염성에서 △ : 불균염되기 쉬움, ○ : 보통, ◎ : 균염성 좋음을 나타낸다.
상기 실험결과 염색온도를 100℃ 이상의 온도로 염색해 주는 것이 균염성 측명에서 유리하나, 그이상의 온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단, 10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밀폐용기하에서 압을 걸어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염색하되, 다만 원단의 양이온화를 위한 전처리시에 PH를 6으로 설정하고, 고농도 황토염료의 물에 대한 희석비율을 12%o.w.f.로 맞추며, 염색온도를 130℃로 설정한 상태에서 염색을 진행하여 세탁 견뢰도와 마찰 견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종래예 1
상기한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97-62180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원단을 양이온화시키는 전처리 공정과 황토염료를 고착시키는 후처리 공정을 진행하는 것 없이 염색을 실시하고 염색된 원단에 대한 세탁 견뢰도와 마찰 견뢰도를 시험하여 시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상기한 실시예 1의 염색방법에서 면섬유 원단을 양이온화시키는 전처리 공정만 생략하고 염색을 진행한후 염색된 원단에 대한 세탁 견뢰도와 마찰 견뢰도를 시험하여 시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0
상기한 실시예 1의 염색방법에서 염색된 원단의 황토염료를 고착시키는 후처리 공정만 생략하고 염색을 진행한후 염색된 원단에 대한 세탁 견뢰도와 마찰 견뢰도를 시험하여 시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한 염색된 원단에 대한 세탁 견뢰도는 한국공업규격 KSK-430(A-1)에 따라 시험하고, 마찰 견뢰도는 한국공업규격 KSK-650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료명 세탁 견뢰도 마찰 견뢰도
변 퇴 오 염
실시예 1 4∼5 4∼5 4∼5 4∼5
실시예 2 4∼5 4∼5 4∼5 4∼5
종래예 1 2∼3 4∼5 3 2
비교예 9 3∼4 4∼5 3∼4 3
비교예 10 3∼4 4∼5 3 3
상기한 종래예 1에 따라 0.005mm 정도의 입도를 갖는 황토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하는 경우 황토의 흡착율을 높이기 위한 전처리가 없어 황토의 흡착율이 떨어지고 흡착된 황토염료는 이를 고착시켜주는 후처리가 없어 세탁을 진행함에 따라 변퇴가 크게 진행하여 세탁 견뢰도는 실용화가 불가능한 매우 낮은 2-3급 정도에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9 및 비교예 10의 실험결과를 판단할 때 황토의 흡착율을 높이기 위한 전처리 또는 흡착된 황토염료를 고착시켜주는 후처리 중의 어느 하나를 생략하는 경우에도 세탁 견뢰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황토의 흡착율을 높이기 위한 전처리와 흡착된 황토염료를 고착시켜주는 후처리를 모두 실시하여 염색을 진행한 경우에는 세탁 견뢰도 및 마찰 견뢰도가 모두 상용화가 가능한 4∼5급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실험 결과 세탁 견뢰도의 오염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나 비교예 모두 문제가 되지 않는 4∼5급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토입자가 원래 섬유와의 친화력이 없기 때문에 염색후에 후수세를 충분하게 해주면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한 종래예 1에 따른 종래의 수비법 또는 바람에 의한 분리방법에 의해 황토분을 준비할때 얻어지는 입도 0.005mm 이하의 황토분은 3-5% 정도만을 얻을 수 있고 95-97% 정도의 황토는 로스처리되어 황토염료의 처리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황토염료의 준비방법으로 준비하는 경우 약 30% 정도의 황토 정제율을 나타내어 종래에 비하여 황토염료의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었고, 이는 황토의 흡착율과 염색후 농도 및 세탁 견뢰도를 증가시키는데 일조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표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실험결과 면제품의 경우가 합성섬유 보다 염착 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면제품에 있어서도 신축성이 있는 면편직물이 면직물 보다 상대적으로 염착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황토입자의 성질을 고려하여 염색될 원단을 양이온화 전처리함에 의해 황토입자의 흡착률을 높이고 흡착된 황토입자를 면섬유 고착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고착시킴으로써 세탁 견뢰도의 변퇴정도를 획기적으로 끌어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염색될 원단을 황토염료에 침지하여 황토입자를 염착시키는 황토를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에 있어서, 염색될 생지원단을 정련한 후 수세를 거쳐 중화처리하고 약산성상태로 맞추어 양이온화 상태가 되도록 전처리하여 황토염료를 10-30 o.w.f.%로 물에 희석한 후 상기 전처리된 생지원단을 염색조에 투입하고 100-130℃ 사이의 온도에서 염색을 실행한 후 냉각 후에 온수세한 다음, 상기 황토 염색된 원단을 면섬유 고착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분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처리는 카치온화제를 투입하여 염색될 원단을 pH 4-6의 약산성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처리는 고온 소핑과 온수세로 미흡착 황토염료를 제거한 후 면섬유 고착제를 약 3wt.% 투입한 후 약 40℃에서 약 20분간 처리하고 원단을 꺼내어 탈수,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KR1019980001172A 1998-01-16 1998-01-16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KR10026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172A KR100262351B1 (ko) 1998-01-16 1998-01-16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172A KR100262351B1 (ko) 1998-01-16 1998-01-16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741A KR19990065741A (ko) 1999-08-05
KR100262351B1 true KR100262351B1 (ko) 2000-08-01

Family

ID=1953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172A KR100262351B1 (ko) 1998-01-16 1998-01-16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3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486B1 (ko) * 1999-11-18 2002-05-30 정재만 천연안료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방법
KR20020085740A (ko) * 2001-05-09 2002-11-16 최미성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KR100488215B1 (ko) * 2001-11-01 2005-05-09 한승희 광물질을 함유하는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되는 염색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84694B1 (ko) * 2013-08-20 2014-04-14 동원염직 주식회사 염색한 피염물의 황토 및 감물의 복합 후가공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316B1 (ko) * 1998-07-27 2001-11-22 이준호 황토및갯벌을이용한천연섬유직·편물의콜드패드염색방법
KR100292986B1 (ko) * 1998-10-13 2001-11-22 박준하 천연염료의염색방법
KR100301998B1 (ko) * 1999-03-25 2001-09-13 최옥자 황토를 이용한 무명의 염색방법
KR100335594B1 (ko) * 1999-09-14 2002-05-08 박윤만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천연착색제로 염색된 면소재의 의복 및 그의 염색방법
KR20010028621A (ko) * 1999-09-22 2001-04-06 이명학 직물 염색방법
KR100428853B1 (ko) * 2001-03-08 2004-04-29 최창용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주성분으로 한 섬유 염색방법
KR100452181B1 (ko) * 2002-01-28 2004-10-08 김삼수 황토염료 제조방법
KR20030079109A (ko) * 2002-04-01 2003-10-10 황계운 내세탁 영구기능의 면기저귀용 황토직물의 제조방법.
KR100449681B1 (ko) * 2002-04-08 2004-09-22 백미자 황토머드염료제조방법 및 황토머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KR20030082658A (ko) * 2002-04-17 2003-10-23 황계운 내세탁 영구 기능의 면손수건용 황토직물의 제조방법.
KR20040024322A (ko) * 2002-09-13 2004-03-20 이수환 황토염색된 커버내에 옥이 내장되게 한 방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486B1 (ko) * 1999-11-18 2002-05-30 정재만 천연안료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방법
KR20020085740A (ko) * 2001-05-09 2002-11-16 최미성 황토를 이용한 염재개발
KR100488215B1 (ko) * 2001-11-01 2005-05-09 한승희 광물질을 함유하는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되는 염색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84694B1 (ko) * 2013-08-20 2014-04-14 동원염직 주식회사 염색한 피염물의 황토 및 감물의 복합 후가공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741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351B1 (ko) 황토분을이용한섬유의염색방법
CN109652988B (zh) 一种用于改善牛仔服装水洗效果的复合酶制剂及其应用
KR101342144B1 (ko) 헴프사 함유 천연직물의 염색가공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직물 및 그를 이용한 의류제품
CN103952918A (zh) 棉针织物生物酶冷轧堆短流程平幅连续练漂染生产工艺
Erdem et al. Ultrasonic-bioscouring and ozone based bleaching of cotton slivers and coloration of them with natural dye sources
Rocky Comparison of effectiveness between conventional scouring & bio-scouring on cotton fabrics
KR100513084B1 (ko) 셀룰로우스 직물의 염색 및 마무리 방법
WO2018003600A1 (ja) 藍染め方法及び藍染め製品の製造方法
CN112981988A (zh) 一种茜草植物染料的羊毛染色方法
CN107287935A (zh) 一种提高天然染料染色性能的方法
KR100785827B1 (ko) 효소 정련을 이용한 친환경 타월 및 그 제조방법
KR100352240B1 (ko) 쑥을 이용한 섬유 염색방법 및 그 제품
KR101384694B1 (ko) 염색한 피염물의 황토 및 감물의 복합 후가공 처리방법
KR100321991B1 (ko) 황토염료제조방법 및 황토염료를 이용한 천연섬유염색방법
JP3268553B2 (ja) セルロース系繊維の加工方法
KR100861715B1 (ko) 물세탁이 가능한 실크 소재의 유연제 처리방법
KR101912653B1 (ko) 저온감압농축방법을 이용한 괴화 활용 천연염색 방법
Patra et al. Wet pretreatment of linen by enzyme and alternative bleaching techniques
CN111335047A (zh) 一种新型一浴可染还原染料及其染色的方法
RU247190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хлопчатобумажной ткани техн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 комплексом защитных свойств от кислот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EP1655409A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mit Silber beladenen Textilsubstraten
US11898307B2 (en) Environmentally dyeing process for cellulosic products
KR101152909B1 (ko) 염색기계를 이용한 황토 천연 염색 방법
Babu Investigating aqueous extract of banana peel on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ma treated cellulose fabrics for medical applications
KR101912655B1 (ko) 저온감압농축방법을 이용한 무환자나무 활용 천연염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