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827A - 와이어 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와이어 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827A
KR20020084827A KR1020020024353A KR20020024353A KR20020084827A KR 20020084827 A KR20020084827 A KR 20020084827A KR 1020020024353 A KR1020020024353 A KR 1020020024353A KR 20020024353 A KR20020024353 A KR 20020024353A KR 20020084827 A KR20020084827 A KR 20020084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leeve
channels
channel
mold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니히그레고르
페쉬안드레아스
빌데위르겐
보일헬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8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8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3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forced in a tortuous or curved path, e.g. knots i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xygen Concentration In Cel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 내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5)을 갖는 성형체(12) 및 상기 관통 채널(15)을 관통하는 와이어(14)를 포함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14)에 작용하는 높은 드로잉력을 수용할 수 있으며 드로잉에 대해 내성을 갖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와이어(14)를 관통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6)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성형체(13)가, 관통 채널(15, 16)을 관통하는 와이어(14)의 관통 길이가 적어도 2 번 구부러지도록 하우징(11) 내에서 제 1 성형체(12) 뒤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와이어 관통 슬리브{Wire through sleev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람다 프로브와 같은 가스 센서를 위한 종래 케이블 관통 슬리브(DE 195 42 650 A1)의 경우, 센서 소자의 연결부측 단부 섹션에 콘택이 제공되며 상기 콘택은 이부재로 된 플러그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플러그에는 각각 하나의 크림프 콘택을 갖는 콘택부가 있다. 크림프 콘택은 연결 케이블과 전기,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 관통 슬리브는 크림프 콘택을 수용하는 원통형 관통 슬리브를 갖는 성형체를 포함한다. 케이블 관통 슬리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연결 케이블이 성형체 내의 원통형 관통 슬리브를 따라 안내되고, 해당 콘택부의 크림프 콘택과 연결된다. 크림프 콘택은 관통 슬리브 내로 다시 이동되므로, 크림프 콘택은 성형체 내에 통합된다. 이로써 성형체는 연결 케이블을 위한 인장 경감부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된다. 성형체가 가열되면, 성형체와 케이블 절연재는 팽창되고,경우에 따라 있을 수 있는 케이블 절연재를 둘러싼 환형 갭은 폐쇄된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높은 드로잉력을 견딜 수 있는 와이어가 저렴한 제조 및 조립 비용으로 고정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하게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두 개의 성형체만 있으면 된다. 이때 성형체는 변형되지 않은 와이어 위로 한 방향으로 끼워지며, 상기 와이어는, 마찰 결합 및/또는 포지티브 결합을 통해 와이어의 드로잉에 대해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접합시 고정 및/또는 변형된다. 재료의 특성에 따라 두 개의 성형체 중 적어도 하나는 부가적으로 밀봉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청구항에 기술된 방법을 통해 제 1 항에 기재된 와이어 관통 슬리브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 및 개선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 성형체 내의 관통 채널들은 성형체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각 성형체에 할당된 관통 채널들은 각 성형체의 축으로부터 동일한 반경 방향 간격을 포함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된다. 이때 동일하게 제조된 성형체의 상대적 회전을 통해 관통 채널들은 오프셋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성형체는 한 가지 유형으로만 제작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은 더욱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굽혀지거나 방향이 바뀐 와이어에 의해 초기 응력을 받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성형체들을 고정하기 위해 성형체의외부 구조는 각진, 특히 육각형으로 제작되고, 하우징의 횡단면의 외부 윤곽도 이에 상응하게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는 주로 차량용 가스 센서, 예컨대 람다 프로브 등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가스 센서는 센서 소자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싱, 센서 케이싱에 고정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내로 안내되고 상기 센서 소자와 접촉하는, 연결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도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선은 연결관의 하나의 단부으로 들어가서, 연결관의 다른 하나의 단부로 나온다. 연결 케이블을 뽑는 드로잉력에 견디도록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는 연결관의 유입측 단부와 배출측 단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도 2의 I-I 선상에서 절취한 와이어 관통 슬리브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상에서 절취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4의 III-III 선상에서 절취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선상에서 절취한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와이어 관통 슬리브의 또 다른 세 가지 실시예의, 도 4와 동일한 종단면도.
도 8은 케이블 관통 슬리브로 설계된 와이어 관통 슬리브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X - IX 선상에서 절취한 종단면도.
도 10은 도 3, 4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 및, 도 8, 9에 따른 케이블 관통 슬리브가 설치된 차량용 가스 센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우징 12, 13: 성형체
14: 와이어 15, 16: 관통 채널
17: 비딩 부분 19: 코킹 부분
20: 연결 케이블 21: 도선
22: 케이블 피복 23: 센서 소자
24: 센서 케이싱 25: 연결관
26: 콘택트 홀더 151, 152, 161, 162: 개구
251: 유입측 단부 252: 배출측 단부
도 1과 도 2에 상이한 단면도로 도시된, 드로잉력에 내성을 갖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는 관 모양의 하우징(11), 하우징(11) 내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고정된 두 개의 성형체(12, 13) 및 상기 성형체(12, 13)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14)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의 실시예에서 3 개의 와이어(14, 14', 14")가 성형체(12, 13)를 관통한다. 와이어(14, 14', 14")가 관통하도록 각 성형체(12 내지 13)는 하나의 관통 채널(15 내지 16)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각 성형체(12 또는 13) 내에 3 개의 관통 채널(15, 15', 15" 내지 16, 16', 16")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성형체(12 내지 13) 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모든 관통 채널(한편으로는 15, 15', 15", 다른 한편으로는 16, 16', 16")이 동일하게 제조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관통 채널(15, 16)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기술된 내용은 관통 채널(15', 15" 또는 16', 1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성형체(12, 13)에 할당된 관통 채널(15, 16)을 관통하는 와이어(14)의 길이가 적어도 2 번 구부러지도록, 성형체(12, 13) 내에 관통 채널(15, 16)이 배치되고, 하우징(11) 내에 성형체(12, 13)가 배치된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성형체(12, 13)를, 관통하는 와이어(14)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굽힐 때 각기 반대 방향으로 굽힌다. 즉, 와이어를 처음에 우측으로 굽혔다면, 다음에는 좌측으로 굽히고, 또는 그 반대로 한다. 이를 위해 개구(151, 152 내지 161, 162)가 성형체(12, 13)에서 반대편 정면으로 이어지는 관통 채널(15, 16)은, 최소한 두 관통 채널(15, 16)의 서로 마주 보는 개구(152, 161)가 오프셋되도록 제작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성형체(12) 내의 하나의 관통 채널(15)이 성형체(1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성형체(13)에 할당된 관통 채널(16)은 성형체(13)의 축에 대해 기울어지게 연장된다. 도 2에서는 축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채널(15)의 개구(151)만 도시된다. 기울어진 관통 채널(16)의 도시되지 않은 개구(161, 162)는 점선으로 도시된다.
상기 와이어 관통 슬리브를 제조하기 위해, 성형체(12, 13)의 관통 채널(15, 16)은 변형되지 않은 와이어(14) 위로 한 방향으로 (이에 따라 관통 채널(15'와 16')은 와이어(14') 위로, 관통 채널(15"와 16")은 와이어(14") 위로) 끼워지고, 성형체(12, 13)는 관 모양의 하우징(11) 내에 삽입된다. 외측에 놓이는성형체(12)가 하우징(11)의 단부 부분과 비딩(beading)(17) 처리됨으로써 성형체(12, 13)는 하우징(11) 내에 고정된다.
상기 성형체(12)를 하우징(11)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14)(와이어(14'와 14") 역시)는 상반된 방향으로 2 번 구부러지고, 그 결과 와이어(14)와 성형체(12, 13) 간의 마찰 결합 및/또는 포지티브 결합을 통해 화살표(18) 방향으로의 와이어(14) 드로잉이 차단되면서, 상당한 드로잉력이 흡수된다.
도 3과 도 4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의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와이어(14, 14')가 고정되어 드로잉력에 저항한다. 하기의 설명 역시 와이어(14)에 국한되지만, 와이어(1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여기서도 성형체(12, 13) 내에 할당된 관통 채널(15와 16)은, 두 관통 채널(15, 16)의 서로 마주 보는 개구(152와 161)가 서로를 향해 오프셋되도록 배열된다. 관통 채널(15, 16)은 각 성형체(12 내지 13)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각 관통 채널(15 내지 16)은 성형체(12 내지 13)의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두 성형체(12, 13) 내의 반경 방향 간격은 서로 다르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드로잉에 내성을 갖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의 또 다른 실시예 가운데 세 가지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단면은 도 4의 단면과 동일하다. 상기 와이어 관통 슬리브는, 각기 4 개의 와이어(14)가 드로잉에 내성을 갖도록 통과됨에 따라 각 성형체(12, 13)는 4 개의 관통 채널(15 내지 16)을 포함한다. 단면도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성형체(12) 뒤에 놓인 성형체(13) 내부의 관통 채널들(16)이 도 5 - 7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세 가지 실시예에 제시된 관통채널들(15, 16)은 모두 각 성형체(12 내지 13)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도고, 따라서 성형체(12, 13)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각 성형체(12, 13) 내의 관통 채널(15 내지 16)은 부분 원 위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각 성형체(12, 13) 내의 부분 원은 직경이 같다. 그러나 와이어(14)가 관통되는 서로 할당된 관통 채널(15, 16)이 서로에 가깝게 오프셋되도록, 부분 원 위에 각각 위치한 관통 채널(15 내지 16)의 서로간의 거리는 두 개의 부분 원에서 상이하게 선택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도 성형체(12, 13) 내의 관통 채널(15, 16)은 동일하게 배치되는데, 도 6과 달리 두 성형체(12, 13) 내에 있는 부분 원의 직경이 다르다. 따라서 와이어(14)를 통과시키기 위해 서로 할당된 관통 채널(15, 16)은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다시 성형체(12, 13) 내부의 관통 채널(15, 16)이 성형체(12, 13)의 축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여기서 관통 채널(15)은 관통 채널(16)을 향해 임의로 오프셋된 채 배치된다.
도 8과 9에 도시한 와이어 관통 슬리브는 최소한 하나의 전기 연결 회선(20)을 위한, 드로잉에 내성을 갖는 케이블 관통 슬리브로서 제조된 것이다. 케이블 관통 슬리브의 하우징(11)은 육각형의 외부 윤곽을 가진 횡단면을 갖는다. 하우징(11) 내에는 재차 두 개의 성형체(12, 13)가 수용되며, 이때 외측의 성형체(12)는 바이턴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제작되어 실의 기능도 겸하고, 내측의 성형체(13)는 PTFE와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다. 각 성형체(12, 13) 내에는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5 내지 16)이 삽입된다. 도 8과 9의 실시예에서는 각 성형체(12, 13) 내에 총 5 개의 관통 채널(15 내지 16)이 하나의 부분 원 위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두 성형체(12, 13) 내의 부분 원들은 직경은 같다. 성형체(12, 13)의 외부 윤곽은 하우징(11)의 횡단면에 꼭 맞는 육각형이다. 연결 케이블(20)은 도선(21) 및 도선(21)을 둘러싼 케이블 피복(22)을 포함한다. 특정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연결 케이블(20)이 외측 성형체(12)를 관통한 후 연결 케이블(20)에서 절연재가 제거됨으로써 도선(21)만 내측 성형체(13) 내의 관통 채널(16)이 관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관통 채널(15와 16)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제조된다.
드로잉에 내성을 갖는 케이블 관통 슬리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외측 성형체(12) 내의 관통 채널(15)은 케이블 피복(22)의 일부를, 그리고 성형체(13) 내의 관통 채널(16)은 연결 케이블(20)의 도선(21)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두 개의 성형체(12, 13)는 연결 케이블(20) 위에 끼워진다. 두 개의 성형체(12, 13)는 60°만큼 서로 회전되어 육각형의 하우징(11) 내로 포지티브 결합이 되도록 끼워진다. 이어 하우징(11)은 성형체(12, 13) 내로 코킹된다. 도 9에는 코킹된 부분이 19로 표시된다. 두 성형체(12, 13)를 서로 마주 회전시키면 관통 채널(15, 16)은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연결 케이블(20)은 두 성형체(12, 13)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2 회 구부러진다. 그 결과 연결 케이블(20)이 끼어서 움직이지 않는 채로 변형됨으로써 마찰 결합 및/또는 포지티브 결합에 의해 연결 케이블(20)은 화살표 방향(18)으로의 드로잉 대해 차단된다. 물론 두성형체(12, 13) 내부의 관통 채널(15와 16)은 직경이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두 성형체(12, 13)는 동일하게 제작됨으로써 제작비가 절감된다. 두 성형체(12, 13)를 동일한 재료로 제작하면 케이블 관통 슬리브마다 동일한 성형체를 두 번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차량용 가스 센서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는 도 2와 3의 와이어 관통 슬리브 뿐만 아니라 도 8과 9의 케이블 관통 슬리브도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람다 프로브와 같은 가스 센서는 센서 소자(23)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싱(24)을 포함하는데, 센서 케이싱(24)은 도 10에서는 그 중 하나 밖에 볼 수 없지만 두 개의 연결 케이블(20)에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케이블(20)은 하나의 도선(21) 및 도선(21)을 절연하면서 둘러싸는 케이블 피복(22)을 포함한다. 절연재를 제거한, 연결 케이블(20)의 도선들(21)은 센서 케이싱(24)에 고정된 연결관(25) 내로 안내된다. 각 연결 케이블(20)은 연결관(25)의 하나의 단부, 즉, 유입측 단부(251)으로 들어가고, 절연재를 제거한, 연결 케이블(20)의 도선(21)은 연결관(25)의 다른 하나의 단부, 즉, 배출측 단부(252)를 통해 연결관(25)으로부터 나온다. 각 연결 케이블(21)의 단부면은 센서 케이싱(24) 안에 배치된 콘택트 홀더(26)와 연결되어 있다. 콘택트 홀더(26) 내에서 센서 소자(23)는 두 개의 도선(21)과 접촉한다. 도 8과 9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유입측 단부(251)에서 각 연결 케이블(20)이 성형체(12, 13)에 의해 화살표 방향(18)으로의 드로잉에 대해 보호된다. 배출측 단부(252)에서는 도 3과 4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 케이블(20)의 각 도선(21)이 동일한 인장 방향으로의 드로잉에 대해 보호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와이어 관통 슬리브의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드로잉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동일하거나 비슷한 구조를 가진 제 3의 성형체를 설치해서 와이어를 한 번 더 굽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 2 성형체의 배출측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굽힐 수 있고, 그런 다음 제 3 성형체를 도입할 때 그 반대 방향으로 굽힘으로써, 성형체가 두 개 밖에 없는 상기 실시예들에서처럼 한편으로는 제 1 , 제 2 성형체를 관통하는 와이어의 길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제 3 성형체를 관통하는 와이어의 길이에 포함된 굽은 부분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높은 드로잉력을 견딜 수 있는 와이어가 저렴한 제조 및 조립 비용으로 고정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 성형체 내의 관통 채널들은 성형체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각 성형체에 할당된 관통 채널들은 각 성형체의 축으로부터 동일한 반경 방향 간격을 포함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된다. 이때 동일하게 제조된 성형체의 상대적 회전을 통해 관통 채널들은 오프셋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성형체는 한 가지 유형으로만 제작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은 더욱 절감될 수 있다.

Claims (16)

  1.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 내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5)을 갖는 성형체(12) 및 관통 채널(15)을 관통하는 와이어(14)를 포함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
    와이어(14)를 관통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6)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성형체(13)는, 관통 채널(15, 16)을 관통하는 와이어(14)의 관통 길이가 적어도 2 번 구부러지도록 하우징(11) 내에서 제 1 성형체(12) 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성형체(12, 13)에 걸쳐 연장된 와이어(14)의 길이에 포함된 만곡부는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채널(15, 16)은 최소한 서로 마주 보는, 관통 채널(15, 16)의 개구(152, 161)가 서로 오프셋되도록, 성형체(12, 13)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성형체(12)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5)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한 성형체(13) 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6)은 상기 성형체(13)의 축에 대해 기울어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채널(15, 16)은 각 성형체(12, 13)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성형체(12)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5)은 성형체(12)의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간격을 가지며, 상기 반경 방향 간격은 다른 성형체(13) 내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채널(16)의 다른 성형체(13)의 축 에 대한 반경 방향 간격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7. 제 6 항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 채널(15, 16)의 경우, 성형체(12, 13) 내의 관통 채널(15, 16)은 각각 하나의 부분 원 위에 배열되며, 상기 부분 원은 상이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12, 13) 내에 할당된 관통 채널(15, 16)은 각각의 성형체(12, 13)의 축으로부터 동일한 반경 방향 간격을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9. 제 8 항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 채널(15, 16)의 경우, 양 성형체(12, 13) 내의 관통 채널(15, 16)은 각각 하나의 부분 원 위에 배열되며, 상기 부분 원은 직경이 동일하고, 상기 관통 채널(15, 16)의 배열에 대해서 일정한 각 만큼 서로 회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10. 제 8 항 또는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채널(15 , 16)은 상기 성형체(12, 13)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12, 13)는 각진, 특히 육각형의 외부 윤곽를 가지며, 하우징(11)은 이에 상응하는 횡단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12. 제 1 항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12, 13)는 하우징(11)이 코킹 또는 비딩 처리됨으로써, 하우징(11)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13. 제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4)가 센서 소자(23)로 안내되는 연결 케이블(20)의 도선(2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센서 소자(23)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싱(24)과 연결된 연결관(25)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와이어 관통 슬리브가 센서 소자(23)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특히차량용 가스 센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성형체(12)는 엘라스토머로, 다른 성형체(13)는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관통 슬리브.
  15. 센서 소자(23)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싱(24), 상기 센서 케이싱(24)에 고정된 연결관(25) 및 상기 연결관(25) 내로 안내되고 상기 센서 소자(23)와 접촉하는, 연결 케이블(20)의 적어도 하나의 도선(21)을 포함하며, 상기 도선(21)은 연결관(25)의 하나의 단부에서 연결관(25) 내로 도입되고, 연결관(25)의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는 상기 연결관(25)으로부터 나오는 차량용 가스 센서, 특히 람다 프로브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어 관통 슬리브가, 드로잉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상기 도선(21)을 연결관(25) 내에 고정하기 위해 한 번은 연결관(25)의 유입측 단부(252)에, 또 한 번은 연결관(25)의 배출측 단부(25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관통 슬리브가 상기 연결관(25)의 유입측 단부(251)에 배열된 경우, 외측의 성형체(12)는 바이턴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내측의 성형체(13)는 PTFE와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KR1020020024353A 2001-05-05 2002-05-03 와이어 관통 슬리브 KR20020084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1890.7 2001-05-05
DE10121890A DE10121890A1 (de) 2001-05-05 2001-05-05 Drahtdurchfüh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827A true KR20020084827A (ko) 2002-11-11

Family

ID=768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353A KR20020084827A (ko) 2001-05-05 2002-05-03 와이어 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050224A (ko)
KR (1) KR20020084827A (ko)
BR (1) BR0201628A (ko)
DE (1) DE10121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7771B3 (de) * 2005-06-15 2006-11-30 Pflitsch Gmbh & Co. Kg Dichtkörper für Kabeldurchführungen
DE102008022052A1 (de) 2008-05-03 2009-11-26 Lumberg Connect Gmbh Anschlussdose, insbesondere für Solarmodule
DE102008022742A1 (de) * 2008-05-08 2009-11-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druckdichten Durchführung elektrischer Leitungen sowie Feldgerät zur Prozessinstrumentierung mit einer derartigen Anordnung
DE102011082260A1 (de) * 2011-09-07 2013-05-08 Robert Bosch Gmbh Messfühler zur Bestimmung mindestens einer Eigenschaft eines Messgases in einem Messgasraum
JP6981913B2 (ja) 2018-04-09 2021-12-17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48849A1 (de) * 1976-10-27 1978-05-03 Tucker Metallwaren Gmbh Kabelzugentlastungshuelse
US5481939A (en) * 1993-12-28 1996-01-09 Litton Systems, Inc. Cable strain relief device
DE9410007U1 (de) * 1994-06-21 1994-08-11 Stiefel Gmbh Wandkartenverlag Wandkarte mit Archivierungsaufhängung
DE19542650A1 (de) * 1995-11-15 1997-05-22 Bosch Gmbh Robert Temperaturfeste Kabeldurchführ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9725732C2 (de) * 1997-06-18 2000-09-28 Harting Kgaa Einrichtung zur Zugentlastung elektrischer oder optischer Kabel
DE29719553U1 (de) * 1997-11-04 1997-12-18 Weidmueller Interface Kabelverschraubung für geschirmte Leitungen
DE20018787U1 (de) * 2000-11-03 2001-01-18 Rheintacho Messtechnik Gmbh Kabeleinfüh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21890A1 (de) 2002-11-21
JP2003050224A (ja) 2003-02-21
BR0201628A (pt)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2755B1 (en)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8790128B2 (en) Electric distributor device
JP200207555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EP1774621A1 (en) Connecting arrangement and contact pin
US5532436A (en) Method of installing and holding cable sealing components into an outlet
CN108141024B (zh) 防爆组件和用于其制造的方法
CN101095202B (zh) 用于导引电连接电缆的装置
US6100467A (en) Water cooled kickless electrical cable
JP2008021646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20020084827A (ko) 와이어 관통 슬리브
JP2008021646A6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H0815214A (ja) センサ部材の接続ケーブルのためのケーブル引込装置
KR20050027122A (ko) 접촉부 제조 방법
JPH0719623B2 (ja) はんだなしプラグ・ケーブル接続装置
FI66097C (fi) Kontaktdon foer elektrisk saekringspatron
EP1222716A1 (en) A cable coupling device
JP4783042B2 (ja) シールド固定部
US6986677B2 (en) Seal carrying electrical contact
US590832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193651A (en) Ignition wire improvements
JP3607726B2 (ja) プラグ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用金型
JP3281597B2 (ja)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
EP3425741B1 (en) Terminal assembly for shielded cable
JP2006294514A (ja) シールド金具及び該シールド金具を備えたシールド構造
JP7431658B2 (ja) ケーブル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