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232A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및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및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232A
KR20020084232A KR1020027012427A KR20027012427A KR20020084232A KR 20020084232 A KR20020084232 A KR 20020084232A KR 1020027012427 A KR1020027012427 A KR 1020027012427A KR 20027012427 A KR20027012427 A KR 20027012427A KR 20020084232 A KR20020084232 A KR 20020084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625B1 (ko
Inventor
데쯔지로 곤도
아끼라 단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8809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8423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2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3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기기 조작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기초하는 여러가지 서비스 제공에 자동적으로 적응한다.
어떤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므로, 사용자 기호 분석 등의 복잡한 신호 처리를 없애더라도 기호에 적합한 전자 기기 제어 서비스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기기의 이동이나 구입 등의 활동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의 전자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어떤 사용자의 전자 기기가 제어되므로, 사용자 기호 분석 등의 복잡한 신호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기호에 맞는 전자 기기 제어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최근의 기술 혁신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정보 기기나, 텔레비전 수상기나 그 밖의 AV 기기를 비롯한 정보 가전 제품 등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일반 소비자는 이들 정보 기기 제품을 점포의 진열장으로부터 구입하거나 온라인 쇼핑을 경유하여 입수할 수 있다.
소비자가 어떤 제품을 취득하였는가라는 류의 구입 정보, 나아가 제품에 대해 사용자가 행한 이용 이력·조작 이력은, 예를 들면 다음 소비 활동이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한 부가 가치의 기본이 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구입자는 가까운 장래에 위성방송의 수신을 간절히 원하는(또는 텔레비전의 구입자는 다른 제품 구입자에 비해 위성방송에 흥미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텔레비전의 구입자를 차례로 텔레비전의 구입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두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함으로써, 위성방송의 권유 광고의 효과적인 송부처를 구별할 수 있다. 또는 텔레비전의 시청 정보(예를 들면, 어떤 프로그램을 몇시간 시청하였는가)에 기초하여 개개의 소비자가 어떤 카테고리의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는지를 산출하는 수 있고, 동일한 카테고리를 선호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광고 콘텐츠의 자동 방송 수신 서비스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 구입자와 위성방송의 권유 광고를 결부시키는 수법은, 사람에 의한 의미 분석의 개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여러 서비스에 자동으로 적응하기는 어렵다.
또한 시청 정보를 기초로 동일한 카테고리의 방송을 배신하는 수법은, 정보 수집 대상과 부가 가치 대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의미 분석은 적어도 되지만, 방송·배신 콘텐츠의 카테고라이즈를 자동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어 여러 서비스에 자동으로 적응하기는 어렵다.
즉, 종래의 사용자 기호에 기초한 서비스 제공은, 사람에 의한 의미 분석이 필요하거나 콘텐츠의 자동 카테고라이즈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비용이 들고 기술적으로 실장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기기 조작이나 그 밖의 활동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부가 가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기기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관련된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부가 가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기초한 여러가지 서비스 제공에 자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 측면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또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이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 등의 조작 정보 또는 제어정보가 사용자의 일정한 기호 정보를 표출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한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에 의하면, 복수 사용자에 의한 여러가지 미디어에 대한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여, 임의의 특정한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미디어의 조작에 대한 자동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임의의 사용자의 미디어상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 등의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 사용자의 다른 미디어에서의 서비스를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각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어 수집된 활동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또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한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에 의하면, 복수 사용자의 실세계상에서의 시행 정보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특정한 사용자에 대해 미디어의 자동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함과 동시에 축적된 각 활동 정보를 기초로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고, 활동 정보가 유사한 유사 사용자에 의한 미디어의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미디어상에서의 서비스를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또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관한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에 의하면, 복수 사용자의 미디어의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부가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세계상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채취된 다른 사용자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전화상에서 사용자 통지를 실행하는 등의 실세계상에서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본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또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다른 전자 기기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또는 그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하면, 전자 기기는 복수 사용자에 의한 여러가지 미디어에 대한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부가 가치 정보를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타 미디어상에서의 조작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에 의한 부가 가치 정보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자동 튜닝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본 전자 기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또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또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활동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또는 그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의하면, 실세계상에서의 기호 정보나 활동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에 의한 미디어의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자 기기의 조작을 자동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전자 기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복수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각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되어 수집된 활동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복수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측면은, 유사 사용자에 의한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본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다른 전자 기기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측면은, 유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본 전자 기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활동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10의 각 측면에 관한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여러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하는 매체이다. 이러한 매체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CD(Compact Disc)나 FD(Flexible Disk), MO(Magneto-Optical disc) 등의 착탈이 자유롭고 가반성(可搬性)의 기억 매체이다. 또는 네트워크(네트워크는 무선, 유선의 구별을 불문함) 등의 전송 매체 등을 경유하여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특정한 컴퓨터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10의 각 측면에 관한 기억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소정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기억 매체의 구조상 또는 기능상의 협동적 관계를 정의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제6 내지 제10의 각 측면에 관한 기억 매체를 통해 소정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시스템에 인스톨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상에서는 협동적 작용이 발휘되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의 각 측면에 관한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방법,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및 제5의 각 측면에 관한 전자 기기 또는 그 제어 방법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가치를 생성하는 서버 등의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이나 이러한 종류의 부가 가치 정보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 등의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기기 조작이나 실세계상의 활동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부가 가치 정보를 제공받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기기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관련된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부가 가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기초한 여러가지 서비스 제공에 자동적으로 적응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타 미디어를 이용한 튜닝 서비스의 개요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각 미디어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와 각 미디어에 대해 제공 가능한 부가 가치 정보를 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타 미디어를 이용한 튜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1)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PC)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TV(3)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디지털 TV(3)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5)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디지털 비디오(5)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휴대전화(6)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휴대전화(6)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타 미디어를 이용한 튜닝 서비스의 개요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각 사용자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와 사용자에 대해 제공 가능한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GPS를 갖는 휴대전화(8)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TV(3)(도 5 참조)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TV(3)(도 5 참조)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GPS를 갖는 휴대전화(7)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를 통해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GPS를 갖는 휴대전화(7A)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를 통해 제품을 구입하는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계산기 시스템(50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 등의 조작 정보 또는 제어 정보가 사용자의 일정한 기호 정보를 표출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 사용자에 의한 여러가지 미디어에 대한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고, 임의의 특정한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미디어의 조작에 대한 자동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임의의 사용자의 미디어상에서 취득된 기호 정보나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 사용자의 다른 미디어에서의 서비스를 튜닝하는 점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미디어/전자 기기에 걸친 종합적인 전자 기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스테레오, 비디오 데크, DVD 플레이어 등의 AV 기기, 퍼스널 컴퓨터 등, 일반 가정내에 깊숙히 침투하고 있는 복수의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정보를 사용자의 기호 정보로서 수집하고, 이들에 기초하여 일정한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여 다른 미디어의 제어 서비스로 피드 백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타 미디어를 이용한 튜닝 서비스의 개요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스테레오, DVD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 가정내에 설치된 각 미디어상에서 실행된 사용자 조작에 관한 정보는 특정한 서버상에 수집된다.
서버와 각 미디어 사이는, 예를 들면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나 IEEE 1394, 가정내 LAN,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 케이블 TV(CATV), 그 외의 통신 매체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서버는, 동일한 가정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또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가정이 단일 서버를 공유해도 된다. 도시한 예에서 서버는 사용자(A∼D) 사이에서 공용하고 있다.
도 2에는 각 미디어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와 각 미디어에 대해 제공 가능한 부가 가치 정보를 표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서버상에 수집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 데이터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ID와 시청(재생) 시간으로 표시되는 「시청 정보」, 이러한 종류의 수신 장치상에서 튜닝될 채널 ID 및 튜닝된 채널 ID가 변경된 채널 전환 시간으로 표시되는 「채널 전환 정보」를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다른 예로서, 텔레비전 등의 수신 장치에 의해 재생됨과 동시에 VTR 등의 녹화 장치로 기록된 프로그램 ID와 방송(기록) 시간으로 표시되는 「녹화(기록) 정보」, 녹화 장치에 대한 조작을 나타낸 기록시의 「조작 정보」, 녹화 장치상에서 녹화(기록)가 예약되는 콘텐츠 ID를 나타낸 「기록 예약 정보」, 콘텐츠를 재생하는 VTR이나 DVD 플레이어 등의 재생 장치상에 있어서의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등의 기능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지정 시간을 나타낸 재생시의 「조작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다른 예로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정보 제공 서버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 기기에 업로드된 파일의 ID와 업로드처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업로드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탐색·열람되고 또한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북 마크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사용자로부터 편집된 파일의 ID와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로 이루어진 「편집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다른 예로서, 휴대전화나 피어 투 피어 접속 등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로부터 공중전화망을 통해 서비스 센터 등의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로 표시되는 「서비스 사용 정보」등이다.
서버상에서는, 각 미디어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집계 처리하고, 사용자 조작이 나타내는 사용자 기호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 부가 가치 정보는 미디어에 공급되어(도 1의 예에서는, 부가 가치 정보는 텔레비전에 공급됨) 미디어 조작의 튜닝 서비스가 실행된다. 부가 가치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전자 기기의 조작을 지원하기 위한 조작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서버가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텔레비전 등의 수신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장치상에서 튜닝되는 채널 ID로 이루어진 「채널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를 부가 가치 정보로서 공급한다.
또한 서버가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VTR 등의 녹화·기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나타내는 「기록 예약 정보」, 다른 사용자의 녹화·기록 장치상에서 이미 기록이 예약되어 있는 기록 예약 일시 정보를 나타내는 「기록 예약 정보」를 부가 가치 정보로서 공급한다.
또한 VTR이나 DVD 플레이어 등의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생 콘텐츠의 「다이제스트 정보」나 재생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작성된 「검색 인덱스 정보」, 다른 사용자의 기록 장치상에서 기록 매체에서 소거된 콘텐츠의 ID로 이루어진 「소거 정보」, 다른 사용자의 기록 장치상에서 작성된 기록 콘텐츠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들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공급하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정보 제공 서버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북 마크 정보」,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내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를 이 다른 사용자가 분류(카테고라이즈)한 「분류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나 피어 투 피어 접속 등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공급하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상에서 설정되어 있는 착신음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나, 다른 사용자의 휴대전화로부터 공중전화망을 거쳐 서비스 센터 등의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로 표시되는 「서비스 사용 정보」등을 들 수 있다.
도 3에는 타 미디어를 이용한 튜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1)의 기능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버(1)는, 실제로는 일반적인 계산기 시스템상에서 소정의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형태로 실장할 수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는, 데이터 송수신부(11), 제어부(12), 데이터베이스(13) 및 매칭도 연산부(14)로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11)는, 텔레비전이나 스테레오, 비디오 데크, DVD 플레이어 등의 AV 기기, 퍼스널 컴퓨터 등, 가정내에 설치된 각 미디어와 상호 접속하여 각 미디어상에서 실행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 정보 등의 정보 수집을 실행한다. 미디어와의 접속에는, 예를 들면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IEEE 1394, 가정내 LAN,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 케이블 TV(CATV), 그 외의 통신 매체가 이용된다.
제어부(1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서버(1)상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컨트롤한다. 제어부(12)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인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13)는,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축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ID마다 모든 사용자 조작 정보를 축적한다.
매칭도 연산부(14)는,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조작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3)상의 각 데이터의 매칭도를 연산하는 기능 모듈이다. 예를 들면, 임의의 사용자가 특정한 기기에 대해 갖는 사용자 조작 정보와 유사한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13)상에서 검색한다. 또는 임의의 사용자와 유사한 활동 정보(후술)를 갖는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13)상에서 검색한다.
제어부(12)는, 이 매칭도에 기초하여 특정한 사용자의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부가 가치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이 특정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에 전송된다.
본 실시 형태는, 특정한 기기/미디어에 대한 조작 정보나 기호 정보가 일치하는 사용자끼리는 다른 기기/미디어에 관해서도 조작 정보나 기호 정보가 유사하다는 전제에 기초한 것이다. 즉, 임의의 특정한 기기/미디어에 대한 조작 정보나 기호 정보가 일치 또는 유사한 사용자를 찾아내고, 이 사용자가 갖는 다른 기기/미디어에 관한 조작 정보나 기호 정보를 꺼내서 이것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에 대해 제공해야 할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해당하는 기기/미디어에 송신한다.
그 결과, 서버(1)는 임의의 미디어상에서 취득된 기호 정보나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미디어에서의 기기 제어 서비스를 튜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상에서의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 등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디지털 TV나 디지털 비디오, 휴대전화 등의 미디어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타 미디어를 이용한 튜닝 서비스에 대해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퍼스널 컴퓨터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한 디지털 TV의 자동 제어 :
도 4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PC)(2)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는, 조작부(21), 제어부(22), 데이터 송수신부(23), HTML 디코드부(24), 표시부(25),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외부 기억 장치(26), 북 마크 등록 감시부(27), 다운로드 감시부(28), 데이터 보존 지시 감시부(29) 및 데이터 소거 지시 감시부(30)로 구성된다. 퍼스널 컴퓨터(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제어부(22)가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부(2)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성되고, 시스템(2)에 대해 지시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표시부(25)는, 예를 들면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나 LCD(Liquid Crystal Display: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시스템(2)내의 연산 결과 등에 관한 시각적인 사용자 피드 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부(21)와 표시부(25)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성된다. 일반적으로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어 있고, 사용자는 표시부(25)의 데스크 톱 화면상의 아이콘을 마우스 커서로 직감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시스템에 대해 커맨드 입력을 실행할 수 있다.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조작부(21)와 표시부(25)로 이루어진 사용자 콘솔을 이용한 대화적인 동작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적응 업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부(21)는, 데이터의 보존이나 소거 등 데이터 편집에 관한 커맨드 입력, 북 마크 등록이나 다운로드 등 인터넷상에서의 정보 탐색 작업을 위한 커맨드 입력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조작부(21)를 통한 입력 커맨드는, 제어부(22)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외부 기억 장치(26)는, 하드 디스크 장치(HDD)와 같은 비교적 대용량이고 비휘발성의 기억 장치로 구성된다. 외부 기억 장치(26)는, 제어부(22)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인스톨이나 각종 데이터 파일의 보존을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 보존 지시 감시부(29)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대한 파일 등의 데이터 보존에 관한 지시를 감시하는 기능 모듈이다. 또한 데이터 소거 지시 감시부(30)는, 외부 기억 장치(26)로부터의 데이터 소거에 관한 지시를 감시하는 기능 모듈이다. 그 외 조작부(21) 및 표시부(25)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파일이나 그 편집의 종류 등을 감시하는 데이터 편집 감시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데이터 송수신부(23)는, 시스템(2)을 외부의 호스트 단말과 상호 접속하기 위한 기능 모듈로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서버(1)와는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접속된다. 퍼스널 컴퓨터(2)는 수집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에 전송하거나 서버(1)가 생성한 부가 가치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의해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23)는, 예를 들면 LAN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담당한다. 그 외에 데이터 송수신부(23)는, Bluetooth나 IrDA 등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IEEE 1394 등의 통신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어도 된다.
HTML 디코드부(24)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기술된 도큐먼트 파일을 디코딩하는 기능 모듈이다. HTML 도큐먼트는, 인터넷 등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상에서는, URL 형식의 자원 식별 정보에 의해 그 소재가 기술됨과 동시에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 가능하고(주지), 시스템(2)은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취득할 수 있다.
HTML 디코드부(24)에 의해 디코딩된 HTML 도큐먼트는, 제어부(22)가 실행하는 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처리된다. 즉, 브라우저는 HTML 도큐먼트의 디코딩 결과에 기초하여 소위 홈 페이지를 형성하여 표시부(25)상에 화면 출력한다.
브라우저가 제시하는 홈 페이지 화면상에서는, 앵커의 클릭 조작에 의해 앵커에 삽입된 링크 정보를 기동하여 TCP/IP 네트워크를 정보 탐색하거나 네트워크상의 정보 자원(파일, 콘텐츠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우저는 자주 사용하는 URL을 북 마크 등록하는 기능을 장비하고 있다.
북 마크 등록 감시부(27)는, 브라우저상에서의 북 마크 등록을 감시하는 기능 모듈이다. 또한 다운로드 감시부(28)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파일이나 콘텐츠 등의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감시하는 기능 모듈이다. 그 외에 네트워크상의 외부장치(서버 등)로의 데이터의 업로드를 감시하는 업로드 감시부(도시 생략)를 장비하고 있어도 된다.
북 마크 등록 감시부(27), 다운로드 감시부(28), 업로드 감시부, 데이터 보존 지시 감시부(29), 데이터 소거 지시 감시부(30), 데이터 편집 감시부 등의 각 감시부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조작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된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TV(3)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TV(3)는, 제어부(31), 조작부(32), 데이터 송수신부(33), 기억부(34), 채널 우선도 제어부(35), 영상 디코더(36), 자동 채널 전환 제어부(37), 튜너 회로(38), 복조기(39), 디멀티플렉서(40), 음성 디코더(41) 및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로 구성된다. 디지털 TV(3)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제어부(31)가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이 디지털 TV(3)상에서 디지털 방송파를 텔레비전 수신할 때에는, 튜너(38)가 제어부(31)로부터의 지시대로 선국 처리하여 소정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수신한다. 그리고, 튜너(38)에 의한 수신 신호가 후속하는 복조기(9)에 의해 복조 처리되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데이터 스트림이 생성되고, 디멀티플렉서(40)에 의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된다. 영상 신호는 영상 디코더(36)에 의해 디코딩되고,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상에서 영상 출력된다. 또한, 음성 신호는 음성 디코더(41)에 의해 디코딩되고,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조작부(32)는, 예를 들면 채널 전환 버튼이나 음성 조절 버튼, 휘도 조절 버튼 등, 기기(3)에 대한 지시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부(32)를 통한 입력 커맨드는, 제어부(3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처리한다.
기억부(34)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그 외의 제어부(3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의 작업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3)를 통해 서버(1)로부터 수신한 부가 가치 정보는 기억부(34)에 일시 기억된다.
데이터 송수신부(33)는, 시스템(3)을 외부의 호스트 단말과 상호 접속하기 위한 기능 모듈로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서버(1)와는 데이터 송수신부(33)를 통해 접속된다. 디지털 TV(3)는, 서버(1)에서 생성된 부가 가치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33)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기억부(34)에 일시 보존된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부여되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수신 장치상에서 튜닝되는 채널 ID로 이루어진 「채널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장치(3)상에서는, 서버(1)로부터 수신한 부가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조작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우선도 제어부(35)나 자동 채널 전환 제어부(37)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수신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우선도를 결정하거나 자동 채널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수신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부분 해상도 창조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 가치 정보로서 수신한 음량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음량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서버(1)측에서는 퍼스널 컴퓨터(2)(도 5 참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집하여 이들 디지털 TV(3)용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점에서, 타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TV(3)의 튜닝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는, 복수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클래스 분류용 예측 계수에 의해 영상 디코더(36)로 디코딩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고, 기억부(34)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예측 계수의 식별자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영상 디코더(36)로부터의 화상 출력의 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에게 이미 양도되어 있는 미국특허 제5,517,588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동 특허 명세서의 기술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6에는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 등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임의의 사용자의 디지털 TV(3)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우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서버(1), 퍼스널 컴퓨터(2), 디지털 TV(3)의 각 제어부(12, 22, 31)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협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이 플로우차트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한 디지털 TV(3)의 자동 튜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1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21)가 조작되고 HTML 취득 지시가 있었다고 제어부(22)가 판단하면, 단계 S12로 진행한다. HTML 취득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는, 인터넷에 접속되는 서버(1)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부(23)가 사용자 지시가 있는 HTML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어부(22)의 제어하에서 HTML 디코드부(24)가 HTML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표시부(25)에 의해 HTML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3에서는, 북 마크 등록 감시부(27)에 있어서 조작부(21)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북 마크 등록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북 마크 등록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고,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5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ID,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북 마크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5에서, 다운로드 감시부(28)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고, 다운로드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업로드 감시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업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업로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에서 업로드된 파일의 ID와 업로드처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업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17에서는, 데이터 보존 지시 감시부(29)가 HTML 정보에 표시되는 정보의 데이터 보존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보존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8로 진행하고, 보존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보존 ID, 보존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9에서, 데이터 소거 지시 감시부(30)는 HDD(26)에 기록되는 데이터의소거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소거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0으로 진행하고, 데이터 소거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1로 진행한다.
단계 S20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소거 ID, 소거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또는 소거 대상의 파일명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기타,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편집이 실행된 경우에는, 편집된 파일의 ID와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로 이루어진 「편집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21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1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서버(1)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22에서, 퍼스널 컴퓨터(2)(및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에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가 판별한다. 그리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4로 진행한다.
단계 S23에서, 제어부(12)는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ID마다 데이터베이스(13)에 기억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단계 S24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25로 진행하고,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7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TV(3)를 클라이언트로 하고, 사용자(A)가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TV 정보의 서비스를 리퀘스트한다.
단계 S25에서, 매칭도 연산부(14)는 전체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있어서 사용자(A)와 다른 사용자 ID의 퍼스널 컴퓨터(2)에 관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매칭도를 연산하여 매칭도가 가장 높은 사용자 ID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각 카테고리의 데이터의 텍스트 베이스의 매칭을 실행하고,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수 등을 매칭도로 하면 된다. 또한, 일부가 일치하는 등의 매칭 정도에 따라 가중 처리해도 무방하다. 매칭도가 가장 높은 사용자를 이하에서는 「유사 사용자」라고도 한다.
단계 S26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베이스(13)상에서 검색을 실행하여, 유사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TV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리퀘스트가 있는 사용자(A)의 단말, 즉 디지털 TV(3)에 대해 이 검색 결과를 TV 정보로서 송신한다. 이 경우의 TV 정보로서는, 튜닝되는 채널 ID로 이루어진 「채널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단계 S27에서, 제어부(12)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2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1)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디지털 TV(3)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28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32)를 통한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단계 S29로 진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9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A) 및 TV 정보라는 데이터의 리퀘스트를 데이터 송수신부(3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30에서, 제어부(31)는 서버(1)로부터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TV 정보가 데이터 송수신부(33)를 통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31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2로 진행한다.
단계 S31에서, 제어부(31)는 수신한 TV 정보를 기억부(34)에 기억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32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선택 화면 재생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채널 선택 화면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33으로 진행하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4로 진행한다.
단계 S33에서, 채널 우선도 제어부(35)는 기억부(34)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嗜好)를 갖는 유사 사용자의 채널 우선도에 따라 영상 디코더(36)를 통해 채널 선택 화면을 재생한다. 즉, 동일 기호 사용자가 자주 보았던 채널이 예를 들면 위에 표시되도록, 채널 선택 화면이 자동적으로 커스터마이즈되어 재생되고 자동 튜닝 서비스가 실현된다.
단계 S34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 채널 전환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자동 채널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35로 진행하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6으로 진행한다.
단계 S35에서, 자동 채널 전환 제어부(37)는 기억부(34)에 기억되는 자동 채널 전환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채널이 전환된다. 즉, 유사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채널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1)가 튜너 회로(38)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채널이 전환된 튜너 회로(38)의 출력은 복조기(39)에서 복조되고, 디멀티플렉서(40)에서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로 분리된다. 음성 데이터는 음성 디코더(41)에서 디코딩됨과 동시에 재생되고, 영상 데이터는 영상 디코더(36)에서 디코딩됨과 동시에 재생된다.
또한,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음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또는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자동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36에서, 제어부(1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8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디지털 TV(3)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처리 루틴에서는, 디지털 TV(3)의 자동 해상도 제어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물론 타 미디어, 즉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얻은 사용자 조작 정보를 기초로 「영역 정보」를 특정하고,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는 디지털 TV(3)상에서의 자동 해상도 제어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 해상도 제어의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자동 해상도 제어가 지시된 경우,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는 복수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클래스 분류용 예측 계수에 의해 영상 디코더(36)에서 디코딩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어하여, 기억부(34)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예측 계수의 식별자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영상 디코더(36)로부터의 화상 출력의 해상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에게 이미 양도되어 있는 미국특허 제5,517,588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동 특허 명세서의 기술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퍼스널 컴퓨터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한 디지털 비디오의 자동 제어 :
퍼스널 컴퓨터(22)와 서버(1)와 디지털 비디오(5)의 협동적인 동작에 의해 디지털 비디오(5)의 자동 제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서버(1) 및 퍼스널 컴퓨터(2)는, 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기능 구성을 갖는 각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5)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비디오(5)는, 제어부(51), 데이터 송수신부(53), 기억부(54), 프로그램 자동 녹화 제어부(55), 다이제스트 작성 제어부(56), 검색 인덱스 작성 제어부(57), 조작부(32), 영상 디코더(36), 튜너 회로(38), 복조기(39), 디멀티플렉서(40), 음성 디코더(41) 및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로 구성된다. 이 디지털 비디오(5)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하는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제어부(51)가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비디오 재생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이 디지털 비디오(5)상에서 디지털 방송파를 텔레비전 수신할 때에는, 튜너(38)가 제어부(51)로부터의 지시대로 선국 처리하여 소정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수신한다. 그리고, 튜너(38)에 의한 수신 신호가 후속하는 복조기(9)에 의해 복조 처리되어 MPEG 데이터 스트림이 생성되고, 디멀티플렉서(40)에 의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된다. 영상 신호는 영상 디코더(36)에 의해 디코딩되고,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상에서 영상 출력된다. 또한, 음성 신호는 음성 디코더(41)에 의해 디코딩되고,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조작부(32)는, 예를 들면 채널 전환 버튼이나 음성 조절 버튼, 휘도 조절 버튼 외에 비디오 녹화 그리고 녹화 예약, 녹화 콘텐츠의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꺼냄 등의 지시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부(32)를 통한 입력 커맨드는, 제어부(5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처리한다.
기억부(54)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그 외의 제어부(5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의 작업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53)를 통해 서버(1)로부터 수신한 부가 가치 정보는 기억부(54)에 일시 기억된다.
데이터 송수신부(53)는, 시스템(5)을 외부의 호스트 단말과 상호 접속하기 위한 기능 모듈로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서버(1)와는 데이터 송수신부(53)를 통해 접속된다. 디지털 비디오(5)는, 서버(1)에서 생성된 부가 가치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53)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기억부(54)에 일시 보존된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비디오(5)나 그 외의 방송 콘덴츠 기록 재생 장치에 부여되는 부가 가치 정보는,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나타내는 「기록 예약 정보」, 다른 사용자의 녹화·기록 장치상에서 이미 기록이 예약되어 있는 기록 예약 일시 정보를 나타내는 「기록 예약 정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생 콘텐츠의 「다이제스트 정보」나 재생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작성된 「검색 인덱스 정보」, 다른 사용자의 기록 장치상에서 기록 매체에서 소거된 콘텐츠의 ID로 이루어진 「소거 정보」, 다른 사용자의 기록 장치상에서 작성된 기록 콘텐츠에 관한 「타이틀 정보」 등이다.
프로그램 자동 녹화 제어부(55), 다이제스트 작성 제어부(56), 검색 인덱스 작성 제어부(57)는, 서버(1)로부터 수신한 부가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자동 녹화 제어, 다이제스트 작성 제어, 검색 인덱스 작성 제어를 각각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서버(1)는, 퍼스널 컴퓨터(2)(도 5 참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수집하여 이들의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점에서, 타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5)의 튜닝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하기 바란다.
도 8에는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임의의 사용자의 디지털 비디오(5)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우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서버(1), 퍼스널 컴퓨터(2), 디지털 비디오(5)의 각 제어부(12, 22, 51)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협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이 플로우차트에 따라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의 정보 수집에 기초한 디지털 비디오(5)의 자동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41에서, HTML 취득 지시가 있었다고 제어부(22)가 판단하면 단계 S42로 진행하고, HTML 취득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2에서는, 인터넷에 접속되는 서버(1)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부(23)가 사용자 지시가 있는 HTML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어부(22)의 제어하에서 HTML 디코드부(24)가 HTML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표시부(25)에 의해 HTML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43에서는, 북 마크 등록 감시부(27)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북 마크 등록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북 마크 등록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44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5로 진행한다.
단계 S44에서,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ID,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북 마크 정보」 등의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45에서, 다운로드 감시부(28)는 사용자에 의한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6으로 진행하고, 다운로드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7로 진행한다.
단계 S46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업로드 감시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업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업로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에서 업로드된 파일의 ID와 업로드처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업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47에서는, 데이터 보존 지시 감시부(29)가 HTML 정보에 표시되는 정보의 데이터 보존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보존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8로 진행하고, 보존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9로 진행한다.
단계 S48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보존 ID, 보존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49에서, 데이터 소거 지시 감시부(30)는 HDD(26)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소거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소거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50으로 진행하고, 데이터 소거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51로 진행한다.
단계 S50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소거 ID, 소거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또는 소거 대상의 파일명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기타,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편집이 실행된 경우에는, 편집된 파일의 ID와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로 이루어진 「편집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51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1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서버(1)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52에서, 퍼스널 컴퓨터(2)(및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에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53으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4로 진행한다.
단계 S53에서, 제어부(12)는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을 사용자 ID마다 데이터베이스(13)에 기억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단계 S54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55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7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비디오(5)를 클라이언트로 하고, 사용자(A)가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비디오 정보의 서비스를 리퀘스트한다.
단계 S55에서, 매칭도 연산부(14)는 전체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있어서 사용자(A)와 다른 사용자 ID의 퍼스널 컴퓨터에 관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매칭도를 연산하여 매칭도가 가장 높은 사용자 ID를 유사 사용자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각 카테고리의 데이터의 텍스트 베이스의 매칭을 실행하고,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수 등을 매칭도로 하면 된다. 또한, 일부가 일치하는 등의 매칭 정도에 따라 가중시켜도 무방하다.
단계 S56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베이스(13)상에서 검색을 실행하여, 유사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비디오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리퀘스트가 있는 사용자(A)의 단말에 대해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비디오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로부터 송신한다. 이 경우의 비디오 정보로서는,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나타내는 「기록 예약 정보」, 유사 사용자의 녹화·기록 장치상에서 이미 기록이 예약되어 있는 기록 예약 일시 정보를 나타내는 「기록 예약 정보」, 유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생 콘텐츠의 「다이제스트 정보」나 재생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작성된 「검색 인덱스 정보」, 다른 사용자의 기록 장치상에서 기록 매체에서 소거된 콘텐츠의 ID로 이루어진 「소거 정보」, 다른 사용자의 기록 장치상에서 작성된 기록 콘텐츠에 관한 「타이틀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단계 S57에서, 제어부(12)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52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1)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한 디지털 비디오(5)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58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32)를 통한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단계 S59로 진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59에서, 제어부(51)는 데이터 송수신부(53)를 통해 사용자(A) 및 비디오 정보라는 데이터의 리퀘스트를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60에서, 제어부(51)는 데이터 송수신부(53)를 통해 서버(1)로부터 비디오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비디오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61로 진행하고, 비디오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2로 진행한다.
단계 S61에서, 제어부(51)는 수신한 비디오 정보를 기억부(54)에 기억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62에서, 제어부(51)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 자동 예약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자동 예약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63으로 진행하고, 프로그램 자동 예약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4로 진행한다.
단계 S63에서, 프로그램 자동 녹화 제어부(55)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간, 그리고 채널의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억부(54)에 기억한다. 그리고, 기억부(54)에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정보, 즉 동일 기호의 유사 사용자의 기록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녹화 예약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 시간에는 자동적으로 기억부(54)에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여기에서는 수신 정보의 디코드 처리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64에서, 제어부(51)는 사용자에 의해 다이제스트 작성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다이제스트 작성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65로 진행하고, 다이제스트 작성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5에서, 다이제스트 작성 제어부(56)는 기억부(54)에 기억되는 비디오 정보, 즉 동일 기호를 갖는 유사 사용자의 다이제스트 작성 정보, 즉 콘텐츠 ID와 다이제스트 작성을 위한 시간 정보에 따라 동일 콘텐츠가 기억부(5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다이제스트 영상을 작성하여 기억부(54)의 별도의 영역에 기록한다.
여기에서, 동일 기호의 사용자의 다이제스트 작성 정보란, 동일 기호의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미리 작성된 다이제스트 정보로서, 콘텐츠 ID와 다이제스트 화면이 되는 프레임 또는 필드의 ID 또는 시간 정보로 구성된다.
단계 S66에서, 제어부(51)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 인덱스 작성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검색 인덱스 작성 지시가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67로 진행하고, 검색 인덱스 작성 지시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단계 S67에서, 검색 인덱스 작성 제어부(57)는, 기억부(54)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를 갖는 유사 사용자의 검색 인덱스 작성 정보, 즉 콘텐츠 ID와 검색 인덱스 작성을 위한 시간 정보에 따라 동일 콘텐츠가 기억부(5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검색 인덱스를 작성하여 기억부(54)의 별도의 영역에 기억한다.
여기에서, 동일 기호의 사용자의 검색 인덱스 작성 정보란, 동일 기호의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미리 작성된 검색 인덱스 정보를 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검색 인덱스 정보란, 특징적인 프레임 또는 필드를 북 마크(안내표)로 함으로써 작성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비디오 데이터를 랜덤 액세스하여 원하는 장면을 검색할 때에, 북 마크를 검색해 감으로써 빠른 단계로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검색할 수 있다. 본 검색 인덱스 정보는, 콘텐츠 ID와 검색 인덱스 화면이 되는 프레임 또는 필드의 ID 또는 시간 정보로 구성된다.
단계 S68에서, 제어부(1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55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디지털 비디오(5)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퍼스널 컴퓨터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한 휴대전화의 자동 제어 :
퍼스널 컴퓨터(2)와 서버(1)와 휴대전화(6)의 협동적인 동작에 의해 휴대전화의 자동 제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서버(1) 및 퍼스널 컴퓨터(2)는, 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기능 구성을 갖는 각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휴대전화(6)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6)는, 제어부(61), 채널 CODEC(62), 변조부(63), RF 회로(64), 복조부(65), 기억부(66), 복호부(67), D/A 변환기(68), 스피커(69), 티켓 예약 정보 자동 작성부(70), 부호화부(71), 복호화부(72), A/D 변환기(73), 마이크로폰(74), 조작부(75), 표시부(76), 자동 착신 멜로디 갱신부(77)로 구성된다. 이 휴대전화(6)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제어부(51)가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이 휴대전화(6)상에서 통상의 전화 회선 접속을 실행하는 경우, RF 회로(64)가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으로부터 안테나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를 다운 컨버팅한다. 이어서, 복조부(65)에 의해 소정의 복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복조 처리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고, 복호부(72)에 의해 복호 처리되고, 추가로 D/A 변환기(68)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로폰(74)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는, A/D 변환기(7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부호화부(71)에 의해 부호화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부(63)에 의해 소정의 변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변조 처리된다. 그리고, RF 회로(64)에 의해 전송 신호로 업 컨버팅하고 나서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을 향해 안테나 송신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전화(6)는, 제어부(61)에 의한 처리 데이터를 휴대전화망을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망을 통해 소정의 프로바이더 또는 서비스 센터에 교환기 접속되어 티켓 예약 등의 서비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망을 통해 서버(1)(도 3 참조)에도 접속되어, 타 미디어상의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부가 가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전화(6)가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61)가 취급하는 데이터는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부(63)에 의해 소정의 변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변조 처리되고, RF 회로(64)에 의해 전송 신호로 업 컨버팅하고 나서 휴대전화 기지국을 향해 안테나 송신된다.
또한, 휴대전화(6)가 데이터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으로부터 안테나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는 RF 회로(64)에 의해 다운 컨버팅되고, 복조부에 의해 소정의 복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복조 처리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복호화됨으로써, 제어부(61)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조작부(5)는, 예를 들면 숫자 키나 기능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성되고, 시스템(6)에 대해 지시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표시부(7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시각적인 사용자 피드 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조작부(75)는 전화 번호의 입력이나 착신 멜로디의 설정, 티켓 구입 등의 각종 서비스 사용에 관한 커맨드 입력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조작부(75)를 통한 입력 커맨드는, 제어부(6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처리하게 되어 있다.
기억부(66)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그 외의 제어부(6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의 작업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기억부(66)에는 소위 「착신 멜로디」를 비롯한 착신음용의 각종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기억부(66)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복호부(67)에 의해 복호 처리되고, D/A 변환기(68)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또한, 휴대전화망을 통해 서버(1)로부터 수신한 부가 가치 정보는 기억부(66)에 일시 기억된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6)에 부여되는 부가 가치 정보는,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상에서 설정되어 있는 착신음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나, 다른 사용자의 휴대전화로부터 공중전화망을 통해 서비스 센터 등의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로 표시되는 「서비스 사용 정보」 등이다.
티켓 예약 정보 자동 작성부(70) 및 자동 착신 멜로디 갱신부(77)는, 서버(1)로부터 수신한 부가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티켓 예약 정보 작성 및 착신 멜로디 갱신을 각각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서버(1)는, 퍼스널 컴퓨터(2)(도 5 참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집하여 휴대전화(6)용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점에서, 타 미디어를 이용한 휴대전화(6)의 튜닝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하기 바란다.
도 10에는 복수 사용자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전화(6)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우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서버(1), 퍼스널 컴퓨터(2), 휴대전화(6)의 각 제어부(12, 22, 61)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협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이 플로우차트에 따라 복수 사용자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조작 정보에 기초한 임의의 사용자의 휴대전화(6)의 자동 튜닝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71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21)가 조작되고 HTML 취득 지시가 있었다고 제어부(22)가 판단하면, 단계 S72로 진행한다. HTML 취득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72에서, 인터넷에 접속되는 서버(1)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부(23)가 사용자 지시가 있는 HTML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어부(22)의 제어하에서 HTML 디코드부(24)가 HTML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표시부(25)에 의해 HTML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73에서는, 북 마크 등록 감시부(27)에 있어서 조작부(21)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북 마크 등록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북 마크 등록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고,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75로 진행한다.
단계 S74에서,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ID,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북 마크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75에서, 다운로드 감시부(28)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76으로 진행하고, 다운로드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77로 진행한다.
단계 S76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업로드 감시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업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업로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업로드된 파일의 ID와 업로드처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업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77에서는, 데이터 보존 지시 감시부(29)가 HTML 정보에 표시되는 정보의 데이터 보존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보존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78로 진행하고, 보존 지시가 없는경우에는 단계 S79로 진행한다.
단계 S78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보존 ID, 보존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79에서, 데이터 소거 지시 감시부(30)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소거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소거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80으로 진행하고, 데이터 소거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81로 진행한다.
단계 S80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소거 ID, 소거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또는 소거 대상의 파일명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그 외,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편집이 실행된 경우에는, 편집된 파일의 ID와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로 이루어진 「편집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81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1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서버(1)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82에서, 퍼스널 컴퓨터(2)(및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송수신부(11)에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가 판별하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83으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4로 진행한다.
단계 S83에서, 제어부(12)는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을 사용자 ID마다 데이터베이스(13)에 기억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단계 S84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85로 진행하고,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7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휴대전화(6)를 클라이언트로 하고, 사용자(A)가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휴대전화 정보의 서비스를 리퀘스트한다.
단계 S85에서, 매칭도 연산부(14)는 전체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있어서 사용자(A)와 다른 사용자 ID의 퍼스널 컴퓨터에 관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매칭도를 연산하여 매칭도가 가장 높은 사용자 ID를 유사 사용자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각 카테고리의 데이터의 텍스트 베이스의 매칭을 실행하고, 매칭도는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수이면 된다. 또한, 일부가 일치하는 등의 매칭 정도에 따라 가중시켜도 무방하다.
단계 S86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베이스(13)상에서 검색을 실행하여, 유사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13)의 휴대전화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리퀘스트가 있는 사용자(A)의 단말에 대해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휴대전화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로부터 송신한다.
이 경우의 휴대전화 정보로서는,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상에서 설정되어 있는 착신음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나, 다른 사용자의 휴대전화로부터 공중전화망을 통해 서비스 센터 등의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로 표시되는 「서비스 사용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단계 S87에서, 제어부(12)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82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1)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휴대전화(6)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88에서, 제어부(6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75)를 통한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단계 S89로 진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0으로 진행한다.
단계 S89에서, 제어부(61)는 채널 CODEC 회로(62), 변조부(63), RF 회로(64)를 통해 사용자(A), 휴대전화 정보라는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90에서, 제어부(61)는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를 RF 회로(64), 복조부(65), 채널 CODEC 회로(62)를 통해 신호 처리한 후, 서버(1)로부터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휴대전화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휴대전화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91로 진행하고, 휴대전화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2로 진행한다.
단계 S91에서, 제어부(61)는 수신한 휴대전화 정보를 기억부(66)에 기억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92에서, 제어부(61)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 멜로디 등의 착신음 갱신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착신 멜로디 갱신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93으로 진행하고, 착신 멜로디 갱신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4로 진행한다.
단계 S93에서, 제어부(61)는 기억부(66)에 기억되는 휴대전화 정보로서의 착신음 ID로 특정되는 음성 데이터를 복호부(67)에 출력하고, 복호 또는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축 해제한 후에 D/A 변환기(68)에 출력하여 스피커(69)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61)는, 본 착신음이 휴대전화(6)의 착신 멜로디가 되도록, 제어부(61)가 기억하는 착신 멜로디를 관리하는 프로그램과 기억부(66)의 착신 멜로디가 기억되는 포인터를 관련짓는다.
단계 S94에서, 제어부(61)는 사용자에 의해 티켓 예약 지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티켓 예약 지시가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95로 진행하고, 티켓 예약 지시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6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단계 S95에서, 티켓 예약 정보 자동 작성부(70)는 기억부(66)에 기억되는 휴대전화 정보로서의 서비스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티켓 예약 정보를 작성(사용자 ID, 콘서트 ID)하여 도시하지 티켓 센터에 무선(즉, 휴대전화망을 통해) 송신한다. 티켓 예약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세계에서의 부가 가치 서비스로서 채택할 수도 있다.
단계 S96에서, 제어부(1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88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휴대전화(6)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B.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는, 복수 사용자의 실세계상에서의 시행 정보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특정의 사용자에 대해 미디어의 자동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함과 동시에 축적된 각 활동 정보를 기초로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미디어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가치를 창조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창조하는 것으로서, 실세계상에서의 사용자 간의 기호의 일치도를 기초로 미디어를 자동 제어하거나 미디어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호의 일치도 또는 사용자가 어디에 있는지 등의 활동 정보에 따라 실세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부가 가치 정보를 적용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미디어에서 실세계로 확장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실세계상의 정보를 이용한 부가 가치 창조 서비스의 개요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의 기호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도시 생략)로부터 특정 서버상에 수집된다.
서버와 각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면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나 IEEE 1394, 가정내 LAN,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 케이블 TV(CATV), 그 외의 통신 매체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서버상에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갖는 휴대전화상에서 채취된 사용자의 활동 정보나 크레딧 카드의 사용에 기초한 구입 제품 정보 등이 수집된다.
서버상에서는 각 사용자의 기호 정보를 집계 처리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부가 가치 정보는, 사용자의 실세계상에서의 활동을 규정한 데이터 등,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이다. 예를 들면, 기호(嗜好)가 유사한 사람의 상점이나 이벤트 소개 등이 이 경우에 부가 가치 정보에 상당한다.
도 12에는 각 사용자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와 사용자에 대해 제공 가능한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표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사용자로부터 수집 가능한 정보로서, 이미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디오 데크이나 DVD 플레이어, 그 외의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타입의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는, 텔레비전 등의 수신 장치에 의해 재생됨과 동시에 VTR 등의 녹화 장치에서 기록된 프로그램 ID와 방송(기록) 시간으로 표시되는 「녹화(기록) 정보」, 녹화 장치에 대한 조작을 나타낸 기록시의 「조작 정보」, 녹화 장치상에서 녹화(기록)가 예약되는 콘텐츠 ID를 나타낸 「기록 예약 정보」, 콘텐츠를 재생하는 VTR이나 DVD 플레이어 등의 재생 장치상에 있어서의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등의 기능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지정 시간을 나타낸 재생시의 「조작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전화 등,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편집 처리하거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단말 장치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정보 제공 서버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 기기에 업로드된 파일의 ID와 업로드처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업로드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탐색·열람되며 또한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북 마크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사용자로부터 편집된 파일의 ID와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로 이루어진 「편집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나 피어 투 피어(peer-to-peer) 접속 등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상에서 설정되어 있는 착신음(착신 멜로디)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나, 다른 사용자의 휴대전화로부터 공중전화망을 통해 서비스 센터 등의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로 표시되는 「서비스 사용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미디어로부터 취득되는 사용자 조작 정보 이외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부여 휴대전화상에서 채취된 사용자의 활동 정보나 크레딧 카드의 사용에 기초한 구입 제품 정보 등 실세계상에서의 사용자의 정보를 채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예를 들면 「위치 정보+건물 ID」라는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활동 정보는, 예를 들면 「상점」, 「공원」, 「이벤트」 등과 같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상점」은, 예를 들면 「식사」, 「의복」, 「기호품」과 같은 속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사용자의 크레디트 사용에 의한 구입 제품 정보는, 예를 들면 「위치 정보+건물 ID+제품 ID」라는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구입 제품 정보는, 예를 들면 「브랜드」, 「메뉴」, 「메이커」, 「교통 기관」 등과 같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서버상에서는, 각 미디어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나 실세계상에서의 활동 정보를 집계 처리하고, 사용자 조작이 나타내는 사용자 기호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각종 전자 기기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부가 가치 정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 즉 일방향 배신 형식의 데이터 수신기에 대한 부가 가치 정보로서는, 수신 장치상에서 튜닝되는 채널 ID로 이루어진 「채널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영역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데크이나 DVD 플레이어, 그 외의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타입의 오디오 기기에 대한 부가 가치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나타내는 「기록 예약 정보」, 다른 사용자의 녹화·기록 장치상에서 이미 기록이 예약되어 있는 기록 예약 일시 정보를 나타내는 「기록 예약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VTR이나 DVD 플레이어 등의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생 콘텐츠의 「다이제스트 정보」나 재생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작성된 「검색 인덱스 정보」, 다른 사용자의 기록 장치상에서 기록 매체에서 소거된 콘텐츠의 ID로 이루어진 「소거 정보」, 다른 사용자의 기록 장치상에서 작성된 기록 콘텐츠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들 수 있다.
또한, 컴퓨터나 PDA, 휴대전화 등,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한 부가 가치 정보로서는, 단말 장치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정보 제공 서버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 기기에 업로드된 파일의 ID와 업로드처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업로드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탐색·열람되며 또한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북 마크 정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복수의 콘텐츠를 카테고라이즈한 「분류 정보」, 사용자의 단말 장치상에서 사용자로부터 편집된 파일의 ID와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로 이루어진 「편집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나 피어 투 피어 접속 등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부가 가치 정보로서는,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상에서 설정되어 있는 착신음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나, 다른 사용자의 휴대전화로부터 공중전화망을 통해 서비스 센터 등의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로 표시되는 「서비스 사용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는, 기호가 유사한 사람들의 상점이나 이벤트 소개 등, 사용자의 실세계상에서의 활동을 규정하는 정보이다. 이러한 종류의 부가 가치 정보를 각 사용자에게 피드 백함으로써, 활동 장소에 따른 다른 부가 가치를 기대하는 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즈니랜드에 가면 미키 마니아의 정보(비밀 상점이나 마니아의 모임 장소 등)를 입수할 수 있다.
또한, 활동 범위가 동일한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또는 부가 가치 정보의 디스트리뷰션에 의해 구입 의욕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 활동의 활성화로도 이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서버(1)는 임의의 미디어상에서 취득된 기호 정보나 실세계상에서의 일반적인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부가 가치 정보나 실세계상에서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할 수있다. 이 부가 가치 정보에 의해 미디어를 자동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실세계상에서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에서 수집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TV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에서 수집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TV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수집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전화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의 표시 출력 및 음성 출력을 이용하여 부가 가치 정보에 준한 사용자 통지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타 미디어를 이용한 튜닝 서비스의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TV의 자동 제어 :
TV의 자동 제어 기능은, GPS를 갖는 휴대전화와 서버와 TV의 협동적인 동작에 의해 TV의 자동 제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서버(1) 및 TV(3)는, 각각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기능 구성을 갖는 각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GPS를 갖는 휴대전화(8)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GPS를 갖는 휴대전화(8)는, 제어부(81), GPS 안테나(82), GPS 수신기(83), 기억부(84), 채널 CODEC(62), 변조부(63), RF 회로(64), 복조부(65), D/A 변환기(68), 스피커(69), 부호화부(71), 복호화부(72), A/D 변환기(73), 마이크로폰(74), 조작부(75) 및 표시부(76)로 구성된다. 이 GPS를 갖는 휴대전화(8)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제어부(51)가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휴대전화나 그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이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상에서 통상의 전화 회선 접속을 실행하는 경우, RF 회로(64)가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으로부터 안테나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를 다운로드한다. 이어서, 복조부(65)에 의해 소정의 복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복조 처리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고, 복호부(72)에 의해 복호 처리되고, 추가로 D/A 변환기(68)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로폰(74)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는, A/D 변환기(7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부호화부(17)에 의해 부호화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부(63)에 의해 소정의 변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변조 처리된다. 그리고, RF 회로(64)에 의해 전송 신호로 업 컨버팅하고 나서 휴대전화 기지국을 향해 안테나 송신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는, 제어부(81)에 의한 처리 데이터를 휴대전화망을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망을 통해 소정의 프로바이더 또는 서비스 센터에 교환기 접속되고, 또한 휴대전화망을 통해 서버(1)(도 3 참조)에도 접속되어 미디어 제어용 및 실세계상의 부가 가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가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81)가 취급하는 데이터는,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부(63)에 의해 소정의 변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변조 처리되고, RF 회로(64)에 의해 전송 신호로 업 컨버팅하고 나서 휴대전화 기지국을 향해 안테나 송신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가 데이터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으로부터 안테나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는 RF 회로(64)에 의해 다운로드되고, 복조부에 의해 소정의 복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복조 처리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복호화됨으로써 제어부(81)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는, GPS 즉 전지구 측위 시스템에 기초한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공을 주회하는 3개 이상의 GPS 위성에서 발신되는 전파, 즉 GPS 신호를 GPS 안테나(82)를 통해 GPS 수신기(83)가 수신 처리하고, 이어서 채널 CODEC(62)이 채널 복호화한다. 얻어진 위치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있는 건물 ID와 함께 기억부(84)에 일시 보존된다.
조작부(75)는, 예를 들면 숫자 키나 기능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성되고, 시스템(7)에 대해 지시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부(75)를 통한 입력 커맨드는, 제어부(8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처리한다. 또한, 표시부(7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시각적인 사용자 피드 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억부(84)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그 외의 제어부(8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의 작업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GPS 기능에 따라 얻어진 위치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있는 건물 ID와 함께 기억부(84)에 일시 보존된다.
도 14에는 각 사용자의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임의의 사용자의 디지털 TV(3)(도 5 참조)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우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서버(1),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 TV(3)의 각 제어부(12, 81, 31)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협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이 플로우차트에 따라 각 사용자의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한 디지털 TV(3)의 자동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도시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8)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는, 건물 ID를 안테나, RF 회로를 통해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81)가 판별한다.
예를 들면, 각 상점 앞쪽에 Bluetooth나 wireless 1394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송신기를 설치해 두고, 이러한 무선 송신기가 항상 건물 ID를 송신하도록 해 두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휴대전화(8)를 갖고 다니던 사용자가 수신 가능 범위(셀)에 돌입하면, RF 회로(64)로부터 건물 ID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단계 S101에서, 건물 ID가 수신되었다고 판별되면 단계 S102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단계 S103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단계 S102에서는, 건물 ID가 수신됨과 동시에 GPS 안테나(82), GPS 수신기(83)를 통해 기억부(84)에 위치 정보와 건물 ID가 대응되어 기억된다. 또한, RF 회로(64)를 통해 서버(1)에 대해 사용자 ID 및 「위치 정보+건물 ID」라는형식의 사용자 활동 정보가 송신된다.
단계 S103에서, 제어부(81)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01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휴대전화(8)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서버(1)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5에서, 휴대전화(8)(및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사용자 활동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에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가 판별하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06으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진행한다.
단계 S106에서, 제어부(12)는 각 사용자의 휴대전화(6)에서 채취된 사용자 조작 정보 및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을 사용자 ID마다 데이터베이스(13)에 기억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단계 S107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08로 진행하고,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0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TV(3)를 클라이언트로 하고, 사용자(A)가 TV 정보의 서비스를 리퀘스트한다.
단계 S108에서, 매칭도 연산부(14)는 전체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있어서 사용자(A)와 다른 사용자 ID의 퍼스널 컴퓨터(2)에 관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매칭도를 연산하여 매칭도가 가장 높은 사용자 ID를 유사 사용자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각 카테고리의 데이터의 텍스트 베이스의 매칭을 실행하고,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수 등을 매칭도로 하면 된다. 또한, 일부가 일치하는 등의 매칭 정도에 따라 가중 처리해도 무방하다.
단계 S109에서, 제어부(12)는 검색된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13)의 TV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리퀘스트가 있는 사용자(A)의 단말에 대해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TV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송신한다. 이 경우의 TV 정보로서는, 튜닝되는 채널 ID로 이루어진 「채널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제어부(12)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05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1)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디지털 TV(3)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11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32)를 통한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단계 S112로 진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2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A) 및 TV 정보라는 데이터의 리퀘스트를 데이터 송수신부(3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13에서, 제어부(31)는 서버(1)로부터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TV 정보가 데이터 송수신부(33)을 통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14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5로 진행한다.
단계 S114에서, 제어부(31)는 수신한 TV 정보를 기억부(34)에 기억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15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선택 화면 재생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채널 선택 화면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116으로 진행하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7로 진행한다.
단계 S116에서, 채널 우선도 제어부(35)는 기억부(34)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를 갖는 유사 사용자의 채널 우선도에 따라 영상 디코더(36)를 통해 채널 선택 화면을 재생한다. 즉, 유사 사용자가 자주 보았던 채널이 예를 들면 위에 표시되도록, 채널 선택 화면이 자동적으로 커스터마이즈되어 재생된다.
단계 S117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 채널 전환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자동 채널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118로 진행하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9로 진행한다.
단계 S118에서, 자동 채널 전환 제어부(37)는 기억부(34)에 기억되는 자동 채널 전환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채널이 전환된다. 즉, 유사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채널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31)가 튜너 회로(38)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채널이 전환된 튜너 회로(38)의 출력은 복조기(39)에서 복조되고, 디멀티플렉서(40)에서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로 분리된다. 음성 데이터는 음성 디코더(41)에서 디코딩됨과 동시에 재생되고, 영상 데이터는 영상 디코더(36)에서 디코딩됨과 동시에 재생된다.
또한,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음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또는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자동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119에서, 제어부(1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11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디지털 TV(3)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처리 루틴에서는, 디지털 TV(3)의 자동 해상도 제어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물론 타 미디어, 즉 휴대전화(8)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와 건물 ID 등의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 정보」를 특정하고,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는 디지털 TV(3)상에서 자동 해상도 제어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 해상도 제어의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자동 해상도 제어가 지시된 경우,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는 복수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클래스 분류용 예측 계수에 의해 영상 디코더(36)에서 디코딩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어하고, 기억부(34)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예측 계수의 식별자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영상 디코더(36)로부터의 화상 출력의 해상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에게 이미 양도되어 있는 미국특허 제5,517,588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동 특허 명세서의 기술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에서 수집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TV의 자동 제어 :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과 서버와 TV의 협동적인 동작에 의해 TV의 자동 제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서버(1) 및 TV(3)는, 각각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기능 구성을 갖는 각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은, 예를 들면 크레딧 카드에 의한 대금 결제를 행하는 카드 리더와 일체화하여 구성되며 각 점포마다 설치하여 이용된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은, 제품 정보 입력부(91), 제어부(92), 외부 기억 장치(93), 크레딧 카드 정보 판독부(94), 정보 작성부(95), 조작부(96), 표시부(97) 및 데이터 송수신부(98)로 구성된다.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제어부(92)가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9)을 통상의 크레딧 카드에 의한 대금 정산에 이용하는 경우, 크레딧 카드상에 자기 기록 등의 방식으로 입력된 정보를 크레딧 카드 정보 판독부(94)가 판독한다. 또한, 바코드 리더 등으로 구성되는 제품 정보 입력부(91)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부수하는 바코드와 같은 매체를 판독하여 해독하고, 그 제품 정보를 특정한다. 이들 판독된 크레딧 카드 정보나 제품 정보는 제어부(92)에 전송된다. 제어부(9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크레딧 카드 정보나 제품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외부 기억 장치(93)에 보존하거나 데이터 송수신부(98)를 통해 외부 시스템에 데이터 송신하거나 과금 처리한다.
정보 작성부(95)는, 본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상에서 크레딧 카드가 이용될 때마다 축차적으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작성한다. 사용자 활동 정보는, 카드 소지자의 사용자 ID, 본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의 위치 정보, 설치 장소의 건물 ID, 제품 정보 입력부(91)를 통해 입력된 제품 ID 등의 데이터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조작부(96)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성되고, 시스템(2)에 대해 지시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지시부(97)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시스템(9)내의 연산 결과 등에 관한 시각적인 사용자 피드 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외부 기억 장치(93)는, 하드 디스크 장치(HDD)와 같은 비교적 대용량이고 비휘발성의 기억 장치로 구성된다. 외부 기억 장치(93)는, 제어부(92)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인스톨이나 각종 데이터 파일의 보존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크레딧 카드 정보나 구입한 제품 정보는 외부 기억 장치(93)상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된다. 또한,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이 설치된 장소(점포)의 위치 정보, 건물 ID, 제품 ID 등도 외부 기억 장치(93)상에 비휘발적으로 보관된다. 또한, 카드로부터 판독한 카드 소지자의 사용자 ID나 크레딧 카드 이용시에 작성되는 사용자 정보도 외부 기억 장치(93)상에 일시 기록된다.
데이터 송수신부(98)는, 본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을 외부의 호스트 단말과 상호 접속하기 위한 기능 모듈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통신 프로토콜스택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본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은 데이터 송수신부(98)를 통해 서버(1)에 접속된다.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은, 정보 작성부(95)에 의해 작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98)에 의해 서버(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은, 크레딧 카드를 베이스로 한 신용 결제를 통괄적으로 관리하는 결제 기관(도시 생략)과는 데이터 송수신부(98)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결제 정보를 차례로 송신한다.
도 16에는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상에서 채취된 각 사용자의 활동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임의의 사용자의 디지털 TV(3)(도 5 참조)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우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서버(1),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 TV(3)의 각 제어부(12 ,92, 31)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협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이 플로우차트에 따라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상에서 채취된 각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초한 디지털 TV(3)의 자동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계 S121에서 제품 정보 입력부(91)로의 입력, 예를 들면 바코드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부(92)가 판별한다. 그리고,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22로 진행하고,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2에서, 제어부(92)는 입력된 구입 제품 정보를 외부 기억 장치(93)에 기억한다.
단계 S123에서, 크레딧 카드 정보 판독부(94)로부터 판독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제어부(92)가 판별한다. 그리고, 크레딧 카드 정보의 판독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24로 진행하고, 판독이 없는 경우에는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단계 S124에서, 정보 작성부(95)는 크레딧 카드 정보로부터 특정된 사용자 ID, 제품 정보 입력부(91)로부터의 입력으로 특정된 제품 ID, 외부 기억 장치(93)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위치 정보 및 건물 ID로 이루어진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작성한다. 그리고, 단계 S125에서는 작성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26에서, 제어부(9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21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서버(1)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27에서,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및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사용자 활동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에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가 판별하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28으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29로 진행한다.
단계 S128에서, 제어부(12)는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상에서 채취된 각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을 사용자 ID마다 데이터베이스(13)에 기억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단계 S129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30으로 진행하고,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32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TV(3)를 클라이언트로 하고, 사용자(A)가 TV 정보의 서비스를 리퀘스트한다.
단계 S130에서, 매칭도 연산부(14)는 전체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있어서 사용자(A)와 다른 사용자 ID의 사용자 활동 정보의 매칭도를 연산하여 매칭도가 가장 높은 사용자 ID를 유사 사용자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각 카테고리의 데이터의 텍스트 베이스의 매칭을 실행하고,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수 등을 매칭도로 하면 된다. 또한, 일부가 일치하는 등의 매칭 정도에 따라 가중 처리해도 무방하다.
단계 S131에서, 제어부(12)는 검색된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13)의 TV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리퀘스트가 있는 사용자(A)의 단말에 대해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TV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송신한다. 이 경우의 TV 정보로서는, 튜닝되는 채널 ID로 이루어진 「채널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단계 S132에서, 제어부(12)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27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1)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디지털 TV(3)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33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32)를 통한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단계 S134로 진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35로 진행한다.
단계 S134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A) 및 TV 정보라는 데이터의 리퀘스트를 데이터 송수신부(3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35에서, 제어부(31)는 서버(1)로부터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TV 정보가 데이터 송수신부(33)을 통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36으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37로 진행한다.
단계 S136에서, 제어부(31)는 수신한 TV 정보를 기억부(34)에 기억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37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선택 화면 재생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채널 선택 화면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138로 진행하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39로 진행한다.
단계 S138에서, 채널 우선도 제어부(35)는 기억부(34)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의 사용자의 채널 우선도에 따라 영상 디코더(36)를 통해 채널 선택 회면을 재생한다. 즉, 유사 사용자가 자주 보았던 채널이 예를 들면 위에 표시되도록, 채널 선택 화면이 자동적으로 커스터마이즈되어 재생된다.
단계 S139에서,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 채널 전환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자동 채널 전환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S140으로 진행하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41로 진행한다.
단계 S140에서, 자동 채널 전환 제어부(37)는 기억부(34)에 기억되는 자동 채널 전환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채널이 전환된다. 즉, 유사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채널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31)가 튜너 회로(38)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채널이 전환된 튜너 회로(38)의 출력은 복조기(39)에서 복조되고, 디멀티플렉서(40)에서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로 분리된다. 음성 데이터는 음성 디코더(41)에서 디코딩됨과 동시에 재생되고, 영상 데이터는 영상 디코더(36)에서 디코딩됨과 동시에 재생된다.
단계 S141에서, 제어부(1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33으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디지털 TV(3)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낸 처리 루틴에서는, 디지털 TV(3)의 자동 해상도 제어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물론 타 미디어, 즉 크레디트 이용 기록 시스템(9)으로부터 얻은 제품 ID와 위치 정보, 건물 ID 등의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 정보」를 특정하고,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는 디지털 TV(3)상에서의 자동 해상도 제어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 해상도 제어의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자동 해상도 제어가 지시된 경우, 자동 해상도 제어부(42)는 복수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클래스 분류용 예측 계수에 의해 영상 디코더(36)에서 디코딩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어하고, 기억부(34)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예측 계수의 식별자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영상 디코더(36)로부터의 화상 출력의 해상도를 제어한다.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에게 이미 양도되어 있는 미국특허 제5,517,588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동 특허 명세서의 기술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가 사용자 활동 정보의 매칭도 연산에 있어서 구입한 제품, 상점의 위치 정보, 상점의 이름이 일치하는 사용자를 동일 기호를 갖는 유사 사용자로서 위치 부여하여 유사 사용자가 갖는 기기 조작 정보를 기초로 TV의 자동 튜닝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C. 제3 실시 형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사용자의 실세계상에서의 시행 정보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특정의 사용자에 있어서의 미디어의 자동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사용자의 미디어의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부가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세계상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채취된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전화(7)상에서 사용자 통지를 실행하는 등의 실세계상에서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세계상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 서비스 기능은, 퍼스널 컴퓨터(2)와 서버(1)와 휴대전화(7)의 협동적인 동작에 의해 실현된다.
서버(1) 및 퍼스널 컴퓨터(2)는, 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기능 구성을 갖는 각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GPS를 갖는 휴대전화(7)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GPS를 갖는 휴대전화(7)는, 제어부(101), 기억부(102), 위치 정보 비교기(103), 채널 CODEC(62), 변조부(63), RF 회로(64), 복조부(65), D/A 변환기(68), 스피커(69), 부호화부(71), 복호화부(72), A/D 변환기(73), 마이크로폰(74), 조작부(75), 표시부(76), GPS 안테나(82) 및 GPS 수신기(83)로 구성된다. 이 GPS를 갖는 휴대전화(7)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제어부(101)가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휴대전화(7)나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이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상에서 통상의 전화 회선 접속을 실행하는 경우, RF 회로(64)가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으로부터 안테나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를 다운 컨버팅한다. 이어서, 복조부(65)에 의해 소정의 복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복조 처리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고, 복호부(72)에 의해 복호 처리되고, 추가로 D/A 변환기(68)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로폰(74)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는, A/D 변환기(7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부호화부(71)에 의해 부호화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부(63)에 의해 소정의 변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변조 처리된다. 그리고, RF 회로(64)에 의해 전송 신호로 업 컨버팅하고 나서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을 향해 안테나 송신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는, 제어부(101)에 의한 처리 데이터를 휴대전화망을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망을 통해 소정의 프로바이더 또는 서비스 센터에 교환기 접속되고, 추가로 휴대전화망을 통해 서버(1)(도 3 참조)에도 접속되고, 미디어 제어용 및 실세계상의 부가 가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가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61)가 취급하는 데이터는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부(63)에 의해 소정의 변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변조 처리되고, RF 회로(64)에 의해 전송 신호로 업 컨버팅하고 나서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을 향해 안테나 송신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가 데이터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으로부터 안테나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는 RF 회로(64)에 의해 다운 컨버팅되고, 복조부에 의해 소정의 복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복조 처리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복호화됨으로써, 제어부(61)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는, 데이터 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서버(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부가 가치 정보의 일례로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들 수 있다. 사용자 활동 정보는, 위치 정보와 건물 ID 등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활동 정보는, 실세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활동을 규정하는 데이터로 구성되고, 수신 사용자의 활동 의욕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다. 수신된 사용자 활동 정보는 기억부(102)에 일시 기억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는, GPS 즉 전지구 측위 시스템에 기초한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공을 주회하는 3개 이상의 GPS 위성에서 발신되는 전파, 즉 GPS 신호를 GPS 안테나(82)를 통해 GPS 수신기(83)가 수신 처리하고, 이어서 채널 CODEC(62)이 채널 복호화한다. 얻어진 위치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있는 건물 ID와 함께 기억부(102)에 일시 보존된다.
조작부(75)는, 예를 들면 숫자 키나 기능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성되고, 시스템(7)에 대해 지시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부(75)를 통한 입력 커맨드는, 제어부(10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처리한다. 또한, 표시부(7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시각적인 사용자 피드 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억부(10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그 외의 제어부(6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의 작업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서버(1)로부터 수신한 부가 가치 정보나 GPS 기능에 따라 얻어진 위치 정보는 기억부(102)에 일시 보존된다.
위치 정보 비교부(103)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수신된 위치 정보와 GPS 기능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 모듈이다. 제어부(101)는, 이 위치 정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통지용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음성 데이터는 기억부(102)에서 일시 기억된 후, D/A 변환기(68)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통지용 음성 출력은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등 실세계에 영향을 미친다.
도 18에는 복수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정보 수집에 기초하여 임의의 사용자의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를 통해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우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서버(1), 퍼스널 컴퓨터(2), 휴대전화(7)의 각 제어부(12, 22, 101)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협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이 플로우차트에 따라 복수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조작 정보에 기초한 임의의 사용자에 대한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제공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51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21)가 조작되고 HTML 취득 지시가 있었다고 제어부(22)가 판단하면, 단계 S152로 진행한다. HTML 취득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5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52에서, 인터넷에 접속되는 서버(1)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부(23)가 사용자 지시가 있는 HTML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어부(22)의 제어하에서 HTML 디코드부(24)가 HTML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표시부(25)에 의해 HTML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53에서는, 북 마크 등록 감시부(27)에 있어서 조작부(21)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북 마크 등록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북 마크 등록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54로 진행하고,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55로 진행한다.
단계 S154에서,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ID,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북 마크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55에서, 다운로드 감시부(28)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56으로 진행하고, 다운로드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57로 진행한다.
단계 S156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업로드 감시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업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업로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업로드된 파일의 ID와 업로드처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업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157에서는, 데이터 보존 지시 감시부(29)가 HTML 정보에 표시되는 정보의 데이터 보존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보존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58로 진행하고, 보존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59로 진행한다.
단계 S158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보존 ID, 보존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59에서, 데이터 소거 지시 감시부(30)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소거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소거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60으로 진행하고, 데이터 소거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61로 진행한다.
단계 S160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소거 ID, 소거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또는 소거 대상의 파일명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그 외,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편집이 실행된 경우에는, 편집된 파일의 ID와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로 이루어진 「편집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161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51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서버(1)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62에서, 퍼스널 컴퓨터(2)(및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에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가 판별하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63으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64로 진행한다.
단계 S163에서, 제어부(12)는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을 사용자 ID마다 데이터베이스(13)에 기억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단계 S164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65로 진행하고,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67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휴대전화(6)를 클라이언트로 하고, 사용자(A)가 활동 정보의 서비스를 리퀘스트한다.
단계 S165에서, 매칭도 연산부(14)는 전체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있어서 사용자(A)와 다른 사용자 ID의 퍼스널 컴퓨터에 관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매칭도를 연산하여 매칭도가 가장 높은 사용자 ID를 유사 사용자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각 카테고리의 데이터의 텍스트 베이스의 매칭을 실행하고, 매칭도는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수 등이면 된다. 또한, 일부가 일치하는 등의 매칭 정도에 따라 가중시켜도 무방하다.
단계 S166에서, 제어부(12)는 검색된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13)의 사용자 활동 정보(위치 정보+건물 ID)를 판독함과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리퀘스트가 있는 사용자(A)의 단말에 대해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사용자 활동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167에서, 제어부(12)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62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1)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17에 도시한 휴대전화(7)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S168에서, 제어부(10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75)를 통한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단계 S169로 진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7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9에서, 제어부(101)는 채널 CODEC 회로(62), 변조부(63), RF 회로(64)를 통해 사용자(A), 사용자 활동 정보라는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70에서, 제어부(101)는 안테나를 통해 RF 회로(64), 복조부(65), 채널 CODEC 회로(62)를 통한 서버(1)로부터 사용자 활동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사용자 활동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71로 진행하고, 사용자 활동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72로 진행한다.
단계 S171에서, 제어부(101)는 수신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억부(102)에 기억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활동 정보는 위치 정보와 건물 ID로 구성된다.
단계 S172에서, 위치 정보 비교부(103)가 GPS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는 위치 정보와 기억부(102)에 기억되는 유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양자의 위치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는 단계 S173으로 진행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단계 S173에서, 제어부(101)는 기억부(10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알람용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기(68)로 송출하고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가 일치한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또는 음성 출력 대신에 위치 정보가 일치한다는 취지의 통지 정보를 표시부(76)에서 화면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174에서, 제어부(101)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68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휴대전화(7)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가 사용자의 매칭도 연산에 사용자의 브라우징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부가 가치 서비스로서, 브라우징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가 방문한 위치에 휴대전화의 사용자가 들르면 알람으로 통지한다. 따라서, 일견 사용자가 흥미가 없는 장소에 있어도 볼 가치가 있는 물품, 풍경, 제품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 결과, 실세계상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가 가치 정보에 준한 제품 구입 :
최근 휴대전화에 의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개시되고, 휴대전화상에서의 티켓 예약을 비롯한 가치 정보의 유통이나 그 외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소비 활동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채취된 사용자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전화상에서 실세계상에서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부가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전화상에서 제품을 구입하는 실세계상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 서비스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서버(1) 및 퍼스널 컴퓨터(2)는, 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기능 구성을 갖는 각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GPS를 갖는 휴대전화(7A)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GPS를 갖는 휴대전화(7A)는, 제어부(111), 기억부(112), 위치 정보 비교부(113), 구입 예약/취소/결정 정보 작성부(114), 채널 CODEC(62), 변조부(63), RF 회로(64), 복조부(65), D/A 변환기(68), 스피커(69), 부호화부(71), 복호화부(72), A/D 변환기(73), 마이크로폰(74), 조작부(75) 및 표시부(76)로 구성된다. 이 GPS를 갖는 휴대전화(7A)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하에서 제어부(111)가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휴대전화나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이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상에서 통상의 전화 회선 접속을 실행하는 경우, RF 회로(64)가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으로부터 안테나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를 다운 컨버팅한다. 이어서, 복조부(65)에 의해 소정의 복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복조 처리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고, 복호부(72)에 의해 복호 처리되고, 추가로 D/A 변환기(68)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로폰(74)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는, A/D 변환기(7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부호화부(71)에 의해 부호화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부(63)에 의해 소정의 변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변조 처리된다. 그리고, RF 회로(64)에 의해 전송 신호로 업 컨버팅하고 나서 휴대전화 기지국을 향해 안테나 송신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는, 제어부(111)에 의한 처리 데이터를휴대전화망을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망을 통해 소정의 프로바이더 또는 서비스 센터에 교환기 접속되고, 추가로 휴대전화망을 통해 서버(1)(도 3 참조)에도 접속되고, 미디어 제어용 및 실세계상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가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11)가 취급하는 데이터는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변조부(63)에 의해 소정의 변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변조 처리되고, RF 회로(64)에 의해 전송 신호로 업 컨버팅하고 나서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을 향해 안테나 송신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가 데이터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 휴대전화 기지국(도시 생략)으로부터 안테나 수신한 아날로그 전송 신호는 RF 회로(64)에 의해 다운 컨버팅되고, 복조부에 의해 소정의 복조 정보 및 타이밍에 따라 복조 처리되고, 채널 CODEC(62)에 의해 채널 복호화됨으로써, 제어부(61)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는, 데이터 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를 서버(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가치 정보의 일례로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소비에 관한 구입 정보를 들 수 있다. 구입 정보는 위치 정보와 건물 ID와 제품 ID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수신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수신된 구입 정보는 기억부(112)에 일시 기억된다.
또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는, GPS, 즉 전지구 측위 시스템에 기초한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공을 주회하는 3개 이상의 GPS 위성에서 발신되는 전파, 즉 GPS 신호를 GPS 안테나(82)를 통해 GPS 수신기(83)가 수신 처리하고, 이어서 채널 CODEC(62)이 채널 복호화한다. 얻어진 위치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있는 건물 ID와 함께 기억부(112)에 일시 보존된다.
조작부(75)는, 예를 들면 숫자 키나 기능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성되고, 시스템(7A)에 대해 지시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표시부(7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시각적인 사용자 피드 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부(75)는 전화 번호의 입력이나 착신 멜로디의 설정, 티켓 구입 등의 각종 서비스 사용에 관한 커맨드 입력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조작부(75)를 통한 입력 커맨드는 제어부(11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처리하게 되어 있다.
기억부(11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그 외의 제어부(6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의 작업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치 정보 비교부(113)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수신된 위치 정보와 GPS 기능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 모듈이다. 제어부(111)는, 이 위치 정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통지용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음성 데이터는 기억부(112)에서 일시 기억된 후, D/A 변환기(68)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된다. 통지용 음성 출력은,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등 실세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입 예약/취소/결정 정보 작성부(114)는, 서버(1)로부터 수신한 부가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소비에 관한 예약, 그 취소, 그 결정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서버(1)는, 퍼스널 컴퓨터(2)(도 5 참조)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수집하여 구입에 관한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점에서,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를 통해 실세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0에는 복수 사용자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채취되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를 통해 임의의 사용자에게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플로우차트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서버(1), 퍼스널 컴퓨터(2),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의 각 제어부(12, 22, 111)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협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이 플로우차트에 따라 복수 사용자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조작 정보에 기초한 임의의 사용자의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제공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81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21)가 조작되고 HTML 취득 지시가 있었다고 제어부(22)가 판단하면, 단계 S182로 진행한다. HTML 취득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8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82에서, 인터넷에 접속되는 서버(1)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부(23)가 사용자 지시가 있는 HTML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어부(22)의 제어하에서 HTML 디코드부(24)가 HTML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표시부(25)에 의해 HTML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탐색·열람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Web의 「브라우징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83에서는, 북 마크 등록 감시부(27)에 있어서 조작부(21)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북 마크 등록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북 마크 등록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84로 진행하고,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85로 진행한다.
단계 S184에서, 제어부(22)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ID, 북 마크 등록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북 마크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85에서, 다운로드 감시부(28)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86으로 진행하고, 다운로드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87로 진행한다.
단계 S186에서, 마찬가지로 제어부(22)는 퍼스널 컴퓨터(2)상에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다운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업로드 감시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21)를 통한 업로드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업로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사용자 ID, 퍼스널 컴퓨터(2)에서 업로드된 파일의 ID와 업로드처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로 표시되는 「업로드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187에서는, 데이터 보존 지시 감시부(29)가 HTML 정보에 표시되는 정보의 데이터 보존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보존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88로 진행하고, 보존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89로 진행한다.
단계 S188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보존 ID, 보존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189에서, 데이터 소거 지시 감시부(30)는 외부 기억 장치(26)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소거 지시가 조작부(21)상에서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소거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90으로 진행하고, 데이터 소거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91로 진행한다.
단계 S190에서, 제어부(22)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ID, 소거 ID, 소거 대상에 대응하는 URL 데이터 또는 소거 대상의 파일명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의해 서버(1)로 송신한다.
그 외,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편집이 실행된 경우에는, 편집된 파일의 ID와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로 이루어진 「편집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서버(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191에서, 제어부(22)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51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한 서버(1)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92에서, 퍼스널 컴퓨터(2)(및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11)에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가 판별하고,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93으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94로 진행한다.
단계 S193에서, 제어부(12)는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상에서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을 사용자 ID마다 데이터베이스(13)에 기억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단계 S194에서, 제어부(12)는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95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97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사용자(A)가 구입 정보의 서비스를 리퀘스트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95에서, 매칭도 연산부(14)는 전체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있어서 사용자(A)와 다른 사용자 ID의 퍼스널 컴퓨터에 관한 사용자 조작 정보의 매칭도를 연산하여 매칭도가 가장 높은 사용자 ID를 유사 사용자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각 카테고리의 데이터의 텍스트 베이스의 매칭을 실행하고, 매칭도는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수 등이면 된다. 또한, 일부가 일치하는 등의 매칭 정도에 따라 가중시켜도 무방하다.
단계 S196에서, 제어부(12)는 검색된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13)의 구입 정보(위치 정보+건물 ID+제품 ID)를 판독함과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부(11)를 통해 리퀘스트가 있는 사용자(A)의 단말에 대해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구입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197에서, 제어부(12)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92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서버(1)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19에 도시한 휴대전화(7A)상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98에서, 제어부(11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75)를 통한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트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단계 S199로 진행하고,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99에서, 제어부(111)는 채널 CODEC 회로(62), 변조부(63), RF 회로(64)를 통해 사용자(A), 구입 정보라는 서비스 리퀘스트 정보를 서버(1)로 송신한다.
단계 S200에서, 제어부(111)는 안테나를 통해 RF 회로(64), 복조부(65), 채널 CODEC 회로(62)를 통해 서버(1)로부터 부가 가치 정보로서의 구입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구입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201로 진행하고, 구입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2로 진행한다.
단계 S201에서, 제어부(111)는 수신한 구입 정보인 위치 정보+건물 ID+제품 ID를 기억부(112)에 기억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202에서, 위치 정보 비교부(113)가 GPS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는 위치 정보와 기억부(112)에 기억되는 동일 기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양자의 위치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는 단계 S203으로 진행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단계 S203에서, 제어부(111)는 기억부(11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알람용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기(68)로 송출하고 스피커(69)를 통해 음성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가 일치한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또는 음성 출력 대신에 표시부(76)에 위치 정보가 일치한다는 취지의 통지 정보를 표시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204에서, 구입 예약/취소/결정 정보 작성부(114)는 기억부(112)에 기억되는 제품 ID와 건물 ID에 기초하여 그 건물(상점)에 구입 예약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송신 가능 범위가 아니면 상점에 정보를 송신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이에 비하여, 건물 ID가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어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제어부(111)는 예약시로부터의 일시를 연산하여 일정 기간을넘으면 단계 S206으로 진행하고, 일정 기간 이내이면 단계 S207로 진행한다.
단계 S206에서, 제어부(111)는 구입 예약/취소/결정 정보 작성부(114)에 의해 작성된 예약 취소 정보를 상점에 송신한다.
단계 S207에서, 제어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구입 결정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구입 결정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08로 진행하고, 구입 결정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09의 종료 지시로 진행한다.
단계 S208에서는, 구입 예약/취소/결정 정보 작성부(114)가 구입 결정 정보를 작성하고, 제어부(111)는 이 구입 결정 정보를 상점에 송신한다.
단계 S209에서는, 제어부(111)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종료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98로 되돌아가고, 종료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GPS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7A)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가 사용자의 매칭도 연산에 사용자의 브라우징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부가 가치 서비스로서, 브라우징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가 방문한 위치에 휴대전화의 사용자가 들르면, 알람으로 통지하여 이 사용자에게 내점을 재촉한다. 그리고, 기호가 유사한 사용자가 구입 예약한 것은 자동적으로 구입 예약 정보가 상점에 송신된다. 이에 따라, 매각 정보를 입수할 수 없었던 귀중한 것도 임시 예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도 바람직한 실세계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가 가치 정보 서비스에 있어서, 서버에 공급되는 수집 정보와 서버가 제공하는 부가 가치 정보의 관계를 총괄해 둔다.
텔레비전이나 스테레오 등 각종 미디어로부터 공급되는 수집 정보로서는, DVD 타이틀, 조작 정보, 게임 사용자의 입력 정보, 다이제스트용 클릭, 제품용 클릭, 채널 정보, 북 마크, 브라우징 정보를 들 수 있다.
또한 실세계상의 사용자로부터 공급되는 수집 정보로서는, 위치, 이동, 밀집 정보, GPS에 의한 위치, 진로 정보(통계량), 생체 정보(지문, 성문 등)를 들 수 있다.
또한 미디어와 실세계의 중간적인 수집 정보로서, 화상의 수집, 특수 효과를 들 수 있다.
한편, 서버가 각 미디어에 공급하여 튜닝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부가 가치 정보로서, 인기 타이틀 정보, 주목/따분한 장면, 게임 내용/나인드 변경, 다이제스트 화상 재생, 마케팅 정보, 자동 채널 전환, 서치 엔진 튜닝, 스포츠·영화의 중요도 부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서버가 제공하는 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가치 정보로서, 밀집 정도, 데이트 코스 정보, 정체 예측, 최적 경로 탐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서버가 제공하는 부가 가치 정보 중 미디어의 튜닝과 실세계의 쌍방에 영향을 미치는 중간적인 것으로서, 화상 노하우, 판매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수집 그리고 부가 가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서버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 이외에도, 범용성 계산기 시스템상에서 서버 기능을 실장한 소정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면 도 6의 단계 S22∼S27, 도 8의 단계 S52∼S57, 도 10의 단계 S82∼S87, 도 14의 단계 S105∼S110, 도 16의 단계 S127∼S132, 도 18의 단계 S162∼S167, 도 20의 단계 S192∼S197의 각 플로우차트를 실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리킨다.
도 21에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계산기 시스템(50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해하고 있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면서 상기 각 플로우차트를 실장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계산기 시스템(500)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500)의 메인 컨트롤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50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제어하에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CPU(501)는 버스(508)에 의해 다른 기기류(후술)와 상호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502)는, CPU(50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거나 실행중인 작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억 장치이다. 동도에 도시한 메모리(502)는 비휘발 및 휘발 메모리 쌍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기 바란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503)는, CPU(501)가 발행하는 묘화 명령을 실제로 처리하기 위한 전용 컨트롤러이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503)에서 처리된 묘화 데이터는, 예를 들면 프레임 버퍼(도시 생략)에 일단 기입된 후에 디스플레이(511)에 의해 화면 출력된다.
입력 기기 인터페이스(504)는, 키보드(512)나 마우스(513) 등의 사용자 입력기기를 계산기 시스템(500)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5)는, Ethernet 등의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시스템(500)을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국소적 네트워크, 나아가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상에서는, 콘텐츠 수신 장치 등의 복수의 호스트 단말(도시 생략)이 트랜스 페어런트한 상태에서 접속되어 분산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어 있다. 네트워크상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콘텐츠 등의 배신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수집 및 부가 가치 정보 생성·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이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성된 부가 가치 정보를 네트워크 경유로 각 미디어나 사용자 단말로 배신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507)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514)나 미디어 드라이브(515) 등의 외부 장치를 시스템(500)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HDD(514)는, 기억 담체로서의 자기 디스크를 고정적으로 탑재한 외부 기억 장치로서(주지), 기억 용량이나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의 점에서 다른 외부 기억 장치보다 우수하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상태로 HDD(514)상에 두는 것을 프로그램의 시스템으로의 「인스톨」이라 한다. 통상, HDD(514)에는 CPU(501)가 실행해야 할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코드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이 비휘발적으로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수집 및 부가 가치 정보의생성·제공을 실행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나 부가 가치 정보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HDD(514)상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경유로 수신한 각 사용자의 정보를 HDD(514)상에 축적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부가 가치 정보를 HDD(514)상에 축적할 수 있다.
미디어 드라이브(515)는, CD(Compact Disc)나 MO(Magneto-Optical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가반형(可搬型) 미디어를 장전하여 그 데이터 기록면에 액세스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반형 미디어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 등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서 백 업하거나, 이들을 시스템 사이에서 이동(즉, 판매, 유통, 배포를 포함함)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수집 및 부가 가치 정보의 생성·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나 부가 가치 정보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이들 가반형 미디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간에서 물리적으로 유통, 배포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의 정보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부가 가치 정보를, 이들 가반형 미디어를 이용하여 기기간에서 물리적으로 유통, 배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산기 시스템(500)의 일례는, 미국 IBM사의 퍼스널 컴퓨터 “PC/AT(Personal Computer/Advanced Technology)”의 호환기 또는 후속기이다. 물론, 다른 아키텍쳐를 구비한 컴퓨터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계산기 시스템(500)으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추가 보충
이상,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그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이룰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예시라는 형태로 본 발명을 개시한 것으로서,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모두에 기재한 특허청구의 범위란을 참작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기기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기억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기기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관련된 부가 가치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부가 가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기초한 여러가지 서비스 제공에 자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기억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종류의 전자 기기 사이에서 인가된 사용자 조작의 연동성이나 상관을 구함으로써, 사람에 의한 의미 분석의 개재 없이 사용자의 기호에 기초한 여러가지 서비스 제공에 자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 기호 분석 등의 복잡한 신호 처리를 없애더라도 기호에 적합한 전자 기기 제어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의 이동이나 구입 등의 활동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의 전자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가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 기호 분석 등의 복잡한 신호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기호에 맞는 전자 기기 제어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세계과 정보 사회를 쉽게 결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기기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점의 장소 통지, 구입 예약 등이 자동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구입 기회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측의 구매 촉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40)

  1.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가 재생하는 콘텐츠 ID 및 재생 시간을 시청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가 튜닝되는 채널 ID 및 이 튜닝되는 채널 ID가 변경된 채널 전환 시간을 채널 전환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재생됨과 동시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기록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다른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미디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기록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이 예약되는 콘텐츠 ID를 기록 예약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미디어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재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재생 장치에 대해 지정된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및 일시정지 중 적어도 1개의 기능과, 해당 기능에 대한 지정 시간을 상기 조작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된 사이트를 나타내는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브라우징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이 기억되는 URL을 다운로드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외부 기기로 업로드된 파일의 ID, 및 이 업로드 파일이 기억되는 URL을 업로드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됨과 동시에 북 마크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북 마크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편집되는 파일의 ID, 및 이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를 편집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에 의해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를 서비스 사용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서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가 튜닝되는 채널 ID를 상기 제1 사용자의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서의 다른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미디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기록 예약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이미 기록이 예약되어 있는 기록 예약 일시 정보를 기록 예약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이제스트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의 검색 인덱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중 소거된 콘텐츠 ID를 소거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정보를 타이틀 작성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브라우징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된 다운로드 파일이 기억되는 URL을 다운로드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됨과 동시에 북 마크된 사이트 정보를 나타내는 URL을 북 마크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단말 장치내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복수의 콘텐츠의 각 분류를 분류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설정되는 착신시에 재생되는 착신음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8.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각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어 수집된 활동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현재 위치하는 건물의 식별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각 사용자에 의한 전자 기기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활동 정보로서 추가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크레딧 카드 이용시에 검출되는 제품 구입 정보를 상기 활동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활동 정보로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건물의 식별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서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가 튜닝되어 있는 채널 ID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서의 다른 재생 기기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미디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기록 예약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이미 기록이 예약되어 있는 기록 예약 일시 정보를 기록 예약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이제스트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2.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의 검색 인덱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3.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 중 소거된 콘텐츠 ID를 소거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4.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정보를 타이틀 작성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브라우징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이 기억되는 URL을 다운로드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됨과 동시에 북 마크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북 마크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9.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단말 장치내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복수의 콘텐츠의 각 분류를 분류 정보로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설정되는 착신시에 재생되는 착신음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3.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가 재생하는 콘텐츠 ID 및 재생 시간을 시청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가 튜닝되는 채널 ID 및 이 튜닝되는 채널 ID가 변경된 채널 전환 시간을 채널 전환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7.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재생됨과 동시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기록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8.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다른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미디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기록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0.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이 예약되는 콘텐츠 ID를 기록 예약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1.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미디어에 기록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재생 장치에 대해 지정된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및 일시정지 중 하나의 기능과, 해당 기능에 대한 지정 시간을 상기 조작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3.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브라우징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이 기억되는 URL을 다운로드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6.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로 업로드된 파일의 ID, 및 이 업로드 파일이 기억되는 URL을 업로드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7.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됨과 동시에 북 마크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북 마크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8.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편집되는 파일의 ID, 및 이 편집의 종류를 특정하는 편집 ID를 편집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9.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를 서비스 사용 정보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1.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건물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크레딧 카드 이용시에 검출되는 제품 구입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크레딧 카드 이용시에 검출되는 제품 구입 정보, 및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건물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5. 본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다른 전자 기기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수신 장치가 튜닝되는 채널 ID를 채널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채널 ID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수신 장치상에서 튜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해상도 창조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9.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량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수신 장치상에서 음량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0.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의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미디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기록 예약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콘텐츠 ID 및 상기 기록 시간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 상에서 기록 예약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2.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기록 장치에 의해 이미 기록이 예약되어 있는 기록 예약 일시 정보를 기록 예약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기록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 상에서 기록 예약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3.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이제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이제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다이제스트를 작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4.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의 검색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검색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검색 인덱스를 작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5.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중 소거된 콘텐츠 ID를 소거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소거 정보의 콘텐츠 ID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 내에 기록되는 콘텐츠를 소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6.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타이틀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 내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타이틀이 자동적으로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브라우징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URL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 상에서의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9.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이 기억되는 URL을 다운로드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URL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상에서의 다운로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0.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됨과 동시에 북 마크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북 마크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URL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상에서의 북 마크 등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1.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말 장치 내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복수의 콘텐츠의 각 분류를 분류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 내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분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2.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통신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에 설정되는 착신시에 재생되는 착신음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착신음 ID에 대응하는 착신음을 본 전자 기기로서의 통신 단말 장치에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4.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예약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5.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의 주변에 위치할 때에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고지(告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건물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건물의 주변에 위치할 때에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7.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크레딧 카드 이용시에 검출되는 제품 구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제품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구입을 예약하는 예약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8. 본 전자 기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활동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0.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수신 장치가 튜닝되는 채널 ID를 채널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채널 ID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수신 장치의 튜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1.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의 주목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해상도 창조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2.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나타내는 음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음량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수신 장치상에서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3.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의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미디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을 기록 예약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콘텐츠 ID 및 기록 시간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상에서 기록 예약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5.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기록 장치에 의해 이미 기록이 예약되어 있는 기록 예약 일시 정보를 기록 예약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기록 예약 일시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 상에서 기록 예약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6.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이제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다이제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다이제스트를 작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7.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의 검색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검색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검색 인덱스를 작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8.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중 소거된 콘텐츠 ID를 소거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콘텐츠 ID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기록 장치내에 기록되는 콘텐츠를 소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9.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타이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타이틀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기록 장치내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타이틀이 자동적으로 작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0.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1.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브라우징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브라우징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상에서의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2.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된 다운로드 파일이 기억되는 URL을 다운로드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URL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 상에서의 다운로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3.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의해 브라우징됨과 동시에 북 마크된 사이트를 나타내는 URL을 북 마크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URL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 상에서의 북 마크 등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4.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단말 장치 내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복수의 콘텐츠의 각 분류를 분류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분류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단말 장치 내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분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5.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의 외부 기기와의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로서의 통신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6.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에 설정되는 착신시에 재생되는 착신음을 식별하는 착신음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착신음 ID에 대응하는 착신음을 본 전자 기기로서의 통신 단말 장치에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7.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에 의해 외부 기기에 대해 송신된 티켓 예약 정보를 식별하는 서비스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예약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8.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의 주변에 위치할 때에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9.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건물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건물 주변에 위치할 때에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0.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유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서의 사용자의 크레딧 카드 이용시에 검출되는 제품 구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제품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구입을 예약하는 예약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1.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2.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각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되어 수집된 활동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제2 사용자를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3.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4. 본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다른 전자 기기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35. 본 전자 기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활동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36.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전자 기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가독(可讀)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137. 복수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각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되어 수집된 활동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138. 복수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관한 제1 전자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제1 전자 기기 정보가 제1 사용자와 유사한 제2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139. 유사 사용자에 의한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본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다른 전자 기기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140. 유사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1 사용자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실행하도록 기술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가독 형식으로 물리적으로 저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본 전자 기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활동 정보가 본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KR1020027012427A 2001-01-23 2002-01-15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및기억 매체 KR100861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14244 2001-01-23
JPJP-P-2001-00014244 2001-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232A true KR20020084232A (ko) 2002-11-04
KR100861625B1 KR100861625B1 (ko) 2008-10-07

Family

ID=1888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427A KR100861625B1 (ko) 2001-01-23 2002-01-15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및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30135539A1 (ko)
JP (7) JP4186620B2 (ko)
KR (1) KR100861625B1 (ko)
CN (1) CN1262955C (ko)
WO (1) WO20020597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1428A (ko) * 2011-12-15 2014-08-19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다수 관심 기반 사용자 상호작용 모드 지원
WO2015170851A1 (ko) * 2014-05-09 2015-11-12 주식회사 소울핑거 방송정보 기반 3d 캐릭터 설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7859B2 (en) * 2001-12-21 2007-10-0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igest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and sound content
US8656004B1 (en) * 2002-07-10 2014-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selected multimedia content to a user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US7516203B2 (en) * 2002-10-11 2009-04-07 Sony Corporation Network control verification system, control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apparatus, and network control verification method
WO2004046984A1 (ja) * 2002-11-19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操作ログ連携利用装置
US20040123327A1 (en) * 2002-12-19 2004-06-24 Tsang Fai M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settings
US7810128B2 (en) 2003-02-14 2010-10-0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ente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with,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with
JP4560707B2 (ja) * 2003-02-14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センター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706919B1 (en) * 2003-05-12 2014-04-22 Plan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and retrieval of personal preference audio settings on a processor-based host
JP4217957B2 (ja) 2003-05-14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019476B2 (en) * 2003-09-08 2011-09-13 Sony Corporatio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program, and building
JP2007506339A (ja) * 2003-09-22 2007-03-15 コニンクリユケ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ブイ. 共同ザッピ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JP4544847B2 (ja) * 2003-11-20 2010-09-1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システム
JP2005182196A (ja) * 2003-12-16 2005-07-07 Canon Inc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0346313C (zh) * 2004-08-13 2007-10-31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电子装置上的使用行为搜集方法
EP1867153B1 (de) * 2005-03-30 2014-04-3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GmbH & Co. K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speichern und wiedergeben von tv-sendungen
US8924256B2 (en) * 2005-03-31 2014-12-30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ontent based on data from an electronic device
WO2007002728A2 (en) * 2005-06-28 2007-01-04 Clar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adapting a media stream
US20070028262A1 (en) * 2005-07-29 2007-02-01 Zermatt Systems, Inc. Virtual discovery of content available to a device
US20070083908A1 (en) * 2005-10-12 2007-04-12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eb-related content
KR20120131215A (ko) * 2006-09-29 2012-12-04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인터랙티브 미디어 가이던스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프로파일들의 관리
JP5120265B2 (ja) * 2007-01-25 2013-01-16 富士通株式会社 嗜好番組抽出装置
US20090204885A1 (en) * 2008-02-13 2009-08-13 Ellsworth Thomas N Automated management and publication of electronic content from mobile nodes
JP5007681B2 (ja) * 2008-02-14 2012-08-22 ソニー株式会社 放送システム
JP4596044B2 (ja) * 2008-06-03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4645728B2 (ja) * 2008-11-25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履歴表示装置、履歴表示システム、履歴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649730B (zh) 2009-02-20 2019-02-01 日商尼康股份有限公司 資訊取得系統、攜帶型終端、伺服器、以及攜帶資訊機器用程式
US20100333151A1 (en) * 2009-06-30 2010-12-30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Cross platform entertainment architecture
US8705933B2 (en) * 2009-09-25 2014-04-22 Sony Corporation Video bookmarking
JP5081949B2 (ja) * 2010-05-24 2012-11-28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制御方法
US20120246167A1 (en) * 2011-03-24 2012-09-27 Echostar Technologies L.L.C. Reducing Bookmark File Search Time
CN102833294B (zh) * 2011-06-17 2015-05-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云存储的文件处理方法、系统及服务器集群系统
US9185152B2 (en) * 2011-08-25 2015-11-10 Ustream, Inc.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 live multimedia broadcasts
US8813108B2 (en) * 2011-11-23 2014-08-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eferred media programming
EP2833626A4 (en) * 2012-03-30 2016-05-04 Sony Corp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CONTROL SYSTEM
JP5997511B2 (ja) * 2012-06-15 2016-09-2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カード情報処理システム、カード情報処理装置、カード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63042B2 (en) 2012-10-05 2014-06-24 Motorola Mobility Llc Information provision
US9544647B2 (en) 2012-11-21 2017-01-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ttention-based advertisement scheduling in time-shifted content
JP6031972B2 (ja) 2012-11-27 2016-11-24 富士通株式会社 知覚反応分析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97589A1 (ja) 2012-12-20 2014-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22130A (ko) * 2013-02-28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신호 송수신 방법
US9729920B2 (en) 2013-03-15 2017-08-08 Arris Enterprises, Inc. Attention estimation to control the delivery of data and audio/video content
KR102067058B1 (ko) * 2013-08-23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3813184B (zh) * 2013-12-13 2017-06-23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播放控制方法、播放控制系统、服务器和用户终端
JP6352629B2 (ja) * 2013-12-17 2018-07-04 株式会社東芝 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915355B (zh) * 2014-03-13 2019-04-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户分类方法、装置及服务器
US9704113B2 (en) * 2014-05-02 2017-07-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ser preferences or device configuration
WO2016017945A1 (en) * 2014-07-29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JP6312564B2 (ja) * 2014-09-05 2018-04-18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0178203B1 (en) 2014-09-23 2019-01-08 Vecima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ly directing client requests to device specific resource locators
CN105873006A (zh) * 2015-07-13 2016-08-1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设备识别方法及装置
CN110602513B (zh) * 2019-08-20 2022-01-2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59A (en) 1868-10-27 Henry carpenter
US6400996B1 (en) * 1999-02-01 2002-06-04 Steven M. Hoffber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798785A (en) * 1992-12-09 1998-08-25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Terminal for suggesting programs offered on a television program delivery system
US6463585B1 (en) * 1992-12-09 2002-10-08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Targeted advertisement using television delivery systems
US5758257A (en) * 1994-11-29 1998-05-26 Herz; Frederick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broadcast of and access to video programs and other data using customer profiles
US6029195A (en) * 1994-11-29 2000-02-22 Herz; Frederick S. M. System for customized electronic identification of desirable objects
KR0146100B1 (ko) * 1995-01-07 1998-09-15 이헌조 가전기기의 실사용상태 정보수집 및 분석장치
US5805763A (en) * 1995-05-05 1998-09-0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rograms in an interactive viewing system
US5699107A (en) * 1995-05-05 1997-12-16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 reminder system
US5710815A (en) * 1995-06-07 1998-01-20 Vtech Communications, Ltd. Encoder apparatus and decoder apparatus for a television signal having embedded viewer access control data
IL118580A0 (en) 1995-06-30 1996-10-16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item recommendation using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US6112186A (en) * 1995-06-30 2000-08-29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ystem for facilitating exchange of user information and opinion using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JP3360495B2 (ja) * 1995-08-09 2002-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
KR100344903B1 (ko) * 1995-08-21 2002-09-1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페어렌탈록구간으로의분기재생을적은제어정보량으로용이하게실현하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와그재생장치
US6388714B1 (en) * 1995-10-02 2002-05-14 Starsight Telecast Inc Interactive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7930340B2 (en) * 1995-11-13 2011-04-19 Lakshmi Arunachalam Network transaction portal to control multi-service provider transactions
JPH09179909A (ja) *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のメモリカード
US5793365A (en) * 1996-01-02 1998-08-11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computer user interface enabling access to distributed workgroup members
US6061056A (en) * 1996-03-04 2000-05-09 Telexis Corporation Television monitoring system with automatic selection of program material of interest and subsequent display under user control
US6553108B1 (en) * 1996-06-05 2003-04-22 David Felger Method of billing a communication session conducted over a computer network
US5889863A (en) * 1996-06-17 1999-03-30 Verifone, In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remote virtual point of sale processing utilizing a multichannel, extensible, flexible architecture
PT932398E (pt) * 1996-06-28 2006-09-29 Ortho Mcneil Pharm Inc Utilizacao do topiramento ou dos seus derivados para a producao de um medicamento para o tratamento de disturbios bipolares maniaco- depressivos
JPH1032883A (ja) * 1996-07-16 1998-02-03 Alps Electric Co Ltd 車両用多重通信装置
EP0825787A1 (en) * 1996-08-12 1998-02-2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Negotiation process for connection management
US6247000B1 (en) * 1996-08-21 2001-06-12 Crossma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ation and settlement for financial transactions matching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JP3206458B2 (ja) * 1996-10-18 2001-09-10 日本電気株式会社 Dma転送方式
US6374237B1 (en) * 1996-12-24 2002-04-16 Intel Corporation Data set selection based upon user profile
JPH10228687A (ja) * 1997-02-17 1998-08-25 Sony Corp 自動予約記録装置及び方法
JPH117453A (ja) * 1997-04-22 1999-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ディア情報推薦装置
US6208799B1 (en) * 1997-04-29 2001-03-27 Time Warner Entertainment Company L.P. VCR recording timeslot adjustment
US6226672B1 (en) * 1997-05-02 2001-05-0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users to access and/or share media libraries, including multimedia collections of audio and video information via a wide area network
US20030088872A1 (en) * 1997-07-03 2003-05-08 Nds Limited Advanced television system
US6594699B1 (en) * 1997-10-10 2003-07-15 Kasenna, Inc. System for capability based multimedia streaming over a network
US6377982B1 (en) * 1997-10-14 2002-04-23 Lucent Technologies Inc. Accounting system in a network
US6112181A (en) * 1997-11-06 2000-08-29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selecting, narrowcasting, and/or classifying based on rights management and/or other information
US6134532A (en) * 1997-11-14 2000-10-17 Aptex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adaptive matching of users to most relevant entity and information in real-time
JPH11163810A (ja) 1997-11-27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制御方法更新方法およびその装置および放送受信装置
US6396531B1 (en) * 1997-12-31 2002-05-28 At+T Corp. Set top integrated visionphone user interface having multiple menu hierarchies
US6545722B1 (en) * 1998-01-09 2003-04-08 Douglas G. Brow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elevision related services via a networked personal computer
US6154776A (en) * 1998-03-20 2000-11-28 Sun Microsystems, Inc. Quality of service allocation on a network
JP3956479B2 (ja) * 1998-04-27 2007-08-08 ソニー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基地局
AU758868B2 (en) * 1998-05-07 2003-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ly accessible command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network
US7146627B1 (en) * 1998-06-12 2006-12-05 Metabyte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targeted video programming
US6084874A (en) * 1998-06-30 2000-07-04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Temporary data transfer connections
DE69903438T2 (de) * 1998-07-17 2003-08-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ktive fernsehprogrammführung mit mehreren geräten an einem ort
US6647202B1 (en) * 1998-07-30 2003-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bitstreams and video signal reproducing method
US6898762B2 (en) * 1998-08-21 2005-05-2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TW463503B (en) * 1998-08-26 2001-11-1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Television chat system
JP3579263B2 (ja) * 1998-09-30 2004-10-20 株式会社東芝 番組データ選択方法及び番組視聴システム
JP2000112609A (ja) * 1998-10-05 2000-04-21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機器の情報表示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0112976A (ja) * 1998-10-05 2000-04-21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機器の情報表示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0123027A (ja) * 1998-10-13 2000-04-28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JP3488104B2 (ja) * 1998-11-18 2004-01-1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の特性抽出装置,特性抽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6392664B1 (en) * 1998-11-30 2002-05-21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television programming and interactive entertainment
US6412012B1 (en) * 1998-12-23 2002-06-25 Net Perceptions, In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making a compatibility-aware recommendations to a user
US6802041B1 (en) * 1999-01-20 2004-10-05 Perfectnotes Corporation Multimedia word processor
US6971119B1 (en) * 1999-03-29 2005-11-2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receipt, caching and display of one-way broadcast programming and data
US6813775B1 (en) * 1999-03-29 2004-11-02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viewing preferences
US8689265B2 (en) * 1999-03-30 2014-04-01 Tivo Inc. Multimedia mobile personalization system
US6486892B1 (en) * 1999-04-07 2002-11-26 Joseph L. Ster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anipulating and viewing internet and non-internet related information and for controlling networked devices
US6836768B1 (en) * 1999-04-27 2004-12-28 Surfnotes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formation representation
US6571234B1 (en) * 1999-05-11 2003-05-27 Prophet Financi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nline message board
US7159011B1 (en) * 1999-05-11 2007-01-02 Maquis Techtrix,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online message board
JP2000317138A (ja) * 1999-05-13 2000-11-21 Konami Co Ltd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のキャラクタ育成制御方法及びその育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JP4425407B2 (ja) * 1999-05-13 2010-03-03 富士通株式会社 会話送出方法及び会話システム
US6516350B1 (en) * 1999-06-17 2003-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regulated resource management of distributed computer resources
EP1230602A2 (en) * 1999-06-30 2002-08-14 Accenture LLP A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n internet based distribution architecture
US7158986B1 (en) * 1999-07-27 2007-01-02 Mailfrontier, Inc. A Wholly Owned Subsidiary Of Sonicwall, Inc. Method and system providing user with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by electronic-mail based upon the determined interests of the user pertain to the theme and concepts of the categorized document
TW495735B (en) * 1999-07-28 2002-07-21 Yamaha Corp Audio controller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using the same
US6965868B1 (en) * 1999-08-03 2005-11-15 Michael David Bednarek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commerce, including sales agent assisted commerce, in a networked economy
JP3836637B2 (ja) * 1999-08-09 2006-10-2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配信制御装置、情報配信制御方法、情報配信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情報再生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697824B1 (en) * 1999-08-31 2004-02-24 Accenture Llp Relationship management in an E-commerce application framework
CN100379273C (zh) * 1999-09-20 2008-04-02 提维股份有限公司 闭式字幕添加标签的系统
US6535915B1 (en) * 1999-09-24 2003-03-18 Dell Usa, L.P. Automatic reduction of data noise in installation packages for a computer system
JP2001111988A (ja) * 1999-10-01 2001-04-20 Canon Inc カメラ制御装置及びカメラ及びカメラ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7779439B2 (en) * 2001-04-23 2010-08-17 Starz Entertainment, Llc Program guide environment
WO2001030069A1 (fr) * 1999-10-22 2001-04-26 Fujitsu Limited Poste de television et procede
JP2001128585A (ja) * 1999-11-02 2001-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哺乳類への発信装置の装着方法および哺乳類用発信装置
US6714987B1 (en) * 1999-11-05 2004-03-30 Nortel Networks Limited Architecture for an IP centric distributed network
US6999957B1 (en) * 2000-01-11 2006-02-14 The Releg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searching
US20010049826A1 (en) * 2000-01-19 2001-12-06 Itzhak Wilf Method of searching video channels by content
US6785716B1 (en) * 2000-01-26 2004-08-31 Viaclix, Inc. System and method of channel-based internet network
US6956833B1 (en) * 2000-02-08 2005-10-18 Sony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wireless data storage on a server and data retrieval
JP4060021B2 (ja) * 2000-02-21 2008-03-12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
WO2001065453A1 (en) * 2000-02-29 2001-09-07 Expanse Networks, Inc. Privacy-protected targeting system
US20020174227A1 (en) * 2000-03-03 2002-11-21 Hartsell Neal D.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ation in information management environments
JP2001265809A (ja) * 2000-03-23 2001-09-28 Nec Corp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901207B1 (en) * 2000-03-30 2005-05-31 Lsi Logic Corporation Audio/visual device for capturing, searching and/or displaying audio/visual material
JP3567849B2 (ja) * 2000-04-06 2004-09-2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
US20010030667A1 (en) * 2000-04-10 2001-10-18 Kelts Brett R.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 for information objects
US6557012B1 (en) * 2000-04-22 2003-04-29 Oracle Corp System and method of refreshing and posting data between versions of a database table
WO2001093096A2 (en) * 2000-05-30 2001-12-06 Koki Uchiyama Distributed monitoring system providing knowledge services
US7769621B2 (en) * 2000-06-02 2010-08-03 Mentor Partners, Llc Information trading system and method
AU2001270054A1 (en) * 2000-06-22 2002-01-02 Advisorteam.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or group
JP3979009B2 (ja) * 2000-07-07 2007-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システム
US6990631B2 (en) * 2000-07-14 2006-01-24 Ricoh Company, Ltd.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related document extracting method, and document processing assist method
US20020111146A1 (en) * 2000-07-18 2002-08-15 Leonid Fridma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US20020165912A1 (en) * 2001-02-25 2002-11-07 Storymail, Inc. Secure certificate and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and using same
US9171851B2 (en) * 2000-08-08 2015-10-27 The Directv Group, Inc. One click web records
US7620703B1 (en) * 2000-08-10 2009-1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opical service provides context information for a home network
NZ524093A (en) * 2000-08-22 2005-01-28 Moneris Solutions Corp Marketing systems used to calculate benefits to customers based on customer identifiers, merchant identifier and customer behavior
US7155508B2 (en) * 2000-09-01 2006-12-26 Yodlee.Com, Inc. Target information generation and ad server
US7689510B2 (en) * 2000-09-07 2010-03-30 Sonic Solutions Methods and system for use in network management of content
JP4552296B2 (ja) * 2000-09-08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20060015904A1 (en) * 2000-09-08 2006-01-19 Dwight Marcu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on, distribution, assembly and verification of media
JP4622070B2 (ja) * 2000-09-13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適応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記録媒体
US8302127B2 (en) * 2000-09-25 2012-10-30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V
KR20170128620A (ko) * 2000-10-11 2017-11-22 로비 가이드스, 인크. 매체 콘텐츠 배달 시스템 및 방법
US20020041756A1 (en) * 2000-10-11 2002-04-11 Takahiro Kato Data reproduction apparatus that switches reproduction target
JP2002149528A (ja) * 2000-11-13 2002-05-24 Sharp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2232823A (ja) * 2000-11-17 2002-08-16 Sony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127736B2 (en) * 2000-11-17 2006-10-24 Sony Corporation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for digest information based on input of a content user
GB0028474D0 (en) * 2000-11-22 2001-01-10 Raekanet Ltd Improved computer network architecture and associated method and system
US20020078150A1 (en) * 2000-12-18 2002-06-20 Nortel Networks Limited And Bell Canada Method of team member profile selection within a virtual team environment
EP1225519B1 (en) * 2001-01-19 2011-07-27 Panasonic Corporation Apparatus and program for displaying hypertext with history function
US6941305B2 (en) * 2001-01-19 2005-09-06 Symeron Software, Inc. Customer management system for automobile sales industry
US20020152461A1 (en) * 2001-02-07 2002-10-17 Istvan Anthony F. Coordination of favorites among disparate devices in an interactive video casting system
EP1235174A3 (en) * 2001-02-14 2004-0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pyrights and payments in connection with content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EP1364533A1 (en) * 2001-02-20 2003-11-26 Intellocity USA, Inc. Content based video selection
US20020178447A1 (en) * 2001-04-03 2002-11-28 Plotnick Michael A. Behavioral targeted advertising
CN100409675C (zh) * 2001-04-12 2008-08-06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登记用户偏好的方法及系统
US6968334B2 (en) * 2001-05-15 2005-11-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business process to maintain privacy in distributed recommendation systems
CN1647070A (zh) * 2001-06-22 2005-07-27 诺萨·欧莫贵 用于知识检索、管理、交付和表示的系统和方法
US20030004853A1 (en) * 2001-06-28 2003-01-02 Pranil Ram Graphical front end system for real time security trading
US7181488B2 (en) * 2001-06-29 2007-02-20 Clar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user utilizing historical information about the user
US20030009570A1 (en) * 2001-07-03 2003-0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ed peer-to-peer computing
US7363384B2 (en) * 2001-07-11 2008-04-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Selection of content in response to communication environment
US20030028872A1 (en) * 2001-08-03 2003-02-06 Rajko Milovanovic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non-participatory user recognition and content provisioning
US20030037144A1 (en) * 2001-08-14 2003-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laborative content programming
JP2003335194A (ja) * 2002-05-21 2003-11-25 Nissan Motor Co Ltd 趣向判別装置
WO2004042528A2 (en) * 2002-11-04 2004-05-21 Vivato, Inc. Signal communication coordination
JP2004194108A (ja) * 2002-12-12 2004-07-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9006593A2 (en) * 2007-07-05 2009-01-08 Coherent Logix Incorporated Mobile television broadcast system
US8248910B2 (en) * 2008-01-29 2012-08-21 Nokia Corporation Physical layer and data link layer signalling in digital video broadcast preamble symbo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1428A (ko) * 2011-12-15 2014-08-19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다수 관심 기반 사용자 상호작용 모드 지원
US9554185B2 (en) 2011-12-15 2017-01-24 Arris Enterprises, Inc. Supporting multiple attention-based, user-interaction modes
WO2015170851A1 (ko) * 2014-05-09 2015-11-12 주식회사 소울핑거 방송정보 기반 3d 캐릭터 설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8316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소울핑거 방송정보 기반 3d 캐릭터 설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625B1 (ko) 2008-10-07
JP2008009997A (ja) 2008-01-17
CN1457460A (zh) 2003-11-19
JP4793431B2 (ja) 2011-10-12
JP4784639B2 (ja) 2011-10-05
JP2007312419A (ja) 2007-11-29
JP2008009998A (ja) 2008-01-17
JP2009104621A (ja) 2009-05-14
JP2009151769A (ja) 2009-07-09
US20030135539A1 (en) 2003-07-17
US20100313234A1 (en) 2010-12-09
JP4186620B2 (ja) 2008-11-26
WO2002059785A1 (fr) 2002-08-01
JP2007295622A (ja) 2007-11-08
US20080215662A1 (en) 2008-09-04
JP4254888B2 (ja) 2009-04-15
JP4229200B2 (ja) 2009-02-25
JPWO2002059785A1 (ja) 2004-05-27
CN1262955C (zh) 2006-07-05
US7885993B2 (en)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625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및기억 매체
RU2491618C2 (ru) Методы потребления контента и метаданных
US10235025B2 (e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for expressing an opinion
JP5819883B2 (ja) 双方向型メディアガイド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けるメディアライブラリ
CN100377046C (zh) 屏幕键盘中的智能默认选择
US80864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content distribution using tagged data streams
CN101512501B (zh) 用于在机顶盒的用户对话中设置广告的方法和设备
JP504647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578862B (zh) 具有集成的内容搜索的媒体系统
US8365223B2 (en) Device contro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50033849A1 (en) Content blocking
JP2011155695A (ja) サーチ結果を提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0314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service in network based on content use history
US20020056084A1 (en) Active media content access system
JP2010539853A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テレビジョンに対する遠隔指令器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20020043239A (ko) 콘텐트 아이템, 클라이언트 시스템 및 서버 시스템의렌더링을 향상시키는 방법
JP2002334092A (ja) 情報関連付け方法、情報閲覧装置、情報登録装置、情報検索装置、課金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8133049A1 (ja) 商品購入システム、記録再生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064700A1 (en) Scene reproduction apparatus, scene reproduction program, and scene reproduction method
KR100808290B1 (ko) 음악 파일 전송 장치 및 방법과, 음악 파일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095219B1 (ko) 리치 미디어 재생중 대기화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4194198A (ja) 放送システム、受信端末、ユーザ情報の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25770A (ja) 検索サービスの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及び装置,情報検索サーバ,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293919A (ja) データ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