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858A - 높은 점프값을 가진 비상 밸브를 구비한 배력식 제동장치및 그 제동장치를 위한 배력기 - Google Patents

높은 점프값을 가진 비상 밸브를 구비한 배력식 제동장치및 그 제동장치를 위한 배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858A
KR20020079858A KR1020027010611A KR20027010611A KR20020079858A KR 20020079858 A KR20020079858 A KR 20020079858A KR 1020027010611 A KR1020027010611 A KR 1020027010611A KR 20027010611 A KR20027010611 A KR 20027010611A KR 20020079858 A KR20020079858 A KR 20020079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raking device
pneumatic
braking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보울리스
아따르쟝-마르
아우구스뜨안토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7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8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제동장치로서, 마스터 실린더(2), 수동 작동 부재(4)에 의해 가해지는 입력과 수동 작동 부재(4)에 커플링된 배력기(6)에 의해 가해지는 배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력을 받는 프라이머리 피스톤(3), 및 비상 보조 밸브(VA)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비상 보조 밸브(VA)가: 반동 피스톤(19)으로서 반동 피스톤(19)을 휴지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22)의 작용을 받고 프라이머리 피스톤의 보어(20) 내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하는 반동 피스톤(19); 반동 피스톤(19)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응하는 직경의 또다른 보어 내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하는 급속 피스톤(32); 및 수동 작동 부재(4)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에 의해 작동되는 비율 제어기(27)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용 제동장치. 반동 피스톤(19)을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복귀 수단(22)은 프라이머리 피스톤(3)의 외부에 배열되고, 하나의 트랜스미션 요소(T)가 탄성 수단(22)의 복원력을 반동 피스톤(19)에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높은 점프 값을 가진 비상 밸브를 구비한 배력식 제동장치 및 그 제동장치를 위한 배력기{BRAKE BOOSTER WITH HIGH KICK-OFF EMERGENCY VALVE}
이런 형태의 제동장치가 예를 들어 FR-B-2 658 466 이나 EP-B-0 662 894 로부터 알려져 있다.
제동이 가해지는 조건은 변화할 수 있다. 첫번째 시나리오는 장애물이 멀리서 보여져서 제동이 상대적으로 여유있게 가해지는 보통의 조건에 상당하는데; 이 제동은 "통상 제동" 또는 "저속 제동"으로서 알려져 있다. 또다른 시나리오는 예컨대 장애물이 운전자의 전방에 급작스럽게 나타나서 운전자가 최대한 빨리 자기 차량을 정지시켜야만 할 경우의 급작 제동 또는 "비상 제동"에 상당한다.
이러한 여러가지 제동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는 관점에서, 상술한 형태의 배력식 제동장치는 저속 제동과 비상 제동에 각각 상응하는 적어도 2개의 배력비를 얻을 수 있는 비상 보조 밸브에 의해 보완되어져 왔으며; 저속 제동에 대한 배력비는 낮고 수동 작동 부재의 전진방향으로의 유압 반동은 크다. 비상 제동에 관해서는, 배력비는 높고 수동 작동 부재와 반대방향인 유압 반동은 낮은데, 이는 운전자가 보다 강하게 그리고 보다 오랫동안 제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전방"이란 용어는 작동 부재로부터 마스터 실린더를 향한 방향을 그리고 "후방"이란 용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한다.
비상 보조 밸브(VA)는: 반동 피스톤으로서 그것을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의 작용을 받고 전방 부분이 마스터 실린더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있는 프라이머리 피스톤의 보어 내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하는 반동 피스톤; 반동 피스톤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응하는 직경의 또다른 보어 내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하는 급속 피스톤; 및 수동 작동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 디스트리뷰터에 의해 작동되는 비율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어셈블리는 비상제동시에는 유압 반동이 급속 피스톤의 단면 상에만 가해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비상 보조 밸브를 구비한 그와 같은 제동장치는 조작의 관점과 제동 조작력의 관점 양자 모두에서 만족스럽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하지만, 최근에 구현되는 이러한 장치들은 상대적으로 고비용이고 그 정의가 도 2를 참고로 나중에 다시 주어지는 점프(jump) 값에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한계를 제공한다. 게다가, 이러한 장치들은 마스터 실린더의 다양한 버전(version)에 대한 설계가, 특히 직경이 19.6 mm 에서부터 24.5 mm 까지 변화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를 구비하여 배력비가 3 에서부터 6.6 까지 변화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 표준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지 못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마스터 실린더, 마스터 실린더 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마스터 실린더 내의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고 수동 작동 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입력과 수동 작동 부재에 커플링된 배력기에 의해 가해지는 배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력을 받는 프라이머리 피스톤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의 자동차용 배력식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력기는 공압식의 것일 수 있고, 이동 칸막이에 의해 2개의 공압 챔버로 분할되는 강성 케이싱을 포함하고 있고, 이동 칸막이가 수동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B)의 작용하의 챔버들(7a, 7b) 사이의 차압의 작용을 받을 수 있고 공압 피스톤(9)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휴지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의 일부분이 절결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수동 작동 부재상에 가해지는 힘(F)의 함수로서 Y축 상에 나타내어진 마스터 실린더 내의 유압(P)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휴지 위치에 있는 도 1의 요소들과 비상 보조 밸브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 4는 저속 제동시에 균형상태에 있는 요소들의 위치를 도 3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변경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VI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점프 값이 증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과 동시에 점프 값의 분산을 감소시키는 비상 보조 밸브에 대한 경제적인 해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현저하게 다른 직경들을 가진 마스터 실린더 버전에 대한 표준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해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보조 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상술한 형태의 자동차용 배력식 제동장치는 반동 피스톤을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복귀 수단이 프라이머리 피스톤의 외부에 배열되고 탄성 복귀 수단의 복원력을 반동 피스톤에 전달하기 위해 트랜스미션 요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프를 발생시키는 반동 피스톤을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복귀 수단은 따라서 프라이머리 피스톤 내에 하우징되었을 경우보다 큰 치수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점프 값이 증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탄성 복귀 수단은 전체적으로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점프 스프링으로 알려진 이 스프링은 배력기 내부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공압 피스톤은 전방을 향하는 공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점프 스프링은 이 공동부 내, 특히 플런저 디스트리뷰터 둘레에 배열된다.
반동 피스톤이 통과하는 중심 개구를 구비한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공압 피스톤 보강부가 제공되며, 상기 디스크는 공압 피스톤에 접속되어 내부에 점프 스프링이 배치되는 챔버를 결정한다. 디스크는 프라이머리 피스톤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디스크는 공압 피스톤의 쇼울더를 후방으로 가압하면서 공압 피스톤 내에서 유지된다. 첫번째 가능성에 의하면, 디스크는, 그것의 외주부에, 외부나사를 가지고 있고 공압 피스톤의 원통형 부분의 외면 상에 제공되는 짝이 되는 나사 내로 나사체결되는 전방 돌출 원통형 스커트를 포함하고 있다. 또다른 가능성에 의하면, 디스크는 나사를 가진 스커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전방에서 공압 피스톤의 그루브 내에 고정된 스플릿 탄성 링에 의해 유지된다.
트랜스미션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플레이트는 비율 제어기가 통과하는 중심 개구를 포함하고 있고, 일방측에서 반동 피스톤을 가압하고 타방측에서 탄성 복귀 수단을 가압한다. 플레이트는 공압 피스톤 내에서 피스톤 보강부의 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플레이트는 적어도 플런저 디스트리뷰터를 향하는 그것의 면 상에, 플레이트와 플런저 디스트리뷰터 사이의 접촉을 감쇠시키는 반동 감쇠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반동 감쇠 수단은 플레이트에 접합되고 플런저 디스티리뷰터를 향해 후방으로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벌지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벌지와 함께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또다른 벌지를 가지고 있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매스로 이루어져 있다.
플레이트를 플런저 디스트리뷰터에 대해 안내하기 위해 플레이트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이 제공된다. 이 안내 수단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플런저 디스트리뷰터를 향해 돌출하는 중심 원통형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고, 이 슬리브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플런저 디스트리뷰터의 블라인드 보어 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슬리브는 비율 제어기와 플런저 디스트리뷰터 상에 제공된 푸시 로드를 위한 중심 통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동 칸막이에 의해 2개의 공압 챔버로 분할되는 강성 케이싱을 포함하고 있고, 이동 칸막이가 수동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의 작용하의 챔버들 사이의 차압의 작용을 받을 수 있고 공압 피스톤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비상 밸브를 구비한 배력식 제동장치용 공압식 배력기로서, 비상 밸브용 점프 스프링이 배력기 내에 하우징되고, 점프 스프링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요소가 또한 배력기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밸브를 구비한 제동장치용 공압식 배력기에 관한 것이다.
공압 피스톤은 전방을 향한 공동부를 가질 수 있고, 공압 피스톤에 접속된 피스톤 보강부가 공동부의 전방에 배열되고, 점프 스프링은 공동부의 바닥부와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되고, 플레이트는 공압 피스톤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피스톤 보강부를 통해 전방부에서 정지된다.
상기 설명된 것과 별개로, 본 발명은 어떤 경우에도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몇몇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다 명확하게 다루어질 많은 다른 변경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태의 배력식 제동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및 일반적인 작동은, 특히 그 개요가 간략하게만 주어지는 EP-B-0 662 894 나 FR-B-2 658 466 로부터 알려져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도입되는 상기 2개의 특허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부분적으로 도시된 마스터 실린더(2), 및 마스터 실린더(2) 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라이머리 피스톤(3)을 포함하는 자동차용제동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프라이머리 피스톤(3)과 동축인 링크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작동 부재(4)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즉 도 1의 도시에 의하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입력을 프라이머리 피스톤에 가하기 위해 제공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3)의 전방방향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유압 브레이크 회로에 접속된 마스터 실린더의 내부 공간(5) 내의 액압을 증가시킨다. 작동 부재(4)는 일반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브레이크동 페달(4a)에 의해 작동된다.
공압 배력기(6)가 작동 부재(4)에 커플링된다. 배력기(6)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지는 다이어프램(8a)과 강성 스커트(8b)를 포함하는 이동 칸막이(8)에 의하여 2개의 공압 챔버(7a, 7b)로 밀봉식으로 내부적으로 분할된 강성 케이싱(7)을 포함하고 있다. 챔버(7a)는 노즐(A)에 의하여 부분적 진공원(도시 생략)에 영구적으로 접속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3)과 동축인 슬리브 형태의 공압 피스톤(9)이 강성 스커트(8b)에 고정된다. 공압 피스톤(9)은 전체 형상이 원통형인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 상에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밀봉은 O-링(11)에 의하여 제공된다.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는 전방쪽 헤드(10a) 및 후방으로 개방된 후방쪽 축선방향 블라인드 하우징(10b)을 포함하고, 축선방향 블라인드 하우징은 링크장치(4)의 단부에 제공되는 보어(4b)를 수용한다. 피스톤(3)의 대향측 상의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는 공압 피스톤(9)과 축선방향 병진운동의 관점에서 접속된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 링(13)을 밀봉식으로 가압할 수 있는 절두원추형 확장부(12)를 가지고 있다. 이 조립체(12, 13)는 3-방향 밸브(B)(부분적으로 도시됨)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3-방향 밸브(B)는 대기로부터 챔버(7b)를 단절시키고 챔버(7a, 7b)를 연통상태로 높이게 하거나, 확장부(12)가 링(13)으로부터 멀리 축선방향으로 이동할때 챔버들(7a, 7b)을 서로로부터 단절시키고 대기압의 공기가 챔버(7b)내로 유입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공압 피스톤(9)은 피스톤(9)과 마스터 실린더(2)가 고정되는 케이싱(7)의 대향 벽 사이에 배열된 압축 스프링(14)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휴지 위치로 복귀된다. 공압 피스톤(9)은 전방으로 향한 공동부(9a)를 구비하여 피스톤(3)과 동축으로, 수평에서 하향으로 배치되는 대체로 벨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피스톤(9)은 강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금속으로 만들어진 디스크(15)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보강부가 피스톤(9)의 기하학적인 축선에 직각으로 공동부(9a)의 전방에 배열된다. 디스크(15)는 피스톤(9)에 접속되어 그것의 외주부 근처에서 공압 피스톤(9)의 쇼울더(16)를 축선방향 후방으로 가압하면서 유지된다. 도 1,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15)는 외부 나사를 가지고 있고 공압 피스톤(9)의 원통형 부분의 짝이 되는 내부 나사산부 내로 체결되는, 전방을 향한 원통형 외주 스커트(17)를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 보강부(15)는 중심 개구(18)를 포함하고 있고 개구의 외형부 근처에서 프라이머리 피스톤(3)과 전방에서 접촉할 수 있다. 보강부(15)는 공동부(9a)에 대응하는 폐쇄 챔버의 전방 벽를 구성한다.
비상 보조 밸브(VA)가 통상(저속) 제동 및 비상 제동에 각각 상응하는 적어도 2개의 배력비를 얻기 위해 제공된다.
밸브(VA)는 외부면이 원통형이고, 일정한 직경의 반동 피스톤(19)을 포함하고 있다. 반동 피스톤(19)은 프라이머리 피스톤(3)의 축선방향 보어(20) 내에서 O-링(19a)에 의하여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한다. 반동 피스톤(19)의 후방 단부는 직경이 피스톤(19)의 직경보다 큰 개구(18)를 통과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금속 플레이트(21)로 이루어지고 피스톤(3)으로부터 먼 피스톤 보강부(15)의 측면상의 피스톤(9)의 공동부(9a) 내에 위치되는 힘-전달 요소(T)를 축선방향으로 가압한다. 플레이트(21)는 중심 개구(21a)를 포함하고 피스톤(9) 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점프 스트링으로 알려진 헬리컬 압축 스프링(22)은 프라이머리 피스톤(3)의 외부에 제공된다.
스프링(22)은 프라이머리 피스톤(3)의 반대쪽인 보강부(15)의 측면 상에서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 둘레의 공압 피스톤(9)의 공동부 내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스프링(22)은 플레이트(21)를 축선방향 전방으로 가압하고 스프링(22)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환형 그루브(23)를 가진 공압 피스톤(9)을 후방으로 가압한다. 스프링(22)의 추력을 받는 플레이트(21)는 피스톤(9)에 접속된 보강부(15)에 의하여 전방에서 유지된다.
점프 스프링(22)은 프라이머리 피스톤(3)의 외경보다 큰 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21)는 플레이트(21) 내의 개구에 하우징되고 플레이트에 접합되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매스(25)로 형성된 반동 감쇠 수단(24)을 구비한다. 탄성중합체 매스(25)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환형 벌지(25a, 25b), 및 전방으로 돌출하는 환형 벌지(25c)를 가지고 있다. 벌지(25a)는 플레이트(21)와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 사이의 접촉이 감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의 기하학적 축선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더 먼 벌지(25b)는 공압 피스톤(9)의 단부와의 접촉을 감쇠시킨다. 벌지(25b)의 외경은 스프링의 감음부의 내경에 상응하여, 플레이트(21)를 이 스프링 내에 중심맞춤시킨다.
플레이트(21)의 다른측에 위치된 벌지(25c)는 피스톤 보강부(15)와의 접촉을 감쇠시킨다.
반동 피스톤(19)은 로드로 형성된 비율 제어기(27)가 O-링(27a)에 의하여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축선방향 보어(26)를 포함하고 있다. 비율 제어기(27)의 후단부는 플레이트(21) 내의 개구(21a)를 통과하여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의 헤드(10a)를 가압한다. 비율 제어기(27)의 전단부는 반동 피스톤(19)과 보어(20) 내의 보다 전방에 하우징된 부싱(30) 사이에 있는 보어(20)의 챔버(29) 내에 위치된 헤드(28)를 가지고 있다.
부싱(30)은 예를 들면 억지 끼워맞춤에 의하여 보어(20) 내에 축선방향으로 투입된다. 이 부싱(30)은 그것을 완전히 통과하고 급속 피스톤(32)이 O-링에 의하여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축선방향 보어(31)를 포함하고 있다. 급속 피스톤(32)의 외경은 반동 피스톤(19)의 외경보다 작다. 급속 피스톤(32)은 그것을 축선방향으로 관통하고 각각의 단부에서 개방되는 통로(33)를 가지고 있다. 급속 피스톤(32)의 전단부는 부싱(30)에 대항하여 리테이닝 스프링(35)에 의하여탄성적으로 밀어지는 슬라이드(34)를 가압한다. 다른 단부에서의 스프링(35)은 보어(20)의 바닥부를 가압한다.
스프링(35)이 하우징되는 보어(20)의 전방 구역(20a)은 통로(36)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2)의 내부 공간(5)과 연통된다. 급속 피스톤(32)의 후단부(32a)(도 3)는 비율 제어기의 헤드(28) 근처에서 챔버(29) 내에 위치된다. 이 후단부(32a)는 헤드(28)와 함께, 예를 들면, 단부면(32a) 상의 환형 가압면 및 헤드(28) 내에 고정되고 단부면(32a)을 밀봉식으로 가압하도록 돌출한 탄성중합체 재료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밸브(37)를 형성한다. 압축 스프링(38)이 피스톤(32) 상과 헤드(28) 상에 각각 제공되는 2개의 쇼울더 사이에 배열되어 밸브의 개구의 방향으로 작동한다. 휴지시에, 밸브(37)는 개방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배력식 제동장치가 작동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저속 제동의 경우를 고려해 보자.
도 1 및 도 3의 휴지 위치에 있어서, 점프 스프링(22)은 공압 피스톤 보강부(15)에 대하여 플레이트(21)를 민다. 반동 피스톤(19)은 그것의 후단부를 통해 플레이트(21)를 가압한다. 비율 제어기(27)는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의 헤드(10a)를 가압한다.
수동 제어 부재(4)는 전방으로 상대적으로 느리게 이동된다. 밸브(B)가 작동되어, 챔버(7a, 7b) 사이의 연통을 단절시키고, 그러다음 절두원추형 확장부(12)가 탄성 링(13)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대기압의 공기가 배력기(6)의 챔버(7b) 내로 유입되게 한다.
도 2의 곡선 C에 있어서, 밸브(B)를 개방시키기 위한 부재(4)의 이동의 위상은 Y축의 값이 0인 세그먼트(C1)에 대응하며, 이는 부재(4)를 이동시키는 힘이 마스터 실린더(2) 내에 압력(P)의 증가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일단 밸브(B)가 개방되면, 챔버(7b) 내의 압력은 증가하고, 이동 칸막이(8)는 배력을 스프링(14)의 작용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공압 피스톤(9)으로 전달한다. 피스톤(9)은 프라이머리 피스톤(3)을 전방으로 미는 보강부(15)를 구동시킨다. 액압은 밸브(37)가 개방되었기 때문에 공간(5) 내와 이 공간(5)과 연통하는 챔버(29) 내에서 증가한다. 이 압력은 반동 피스톤(19) 상에 후향력을 생성한다. 이 힘이 스프링(22)의 예부하에 도달하여 그것을 초과하는 경우, 반동 피스톤(19)은 후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1)가 헤드(10a)에 맞닿을 때까지 플레이트(21)를 민다. 벌지(25a)는 충격을 감쇠시켜 소음을 회피시킨다.
이 위상은 점프로서 알려져 있고 도 2에서 수직 세그먼트(C2)로 나타내어져 있다. 부재(4) 상에 가해지는 힘의 증가 없이 마스터 실린더(5) 내의 압력이 증가한다.
도 4는 저속 제동시에, 다시 말해 밸브(B)가 폐쇄되고 부재(4)가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정지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부재(4) 상의 입력을 계속 증가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제동 조작을 계속하면,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는 전방 이동을 계속하며; 공압 피스톤(9)은 플런저 디스크리뷰터(10)를 추종하고 배력으로 프라이머리 피스톤(3)을 민다. 공간(5) 내의액압은 도 2의 세그먼트(C3)를 따라서 계속 증가한다.
배력기(6)가 최대 힘을 발생시키는 경우, 포화상태가 되고 이것은 X축 값(F4)에서의 세그먼트(C3)의 상부 끝점에 해당한다.
포화점을 넘어서면, 작동 부재(4)가 수동 입력의 작용하에 계속 전진한다. 비율 제어기(27)는 프라이머리 피스톤(3)에 대하여 전진하고 헤드(28)는 밸브(37)가 폐쇄되도록 단부(32a)를 가압한다.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에 의하여 밀어지는 플레이트(21)는 피스톤 보강부(15)를 가압하게 되고 벌지(21C)는 충격을 감쇠시킨다. 그런다음 부재(4) 상에 가해지는 수동 입력은 보강부(15)에 의하여 프라이머리 피스톤(3)에 전달되며, 이는 세그먼트(C3)의 기울기만큼 가파르지 않은 기울기로, 도 2의 세그먼트(C4)를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2) 내의 압력 증가를 야기한다.
급속 제동의 경우에 있어서, 처음에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는 피스톤(9)보다 급속하게 이동하며, 이는 비율 제어기(27)가 프라이머리 피스톤(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함을 의미한다. 그 결과, 밸브(37)는 폐쇄된다. 플런저 디스트리뷰터의 헤드(10a)는 플레이트(21)의 벌지(25a)를 가압하고, 그 자체는 프라이머리 피스톤(3)을 미는 피스톤 보강부(15)를 가압한다. 밸브(37)가 폐쇄되었기 때문에, 유압 반동은 급속 피스톤(32)의 작은 단면에 걸쳐서만 가해진다.
본 발명에 의해, 프라이머리 피스톤(3)의 외부에 위치되는 점프 스프링(22)은 큰 치수, 특히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15 내지 20 bar 정도의 높이가 큰 세그먼트(C2)(도 2)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높은 예압이 주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보다 큰 점프를 제공한다. 이는 제동 패드의 보다 신속한 적용으로 보다 큰 제동물림을 제공한다.
더욱이, 스프링(22)의 길이는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고, 이것은 점프의 분산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배력기(6) 내에서 피스톤(3) 외부에 스프링(22)을 배열함으로써 작동 파라미터 결정에 포함되는 제조 치수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현상이 일어난다. 비상 밸브(VA)의 조정 치수는 더 이상 사용되는 스프링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배력기(6)의 피스톤(9) 내에 배열된 스프링(22)으로 인해, 보강부(15)에 의하여 폐쇄되는 단지 하나의 시스템만이 공장에서 조립되고; 그런다음 제동장치는 점프 스프링(22)을 포함하는 부속 조립체를 손 댐이 없이 순차로 조정된다.
도 5 및 도 6은 트랜스미션 요소(T)의 향상된 안내가 제안되는 또다른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도면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부재번호에 의하여 나타내어지고, 다시 설명하지 않고 백의 자리에 1을 부가하여 가능한 한 진행한다.
트랜스미션 요소를 형성하는 가압 플레이트(121)는 후방으로 향한 동축 슬리브(39)에 고정된다. 반동 피스톤(19)의 보어(26)보다 더 큰 직경의 보어(40)가 슬리브(39)를 통과하여 동축으로 정확히 통과한다. 비율 제어기(27)의 후방 부분은 보어(40) 내에 결합된다.
전단부에서,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는 블라인드 보어(41)를 포함하고, 블라인드 보어의 내경은 슬리브(39)의 외경과 동일하고, 미끄럼운동을 위한 클리어런스를 주거나 취한다. 원통형 푸시-로드(42)는 블라인드 보어(41)의 바닥부 내에 제공된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의 동축 하우징 내에 결합된다. 푸시-로드(42)는 보어(41) 내로 돌출하고 슬리브(39)의 보어(40)내로 끼워져 비율 제어기(27)의 후단부와 맞닿게 된다.
피스톤 보강부(15)는 도 1 및 도 3과는 달리, 외부 나사 원통형 스커트를 가지고 있지 않는 편평한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다. 보강부(15)는 피스톤(9) 내에 유지되어, 보강부(15)의 전방면과 맞닿은 피스톤(9)의 환형 그루브(9b) 내에 고정되는 스플릿 탄성 링(15a)에 의하여 쇼울더를 가압한다.
도 5의 변경 형태가 작동하는 방식은 이전에 설명된 방식과 유사하다. 상술한 장점은 그대로이며, 더하여 플레이트(121)의 미끄럼운동이 슬리브(39)와 블라인드 보어(41) 사이의 협력으로 보다 잘 안내된다.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2)의 직경(특히 19mm 에서부터 25.4mm 까지 변하는)에 상관없이 다양한 배력비, 특히 3.5 에서부터 6.6 까지의 배력비를 커버하고, 주요한 설계 변경 없이 점프의 소정값(마스터 실린더(2)의 직경이 23.8 mm보다 작을 때는 20 bar일 수 있고, 마스터 실린더(2)의 직경이 25.4mm일 때에는 15 bar 일 수 있는)을 커버할 수 있다.
감쇠는 제시된 모든 해법에 대해 동일하고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21, 121)에 의하여 성취된다. 구성요소의 치수는 감쇠부의 치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어, 소음의 양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반동 피스톤(19)의 형상은 단순화되고, 이 피스톤(19)의 안내성은 향상된다.
점프 스프링(22)을 위해 준비되는 공간의 증대는 스프링의 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점프 값의 공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Claims (18)

  1. 자동차용 배력식 제동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마스터 실린더(2), 마스터 실린더 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마스터 실린더 내의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고, 수동 작동 부재(4)에 의해 가해지는 입력과 수동 작동 부재(4)에 커플링된 배력기(6)에 의해 가해지는 배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력을 받는 프라이머리 피스톤(3), 및 비상 보조 밸브(VA)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비상 보조 밸브(VA)가: 반동 피스톤(19)으로서, 그것을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22)의 작용을 받고 전방 부분(20a)이 마스터 실린더의 내부 공간(5)과 연통하고 있는 프라이머리 피스톤의 보어(20) 내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하는 반동 피스톤(19); 반동 피스톤(19)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응하는 직경의 또다른 보어(33) 내에서 밀봉식으로 미끄럼운동하는 급속 피스톤(32); 및 수동 작동 부재(4)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에 의해 작동되는 비율 제어기(27)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립체가 비상제동시에는 유압 반동이 급속 피스톤(32)의 단면 상에만 가해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자동차용 배력식 제동장치에 있어서,
    반동 피스톤(19)을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22)은 프라이머리 피스톤(3)의 외부에 배열되고, 탄성 복귀 수단(22)의 복원력을 반동 피스톤(19)에 전달하기 위해 트랜스미션 요소(T)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반동 피스톤을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22)은 배력기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력기(6)는 전방을 향하고 있는 공동부(9a)를 포함하는 공압 피스톤(9)을 포함하고 있고, 탄성 복귀 수단은 상기 공동부(9a) 내에 배열되는 압축 스프링 또는 점프 스프링(22)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반동 피스톤(19)이 통과하는 중심 개구(18)를 구비한 디스크(15)로 이루어진 공압 피스톤 보강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디스크(15)는 공압 피스톤(9)에 접속되어 내부에 점프 스프링(22)이 배치되는 챔버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크(15)는 프라이머리 피스톤(3)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디스크(15)는 공압 피스톤의 쇼울더(16)를 후방으로 가압하면서 공압 피스톤 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디스크(15)는, 그것의 외주부에, 외부나사를 가지고 있고 공압 피스톤(9)의 원통형 부분의 외면 상에 제공되는 짝이 되는 나사 내로 나사체결되는 전방 돌출 원통형 스커트(17)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디스크(15)는 전방에서 공압 피스톤(9)의 그루브(9b) 내에 고정된 스플릿 탄성 링(15a)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요소(T)는 비율 제어기(27)가 통과하는 중심 개구(21a, 4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21, 12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플레이트(21, 121)는 일방측에서 반동 피스톤(19)을 가압하고 타방측에서 탄성 복귀 수단(22)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9. 제 4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21, 121)는 공압 피스톤(9) 내에서 피스톤 보강부(15)의 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21, 121)는, 적어도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를 향하는 그것의 면 상에, 플레이트와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 사이의 접촉을 감쇠시키는 반동 감쇠 수단(2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반동 감쇠 수단(24)은 플레이트(21, 121)에 접합되고플런저 디스티리뷰터(10)를 향해 후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벌지(25a, 25b)를 가지고 있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매스(25)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재료의 매스(25)는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또다른 벌지(25c)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121)를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에 대해 안내하기 위해 플레이트(121)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39, 4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플레이트(121)에 고정되어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를 향해 돌출하는 중심 원통형 슬리브(39)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슬리브(39)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플런저 디스트리뷰터의 블라인드 보어(41) 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슬리브(39)는 비율 제어기(27)와 플런저 디스트리뷰터 상에 제공된 푸시 로드(42)를 위한 중심 통로(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6. 이동 칸막이(8)에 의해 2개의 공압 챔버(7a, 7b)로 분할되는 강성 케이싱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이동 칸막이가 수동 작동 부재(4)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B)의 작용하의 챔버들(7a, 7b) 사이의 차압의 작용을 받을 수 있고 공압 피스톤(9)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비상 밸브를 구비한 배력식 제동장치용 공압식 배력기에 있어서, 비상 밸브용 점프 스프링(22)이 배력기(6) 내에 하우징되고, 점프 스프링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요소(T)가 또한 배력기(6)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공압 피스톤(9)은 전방을 향한 공동부(9a)를 가지고 있고, 공압 피스톤에 접속된 피스톤 보강부(15)가 상기 공동부의 전방에 배열되고, 점프 스프링(22)은 공동부의 바닥부와 플레이트(21, 121) 사이의 공동부(9a) 내에 배열되고, 상기 플레이트(21, 121)는 공압 피스톤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피스톤 보강부(15)를 통해 전방부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피스톤 보강부(15)는 비상 밸브의 반동 피스톤(19)이 통과하는 중심 개구(18)을 포함하고 있는 한편, 플레이트(21, 121)는 비상 밸브의 비율 제어기가 통과하는 중심 개구(21a, 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기.
KR1020027010611A 2000-12-14 2001-12-10 높은 점프값을 가진 비상 밸브를 구비한 배력식 제동장치및 그 제동장치를 위한 배력기 KR200200798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6459 2000-12-14
FR0016459A FR2818222B1 (fr) 2000-12-14 2000-12-14 Dispositif de freinage assiste a valve d'urgence avec saut eleve, et servomoteur pour un tel dispositif
PCT/FR2001/003912 WO2002047952A1 (fr) 2000-12-14 2001-12-10 Dispositif de freinage assiste a valve d'urgence avec saut ele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858A true KR20020079858A (ko) 2002-10-19

Family

ID=885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611A KR20020079858A (ko) 2000-12-14 2001-12-10 높은 점프값을 가진 비상 밸브를 구비한 배력식 제동장치및 그 제동장치를 위한 배력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12850B2 (ko)
EP (1) EP1351850B1 (ko)
JP (1) JP4207191B2 (ko)
KR (1) KR20020079858A (ko)
CN (1) CN1185129C (ko)
AT (1) ATE365661T1 (ko)
AU (1) AU2002217237A1 (ko)
BR (1) BR0108778B1 (ko)
DE (1) DE60129161T2 (ko)
ES (1) ES2286074T3 (ko)
FR (1) FR2818222B1 (ko)
WO (1) WO2002047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3610B1 (fr) * 2003-04-08 2006-04-28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 d'assistance pneumatique au freinage a bruit de fonctionnement reduit
US8234784B2 (en) * 2008-02-13 2012-08-07 Younger Steven W Valve piston re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923114A (zh) * 2012-11-07 2013-02-13 柳州市菱宝汽车部件有限责任公司 真空助力器
DE102020109452A1 (de) * 2020-04-03 2021-10-07 Zf Active Safety Gmbh Elektrisch ansteuerbare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Kraftfahrzeugbremse, Bremskraftverstärker mit einer solchen elektrisch ansteuerbaren Betätigungseinheit und Kraftfahrzeug-Bremsanlage mit einem solchen Bremskraftverstärker
DE102020207538A1 (de) * 2020-06-18 2021-12-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mit einer definierten pneumatischen 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1602B1 (fr) * 1996-07-23 1998-09-18 Bosch Syst Freinage Dispositif de freinage assiste a rapport d'assistance variable
FR2755929B1 (fr) * 1996-11-19 1998-12-18 Bosch Syst Freinage Systeme de freinage assiste a reaction hydraulique amelior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65661T1 (de) 2007-07-15
CN1418160A (zh) 2003-05-14
EP1351850B1 (fr) 2007-06-27
AU2002217237A1 (en) 2002-06-24
DE60129161D1 (de) 2007-08-09
JP2004515415A (ja) 2004-05-27
FR2818222A1 (fr) 2002-06-21
CN1185129C (zh) 2005-01-19
JP4207191B2 (ja) 2009-01-14
FR2818222B1 (fr) 2003-02-14
DE60129161T2 (de) 2008-02-28
ES2286074T3 (es) 2007-12-01
BR0108778A (pt) 2002-11-19
US20040046445A1 (en) 2004-03-11
US6912850B2 (en) 2005-07-05
EP1351850A1 (fr) 2003-10-15
BR0108778B1 (pt) 2009-08-11
WO2002047952A1 (fr)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7598B2 (ja) 死行程を減少したブースター及びこのようなブースターを含む制動システム
JP3393257B2 (ja) 隠し行程を有するブースト式ブレーキ装置
KR20050057370A (ko) 공기압 브레이크 부스터
US5884548A (en) Pressure differential operated brake booster
KR20020079858A (ko) 높은 점프값을 가진 비상 밸브를 구비한 배력식 제동장치및 그 제동장치를 위한 배력기
US6494125B2 (en) Pneumatic brake booster with variable force transmission ratio
JPH0885442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0211451A (ja) ブレーキブースタ
JP3265380B2 (ja) ブレーキブースタのジャンプ値の調整方法及びそのためのブレーキブースタ
US5487271A (en) Brake-booster with hydraulic reaction and adjustable kick
RU2068964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серводвигатель
JPH10505804A (ja) 隠し行程を有し安全性を増したブースト式ブレーキ装置
JPS5852854B2 (ja) 流体圧ブレ−キブ−スタのための圧力制御装置
JP2004525034A (ja) 固定ジャンプ及び可変ジャンプの二つの異なるジャンプを持つブースター
KR100822267B1 (ko)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
US6591734B1 (en) Servomotor with a deformable-adjustable sleeve
KR20000029871A (ko) 유압반작용및개량된안전성을가진부스터형제동장치
JP2002527293A (ja) 流体反力及び増大した入力を備えるマスターシリンダ
US6904753B2 (en) Servobrake comprising a reduced-reaction master cylinder
US4543791A (en) Power brake unit
JPS59216759A (ja) ブレ−キ作動装置
AU2002220812B2 (en) Brake booster device, with improved operating conditions, for motor vehicle
US3994204A (en) Hydraulic braking force multiplying device
JPH04283157A (ja) 流体圧倍力装置
JP2002522290A (ja) 圧力と共に変化する流体反力を備えたマスター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