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034A -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034A
KR20020076034A KR1020010015999A KR20010015999A KR20020076034A KR 20020076034 A KR20020076034 A KR 20020076034A KR 1020010015999 A KR1020010015999 A KR 1020010015999A KR 20010015999 A KR20010015999 A KR 20010015999A KR 20020076034 A KR20020076034 A KR 20020076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essage
data
standby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435B1 (ko
Inventor
정운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4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using redundant or spare channel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이중화된 보드에서 수집 및 관리되어지는 데이터에 대해 보드 절체에 따른 데이터 유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로드를 줄이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티브 보드와 스탠드바이 보드로 이루어지는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액티브 보드에서 받은 외부 메시지를 해당 프로세스가 처리하는 동안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에서 해당 프로세스가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액티브 보드에서 해당 프로세스의 처리 결과를 이중화 경로를 통해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의 해당 프로세스가 상기 전송받은 메시지를 자신이 처리한 결과와 같이 리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DATA PROCESSING METHOD IN DUPLICATED BOARDS}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이중화 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소스(pSOS)로 개발되는 시스템에 이중화된 보드에서 수집 및 관리되어지는 데이터에 대해 보드 절체에 따른 데이터 유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로드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보드들은 고장시에도 정상적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이중화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MPU(Main Processor Unit)에 대한 이중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MPU는 액티브 보드(Active Board) 100과, 스탠드바이 보드(Stand-By Board)로 이중화 구조된다. 상기 액티브 보드 100은 데이터 임시 저장 버퍼 110과, 외부 통신 모듈 120과,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130과, 이중화 처리 프로세스 1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은 데이터 임시 저장 버퍼 210과, 외부 통신 모듈 220과,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230과, 이중화 처리 프로세스 240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보드 100의 이중화 처리 프로세스 140과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0의 이중화 처리 프로세스 240은 이중화 경로 3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액티브 보드 100의 외부 통신 모듈 120과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0의 외부 통신 모듈 220은 송신버스(TX) 10과 수신버스(RX) 2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이중화 구조에 따르면, 액티브 보드 100은 외부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하고, 스탠드바이 보드 200은 외부에서 전달받은 처리 메시지를 데이터 임시 저장 버퍼 210에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스 230에 전달하지 않는다.
상기 액티브 보드 100이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처리를 마치고 나서는 상기 처리된 메시지의 넘버를 이중화 경로 30을 통해 스탠드바이 보드 200쪽으로 전달한다.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0은 넘겨받은 메시지 넘버를 기준으로 처리된 것으로 간주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 버퍼 210에서 삭제한다. 상기 이중화 경로 30을통해 메모리 맵을 일치시키기 위해 백업(backup)이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0은 외부 통신 모듈 220에서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230으로 외부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고 임시 저장 버퍼 210에만 쌓아 놓는다. 한편, 이중화 보드의 절체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외부 통신 모듈 220이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230으로 전달하여 처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이중화의 동기(synchronization)를 맞추기 위해 이중화 경로를 통해 백업용 데이터를 전송이 빈번하게 이루어져 시스템 로드가 증가한다.
둘째, 메모리 맵의 동기 여부 판단을 위해 검증 방법이 없다.
셋째, 데이터 백업중 이중화 절체가 일어날 경우 백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 구조에서 데이터 백업을 위한 시스템 로드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화 구조에서 메모리 맵에 대한 동기를 맞출 필요가 없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화 보드 절체에 의한 데이터 유실을 막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소스(pSOS)로 개발되는 통신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에 이중화된 보드에서 수집 및 관리되어지는 데이터에 대해, 보드 절체에 따른 데이터 유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로드를 감소시키는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써, 데이터 누락으로 인한 시스템 운용의 장애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견지(Aspect)에 따르면, 액티브 보드와 스탠드바이 보드로 이루어지는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액티브 보드에서 받은 외부 메시지를 해당 프로세스가 처리하는 동안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에서 해당 프로세스가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액티브 보드에서 해당 프로세스의 처리 결과를 이중화 경로를 통해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의 해당 프로세스가 상기 전송받은 메시지를 자신이 처리한 결과와 같이 리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액티브 보드와 스탠드바이 보드로 이루어지는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외부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가, 해당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프로세스 아이들 상태로 하고 상기 액티브보드로부터 메시지를 대기하고, 메시지를 수신 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액티브 보드가, 해당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결과 메시지를 이중화 경로로 전송하고,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로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MPU보드에 대한 이중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MPU보드에 대한 이중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MPU(Main Processor Unit)에 대한 이중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MPU는 액티브 보드(Active Board) 100과, 스탠드바이 보드(Stand-By Board)로 이중화 구조된다. 상기 액티브 보드 100은 데이터 임시 저장 버퍼 110과, 외부 통신 모듈 120과,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130과, 이중화 처리 프로세스 1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은 데이터 임시 저장 버퍼 210과, 외부 통신 모듈 220과,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230과, 이중화 처리 프로세스 240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보드 100의 이중화 처리 프로세스 140과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0의 이중화 처리 프로세스 240은 이중화 경로 3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액티브 보드 100의 외부 통신 모듈 120과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0의 외부 통신 모듈 220은 송신버스(TX) 10과 수신버스(RX) 2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화 보드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중화된 스탠드바이 보드 200은 외부 통신 모듈 220에서 받은 메시지를 해당 프로세스 230으로 전송한다. 상기 해당 프로세스 230은 정상적인 데이터 처리를한 후 상기 외부 통신 모듈 220으로 전송한다.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 200의 외부 통신 모듈 220은 이중화 채널을 통해서 액티브 보드 100의 처리 결과를 전달받아 해당 프로세스 220에 결과를 알려준다. 상기 액티브 보드 100의 프로세스의 리턴값은 이중화 경로 30을 통해 전달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301단계), 도 2의 액티브 보드 100은 306단계, 307단계, 308단계 및 309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외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301단계), 도 2의 스탠드바이 보드 200은 303단계, 304단계 및 305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303단계에서 스탠드바이 보드 200은 해당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304단계에서 스탠드바이 보드 200은 해당 프로세스를 아이들(idle) 상태로 하고 액티브 보드 100으로부터의 메시지를 대기한다. 305단계에서 스탠드바이 보드 200은 액티브 보드 100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 프로세스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306단계에서 액티브 보드 100은 해당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307단계에서 액티브 보드 100은 결과 메시지를 이중화 모듈(경로) 30으로 전송한다. 308단계에서 액티브 보드 100은 스탠바이 보드로 결과 메시지를 전송한다. 309단계에서 액티브 보드 100은 프로세스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3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1) 액티브 보드 100에서 받은 외부 메시지를 해당 프로세스가 처리하는 동안 스탠드바이 보드 200에서는 해당 프로세스가 수신(receive)모드로 전환한다.
(2) 액티브 보드 100에서 해당 프로세스의 처리 결과를 이중화 모듈(경로) 30으로 전송한다.
(3) 이중화 모듈 30은 해당 결과를 스탠드바이 보드 200의 해당 프로세스로 전송하고, 해당 프로세스는 전송받은 메시지를 자신이 처리한 결과와 같이 리턴(return)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메모리 맵을 동일하게 가지고 갈 필요가 없으므로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다.
둘째, 프로세스가 동시에 동작되므로 절체시 처리가 용이하다.
셋째, 데이터 백업이 따로 없으므로 백업으로 인한 시스템 로드가 감소된다.
즉, 본 발명은 이중화 보드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경우 이중화의 절체시 유실이 우려되는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로드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액티브 보드와 스탠드바이 보드로 이루어지는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보드에서 받은 외부 메시지를 해당 프로세스가 처리하는 동안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에서 해당 프로세스가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액티브 보드에서 해당 프로세스의 처리 결과를 이중화 경로를 통해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의 해당 프로세스가 상기 전송받은 메시지를 자신이 처리한 결과와 같이 리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액티브 보드와 스탠드바이 보드로 이루어지는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가, 해당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프로세스 아이들 상태로 하고 상기 액티브보드로부터 메시지를 대기하고, 메시지를 수신 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액티브 보드가, 해당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결과 메시지를 이중화 경로로 전송하고, 상기 스탠드바이 보드로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고, 데이터를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10015999A 2001-03-27 2001-03-27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3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999A KR100735435B1 (ko) 2001-03-27 2001-03-27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999A KR100735435B1 (ko) 2001-03-27 2001-03-27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034A true KR20020076034A (ko) 2002-10-09
KR100735435B1 KR100735435B1 (ko) 2007-07-04

Family

ID=2769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999A KR100735435B1 (ko) 2001-03-27 2001-03-27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56B1 (ko) * 2001-08-31 2004-04-30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중화로된 이동통신 제어국의 엠시피유보드
KR100941803B1 (ko) * 2003-10-02 2010-02-10 엘지노텔 주식회사 사설 교환기의 톤 발생/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4885A (ja) * 1995-08-24 1997-03-07 Hitachi Ltd Atm交換機におけるスイッチの系切り替え方式
KR100214122B1 (ko) * 1996-12-28 1999-08-02 유기범 프로세서간 통신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화구조를 갖는 통신시스템
KR100228306B1 (ko) * 1997-07-19 1999-11-01 윤종용 핫-스탠바이 이중화 장치 및 그의 구현 방법
KR100260895B1 (ko) * 1997-10-15 2000-07-01 김덕중 비동기전송모드근거리통신망시스템의고속이중화방법
KR100349666B1 (ko) * 2000-01-21 2002-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장 감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56B1 (ko) * 2001-08-31 2004-04-30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중화로된 이동통신 제어국의 엠시피유보드
KR100941803B1 (ko) * 2003-10-02 2010-02-10 엘지노텔 주식회사 사설 교환기의 톤 발생/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435B1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3744B2 (e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communication method, state change transmission method, state changing method, wireless apparatus, wireless device, and computer
JP2004165810A (ja) 無線lan基地局の二重化システム
CN101867468A (zh) 以太网供电交换机的热重启处理方法及以太网供电交换机
CN100586101C (zh) 在作为目的地的第二层交换机之间切换
KR100429899B1 (ko) Fudcom에 의한 결함허용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35435B1 (ko)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1119345A (ja) Ponシステムにおける冗長方式
KR20010076790A (ko) 상용 실시간 운영체제와 미들웨어를 통한 아이/오 기반고가용성 구현 방법
JP3149047B2 (ja) 二重化データ処理装置
KR970002693B1 (ko)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KR100229434B1 (ko) 이중화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JPH03292554A (ja) 通信処理装置
US20030074534A1 (en) Du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ing concurrent write function
KR100377931B1 (ko) 이중화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28746B1 (ko) Saal의 이중화 방법
KR0143970B1 (ko)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일 프로세서의 통신포트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227516B1 (ko)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에서의 전화망 가입자 제어장치
KR970068431A (ko) 제7모듈(no.7)공통선 신호방식에서 메세지전달부 레벨 2 처리 회로팩의 이중화장치 및 그 구현 방법
KR100242710B1 (ko) 데이터 이중화 처리 장치
KR20050003684A (ko) 통신시스템의 이중화 보드 및 그 운용 방법
JP2001243083A (ja) 2重化メモリ間データ転送方式
KR100433649B1 (ko)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서 고장-휴지 속성을 실행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의 분배기 유닛
JP2001036510A (ja) 制御装置の二重化方式および装置間回線二重化方式
JPS59122029A (ja) 障害監視方式
JP2002051107A (ja) 装置切替え方法、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