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426A - 실린더헤드 개스킷 - Google Patents

실린더헤드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426A
KR20020073426A KR1020020013996A KR20020013996A KR20020073426A KR 20020073426 A KR20020073426 A KR 20020073426A KR 1020020013996 A KR1020020013996 A KR 1020020013996A KR 20020013996 A KR20020013996 A KR 20020013996A KR 20020073426 A KR20020073426 A KR 20020073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ead
sensor
head gasket
gasket according
in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2578B1 (ko
Inventor
가와이유키오
하기와라요시유키
야스다도모타다
다나카도시유키
무라이히로유키
나카야마시게키
스에마츠도시오
후쿠마다카오
Original Assignee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the packing combining the sealing function with other fun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G01L23/08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operated electrically
    • G01L23/1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operated electrically by pressure-sensitive members of the piezoelectr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실린더헤드 개스킷(1)은, 2매의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와, 그들의 사이에 배치된 이너 플레이트(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4)의 소정위치에는 센서(S1~S10)를 수용하는 수납구멍(H1~H10)이 뚫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양 아우터 플레이트(2,3)에는 상기 센서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P1~P10)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들의 돌기(P1~P10)를 통해서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에서 받는 가압력을 센서(S1~S10)에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것과 동등의 실링성을 얻을 수 있고, 더구나 센서를 제외하여 걸리는 코스트를 종래보다도 저감할 수 있는 실린더헤드 개스킷(1)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린더헤드 개스킷{CYLINDER HEAD GASKET}
본 발명은, 엔진에 사용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내의 연소압력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실린더헤드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실의 연소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내장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으로서, 일본 특개평4-308341호공보 또는 특개평2-157631호공보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실린더헤드 개스킷에 의하면, 센서를 실린더헤드 또는 실린더블록에 내장되도록 한 것에 비교하여 부착스페이스에 여유가 있고, 더구나 코스트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전자의 공보에서는, 2매의 아우터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져 연소실에 면하는 이온갭센서로 연소압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온갭센서와 아우터 플레이트 사이의 실링성이 낮아지기때문에, 즉 센서를 내장하지 않은 일반적인 실린더헤드 개스킷에 비교하여 실링하는 데에 중요한 연소실구멍의 주변가장자리부분의 실링성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다른한편, 상기 후자의 공보에서는, 실린더헤드 개스킷에 설치된 유저(有底)의 장착구멍내에 장착된 센서로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일반적인 실린더헤드 개스킷과 같은 정도의 실링성을 얻을 수 있는데, 센서를 제외한 부품점수가 많게 됨과 동시에, 그것에 따라 구성이 복잡하게 되므로 센서 이외에 걸리는 코스트가 높다는 결점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실린더헤드 개스킷은,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에 끼워지는 2매의 아우터 플레이트와, 이 양 아우터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설치된 2매의 스페이스재(材)와, 이 양 스페이스재의 사이에 배열설치되는 이너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구멍은, 한쪽의 아우터 플레이트와 이 아우터 플레이트측에 배치되는 스페이스재로 형성된 같은 직경의 대직경구멍과, 이너 플레이트와 다른쪽의 스페이스재에 형성된 같은 직경의 소직경구멍과, 더 다른쪽의 아우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구멍과 소직경구멍과 대향되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서 절곡한 절곡부(그로메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실린더헤드 개스킷과 동등의 실링성을 얻을 수 있고, 더구나 센서 이외에 걸리는 코스트를 종래에 비교하여 저감할 수 있는 실린더헤드 개스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1)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3는 도 1의 B-B선을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절결(19)에 굴곡(19')을 설치하여 리드선(18)자체에 굴곡부(18')에 의한 이완을 갖게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101)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201)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7은 구면형상의 돌기(P)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서브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컵형상의 돌기(P)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서브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중실의 돌기(P)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아우터 플레이트(302,303)에 설치된 풀 비드(330,330)에 의해 센서(S5)를 실링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의 사이에 끼워지고, 각각 실린더보어에 맞추어 뚫어 설치된 연소실구멍을 가지는 2매의 아우터 플레이트와, 이 아우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보어에 맞추어 뚫어 설치된 연소실구멍을 가지는 이너 플레이트와, 이 이너 플레이트의 소정위치에 뚫어 설치된 수납구멍과,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수납구멍내에 수납됨과 동시에, 이 이너 플레이트보다도 두께가 얇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양 아우터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센서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이 돌기를 통해서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에서 받는 가압력을 센서로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센서를 이너 플레이트의 수납구멍내에 수납하고 있으므로, 실링성을 좌우함에 있어 중요한 연소실구멍의 주변 가장자리부분을 센서의 제약을 받는 일없이 자유로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이외에 걸리는 코스트로서는, 이너 플레이트에 형성된 수납구멍과, 아우터 플레이트에 형성된 돌기뿐이다.
따라서,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일반적인 실린더헤드 개스킷과 동등의 실링성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센서 이외에 걸리는 코스트를 종래와 비교하여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실린더헤드 개스킷(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실린더헤드 개스킷(1)은, 도시하지않은 실린더블록측에 배치되는 제 1 아우터 플레이트(2)와, 도시하지않은 실린더헤드측에 배치되는 제 2 아우터 플레이트(3)와, 이들 제 1 아우터 플레이트(2)와 제 2 아우터 플레이트(3)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4)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 및 이너 플레이트(4)는 예를들면 랜스록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 플레이트(2)와 제 2 아우터 플레이트(3)는, 같은 판두께를가지는 동일의 소재로 형성되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아우터 플레이트(2)와 제 2 아우터 플레이트(3)의 강성을 동일하게 하고 있다.
상기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 및 이너 플레이트(4)에는, 각 연소실(B1~B3)에 맞추어 뚫어 설치된 동심상의 제 1~제 3 연소실구멍(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에는, 각 연소실구멍(6)을 개별로 둘러싸는 내측 비드부(7)와, 이들 내측 비드부(7)를 일괄하여 둘러싸는 중간 비드부(8)와 외측 비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 및 이너 플레이트(4)에는, 중간 비드부(8)와 외측 비드부(13) 사이에 블로우바이 구멍(9), 볼트구멍(10), 물 구멍(11), 기름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 개스킷(1)은,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 사이에 개재되고,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도시하지않음)에 의해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그들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양자간을 실링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부터 연소실내의 연소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내장한 실린더헤드 개스킷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실린더헤드 개스킷은,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일반적인 실린더헤드 개스킷에 비교하여 실링성의 저하가 생기거나 또는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일반적인 실린더헤드 개스킷과 같은 정도의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부품수가 증가하여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센서를 제외하는 코스트가 높게 되어버리는 결점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일반적인 실린더헤드 개스킷과 같은 정도의 실링성을 확보하고, 또한 부품수의 삭감 및 구성의 간략화에 의해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실린더헤드 개스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이너 플레이트(4)의 소정 위치에 10개의 원형의 제 1~제 10 수납구멍(H1~H10)을 뚫어 설치하고, 또한 이들 수납구멍(H1~H10)내에 이너 플레이트(4)의 두께보다 얇은 원판형상의 제 1~제 10 센서(S1~S10)(압전(壓電)센서 등)를 수용한 것이고, 그리고 이들 제 1~제 10 센서(S1~S10)는, 이너 플레이트(4)의 양측에 배치된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에 의해 이 수납구멍(H1~H10)내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센서의 수는 10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개소에 필요한 수만큼 설치하여도 되고, 또는 연소실의 수에 맞게 적절하게 변경하면 된다.
상기 제 1~제 10 수납구멍(H1~H10)의 대부분은,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에 설치된 중간 비드부(8)보다도 외방측으로 되는 위치에 뚫어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 연소실(B1~B3)의 원주방향 등간격위치로 되도록 각 수납구멍(H1~H10)을 뚫어 설치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제 3 연소실(B1~B3)의 중심점(O1~O3)을 통하는 가상의 직선(L)(도시하지않음)상에 제 1~제 4 수납구멍(H1~H4)을 설치하는 한편, 제 1 연소실구멍(B1)의 중심점(O1)위를 통하여 상기 직선(L)과 직교하는 직선상에 중심점(O1)을 끼워서 제 5 수납구멍(H5)과 제 8 수납구멍(H8)을 설치하고, 또한 제 2 연소실(B2)의 중심점(O2)위를 통과해서 상기 직선(L)과 직교하는 직선상에 이 중심점(O2)을 끼워서 제 6 수납구멍(H6)과 제 9 수납구멍(H9)을 설치하고, 더욱이 제 3연소실(B3)의 중심점(O3)위를 통해서 상기 직선(L)과 직교하는 직선상에 중심점(O3)을 끼워서 제 7 수납구멍(H7)과 제 10 수납구멍(H10)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센서(S2)는 제 1 연소실(B1)과 제 2 연소실(B2)의 양방의 연소압력을 측정하고, 또한 제 3 센서(3)는 제 2 연소실(B2)과 제 3 연소실(B3)의 양방의 연소압력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제 1~제 3 연소실(B1~B3)에 있어서 연소타이밍은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이 연소타이밍에서 어느 연소실이 연소하고 있는지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연소실구멍에서 센서를 공유화하는 것에 대하여 문제는 없다. 또한 연소타이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연료분사신호나 크랭크의 회전각도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제 5 센서(S5), 제 6 센서(S6) 및 제 7 센서(S7)는 공통하는 리드선(18)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 리드선(18)을 통해서 외부의 콘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같이 제 1~제 3 연소실(B1~B3)마다 연소타이밍이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문제는 없다. 또한, 상기 리드선(18)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너 플레이트(4)의 절결(19)내에 배열설치되어 있고, 여기서는 오른쪽이 플러스측으로 왼쪽이 마이너스측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않았지만, 제 1 센서(S1)와 제 4 센서(S4)가 공통의 리드선에 의해 접속되고, 또한 제 2 센서(S2)와 제 3 센서(S3)가 공통의 리드선에 의해 접속되고, 더욱이 제 8 센서(S8)~제 10 센서(S10)가 공통의 리드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제 10 센서(S1~S10) 및 리드선을 실링수단으로서의 수지제의 실링재(20)에 의해 피복되고 이들을 물이나 기름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도 3 참조).
그런데, 제 1~제 10 센서(S1~S10)는 이너 플레이트(4) 보다도 두께가 얇으므로, 그대로는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에서 받는 가압력을 측정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아우터 플레이트(2)와 제 2 아우터 플레이트(3)에, 제 1~제 10 수납구멍(H1~H10)내를 향해서 돌출하여 제 1~제 10 센서(S1~S10)에 접촉하는 원형의 제 1~제 10 돌기(P1~P10)를 설치하고 있다(도 2에 P5를 예시).
또한 제 1~제 10 센서(S1~S10)의 측정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근접위치의 4개소를 용접하여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와 이너 플레이트(4)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도 1의 S7의 주위에 ×표로 예시). 이것에 의해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의 열신축에 의해 제 1 아우터 플레이트(2)와 이너 플레이트(4)의 층사이, 또는 제 2 아우터 플레이트(3)와 이너 플레이트(4)의 층사이에 있어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더욱이 제 1~제 10 돌기(P1~P10)의 평탄한 접촉면(P1'~P10')(도 2에 P5'만을 도시)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만일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의 열신축에 의해 양 아우터 플레이트(2,3)와 이너 플레이트(4)의 층사이가 어긋나는 일이 있어도, 제 1~제 10 센서(S1~S10)에 대한 제 1~제 10 돌기(P1~P10)의 접촉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보증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실린더헤드 개스킷(1)에 의하면, 실링성을 좌우하는 데 있어 최고로 중요한 연소실구멍(6)의 주변 가장자리부분의 구성을 제 1~제10 센서(S1~S10)의 제약을 받는 일없이 자유로이 구성할 수 있으므로, 환언하면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것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일반적인 실린더헤드 개스킷과 동등의 실링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제 10 센서(S1~S10)를 제외하는 구성으로서, 이너 플레이트(4)에 제 1~제 10 수납구멍(H1~H10)을 설치하는 한편으로, 제 1 아우터 플레이트(2)와 제 2 아우터 플레이트(3)에 각각 제 1~제 10 돌기(P1~P10)를 설치하는 것뿐이므로, 제 1~제 10 센서(S1~S10)(리드선(18)도 포함) 이외에 걸리는 코스트를 종래에 비교하여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노출되는 리드선(18)이 인장되는 것 등에 의해 내부의 리드선(18)이 부하를 받는 일이 예측되므로,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적어도 절결(19)의 각 분기끝에 1개 이상의 굴곡(19')을 설치하고, 이 굴곡(19')에 의해 내부의 리드선(18) 자체에 굴곡부(18')를 붙여서 단선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이완을 갖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아우터 플레이트(2)와 제 2 아우터 플레이트(3)의 양방에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의 어느 한쪽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래서,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아우터 플레이트(102)측에만 돌기(P)를 형성하고, 제 2 아우터 플레이트(103)를 평탄하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에는, 각각 100을 가산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각 센서(S1~S10)에 대하여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의 2개의 리드선(18)(동축을 포함)을 접속하고 있는데,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플러스측의 리드선(218)만을 센서(S1~S10)에 접속하고 있다.
즉, 각 센서(S1~S10)(도 6에서는 S5만 도시)는, 도전성의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03)를 통해서 도시하지않은 차체측, 예를들면 엔진의 마이너스 어스와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고, 이때문에 본 실시예의 각 센서(S1~S10)는, 절연소재로 이루어지는 실링재(220)에 의해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03)의 각 돌기(P1~P10)(P5만 도시)에 대하여 한쪽의 수압(受壓)면(S5'만 도시)을 항상 맞닿음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에는 각각 200을 가산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구나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제 10 돌기(P1~P10),돌기(P)의 접촉면(P1'~P10')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1~제 10 돌기(P1~P10), 돌기(P)자체를 제 1~제 10 센서(S1~S10), 센서(S)측을 향해서 돌츨하는 구면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이것에 의해 수압면(S1'~S10'), 수압면(S)에 대한 면압(面壓)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제 10 돌기(P1~P10), 돌기(P)를 제 1, 제 2 아우터 플레이트(2,3)(제 1 아우터 플레이트(102))에 프레스성형하여 일체로 설치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돌기(P)를 컵형상의 서브 플레이트(22)(도 8 참조), 또는 중실의 서브 플레이트(22)(도 9 참조)로해도 좋다. 또한, 이 서브 플레이트(22)는, 아우터 플레이트(3(2))에 접합하여도 하지않아도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서브 플레이트(22)의 재질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돌기(P)자체의 스프링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센서(S1~S10)와 리드선(18)을 피복하는 수지제의 실링재(20)를 실링수단으로 하고 있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양 아우터 플레이트(302,303)에 이너 플레이트(304)를 향해서 돌출하여 센서(S1~S10)를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환상의 풀 비드(330)(하프 비드라도 좋다)를 설치하고, 센서(S1~S10)를 국부적으로 실링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않았지만 양 아우터 플레이트(2,3)(302,303)와 이너 플레이트(4)(304)의 대향하는 한쪽 면에 센서(S1~S10)를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환상의 고무프린트를 실시하여, 각 센서를 국부적으로 실링하도록 하여도 좋다.이와같이 풀 비드(330)나 고무프린트에 의해 센서(S1~S10)를 국부적으로 실링하는 경우에는 실링재(20)에 의해 리드선(18)(318)만을 국부적으로 피복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이너 플레이트(4)에 절결(19)을 설치하고, 이 절결(19)내에 리드선(18)을 배열설치하도록 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결을 이너 플레이트에서 삭제하는 한편, 상기 리드선으로 바꾸어 이너 플레이트의 표면에 프린트한 프린트배선으로 교체하여도 좋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여기에 많은 변경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내에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를 내장하지않은 일반적인 실린더헤드 개스킷과 동등의 실링성을 얻을 수 있고, 더구나 센서를 제외하여 걸리는 코스트를 종래에 비교하여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1)

  1.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의 사이에 끼워지지 되고, 각각 실린더보어에 맞추어 뚫어 설치된 연소실구멍을 가지고 있는 2매의 아우터 플레이트와, 이 아우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보어에 맞추어 뚫어 설치된 연소실구멍을 가지는 이너 플레이트와, 이 이너 플레이트의 소정위치에 뚫어 설치된 수납구멍과,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수납구멍내에 수납됨과 동시에, 이 이너 플레이트보다도 두께가 얇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양 아우터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센서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이 돌기를 통해서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에서 받는 가압력을 센서에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쌍방에, 상기 센서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수압면에 대한 돌기의 접촉면의 면적을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이것과 일체로 설치된 서브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고, 이 부재에 상기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컵형상, 중공의 원주형상, 또는 구면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형상을 원판형상으로 하는 한편, 상기 돌기의 형상을 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근접위치에서 아와 이너 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일단을 접속한 리드선을,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설치한 절결내를 배선하여 외부의 기기와 접속하는 한편, 당해 센서와 리드선을 실링수단에 의해 실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도전성의 아우터 플레이트에 맞닿음시킴과 동시에, 이 아우터 플레이트를 통해서 차체측의 마이너스 어스와 도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일단을 접속한 리드선에 굴곡부를 설치하여 단선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아우터 플레이트의 두께를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헤드 개스킷.
KR10-2002-0013996A 2001-03-15 2002-03-15 실린더헤드 개스킷 KR100442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4386 2001-03-15
JP2001074386A JP2002276809A (ja) 2001-03-15 2001-03-15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426A true KR20020073426A (ko) 2002-09-26
KR100442578B1 KR100442578B1 (ko) 2004-08-02

Family

ID=1893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996A KR100442578B1 (ko) 2001-03-15 2002-03-15 실린더헤드 개스킷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30468A1 (ko)
JP (1) JP2002276809A (ko)
KR (1) KR100442578B1 (ko)
CN (1) CN1231663C (ko)
DE (1) DE10211263A1 (ko)
FR (1) FR2822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2288C2 (de) * 2001-01-19 2003-10-30 Reinz Dichtungs Gmbh & Co Kg Metallische Flachdichtung
FR2841938B1 (fr) * 2002-07-08 2004-08-27 Meillor Sa Agencement d'un capteur et de ses connexions filaires dans un joint de culasse metallique, multifeuilles
JP2004162550A (ja) * 2002-11-11 2004-06-10 Uchiyama Mfg Corp イオンセンサ付ガスケット
DE10357974B4 (de) * 2003-12-11 2006-07-06 Reinz-Dichtungs-Gmbh Metallische Flachdichtung mit Leiterbahn und Sensorelement sowie deren Verwendung
US7152571B1 (en) * 2005-10-11 2006-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brication system having a gasket with integrated lubrication channel
CN102080725A (zh) * 2011-02-01 2011-06-01 宁波天生密封件有限公司 一种智能包覆c形密封环
DE202011103420U1 (de) * 2011-07-20 2012-07-23 Reinz-Dichtungs-Gmbh Hydrauliksystemsteuerplatte
DE102011056835B4 (de) * 2011-12-21 2016-06-23 Kempchen Dichtungstechnik Gmbh Flanschdichtungsring sowie Flansch mit einer ringförmigen Dichtfläche
KR101664709B1 (ko) * 2015-06-18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의 용적 측정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7631A (ja) 1988-12-09 1990-06-18 Mitsubishi Motors Corp 筒内圧センサ
JPH02118154U (ko) * 1989-03-08 1990-09-21
DE4015109A1 (de) * 1990-05-11 1991-11-14 Lechler Elring Dichtungswerke Zylinderkopfdichtung
JPH04308341A (ja) 1991-04-04 1992-10-30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焼状態検出装置
JP3541570B2 (ja) * 1996-06-12 2004-07-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用筒内圧センサ
JP2001082610A (ja) * 1999-09-10 2001-03-30 Ket & Ket:Kk 金属ガス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11263A1 (de) 2002-09-26
FR2822215A1 (fr) 2002-09-20
JP2002276809A (ja) 2002-09-25
CN1375626A (zh) 2002-10-23
KR100442578B1 (ko) 2004-08-02
US20020130468A1 (en) 2002-09-19
CN1231663C (zh)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578B1 (ko) 실린더헤드 개스킷
JP6059894B2 (ja) 力センサアッセンブリおよび力センサアッセンブリの組立方法
JP5682637B2 (ja) ガスセンサ
JP5715320B2 (ja) 圧力センサ
CN1831504A (zh) 密封压力传感装置
JPH01189537A (ja) 圧力応答装置
US787406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gasket
JP3900053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6739183B1 (en) Multiple-layer cylinder head gasket with integral pressure sensor apparatus for measuring pressures within engine cylinders
JPH11248671A (ja) ガスセンサ
US20200386643A1 (en) Pressure sensor arrangement,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6208109A (ja) 回転検出センサ
JP2000211666A (ja) 防水ケ―ス
JP2001343355A (ja) ガスセンサ
WO2014010246A1 (ja) 燃焼センサ
JP2008286589A (ja) 圧力センサ
WO2008076959A1 (en) Engine cover with embedded leads
US6149336A (en) Compliant connector
EP1507144B1 (en) Cylindrical gas sensor comprising a vibration resistant protector
US4923587A (en) Terminal fixing structure for a ceramic base
JPH02157631A (ja) 筒内圧センサ
JPH0354771B2 (ko)
JP2009156276A (ja) 筒状部材のシール構造
JP3899951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H01275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