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28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281A
KR20020072281A KR1020027007757A KR20027007757A KR20020072281A KR 20020072281 A KR20020072281 A KR 20020072281A KR 1020027007757 A KR1020027007757 A KR 1020027007757A KR 20027007757 A KR20027007757 A KR 20027007757A KR 20020072281 A KR20020072281 A KR 2002007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alve body
connecting member
tubular body
connecto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586B1 (ko
Inventor
히시까와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데루모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모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데루모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 A61M2039/262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having a fluid space within the valve remaining the same upon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i.e. neutral-drawback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 A61M2039/26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where the valve comprises venting channels, e.g. to insure better connection, to help decreasing the fluid space upon disconnection, or to help the fluid space to remain the same during dis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4/00Surgery
    • Y10S604/905Aseptic connectors or couplings, e.g. frangible, piercable

Abstract

밸브체의 개폐에 수반하여, 유체통로의 체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략 원통형상의 커넥터본체와, 커넥터본체의 일방의 개구단에 배치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커넥터본체의 밸브체측 외주부에 커넥터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커넥터본체와 동축으로 배치된 대략 원통형상의 접속부재를 구비한 구성의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관체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접속구에 장착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이 밸브체에 의해 상기 관체와 커넥터가 확실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체내를 흐르는 유체 (액체등) 는, 커넥터내로 보내여진다.
종래,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0836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커넥터는, 사복 (蛇服) 형상의 부분 (사복부분) 을 갖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있다. 관체가 커넥터에 접속되면, 그 관체에 의해 밸브체의 상기 사복부분이 수축하여, 밸브체의 단면이 관체에 눌린다. 이에 의해, 밸브체의 슬릿으로부터의 액누설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관체가 커넥터에 접속되면, 밸브체가 수축하여, 밸브체 내부의 유로 (流路) 체적, 즉 커넥터의 유로체적이, 밸브체의 폐색시에 비교하여 감소하며, 이에 의해 여러 문제가 생긴다.
예컨대, 상기 커넥터를 혈관중에 유치된 카테테르 (katheter) 에 접속하여 사용한 경우, 관체를 커넥터에 접속하고, 그 관체로부터 커넥터를 통하여 카테테르 내에 혈액항응고제를 주입하고, 다음으로, 관체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면, 밸브체의 사복부분이 신장하여, 이에 의해 커넥터의 유로체적이 증가하고, 그 때의 음압 (陰壓) 에 의해 카테테르 내에 혈액이 흡입된다.
이에 의해, 카테테르 내에서 혈액이 응고하여 혈전이 생기고, 카테테르가 막히게 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그 카테테르를 빼지 않으면 안되어, 수술회수가 증가하는 등, 환자의 부담이 증가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의 목적은, 밸브체의 개폐에 따라, 유체통로의 체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하기 (1) ∼ (17) 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내부에 유체통로를 가지며, 양단을 개구한 대략 통형상의 커넥터본체와, 이 커넥터본체의 한편의 개구단에 배치되어, 커넥터본체와 접속하는 관체와의 접속시에는 커넥터본체내의 상기 유체통로를 개구하고, 비접속시에는 개구하기 위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커넥터본체의 상기 밸브체측 외주부 (外周部) 에 커넥터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커넥터본체와 동일축으로 배치된 대략 통형상의 접속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2) 상기 밸브체는, 상기 관체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관체가 밸브체내를 삽입통과하는 일없이 개구하는 상기 (1) 의 커넥터.
관체는, 통상, 선단방향에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외주면을 갖는다. 또한 관체는, 루어록 (lure lock) 를 갖고, 또한 커넥터의 접속부재의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이들을 걸어맞춤시키면, 접속을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상기 접속부재의 개구에 상기 관체를 끼워맞춤으로써, 관체를 접속하고, 또한 유지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커넥터.
(4)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커넥터본체측에 향하여 힘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을 갖는 상기 (1) ∼ (3)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커넥터.
(5) 상기 탄성수단은, 나선형상스프링, 사복형상스프링 또는 계단형상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4) 에 기재된 커넥터.
(6) 상기 관체가 상기 접속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밸브체의 일부가 상기 접속구 부근에 노출하도록 상기 접속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수단을 갖는 상기 (1) 내지 (5) 의 어느 것인가 에 기재된 커넥트.
(7) 상기 밸브체는, 상기 관체로부터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개구하는 슬릿부가 형성된 피가압부을 갖는 상기 (1) 내지 (6)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커넥터.
(8)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과, 그 이측 (裏側) 의 표면의 적어도 일방에, 만곡철면 (凸面) 을 갖는 상기 (7) 에 기재된 커넥터.
(9)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에 만곡요면 (凹面) 을 갖는 상기 (7) 에 기재된 커넥터.
(10) 상기 피가압부의,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이측의 표면이평탄한 상기 (7) 내지 (9)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커넥터.
(11)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이측의 표면에 만곡철면을 갖는 상기 (9) 에 기재된 커넥터.
(12)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이 평면인 상기 (7) 또는 (8) 에 기재된 커넥터.
(13) 상기 밸브체는, 자연상태시에 개구하고 있는 슬릿부가 형성된 피가압부를 가지며, 상기 관체와 커넥터본체와의 비접속시,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체의 형상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슬릿부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6)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커넥터.
(14) 상기 피가압부를 평면에서 본 외형은, 자연상태 일때는 비원형이고,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체의 형상이 규제됨으로써, 대략 원형으로 되는 상기 (13) 에 기재된 커넥터.
(15)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에 제 1 볼록부를 갖는 상기 (7) 에 기재된 커넥터.
(16) 상기 제 1 볼록부는, 대략 돔형상을 이루고 있는 상기 (15) 에 기재된 커넥터.
(17)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 1 볼록부의 이측에, 그 제 1 볼록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볼록부를 갖는 상기 (15) 또는 (16) 에 기재된 커넥터.
(18) 상기 제 2 볼록부는, 대략 반구형상을 이루고 있는 상기 (17) 에 기재된 커넥터.
(19) 상기 커넥터본체의 일단에 배치된 상기 밸브체의 상기 관체와의 접촉면으로부터 타단 개구까지의 사이에 정해지는 상기 커넥터본체의 유체통로거리가, 상기 관체와 커넥터본체와의 접속전후에 있어서, 밸브체의 개폐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18)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커넥터.
(20) 상기 관체와 커넥터본체와의 접속전후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유체통로의 체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19) 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커넥터.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1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1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2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2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3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3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4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4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 (A) ∼ (B)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1 (A) ∼ (B)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밸브체로서, 그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90° 회전시켰을 때의 평면도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밸브체로서, 관체가 접속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3 (A) ∼ (B)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밸브체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5 (A) ∼ (B)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6 (A) ∼ (B) 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밸브체로서, 접속부재에 의해 그 밸브체의 형상이 규제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5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5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6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6 실시예로서, 관체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복수개 구비한 다른 태양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를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태양은, 도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1 태양예를 도 1∼3 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커넥터 (1) 는, 내부에 유체통로 (이하, 유로 (21)) 를 가지며, 양단이 개구 (241 및 221) 된 대략 원통형상의 커넥터본체 (1) 와, 이 커넥터본체 (2) 의 일방의 개구 (221) 단에 배치되고, 커넥터본체 (2) 와 접속해야 할 관체 (6) 와의 접속시에는 커넥터본체 (2) 내의 상기 유로 (21) 를 개구하고, 비접속시에는 개구하기 위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 (5) 와, 상기 커넥터본체 (2) 의 상기 밸브체 (5) 측 외주부에 커넥터본체 (2) 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커넥터본체 (2) 와 동축으로 배치된 대략 통형상의 관체접속부재 (3)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커넥터본체 (2) 의 내경 (유로 (21) 직경) 은, 통상 접속되어야 할 관체 (6) 선단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고, 이 외경보다 큰 것은 없으며, 따라서 본질적으로 접속되는 관체 (6) 가 밸브체 (5) 를 관통하여 유로 (21) 내에 삽입되는 일은 없다.
또 이하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통상 커넥터본체 (1) 의 길이축방향 (지면상에서 좌우방향) 에 대하여, 밸브체 (5) 측 (예컨대 도 1, 도 2 및 도 4∼도 9 중의 지면상 좌측) 을「기단」으로 하고, 개구측 (지면상 오른쪽) 을「선단」으로 설명한다. 도 3 중, 상하방향이「축방향」, 상측이「기단」, 하측이「선단」이다. 다른 도면도 이에 준한다.
제 1 태양예의 커넥터에 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커넥터 (1) 에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커넥터 (1) 는, 관체 (6) 를 접속하는 것이며, 대략 원통형상의 커넥터본체 (2) 와, 대략 원통형상의 접속부재 (3) 와, 상기 커넥터본체 (2) 와 상기 접속부재 (3) 를 연결하는 연결부 (4) 과,탄성재료 (가요성재료) 로 구성된 밸브체 (5) 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듯이, 커넥터본체 (2) 는, 그 내부에 유로 (21) 를 가지며, 유로 (21) 의 기단부 (22) 측 개구 (221) 단에는, 밸브체 (5) 가 배치되어있다.
커넥터본체 (2) 의 기단부 (22) 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접속부재 (3) 의 단차부 (33) 와 맞닿을 수 있는 링형상의 걸림정지부 (23) 를 갖고 있으며, 걸림정지부 (23) 의 기단측에는, 그 외경이 선단에서 기단으로 향하여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면 (231) 이 형성되어 있다. 관체 (6) 의 비접합시, 이 테이퍼면 (231) 과 단차부 (33) 의 테이퍼면 (331) 이 걸어맞춤함으로써 접속부재 (3) 는 위치규제되어, 커넥터본체 (2) 에 대하여 소정위치로 걸림정지 된다
커넥터본체 (2) 의 선단부 (24) 의 외주측에는, 그 외직경이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향하여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즉 선단부 (24) 의 외주측은 루어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커넥터본체 (2) 의 선단부 (24) 측은 2중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선단부 (24) 보다 대직경인 대략 원통형상 (외통) 루어록부 (25) 를 갖고 있다. 루어록부 (25) 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상의 리브 (루어록 나사 (25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본체 (2) 의 선단측에는, 예컨대 가요성을 갖는 튜브 (도시하지 않음) 등이, 직접 또는 소정의 지그를 통하여 액밀 (液密) 하게 접속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와, 튜브의 내강 (內腔:도시하지 않음) 과 연이어 통한다. 이 튜브로서는, 예컨대 수액세트의 튜브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커넥터본체 (2) 의 선단부 (24) 를 튜브내에 끼워 넣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본체 (2) 의 선단부 (24) 를 튜브내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튜브측의 플랜지 또는 루어록나사 (모두 도시 안 함) 를, 루어록부 (25) 의 리브 (251) 에 나사식 결합시켜 로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루어록부 (25) 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본체 (2) 의 선단부 (24) 의 외경은 축방향 (길이방향) 에 일정하여도 된다.
커넥터 (1) 는, 커넥터본체 (2) 의 외측에 배치된, 커넥터본체 (2) 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접속부재 (3) 를 갖고 있다.
접속부재 (3) 는, 관체 (6) 의 접속구부분 (접속부) 인 기단부 (31) 와, 이보다 대직경의 선단부 (32) 로 이루어진다. 접속부재에 삽입되는 관체 (6) 는, 통상, 선단방향으로 외경이 점차로 감소한 테이퍼를 갖고 있으며, 기단부 (31) 는, 그 관체 (6) 의 선단이 커넥터본체 (2) 의 밸브체 (5) 를 가압하여 개구시키는 바와 같은 관체 (6) 의 삽입길이를 허용하고, 또한 관체 (6) 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이 기단부 (31) 의 내경은, 선단부 (32) 의 내경보다 작으며, 커넥터본체 (2) 의 선단부 (24) 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커넥터본체 (2) 의 걸림정지부 (23) 의 외경보다 작다. 선단부 (32) 의 내경은, 커넥터본체 (2) 의 걸림정지부 (23) 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이 기단부 (31) 와 선단부 (32) 의 경계 (경계부) 에는, 단차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 (33) 의 내주측에는, 내경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으로 향하여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면 (33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 (33) 와, 전술한 커넥터본체 (2) 의 걸림정지부 (23) 로 접속부재 (3) 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접속부재 (3) 의 기단에는, 링상의 플랜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 (34) 는, 관체 (6) 측의 루어록나사 (도시하지 않음) 에 나사식 결합되고, 이에 의해, 접속부재 (3) 에 대하여 관체 (6) 가 로크된다. 또는 도시의 플랜지 (34) 대신에, 접속부재 (3) 의 기단부 (31) 의 외주면에, 상기 관체 (6) 측의 루어록나사 (도시하지 않음) 에 나사식 결합하는 나선형상의 리브 (루어록나사) 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부재 (3) 의 플랜지 (34) 나 리브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접속부재 (3) 와 커넥터본체 (2) 와는, 연결부 (4) 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4) 는, 나선형상의 스프링 (탄성수단:41) 과, 이 스프링 (41) 의 선단에 형성된 링형상의 장착부 (42) 로 구성된다.
스프링 (41) 의 기단은, 상기 접속부재 (3) 의 선단에 접합되고, 장착부 (42) 는, 상기 커넥터본체 (2) 의 루어록부 (25) 의 기단에 접합되어 있다.
접합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끼워맞춤 (특히 코킹을 수반한 끼워맞춤이나 나사식 결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접합하는 부재가 수지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열융착, 초음파융착 등의 융착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본체 (2) 및/또는 접속부재 (3) 와, 연결부 (4) 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접속부재 (3) 와 연결부 (4)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조립시의 수고 및 조립에 요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프링 (41) 은, 관체 (6) 와 커넥터 (1) 와의 접속시에 무부하상태 (자연길이) 로부터 조금 신장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복원력 (탄성력) 에 의해, 접속부재 (3) 를 커넥터본체 (2) 에 대하여 선단측 (커넥터본체 (2) 에 접근하는 방향), 즉 커넥터본체 (2) 측에 향하여 탄성지지하고 있다.
밸브체 (5) 는, 커넥터본체 (2) 의 기단 (基端) 개구 (221) 에, 유로 (21) 를 폐색하도록 기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밸브체 (5) 의 기체부 (55) 선단이 커넥터본체 (2) 의 개구 (221) 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밸브체 (5) 와 커넥터본체 (2) 와의 접합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끼워맞춤 (특히 코킹을 수반한 끼워맞춤이나 나사식 결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커넥터본체 (2) 가 수지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열융착, 초음파융착 등의 융착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도 3 에 밸브체의 구성예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밸브체 (5) 는, 대략 원통형상의 기체부 (55) 와, 기체부 (55) 의 축방향의 일단측 (기단측) 에 기체부 (55) 의 내강을 차폐하도록 설치된 피가압부 (51) 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부 (55) 와 피가압부 (51) 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가압부 (51) 는, 관체 (6) 의 선단면 (62) 으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부분이고, 그 중심부는, 외주부에 비교하여 두께가 두꺼운 육후 (肉厚) 부로 되어있다.
이 피가압부 (51) 는,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 접촉하는 측에 제 1 볼록부 (52) 를 갖는다. 이 제 1 볼록부 (52) 는, 대략 돔형상 (원추형상, 갓형상, 접시형상등) 을 하며, 관체 (6) 가 커넥터 (1) (접속구) 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접속부재 (3) 의 기단개구 (311) 로부터 외측에 소정량 돌출 (접속구에 노출) 되어 있다.
또한, 피가압부 51는, 이 제 1 볼록부 (52) 의 이측에 제 2 볼록부 (53) 를 갖는다. 이 제 2 볼록부 (53) 는, 대략 반구형상을 하며, 제 1 볼록부 (52) 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가압부 (51) 는,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 (기단측의 표면) 과, 그 이측의 표면 (선단측의 표면) 의 적어도 일방에, 만곡철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과, 그 이측의 표면이, 각각 만곡철면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액밀성 (기밀성) 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피가압부 (51) 의 중심부 (두께부) 에는, 피가압부 (51) 를 관통하는 슬릿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릿부 (54) 는, 제 1 볼록부 (52) 와 제 2 볼록부 (53) 의 정부끼리를 연이어 통하도록 넣어진 한일자형상의 홈 (슬릿)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슬릿부 (54) 는, 무부하상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 에 있을 때는, 피가압부 (51) 의 탄성에 의해 폐색되어, 액밀상태 (기밀상태) 를 유지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슬릿부 (54) 의 슬릿형상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열십자형상 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가압부 (51) 의,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 접촉하는 측의 이측의 표면 (선단측의 표면) 이 평탄하여도 된다 (도 13B 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가압부 (51) 의 형상은, 도시한 것이나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커넥터 (1) 의 유로 (21) 내를 유통하는 유체의 종류나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측으로부터의 압력 (유로 (21) 의 내압) 의 크기 등에 따라서는, 피가압부 (51) 의 형상을 도시의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충분히 높은 액밀성 (기밀성) 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피가압부 (51) 에 비교적 작은 리브를 형성하거나, 또는 피가압부 (51) (슬릿부 (54)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의 두께를 적정치로 설정 (조정)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관체 (6) 가 커넥터 (1) (접속구) 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제 1 볼록부 (52) 의 정부의 축방향의 위치와, 접속부재 (3) 의 기단의 축방향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커넥터본체 (2), 접속부재 (3) 및 연결부 (4) 의 구성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EVA)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4-메틸펜틴-1), 아이오노마-, 아크릴계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ABS 수지),아크릴니트릴스티렌공중합체 (AS 수지), 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시클로헥산텔레프탈레이트 (PC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케톤 (P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어세탈 (POM), 폴리페닐렌옥시드, 변성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살폰, 폴리에텔살폰, 폴리페닐렌살파이드, 폴리어릴레이트, 방향족폴리에스테르 (액정폴리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기타 불소계수지 등의 각종 수지재료, 또는 이것들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블렌드 (blend) 체, 폴리머얼로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타, 각종 유리재, 세라믹스재과, 금속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커넥터본체 (2), 접속부재 (3) 및 연결부 (4) 를 각각 수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 (5) 는,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재료 (가요성재료) 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재료로서는, 예컨대, 천연고무, 이소프렌고무, 부타디엔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니트릴고무, 쿨롤로플렌고무, 부틸고무, 아크릴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히드린고무, 우레탄고무, 실리콘고무, 불소고무와 같은 각종 고무재료나, 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부타디엔계, 트랜스폴리이소프렌계, 불소고무계, 염소화폴리에티렌계 등의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체 (6) 는, 커넥터 (1) 의 접속구 (접속부재 (3) 의 기단부 (31)) 에 접속되는 부위 또는 기구이다. 관체 (6) 로서는, 예컨대, 주사기의 선단돌출부위 (침관을 접속하는 부위) 나, 그 자체가 독립한 허브, 시스 등의 관상기구를 들 수 있다.
관체 (6) 는, 그 내부에 유로 (61) 를 갖고 있다. 그리고, 관체 (6) 의 외주측에는, 그 외경이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향하여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관체 (6) 의 외주측은, 루어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관체 (6) 의 선단 (63) 의 외경은, 상기 접속부재 (3) 의 기단부 (31) 의 내경 (접속구경) 보다 약간 작고, 관체 (6) 의 기단의 외경은, 기단부 (31) 의 내경보다 크다. 이에 의해, 관체 (6) 의 선단부를 기단부 (31) 의 개구 (311) 로부터 접속부재 (3) 내에 삽입하고, 또한, 소망의 깊이로 기단부 (31) 에 끼워넣을 (끼워맞춤) 수 있다.
상기 관체 (6) 의 구성재료로서는, 예컨대, 상기 커넥터본체 (2), 접속부재 (3) 및 연결부 (4) 의 구성재료로 예를 든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듯이, 관체 (6) 가 커넥터 (1) (접속구) 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비접속상태시) 는, 스프링 (41) 의 복원력 (탄성력) 에 의해, 접속부재 (3) 가 커넥터본체 (2) 에 대하여 선단측 (커넥터본체 (2) 에 접근하는 방향), 즉 커넥터본체 (2) 측에 향하여 탄성지지되며, 커넥터본체 (2) 의 걸림정지부 (23) 에 의해 접속부재 (3) 의 단차부 (33) 가 걸림정지되고, 이에 의해, 밸브체 (5) 의 위치는, 그 제 1 볼록부 (52) 가 접속부재 (3) 의 기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량 돌출하도록 규제 (유지) 된다.
이와 같이, 비접속상태시는, 밸브체 (5) 의 제 1 볼록부 (52) 가 접속구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밸브체 (5) 의 제 1 볼록부 (52) 의 표면을, 예컨대 세정하거나, 또는 닦어낼 수 있어, 이에 의해, 제 1 볼록부 (52) 의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5) 의 슬릿부 (54) 는, 비접속상태시, 즉 무부하상태 (외력을작용시키지 않은 상태) 에서는, 가압부 (51) 의 탄성력으로 그 슬릿부 (54) 가 폐색하도록 탄성지지되며, 이에 의해, 폐색상태가 유지되고, 액밀성 (기밀성) 을 유지하고 있다.
이 경우,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측에서의 압력 (유로 (21) 의 내압) 은, 상기 가압부 (51) 의 탄성력과 동일하게, 슬릿부 (54) 를 폐색시키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슬릿부 (54) 로부터의 유체 (액체, 기체등) 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관체 (6) 를 커넥터 (1) (접속구) 에 접속할 때는, 도 1 에 나타내듯이, 관체 (6) 의 중심축과 커넥터 (1) (개구 (311)) 의 중심축을 일치시키도록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관체 (6) 를 선단측 (도 1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으로 이동시켜, 접속부재 (3) 의 개구 (311) 로부터 그 관체 (6) 를 커넥터 (1) 내 (접속부재 (3) 내) 에 삽입한다. 이 때, 스프링 (41)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접속부재 (3) 를 커넥터본체 (2) 로부터 이간하는 방향 (기단측) 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2 에 나타내듯이, 스프링 (41) 이 신장함과 동시에, 관체 (6) 의 선단면 (62) 에 의해서 밸브체 (5) 의 피가압부 (51) (제 1 볼록부 (52)) 가 가압되어, 제 1 볼록부 (52) 가 탄성변형하며, 그 돔형상이 점차로 평탄면형상으로 변하고, 또는 뒤집힌다 (피가압부 (51) 의 표면이 오목면으로 된다).
이 피가압부 (51) 의 형상변화에 따라, 그때까지 폐색되고 있던 슬릿부 (54)가, 제 2 볼록부 (53) 측으로부터 점차로 개구하여, 최종적으로는 소정 개방도로 개구하고, 관체 (6) 의 유로 (61) 와,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커넥터의 유로) 가 연이어 통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관체 (6) 가 커넥터 (1) 에 접속된다.
도 2 에 나타내듯이, 관체 (6) 가 커넥터 (1) 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접속상태시) 는,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 밸브체 (5) 와 기밀 (액밀) 하게 밀착한다. 이 경우, 스프링 (41) 이 비접속상태의 때보다 신장하며, 그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 (5) 가 관체 (6) 로 가압되고, 이에 의해, 관체 (6) 와 밸브체 (5) 와의 사이의 시일성 (액밀성, 기밀성) 이 각별히 향상하여, 액누설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상태시는, 관체 (6) 는 그 외경이 접속구인 접속부재 (3) 의 기단부 (31) 의 내경 (개구 (311) 의 직경) 과 일치하는 부위에서 기단부 (31) 에 끼워맞춤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 (1) 로부터 관체 (6) 가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는, 관체 (6) 를 커넥터 (1) 에 접속할 때, 접속부재 (3) 가 커넥터본체 (2) 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에 이동함으로써,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나 선단부 외주면이 밸브체 (5) 를 넘어서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내에 침입하는 일이 없으며 (관체 (6) 가 밸브체 (5) 내로 관통하는 일없이), 밸브체 (5) 를 개구시켜, 관체 (6) 의 유로 (61) 와,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를 연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체 (6) 의 접속의 전후에 있어서 (비접속상태와 접속상태에서),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의 체적 (유로체적) 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즉, 밸브체 (5) 의 개폐에 따라, 유로 (21) 의 체적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관체 (6) 의 선단 (63) 과 밸브체 (5) 를 접촉시킨 상태에서의 관체 (6) 의 접속의 전후에 있어서 (비접속상태와 접속상태에서), 관체 (6) 의 선단 (63) 으로부터 유체유로개구(241) (유로 (21) 의 선단) 까지의 거리 L 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 (1) 를, 예컨대 혈관중에 유치된 카테테르에 접속하여 사용한 경우, 관체 (6) 를 커넥터 (1) 로부터 빼더라도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의 체적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으므로, 카테테르 내에 혈액이 흡입되는 일이 없고, 이에 의해 카테테르 내에 혈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커넥터 (1) 는, 관체 (6) 를 이 커넥터 (1) 에 접속할 때,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나 선단부외주면이 밸브체 (5) 를 넘어서 (관체 (6)) 가 밸브체 (5) 의 슬릿부 (54) 를 관통해서)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내에 침입하는 형태의 것이 아니므로, 슬릿부 (54) 가 과도하게 눌려 확대되어 기밀성 (액밀성) 의 저하를 초래하는 불합리가 생기지 않고, 또한,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나 선단부 외주면에 이물 (먼지, 티끌) 이나 세균 등이 부착되어 있던 경우라도, 그것들이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내에 침입하여, 그 유로 (21) 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관체 (6) 를 커넥터 (1) 로부터 분리할 때는,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관체 (6) 를 기단측으로 이동시켜, 접속부재 (3) 로부터 뺀다.
이에 의해, 밸브체 (5) 에 작용하고 있는 관체 (6) 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밸브체 (5) 는, 그 탄성에 의한 자기복원력에 의해, 순간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고, 전술한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도 1 에 나타내듯이, 밸브체 (5) 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면, 전술하였듯이, 슬릿부 (54) 는, 다시 폐색되어, 기밀성 (액밀성) 을 회복하므로, 관체 (6) 를 커넥터 (1) 로부터 분리한 후에, 예컨대 유체가 기단측으로 역류하였다고 하여도, 그 유체가 커넥터 (1) 의 기단측으로부터 유출하는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부인 제 1 볼록부 (52) 및 제 2 볼록부 (53) 에 슬릿부 (54)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판형상의 부분에 슬릿부 (54) 를 형성한 경우에 비교하여, 슬릿부 (54) 의 폐색시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의 내압의 상승 등에 대하여, 액누설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접속부재 (3) 는 스프링 (41) 의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본체 (2) 측에 향하여 탄성지지되어 있으므로, 관체 (6) 를 접속부재 (3) 로부터 빼내면, 접속부재 (3) 는, 커넥터본체 (2) 에 대하여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접속부재 (3) 의 단차부 (33) 의 내주측에 테이퍼면 (331)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부재 (3) 는 그 테이퍼면 (331) 에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재 (3) 의 단차부 (33) 가 커넥터본체 (2) 의 걸림정지부 (23) 에 맞닿으며, 이에 의해, 접속부재 (3) 가 정지한다 (접속부재 (3) 가 즉시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즉, 전술하였듯이, 커넥터본체 (2) 의 걸림정지부 (23) 에 의해 접속부재 (3) 의 단차부 (33) 가 걸림정지되고, 이에 의해, 접속부재 (3) 는, 커넥터본체 (2) (밸브체 (5)) 에 대하여, 밸브체 (5) 의 제 1 볼록부 (52) 가 접속부재 (3) 의 기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량 돌출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전술한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 커넥터 (1) 에 의하면, 전술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커넥터 (1) 는, 전술하였듯이, 관체 (6) 가 밸브체 (5) 의 슬릿부 (54) 를 관통하여 접속되는 형태의 것이 아니므로, 슬릿부 (54) 가 지나치게 확대되는 일이 없으며, 그 결과, 커넥터 (1) 에 대하여 관체 (6) 의 탈착을 다수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라도, 밸브체 (5) 의 슬릿부 (54) 에 있어서의 시일성은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커넥터 (1) 는, 밸브체 (5) 가 유로 (21) 내를 이동하는 형태의 것이 아니므로, 그 유로 (21) 내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 (관통구멍) 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1) 에서는, 바늘을 사용하는 일없이, 직접 관체 (6) 를 접속하여 사용하므로, 의료종사자의 오자 (誤刺) 등의 문제가 없어, 안전성이 높다.
또한, 커넥터 (1) 에서는, 관체의 탈착조작을 약간의 힘으로 행할 수 있어, 조작성에 우수하다.
또한, 커넥터 (1) 에서는, 접속부재 (3) 가 커넥터본체 (2) 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듯이 구성함으로써, 부품점수를 비교적 적게 할 수 있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시의 수고 및 조립에 요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 (1) 는, 소형화에 유리하고, 예컨대, 수액세트의 튜브내부나, 약액 (藥液) 주입구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다른 실시태양 예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이하의 도에 있어서, 도 1∼3 과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 이하의 태양예에서는, 동일부호로 나타내어지는 공통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주된 상이점을 설명한다.
도 4∼5 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 는, 제 2 실시예의 커넥터 (1) 에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측면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5 는 커넥터 (1) 에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이들의 도에 나타내는 커넥터 (1) 에서는, 밸브체 (5) 의 기체부 (55) 의 기단부 (551) 의 외경은, 선단부 (552) 의 외경보다 작다.
이 기단부 (551) 와 선단부 (552) 의 경계 (경계부) 에는, 후술하는 접속부재 (3) 의 선단부 (32) 를 걸림정지할 수 있는 (선단부 (32) 에 맞닿을 수 있다) 단차부 (55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 (553) 의 외주측에는, 외경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에 향하여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면 (554)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부 (55) 의 선단에는, 링상의 리브 (555) 가 형성되어 있다. 이리브 (555) 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 (556)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재 (3) 의 선단부 (32) 는, 단차부를 구성하며, 이 선단부 (32) 의 내주측에는, 내경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에 향하여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면 (33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부 (32) 와, 상기 밸브체 (5) 의 단차부 (553) 로 접속부재 (3) 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수단이 구성된다.
연결부 (4) 는, 나선형상의 스프링 (탄성수단:41) 과, 이 스프링 (41) 의 선단에 형성된 걸어맞춤고리 (43) 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41) 의 기단은, 상기 접속부재 (3) 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 (41) 의 선단부는, 상기 밸브체 (5) 의 리브 (555) 의 구멍부 (556) 에 삽입되고, 이 상태로 걸어맞춤고리 (43) 가 리브 (555) 에 걸어맞춤하여, 이에 의해 스프링 (41) 의 선단부와 밸브체 (5) 의 리브 (555) 가 연결되어 있다.
즉, 이 연결부 (4) 에 의해, 밸브체 (5) 와 접속부재 (3) 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도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1) 의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재 (3) 와 연결부 (4)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커넥터 (1) 에 의하면,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1) 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는, 접착기술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연결부 (4) 에 의해 용이하게, 밸브체 (5) 와 접속부재 (3) 를 연결시키는 수 있어, 이에 의해 용이하게 커넥터 (1) 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3 실시예를 도 6∼7 에 나타낸다. 도 6 은, 제 3 실시예의 커넥터 (1) 에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 도 7 은, 커넥터 (1) 에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이들의 도에 나타내는 커넥터 (1) 에서는, 밸브체 (5) 의 기체부 (55) 의 기단부 (551) 의 외경은, 선단부 (552) 의 외경보다 작다.
이 기단부 (551) 와 선단부 (552) 의 경계 (경계부) 에는, 접속부재 (3) 의 단차부 (33) 를 걸림정지할 수 있는 (단차부 (33) 에 맞닿을 수 있다) 단차부 (55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 (553) 의 외주측에는, 외경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에 향하여 점차로 감소하는 테이퍼면 (55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 (553) 와, 접속부재 (3) 의 단차부 (33) 로, 접속부재 (3) 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수단이 구성된다.
연결부 (4) 는, 사복형상의 스프링 (탄성수단:44) 과, 이 스프링 (44) 의 선단에 형성된 링형상의 장착부 (45)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 (45) 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링형상의 슬릿 (451) 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44) 은, 무부하상태 (자연길이) 로부터 조금 수축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복원력 (탄성력) 에 의해, 접속부재 (3) 를 커넥터본체 (2) 에 대하여 선단측 (커넥터본체 (2) 에 접근하는 방향), 즉 커넥터본체 (2) 측에 향하여 탄성지지하고 있다.
접속부재 (3) 의 선단에는, 링형상의 플랜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44) 은, 이 접속부재 (3) 의 내부 (내측) 에 위치하며, 그 스프링 (44) 의 기단은, 상기 밸브체 (5) 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접속부재 (3) 의 선단측은, 상기 연결부 (4) 의 장착부 (45) 의 슬릿 (451) 에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리브 (35) 가 장착부 (45) 에 걸어맞춤하여, 이에 의해 스프링 (44) 의 장착부부 (45) 와 접속부재 (3) 의 선단측이 연결되어 있다. 즉, 이 연결부 (4) 에 의해, 밸브체 (5) 와 접속부재 (3) 가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커넥터 (1) 에서도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1) 의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 (5) 와 연결부 (4)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체 (6) 를 이 커넥터 (1) (접속구) 에 접속하면, 도 7 에 나타내듯이, 접속부재 (3) 가 커넥터본체 (2) 로부터 이간하는 방향 (기단측) 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44) 이 수축한다.
이상 설명하였듯이, 이 커넥터 (1) 에 의하면,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1) 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는, 연결부 (4) 의 스프링 (44) 이 접속부재 (3) 의 내부 (내측) 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44) 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로크기구가 없는 관체 (6) 를 커넥터 (1) 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그 접속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4) 의 스프링 (44) 이 접속부재 (3)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접속부재 (3) 의 외주측의 형상을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예컨대, 접속부재 (3) 의 외주측에 손가락에 대응한 곡면주형상 (曲面走狀) 이나 리브 (knurl) 등을 형성하여, 커넥터 (1) 를 파지하기 쉽게 하는 등의 고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는, 접착기술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연결부 (4) 에 의해 용이하게 밸브체 (5) 와 접속부재 (3) 를 연결시키는 수 있고, 이에 의해 용이하게 커넥터 (1) 를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4 실시예를 도 8∼9 에 나타낸다.
도 8 은, 제 4 실시예의 커넥터 (1) 에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 도 9 는 커넥터 (1) 에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또,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1) 와의 공통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주된 상이점을 설명한다.
이들의 도에 나타내는 커넥터 (1) 에서는, 밸브체 (5) 의 기체부 (55) 의 기단부 (551) 의 내경은, 선단부 (552) 의 내경보다 작다.
연결부 (4) 는, 계단형상의 스프링 (탄성수단:46) 과, 이 스프링 (46) 의 선단에 형성된 링형상의 장착부 (45)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 (45) 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링형상의 슬릿 (451) 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46) 은, 무부하상태로부터 그 가동부 (461) 가 약간 절곡된 상태 (수축한 상태) 로 설치되어 있고, 그 복원력 (탄성력) 에 의해, 접속부재 (3) 를 커넥터본체 (2) 에 대하여 선단측 (커넥터본체 (2) 에 접근하는 방향), 즉 커넥터본체 (2) 측에 향하여 탄성지지하고 있다.
이 스프링 (46) 의 가동부 (461) 와, 접속부재 (3) 의 단차부 (33) 로, 접속부재 (3) 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수단이 구성된다.
접속부재 (3) 의 선단에는, 링형상의 플랜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46) 은, 이 접속부재 (3) 의 내부 (내측) 에 위치하고, 그 스프링 (46) 의 기단은, 상기 밸브체 (5) 의 기단부 (551) 의 도중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접속부재 (3) 의 선단측은, 상기 연결부 (4) 의 장착부 (45) 의 슬릿 (451) 에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플랜지 (35) 가 장착부 (45) 에 걸어맞춤하고, 이에 의해 스프링 (46) 의 장착부 (45) 와 접속부재 (3) 의 선단측이 연결되어 있다.
즉, 이 연결부 (4) 에 의해, 밸브체 (5) 와 접속부재 (3) 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도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1) 의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 (5) 와 연결부 (4)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체 (6) 를 이 커넥터 (1) (접속구) 에 접속하면, 도 9 에 나타내듯이, 접속부재 (3) 가 커넥터본체 (2) 로부터 이간하는 방향 (기단측) 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46) 의 가동부 (641) 가 커넥터본체 (2) 측으로 절곡된다.
스프링 (46) 은, 가동초기 (도 8 에 나타내는 상태) 가 가동후기 (도 9 에 나타내는 상태) 에 비교하여, 원래의 상태에 복귀하려고 하는 복원력 (가동부 (461) 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는 복원력) 이 강하다.
이 때문에, 이 커넥터 (1) 에서는, 관체 (6) 가 커넥터 (1) 에 접속되었을 때 (접속상태시) 에는, 비접속상태시에 비교하여, 상기 스프링 (46) 의 복원력이약하게 되며, 그 감촉을 손으로 느낌으로써, 관체 (6) 가 커넥터 (1) 에 접속된 것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는, 나선형상의 스프링과 같이 수축할수록 복원력이 강하게 되고, 또한 신장할수록 복원력이 강하게 되는 탄성지지수단을 사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접속상태시의 스프링 (46) 의 복원력을 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로크기구가 없는 관체 (6) 를 커넥터 (1) 에 접속하는 경우라도, 관체 (6) 가 접속부재 (3) 의 기단부 (31) 에 끼워맞춤으로써 확실하게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하였듯이, 이 커넥터 (1) 에 의하면,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1) 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는, 연결부 (4) 의 스프링 (46) 이 접속부재 (3) 의 내부 (내측) 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46) 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로크기구가 없는 관체 (6) 를 커넥터 (1) 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그 접속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4) 의 스프링 (46) 이 접속부재 (3)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접속부재 (3) 의 외주측의 형상을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예컨대 접속부재 (3) 의 외주측에 손가락에 대응한 곡면형상이나 리브 (knurl) 등을 형성하여, 커넥터 (1) 를 파지하여 쉽게 하는 등의 고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넥터 (1) 에서는, 접착기술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연결부 (4) 에 의해 용이하게 밸브체 (5) 와 접속부재 (3) 를 연결시키는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용이하게 커넥터 (1) 를 조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커넥터를, 도시의 각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부의 구성은 동일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실시예의 임의의 구성을 적당하게 조합시켜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밸브체 (5) 는 상기 각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밸브체 (5) 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한다. 또 설명의 형편상, 밸브체의 각 단면도의 지면상, 상하방향을「축방향」, 상측을「기단」, 하측을「선단」으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의 커넥터 (1) 의 밸브체 (5) 와의 공통점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주된 상이점을 설명한다.
도 10 은, 밸브체 (5) 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A),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 (도 10B) 이고,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밸브체 (5) 로서, 그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하여 90°회전시켰을 때의 평면도 (도 11A)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 (도 11B), 도 1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밸브체 (5) 로서,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듯이, 이 밸브체 (5) 의 피가압부 (51) 는,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 (기단측의 표면) 에, 만곡요면 (56) 을 가지며, 그 이측의 표면 (선단측의 표면) 에, 만곡철면 (57) 을 갖는다.
만곡요면 (56) 은, 도 10A 및 도 11A 에 나타내는 평면도에 있어서, 슬릿부 (54) 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만곡하고, 슬릿부 (54) 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는만곡하지 않는다.
즉, 만곡요면 (56) 의 형상은, 도 10A 에 나타내는 평면도에 있어서, 축 (중심축) 의 방향이 상하방향의 원통의 내주면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만곡요면 (56) 의 직선형상의 한 쌍의 정부 (頂部:561, 562) 는, 도 10A 및 도 11A 에 나타내는 평면도에 있어서, 슬릿부 (54) 를 통하여 양측으로, 또는 그 슬릿부 (54) 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만곡철면 (57) 의 형상은, 대략 구면 (반구의 표면과 같은 형상) 을 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듯이, 관체 (6) 가 커넥터 (1) 에 접속되면, 관체 (6) 의 선단면 (62) 에 의해서 밸브체 (5) 의 피가압부 (51) 가 가압되고, 슬릿부 (54) 가 소정 개방도로 개구하고, 이 밸브체 (5) 를 통하여, 관체 (6) 의 유로 (61) 와,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가 연이어 통한다.
이 밸브체 (5) 에서는, 전술하였듯이 피가압부 (51) 의 기단측에 만곡요면 (56)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체 (6) 에 의해 피가압부 (51) 가 가압되었을 때에 슬릿부 (54) 가 개구하기 쉽다. 즉, 슬릿부 (54) 가 크게 개구된다.
또, 만곡철면 (57) 의 형상은, 예컨대, 원주의 둘레면 같은 형상이어도 된다.
도 13 은, 밸브체 (5) 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A)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 (도 13B) 이고,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밸브체 (5) 로서,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3B 에 나타내듯이, 이 밸브체 (5) 의 피가압부 (51) 는,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 (기단측의 표면) 에, 만곡요면 (56) 을 갖는다. 그리고, 그 이측의 표면 (선단측의 표면) 은, 평탄 (평면(58)) 하게 되어 있다.
만곡요면 (56) 은, 도 13A 에 나타내는 평면도에 있어서, 슬릿부 (54) 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만곡하고, 슬릿부 (54) 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는 만곡하지 않는다.
즉, 만곡요면 (56) 의 형상은, 도 13A 에 나타내는 평면도에 있어서, 축 (중심축) 의 방향이 상하방향의 원통의 내주면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만곡요면 (56) 의 직선형상의 한 쌍의 정부 (561, 562) 는, 도 13A 에 나타내는 평면도에 있어서, 슬릿부 (54) 를 통하여 양측에, 또한 그 슬릿부 (54) 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4 에 나타내듯이, 관체 (6) 가 커넥터 (1) 에 접속되면, 관체 (6) 의 선단면 (62) 에 의해서 밸브체 (5) 의 피가압부 (51) 가 가압되며, 슬릿부 (54) 가 소정개방도로 개구되어, 이 밸브체 (5) 를 통하여, 관체 (6) 의 유로 (61) 와,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가 연이어 통한다.
도 15 는, 밸브체 (5) 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A)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 (도 15B),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내는 밸브체 (5) 이고, 접속부재 (3) 에 의해 그 밸브체 (5) 의 형상이 규제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A) 및 그 측면의 부분단면도 (도 16B) 이다.
도 15 에 나타내듯이, 이 밸브체 (5) 의 피가압부 (51) 의 중심부에는, 자연상태시에 개구하고 있는 슬릿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부 (54) 는, 피가압부 (51) 를 관통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자연상태」는 밸브체 (5) 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무부하상태를 말한다.
또한, 피가압부 (51)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 (윤곽형상), 즉 피가압부 (51) 를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상에 투영하였을 때의 그 피가압부 (51) 의 외형은, 자연상태 일때는 타원형 (비원형) 을 이루고 있다.
또한, 피가압부 (51) 의 관체 (6) 의 선단면 (62) 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 (기단측의 표면) 및 그 이측의 표면 (선단측의 표면) 은, 각각 평탄 (평면 (59) 및 (58)) 하게 되어 있다.
이 밸브체 (5) 를 구비한 커넥터 (1) 가 조립되어 (밸브체 (5) 가 커넥터 (1) 에 장착되어), 관체 (6) 가 그 커넥터 (1) 에 접속되어 있을 때 (비접속상태시) 는, 밸브체 (5) 는 접속부재 (3) 의 기단부 (31) 에 위치하며 (도 1 참조), 이 기단부 (31) 에 의해 밸브체 (5) 의 형상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도 16 에 나타내듯이, 피가압부 (51) 의 평면시 (平面視) 에서의 외형이 대략 원형 (기단부 (31) 의 내형과 동일한 형상) 이 됨과 동시에, 슬릿부 (54) 가 폐색된다.
그리고, 관체 (6) 가 커넥터 (1) 에 접속되면, 밸브체 (5) 는 접속부재 (3) 의 선단판 (32) 에 위치한다 (도 2 참조). 즉, 상기 기단부 (31) 에 의한 밸브체 (5) 의 형상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도 15 에 나타내듯이, 피가압부 (51) 의 평면시에서의 외형이 원래의 형상, 즉 타원형 (비원형) 에 복귀됨과 동시에, 슬릿부 (54) 가 개구되어, 이 밸브체 (5) 를 통하여 관체 (6) 의 유로 (61) 와 커넥터본체 (2) 의 유로 (21) 가 연이어 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밸브체 (5) 는, 조성이나 특성 (유연성, 굽힘탄성율, 고무경도 등) 이 다른 2종 이상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릿부 (54) 의 슬릿형상은, 한일자형상, 열십자형상 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밖에, 예컨대 L 자형상, H 자형상, ㄷ 자형상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 유체의 유량을 증감할 필요가 있을 때 등은, 슬릿부 (54) 에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또 다른 태양 예로서 제 5 실시예를 도 17∼18 에 나타낸다.
도 17 은, 커넥터 (1) 와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8 은 커넥터 (1) 에 관체 (6) 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태양에서는, 관체 (6) 는, 관체선단부분에 내주에 나선형상의 리브 (루어록나사:251) 가 형성된 루어록 (64) 을 갖는다. 관체선단면 (62) 은, 루어록 (25) 의 단면선단에서 소정길이 돌출하고 있다.
접속시 (도 17), 관체 (6) 는 관체 (6) 의 외주부를 접속부재 (3) 의 개구 (311) 에 끼워맞춤하여 접속할 뿐만 아니라, 관체 (6) 의 루어록 (64) 과 커넥터(1) 의 접속부재 (3:플랜지 (34)) 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도 고정된다.
접속부재 (3) 는, 플랜지 (34) 와 단차부 (33) 에 긴 테이퍼면 (331) 을 갖는다.
밸브체 (5) 는, 그 피가압부 (51) 근방의 측단면도가 대략, 도 10B 와 동일하고, 선단면 (62) 이 만곡요면 (56) 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정부 (561, 562) 를 가지며, 그 이면에 만곡철면 (57) 을 갖는다. 밸브체 (5) 의 기체부 (55) 의 선단에는 리브 (555) 를 갖고, 또 기체부 (55) 의 외주에 볼록형상 걸림정지부 (557) 를 가지며, 그 걸림정지부 (557) 에서 기단측의 측벽에는, 선단부에서의 가압시에 절곡가능한 노치 (558) 를 갖는다.
접속시, 선단부에서의 가압에 의해 노치 (558) 가 절곡됨에 의해, 슬릿 (54) 은, 커넥터본체의 유로 (21) 측의 직경이 좁아지는 쐐기형상개구가 된다.
연결부 (4) 는, 나선형상의 스프링 (탄성수단:41) 과, 커넥터본체 (2) 의 기단으로부터 루어록이 형성되는 선단측까지의 동축 외주에 배치된 통형상 장착부 (47) 로 구성된다. 이 스프링 (41) 의 권수는, 도 1 에 나타내는 스프링보다도 기밀하여도 된다. 장착부 (47) 는, 그 선단측에 형성된 홈 (471) 에서 스프링 (41) 의 일단이 고정되며, 기단측 타단에 형성된 누름 (472) 에 의해 밸브체 (5) 의 리브 (555) 를 커넥터본체 (2) 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밸브체 (5) 는 커넥터본체 (2) 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접속부재 (3) 는, 관체 (6) 와의 접속시, 커넥터본체 (2) 의 몸통부에 따른 장착부 (47) 를 긴 스트로크로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접속은 원활하고 또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관체 (6) 의 비접속시 (도 18) 에는, 밸브체 (5) 는, 접속부재 (3) 의 개구 (311) 에 의한 밸브체 (5) 의 기단측벽의 걸림정지와 함께, 볼록형상 걸림정지부 (557) 의 접속부재 (3) 의 테이퍼면 (331) 에서의 걸림정지에 의해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도 19∼20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9 는, 커넥터 (1) 와 관체 (6) 와의 비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0 은 커넥터 (1) 와 관체 (6) 와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에서, 밸브체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밸브체 (5) 및 연결부 (4) 의 변형태양 예를 나타내며, 도 4 중의 계단형상 스프링 (41) 의 기능을 밸브체 (5) 에 부여한 것이다.
커넥터본체 (2) 는, 기단부 (22) 의 기단측에 외경이 작은 밸브체삽입용 몸통부 (26) 를 가지며, 그 몸통부 (26) 의 기단면에서는, 유로 (21) 가 약간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이 태양에서는, 밸브체 (5) 의 기체부 (55) 는, 커넥터본체 (2) 의 몸통부 (26) 를 포함하는 기단부 (22) 를 피복하는 형상을 가지며, 기체부 (55) 의 선단리브 (555) 로부터 바깥방향에 2중관형상으로 계속되는 날개 (559) 를 갖는다. 날개 (559) 의 선단부 (560) 는, 접속부재 (3) 의 선단부 (32) 와 연결부재 (4) 의 기단 (48) 으로 기체부 (55) 중간부근에 가압고정되어 있다 (비접속시).
밸브체 (5) 의 기체부 외주의 일부는, 링형상누름 (49) 으로 커넥터본체 (2) 에 고정되어 있다.
접속시 (도 20), 관체 (6) 의 루어록 (64) 과 커넥터 (1) 의 접속부재 (3) (플랜지 (34)) 를 걸어맞춤시켜, 관체 (6) 외주부를 접속부재 (3) 의 개구 (311) 에 끼워맞출 때는, 링형상누름 (49) 부근으로부터 기단측으로 밸브체 (5) 의 날개 (559) 는 신장하여 접속부재 (3) 의 이동에 추종한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또 다른 태양예를 나타내며, 복수의 커넥터 (1) 를 병렬로 배치한 예이다. 도 21 에는, 3개의 커넥터를 병렬로 배치한 예로서, 각 커넥터본체 (2) 는, 도 19∼20 에 나타내는 밸브체 (5), 접속부재 (3) 및 연결재 (4) 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 기구의 것을 나타낸다.
접속관 (7) 은, 내부에 유로 (72) 를 가지며, 그 본체측벽 (71) 에 복수의 개구 (73) 를 갖는다. 도 21 에 나타내는 태양예에서는, 커넥터본체 (2) 는, 각 커넥터본체 (2) 의 선단개구 (241) 와, 접속관 (7) 의 각 개구 (73) 를 하나로 하여 구성되고, 접속관 (7) 의 본체측벽 (71) 과 연속하며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관은, 예컨대 다방활전 (多方活栓), 시린지 (shringe), 수액용기나 약액용 그릇, 카테테르, 침 등에 사용되고,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1 개의 카테테르로 복수의 액을 도입할 수가 있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관체의 접속전후에 있어서 유로의 체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에 대하여 관체를 탈착할 때, 유체 (액체나 기체 등) 를 불필요하게 흡입하거나, 배출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를 혈관중에 유치된 카테테르에 접속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관체를 커넥터로부터 빼더라도 카테테르 내에 혈액이 흡입되는 일이 없으며, 이에 의해 카테테르 내에 혈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각종의료기기나 수액용기 (輸液容器), 송액 (送液) 기구 등에 사용되는, 관체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Claims (20)

  1. 내부에 유체통로를 가지며, 양단을 개구한 대략 통형상의 커넥터본체와, 이 커넥터본체의 한편의 개구단에 배치되어, 커넥터본체와 접속하는 관체와의 접속시에는 커넥터본체내의 상기 유체통로를 개구하고, 비접속시에는 개구하기 위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커넥터본체의 상기 밸브체측 외주부 (外周部) 에 커넥터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커넥터본체와 동축으로 배치된 대략 통형상의 접속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관체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관체가 밸브체내를 삽입통과하는 일없이 개구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의 개구에 상기 관체를 끼워맞춤으로써, 관체를 접속하고, 또한 유지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커넥터본체측에 향하여 힘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을 갖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나선형상스프링, 사복형상스프링 또는 계단형상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가 상기 접속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밸브체의 일부가 상기 접속구 부근에 노출하도록 상기 접속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수단을 갖는 커넥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관체로부터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개구하는 슬릿부가 형성된 피가압부을 갖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과, 그 이측 (裏側) 의 표면의 적어도 일방에, 만곡철면 (凸面) 을 갖는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에 만곡요면 (凹面) 을 갖는 커넥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의,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이측의 표면이 평탄한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이측의 표면에 만곡철면을 갖는 커넥터.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의 표면이 평면인 커넥터.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자연상태시에 개구하고 있는 슬릿부가 형성된 피가압부를 가지며, 상기 관체와 커넥터본체와의 비접속시,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체의 형상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슬릿부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를 평면에서 본 외형은, 자연상태 일때는 비원형이고,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체의 형상이 규제됨으로써, 대략 원형으로 되는 커넥터.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관체의 선단면이 접촉하는 측에 제 1 볼록부를 갖는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는 대략 돔형상을 이루고 있는 커넥터.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 1 볼록부의 이측에, 상기 제 1 볼록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볼록부를 갖는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는, 대략 반구형상을 이루고 있는 커넥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의 일단에 배치된 상기 밸브체의 상기 관체와의 접촉면으로부터 타단 개구까지의 사이에서 정해지는 상기 커넥터본체의 유체통로거리가, 상기 관체와 커넥터본체와의 접속전후에 있어서, 밸브체의 개폐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와 커넥터본체와의 접속전후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유체통로의 체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027007757A 1999-12-17 2000-12-18 커넥터 KR100706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983399A JP2001170187A (ja) 1999-12-17 1999-12-17 コネクタ
JPJP-P-1999-00359833 1999-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281A true KR20020072281A (ko) 2002-09-14
KR100706586B1 KR100706586B1 (ko) 2007-04-11

Family

ID=1846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757A KR100706586B1 (ko) 1999-12-17 2000-12-18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11139B2 (ko)
EP (1) EP1243285B1 (ko)
JP (1) JP2001170187A (ko)
KR (1) KR100706586B1 (ko)
CN (1) CN1217716C (ko)
AT (1) ATE292991T1 (ko)
AU (1) AU779515B2 (ko)
DE (1) DE60019459T2 (ko)
WO (1) WO20010438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83B1 (ko) * 2008-09-24 2011-06-07 이종식 무대 조명기기의 여닫이 회전시스템
KR101144104B1 (ko) * 2011-05-30 2012-05-25 주식회사 경신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
KR20200106267A (ko)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약물 주입용 안전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9864B2 (en) 1996-11-18 2010-09-07 Nypro Inc. Luer-activated valve
US20080154214A1 (en) * 2006-12-22 2008-06-26 Medrad, Inc. Flow Based Pressure Isolation and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Flow Based Pressure Isolation
US7753892B2 (en) * 2001-11-13 2010-07-13 Nypro Inc. Anti-drawback medical valve
US7837658B2 (en) 2001-11-13 2010-11-23 Nypro Inc. Anti-drawback medical valve
JP4116785B2 (ja) * 2001-11-14 2008-07-09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
ITMI20020819A1 (it) 2002-04-18 2003-10-20 Gambro Lundia Ab Elemento di connessione e dispositivo di collegamento per tubazioni ad uso medicale
JP4000125B2 (ja) * 2002-08-06 2007-10-31 フカイ工業株式会社 注射器接続ポート
US8377039B2 (en) 2002-10-04 2013-02-19 Nxstage Medical, Inc. Injection site for male luer or other tubular connector
GB0225075D0 (en) * 2002-10-29 2002-12-04 Smiths Group Plc Valves
JP2004195016A (ja) * 2002-12-19 2004-07-15 Top:Kk 継ぎ手装置
US7125396B2 (en) * 2002-12-30 2006-10-24 Cardinal Health 303, Inc. Safety catheter system and method
EP1584346B1 (en) 2003-01-09 2011-03-16 Fukai Kogyo Kabushiki Kaisha Semispherical valve for a medical device
EP1468704B1 (en) * 2003-04-11 2007-02-28 JSR Corporation Medical member mainly comprising syndiotactic 1,2-polybutadiene
JP4060247B2 (ja) * 2003-07-14 2008-03-1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剤容器用の口部材
US7914502B2 (en) 2003-07-31 2011-03-29 Nypro Inc. Anti-drawback medical valve
JP4728810B2 (ja) * 2003-11-04 2011-07-20 テルモ株式会社 接続具
AU2004285366B2 (en) * 2003-11-04 2009-08-27 Terumo Kabushiki Kaisha Connector
WO2006067660A1 (en) * 2004-12-21 2006-06-29 Universal Technology Corporation Ltd Valve
JPWO2006068211A1 (ja) * 2004-12-22 2008-06-12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チューブ組立体、輸液チューブセットおよび医療用容器
US7887519B2 (en) 2005-01-14 2011-02-15 Nypro Inc. Valve with internal lifter
KR100721702B1 (ko) * 2005-11-22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US7815168B2 (en) 2006-04-11 2010-10-19 Nypro Inc. Medical valve with rotating member and method
AU2007286053B2 (en) 2006-08-11 2012-11-15 Nypro Inc. Medical valve with expandable member
US8221363B2 (en) 2006-10-18 2012-07-17 Baxter Healthcare S.A. Luer activated device with valve element under tension
US7981090B2 (en) 2006-10-18 2011-07-19 Baxter International Inc. Luer activated device
US7753338B2 (en) 2006-10-23 2010-07-13 Baxter International Inc. Luer activated device with minimal fluid displacement
US20080132833A1 (en) * 2006-11-06 2008-06-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scular access devices including a tear-resistant septum
US20080172006A1 (en) * 2007-01-15 2008-07-17 Medrad, Inc. Patency Check Compatible Check Valve And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The Patency Check Compatible Check Valve
JP5183238B2 (ja) * 2008-02-15 2013-04-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ルアーロック型流体コネクタ、内視鏡、及び雌型流体コネクタ
US8251346B2 (en) * 2008-03-04 2012-08-28 Infusion Innovations, Inc. Devices,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flow
CN102428308B (zh) * 2009-03-22 2014-12-31 爱康医学农业合作协会有限公司 闭合的公鲁尔连接器
WO2010151507A1 (en) 2009-06-22 2010-12-29 Np Medical Inc. Medical valve with improved back-pressure sealing
US7955317B2 (en) 2009-06-30 2011-06-07 Tyco Healthcare Group Lp Female adaptor for feeding line
US8731638B2 (en) 2009-07-20 2014-05-20 Optiscan Biomedical Corporation Adjustable connector and dead space reduction
US8731639B2 (en) 2009-07-20 2014-05-20 Optiscan Biomedical Corporation Adjustable connector, improved fluid flow and reduced clotting risk
US9138572B2 (en) 2010-06-24 2015-09-22 Np Medical Inc. Medical valve with fluid volume alteration
EP2545956A1 (en) * 2011-07-15 2013-01-16 Becton Dickinson France Drug delivery device and adaptor
EP2810685B1 (en) * 2012-01-31 2019-08-28 Terumo Kabushiki Kaisha Connector
CN106029157B (zh) * 2013-12-20 2019-09-17 微仙美国有限公司 输送适配器、注射器与导管的适配方法和栓塞剂输送系统
ES2753145T3 (es) * 2015-06-10 2020-04-07 Stucchi Spa Racor de unión rápida anti-destornillamiento
US11607489B2 (en) 2017-05-26 2023-03-21 Bayer Healthcare Llc Injector state logic with hemodynamic monitoring
US20240108874A1 (en) * 2022-09-29 2024-04-04 Carefusion 303, Inc. Fluid connec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8598A (en) * 1971-12-27 1974-01-29 Aro Corp Hose coupler
JPS57184300A (en) 1981-05-08 1982-1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mounting part
JPS58138265A (ja) 1982-02-12 1983-08-17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S5987840U (ja) * 1982-12-07 1984-06-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ルア−ロツクコネクタ−
JPS6045039U (ja) * 1983-09-06 1985-03-29 テルモ株式会社 逆止弁
JPS6186055A (ja) 1984-10-04 1986-05-01 Kawasaki Steel Corp 連鋳タンデイツシユ・フラツクスの添加方法
JPS62197347U (ko) * 1986-06-07 1987-12-15
US4872591A (en) * 1987-11-19 1989-10-10 Konopka Richard O Medication dispenser
US4842591A (en) * 1988-01-21 1989-06-27 Luther Ronald B Connector with one-way septum valve, and assembly
JPH0749059B2 (ja) * 1988-10-14 1995-05-31 株式会社ニッショー 使用時連通具
US5699821A (en) * 1993-10-13 1997-12-23 Paradis; Joseph R. Control of fluid flow
NZ286445A (en) 1995-05-16 1997-12-19 Ivac Corp Needleless luer connector: deformable piston occludes bore
DE19639870C1 (de) * 1996-09-27 1997-12-11 Fresenius Ag Anschlußstück für Kunststoffkanülen und Venenkatheter
US6089541A (en) * 1998-09-10 2000-07-18 Halkey-Roberts Corporation Valve having a valve body and a deformable stem therein
JP2000014797A (ja) * 1998-07-02 2000-01-18 Jms Co Ltd 混注ポート
US6113068A (en) * 1998-10-05 2000-09-05 Rymed Technologies Swabbable needleless injection port system having low reflux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83B1 (ko) * 2008-09-24 2011-06-07 이종식 무대 조명기기의 여닫이 회전시스템
KR101144104B1 (ko) * 2011-05-30 2012-05-25 주식회사 경신 로킹장치를 구비한 고전압 실드 커넥터
KR20200106267A (ko)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약물 주입용 안전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7716C (zh) 2005-09-07
DE60019459D1 (de) 2005-05-19
JP2001170187A (ja) 2001-06-26
KR100706586B1 (ko) 2007-04-11
US6811139B2 (en) 2004-11-02
AU1893801A (en) 2001-06-25
ATE292991T1 (de) 2005-04-15
US20030066980A1 (en) 2003-04-10
EP1243285A4 (en) 2003-03-05
CN1437492A (zh) 2003-08-20
EP1243285B1 (en) 2005-04-13
EP1243285A1 (en) 2002-09-25
WO2001043813A1 (fr) 2001-06-21
AU779515B2 (en) 2005-01-27
DE60019459T2 (de)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586B1 (ko) 커넥터
CN109715246B (zh) 凸连接器、医疗器具及连接方法
AU2002359895B2 (en) Slit-type swabable valve
JP5215632B2 (ja) コネクタのプライミング方法
EP1217284B1 (en) Connector
US7329249B2 (en) Needleless Luer activated medical connector
US6079432A (en) Control of fluid flow by oval shaped valve member containing a cam interface
US5989223A (en) Rotatable medical valve closure
JP4708352B2 (ja) 自動密閉式雄コネクタ
JP2002035140A (ja) コネクタ
US7708027B2 (en) Connector
US20110257606A1 (en) Fluid control device with valve and methods of use
JP4116785B2 (ja) コネクタ
JP2001170188A (ja) コネクタ
JP4524201B2 (ja) コネクタ
EP1148281A1 (en) Rotatable medical valve closure
WO2019130891A1 (ja) 医療用コネクタ
US10716929B2 (en) Connector and medical device set
JP6709777B2 (ja) オスコネクタ及び輸液セット
EP1683533B1 (en) Connector
JP4086458B2 (ja) 弁体
US20230372691A1 (en) Conversion adapter, connector set, and assembly
US20220409864A1 (en) Indwelling catheter, medical valve, and catheter assembly
IL282356A (en) Devices for use in drug administr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