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493A - 체외 진단약 - Google Patents

체외 진단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493A
KR20020070493A KR1020027009343A KR20027009343A KR20020070493A KR 20020070493 A KR20020070493 A KR 20020070493A KR 1020027009343 A KR1020027009343 A KR 1020027009343A KR 20027009343 A KR20027009343 A KR 20027009343A KR 20020070493 A KR20020070493 A KR 20020070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vitro diagnostic
antibody
compound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타와키후미히사
나다오카마사타카
다카하시미에
다나카히로타카
나카야마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외 진단약으로서, 당해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과 친수성 재료(당 또는 당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진단약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외 진단약으로서, 당해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외 진단약{Extrasomatic diagnostics}
최근에 임상 검사에서 각종 검사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검사법의 하나로 드라이 케미스트리에 의한 검사법이 있다. 드라이 케미스트리란 필름 또는 시험지와 같은 고상(固相) 매트릭스에 건조 상태로 지지된 시약에 대하여 액체 상태의 피검 시료를 점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료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드라이 케미스트리에 사용되는 체외 진단약의 방식으로서는 여과지에 시약을 지지시킨 단층식 및 전개층, 반응층, 시약층 등을 층 위에 적층시킨 다층식 등을 들 수 있다. 드라이 케미스트리에 의한 검사법의 특징으로서는 시약이 이미 고상 매트릭스 위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시약의 조제가 불필요하며 공간 절약형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피검 시료량이 소량이더라도 충분하다는 특징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드라이 케미스트리에 의한 검사법으로서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이 있다.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이란 항원항체 반응 및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는 검사법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체외 진단약으로서는 막 필터 등의 담체 위에 고정화된 항체(또는 항원) 및 검출 시약에 감작(感作)된 항체(또는 항원)가 각각 건조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검사할 때에는 상기 체외 진단약 위에 항원(또는 항체)을 포함하는 피검 시료를 첨가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개시켜 반응 부위에서 샌드위치형의 항원항체 반응을 생성시킨 다음, 반응 부위를 발색시킴으로써 피검 시료 중의 항원(또는 항체)의 동정, 존재의 유무, 또는 항원(또는 항체)량을 측정한다. 항원항체 반응의 형태로서는 샌드위치형 반응 이외에 경합형 반응을 이용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도 있지만, 장치 구조 및 검사 방법은 동일하다. 이러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의 원리를 이용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는 임신 검사약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이 주로 반응 부위에서 발색 유무에 따라 양성 또는 음성을 판정하는 정성 판정에 이용되고 있다.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는 검사법의 이점으로서는 상기에 기재된 드라이 케미스트리로서의 이점에 추가하여 조작의 간편성, 신속한 판정 및 낮은 가격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는 검사법은 임상 검사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근에 착안중인 포인트 오브 케어(이하, POC라고 약칭한다)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POC의 개념에 근거하는 의료 진단 현장에서는 시약의 취급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성 판정에 사용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는 실온에서 보존할 수 있고 취급시 장치에 지지되어 있는 항원, 고정화 항체, 표지 항체 등의 시약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 또는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취급하기 쉬운 장치이다.
또한, 최근에 이러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은 반응 부위의 발색 농도에 의한 측정으로 반정량 또는 정량 판정에도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반정량 또는 정량의 수단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반사 흡광법에 의해 반응 부위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정량 판정에 의해 정성 판정으로서는 판명되지 않는 각종 의학적 사항이 분명하게 되는 점에서 정량 판정의 유용성이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발색 유무에 의한 정성 판정과는 달리, 반정량 또는 정량 측정에서는 발색 유무 뿐만 아니라 발색 농도도 문제가 된다는 점에서 보다 높은 보존 안정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정량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서는 제조 직후에는 고정밀도의 정량 판정을 할 수 있지만, 장시간 보존시에는 고정밀도의 정량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결점이 있다. 고정밀도의 정량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료의 담체로의 전개 및 표지 항체의 용출이 경시적으로 균일할 필요가 있다.
장치의 안정성 유지의 구체적인 방책으로서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중요한 요소인 고정화 항체의 친화성의 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184971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안정화제로서 혈청 알부민(이하, BSA라 약칭한다) 및 덱스트린을 포함시키는 방책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당해 방법에서는 정량 측정시 보존 안정성은 불충분하다.
또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이외의 드라이 케미스트리에 의한 체외 진단약에 관해서도 고정밀도 정량 장치는 존재하지만 실온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나쁘며 POC에서 이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정량 측정에서도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갖는 체외 진단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외 진단약으로서, 당해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과 친수성 재료(예: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진단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을 제공한다:
(1)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외 진단약으로서,
당해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2) (1)에 있어서, 시약이 항체,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인 체외 진단약.
(3) (1)에 있어서, 화합물이 당 또는 당 유도체인 체외 진단약.
(4) (1)에 있어서, 소 혈청 알부민, 카제인, 계면활성제 또는 탈지유를 추가로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5) (1)에 있어서, 화합물이 당 알콜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6) (1)에 있어서, 화합물이 수크로스 또는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7) (1)에 있어서, 화합물이 수크로스 및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8) (1)에 있어서, 화합물이 약 3w/v% 이상의 농도로 존재하는 체외 진단약.
(9) (1)에 있어서, 화합물이 약 3 내지 약 10w/v%의 농도로 존재하는 체외 진단약.
(10) (1)에 있어서, 시약이 둘 이상 존재하며 당해 둘 이상의 시약이 제1 항체,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제2 항체,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체외 진단약.
(11) (1)에 있어서, 시약이 콜로이드 입자, 라텍스 입자, 색소, 미셀, 효소,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에 의해 표지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
(12) (1)에 있어서, 시약 및 화합물이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
(13) (12)에 있어서, 시약 및 화합물 지지체에서 별개의 영역에 지지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
(14) (12)에 있어서, 지지체가 고상 매트릭스인 체외 진단약.
(15) (12)에 있어서, 지지체가 다공성 재료를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l6) (12)에 있어서, 지지체가 표지 영역, 판정 영역 및 시료 도입 영역을 갖고,
표지 영역은 피검 물질에 결합하는 제1 항체 또는 항원을 함유하며,
판정 영역은 피검 물질에 결합하는 제2 항체 또는 항원을 함유하며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시료 도입 영역은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
(17) (16)에 있어서, 화합물이 표지 영역 및 판정 영역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역에 함유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
(18) (16)에 있어서, 화합물이 표지 영역에 함유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
(19)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외 진단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당해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을 제공하는 공정(1)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공정(2)을 포함하는 방법.
(20)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체외 진단약을 제공하는 공정(A)[여기서, 체외 진단약은
당해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체외 진단약에 검체를 제공하는 공정(B);
체외 진단약을 검체와 시약이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조건하에 배치하는 공정(C) 및
검체와 시약과의 특이적 반응에 기인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D)을 포함하는 방법.
(21)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의,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
본 발명은 드라이 케미스트리(dry chemistry)에 의한 검사법에 사용되는 체외 진단약 및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 보존 후에도 일정 이상의 정밀도가 유지되는 체외 진단약 및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4℃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4℃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비교예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40℃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40℃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4℃, 1개월 보존시, 각종 수크로스 농도에 의한 정색(呈色) 강도 열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감도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3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정밀도(CV 값)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의 정밀도(CV 값)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실시예(도 9)에 관해서, 14일째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한 열화 비율을 나타낸 안정도 지수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비교예(도 11)에 관해서, 14일째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한 열화 비율을 나타낸 안정도 지수로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시료 도입 영역
11: 표지 영역
12: 판정 영역
13: 기판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단수형의 관사(예: 영어의 경우는 「a」, 「an」, 「the」 등, 독일어의 경우의 「ein」, 「der」, 「das」, 「die」 등 및 이의 변화형, 불어의 경우의 「un」, 「une」, 「des」, 「le」, 기타의 언어에서 대응하는 관사, 형용사 등)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이의 복수형의 개념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 사용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외 진단약을 제공한다. 이 체외 진단약은
당해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 및
친수성 재료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체외 진단약」이란 피험체의 신체의 외부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한 생물학적 파라미터에 관해서 모니터할 수 있는 물질(product)을 말한다. 체외 진단약은 상황에 따라서 어떠한 형태라도 채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일 수도 있고 장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친수성 재료」란 물 분자와의 친화성이 강한 원자단을 포함하는 재료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친수성 재료는 단백질의 입체 구조를 파괴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친수성 재료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라이신, 알기닌,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아미노산의 측쇄, 핵산의 인산기, 세린, 트레오닌의 아미노산 측쇄, 당 또는 당 유도체의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외 진단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체외 진단약은
당해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친수성 재료는 당 또는 당 유도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당이란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데하이드 또는 폴리하이드록시케톤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당은 또한 탄수화물이라고도 하며, 양자는 호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에 사용하는 당은 액체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및 프럭토스 등의 단당류 및 말토스, 이소말토스, 셀로비오스, 락토스 및 수크로스 등의 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또한, 단당류 또는 올리고당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다당류이라도 좋다. 당에는 입체 이성체가 존재하며, 모든 입체 이성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 수크로스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당 유도체란 당의 치환기를 별도의 치환기로 치환한 것 및 당의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당의 개질체를 말한다. 여기서 치환기로서는 알킬, 치환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사이클로알케닐, 치환된 사이클로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탄소환기, 치환된 탄소환기, 헤테로환기, 치환된 헤테로환기, 할로겐, 하이드록시, 치환된 하이드록시, 티올, 치환된 티올,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카복시, 치환된 카복시, 아실, 치환된 아실, 티오카복시, 치환된 티오카복시, 아미드, 치환된 아미드, 치환된 카보닐, 치환된 티오카보닐, 치환된 설포닐 및 치환된 설피닐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에 사용하는 당 유도체는 액체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단당류, 올리고당 또는 다당류로 개질시킨 단백질, 지질 또는 핵산 등의 생체 성분, 당 알콜, 이노시톨, 우론산, 아스코르브산, 아미노당, 당 인산 에스테르 및 천연 당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는 당 알콜이 바람직하다.
당 또는 당 유도체는 흡습성을 가지며 건조성도 적고 온도 변화에 대하여 수분 보유량을 유지하는 것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하여, 체외 진단약 중의 습도가 적절히 유지되는 점에서, 고정밀도의 정량 측정에 대해서도 보존 안정성을 갖는 체외 진단약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에 사용할 수 있는 당 알콜은 알도스 또는 케토스의 카보닐기의 환원에 의해 얻어지는 쇄형의 다가 알콜 또는 이들의 입체 이성체이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자일리톨, 알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둘시톨 및 탈리톨, 또는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자일리톨, 알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둘시톨 및 탈리톨의 입체 이성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쇄형의 다가 알콜 또는 이들의 입체 이성체 중, 2개 이상을 화학적 결합시킨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자일리톨, 알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둘시톨 또는 탈리톨, 또는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자일리톨, 알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둘시톨 또는 탈리톨의 입체 이성체인 D체 및 L체 중, 2개 이상을 화학적 결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쇄형의 다가 알콜 또는 이들의 입체 이성체, 예를 들면,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자일리톨, 알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둘시톨 또는 탈리톨, 또는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자일리톨, 알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둘시톨 또는 탈리톨의 입체 이성체와, 천연에 존재하는 당 또는 천연에는 존재하지 않고 인공적으로 합성된 당, 또는 천연에 존재하는 당 또는 천연에는 존재하지 않고 인공적으로 합성된 당의 입체 이성체를, 알콜기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결합시킨 것이라도 좋다. 이중에서는 당 알콜이 소르비톨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는 당알콜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는 수크로스 또는 소르비톨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재료가 수크로스 및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재료는 약 1w/v% 초과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는 약 3w/v% 이상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는 약 3 내지 약 10w/v%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재료의 함유 농도는 이들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하한으로서 약 1w/v%, 약 1.5w/v%, 약 2w/v%, 약 2.5w/v%, 약 3w/v%, 약 4w/v%, 약 5w/v%, 약 6w/v%, 약 7w/v%, 약 8w/v%, 약 9w/v%, 약 10w/v%, 약 15w/v%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재료의 함유 농도의 상한으로서는, 예를 들면, 약 1.5w/v%, 약 2w/v%, 약 2.5w/v%, 약 3w/v%, 약 4w/v%, 약 5w/v%, 약 6w/v%, 약 7w/v%, 약 8w/v%, 약 9w/v%, 약 10w/v%, 약 12.5w/v%, 약 15w/v%, 약 17.5w/v%, 약 20w/v%, 약 30w/v%, 약 40w/v%, 약 50w/v%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는 위에 기재한 하한과 상한과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약은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항체, 항원, 아비딘, 비오틴, 핵산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는 항원 또는 항체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국면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약은 항체,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다. 「특이적으로 반응한다」란 목적하는 물체에 대하여 다른 물체보다도 강한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원」이란 항체를 야기하는 임의의 물질을 말하며 이와 같은 항원으로서는 합텐, 단백질, 세균, 바이러스 및 항바이러스 항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합텐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옥신, 암페타민, 메탐페타민, 에스트라디올 등의 저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단백질로서는 헤모글로빈, 알부민, 헤모글로빈 Alc(글리코헤모글로빈), HDL(고밀도 리포단백질), LDL(저밀도 리포단백질), HCV 항체(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HIV 항체(사람 면역 부전 바이러스 항체), CEA(암 태아성 항원), AFP(α-페토프로테인), CRP(C 반응성 단백질), SAA(혈청 아미로이드 A), hcG(사람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등을 들 수 있다. 세균으로서는 대장균속, 살모넬라균속, 황색 포도구균속, 장염 비브리오균속에 속하는 세균 등을 들 수 있다. 바이러스로서는 HIV, HBs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체」란 상기 항원에 대하여 야기된 것이 포함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항체는 항체 전체 및 이의 면역원성 유도체 및 단편도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항체의 면역원성 단편이란 면역원성을 갖는 항체의 임의의 단편을 말한다. 항체의 면역원성 단편으로서는, 예를 들면, Fab 또는 F(ab)2' 등의 가변 영역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항체의 면역원성 단편은 면역 반응을 야기할 수 있는 한, 어떠한 단편이라도 좋다.
별도의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은 소 혈청 알부민, 카제인, 계면활성제 또는 탈지유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하나의 국면에서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에 있어서 상기 시약은 둘 이상 존재한다. 이러한 둘 이상의 시약은 제1 항체,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제2 항체,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약은 콜로이드 입자, 라텍스 입자, 색소, 미셀, 효소,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에 의해 표지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약 및 상기 재료는 지지체에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약 및 상기 화합물은 지지체에서 별개의 영역에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고상 매트릭스일 수 있다. 이 매트릭스는 층상(고층(固層) 매트릭스)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시약과 당 또는 당 유도체는 고상 매트릭스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상 매트릭스는 대체로 시료액을 흡수(吸水), 보수 및 전개할 수 있으며 또한 생체 물질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유리 섬유 여과지, 막 필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은 고상 매트릭스로서 시료 도입 영역, 피검 물질인 항원 또는 항체에 결합되는 제1 항체 또는 항원을 함유하는 표지 영역 및 상기 피검 물질인 항원 또는 항체에 결합되는 제2 항체 또는 항원을 함유하는 판정 영역을 갖고, 상기 시료 도입 영역에 도입된 시료액이 상기 표지 영역을 거쳐서 상기 판정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시료 도입 영역, 상기 표지 영역 및 상기 판정 영역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료 도입 영역, 상기 표지 영역 또는 상기 판정 영역에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함유하며 항원·항체의 특이적 결합 반응에 근거하여 시료액 중의 피검 물질인 항원 또는 항체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적어도 시료 도입 영역, 표지 영역 또는 판정 영역 중의 습도가 적당하게 유지되므로 시료액의 담체에 대한 전개가 경시적으로 균일해진다.따라서 고정밀도의 정량 측정에 대해서도 보존 안정성을 갖는 체외 진단약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에서 상기 지지체는 표지 영역, 판정 영역 및 시료 도입 영역을 갖고,
표지 영역은 피검 물질에 결합되는 제1 항체 또는 항원을 포함하며,
판정 영역은 피검 물질에 결합되는 제2 항체 또는 항원을 포함하며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시료 도입 영역은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은 체외 진단 장치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체외 진단약은 조성물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표지 영역에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항체(또는 항원)의 고상 매트릭스에 대한 비특이적인 흡착이 완화되며 제1 항체(또는 항원)의 용출성이 경시적으로 균일해지므로, 보다 보존 안정성이 높은 체외 진단약을 수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제1 항체(또는 항원)는 콜로이드 입자, 라텍스 입자, 색소 또는 미셀에 의해 표지될 수 있으며, 적어도 표지 영역에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료 도입 영역의 재료는 시료액이 적절한 속도로 전개될 수 있으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니트로셀룰로스 및 유리 여과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표지 영역 및 판정 영역의 재료로서는 제1 및 제2 항체(또는 항원)를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시료액이 적절한 속도로 전개될 수 있으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니트로셀룰로스 및 유리 여과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자동 분석 기기로 피검체 물질을 측정할 때에 필요한 체외 진단약이며 큐벳 또는 에펜도르프 튜브 등의 용기의 액상 시약에 미리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함유시켜 건조물로 제조한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여 측정할 때에는 다양한 사용법을 기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동결 건조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완충액 등을 주입 용해시킨 후에 분석 기기의 큐벳으로 이체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용액이 투입된 용기를 직접 분석 기기에 설치함으로써 기기가 자동으로 완충액 등을 주입하고 즉시 측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 시약이 담긴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시약 조제를 할 필요도 없으며 또한 시약이 고체 상태이므로 액체 상태와는 상이하며 취급이 간단하다. 또한, 용기가 1회용이면 세정할 필요도 없으며 또한 간단한 취급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온에서의 보존도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간단한 취급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면역 혈청검사법에서, 예를 들면, 면역 비탁법, 비탁법, 라텍스 응집법, 방사성 면역측정법, 효소 면역측정법, 형광 면역측정법, 화학발광 면역측정법, 미립자 계수 면역측정법 등의 면역 혈청검사법을 이용할 때에 사용되는 체외 진단약으로 큐벳 또는 에펜도르프 튜브 등의 용기에 투입된 항체 또는 항원 용액에 미리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함유시키고 동결 건조물로 하는 것이다. 시약의 취급 및 측정시 상기 자동분석 기기에서의 사용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표지 영역 및 판정 영역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표지 영역에 포함될 수 있지만, 모든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외 진단약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을 제공하는 공정(1)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공정(2)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은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의 용액에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혼합한 다음, 이러한 용액을 자연 건조 또는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시약과 당 또는 당 유도체를 고상 매트릭스에 지지시키는 경우에는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의 용액에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혼합하며 이러한 용액을 고상 매트릭스에 함침 또는 고정화시킨 다음, 자연 건조 또는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함침」이란 용출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가리키며 「고정화」란 용출 불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은 제1 항체(또는 항원)를 함유하는 용액에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혼합하며 이러한 용액을 표지 영역에 함침시키고/시키거나 제2 항체(또는 항원)를 함유하는 용액에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혼합하고 이러한 용액을판정 영역에 고정화시킨 다음, 자연 건조 또는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별도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체외 진단약을 제공하는 공정(A)[여기서, 체외 진단약은
피검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체외 진단약에 검체를 제공하는 공정(B);
체외 진단약을 검체와 시약이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조건하에 배치하는 공정(C) 및
검체와 시약의 특이적 반응에 기인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D)을 포함한다.
별도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의, 검체 중의 피검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단방법 또는 검출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혈액 중에 함유된 성분[예: HbAlc(글리코헤모글로빈), HDL(고밀도 리포단백질), LDL(저밀도 리포단백질), HCV 항체(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HIV 항체(인간 면역 부전 바이러스 항체), CEA(암 태아성 항원), AFP(α-페토프로테인), CRP(C반응성 단백질), SAA(혈청 아미로이드 A)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검출 및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 혈액을 점착시키고 일정 시간 후의 정색 강도를 반사 흡광도로 측정하는 것으로 단백질 농도를 정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일어나는 효과로서는 장기 보존(예: 1개월) 후에 고정밀도로 진단·검출을 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정 기간 후의 정밀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수로서 「안정도 지수」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안정도 지수」란 체외 진단약의 제조 후 14일째의 감도를 기준(0)으로 하여 이후의 감도를 기준과 비교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14일째의 감도가 -10이며 30일째의 감도가 20인 경우에는 안정도 지수는 +30이다. 안정도 지수는 O에 가까우면 양호하다. 한편, 측정 시점마다 변동이 작은 것, 즉 경시 변화가 작은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안정도 지수의 수치는 바람직하게는 ±20 이내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도 지수는 ±10 이내일 수 있다. ±20 이내의 변화이면 장치의 편차의 영향이 크며 단순히 열화에 기인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허용 범위라고 할 수 있다. 별도의 국면에서 본 발명에서는 안정도 지수는 각 측정 시점 간의 차이가 2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점 간의 차이는 10 이내일 수 있다. 보존 안정성 평가시 측정 데이터에 관하여 중시해야 할 것은 다음 측정결과의 예측이다. 보존 안정성 시험에서는 최종 측정 시점 후의 측정 결과를 예측하는 것도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작고 특히 연속적으로 그 정도 변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하나의 농도에서 안정도 지수가 ±20의 범위를 벗어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도 지수의 절대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보이는 경우, 이것은 그 이후의 측정에서 신뢰성이 없는 데이터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농도를 벗어나도 안정도 지수의 절대치가 20을 초과하게 된다고 예상되며 본 명세서에서 비교예에서도 실제 동일한 경향이 관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예를 들면,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1년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장기간의 보존 후에도 고정밀도로 진단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하기에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만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의 범위에 따라서만 한정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시약, 기구 및 시스템은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체외 진단약으로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액 및 피검 물질인 항원으로서 인뇨 및 hCG를 사용하고 표지 영역에 당알콜인 소르비톨을 함유시키고 인뇨 중의 hCG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제조하며 이의 보존 안정성을 평가한다. 도 1에 본 실시예 1에따른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니트로셀룰로스 막의 조제)
제2 항체로서 항 hCG-β 항체를 인산 완충액(pH 7.4)으로 농도 조정을 실시한 후에, 수득된 항 hCG-β 항체 용액을 용액 토출장치에 의해 두께 150μm의 니트로셀룰로스 막(밀리포어사제: 하이 플로우 멤브레인(high flow membrane)) 중앙 영역에 선형으로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판정 영역(12)을 제조한다. 계속해서 니트로셀룰로스 막을 1% 탈지유를 함유하는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이하, Tris로 나타낸다)-HCl 완충액(pH 8.2) 중에 침지시켜 30분 동안 진탕시킨 다음, 별도의 Tris-HCl 완충액(pH 8.2) 중에 침지시켜 10분 동안 진탕시킨다. 이와 같이 수득된 니트로셀룰로스 막을 실온에서 건조시킨다.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G-α 항체액의 조제)
우선, 환류중의 0.01% 염화금산 용액 200ml에 1% 시트르산 용액 4ml를 신속하게 첨가함으로써 금 콜로이드를 제조한다. 이러한 금 콜로이드 용액을 실온에서 냉각시킨 다음, 0.2M 탄산칼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9.0으로 조정한다. 계속해서 제1 항체로서 5mg/ml의 항 hCG-α 항체를 함유하는 PBS 완충 용액 500μl를 가하여 수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10% 소 혈청 알부민(이하, BSA로 나타낸다) 용액(pH 9.0)을 20ml 가한다. 이와 같이 수득된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G-α 항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액으로부터 미반응 항 hCG-α 항체 및 BSA를 제거하기 위해 2회 원심분리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정제된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C-α 항체를 소르비톨을 10% 함유하는 인산 완충액(pH 7.4)에 현탁시키고 0.8μm 필터[어드밴텍(ADVANTEC)사제: DISMIC-25cs]로 여과하고 4℃에서 저장한다.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제조)
니트로셀룰로스 막 위의 판정 영역(1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중 한 부분에 용액 토출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G-α 항체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니트로셀룰로스 막 위에 표지 영역(11)을 제조한다. 또한, 니트로셀룰로스 막 위의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G-α 항체액을 도포하지 않은 위치를 시료 도입 영역(10)으로 한다.
최후에 두께 0.5mm의 백색 PET로 이루어진 기판(13) 위에 니트로셀룰로스 막을 붙이고 5mm×50mm의 스트립으로 절단하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제조한다.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G-α 항체액을 조제하는 공정에서 소르비톨을 사용하지 않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표지 영역에 소르비톨을 함유하지 않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제조하고 비교예 1로 한다.
(시료액의 조제)
기지(旣知) 농도의 hCG 용액을 인뇨 중에 가함으로써 100U/l, 1000U/l 및 10000U/l의 농도로 조정한다.
(hCG 농도의 정량 측정)
시료액 중의 hCG 농도의 정량 측정은 실시예 1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 관해서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제조 직후와 제조로부터 3일, 14일, 28일 및 62일째, 비교예 1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 관해서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제조 직후와 제조로부터 7일, 14일, 28일 및 62일째로 하며 이 동안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보존 온도는 모두 4℃, 25℃ 및 40℃로 한다.
측정할 때에는 제조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시료 도입 영역(10)에 100U/l, 1000U/l 또는 10000U/l의 hCG액을 40μl 첨가하여 막 위에 전개시킨다. 시료액 중의 hCG 농도의 정량은 판정 영역(12)에서 5분 후의 발색을 반사흡광 분광광도계(시마즈세이사쿠쇼제: CS 9300)를 사용하여 520nm에서 반사 흡광도를 계측함으로써 실시한다.
도 2에 실시예 1에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4℃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에 비교예 1에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4℃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에 실시예 1에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에 비교예 1에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에 실시예 1에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40℃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에 비교예 1에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40℃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도시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7에서 횡축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제조하고 나서 측정을 실시하기까지의 보존 일수, 종축은 제조 직후의 측정에 따라 작성한 hCG 농도-반사 흡광도의 검량선을 기준으로 하여 각 측정에서 반사 흡광도로부터 구한 hCG 농도와 시료액 중의 실제 hCG 농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감도 차이이며, 검은 원은 농도 100U/l의 시료액에 관한 데이터이고, 백색 원은 농도 1000U/l의 시료액에 관한 데이터이고, 삼각형은 농도 10000U/l의 시료액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서는 보존 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감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보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현저해진다. 이에 대해 실시예 1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서는 어떤 보존 온도에서도 제조로부터 14일째까지는 감도 변화를 볼 수 있지만 14일째 이후에는 62일째까지 거의 안정된 감도가 얻어진다. 실시예 1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40℃에서의 보존 안정성 가속시험에서 14일째로부터 약 1개월 동안 보존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실온에서의 보존 안정성으로 환산하면 약 1 내지 1.5년간의 보존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CV 값의 변동에 관해서 정밀도도 보증할 수 있다.
(실시예 2) 수크로스 농도의 최적화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G-α 항체액을 조제하는 공정에서 수크로스가 각각 0, 1, 3, 5, 7, 10%인 조건에서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G-α 항체액에 함유시킨 이외에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제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시료액의 조제)
기지 농도의 hCG 용액을 혈청에 가함으로써 0.01, 0.1, 1mg/dl의 hCG 용액을 조제한다.
(hCG 농도의 정량 측정)
실시예의 각각의 수크로스 농도가 지지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40℃에서 30일 동안 보존하고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제조 직후와 제조로부터 3O일 후의 측정결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최적 수크로스 농도를 결정한다. 실시예 1의 결과(도 2 내지 7)로부터 40℃, 1개월 보존시 감도 열화를 -20% 전후 내에서 억제할 수 있으면 4℃, 25℃에서 1.5년의 보존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다.
측정할 때에는 제조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시료 도입 영역(10)에 0.01, 0.1 및 1mg/dl의 hCG액을 40μl 첨가하여 막 위에 전개시킨다. 시료액 중의 hCG 농도의 정량은 판정 영역(12)에서 5분 후의 발색을 반사 흡광 분광광도계(시마즈세이사쿠쇼: CS 9300)를 사용하여 520nm에서의 반사 흡광도를 계측함으로써 실시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제조 직후의 정색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40℃, 1개월 보존 후의 열화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수크로스 농도 3% 이상의 농도를 함유하는 장치에서는 40℃라는 혹독한 조건에서의 보존에 구애되지 않으며 정색 강도의 열화를 -20% 전후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체가 혈청이므로 다소의 점성이 있으며 이것이 정량 측정의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예상되므로 정색 강도의 열화를 억제하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낮은 당 농도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보존 안정성 시험의 실시
다음에 hCG 측정용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로서 당 농도를 5%로 한 것과 당을 함유시키지 않은 것을 준비하며 실시간 보존 안정성 시험을 실시한다. 이에 관해 실시예 3에 기재한다.
실시예 3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제조는 금 콜로이드 감작 항 hCG-α 항체액을 조정하는 공정에서 수크로스를 5% 함유시킨 것 및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표지 영역에 수크로스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비교예로 하고, 수크로스 5%w/v를 함유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실시예로 한다. 하기에 이의 상세한 설명을 기재한다.
(hCG 농도의 정량 측정)
시료 중의 hCG 농도의 정량 측정은 실시예 3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제조한 직후와 제조로부터 3일, 7일, 14일, 25일, 52일 및 80일 보존 후에 실시하고, 비교예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 관해서는 제조 직후와 제조로부터 3일, 7일, 14일, 26일 및 54일 보존 후에 실시한다. 보존 온도는 25℃로 한다.
측정할 때에는 제조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시료 도입 영역(10)에 0.01, 0.1 및 1mg/dl의 hCG액을 40μl 첨가하여 막 위에 전개시킨다. 시료액 중의 hCG 농도의 정량은 판정 영역(12)에서 5분 후의 발색을 반사 흡광 분광광도계(시마즈세이사쿠쇼: CS 9300)를 사용하여 520nm에서의 반사 흡광도를 계측함으로써 실시한다.
도 9에 실시예 3에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에 실시예 3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의 정밀도(CV 값)를 도시한 도면, 도 11에서 비교예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에서 비교예에서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25℃에서의 보존 안정성의 정밀도(CV 값)를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1에서 횡축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제조하고 나서 측정을 실시하기까지의 보존 일수, 종축은 제조 직후의 정색 강도에 대한 열화 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 및 도 12에서 횡축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제조하고 나서 측정을 실시하기까지의 보존 일수, 종축은 정량 정밀도의 지표가 되는 CV 값을 도시한다. 또한,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실시예 3 및 비교예의 14일째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열화 비율을 나타내는 안정도 지수로 표시된 도면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서는 보존 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감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3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서는 제조로부터 14일째까지는 감도 열화가 나타나지만 14일째 수행에서는 거의 안정적인 감도가 얻어진다. 또한, CV 값에 관해서도 비교예에서는 성능이 악화됨을 알 수 있지만, 실시예 3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서는 ±5% 이내에 있으며 정량 정밀도도 보증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안정도 지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 실시예 3(도 13)에서는 안정도 지수는 ±20 이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3시점(25, 52 및 80일)의 측정결과는 상호간의 감도 변동이 작아 이후의 측정에서도 열화가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도 14)에서는 안정도 지수는 ±20 이내로 유지되어 있는 농도가 많지만 26일 및 54일의 시점의 결과에서 상호간에 최대 70% 정도의 변동(저하)(0.01mg/ml)가 관찰되며 다른 농도에서도 동일한 변동(저하) 경향이 보인다. 따라서 이후의 측정에서 안정도 지수가 바람직하지 않은 범위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체외 진단약이 상당히 장기간에 걸쳐 정밀도가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외 진단약에 당 또는 당 유도체를 함유시킴으로써, 정량 측정을 하는 경우에도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외 진단약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취급하기가 용이하고 임상검사 뿐만 아니라 POC에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1)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약 3 내지 약 10w/v% 농도의 화합물(2)을 함유하며,
    여기에서, 당해 시약 및 화합물은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고,
    당해 지지체는 표지 영역, 판정 영역 및 시료 도입 영역을 가지며,
    A) 표지 영역은 당해 단백질에 결합되는 제1 항체 또는 항원, 및 당해 화합물을 함유하며,
    B) 판정 영역은 당해 단백질에 결합되는 제2 항체 또는 항원을 함유하며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C) 시료 도입 영역은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검체 중의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외 진단약.
  2. 제1항에 있어서, 시약이 항체 또는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인 체외 진단약.
  3.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당 또는 당 유도체인 체외 진단약.
  4. 제1항에 있어서, 소 혈청 알부민, 카제인, 계면활성제 또는 탈지유를 추가로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5.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당 알콜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6.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수크로스 또는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7.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수크로스 및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8. 제1항에 있어서, 시약이 둘 이상 존재하며 당해 둘 이상의 시약이 제1 항체 또는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제2 항체 또는 항원,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체외 진단약.
  9. 제1항에 있어서, 시약이 콜로이드 입자, 라텍스 입자, 색소, 미셀, 효소,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에 의해 표지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
  10. 제1항에 있어서, 시약 및 화합물이 지지체에서 별개의 영역에 지지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
  11.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고상 매트릭스인 체외 진단약.
  1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다공성 재료를 함유하는 체외 진단약.
  13.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을 제공하는 공정(1);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약 3 내지 약 10w/v% 농도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공정(2) 및
    당해 시약 및 화합물을 지지체에 지지시키는 공정(3)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당해 지지체는 표지 영역, 판정 영역 및 시료 도입 영역을 갖고,
    A) 표지 영역은 당해 단백질에 결합되는 제1 항체 또는 항원, 및 당해 화합물을 함유하며,
    B) 판정 영역은 당해 단백질에 결합되는 제2 항체 또는 항원을 함유하며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C) 시료 도입 영역은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검체 중의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한 체외 진단약의 제조방법.
  14. 체외 진단약을 제공하는 공정(A);
    체외 진단약에 검체를 제공하는 공정(B);
    체외 진단약을 검체와 시약이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조건하에 배치하는 공정(C) 및
    검체와 시약의 특이적 반응에 기인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D)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체외 진단약은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1)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약 3 내지 약 10w/v% 농도의 화합물(2)을 함유하고,
    당해 시약 및 화합물은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고,
    당해 지지체는 표지 영역, 판정 영역 및 시료 도입 영역을 갖고,
    A) 표지 영역은 당해 단백질에 결합되는 제1 항체 또는 항원, 및 당해 화합물을 함유하며,
    B) 판정 영역은 당해 단백질에 결합되는 제2 항체 또는 항원을 함유하며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C) 시료 도입 영역은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검체 중의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15.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시약(1) 및
    하나 이상의 수산기 및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약 3 내지 약 10w/v% 농도의 화합물(2)을 함유하고,
    여기에서, 당해 시약 및 화합물은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고,
    당해 지지체는 표지 영역, 판정 영역 및 시료 도입 영역을 가지며,
    A) 표지 영역은 당해 단백질에 결합되는 제1 항체 또는 항원, 및 당해 화합물을 함유하며,
    B) 판정 영역은 단백질에 결합되는 제2 항체 또는 항원을 함유하며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C) 시료 도입 영역은 표지 영역과 서로 유체가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체외 진단약의, 검체 중의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
KR1020027009343A 2000-11-20 2001-11-19 체외 진단약 KR20020070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2210 2000-11-20
JPJP-P-2000-00352210 2000-11-20
PCT/JP2001/010108 WO2002040999A1 (fr) 2000-11-20 2001-11-19 Diagnostics extrasomatiqu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493A true KR20020070493A (ko) 2002-09-09

Family

ID=1882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343A KR20020070493A (ko) 2000-11-20 2001-11-19 체외 진단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30092093A1 (ko)
EP (1) EP1288663A4 (ko)
JP (1) JPWO2002040999A1 (ko)
KR (1) KR20020070493A (ko)
CN (1) CN1187617C (ko)
CA (1) CA2397557C (ko)
WO (1) WO2002040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0014A2 (en) * 2003-08-19 2005-03-03 Atlantic City Coin & Slot Service Company, Inc. Method for awarding prizes
KR101254512B1 (ko) * 2005-01-28 2013-04-19 모치다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 시험구 및 이것을 사용한 반정량방법
US9903864B2 (en) 2009-04-09 2018-02-27 Arkray, Inc. Sample analysis tool, method for producing sample analysis tool, and method for inhibiting decrease in liquid permeability of development member
JP5929752B2 (ja) * 2010-03-12 2016-06-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保存センサ基板,並びに、保存センサ基板および乾燥センサ基板の製造方法
JP6738608B2 (ja) * 2016-01-22 2020-08-12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クロマトグラフ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27489B2 (en) * 1978-03-20 1983-03-10 Abbott Laboratories Sugar coated reagents for solid phase immunoassay
US4844966A (en) * 1982-10-13 1989-07-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ssaying total IgE levels with fluorogenic enzyme labeled antibody
AU4966785A (en) * 1984-10-04 1986-04-17 Preco, Inc. Stabilization of biological substances
GB8500698D0 (en) * 1985-01-11 1985-02-13 Unilever Plc Preparation of reagents
CA1303983C (en) * 1987-03-27 1992-06-23 Robert W. Rosenstein Solid phase assay
AU609332B2 (en) * 1988-11-09 1991-04-26 Biotrack, Inc. Method and composition of stabilizing and solubilizing latex reagents
US5658747A (en) * 1994-05-10 1997-08-19 Biocontrol System,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 of reactivity between diagnostic reagents and microorganisms
GB9419001D0 (en) * 1994-09-21 1994-11-09 Applied Research Systems Assay method
JP3511872B2 (ja) * 1997-11-21 2004-03-29 富士レビオ株式会社 免疫測定用試験片及び該試験片を用いる測定法
JP2000055919A (ja) * 1998-08-03 2000-02-25 Nitto Denko Corp 被検物質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試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8663A4 (en) 2007-11-21
CA2397557C (en) 2006-02-07
US20030092093A1 (en) 2003-05-15
CN1395685A (zh) 2003-02-05
CN1187617C (zh) 2005-02-02
US20070105170A1 (en) 2007-05-10
JPWO2002040999A1 (ja) 2004-03-25
WO2002040999A1 (fr) 2002-05-23
EP1288663A1 (en) 2003-03-05
CA2397557A1 (en)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2451B2 (en) Biosensor
CA2797838C (en) Reagents for reducing leukocyte interference in immunoassays
US8093057B2 (en) System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lyco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ohemoglobin
US8399261B2 (en) Lateral flow assay system and methods for its use
EP2376906B1 (en) Method for amplification of signal in immunochromatographic assay and immunochromatographic kit using the method
JPH0278934A (ja) 液体試料の成分を分析測定するためのテスト担体
KR19990029688A (ko) 면역 크로마토그라피장치
JPH0750114B2 (ja) 免疫分析器具を用いる分析方法
WO2019138898A1 (ja) イムノクロマト試験片および測定キットおよび測定方法
US20020036170A1 (en) Lateral flower plasma separation device
JP2002507725A (ja) イムノアッセイ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200108861A (ko) 측정 시료 희석액, 키트 및 측정 방법
US20070105170A1 (en) Extracorporeal diagnostic
US5266460A (en) Method of preparing immunological analytical element
JP4212189B2 (ja) 乾式分析方法及び乾式分析要素
JP2000258418A (ja) 免疫クロマトグラフィーを用いた測定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検体分析用具
JP2001228151A (ja) 免疫クロマトグラフィー装置
JP4109245B2 (ja) 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WO2020166698A1 (ja) イムノクロマト試験片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方法
JP6841679B2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法
JP2001272405A (ja) 検査キット
KR102526986B1 (ko)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신속 진단 키트
JPH11153601A (ja) 免疫クロマトグラフィー装置
JP2005257468A (ja) バイオセンサ
USH1664H (en) Analytical element for immunoassay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