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341A -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341A
KR20020070341A KR1020027009202A KR20027009202A KR20020070341A KR 20020070341 A KR20020070341 A KR 20020070341A KR 1020027009202 A KR1020027009202 A KR 1020027009202A KR 20027009202 A KR20027009202 A KR 20027009202A KR 20020070341 A KR20020070341 A KR 2002007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ilic
water
urethane resin
treatment agent
hydrophilic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다가즈야
가와구찌모또야
Original Assignee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3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0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 C08G18/0819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 C08G18/0823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containing carboxylate salt groups or groups form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66Polymers of amides or imides from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7/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a stationary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contacted successively by each heat-exchange medium, e.g. using granular particles
    • F28D17/005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a stationary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contacted successively by each heat-exchange medium, e.g. using granular particles using granular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F28F2245/02Coatings; Surface treatments hydrophil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인 친수성 폴리머(a)와, 수용성 우레탄 수지(b)와, 무기 실리카(c)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에 의해 금속재료 표면에 친수성과 내식성을 부여한다.

Description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 {HYDROPHILIZING AGENT, HYDROPHILIZING FLUID, AND METHOD OF HYDROPHILIZING}
일반적으로, 금속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함유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열교환기의 대부분은 방열 또는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방열부 및 냉각부의 표면적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잡도록 설계되어 있고, 또한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핀의 간격이 극히 좁아져 있다. 따라서, 증발기를 가동시켰을 때에 대기중의 수분이 핀의 표면에 응축하고, 핀 표면의 친수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핀 사이에서 물방울에 의한 브리지(막힘)가 발생하여 통기저항이 증대됨으로써 열교환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전력의 손실, 소음의 발생 및 공기하류측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비산 등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이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핀의 표면을 친수화 처리하고, 물방울에 의한 브리지의 형성을 막아 물젖음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몇가지 제안되어실시되고 있다.
금속재료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시키는 방법은 크게 무기화합물, 특히 실리카 미립자에 유기 고분자를 부가 또는 첨가한 유기-무기 복합 타입과, 실리카를 함유하지 않고 주로 유기 고분자성분으로 구성되는 유기 타입의 2종류로 분류된다.
전자의 유기-무기 복합 타입을 적용한 열교환기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평7-109355호에,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튜브 및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이 튜브 및 핀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에 형성된 피막이 적어도 그 표면에 실라놀기(-SiOH)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인 알루미늄제 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피막은 초기의 친수성은 우수하지만, 내수용해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친수성의 지속이 어려우며, 또한 취기성이나 핀성형시의 윤활성에도 문제가 남는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60031호에는 수분산성 실리카(A)와,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B)와, 수성 블록화 우레탄 프리폴리머(C)를 함유하는 열교환기용 친수화 처리제와, 이것을 사용하는 친수화 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형성된 피막의 친수지속성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어서, 후자의 유기 타입으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366182호에, 고형분환산으로 (a) 중합도가 50 내지 1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 0.5 내지 6중량부와, (b) 감화(saponification)도가 80% 이상이고 중합도가 100 내지 1000인 폴리비닐알코올 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하고, (a)/[(a)+(b)]가 0.1 내지 0.9의 범위에 있는 친수성 표면처리제, 이것을 사용한 친수성 표면처리욕, 친수성 표면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처리제에 의해 형성된 피막은 내식성, 내수용해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유기 타입에서 친수성, 내식성 및 취기성을 개선한 것으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22552호에 고형분환산으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나트륨염 및/또는 칼륨염 5 내지 25중량부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암모늄염 25 내지 50중량부와,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25 내지 7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성분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아크릴산 5 내지 50중량부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5 내지 50중량부를 함유하는 친수성 표면처리제, 이것을 사용한 친수성 표면처리욕, 알루미늄재의 표면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0.6 내지 9중량부의 지르코늄 화합물(Zr로서)을 함유한 것도 개시되어 있지만, 이 방법으로 형성되는 피막은 친수지속성이 열등하다.
이 같이, 열교환기에 우수한 친수지속성 및 내식성을 부여시키는 친수화 처리제는 지금까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안고 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구리,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등을 소재로 하는 금속재료의 표면에 우수한 친수성과 내식성을 부여할 수 있는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관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인 친수성 폴리머, 수용성 우레탄 수지 및 무기 실리카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재료의 표면에 우수한 친수성과 내식성을 갖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새롭게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는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인 친수성 폴리머(a)와, 수용성 우레탄 수지(b)와, 무기 실리카(c)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친수성 폴리머(a) 중의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중량비가 95:5 내지 20:80인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b)는 분자 중에 블록화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열반응형 지방족 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 실리카(c)는 입자경 1 내지 200㎚의 수분산 응집 콜로이드성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100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10 내지 1000중량부, 무기 실리카(c)가 10 내지 1000중량부의 중량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액은 상기 친수화 처리제를 1 내지 100g/L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방법은상기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을 금속재료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이것을 건조시켜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의 필수성분인 친수성 폴리머(a)는 친수지속성을 부여하는 작용 및 이취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 친수성 폴리머(a)에 있어서,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공중합되어 있는 중합성 단량체로는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유기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이타콘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크로톤산,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염 등을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염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산 및/또는 그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이 내수용해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이 같은 화합물로는 예컨대 아크릴산, 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칼륨, 아크릴산암모늄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인 친수성 폴리머(a) 중의,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비는 95:5 내지 2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30: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50:50이다. 중합성 단량체가 이 중량비로 95:5 미만이면 형성된 친수화 피막의 내수용해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20:80을 초과하면 친수지속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의 필수성분인 수용성 우레탄 수지(b)는 형성된 친수화 피막에 있어서 무기 실리카(c)를 고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이 수용성 우레탄 수지(b)는 친수화 피막에 있어서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실리카 미립자의 비산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친수성, 내식성, 취기성 등을 장기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우레탄 수지의 특징인 소프트하며 신축성이 풍부한 탄성이 있는 친수화 피막을 얻을 수 있고, 내마모성, 굴곡성, 내수용해성, 내약품성, 내한내열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에 방균제 및/또는 곰팡이 방지제를 첨가하더라도, 피막의 용출이 적기 때문에 방균제 및/또는 곰팡이 방지제의 조기용출이 억제되고, 방균 및 곰팡이 방지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b)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주원료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실기를 반응시킴으로써 분자 중에 우레탄결합을 갖는 수용성 화합물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분자량은 일반작으로 1만 내지 500만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만 내지 300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만 내지 200만이다. 콜로이드 분산, 에멀션 등의 액상태나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등의 이온성에 대해서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대표예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린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의 대표예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폴리실록산 폴리올,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폴리올레핀 폴리올, 아크릴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우레탄 수지(b)는 각종 우레탄 수지 중에서도 친수지속성의 관점에서,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열반응형의 지방족 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하는 각종 블록제로는 저급 알코올, 페놀, 지방족 메르캅탄, 시안산, 제2급 방향족 아민, 옥심, 활성 메틸렌 화합물, 락탐 및 중아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의 필수성분인 무기 실리카(c)는 그 분자 중에 존재하는 실라놀기(Si-OH)가 수소결합을 통해 물과 작용하기 때문에 수친화성이 매우 높고, 이 무기 실리카(c)를 친수화 피막 중에 혼재시킴으로써, 우수한 친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무기 실리카(c)로는 분자 중에 실라놀기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같은 무기 실리카로는 수분산 응집 콜로이드성 실리카, 수분산 가능한 분말상 퓸드실리카, 및 일반적으로 물유리라고 불리는 알칼리규산염 SiO2/M2O(식중, M은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원자를 의미함)등을 들 수 있지만, 액안정성, 친수성의 관점에서, 이들 중에서도 수분산 응집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입자경은 1 내지 2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범위이다. 이 입자경이 1㎚ 미만이면 형성된 친수화 피막의 친수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200㎚를 초과하면 피막의 강도가 약해져 금속재료와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에는 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방균제 및/또는 곰팡이 방지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럼으로써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 등의 번식으로 인한 부패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방균제 및/또는 곰팡이 방지제로는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을 금속재료의 표면에 부착시킨 후의 건조공정에 있어서, 처리제 또는 처리액의 용매인 물을 제거할 때의 가열에 견딜 수 있는 것, 즉 그 분해점이 약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방균제 및/또는 곰팡이 방지제로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4-티오시아노메틸티오)벤조티아졸,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소듐에틸렌비스(디티오카바메이트), 소듐-2-피리딘티올-1-옥사이드, 징크-2-피리딘티올-1-옥사이드, 2,2'-디티오비스(피리딘-1-옥사이드), 2,4,5,6-테트라클로로이소프타로니트릴, 2-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즈이미다졸,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술포닐)-피리딘, 2-(4-티아졸릴)-벤즈이미다졸, 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술파미드, p-클로로-m-크실레놀, 데히드로아세트산, o-페닐페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1,2-벤즈이소티아졸린바륨, 디요오도메틸-p-톨루엔술폰, 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 10,10'-옥시비스페녹시아르신,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 디올, p-옥시벤조산프로필, p-옥시벤조산부틸, 3-요오드-2-프로필부틸카바메이트, 1,3-디메틸올-5,5'-디메틸히단토인, l 또는 3-모노메틸올 -5,5'-디메틸히단토인, 및 은계 등의 각종 무기계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균제 및/또는 곰팡이 방지제의 첨가량은 성분 (a), (b) 및 (c)의 합계 중량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부이다. 이 첨가량이 0.1중량부 미만에서는 형성된 친수화 피막의 박테리아 저항성이나 곰팡이 저항성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고, 반대로 30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효과는 포화하여 처리제 또는 처리액의 비용이 높아져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피막의 윤활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처리제나 처리액의 금속재료 표면에 대한 부착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첨가해도 된다. 이 목적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 등의 이온성에 관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그것과 병용되는 성분 (a), (b) 및 (c)의 이온성과 상반되는 이온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면 처리제 또는 처리액의 안정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에 첨가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비이온성의 것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옥시에틸렌과 옥시프로필렌의 블록 폴리머(플루로닉),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올레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의 지방족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알킬페놀에테르 등이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산나트륨, 스테아린산나트륨, 올레인산나트륨 등의 지방산염, 도데실황산나트륨 등의 알킬황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알케닐술포숙신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염 등이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스테아릴아민아세테이트 등의 알킬아민염,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4급 암모늄염, 라우릴베타인 등의 알킬베타인, 아민옥시드 등이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염, 알킬디메틸베타인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불소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그것과 병용되는 성분 (a), (b) 및 (c)의 합계중량 100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부이다. 이 첨가량이 0.05중량부 미만에서는 형성된 친수화 피막의 윤활성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고, 반대로 20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막과 금속재료의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친수화 피막의 내수용해성을 더욱 향상시킬 목적으로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에 함유시키는 가교제로는 수용성의 유기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메틸올, 폴리글리시딘, 폴리아지리딜 화합물이나 알데히드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메틸올멜라민, 메틸올요소, 메틸올화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아지리딜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글리옥잘, 푸르푸랄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그것과 병용되는 성분 (a), (b) 및 (c)의 합계중량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5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첨가량이 0.1중량부 미만에서는 가교효과가 부족하고, 반대로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친수화 피막이 너무 단단해져서 취약해지기 쉽고, 가공성이나 금속재료와의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는 상기 친수성 폴리머(a) 100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우레탄 수지(b)를 10 내지 1000중량부, 무기 실리카(c)를 10 내지 1000중량부의 중량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폴리머(a) 100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우레탄 수지(b)를 20 내지 500중량부, 무기 실리카(c)를 50 내지 700중량부이다. 수용성 우레탄 수지(b)의 배합중량비율이 10중량부 미만에서는 형성된 친수화 피막의 내수용해성이 불충분하고, 반대로 1000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막의 친수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무기 실리카(c)의 배합중량비율이 10중량부 미만에서는 형성된 친수화 피막의 친수성이 불충분하고, 반대로 1000중량부를 초과하면 취기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고, 또한 피막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액은 상기 친수화 처리제를 1 내지 100g/L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g/L의 농도범위이다. 이 농도가 1g/L 미만에서는 친수성, 내식성 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피막두께를 확보하기 어렵고, 반대로 100g/L을 초과하면 그 효과가 포화되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의 용매는 물을 주체로 하지만, 건조속도의 조정이나 개선을 위해, 또한 성분의 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 알코올류, 에테르류, 케톤류, 글리콜류 등의 수용성 용매와 병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에는 상기한 것 이외에 녹방지제, 레벨링제, 충전제, 착색제, 거품제거제 등의 1종 이상을 본 발명의 사상이나 피막성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는 그대로 또는 물에 의해 희석된 친수화 처리액으로서 사용되지만, 이 처리액의 농도나 점도는 금속재료 표면으로의 부착방법, 목적으로 하는 피막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을 금속재료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롤코터나 브러시 등을 이용한 도포법, 침지법, 플로코트법, 분무법, 스프레이법 중 어느 것이나 좋다. 또한, 금속재료 표면에 부착시킬 때의 접촉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을 금속재료 표면에 부착시킨 후의 건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열풍건조로 등을 사용하여 5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이다. 이 건조온도가 50℃ 미만에서는 막형성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내식성 및 내수용해성이 열등한 친수화 피막이 형성되고, 반대로 300℃를 초과하면 친수성 및 취기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을 사용하여 건조후에 형성된 친수화 피막의 두께로는 0.05 내지 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이다. 이 피막의 두께가 0.05㎛ 미만에서는 충분한 친수성을 발휘하기 어렵고, 반대로 5㎛를 초과하면 열전도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방법에서는 금속재료의 표면을 탈지세정한 후, 또는 내식성 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화성처리 등의 전처리를 한 후, 친수화 처리제 또는 친수화 처리액을 금속재료 표면에 부착시키고, 이것을 가열건조시켜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화성처리로는 양극 산화 처리, 베마이트 처리, 인산크로메이트 처리, 크롬산크로메이트 처리, 및 각종 비크로메이트 처리(지르코늄계, 티탄계, 바나듐계, 세륨계, 인산아연계, 실란커플링제계, 수지계 등)를 들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들고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의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시험용 재료]
알루미늄합금판(JIS-3004, 치수:70㎜ ×150㎜, 판두께 0.12㎜)을 사용하였다.
[처리조건]
다음의 공정 [1]→[2]→[3]→[4]→[5]→[6]→[7]→[8]의 순서로 처리하여 친수화 처리판을 제작하였다.
[1] 탈지(65℃, 2분, 침지법)
시판중인 알칼리성 탈지제의 수용액(등록상표:파인클리너 315의 3% 수용액, 닛뽕 파카라이징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였다.
[2] 물 세정(상온, 30초, 스프레이법)
[3] 화성처리(40℃, 1분, 침지법)
시판중인 인산크로메이트 화성처리제의 수용액(등록상표:알루크롬 K702SL;4% 및 알루크롬 K702AC;0.3%의 혼합수용액, 모두 닛뽕 파카라이징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알루미늄합금판 위에 인산크로메이트 피막(Cr 부착량으로서 50 내지 60㎎/㎡)을 형성시켰다.
[4] 물 세정(상온, 30초, 스프레이법)
[5] 탈이온수 세정(상온, 30초, 스프레이법)
[6] 물기제거 건조(50℃, 3분, 열풍건조기)
[7] 친수화 처리
전체 비휘발성분의 함유량이 3%로 조정된 친수화 처리액을 바코터 No.10을 사용하여 상기 인산크로메이트 처리판 위에 도포(가열건조후에 있어서의 친수화 피막의 두께로서 0.4 내지 0.5㎛)하였다. 또한, 친수화 처리제는 하기 성분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조정하였다. 친수화 처리액의 조성을 표 1:실시예 1 내지 10 및 표 2:비교예 1 내지 7에 나타낸다.
[8] 가열건조(150℃, 10분, 열풍건조기)
(a) 친수성 폴리머
① NVA/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물=30/70(중량비)
② NVA/아크릴산 공중합물=60/40(중량비)
③ NVA/아크릴산칼륨 공중합물=90/10(중량비)
④ NVA의 단독중합물
⑤ 폴리아크릴산
(주) NVA:N-비닐아세트아미드
(b) 수용성 우레탄 수지
① 폴리에테르계 지방족 우레탄 수지(비이온성,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
② 폴리에테르계 방향족 우레탄 수지(음이온성,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
③ 폴리에스테르계 지방족 우레탄 수지(음이온성,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
④ 폴리에스테르계 지방족 우레탄 수지(음이온성,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지 않음)
(c) 무기 실리카
① 수분산 응집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경:40 내지 100㎚)
② 분말상 퓸드 실리카(기상 실리카, 입자경:0.3㎛)
③ A규산 칼륨(물유리, SiO2/K2O = 3/1(몰비))
(d) 첨가제
(방균제)
① 징크-2-피리딘티올-1-옥사이드
(계면활성제)
②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산요카세이고오교(주) 제조 에레미놀 JS-2:알킬알릴술포숙신산나트륨)
(가교제)
③ 글리옥잘
비교예 1은 친수성 폴리머가 공중합물이 아니라, N-비닐아세트아미드의 단독중합물인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킨 비교예이다.
비교예 2는 N-비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중합된 공중합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친수성 폴리머에 의해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킨 비교예이다.
비교예 3은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킨 비교예이다.
비교예 4는 무기 실리카를 함유하지 않는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킨 비교예이다.
비교예 5는 일본 특허공고공보 평7-109355호의 실시예 9이다.
비교예 6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60031호의 실시예 3이다.
비교예 7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366182호의 실시예 1이다.
[평가방법]
(1) 친수지속성
상기 친수화 처리판을 실온에서 탈이온수 중에 72시간 침지하고, 80℃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친수화 처리판 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FACE 접촉각계(형식:CA-P, 쿄와카이멘카가꾸(주)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친수지속성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대수접촉각)
◎:10°미만
○:10°이상, 20°미만
△:20°이상, 30°미만
×:30°이상
(2) 내수용해성
상기 친수화 처리판을 실온에서 탈이온수중에 72시간 침지하고, 80℃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그리고, 침지전후에 있어서의 친수화 피막의 중량차이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수용해율을 구하였다.
수용해율(%)
= {(초기의 피막중량-침지후의 피막중량)/초기의 피막중량} ×100
내수용해성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수용해율)
◎:10% 미만
○:10% 이상, 30% 미만
△:30% 이상, 50% 미만
×:50% 이상
(3) 내식성
JIS-Z-2371에 준거한 염수분무시험을 240시간 실시하고, 염수분무시험후의 표면처리판의 부식발생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내식성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부식면적율)
◎:10% 미만
○:10% 이상, 30% 미만
△:30% 이상, 50% 미만
×:50% 이상
(4) 이취발생방지성
상기 친수화 처리판을 실온에서 탈이온수중에 72시간 침지하고, 80℃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이 친수화 처리판을 비등시킨 탈이온수의 수증기에 약 1초간 노출시키고 신속하게 그 취기를 맡아 평가하였다. 이취발생방지성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관능취기)
◎:전혀 취기를 느끼지 못함
○:약간 취기를 느낌
△:확실히 취기를 느낌
×:매우 강한 취기를 느낌
평가결과는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표 1 및 표 2 의 평가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실시예 1 내지 10의 친수화 피막은 내구시험조건하에서도 우수한 친수 지속성, 내수용해성, 내식성을 갖고, 이취발생방지성도 양호하였다. 이들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7의 친수화 피막에서는 일부의 성능이 불충분하고, 실용상 요구되는 기능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구리,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등을 소재로 하는 금속재료의 표면, 특히 열교환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 표면에, 우수한 친수성과 내식성을 부여하기 위한 신규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을 금속재료에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친수지속성, 내수용해성, 내식성 및 이취발생방지성 등을 갖는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은 실용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10의 친수화 처리액의 조성, 조건 및 평가결과
친수화 처리액의 조성(성분과 배합중량부) 평가결과
(a)친수성폴리머 (b)우렌탄수지 (c)무기실리카 (d)첨가제 친수지속성 내수용해성 내식성 이취발생방지성
실시예1 100 20 100 ①②③ 10315
실시예2 100 600 900 - -
실시예3 100 400 500 ①② 505
실시예4 ①③ 5050 50 200 ②③ 310
실시예5 100 200 400 5
실시예6 100 200 200 2
실시예7 100 150 50 ②③ 330
실시예8 100 50 20 ②③ 350
실시예9 ②③ 8020 300 ①③ 250250 ①③ 5050
실시예10 100 ①③ 150150 ①② 45010 5
비교예 1 내지 7의 친수화 처리액의 조성, 조건 및 평가결과
친수화 처리액의 조성(성분과 배합중량부) 평가결과
(a)친수성폴리머 (b)우레탄수지 (c)무기실리카 (d)첨가제 친수지속성 내수용해성 내식성 이취발생방지성
비교예1 100 150 50 ②③ 330
비교예2 100 200 200 2
비교예3 100 - - 300 2 ×
비교예4 100 200 - - 2 ×
비교예5 일본특허공고공보 평7-109355호의 실시예 9
비교예6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60031호의 실시예 3
비교예7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366182호의 실시예 1 ×

Claims (28)

  1.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인 친수성 폴리머(a)와, 수용성 우레탄 수지(b)와, 무기 실리카(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화 처리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중의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의 중량비가 95:5 내지 20:80의 범위내인 친수화 처리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분자 중에 블록화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열반응형 지방족 우레탄 수지인 친수화 처리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실리카(c)가 입자경 1 내지 200㎚의 수분산 응집 콜로이드성 실리카인 친수화 처리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10 내지 1000 중량부, 무기 실리카(c)가 10 내지 100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친수화 처리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
  8.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인 친수성 폴리머(a)와, 수용성 우레탄 수지(b)와, 무기 실리카(c)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를 1 내지 100g/L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화 처리액.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중의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의 중량비가 95:5 내지 20:80의 범위내인 친수화 처리액.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분자 중에 블록화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열반응형 지방족 우레탄 수지인 친수화 처리액.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실리카(c)가 입자경 1 내지 200㎚의 수분산 응집 콜로이드성 실리카인 친수화 처리액.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화 처리제가 추가로, 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액.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10 내지 1000 중량부, 무기 실리카(c)가 10 내지 100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친수화 처리액.
  14. 제 13 항에 있어서, 친수화 처리제가 추가로, 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액.
  15.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인 친수성 폴리머(a)와, 수용성 우레탄 수지(b)와, 무기 실리카(c)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를 금속재료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이것을 건조시켜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화 처리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중의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의 중량비가 95:5 내지 20:80의 범위내인 친수화 처리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분자 중에 블록화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열반응형 지방족 우레탄 수지인 친수화 처리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실리카(c)가 입자경 1 내지 200㎚의 수분산 응집 콜로이드성 실리카인 친수화 처리방법.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화 처리제가 추가로, 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방법.
  20.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10 내지 1000 중량부, 무기 실리카(c)가 10 내지 100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친수화 처리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친수화 처리제가 추가로, 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방법.
  22.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물인 친수성 폴리머(a)와, 수용성 우레탄 수지(b)와, 무기 실리카(c)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를 1 내지 100g/L의 농도로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액을 금속재료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이것을 건조시켜 친수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화 처리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중의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COOX기(식중, X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또는 암모늄염을 의미함)의 중량비가 95:5 내지 20:80의 범위내인 친수화 처리방법.
  2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분자 중에 블록화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열반응형 지방족 우레탄 수지인 친수화 처리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실리카(c)가 입자경 1 내지 200㎚의 수분산 응집 콜로이드성 실리카인 친수화 처리방법.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화 처리제가 추가로,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방법.
  27.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우레탄 수지(b)가 10 내지 1000 중량부, 무기 실리카(c)가 10 내지 100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친수화 처리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친수화 처리제가 추가로, 방균ㆍ곰팡이 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방법.
KR1020027009202A 2000-01-17 2001-01-15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 KR20020070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07978 2000-01-17
JP2000007978 2000-01-17
PCT/JP2001/000197 WO2001053428A1 (fr) 2000-01-17 2001-01-15 Agent d'hydrophilisation, fluide d'hydrophilisation et procede d'hydrophilis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341A true KR20020070341A (ko) 2002-09-05

Family

ID=1853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202A KR20020070341A (ko) 2000-01-17 2001-01-15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87143B2 (ko)
EP (1) EP1254941A4 (ko)
KR (1) KR20020070341A (ko)
CN (1) CN1133709C (ko)
AU (1) AU2001225534A1 (ko)
TW (1) TW574353B (ko)
WO (1) WO20010534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698B1 (ko) * 2009-03-03 2014-02-07 하이드로 알루미늄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흡착제가 코팅된 알루미늄 스트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0027A1 (de) * 2002-03-07 2003-09-18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Hydrophile Oberflächen
PL1801262T3 (pl) * 2005-12-22 2009-05-29 Arcelormittal France Obróbka przez karboksylowanie powierzchni metalowych, zastosowanie tego procesu jako tymczasowej ochrony przeciw korozji oraz sposób wytwarzania blachy kształtowanej powleczonej karboksylowaną powłoką konwersyjną
CN101389716A (zh) * 2006-02-23 2009-03-18 纳幕尔杜邦公司 可去除的抗微生物涂料组合物和使用的方法
WO2008065696A1 (fr) * 2006-11-27 2008-06-05 Nihon Parkerizing Co., Ltd. Agent de traitement de surface, matériau métallique traité par lui, et ses nouveaux composés et procédés d'obtention
DE102009003683B4 (de) 2009-03-26 2011-03-24 Hydro Aluminium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chichteten Aluminiumbandes, Aluminiumband und dessen Verwendung
JP5951177B2 (ja) * 2010-09-30 2016-07-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伝熱フィンおよび熱交換器
JP5871194B2 (ja) * 2011-06-03 2016-03-01 旭硝子株式会社 親水化処理剤組成物、親水化方法、親水化樹脂多孔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13543A (ja) * 2011-11-30 2013-06-10 Mitsubishi Alum Co Ltd 熱交換器用フィン材及び熱交換器
US20160040940A1 (en) * 2014-08-06 2016-02-11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KR101868762B1 (ko) 2014-08-08 2018-07-17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 함유 금속 재료용 친수화 처리제
JP6709645B2 (ja) * 2016-03-14 2020-06-17 昭和電工株式会社 アセチルアミノ基含有硬化樹脂及びその硬化物
WO2020139601A1 (en) * 2018-12-26 2020-07-02 Nitto Denko Corporation Superhydrophilic coating composition
JP2021000790A (ja) * 2019-06-24 2021-01-07 株式会社リコー 表面処理用液体組成物、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355B2 (ja) 1986-05-20 1995-11-22 日本パ−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43579B2 (ja) * 1988-03-02 1994-06-08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熱交換器フイン材用親水化処理剤
JP2780250B2 (ja) 1993-05-07 1998-07-30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親水性表面処理剤、親水性表面処理浴及びアルミニウム材の表面処理方法
JP3515814B2 (ja) * 1994-08-24 2004-04-05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熱交換器用親水化処理剤及び親水化処理方法
JPH08291269A (ja) * 1995-02-23 1996-11-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親水化処理用組成物及び親水化処理熱交換器用部材
JPH093439A (ja) 1995-06-16 1997-01-07 Mitsuru Akashi 結露防止材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698B1 (ko) * 2009-03-03 2014-02-07 하이드로 알루미늄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흡착제가 코팅된 알루미늄 스트립
US10287690B2 (en) 2009-03-03 2019-05-14 Hydro Aluminium Deutschland Gmbh Sorbent-coated aluminium st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25534A1 (en) 2001-07-31
CN1395606A (zh) 2003-02-05
EP1254941A1 (en) 2002-11-06
WO2001053428A1 (fr) 2001-07-26
US20030065085A1 (en) 2003-04-03
TW574353B (en) 2004-02-01
US6987143B2 (en) 2006-01-17
EP1254941A4 (en) 2005-02-02
CN1133709C (zh)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0341A (ko)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
JP4102028B2 (ja) 金属材料の親水化処理剤、親水化処理液、親水化処理方法、金属材料および熱交換器
JP4464076B2 (ja) 架橋性微粒子、親水処理剤、親水皮膜被覆方法及び親水皮膜
JP4558875B2 (ja) 熱交換器フィン材用親水化処理組成物
JPH01223188A (ja) 熱交換器フイン材用親水化処理剤
KR20020070342A (ko) 고내식성 친수화 처리제, 친수화 처리액 및 친수화 처리방법
JP2000328038A (ja) 親水化処理用組成物及び親水化処理方法
JPH09316434A (ja) 金属材料の親水性化用水性処理剤および処理方法
JP4464532B2 (ja) 熱交換器フィン材用親水化処理組成物
EP0518699B1 (en) Hydrophilic coating composition
JP5180145B2 (ja) 架橋性微粒子、親水処理剤、親水皮膜被覆方法及び親水皮膜
JPH05302042A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用親水化表面処理剤、及び親水化表面処理方法
JPH09296121A (ja) 金属材料用水性表面親水性化処理剤および表面処理方法
JP2731988B2 (ja) 親水性表面処理剤、親水性表面処理浴、及び親水性表面処理方法
JP2009179811A5 (ko)
JP2006213859A (ja) 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に用いる親水性塗料
JP2000248225A (ja) 親水化処理用組成物及び親水化処理方法
JP2001164175A (ja) 熱交換器フィン材用親水化処理剤
WO2006082906A1 (ja) 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親水性塗料
JP4176026B2 (ja) 防錆剤
JP3890908B2 (ja) 有機親水性塗料組成物及び親水性皮膜を有する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材
JP4558888B2 (ja) 熱交換器フィン材用親水化処理組成物
JPH07278464A (ja) 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熱交換器用表面親水化剤組成物
JP2607615B2 (ja) 熱交換器フィン材用親水化処理組成物及び親水化処理方法
JP4464528B2 (ja) 熱交換器フィン材用親水化処理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