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134A - 평형 전송 종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평형 전송 종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134A
KR20020070134A KR1020020010361A KR20020010361A KR20020070134A KR 20020070134 A KR20020070134 A KR 20020070134A KR 1020020010361 A KR1020020010361 A KR 1020020010361A KR 20020010361 A KR20020010361 A KR 20020010361A KR 20020070134 A KR20020070134 A KR 20020070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dance
common mode
balanced transmission
choke coil
mode ch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1422B1 (ko
Inventor
마키마사히로
이가타유지
하사코사토시
곤도우쥰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32Balance-unbalanc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0Reducing interference caused by unbalance current in a normally balanced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공통 모드 초크 코일,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전단에 마련되는 임피던스 소자 및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후단에 마련되는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 유입되는 공통 모드 전류가, 정격 전류의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의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포화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형 전송 종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신 장치{BALANCED TRANSMISSION TERMINAT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쌍케이블(pair cable)을 이용한 평형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를 억제하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을 갖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평형 전송 종단 장치를 갖는 평형 전송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평형 전송 시스템은 송신 장치(30) 및 수신 장치(31)를 구비한다. 그리고, 송신 장치(30)와 수신 장치(31)는 한 쌍의 도선(36, 37)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평형 전송 선로(32)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수신 장치(31)는 종래의 평형 전송 종단 장치(42) 및 본체 회로(33)를 갖는다. 이 평형 전송 종단 장치(42)는 평형 전송 선로(32)의 종단에 마련되어,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 및 임피던스 소자 R을 갖는다.
이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은 평형 전송 선로(32)에 혼입한 공통 모드 노이즈를 감쇠시킨다. 이 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미분 모드(differential mode)일 경우의 설명도, 도 5(b)는 공통 모드(common mode)일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선(36, 37)에 흐르는 전류 Id가역상이면(미분 모드), 서로 발생하는 자속(38, 39)을 서로 상쇄한다. 이 때문에,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은 전송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선(36, 37)에 흐르는 전류 Ic가 동상이면(공통 모드), 자속(40, 41)이 서로 합쳐지게 된다. 이 때문에,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의 임피던스는 커진다.
이상의 결과,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은 본래 전송하려 하는 미분 모드 전류(차동 신호) Id에 대하여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잡음으로서 혼입하는 공통 모드 전류(공통 모드 노이즈) Ic만을 감쇠시킨다.
그런데,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240652호 공보에도, 관련되는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변압기(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 상당)를 갖는 평형-불평형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속의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이 때문에,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에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 Ic가 흐르면,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의 코어가 포화해 버려,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 Ic에 의해, 선 직경이 가는 코일의 손상을 야기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특히,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이동체에 상기한 바와 같은 평형 전송 시스템을 탑재하는 경우에는,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이동체의 엔진이 큰 공통 모드 노이즈의 발생원으로 되어, 상기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이러한 이동체에서는, 큰 공통 모드 노이즈의 발생원(發生源)인 전파탑이나 고압선 등의 가까운 곳을 통과하는 경우도 많아 상기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포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형 전송 시스템의 블럭도,
도 2(a)는 차동(差動) 전송에 있어서의 동작의 설명도,
도 2(b)는 차동 전송에 있어서의 동작의 설명도,
도 3은 동상(同相) 전송에 있어서의 동작의 설명도,
도 4는 종래의 평형 전송 시스템의 블럭도,
도 5(a)는 차동 전송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설명도,
도 5(b)는 동상 전송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신 장치2 : 수신 장치
3 : 평형 전송 선로4, 5, 6, 7 : 도선
21 : 평형 전송 종단 장치22 : 본체 회로
23 : 공통 모드 초크 코일24 : 접지
R1, R2, R3 : 임피던스 소자
제 1 발명에 관한 평형 전송 종단 장치는 한 쌍의 도선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평형 전송 선로의 종단에 마련되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로서, 한 쌍의 도선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서로를 접속하는 노드가 접지되는 두 개의 제 1 임피던스 소자와,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후단에 마련되어, 평형 전송 선로에 발생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를 감쇠시키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후단에 마련되어, 제 1 임피던스 소자와 함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 제 2 임피던스 소자를 구비하되, 제 1 임피던스 소자는 미분 모드에서의 평형 전송을 유지할 수 있는 임피던스를 갖고, 제 1 및 제 2 임피던스 소자는 평형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의 사이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는 임피던스를 갖고, 공통 모드 초크 코일, 제 1 임피던스 소자 및 제 2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 유입되는 공통 모드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의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평형 전송 선로에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포화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관한 평형 전송 종단 장치에서는, 제 1 발명에 더하여,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각각은 저항 소자이다.
이 구성에 의해,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포화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관한 수신 장치는, 제 1 발명에 관한 평형 전송 종단 장치를 갖는 수신 장치이다.
이 구성에 의해,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의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포화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평형 전송 선로에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이 유효하게 기능하여, 공통 모드 노이즈의 영향을 극력 회피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관한 수신 장치에서는, 제 3 발명에 더하여, 평형 전송 종단 장치가 구비하는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각각은 저항 소자이다.
이 구성에 의해, 공통 모드 노이즈의 영향을 극력 회피할 수 있는 수신 장치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형 전송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평형 전송 시스템은 송신 장치(1) 및 수신 장치(2)를 구비한다. 그리고, 송신 장치(1)와 수신 장치(2)는, 한 쌍의 도선(4, 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평형 전송 선로(3)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수신 장치(2)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21) 및 본체 회로(22)를 갖는다. 이 평형 전송 종단 장치는 평형 전송 선로(3)의 종단에 마련되어, 두 개의 임피던스 소자 R1,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 및 임피던스 소자 R2를 갖는다.
도 1에서는, 임피던스 소자 R1, R2로서, 저항 소자를 이용하고 있다.
다음에 접속 관계를 설명한다. 평형 전송 종단 장치(21)에 있어서, 두 개의 임피던스 소자 R1은 도선(4)과 도선(5)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한쪽의 임피던스 소자 R1과, 다른쪽의 임피던스 소자 R1을 접속하는 노드 N1은 접지(24)에 접속된다. 임피던스 소자 R2는 도선(6)과 도선(7) 사이에 접속된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 중 한쪽 권선의 일단이, 임피던스 소자 R1과 도선(4)을 접속하는 노드 N2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임피던스 소자 R2와 도선(6)을 접속하는 노드 N4에 접속된다. 또한,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 중 다른쪽 코일의 일단이, 임피던스 소자 R1과 도선(5)을 접속하는 노드 N3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임피던스 소자 R2와 도선(7)을 접속하는 노드 N5에 접속된다.
즉,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은 두 개의 임피던스 소자 R1의 후단에 마련되고, 임피던스 소자 R2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후단에 마련된다.
다음에, 각 구성의 기능, 동작을 설명한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구성, 기능, 동작은 도 5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과 마찬가지다. 또한, 수신 장치(2)의 본체 회로(22)는 송신 장치(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평형 전송 종단 장치(21)를 거쳐서 수신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다음에, 미분 모드(차동 전송)에 있어서의 평형 전송을 유지하는 기능을 설명한다.
도선(4)에 접속되는 임피던스 소자 R1의 임피던스와, 도선(5)에 접속되는 임피던스 소자 R1의 임피던스는 실질적으로 같은 값이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미분 모드에 있어서의 평형 전송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미분 모드에 있어서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미분 모드에 있어서, 도 1의 평형 전송 종단 장치(21)와 등가인 회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회로와 등가인 회로도이다.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분 모드에서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임피던스는 거의 0으로 같게 된다.
이 때문에, 미분 모드에서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영향을 거의 받는 일이 없어, 평형 전송 종단 장치(21)는 도 2(a)에 나타내는 회로와 등가가 된다.
그리고, 또한, 도 2(a)의 회로는, 도 2(b)의 회로와 등가이다. 즉, 도 2(a)의 회로는, 도선(4)과 도선(5)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두 개의 임피던스 소자 R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도 2(b)의 회로와 등가이다.
여기서, 임피던스 소자 R1의 임피던스를 「R1」, 임피던스 소자 R2의 임피던스를 「R2」, 임피던스 소자 R3의 임피던스를 「R3」으로 표기하면, 다음 수학식이 성립한다.
즉, R3은 R1과, R2/2의 합성 임피던스이다. 그래서, 평형 전송 선로(3)의 특성 임피던스를 「Zo」이라고 했을 때에, R3이 Zo/2와 실질적으로 같은 값이 되도록, R1과 R2의 값을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어, 미분 모드 전류(차동 신호) Id에서는 정확하게 정합되게 된다. 즉, 종단 장치에서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공통 모드(동상 전송)에 있어서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공통 모드에 있어서, 도 1의 평형 전송 종단 장치(21)와 등가인 회로도이다.
외부에서 혼입된 공통 모드 노이즈에 의한 공통 모드 전류 Ic는 한 쌍의 도선(4, 5)에 동상 전류로서 흐른다. 이 때문에, 도 5(b)의 경우와 같이, 자속이 서로 가해져,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임피던스는 커진다.
따라서, 공통 모드에서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21)는 도 3의 회로와 등가가 된다. 여기서, 「ZC」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을 구성하는 하나의 코일의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형 전송 선로(3)에 발생한 공통 모드 전류 Ic는 R2 및 ZC의 합성 임피던스와, R1에 의하여 분류되어, 전류 Ic1과 전류 Ic2로 된다.
그래서,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에 유입되는 전류 Ic2의 값이,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정격 전류 Ir의 값(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R1, R2, ZC의 값을 설정한다. 이 점을 자세히 설명한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에 유입되는 전류 Ic2는 다음 식으로 표시되어, 전류 Ic2의 값이 정격 전류 Ir의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R1, R2, ZC의 값을 설정한다.
수학식 2를 이용하여, R1, R2, ZC의 값의 설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수학식 2의 「Ic」에는, 평형 전송 선로(3)에 혼입할 수 있는 공통 모드 전류 Ic의 값을 상정하여 대입한다. 이 점에 관하여, 다음의 경우를 일반적으로 언급할 수 있다.
강 전계 하에서는, 수V 내지 수십V의 공통 모드 전압이 유기된다. 그리고,특성 임피던스가 수십Ω 내지 수백Ω인 전송 매체에서는, 수백㎃ 내지 수A의 공통 모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상정하면, 수학식 2의 「Ic」에는, 수백㎃ 내지 수 A라는 값이 대입되게 된다.
수학식 2의「ZC」에는, 사용하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임피던스 ZC를 대입한다.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임피던스 ZC로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에, 어떤 주파수의 전류를 흘렸을 때의 임피던스가 이용된다.
또, 일반적으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은 전송 매체의 특성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송 매체의 특성 임피던스가 수십Ω 내지 수백Ω일 경우에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 전체의 임피던스는 수백Ω 내지 수㏀이라는 것과 같이, 전송 매체의 특성 임피던스보다 큰 값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수학식 2의「ZC」에는, (수백Ω 내지 수㏀)/2라는 값이 대입되게 된다.
그리고, 전류 Ic2의 값이 정격 전류 Ir의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학식 2의「R1」과 「R2」의 값을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에,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정격 전류 Ir를 초과하는 것과 같은 과대한 전류 Ic2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코어가 포화하거나, 코일이 손상되는 것과 같은 과대한 전류 Ic2가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정격 전류 Ir은 그 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면,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이 포화되어,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없게 되는 전류이다.
일반적으로,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정격 전류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제조자가 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말하는 「정격 전류 Ir」은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제조자가 정한 정격 전류와 반드시 일치시키지 않아도 좋다.
그런데, 공통 모드에 있어서, 본체 회로(22)로 출력되는 전압은 ZC과 R2의 분압으로 되고, ZC>> R2이면, 또한, 공통 모드 노이즈의 영향은 억압되게 된다.
한편, 공통 모드 전류 Ic1은 임피던스 소자 R1에 의해서 소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임피던스 소자 R1의 임피던스를 실질적으로 같은 값으로 설정하고, 또한, R1과 R2/2의 합성 임피던스인 R3을 Zo/2와 실질적으로 같은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분 모드에 있어서의 평형 전송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형 전송을 유지할 수 있는 종단 장치로서의 기능을 확보한 후에, 또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 임피던스 소자 R1 및 임피던스 소자 R2의 임피던스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에 유입되는 공통 모드 전류 Ic2가 정격 전류 Ir의 값(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에의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 Ic2의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평형 전송 선로(3)에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포화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평형 전송 선로(3)에 과대한 공통 모드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은 공통 모드 노이즈의 감쇠라는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장치(2)의 본체 회로(22)에의 공통 모드 노이즈의 영향을 극력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임피던스 소자 R1의 각각은 저항 소자이다. 이 구성에 의해, 공통 모드 초크 코일(23)의 포화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21)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다음에, 본 실시예와 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240652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 기술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이 종래 기술은 변압기(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 상당)를 갖는 평형-불평형 변환기이다.
이 종래 기술은 평형 측의 신호선 사이에 마련된 임피던스 소자를 거쳐서, 공통 모드 노이즈를 접지로 흐르게 함으로써, 공통 모드 노이즈의 영향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종래 기술은 변압기를 이용하여 공통 모드 노이즈를 감쇠시키는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이 종래 기술에서는, 변압기로 유입되는 공통 모드 전류를 억제하여, 변압기의 포화를 방지한다고 하는 과제는 애당초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연히, 이 종래 기술에서는, 변압기로 유입되는 공통 모드 전류를억제하기 위한 대책은 전혀 강구하고 있지 않다.
즉, 변압기의 임피던스, 변압기의 전단의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 및 변압기 후단의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를, 어떠한 관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인가에 관한 개시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와 이 종래 기술은 과제, 기능, 효과가 완전히 다르다.
또, 도 1에서는, 임피던스 소자 R1, R2로서, 저항 소자를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캐패시터나 인덕터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한 쌍의 도선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평형 전송 선로의 종단에 마련되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도선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서로를 접속하는 노드가 접지되는 두 개의 제 1 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평형 전송 선로에 발생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를 감쇠시키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과,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와 함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 제 2 임피던스 소자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는 미분 모드에 있어서의 평형 전송을 유지할 수 있는 임피던스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평형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의 사이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는 임피던스를 갖고,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제 2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는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 유입되는 공통 모드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는 실질적으로 같은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평형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Zo」로 하고,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를 「R1」로 하고, 상기 제 2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를 「R2」로 하고,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 중 하나의 코일의 임피던스를 「ZC」로 하고, 상정하는 공통 모드 전류의 값을 「Ic」로 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정격 전류의 값으로 해서, 그 값을 「Ir」로 했을 때,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R1」, 「R2」 및 「ZC」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 각각은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전송종단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각각은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전송 종단 장치.
  5. 청구항 1에 기재한 평형 전송 종단 장치를 갖는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전송 종단 장치에서,
    두 개의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는 실질적으로 같은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형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Zo」로 하고,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를 「R1」로 하고, 상기 제 2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를 「R2」로 하고,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 중 하나의 코일의 임피던스를 「ZC」로 하고, 상정하는 공통 모드 전류의 값을 「Ic」로 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상기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정격 전류의 값으로 해서, 그 값을 「Ir」로 했을 때에,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R1」, 「R2」 및 「ZC」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전송 종단 장치가 구비하는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 각각은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전송 종단 장치가 구비하는 상기 제 1 임피던스 소자 각각은 저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KR1020020010361A 2001-02-28 2002-02-27 평형 전송 종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신 장치 KR100821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54226 2001-02-28
JP2001054226A JP4468602B2 (ja) 2001-02-28 2001-02-28 平衡伝送終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134A true KR20020070134A (ko) 2002-09-05
KR100821422B1 KR100821422B1 (ko) 2008-04-10

Family

ID=1891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361A KR100821422B1 (ko) 2001-02-28 2002-02-27 평형 전송 종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77829B2 (ko)
EP (1) EP1237295B1 (ko)
JP (1) JP4468602B2 (ko)
KR (1) KR100821422B1 (ko)
DE (1) DE6021105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31B1 (ko) * 2004-12-02 2007-02-08 주식회사 로템 전동차의 siv 모니터 카드용 노이즈 억제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4062220A1 (ja) * 2002-12-27 2006-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器
US7430291B2 (en) * 2003-09-03 2008-09-30 Thunder Creative Technologies, Inc. Common mode transmission line termination
JP2005245118A (ja) * 2004-02-26 2005-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ータ回路を備えた電気装置
US7385466B2 (en) 2004-03-30 2008-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fferential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on mode choke coil
US7339443B2 (en) * 2004-12-06 2008-03-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on mode radiation inhibit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US7388449B2 (en) * 2004-12-10 2008-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ation noise suppression circuit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line
US7397322B2 (en) * 2004-12-10 2008-07-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ation noise suppression circuit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line
JP5386055B2 (ja) * 2005-08-30 2014-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特性評価装置および特性評価方法
JP2007274884A (ja) * 2006-02-02 2007-10-18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電力変換装置
US7436203B1 (en) * 2007-04-18 2008-10-1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On-chip transformer arrangement
US20090058559A1 (en) * 2007-08-31 2009-03-05 Pakkala William F Microprocessor common-mode emissions reduction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3604A (en) * 1979-06-04 1981-08-11 Tellabs, Inc. Current source circuits with common mode noise rejection
EP0325379B1 (en) * 1988-01-14 1997-03-19 Kabushiki Kaisha Toshiba Value determining method for line filter and its components
JPH0333424A (ja) 1989-06-29 1991-02-13 Fuji Heavy Ind Ltd 筒内直噴式2サイクルエンジン
US5179362A (en) * 1989-12-15 1993-01-12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line filter
JP3033424B2 (ja) 1994-02-28 2000-04-17 松下電工株式会社 平衡−不平衡変換器
JPH11505677A (ja) * 1994-08-03 1999-05-21 マッジ・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電磁妨害アイソレータ
US6150896A (en) * 1994-12-19 2000-11-21 Bh Electronics, Inc. Coupling device connecting an unbalanced signal line to a balanced signal l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31B1 (ko) * 2004-12-02 2007-02-08 주식회사 로템 전동차의 siv 모니터 카드용 노이즈 억제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45485A1 (en) 2002-10-10
JP4468602B2 (ja) 2010-05-26
KR100821422B1 (ko) 2008-04-10
DE60211052T2 (de) 2006-11-02
EP1237295B1 (en) 2006-05-03
EP1237295A1 (en) 2002-09-04
US6677829B2 (en) 2004-01-13
JP2002261842A (ja) 2002-09-13
DE60211052D1 (de)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6516B2 (en) Power line terminating circuit and method, and power line relay device
US5533054A (en) Multi-level data transmitter
EP0302162B1 (en) Apparatus for matching unbalanced R.F. baseband signals to balanced signals on a twisted two-wire line
US5825259A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solator with common mode choke
US3731234A (en) Combined voice frequency transmission and dc signaling circuit
US4017845A (en) Circuitry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ignals and power
KR100821422B1 (ko) 평형 전송 종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신 장치
US6492880B1 (en) Common mode termination
US5796781A (en) Data receiver having bias restoration
US10763919B1 (en) Galvanic barrier coupler for intrinsically safe power over data line applications
EP3945683A2 (en) Minimizing dc bias voltage difference across ac-blocking capacitors in podl system
JP3103748B2 (ja) 無シールドより線対を介した広帯域ビデオ伝送用回路
US10382216B1 (en) Termination for wire pair carrying DC and differential signals
US4875223A (en) Twisted pair adapter
US4951312A (en) Balanced transmission device
JP3297215B2 (ja) 平衡伝送線路の電磁妨害防止装置
JPH0936817A (ja) 平衡伝送回路
US4275368A (en) EMC-/EMI-filter module
US5222149A (en) Damping terminator for high fidelity audio signals
JP2000353991A (ja) 信号伝送回路
JPH07192926A (ja) Lan用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
JP2005244351A (ja) 信号伝送装置
JPH0420126A (ja) 擬似通信回路網
JPH07297035A (ja) 雑音除去ユニット及びそのユニット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
JP2000286126A (ja) 高周波伝送システムの流合雑音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