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257A - 신규한 아릴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아릴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257A
KR20020069257A KR1020027009225A KR20027009225A KR20020069257A KR 20020069257 A KR20020069257 A KR 20020069257A KR 1020027009225 A KR1020027009225 A KR 1020027009225A KR 20027009225 A KR20027009225 A KR 20027009225A KR 20020069257 A KR20020069257 A KR 20020069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hydroxyphenyl
reaction
aci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겐이치
가와하라시게루
다케모토다다시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5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73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unsaturated acids
    • C07C69/734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4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hydrogenolysis or reduction of carboxylic groups or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2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7/26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07C47/2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2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7/27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07C51/36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by introduction of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only in singly bound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카복실 그룹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에 의해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가 제조된다. 당해 알데히드 유도체는 아스파르탐과의 환원적 알킬화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고감미도 감미료로서 유용한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공업적으로 효율적이게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의 제조 중간체로서 매우 우수하다.
상기 부티르산 유도체는 신규한 화합물이지만, 2-메톡시톨루엔과 3-메틸크로톤산과의 반응으로 수득되는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 유도체 등, 제조 중간체로서 유용한 신규한 화합물도 몇 가지 제공된다.

Description

신규한 아릴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Novel arylpropionaldehyde derivatives and production and use of the same}
최근 들어, 식생활의 고도화에 따라 특히 당분의 섭취 과다로 인한 비만 및 이에 따른 각종 질병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설탕 대신 저칼로리 감미제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감미제로서는 안전성과 감미의 질면에서 우수한 아스파르탐이 존재하지만, 안전성 측면에서 조금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 중 일부에 의해, 안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감미도가 훨씬 높은, 즉 감미당 가격으로 우위성이 있는 감미료로서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가 밝혀졌다.
발명의 과제
상기 감미료로서 중요한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β-O-벤질-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3-(3-메틸-4-벤질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와 NaB(OAc)3H에 의해 환원적으로 알킬화한 후, 보호 그룹인 벤질 그룹을 제거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3-(3-메틸-4-벤질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는 다음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메틸-4-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부터 7단계의 반응으로 합성되어 번잡하고 공업적으로 유리한 반응 기질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위와 같은 상황하에, 상기 아스파르틸디펩티드에스테르 유도체를 공업적으로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고감미도 감미료로서 우수한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공업적으로 효율적이게 제조하는 방법, 특히 이를 위한 제조 중간체 또는 간편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아릴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상세하게는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신규로 합성하는 데 성공하고, 당해 화합물이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의 제조 중간체로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당해 화합물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으로서 바람직한 일례를 다음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밝혀냈다. 당해 방법에 따르면, 2-메톡시톨루엔을 바람직하게는 산의 존재하에 3-메틸크로톤산과 반응시켜(제1 단계) 수득한 부티르산 유도체의 메톡시 그룹을 바람직하게는 산 가수분해에 의해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고(제2 단계), 이렇게 하여 최후에 수득된 카복실산을 알데히드로 변환시키는(제3 단계), 총 3단계의 반응으로 합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에 있어서, 상기 번잡하고 7단계의 공정을 필요로 하는 3-(3-메틸-4-벤질옥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중간체로 하는 방법에 비해, 제조 중간체의 제조와 관련하여 공업적으로 우위성이 있으며, 또한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제조 중간체로서도 공업적으로 우수함을 밝혀내고, 위의 여러 가지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된다.
[1]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카복실 그룹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의 제조방법.
[2] 상기 방법에 있어서,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이,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가)을 실시하거나,
2-메톡시톨루엔과 3-메틸크로톤산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나)을 실시하여 수득되는 방법.
[3] 상기 방법에 있어서, 2-메톡시톨루엔과 3-메틸크론톤산과의 반응이 산의존재하에 실시되는 방법.
[4] 상기 방법에 있어서, 카복실 그룹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이,
카복실산의 반환원에 의해 알데히드로 변환시키는 반응(가) 및
카복실 그룹을 하이드록시메틸 그룹으로 변환시킨 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나) 중의 어느 하나의 반응인 방법.
[5]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와 아스파르탐으로부터 환원적 알킬화 반응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상기 [1]항 내지 [4]항의 방법으로 수득된 3-(3-메틸-4-하이드록실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그대로 [5]항의 방법에서 환원적 알킬화 반응의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면서도 유리하다.
[6] 화학식 1의 신규한 벤젠 유도체.
위의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 그룹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 그룹이고,
R3은 카복실 그룹, 포르밀 그룹 및 하이드록시메틸 그룹 중의 어느 하나이다.
[7] 상기된 신규한 벤젠 유도체 중에서,
(가)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나)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
(다)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
(라)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1-부탄올,
(마)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및
(바)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1-부탄올 중의 어느 하나가 제조 중간체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상기 반응식 2에 따라, 바람직한 일례를 중심으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이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단계의 2-메톡시톨루엔과 3-메틸크로톤산과의 반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무용매라도 가능하지만, 유기 용매 중, 산의 존재하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경우, 유기 용매로서는 반응 기질, 산 및 반응 생성물로서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사용되는 경우, 산으로서는 황산, 파라톨루엔설폰산, 염화수소 등의 양성자산, 또는 염화알루미늄, 사염화티탄 등의 루이스산 등,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각각 양성자산 또는 루이스산에 있어서 여러 개의 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화수소와 염화알루미늄을 병용하는 등, 필요에 따라 양성자산과 루이스산을 병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고상상(固相上)에 견지시킨 산을 사용하는 것도 처리 공정이 간편화되므로 바람직한 방법이다.
사용되는 산의 사용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3-메틸크로톤산에 대해서 너무 과잉으로 사용하면 반응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지만, 경제적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메틸크로톤산에 대해서 5당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당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당량 정도이다.
3-메틸크로톤산에 대한 2-메톡시톨루엔의 사용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3-메틸크로톤산에 대해서 0.5당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당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당량 정도이다.
반응 온도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고온이 될수록 부반응이 진행되며, 저온에서는 반응 속도가 극단적으로 느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8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 정도이다.
제1 단계에서 수득된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제2단계의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실시하는 경우,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을, 예를 들면, 산성 수용액 중에서 가열함으로써 용이하게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의 산으로서는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반응 온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80 내지 150℃ 정도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반응에 의해 수득된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제3 단계의 카복실 그룹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에 의해 알데히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것을 직접 반환원함으로써 목적하는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문헌[참조: Chemistry Letters, 1998년 11월 발행, 1143 내지 1144면]에 기재된 방법으로 직접 반환원하여, 목적하는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당해 방법은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을 유기 용매 중, 피발산 무수물, 팔라듐 아세테이트 및 트리페닐포스핀 유도체를 첨가하여 수소로 환원시키는 방법이다.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서는 반응 기질, 촉매 및 생성물에 불활성인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톨루엔 등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피발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량은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에 대해서 등가몰 이상이면 양호하고, 1 내지 5배몰량 정도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사용되는 경우의 트리페닐포스핀 유도체로서는, 트리페닐포스핀 또는 트리트릴포스핀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팔라듐 아세테이트 및 트리페닐포스핀 유도체는 촉매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의사용량으로서는 몇 몰% 정도가 충분하다.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반응 온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고온이 되면 반응이 촉진되어 반응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고온에서 실시하는 편이 유리하다.
한편, 상기 카복실산의 반환원에 의한 알데히드 제조를 대신하여, 다른 방법으로서 카복실 그룹을 하이드록시메틸 그룹으로 완전히 환원시킨 후, 이로부터 부분 산화에 의해 목적하는 상기 알데히드 유도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자체 공지된 환원-부분 산화[참조: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 48, No. 25, 5043-5048, 1983년]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목적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데히드 유도체의 제조에 있어서, 우선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켜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을 제조하고, 이로써 알데히드로 유도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상기 부티르산 유도체의 반환원(포르밀화) 또는 이의 환원(하이드록시메틸화)후에 위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상기 반환원에 의해 또는 상기 환원에 의해 각각 동일하게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또는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1-부탄올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득된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로부터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데 있어 특별히 곤란한 것은 없고, 당해 알데히드를 수소 첨가 조건하에서 α-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아스파르탐)와 환원적으로 알킬화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발 원료를 용해시키는 용제,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알콜, 함수 알콜 등의 용제 중에서, 환원 알킬화 촉매, 예를 들면, 팔라듐계, 로듐계 촉매 등의 수소 첨가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에 의해 환원적으로 알킬화 반응을 실시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당하거나 효과적인 반응 온도 및 압력하에서 상기 목적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수득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사용된 촉매를 제거한 후, 필요에 따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나 결정 석출 공정 등의 정제 수단으로 고순도의 목적하는 고감미도 감미료의 아스파르틸디펩티드에스테르 유도체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품, 의약품 등의 각종 제조 중간체, 특히 고감미도 감미료로서 우수한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위한 제조 중간체로서 유용한 신규한 아릴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의 용도(제조 중간체로서) 및 이를 위한 신규한 제조 중간체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의 합성
2-메톡시톨루엔(146.7g, 1.2mol)에 대해 염화알루미늄(44g, 0.33mol)과 3-메틸크로톤산(30g, 0.3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6N 염산(300ml)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디에틸 에테르 150ml로 유기물을 추출한 후, 이 유기층에 대해서 1N 가성 소다 수용액 100ml를 가하여 카복실산 성분을 추출한다. 수득된 알칼리 혼합액을 염산으로 산성으로 되게 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여, 용매를 증류 제거한다. 수득된 잔사를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고,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39.6g, 수율 59%)을 수득한다.
1H NMR(CDCL3) δ: 1.43(s, 6H), 2.21(s, 3H), 2.61(s, 2H), 3.80(s, 3H), 6.74-6.77(dd, 1H), 7.12-7.15(m, 2H).
실시예 2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의 합성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11.1g, 0.05mol), 아세트산(22.3g) 및 48% 브롬화수소산 수용액(33.7g, 0.2mol)을 가하고, 12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실온으로 냉각시켜 수득된 반응액을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해서 추출하여,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10g, 수율 95%)을 수득한다.
1H NMR(CDCL3) δ: 1.42(s, 6H), 2.21(s, 3H), 2.60(s, 2H), 6.60-6.65(dd, 1H), 6.99-7.10(m, 2H).
실시예 3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의 합성
고압 수소 첨가 반응 장치에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9.38g, 0.045mol), 피발산 무수물(16.8g, 0.09mol) 및 아세톤(90ml)을 봉입하고, 탈기한다. 이어서, 미리 제조해 둔 팔라듐 아세테이트(101mg, 0.45mmol) 및 트리(p-트릴)포스핀(685mg, 2.25mmol)의 THF 용액(4.5ml)을 가하고, 5MPa의 수소압하,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으로부터 아세톤을 증류 제거하여, 수득된 잔사를 감압 증류로써 정제하고,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4.82g, 수율 56%)를 수득한다. 비점(b.p.): 136℃(1mmHg[133Pa]).
1H NMR(CDCL3) δ: 1.42(s, 6H), 2.24(s, 3H), 2.62(d, 2H), 5.13(s, 1H), 6.70-6.73(dd, 1H), 7.03-7.11(m, 2H). 9.49(t, 1H).
실시예 4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아스파르탐 5.89g(20.0mmol) 및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3.202g(16.7mmol)을 80% 메탄올 수용액 200ml에 가하여 40℃에서 잠시 교반한다. 당해 용액에 10% 팔라듐탄소(50% 함수) 1.78g을 가하고, 상압(0.1MPa)의 수소 분위기하에 25℃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여과해서 촉매를 제거하고, 여액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정량한 바, 표제 화합물을 7.06g(15.03mmol, 90%) 제조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있어서 제조 중간체로서 사용되는 신규한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에 의하면, 아스파르탐과의 환원적 알킬화 반응에 의해, 고감미도 감미료로서 유용한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를 공업적으로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 유도체는 신규한 화합물이지만, 2-메톡시톨루엔과 3-메틸크로톤산과의 반응에서 수득된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실시하여 카복실산을 제조하고, 수득된 카복실산의 카복실 그룹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으로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감미도 감미료를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 유도체 등, 제조 중간체로서 유용한 몇개의 신규 화합물도 제공한다.

Claims (8)

  1.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카복실 그룹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이,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가)을 실시하거나,
    2-메톡시톨루엔과 3-메틸크로톤산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으로부터 메톡시 그룹을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나)을 실시하여 수득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2-메톡시톨루엔과 3-메틸크로톤산과의 반응이 산의 존재하에 실시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카복실 그룹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이,
    카복실산의 반환원에 의해 알데히드로 변환시키는 반응(가) 및
    카복실 그룹을 하이드록시메틸 그룹으로 변환시킨 후, 포르밀 그룹으로 변환시키는 반응(나) 중의 어느 하나의 반응인 방법.
  5.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와 아스파르탐으로부터 환원적 알킬화 반응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파르탐과의 환원적 알킬화 반응에 의해 N-[N-[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로 유도하는 방법.
  7. 화학식 1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벤젠 유도체.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 그룹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킬 그룹이고,
    R3은 카복실 그룹, 포르밀 그룹 및 하이드록시메틸 그룹 중의 어느 하나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가)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나)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티르산,
    (다)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부티르산,
    (라) 3-(3-메틸-4-하이드록시페닐)-3-메틸-1-부탄올,
    (마)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부틸알데히드 및
    (바) 3-(3-메틸-4-메톡시페닐)-3-메틸-1-부탄올 중의 어느 하나인 벤젠 유도체.
KR1020027009225A 2000-01-20 2001-01-12 신규한 아릴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KR200200692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1538A JP2001199930A (ja) 2000-01-20 2000-01-20 新規アリ−ルプロピルアルデヒド誘導体、その製造法及びその使用等
JPJP-P-2000-00011538 2000-01-20
PCT/JP2001/000174 WO2001053243A1 (fr) 2000-01-20 2001-01-12 Nouveaux derives d'arylpropionaldehyde, leur production et leur utilis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57A true KR20020069257A (ko) 2002-08-29

Family

ID=1853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225A KR20020069257A (ko) 2000-01-20 2001-01-12 신규한 아릴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89902B2 (ko)
EP (1) EP1249442A4 (ko)
JP (1) JP2001199930A (ko)
KR (1) KR20020069257A (ko)
CN (1) CN1395551A (ko)
AU (1) AU2001225523A1 (ko)
WO (1) WO2001053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1215A4 (en) * 1999-10-07 2004-07-14 Ajinomoto Kk PROCESS FOR PRODUCING ASPARTYLDIPEPTIDE ESTER DERIVATIVES, NOVEL MATCHING INTERMEDI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INTERMEDIATES
US20040176472A1 (en) * 1999-10-07 2004-09-09 Ajinomoto Co., Inc. Process for production of aspartyl dipeptide ester derivative, novel production intermediate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6689092B2 (en) * 2000-03-03 2004-02-10 Boehringer International Gmbh Needle-less injector of miniature type
CN108350469A (zh) * 2015-11-17 2018-07-31 环球生物能源公司 从3-甲基巴豆酸生产异丁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7844B1 (fr) * 1992-11-12 1995-01-27 Claude Nofre Nouveaux composés dérivés de dipeptides ou d'analogues dipeptidiques utiles comme agents édulcorant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CZ299112B6 (cs) * 1998-04-09 2008-04-23 Ajinomoto Co., Inc. Aspartyldipeptidový esterový derivát a sladidlo
OA11654A (en) * 1998-09-18 2004-12-08 Ajinomoto Kk N-alkylaspartyldipeptide ester derivatives and sweeteners.
WO2001025262A1 (fr) * 1999-10-04 2001-04-12 Ajinomoto Co., Inc. Compositions d'edulcorants a fort pouvoir sucrant a pouvoir sucrant accru, correcteurs de gout et leur utilisation
AU7322200A (en) * 1999-10-05 2001-05-10 Ajinomoto Co., Inc. Solid sweetener compositions, liquid sweetener compositions and utilization thereof
BR0014565A (pt) * 1999-10-08 2002-11-19 Ajinomoto Kk Processos para produzir derivado de aspartil dipeptìdeo éster, para produzir 3-(3-hidróxi -4-metoxifenil) -3 -metilbutilaldeìdo e para produzir n-[n-[3-(3-hiidróxi -4- metoxifenil) 3- metilbutil] -l- alfa-aspartil] -l- fenilalanina 1-metil éster, derivado de benzeno, cristal de n-[n-[3-(3-hidróxi-4-metóxifenil) -3-metilbutil]-l- alfa-aspartil] -l-fenilalanina 1-metil éster, adoçante ou um alimento e bebida ou outro produto com um sabor doce conferido, e, processo para conferir um sabor do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9442A4 (en) 2004-10-13
US20030032842A1 (en) 2003-02-13
CN1395551A (zh) 2003-02-05
WO2001053243A1 (fr) 2001-07-26
AU2001225523A1 (en) 2001-07-31
JP2001199930A (ja) 2001-07-24
US6689902B2 (en) 2004-02-10
EP1249442A1 (en) 200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949B1 (ko) 1,4-부탄디올의 정제 방법
US20050175755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spartyl dipeptide ester derivative, novel production intermediate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WO2001087813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derives de cinnamylaldehyde, utilisation de ceux-ci et de derives analogues
KR20020069257A (ko) 신규한 아릴프로피온알데히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US6693214B2 (en) Intermediate for sweetener with high sweetnes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A003875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фиров глиокс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ли их гидратов
US577717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naphthylbutanone
US20040230073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spartame derivative, crystal thereof, novel production intermediate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intermediate thereof
JP3357076B2 (ja) ジカルボン酸モノ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3254746B2 (ja) 末端アセチレン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4081619B2 (ja) 光学活性な5−ヒドロキシ−2−デセン酸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活性なマソイヤラクトンの製造方法
JP3159413B2 (ja) 3−置換−4−ヒドロキシ−2−ブテノライドの製造方法
JP3357147B2 (ja) 5−フェニルペンタン酸の製造方法
EP0652213B1 (en) Method for producing alkyl 3-phthalidylideneacetate
US20040176472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spartyl dipeptide ester derivative, novel production intermediate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EP0970952B1 (en) Processes for preparing 2-omega-alkoxycarbonylalkanoyl)-4-butanolides, omega-hydroxy-omega-3)-keto fatty esters, and derivatives thereof
JPH10182544A (ja) p−アシルアルキルベンゼン誘導体の製造法
WO1999042424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es cetoniques aromatiques
HU190802B (en) Process for preparing cyclopentenone derivatives
JP2001114774A (ja) ジアルコキシクロマン誘導体の製造法
JPH11152280A (ja) 3−メチル−4−ヒドロキシ−2−ブテノリドの製造方法
JP2000044555A (ja) 4−ヒドロキシインドール化合物及びその中間体の製造方法
JPH0830024B2 (ja) ジオレフインの選択的ヒドロカルボキシル化またはヒドロエステル化方法
JPH1180151A (ja) オキセパン−2−オ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2003246762A (ja) シクロペンテノロン類の精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