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818A - 녹색발광 스트론튬ㆍ유로피움ㆍ티오갈륨 형광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색발광 스트론튬ㆍ유로피움ㆍ티오갈륨 형광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818A
KR20020067818A KR1020010008168A KR20010008168A KR20020067818A KR 20020067818 A KR20020067818 A KR 20020067818A KR 1020010008168 A KR1020010008168 A KR 1020010008168A KR 20010008168 A KR20010008168 A KR 20010008168A KR 20020067818 A KR20020067818 A KR 20020067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green light
europium
fluori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512B1 (ko
Inventor
허영덕
김동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트웰
허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트웰, 허영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트웰
Priority to KR10-2001-000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51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2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europ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rare-earth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색 발광 형광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기의 화학식 1을 가지는 녹색 발광 형광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형광체 합성에 사용되는 물질로 SrS, Ga[(CH3)2NCS2]3, [(CH3)4N]{Eu[(CH3)2NCS2]4} 및 여분의 황(S)을 사용하고, 이중도가니의 박스형 노에서 600-1200℃의 온도로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여 독성가스인 H2S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대량으로 Sr1-xEuxGa2S4형광체를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Sr1-xEuxGa2S4
(상기 식에서 x는 0.01에서 0.2의 범위 이내의 값을 가진다.)

Description

녹색발광 스트론튬ㆍ유로피움ㆍ티오갈륨 형광체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Green Color Emitting Stroutium-Europium-Thiogallium Phosphor}
본 발명은 녹색발광 형광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성가스인 H2S의 사용이 생략된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의 대량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광체는 발광 휘도가 높으므로, 이들 형광체는 고휘도의 발광용 전자 소재에 자주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청색·적색·녹색 발광 형광체의 제조는 전자 소재 산업에서 필수적이다. 특히 발광 성능이 좋은 형광체의 제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ZnS:Cu,Al과 Y2O3:Tb와 같은 기존의 녹색 발광 형광체에 비해서 Sr1-xEuxGa2S4형광체는 광 특성이 우수한 녹색발광 형광체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Sr1-xEuxGa2S4형광체는 전계발광(EL : electroluminescent), 음극선 발광(cathodoluminescence), 발광 다이오드 (LED : Light Emitting Diode) 분야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현재까지 Sr1-xEuxGa2S4의 합성은 전형적인 고체상 반응으로 진행되어왔다. 예를 들어 SrCO3, Ga2O3, Eu2O3와 Na2CO3(용융제)를 초기 물질로 사용하고 약 1300℃에서 약 8시간 소성한다. 이때 H2S gas를 계속 흘려준다. 또한 700℃ 이하의 온도에서는 Ar gas를 흘려주어서 화합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따라서 합성을 하는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독성가스인 H2S gas를 사용해야 하므로, H2S gas 처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려야만 한다. 소량으로 사용되는 연구용 Sr1-xEuxGa2S4형광체는 위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합성을 하고 있다.
전자 소재로 사용될 경우는 대량의 Sr1-xEuxGa2S4형광체를 제조해야만 한다. 그러나 고체상 반응으로 대량의 Sr1-xEuxGa2S4형광체를 제조하려면 엄청난 양의 H2S 가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문제점인 독성가스인 H2S 를 사용하지 않고 Sr1-xEuxGa2S4형광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방법은 튜브 노(tube furnace)를 사용해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박스 노(box furnace)를 사용하여 Sr1-xEuxGa2S4형광체를 안정적으로 대량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녹색발광 Sr1-xEuxGa2S4형광체 제조에 사용되는 시료와 이중 도가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의 여기 스펙트럼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도가니2 : 활성탄
3 : 내부 도가니4 : SrS
5 : Ga[(CH3)2NCS2]36 : [(CH3)4N]{Eu[(CH3)2NCS2]4}
7 : 황
녹색발광 Sr1-xEuxGa2S4형광체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Sr1-xEuxGa2S4
(상기 식에서 x는 0.01에서 0.2의 범위 이내의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의 제조과정은 도 1과 같이 이중도가니를 사용하며, 내부의 도가니에는 합성에 필요한 시료를 넣고, 외부의 도가니에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활성탄을 넣는다.
Sr1-xEuxGa2S4형광체의 제조는 형광체의 조성비에 따른 SrS, Ga[(CH3)3NCS2]3, [(CH3)4N]{Eu[(CH3)2NCS2]4}를 섞은 후, 그리고 여분의 S의 양을 1.0에서 50.0 중량% 범위에서 첨가한 다음, 600∼1200℃의 온도에서 소결하여 Sr1-xEuxGa2S4형광체를 얻는다.
Ga[(CH3)2NCS2]3은 Ga(NO)3·xH2O와 (CH3)2NCS2Na·xH2O를 공침하여 합성한다. 또한 [(CH3)4N]{Eu[(CH3)2NCS2]4}는 (CH3)4NCl, Eu(NO)3·6H2O, (CH3)2NCS2Na·xH2O를 공침하여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체를 구성하는 모결정의 소결시에 녹는점을 낮춰주어 결정성장을 용이하게 해주는 용융제로서 염화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칼슘, 불화알루미늄, 그리고 불화바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융제의 첨가량은 1.0 에서 30.0 중량%의 범위가 적절하다. 이 범위를 초과하면 형광체의 결정구조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Sr1-xEuxGa2S4형광체는 자외선에서부터 청색을 흡수하여 녹색을 발광을 하게 되는 것은 활성제인 유로피움의 역할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모결정인 Sr1-xGa2S4의 조성 및 결정성에 따라서 활성제 원자의 d 궤도함수의 에너지 준위가 변화되어, 형광체의 발광의 세기 및 발광의 영역과 같은 광학적 성질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적절한 조성의 모결정 선택이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의 성능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활성제인 유로피움의 산화상태에 따라서 형광체의 광학적 성질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외부의 도가니에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넣는 적절한 종류의 활성탄은 Sr1-xEuxGa2S4형광체의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제조실시예 1 ∼8 및 비교제조예 1,2>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각 화합물들을 혼합하고, 고온에서 소결시켜 본 발명에 따른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를 수득하였다.
Ga : Ga[(CH3)2NCS2]3
Eu : [(CH3)4N]{Eu[(CH3)2NCS2]4}
상기 표 1에서 제조실시예 1, 2, 3은 활성제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형광체를 합성하였다. 제조실시예 1, 4, 5는 여분의 황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형광체를 합성하였다. 제조실시예 1, 6은 소성 온도를 변화시킨 것이다. 제조실시예 1, 7, 8은 용융제의 종류를 변화시키면서 형광체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2>
제조실시예 1∼8 및 비교제조예 1,2에 의하여 얻어진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은 도 2와 같았다. 발광 스펙트럼을 얻기 위해서 여기 파장은 450nm으로 고정하였다. 도 2에 따르면 제조 실시 예 1, 2, 3의 경우 활성제인 유로피움의 양이 0.04 mol 일 때 최대 발광 세기를 얻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제조실시예 1, 4, 5처럼 여분의 황의 양에 따라서 발광 세기가 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조실시예 1, 6처럼 소성온도에 따라서 발광세기가 변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조실시예 1, 7, 8처럼 용융제의 종류가 변화됨에 따라서 형광체의 발광 효율 역시 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여분의 황을 첨가하지 아니 할 경우에는 발광 세기가 급격하게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의 발광 특성은 활성제의 양, 용융제의 종류, 소성 온도, 그리고 여분의 황의 양 등 여러 조건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를 제조 할 때는 활성제의 양, 용융제의 종류, 소성 온도, 그리고 여분의 황의 양 등을 적절하게 선택해야만 한다.
녹색 발광 Sr1-xEuxGa2S4형광체중 제조실시예 1의 여기 스펙트럼은 도 3과 같았다. 이때 측정파장은 536nm으로 고정하고 여기 스펙트럼을 얻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Sr1-xEuxGa2S4형광체의 여기 가능영역은 320∼480nm 이었다. 따라서 Sr1-xEuxGa2S4형광체는 자외선의 일부분과 청색 영역을 흡수하여 녹색을 발광한다.
본 발명은 독성가스인 H2S를 사용하여 Sr1-xEuxGa2S4형광체를 합성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서, H2S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대량으로 Sr1-xEuxGa2S4형광체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형광체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불활성기체를 계속 흘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 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여 Sr1-xEuxGa2S4형광체는 안전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전계발광(EL : electroluminescent), 음극선 발광(cathodoluminescence), 발광 다이오드 (LED : Light Emitting Diode) 분야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4)

  1. 하기의 화학식 1을 가지는 녹색 발광 형광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형광체 합성에 사용되는 물질로 SrS, Ga[(CH3)2NCS2]3, [(CH3)4N]{Eu[(CH3)2NCS2]4} 및 여분의 황(S)을 사용하고, 이중도가니의 박스형 노에서 600-1200℃의 온도로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발광 스트론튬·유로피움·티오갈륨(Sr1-xEuxGa2S4) 형광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Sr1-xEuxGa2S4
    (상기 식에서 x는 0.01에서 0.2의 범위 이내의 값을 가진다.)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의 도가니에는 합성에 필요한 시료를 넣고, 외부의 도가니에는 활성제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활성탄을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발광 스트론튬·유로피움·티오갈륨(Sr1-xEuxGa2S4) 형광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모결정에 결정성장을 위한 용융제로서 염화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칼슘, 불화알루미늄, 그리고 불화바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1.0에서 30.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발광 스트론튬·유로피움·티오갈륨(Sr1-xEuxGa2S4) 형광체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여분의 S의 투입량은 1.0에서 50.0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색발광 스트론튬·유로피움·티오갈륨(Sr1-xEuxGa2S4) 형광체의 제조방법.
KR10-2001-0008168A 2001-02-19 2001-02-19 녹색발광 스트론튬ㆍ유로피움ㆍ티오갈륨 형광체의제조방법 KR10040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168A KR100407512B1 (ko) 2001-02-19 2001-02-19 녹색발광 스트론튬ㆍ유로피움ㆍ티오갈륨 형광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168A KR100407512B1 (ko) 2001-02-19 2001-02-19 녹색발광 스트론튬ㆍ유로피움ㆍ티오갈륨 형광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818A true KR20020067818A (ko) 2002-08-24
KR100407512B1 KR100407512B1 (ko) 2003-12-01

Family

ID=2769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168A KR100407512B1 (ko) 2001-02-19 2001-02-19 녹색발광 스트론튬ㆍ유로피움ㆍ티오갈륨 형광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5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14B1 (ko) * 2006-04-13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트론튬 및 칼슘 티오갈레이트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발광 장치
US7959321B2 (en) 2005-03-31 2011-06-14 Seoul Semiconductor Co., Ltd. Backlight panel employing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d phosphor and green phosphor
US8088302B2 (en) 2005-05-24 2012-01-03 Seoul Semiconductor Co., Ltd. Green phosphor of thiogallate, red phosphor of alkaline earth sulfide and white light emitting device thereof
KR101141864B1 (ko) * 2008-03-18 2012-05-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산질화물 형광체의 소성 장치를 이용한 산질화물 형광체의제조방법
US8323529B2 (en) 2006-03-16 2012-12-04 Seoul Semiconductor Co., Ltd. Fluorescent material and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same
TWI426119B (zh) * 2006-03-21 2014-02-11 Seoul Semiconductor Co Ltd 螢光材料及使用其之發光二極體
US9287241B2 (en) 2005-09-30 2016-03-15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CD backlight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094A (ko) * 1987-02-28 1988-10-07 김정배 녹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KR920004162A (ko) * 1990-08-31 1992-03-27 김우중 금속판 부재의 자동 부재 정보 기록장치
JP2729190B2 (ja) * 1994-09-16 1998-03-18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体
KR100263152B1 (ko) * 1997-09-22 2000-08-01 김순택 능동 발광형 액정표시 소자용 녹색 형광체
JP2000001672A (ja) * 1998-06-15 2000-01-07 Hirotsu Naotoshi 蓄光性蛍光体微粒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29559B1 (ko) * 1999-04-14 2002-03-20 김순택 녹색 발광 형광체, 이를 포함하는 녹색발광 형광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음극선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9321B2 (en) 2005-03-31 2011-06-14 Seoul Semiconductor Co., Ltd. Backlight panel employing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d phosphor and green phosphor
US8132952B2 (en) 2005-03-31 2012-03-13 Seoul Semiconductor Co., Ltd. Backlight panel employing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d phosphor and green phosphor
US8088302B2 (en) 2005-05-24 2012-01-03 Seoul Semiconductor Co., Ltd. Green phosphor of thiogallate, red phosphor of alkaline earth sulfide and white light emitting device thereof
US9287241B2 (en) 2005-09-30 2016-03-15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CD backlight using the same
US9576940B2 (en) 2005-09-30 2017-02-21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CD backlight using the same
US8323529B2 (en) 2006-03-16 2012-12-04 Seoul Semiconductor Co., Ltd. Fluorescent material and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same
TWI426119B (zh) * 2006-03-21 2014-02-11 Seoul Semiconductor Co Ltd 螢光材料及使用其之發光二極體
KR100735314B1 (ko) * 2006-04-13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트론튬 및 칼슘 티오갈레이트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발광 장치
KR101141864B1 (ko) * 2008-03-18 2012-05-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산질화물 형광체의 소성 장치를 이용한 산질화물 형광체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512B1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1180B2 (en) Light source having phosphor including divalent, trivalent and tetravalent elements
EP1573826B1 (en)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radiation source and a fluorescent material
US8007683B2 (en) Carbidonitridosilicate luminescent substance
KR100896032B1 (ko) 녹색계 발광 형광체
KR100533922B1 (ko) 황색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백색 발광 장치
KR101244620B1 (ko) 산질화물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발광장치
KR100697822B1 (ko) Uv led용 스트론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계 청색 형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4356563B2 (ja) 酸窒化物蛍光体、酸窒化物蛍光体の製造方法及び白色発光素子
JP4269880B2 (ja) 蛍光ランプ及び蛍光ランプ用蛍光体
CN110144625B (zh) 一种红光八边形无铅二维钙钛矿单晶的生长方法
KR100407512B1 (ko) 녹색발광 스트론튬ㆍ유로피움ㆍ티오갈륨 형광체의제조방법
KR101098337B1 (ko) 몰리브데이트 계열 적색발광 형광체의 제조방법
JP2006137902A (ja) 窒化物蛍光体、窒化物蛍光体の製造方法及び白色発光素子
JP2010215728A (ja) 橙色蛍光体とその製造方法
CN1049000C (zh) 荧光体及使用该荧光体的荧光灯
KR100666210B1 (ko) 마그네슘 티오갈레이트계 녹색 형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43257B1 (ko) Uv led 및 능동 발광 lcd용 적색 형광체
Park et al. Origin of tunable emission wavelengths for (Sr 1-xCax) 0.95 Ga2S4: 0.05 Eu and Sr1-yGa2S4: yEu phosphors
JP4632835B2 (ja) 青色蛍光体の製造方法
WO200309558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uminescent material
JP2008024852A (ja) 蛍光体の製造方法
JP2005146190A (ja) アルカリ土類硫化物を主成分とする赤色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331021B2 (ja) 黄色蛍光体とその製造方法
JP2011157485A (ja) 橙色蛍光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6307083A (ja) 青色励起黄色蛍光体及びそれを用いた白色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