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215A -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215A
KR20020067215A KR1020010007660A KR20010007660A KR20020067215A KR 20020067215 A KR20020067215 A KR 20020067215A KR 1020010007660 A KR1020010007660 A KR 1020010007660A KR 20010007660 A KR20010007660 A KR 20010007660A KR 20020067215 A KR20020067215 A KR 20020067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bracket
steering column
pressing member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385B1 (ko
Inventor
변종식
이을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0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8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틸팅힌지의 회동으로 고정브라켓과 틸팅브라켓이 밀착됨과 동시에 틸팅브라켓의 내측으로 밀착력을 발생되도록 틸팅브라켓의 내측에 밀착구조를 마련하여 밀착력이 향상되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브라켓(40), 상기 고정브라켓(40)의 내부 양측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틸팅브라켓(50), 상기 틸팅브라켓(50)과 고정브라켓(40)의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브라켓(40)의 외부 일측으로 연장된 외주면에 나사부(62)가 형성된 틸팅힌지(60), 상기 나사부(62)에 체결되는 압착부재(70), 상기 압착부재(7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틸팅레버(80), 상기 틸팅브라켓(5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틸팅힌지(60)의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탭가공된 내부나사부(63)가 양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부나사부(63)에는 상기 틸팅힌지(60)의 회동으로 인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쌍의 내부압착부재(10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TIL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동작을 위해 동작되는 틸팅레버의 틸팅힌지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되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컬럼은 스티어링휠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차량의 휠에 전달해줄 수 있도록 운전석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 스티어링컬럼에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틸팅장치가 마련된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중공축으로 마련되어 수축되는 스티어링컬럼(1)의 내부에는 스티어링컬럼(1)의 수축에 따라 연동되며 이와 함께 굴절가능하도록 중간 일측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채용한 조향축(1a)이 설치된다.
한편, 스티어링컬럼(1)을 차체에 고정시켜주는 마운팅브라켓(1b)의 하측에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상측부분이 하측부분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굴절되는 조향축(1a)과 스티어링컬럼(1)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틸팅장치(3)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장치(3)는 마운팅브라켓(1b)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4)과, 그 내부에 설치되어 스티어링컬럼(1)의 굴절을 지지해주는 틸팅브라켓(5)과, 서로 겹쳐지는 고정브라켓(4)과 틸팅브라켓(5)의 중간측을 관통하여 이들을 밀착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틸팅힌지(6)로 구분된다.
먼저, 고정브라켓(4)은 중간측이 마운팅브라켓(1b)에 고정되며 양측면을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금속판으로 마련되고, 그 내부 상측으로는 스티어링컬럼(1)이 배치되고, 하측에는 그 내부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틸팅브라켓(5)이 설치된다. 이 틸팅브라켓(5)은 양측면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고정브라켓(4)의 내부면과 마주하며 그 중간의 상측으로는 스티어링컬럼(1)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틸팅힌지(6)는 고정브라켓(4)과 틸팅브라켓(5)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머리부(6a)가 형성되는데, 이 머리부(6a)는 고정브라켓(4)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4a)을 통해 틸팅브라켓(5)의 일측과 밀착되는 것이다. 이때 머리부(6a)는 고정공(4a)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머리부(6a)의 반대측으로는 고정브라켓(4)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부(6b)가 형성된다.
또한, 이 나사부(6b)에는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압착부재(7)가 설치되어 고정브라켓(4)과 밀착되는데, 압착부재(7)에는 이를 회전시켜 압착부재(7)와 고정브라켓(4)을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틸팅레버(8)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는, 틸팅힌지(6)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틸팅레버(8)를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압착부재(7)가 나사부(6b)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압착부재(7)가 고정브라켓(4)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반대측에 형성된 머리부(6a) 역시 틸팅브라켓(5)을 압착하여 고정브라켓(4)과 틸팅브라켓(5)이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고, 이와는 반대로 압착부재(7)가 고정브라켓(4)에서 이격될 때는 고정브라켓(4)과 틸팅브라켓(5) 사이가 이격되므로 틸팅힌지(6)를 중심으로 틸팅브라켓(5)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는, 레버를 회동시켜 고정브라켓과 틸팅브라켓을 밀착시킬 때 압착부재가 설치되는 측의 고정브라켓 내부면과 틸팅브라켓 외부면에서만 마찰력이 발생되므로 밀착력이 그다지 크지못했다. 또, 장기간 사용시에는 압착부재의 압착에 의해 밀착면이 변형되는 경우에는 밀착력이 떨어져 틸팅동작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틸팅힌지의 회동으로 고정브라켓과 틸팅브라켓이 밀착됨과 동시에 틸팅브라켓의 내측으로 밀착력을 발생되도록 틸팅브라켓의 내측에 밀착구조를 마련하여 밀착력이 향상되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컬럼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틸팅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힌지와 압착부재의 분리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스티어링컬럼30:틸팅장치
40:고정브라켓41:고정공
50:틸팅브라켓60:틸팅힌지
61:머리부62:나사부
63:내부나사부70:압착부재
80:틸팅레버90:내부브라켓
91:안내가이드92:밀착면
100:내부압착부재101:안내돌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는,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 양측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틸팅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부 일측으로 연장된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틸팅힌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압착부재, 상기 압착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레버가 마련된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팅브라켓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틸팅힌지의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탭가공된 내부나사부가 양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부나사부에는 상기 틸팅힌지의 회동으로 인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쌍의 내부압착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형성된 중공관으로 마련되어 수축 가능하도록 스티어링컬럼(10)이 마련된다. 그리고 스티어링컬럼(10)의 내부에는 이와 함께 연동되며 굴절가능하도록 중간측에 유니버셜조인트가 설치된 조향축(11)이 마련된다.
한편, 스티어링컬럼(10)의 일측에는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상측부분이 하측부분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꺽이는 조향축(11)과 스티어링컬럼(10)을 지지하는 틸팅장치(30)가 마련된다.
먼저, 마운팅브라켓(12)의 하측에는 고정브라켓(40)이 밀착 고정되는데, 이 고정브라켓(40)은 중간측이 마운팅브라켓(12)에 고정되며 양측면을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금속판으로 마련되고, 그 내부 상측으로는 스티어링컬럼(10)이 배치되고, 하측에는 그 내부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틸팅브라켓(50)이 설치된다. 이 틸팅브라켓(50)은 양측면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고정브라켓(40)의 내부면과 마주하며 그 중간의 상측으로는 스티어링컬럼(10)이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 고정브라켓(40)의 내부에 설치되는 틸팅브라켓(50)은 스티어링컬럼(10)의 굴절을 지지해주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양측면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고정브라켓(40)의 내부면과 마주하며 그 중간의 상측으로는 스티어링컬럼(10)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틸팅브라켓(50)의 내부에는 고정브라켓(40)과 틸팅브라켓(50) 사이에서 발생되는 밀착력을 보강해줄 수 있도록 내부브라켓(90)이 마련된다. 이 내부브라켓(90)은 양측면이 틸팅브라켓(50)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의 상,하측면은 이격 형성되는데 이중 상측면은 틸팅브라켓(50)과 결합되어 이와 함께 연동된다.
또한, 고정브라켓(40)과 틸팅브라켓(50)과 내부브라켓(90)의 양측면에는 서로 연통되는 축공이 마련되고, 이 축공의 내부에는 틸팅힌지(60)가 삽입설치된다. 이 틸팅힌지(60)는 일측에 미러부(61)가 형성되는데, 이 미러부(61)는 고정브라켓(4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41)을 통해 틸팅브라켓(50)의 일측과 밀착되는 것이다. 이때 미러부(61)는 고정공(41)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고정된다.
아울러, 틸팅힌지(60)의 미러부(61) 반대측은 고정브라켓(4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연장된 선단에는 왼나사가 형성된 나사부(62)가 마련되고, 이 나사부(62)에는 압착부재(70)가 체결된다. 그리고 압착부재(70)의 외측으로는 이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틸팅레버(80)가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힌지와 압착부재의 분리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브라켓(90)의 내부에 배치되는 틸팅힌지(60)의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탭가공된 내부나사부(63)가 양측으로 마련된다. 이 내부나사부(63)는 고정브라켓(40) 외부에 형성된 나사부(62)와 인접한 부분은 왼나사로 마련된 나사부(62)와 달리 오른나사가 형성되어있고, 이와 반대되는 측에 이격된 부분의 내부나사부(63)는 나사부(62)와 같은 왼나사로 마련된다.
또, 내부브라켓(90)의 내부 양측으로는 내부나사부(63) 외측으로 설치되어틸팅힌지(6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내부나사부(63)에 맞도록 나사가 형성된 내부압착부재(100)가 마련되는데, 이 내부압착부재(100)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압착부재(100)의 반경방향 양측으로는 안내돌기(101)가 마련되고, 이 안내돌기(101)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며 반경방향으로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부브라켓(90)의 상,하측에는 안내가이드(91)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브라켓(90)의 내부압착부재(100)의 축방향 외부 양측에는 이 내부압착부재(100)와 밀착 가능하도록 밀착면(92)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힌지(110)의 구조를 달리한 실시예로서, 일측에는 나사부(111)가 마련되고 중간측에는 내부나사부(112)가 마련되며 타측 선단에는 머리부(115)가 형성된 틸팅힌지(110)의 중간을 분할 형성하여 일측에는 수나사(113)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암나사(114)가 형성된다. 이러한 틸팅힌지(110)는 나사부(111)와 내부나사부(112)에 압착부재와 내부압착부재를 각각 배치한 후 암나사(114)와 수나사(113)를 결합시키고, 암나사(114)의 외부를 코킹하여 이들 사이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는, 고정브라켓(40)과 틸팅브라켓(50), 그리고 내부브라켓(90)을 틸팅힌지(60)로 관통시켜 설치하게되는데, 이때 내부나사부(63)와 나사부(62)에는 내부압착부재(100)와 압착부재(70)를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압착부재(70)에 마련된 틸팅레버(80)를 회동시켜 압착부재(70)를 고정브라켓(40)의 외부면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게되는데, 이와 함께 틸팅힌지(60)의 내측으로 마련된 내부압착부재(100)가 이의 축방향 외측으로 배치된 밀착면(92)과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것이다.
이때 내부압착부재(100)가 양측의 밀착면(92)과 밀착되는 경우 틸팅힌지(60)의 미러부(61)와 이에 대응되는 일측의 내부압착부재(100)의 사이에는 서로 연결된 내부브라켓(90)과 틸팅브라켓(50)이 고정되고, 타측의 내부압착부재(100)와 고정브라켓(40)의 사이에도 내부브라켓(90)과 틸팅브라켓(50)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는, 스티어링컬럼의 원하는 위치로 절곡한 후 틸팅장치를 고정시킬 때 이를 위해 마찰되는 면적이 증대되어 마찰력이 커지고, 서로 밀착되는 부분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어 밀착되는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수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 양측에 밀착되도록 마련된 틸팅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부 일측으로 연장된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틸팅힌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압착부재, 상기 압착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레버가 마련된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팅브라켓(5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틸팅힌지(60)의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탭가공된 내부나사부(63)가 양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부나사부(63)에는 상기 틸팅힌지(60)의 회동으로 인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쌍의 내부압착부재(10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압착부재(100)의 반경방향 양측으로는 한쌍의 안내돌기(101)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압착부재(100)의 외측으로는 상기 안내돌기(101)의 축방향이동을 안내하며 회전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안내가이드(9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압착부재(100)의 축방향 외부 양측에는 상기 틸팅브라켓(50)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압착부재(100)와 밀착 가능하도록 밀착면(9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KR10-2001-0007660A 2001-02-16 2001-02-16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KR10046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60A KR100469385B1 (ko) 2001-02-16 2001-02-16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60A KR100469385B1 (ko) 2001-02-16 2001-02-16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215A true KR20020067215A (ko) 2002-08-22
KR100469385B1 KR100469385B1 (ko) 2005-02-02

Family

ID=2769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660A KR100469385B1 (ko) 2001-02-16 2001-02-16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56B1 (ko) * 2004-04-26 2007-12-0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7563B2 (ja) * 1991-03-13 1999-07-28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H0558550U (ja) * 1992-01-16 1993-08-0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固定装置
JPH0625076U (ja) * 1992-09-02 1994-04-05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2588338Y2 (ja) * 1993-04-15 1999-01-06 日本精工株式会社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56B1 (ko) * 2004-04-26 2007-12-0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385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8895B1 (en) Steering device
KR101031627B1 (ko) 스티어링 칼럼 장치
US7926378B2 (en) Rack and pinion type power steering apparatus
EP3118084B1 (en) Steering device
JPS649489B2 (ko)
US6722810B1 (en) Coupling structure of extensible shafts
US10894558B2 (en) Steering system
JP468345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469385B1 (ko)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JPH1053144A (ja) 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4721044B2 (ja) 円筒部材の取付構造
CN113120070A (zh) 包括调节两管之间相对位置的系统的转向柱套筒
JP5015751B2 (ja) シャフトの結合構造
JP2002104205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S58194664A (ja) 操舵力検出装置
US11459013B2 (en) Steering column turning torque adjustment device
JP2770435B2 (ja)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196905Y1 (ko) 힌지장치
KR19990006385A (ko) 파워스티어링장치
JP2549522Y2 (ja)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3002934U (ja) スプリング組立体
KR20180001368A (ko)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JP2526305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軸受部構造
JP201615553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32984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