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756B1 -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756B1
KR100783756B1 KR1020040028610A KR20040028610A KR100783756B1 KR 100783756 B1 KR100783756 B1 KR 100783756B1 KR 1020040028610 A KR1020040028610 A KR 1020040028610A KR 20040028610 A KR20040028610 A KR 20040028610A KR 100783756 B1 KR100783756 B1 KR 10078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shaft member
bracket
colum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533A (ko
Inventor
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2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75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장금장치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컬럼의 틸팅구조의 잠금장치를 보다 간단히 하므로써 조립 및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틸팅용 조작레버를 운전자의 전, 후 방향이 아닌 좌, 우 회동방향으로 개량하므로써 조절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수단은 차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좌, 우 양측으로 캡슐(11)을 구비한 마운팅 브라켓(10)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중앙 아래에 고정된 U자형 틸팅 브라켓(20), 상기 틸팅 브라켓(20)의 내부에서 스티어링 샤프트(30)를 감싼 채 통과되는 스티어링 컬럼(40), 상기 컬럼(40)의 하반부에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된 컬럼 브라켓(50)으로 구성한 후, 상기한 틸팅 브라켓(20)과 컬럼 브라켓(50)의 사이에 틸팅 잠금수단(60)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한 틸팅 잠금수단(60)은 머리부(61a)를 기준으로 그 외측단(61b)이 틸팅 브라켓(20)의 측편으로 노출되어 스프링(12)을 걸 수 있고, 그 반대쪽 내측단(61c)이 길이 방향의 장공(61d)이 형성된 작동축부재(61), 상기 작동축부재(61)의 내측단(61c)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습동홀(62a)을 내측단면(62b)에 가지며, 그 반대쪽으로 역시 틸팅 브라켓(20)의 반대쪽 측편으로 노출된 후, 너트(62c)로 채우고 스프링(12)을 걸 수 있는 외측단(61b)과, 상기 내측단면(62b)을 관통하는 축공(62e)으로 이루어진 고정축부재(62), 그리고 상기한 고정축부재(62)의 축공(62e)과 상기 작동축부재(61)의 장공(61d) 속으로 일측단이 끼워진 채, 타측단이 상기 고정축부재(6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ㄱ자형 관통부재(63)와, 상기 작동축부재(61)의 장공(61d) 속에 끼워진 채 그 장공의 공간을 줄이고 늘리기 위해 타원형 단면부(64a)를 가지는 조작레버(64)로 구성하는 것이다.
스티어링, 컬럼, 틸팅, 레버, 타원형 단면부

Description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LOCKING STRUCTURE FOR COLUMN TILTING OF VEHICLE}
도 1은 종래의 틸팅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틸팅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절레버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마운팅 브라켓 11 : 캡슐
12 : 스프링 20 : 틸팅 브라켓
21 : 측편구멍 30 : 스티어링 샤프트
40 : 스티어링 컬럼 50 : 컬럼 브라켓
60 : 틸팅 잠금수단 61 : 작동축부재
61a : 머리부 61b : 외측단
61c : 내측단 61d : 장공
62 : 고정축부재 62a : 습동홀
62b : 내측단면 62c : 너트
62d : 나사단 62e : 축공
63 : 관통부재 63a : 나사
64 : 조작레버 64a : 타원형 단면부
64b : 손잡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장금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틸팅장금장치의 작동방향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시 방향 전환을 위하여 조향장치를 사용하게 되고 상기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핸들과 상기 조향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동작하는 스티어링 튜브 및 샤프트와 스티어링 기어가 설치되어 링키지 및 유니버샬 조인트와 연계 동작하여 차량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핸들을 신체 조건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틸트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조향장치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를 보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어퍼 샤프트(1)와 연결되는 마운팅 브라켓(2)의 일측으로 하단에 고정기어(3)를 설치하고 이와 맞물림 동작할 수 있도록 레버(4)와 연결하는 가동기어(5)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4)의 조작에 따라서 가동기어(5)가 고정기어(3)에서 이탈하여 틸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장치는 가동기어를 눌러주는 포인트가 마운팅 브라켓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가동기어와 고정기어의 고정 방법으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가동기어와 고정기어가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의 재질(SPCC)이 한정되어 장치의 구조와 부품수를 간소화 할 수 없고 경량화 시킬수 없으며 조립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조립 치수 공차 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불량 발생률이 높고 이에 따라 장치의 기능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레버(4)가 운전자의 전, 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작업을 위해서 움직이는 동선이 커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컬럼의 틸팅구조의 잠금장치를 보다 간단히 하므로써 조립 및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틸팅용 조작레버를 운전자의 전, 후 방향이 아닌 좌, 우 회동방향으로 개량하므로써 조절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수단은 차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좌, 우 양측으로 캡슐을 구비한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중앙 아래에 고정된 U자형 틸팅 브라켓, 상기 틸팅 브라켓의 내부에서 스티어링 샤프트를 감싼 채 통과되는 스티어링 컬럼, 상기 컬럼의 하반부에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된 컬럼 브라켓으로 구성한 후, 상기한 틸팅 브라켓과 컬럼 브라켓의 사이에 틸팅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한 틸팅 잠금수단은 머리부를 기준으로 그 외측단이 틸팅 브라켓의 측편으로 노출되어 스프링을 걸 수 있고, 반대쪽 내측단이 길이 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작동축부재와, 상기 작동축부재의 내측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습동홀을 내측단면에 가지며, 그 반대쪽으로 역시 틸팅 브라켓의 반대쪽 측편으로 노출되어 스프링을 걸 수 있는 나사단, 그리고 상기 내측단면을 관통하는 축공으로 이루어진 고정축부재와, 상기한 고정축부재의 축공과 상기 작동축부재의 장공 속으로 일측단이 끼워진 채, 타측단이 상기 고정축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ㄱ자형 관통부재와, 상기 작동축부재의 장공 속에 끼워진 채 그 장공의 공간을 줄이고 늘리기 위해 타원형 단면부를 가지는 조작레버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틸팅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조절레버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상태로부터 레버를 조작하여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틸팅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좌, 우 양측으로 캡슐(11)을 구비한 마운팅 브라켓(10)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중앙 아래에 고정된 U자형 틸팅 브라켓(20), 상기 틸팅 브라켓(20)의 내부에서 스티어링 샤프트(30)를 감싼 채 통과되는 스티어링 컬럼(40), 상기 컬럼(40)의 하반부에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된 컬럼 브라켓(50)으로 구성한 후, 상기한 틸팅 브라켓(20)과 컬럼 브라켓(50)의 사이에 틸팅 잠금수단(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잠금수단(60)을 개선한 것으로, 이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축부재(61)와, 고정축부재(62)와, 관통부재(63)와, 조작레버(64)로 이루어 진다.
상기 작동축부재(61)는 머리부(61a)를 기준으로 그 외측단(61b)이 틸팅 브라켓(20)의 측편으로 노출되어 스프링(12)을 걸 수 있고, 그 반대쪽 내측단(61c)은 안쪽을 향한 채 길이 방향의 장공(61d)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축부재(62)는 상기 작동축부재(61)의 내측단(61c)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습동홀(62a)을 내측단면(62b)에 가지며, 그 반대쪽으로 역시 틸팅 브라켓(20)의 반대쪽 측편으로 노출된 채, 너트(62c)를 채워 고정한 상태에서 스프링(12)을 걸 수 있는 나사단(62d), 그리고 상기 내측단면(62b)을 관통하는 축공(62e)으로 이루어 진다.
또 한, 관통부재(63)는 ㄱ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일측단은 상기한 고정축부재(62)의 축공(62e)과 상기 작동축부재(61)의 장공(61d) 속으로 끼우고, 타측단은 별도의 나사(63a)로써 상기한 고정축부재(62)의 외주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조작레버(64)는 일측단은 상기 작동축부재(61)의 장공(61d) 속에 끼워지는 바, 그 장공의 공간을 줄이고 늘리기 위해 타원형 단면부(64a)를 가지며, 타측 선단은 운전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64b)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조립상태를 보면, 고정축부재(62)의 나사단(62d)을 틸팅 브라켓(20)의 측편구멍(21)에서 바깥쪽으로 끼운 후, 너트(62c)를 채워 고정하고 스프링(12)을 건다.
상기 고정축부재(62)의 습동홀(62a) 속으로 내측단(61c)이 끼워지도록 작동축부재(61)를 틸팅 브라켓(20)의 바깥쪽으로부터 끼운 후, 상기 고정축부재(62) 축공(62e)과 작동축부재(61)의 장공(61d) 속으로 관통부재(63)를 끼우고 그 상태로 고정하고, 작동축부재(61)의 외측단(61b)에 스프링(12)을 건다.
다음으로 조작레버(64)의 타원형 단면부(64a)를 상기한 장공(61d) 속으로 끼워서 설치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레버(64)의 손잡이(64a)를 돌리면 타원형 단면부(64a)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로로 세워지고, 세로로 세 워지는 만큼 장공(61d) 내부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작동축부재(61)가 바깥쪽으로 빠질 수 있다.
즉, 상기한 타원형 단면부(64a)는 장공(61d) 속에서 세로 또는 가로로 회동하므로써, 작동축부재(61)의 내측단(61c)이 고정축부재(62)의 습동홀(62a) 속에서 바깥쪽으로 또는 안쪽으로 이동하게 하며, 이로써 작동축부재(61)의 머리부(61a)가 내/외측으로 이동하므로 고정과 해정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컬럼의 틸팅구조의 잠금장치를 구성하되, 조작레버의 타원형 단면부로서 고정축부재 및 작동축부재의 길이를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으며, 구조가 간단한 만큼 조립 및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작레버는 운전자의 전, 후 방향이 아닌 좌, 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조작하도록 개량하였기 때문에 조작시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1)

  1. 차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좌, 우 양측으로 캡슐(11)을 구비한 마운팅 브라켓(10)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중앙 아래에 고정된 U자형 틸팅 브라켓(20), 상기 틸팅 브라켓(20)의 내부에서 스티어링 샤프트(30)를 감싼 채 통과되는 스티어링 컬럼(40), 상기 컬럼(40)의 하반부에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된 컬럼 브라켓(50)으로 구성한 후, 상기한 틸팅 브라켓(20)과 컬럼 브라켓(50)의 사이에 틸팅 잠금수단(60)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한 틸팅 잠금수단(60)은 머리부(61a)의 외측단(61b)이 틸팅 브라켓(20)의 측편으로 노출되어 스프링(12)을 걸 수 있고, 그 내측단(61c)이 길이 방향의 장공(61d)이 형성된 작동축부재(61)와,
    상기 작동축부재(61)의 내측단(61c)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습동홀(62a)을 내측단면(62b)에 가지며, 그 반대쪽으로 역시 틸팅 브라켓(20)의 반대쪽 측편으로 노출되어 너트(62c)를 채운 후 스프링(12)을 걸 수 있는 나사단(62d), 그리고 상기 습동홀(62a)을 가로로 관통하는 축공(62e)으로 이루어진 고정축부재(62)와,
    상기한 고정축부재(62)의 축공(62e)과 상기 작동축부재(61)의 장공(61d) 속으로 일측단이 끼워진 채, 타측단이 상기 고정축부재(6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ㄱ자형 관통부재(63)와,
    상기 작동축부재(61)의 장공(61d) 속에 끼워진 채 그 장공의 공간을 줄이고 늘리기 위해 타원형 단면부(64a)를 가지는 조작레버(64)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KR1020040028610A 2004-04-26 2004-04-26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KR100783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610A KR100783756B1 (ko) 2004-04-26 2004-04-26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610A KR100783756B1 (ko) 2004-04-26 2004-04-26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533A KR20050103533A (ko) 2005-11-01
KR100783756B1 true KR100783756B1 (ko) 2007-12-07

Family

ID=3728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610A KR100783756B1 (ko) 2004-04-26 2004-04-26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278B1 (ko) 2014-12-24 2020-07-17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조향 컬럼용 틸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550U (ja) * 1992-01-16 1993-08-0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固定装置
JPH0678155U (ja) * 1993-04-15 1994-11-01 日本精工株式会社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20067215A (ko) * 2001-02-16 2002-08-22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550U (ja) * 1992-01-16 1993-08-0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固定装置
JPH0678155U (ja) * 1993-04-15 1994-11-01 日本精工株式会社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20067215A (ko) * 2001-02-16 2002-08-22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533A (ko)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2388B2 (ja) 可動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5161534B2 (ja) 電動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4882127B2 (ja)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40261565A1 (en) Positio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s
JP570883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EP3666624A1 (en) Steering column device
JP2008055983A (ja) 可動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675150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AU3917899A (en) Electrically controlled clamping device for a system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one member relative to another member
JP559580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488839B2 (ja) アームレスト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成
KR100783756B1 (ko) 자동차용 컬럼의 틸팅잠금장치
KR102267718B1 (ko) 스티어링 컬럼 래치구조
US5165264A (en) Telescopic lock device for a steering wheel in an automobile
JP4936361B2 (ja) 車両用シート等のロック付き操作装置
JP200513882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1304502B1 (ko) 스티어링 컬럼 레버 구조체
KR20160124389A (ko) 스티어링 컬럼
JP504525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8357555B (zh) 车辆转向管柱的倾斜固定装置
JP2588338Y2 (ja)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95125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0343578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
US6460426B1 (en) Hand lever for column shift device
KR100599486B1 (ko) 차량용 틸트컬럼의 캠타입 틸트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