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044A - 고순도의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염의 다단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의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염의 다단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044A
KR20020067044A KR1020027007014A KR20027007014A KR20020067044A KR 20020067044 A KR20020067044 A KR 20020067044A KR 1020027007014 A KR1020027007014 A KR 1020027007014A KR 20027007014 A KR20027007014 A KR 20027007014A KR 20020067044 A KR20020067044 A KR 20020067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roxamine
mesylate
eluate
solv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리빌모스
크조베크졸탄
메조아틸라
Original Assignee
비오갈 기오기스제르갸르 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갈 기오기스제르갸르 알티. filed Critical 비오갈 기오기스제르갸르 알티.
Publication of KR2002006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04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9/0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59/04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out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e.g. hydroxamic acids
    • C07C259/06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out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e.g. hydroxamic acids having carbon atoms of hydroxamic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데페록사민 B 및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와의 혼합물을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고, 클로라이드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염으로 전환시키는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흡착 수지상에서 데페록사민 B의 흡착 및 탈착 단계, 상기 흡착 수지의 유출물로부터 데페록사민 유리 염기의 직접 침전 단계, 상기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와 메탄설폰산의 접촉 단계 및 침전에 의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염의 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페록사민 B의 분해는 최소화된다.

Description

고순도의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염의 다단 제조 방법{A MULTISTAG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PURE DEFEROXAMINE MESYLATE SALT}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데페록사민 B는 인간 혈장내 철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폴리히드록사메이트 철 킬레이터이다:
데페록사민 B(데페리옥사민 B로도 알려져 있음)의 체계적인 화학명은 N'-[5-[[4-[[5-(아세틸히드록시아미노)펜틸]아미노]-1,4-디옥소부틸]히드록시아미노]펜틸]-N-(5-아미노펜틸)-N-히드록시-부탄디아미드이다. 데페록사민 B는 제2 철에 대한 높은 친화성(Ka = 1031)과 함께 칼슘에 대한 매우 낮은 친화성(Ka = 102)이라는바람직한 특성을 보유한다[참조: Goodman 및 Gilman,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1668(9판, 1996)].
데페록사민 B는 수혈 의존성 빈혈로 인한 만성 철 과부화 및 급성 철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데페록사민 B는 탈라세미아와 같은 몇몇 만성 빈혈의 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중 수혈로 인한 제2 철 과부화 환자에서 철 분비를 촉진시킨다. 장기 치료법은 간에서의 철 축적을 둔화시키며, 간 섬유증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제거한다[참조:Physicians Desk Reference2010(54판, 1999)]. 데페록사민 B는 경구 투여하는 경우 잘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비경구로 투여해야만 한다.
데페록사민 B를 생성하기 위한 산업적 규모의 발효법은 스트렙토마이세스 필로서스(Streptomyces pilosus) 박테리아 균주를 이용하는데, 이 균주는 철 이온이 풍부하지 않은 배양 배지 내에서 다양한 폴리히드록사메이트 화합물을 생성하지만, 주로 데페록사민 B를 생성한다(벨기에 특허 제619,532). 데페록사민 B는 일반적으로 발효액으로부터 그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분리된다. 상기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은 사람에게 비경구 투여용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전환시켜야만 한다. 메실레이트 염은 FDA에서 승인한 데페록사민 염이다. 미국 약전 및 국립 지침서(U.S. Pharmacopeia & National Formulary)는 약학 등급의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가 120 ppm 이하의 클로라이드를 함유해야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USP/NF24/19, pp. 499-500 (1999)]. 이는 충족시키기 힘든 표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발효에 의해 생성된 데페록사민 B를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순수한 메실레이트 염으로 전환시키는 개선된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잔존하고 있다.
벨기에 특허 제619,532호는 발효에 의해 획득된 데페록사민 B의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정제 방법은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다. 권장 흡착제는 활성탄, 활성 규조토(예를 들어, 백토) 또는 이온 교환 수지(Asmit)이다. 다른 흡착제로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실리카 겔, 석고 및 이온 교환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벨기에 특허에 의하면, 데페록사민 B는 이동상인 메탄올-물, 피리딘-물 또는 아세트산-메탄올을 이용하여 용출시킬 수 있다.
국제 공개 WO 93/09088 및 유럽 특허 제347,163호는 미생학적인 방법이 아니라 합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데페록사민 B를 정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를 기술하고 있다.
국제 공개 WO 93/03045는 데페록사민 B의 철 킬레이트 착물의 정제 방법을 기술하고 있는데, 이 정제 방법은 폴리스티렌 흡착 수지를 이용한다.
미국 특허 제3,153,621호 및 제3,118,823호는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는 데페록사민 B의 부분 정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들 특허의 교시 내용은 데페록사민 B와 스트렙토마이세스 필로서스 균주에 의해 생성된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의 혼합물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벨기에 특허 제616,139호는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염이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는데, 이는 도웩스-1, X-16 음이온 교환 수지(OH-형태)에 데페록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통과시키는 단계, 수용액중의 생성된 데페록사민 염기에 동일한 양의 메탄설폰산을 첨가하는 단계, 이어서 물을 증발시키는 단계 및 최종적으로 수성 알콜 또는 물-메탄올-아세톤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염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5,374,771호는 미정제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정제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와 다수의 재결정화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메실레이트 염은 메실레이트 짝이온을 보유하는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정제된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직접 제조된다.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는 수용액으로부터 동결건조에 의해 획득된다.
문헌[참조: Bickel, H. 등,Helvetica Chimica Acta, 1385-1389 (1963)]에는 물-알콜 혼합물로부터 다수의 재결정화에 의해 데페록사민 B 염기를 정제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데페록사민 B 염기는 음이온 교환, 증발 건조 및 다수의 재결정화에 의해 제조된다. 이어서, 데페록사민 B 염기는 물-메탄올 혼합물 내에 현탁하고, 광산염을 제조한다. 그 다음, 데페록사민 B 용액은 증발시키고, 잔류물은 물-메탄올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한다.
데페록사민 B 수용액으로부터 클로라이드 이온의 제거는 발효액으로부터 데페록사민 B를 정제하기 위한 상기 방법의 각 단계중 하나이다. 각각의 경우, 클로라이드 이온은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제거된다. 그러나, 이온 교환수지 단독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상태의 순도를 갖기 위해서 요구되는 클로라이드이온이 없는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흡착제로서 실리카 겔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이용하는 상기한 정제 방법은 비효율적이며, 시간 소모적이며,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이다. 다른 종래의 대체물(활성탄, 규조토,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및 석고)은 데페록사민에 대해서는 양호하지 못한 흡착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당업계에는 클로라이드 이온이 존재하지 않거나, 적어도 120 ppm 이상의 양으로 염화 이온이 존재하지 않는 발효액으로부터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획득하기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저렴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들은 약학 생성물에 데페록사민 B를 사용하기 이전에 제거되어야만 하는, 데페록사민 B와 구조적으로 관련된 발효 생성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데페록사민을 함유하는 발효액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은 데페록사민 B 함량에 비해 데페록사민 B와 구조적으로 관련된 폴리히드록사메이트 화합물 약 6 내지 20 몰%를 함유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다른 데페록사민, 예를 들어 데페록사민 A, C, D1, D2, E, F 및 G를 포함한다. 데페록사민 B 및 다른 데페록사민은 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공지된 방법 및 이들의 조합으로는 불순물의 양을 약 2.5% 이하로 감소시킬 수 없다.
불순물의 확인되지 않은 치료 효과 및 가능한 독성 효과 이외에, 주사용 멸균 용액과 같은 용액 내에서 데페록사민 B 농도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이들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USP/NF에는 데페록사민 B 주사 용액이 90.0% 내지110% 사이의 표지된 농도를 함유한다고 기술되어 있다[참조:USP/NF24/19, p. 500].USP/NF에 기술된 농도 결정을 위한 분석은 485 nm에서 철 착물의 광도 흡수 세기 측정이다(Id.). 또한, 구조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불순물은 485 nm 범위를 흡수하여 착물을 형성하여 데페록사민 B 함량의 과대평가를 유발한다. 본 발명자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발효에 의해 획득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용액의 광도 분석 결과, 데페록사민 B 농도가 약 3% 정도 과대평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당업계에는 스트렙토마이세스(예를 들어, 필로서스 또는 101/87)의 대사과정에 의해 형성된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가 존재하지 않고, 클로라이드 이온이 존재하지 않는 발효액으로부터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획득하는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저렴한 방법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관련 출원
본 출원은 1999년 12월 1일 출원된 헝가리 특허 출원 P 99 04454의 U.S.C. §119의 이익을 향유한다.
본 발명은 고순도의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불순물에 의해 야기되는 바람직하지않은 효과를 예방하기 위한 약물의 높은 순도에 대한 요구 및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약물의 효능 결정에서의 정확성에 대한 요구 둘 다는 본 발명에 의해 충족된다. 데페록사민 B를 이용한 실험에서, 본 발명자들은 데페록사민 B와 화학적으로 관련되어있지 않은 발효 부산물 및 극성이 상당히 상이한 관련 물질은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제거될 수 있지만,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는 제거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의 양을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예비 세정 이후에 이루어지는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의 침전에 의해서 달성될 수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데페록사민 B가 증발 건조되는 경우, 분해 생성물이 형성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데페록사민 B는 이상적으로 안정한 고체이나, 농축 용액에서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 데페록사민 B 희석 용액은 증발되기 때문에, 용액 농도는 증가하여 분해를 야기하며, 고화된 저순도의 생성물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분해는 특정 매개변수 내에서 흡착 수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물의 농도와 pH를 조정하고, 이어서 상기 유출물로부터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직접 침전시킴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라이드와 폴리히드록사메이트 불순물 둘 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분해 생성물의 형성을 최소화하고, 그들의 형성이 불가피한 정도까지 그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흡착 수지에 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하고, 물 및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로부터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침전시키고,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염을 형성하고, 물과 메실레이트 염 안티-용매의 혼합물 또는 메탄올과 메실레이트 염 안티-용매의 혼합물로부터 상기 염을 결정화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은 2.5 몰% 미만의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 불순물 및 90 ppm 미만의 클로라이드 이온을 함유하는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형성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미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생성된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원료 물질로부터 고순도의 데페록사민 B를 생성하기위한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정제 방법은 산업적인 규모로 실시할 수 있으며, 기존의 공지된 다른 정제 방법에 비해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다.
데페록사민 B를 생성하기 위한 미생물학적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한 예로 본원에 참고 인용한 미국 특허 제3,158,552호에 개시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552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필로서스는 철 이온 함량이 낮은 액내 배지에서 배양하여 데페록사민의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상기 미생물은 그의 환경으로부터 철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발효의 말미에, 데페록사민 B는 경쟁적 철 이온 킬레이트화제인 8-히드록시퀴놀린을 첨가하여 배양 배지 내에서 Fe3+이온과의 착물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발효액을 여과하여 세포 매스를 제거하고,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획득한다. 추가 처리후, 다른 데페록사민과의 혼합물로 데페록사민 B를 수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552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농축 또는 추출과 같은 처리후, 또는 미국 특허 제5,374,77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처리한 후, 발효액으로부터 획득된 원료 물질에 적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증발된 발효액 추출물은 수성 또는 유기 용매내로 취할 수 있고, 데페록사민 B를 위한 원료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페록사민 B의 원료 물질은 데페록사민 B 농도가 약 5 내지 약 70 g/ℓ,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 g/ℓ인 수용액이다. 상기 정제 방법은 이러한 데페록사민 B 수용액(이하,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 이라 칭함)에 적용되는 것으로 추가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정제 방법은 3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데페록사민 B와 화학적으로 관련이 없는 불순물 및 극성이 상당히 상이한 관련 물질을 흡착 수지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제거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데페록사민 B의 침전에 의해 그의 유리 염기로서 데페록사민 B를 클로라이드 음이온 및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로부터 분리한다. 세번째 단계에서, 유리 염기 형태의 데페록사민 B는 혼합 용매 내에 현탁시키고, 메탄설폰산으로 처리하여 상기 유리 염기를 용해시키고, 그의 메실레이트 염으로 결정화한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불순물의 정제
본 발명의 첫번째 단계에서, 데페록사민 B와 화학적으로 관련이 없는 화합물 및 극성이 상당히 상이한 관련 화합물은 데페록사민 B 원료 물질을 흡착 수지로 이루어진 베드와 접촉시키고, 상기 베드로부터 용출되는 용출물로서 용액 내의 데페록사민 B를 수집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바람직한 흡착 수지는 비치환된 및 치환된 방향족 수지, 소수성기를 보유한 방향족 수지, 아크릴 수지 및 메타크릴 수지이다. 특히 바람직한 흡착 수지의 예로는 FP, HP, SP 및 HPMG 류의 다이아이온(Diaion; 등록상표) 수지(미쯔비시 케미칼 코포레이션) 및 XAD 류의 앰버라이트(Amberlite; 등록상표) 수지(롬앤하스)를 들 수 있으며, 다이아이온 SP 207 및 앰버라이트 XAD 1180이 가장 바람직하다. 데페록사민 B는 물 및 수용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이들 수지로부터 용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은 흡착 수지로 이루어진 별도의 베드를 함유하는 예비 컬럼 및 주 컬럼을 사용한다. 상기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은 소량, 즉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 부피의 약 2/100 내지 6/100의 흡착 수지를 함유하는 예비 컬럼을 통해 일차로 용출된다. 상기 예비 컬럼은 주 컬럼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은 용매를 이용하는 용출없이 상기 예비 컬럼을 통해 통과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단지 소량의 데페록사민 B만이 상기 예비 컬럼으로 통해 흡착되기 때문이다. 또는, 상기 예비 컬럼은 용매를 이용하여 용출시킬 수 있다. 상기 용출물은 물 및 상기한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주 컬럼 상에서 데페록사민 B의 개선된 체류를 위해서는, 사용하는 경우, 상기 용출 용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염수가 바람직하다. 예비 컬럼은 상기 방법의 말미에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수율의 소폭 감소를 유발할 수 있으나, 예비 컬럼의 사용으로 인해 궁극적으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의 순도는 더 높아지며, 주 컬럼의 흡착 수지의 재생이 훨씬 용이해진다는 경제적인 잇점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예비 컬럼을 통해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을 통과시킨후, 상기 용액은 무기 염으로 처리하여 주 컬럼 상에서 데페록사민 B의 흡착을 증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라이드 염 및 설페이트 염은 무기 염이 바람직하며,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암모늄 설페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무기 염은 용액 1 ℓ당 약 2 내지 15 g,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 g이 첨가되어야 한다. 이어서,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은 흡착 수지로 이루어진 베드를 함유하는 주 컬럼 상에 로딩하는데, 이때 상기 흡착 수지의 부피는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 부피의 약 1/20 내지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 부피와 동일한 부피이다. 흡착 수지로 이루어진 베드의 부피는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 부피의 약 1/4 내지 약 3/4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고도로 농축된 미정제 데페록사민 B 용액은 일반적으로 더 희석된 용액 보다는 수지를 덜 필요로 한다. 데페록사민 B는 상기 수지 상에 흡착하며, 데페록사민 B가 제거된 수용액은 베드로부터 배출시키거나 무기 염 용액을 이용하여 베드로부터 제거한다. 이어서, 부분 정제된 데페록사민 B는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용출시킴으로써 흡착 수지로부터 회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혼합물내 유기 용매의 비율은 수지를 기준하여 약 1% 내지 약 70%(v/v),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0%(v/v) 이어야만 한다. 구체적으로, 88:12:3의 물:아세토니트릴:메탄올 혼합물이 앰버라이트 XAD 1180 수지로부터 데페록사민 B를 용출시키기 위한 매우 양호한 용매 혼합물이다.
또한, 구배 용출을 이용하여 임의의 적합한 수지로부터 데페록사민 B를 용출시키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가지 구배 용출 방법은 염수를 이용하여 일차로 용출을 수행한 후, 유기 용출 용매를 함유하는 물을 이용하여 용출을 수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물을 이용하는 일차 용출, 이어서 물-아세토니트릴 또는 물-메탄올 혼합물을 이용한 용출, 필요에 따라 물-에탄올 또는 물-아세톤을 이용하는 후속 용출로 양호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앰버라이트 XAD 1180 수지로부터 데페록사민 B를 용출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한 구배 용출 방법은 염수를 이용하여 일차 용출하고, 이어서 물-아세토니트릴의 90:10 혼합물로 용출한 후, 아세토니트릴의 양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물-아세토니트릴의 80:20 혼합물로 용출하는 방법이다.
구배 용출을 사용하든, 비구배 용출을 사용하든, 용출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하나 이상의 분획내에 함유된 수성 유기 용출물 내에 용해된 데페록사민 B는 주 컬럼으로부터 수집될 것이다. 데페록사민 B 함유 용출물은 필요에 따라 탈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활성탄 또는 양이온 교환 수지(예; 앰버라이트 IRC 50, 듀오라이트(Duolite; 등록상표) C467 및 레와티트(Lewatit; 등록상표) CNP 80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데페록사민 B가 3개 이상의 분획, 즉 초기 용출 분획, 하나 이상의 중간 용출 분획, 및 후기 용출 분획으로 수집되는 경우,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중간 용출 분획(들)은 일반적으로 무색일 것이다. 다만 초기 용출 분획 및 후기 용출 분획만이 착색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탈색 처리의 바람직함은 분획을 어떻게 나누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초기 용출 분획 및 후기 용출 분획 둘 다를 수집하고, 중간 분획(들)과 합하는 경우, 활성탄 및 양이온 교환 수지 둘 다를 이용하여 탈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초기 용출 분획 및 후기 용출 분획은 상이한 탈색 방법에 상이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의 침전
본 발명의 두번째 단계에서,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는 흡착 수지로부터 용출된 용출물로부터 침전된다. 상기 용출물내 데페록사민 B 농도는 상기 수지로부터 데페록사민 B를 용출시키기 위해 사용한 용매 혼합물(들)에 따라 매우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용출물을 증발 건조시켜 상기 염기를 침전시키기 위한 적합한 농도 및 용매 조성을 확정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용출물의 증발 건조가 유익한데, 그 이유는 높은 용액 농도 및 적용된 열에 대한 데페록사민 B의 히드록사메이트기의 불안정성 때문이다. 오히려, 상기 용출물은 후속 과정에 의한 높은 순도 및 높은 수율의 유리 염기의 침전을 위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출물의 데페록사민 B 농도가 약 50 g/ℓ 미만인 경우, 상기 용출물을 부드러운 조건하에서 증발시켜 데페록사민 B의 농도를 약 50 g/ℓ 내지 약 150 g/ℓ, 바람직하게는 약 80 g/ℓ 내지 약 100 g/ℓ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 g/ℓ으로 조정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람직한 유기 용출 용매는 비등점이 물보다 더 낮고, 몇몇 경우에 소량의 물과의 공비혼합물 보다 더 낮고, 따라서 용매 혼합물내 물의 비율은 농축시 증가한다. 이어서, 농축된 용출물은 농출된 용출물 부피의 약 0.5 내지 약 1.5배량의 아세토니트릴로 희석한다. 이 단계에서 아세토니트릴의 첨가는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또는 설페이트, 사용된 무기 염의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의 침전을 방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물 및 아세토니트릴(및 필요에 따라 다른 유기 용출물 용매) 중에서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농도 조정된 용출물은 pH를 약 8.6 내지 10.5, 더 바람직하게는 약 9.4 내지 약 10.0으로 조정한다. pH는 염기성 이온 교화 수지 또는 수성 알칼리성 용액의 첨가 또는 둘 다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적합한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로는 IRA 시리즈의 앰버라이트 수지 및 WK 시리즈의 다이아이온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앰버라이트 IRA 67(OH-형태)이 가장 바람직하다. 적합한 알칼리성용액은 NaOH 용액, KOH 용액, 암모니아 용액 또는 아민 용액을 들 수 있으며, 진한 수성 암모니아가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pH-조정 기법에서, 농도 조정된 용출물의 pH를 먼저 테스트한다. 상기 pH가 8.0 이하인 경우, 상기 pH는 앰버라이트 IRA 67(OH-형태)와 같은 염기성 이온 효관 수지를 이용하여 약 8.0 내지 9.3으로 조정한다. 이어서, 상기 수지는 분리하고, 수성 암모니아는 첨가하여 농도 조정된 용출물의 pH를 약 9.4 내지 10.0으로 조정한다.
pH-조정후,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의 결정화는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안티-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톤을 첨가함으로써 유도된다. 바람직한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안티-용매는 아세토니틸 및 아세토니트릴-아세톤 혼합물이다. 본원에 사용한 용어 "안티-용매"는 화합물이 거의 용해되지 않는 액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 안티-용매는 액체내에서 특정 화합물의 용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 부류의 안티-용매, 즉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안티-용매 및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를 사용한다.
pH-조정된 용출물에 대한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안티-용매의 첨가 속도는 중요한 사항은 아니나, 첨가 속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더 큰 결정이 생성되고, 더 순수한 결정성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생성 규모에서, 실질적인 첨가 속도는, 증가된 결정 크기 및 더 높은 순도가 더 낮은 첨가 속도에서도 실현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1 시간당 pH-조정된 용출물 부피의 약 0.5 내지 약 2배이다. 첨가된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안티-용매의 총량은 pH-조정된 용출물 부피의 약 1.5 내지 10배가 바람직하며, 약 2 내지 8배가 더 바람직하며, 약 2.5 내지 5배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의 온도는, 약 0℃ 내지 약 20℃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정화중 임의 지점에서 약 -20℃ 내지 약 40℃로 유지할 수 있다.
결정화가 완료된 후,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결정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 예를 들어 여과 또는 경사분리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리 염기의 결정은 재결정화에 의해 추가로 정제할 수 있다. 또한, 아세토니트릴-물 혼합물이 재결정화를 위해 양호한 용매계이다.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의 결정화
본 발명의 방법의 3번째 단계에서, 결정화된 유리 염기는 혼합 용매에 현탁된다. 이어서, 메탄설폰산을 상기 현탁액에 첨가하여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용액 내로 이동시킨다.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의 용해가 완료된 후, pH가 약 3 내지 약 6,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4.5에 이를 때까지 메탄설폰산을 첨가한다. 이어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침전시킨다.
데페록사민 B를 현탁시키기 위해 적합한 혼합 용매는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용매, 물 또는 메탄올, 및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의 혼합물이다.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로는 C1-C7지방족 알콜, 아세톤, 메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아세토니트릴을 들 수 있다. 혼합 용매의 극성 용매 성분, 즉 메탄올 또는 물은 안티-용매 성분과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1:1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의 비율로 혼합한다. 바람직한 혼합 용매는 물-에탄올 혼합물, 물-아세토니트릴 혼합물, 메탄올-에탄올 혼합물 및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물-에탄올 1:5 혼합물 및 메탄올-에탄올 1:3 혼합물이다. 유리 염기를 현탁시키기 위해 사용해야만 하는 혼합 용매의 부피는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1 kg 당 약 5 내지 약 20 ℓ, 더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15 ℓ이다.
현탁액을 형성한 후, 현탁액에 메탄설폰산을 첨가한다. 필요한 메탄 설폰산의 양은 상기 염기에 산 1 당량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양을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는, 1 당량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메탄설폰산의 양은 산의 첨가중 현탁된 상태로 잔류하는 용해되지 않은 유리 염기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는, 메탄설폰산을 서서히 첨가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현탁된 염기가 산과 반응하는 속도는 결정의 표면적에 의해 제한된 속도이기 때문이다. 모든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가 용해된 후, 용액의 pH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추가의 메탄설폰산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약 3 내지 약 6,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4.5로 조정한다. 원하는 pH에 도달한후,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결정을 침전시킨다.
침전 과정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용액은 약 -20℃ 내지 약 10℃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침전은 상기 혼합물에 더 많은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를 첨가함으로써, 즉 C1-C7지방족 알콜, 아세톤, 메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함으로써 촉진시킬 수 있다. 침전이 완료된 후,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여과 또는 경사분리에 의해 분리한다.
이상과 같이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였으며,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추가 기술한다.
개요
HPLC 조건(역상): 컬럼: C18, 입자 크기 10 μ, 길이 250 mm, 직경 4.6 mm; 이동상: 5.5% THF/물, 0.13% (NH4)H2PO4(w/v), 0.04% 나트륨 에데테이트(w/v); 유속: 2 ml/분; 검출: UV λ= 220 nm.
실시예 1
데페록사민 B 5.30 kg을 함유하는 미정제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7.88 kg)를 물(362 ℓ)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수용액은 10 ℓ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내의 같은 부피의 다이아이온 SP 207 흡착 수지(미쯔비시 케미칼 코포레이션)을 통해 14 ℓ/h의 유속으로 통과시켰다. 용출물은 데페록사민 5.04 kg을 함유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출물에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5 g/ℓ의 양으로 첨가하였는데,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은 앰버라이드 XAD 수지(132 L)(롬앤하스)를 함유하는 컬럼상에 로딩하고, 염수를 이용하여 베드 내로 진입시켰다. 상기 컬럼은 10% 아세토니트릴-물, 이어서 20% 아세토니트릴-물을 이용하여 유속 14 ℓ/h로 용출시켰다. 용출물은 분획으로 수집하였다. 주 분획은 데페록사민 B 4.53 kg을 함유하는 데페록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용액을 산출하였다. 이어서, 주 분획은 활성탄(45 g) 및 듀오라이트 C 467(롬앤하스) 이온 교환 수지(H+형태)로 탈색하여 데페록사민 B 4.03 kg을 함유하는 데페록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용액을 산출하였다.
탈색된 용출물은 데페록사민 B 농도 90 g/ℓ로 증발시켰다. 이어서, 농축된 용출물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앰버라이드 IRA 67(OH-형태)(롬앤하스)를 첨가하여 염기성을 pH 8.0-9.3으로 조정하였다.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pH-조정한 후, pH는 수성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pH를 9.4 내지 10.0으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데페록사민 유리 염기는 상기 용액에 2 부피의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온도를 -5℃로 냉각시킴으로써 침전시켰다. 결정화는 수 시간후에 완료되었다. 데페록사민 유리 염기의 결정은 여과로 분리하고, 아세토니트릴-물(1:1) 내에 현탁시키고, 다시 여과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데페록사민 유리 염기 3.81 kg을 산출하였다. HPLC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유리 염기의 순도는 97%였다. 클로라이드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USP 화학 테스트 <221>을 수행한 후, 침전된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의 클로라이드 함량은 60 ppm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참조: USP/NP 24/19, pp. 1857-1858 (1999)].
데페록사민 유리 염기는 에탄올과 물의 14:3 혼합물(42.5 ℓ) 내에 현탁시켰다. 용해된 유리 염기 및 용액의 pH가 3.7 내지 5가 될때까지 상기 현탁액에 묽은 메탄설폰산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에 에탄올(200 ℓ)을 첨가하여 메실레이트 염을 침전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10℃로 냉각하고, 수 시간 동안 -10℃로 유지하였다. 생성된 결정은 여과로 분리하고, 에탄올(50 ℓ)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3.4 kg을 얻었다. HPLC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상기 메실레이트는 불술물 1.84 중량%를 함유하고 있었다. 칼-피셔 분석법으로 결정한 수분 함량은 0.2 몰%였다[참조: USP/NF 24/19, pp. 2003-2004 (1999)]. 착색에 대한 등급을 정하는 유럽 약전 기준에 따라 측정한 바와 같이, 착색은 Y5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실시예 2
데페록사민 B 587 g을 포함하는 미정제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707 g)를 물(10 ℓ)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은 다이아이온 SP 207 흡착 수지(1 ℓ)를 함유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통해 유속 0.35 ℓ/h로 통과시켰다. 컬럼으로부터 용출된 용출물은 데페록사민 B 562 g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용출물은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내의 앰버라이트 XAD 1180 흡착 수지(7.2 ℓ)로 이루어진 베드 상에 로딩하였다. 상기 베드는 먼저 10 g/ℓ수중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5.6 ℓ, 그 다음 1:4 메탄올-물 혼합물을 이용하여 유속 0.7 ℓ/h로 용출시켰다. 데페록사민 B(432 g)는 단일 분획으로 수집하였다. 이 분획은 활성탄(40 g) 상에서 교반하여 탈색시키고, 여과하였다. 탈색된 용출물은 증발시켜 데페록사민 B 농도를 60 g/ℓ로 만들었다.
이어서, 동일한 부피의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용액의 pH가 9.8이 될 때까지 진한 수성 암모니아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4 부피의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침전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은 -4℃로 냉각하고, 감소된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으며, 그후 결정을 여과 분리하였다. 이어서, 분리된 결정은 1:1 물-아세토니트릴내에 현탁시키고 여과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세척하였다. 결정은 상압 및 40℃에서 건조하여 순도가 95.2%(HPLC로 측정함)이고, 클로라이드 함량이 60 ppm 미만인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341 g)를 얻었다.
이어서, 데페록사민 B 염기는 에탄올(3.1 ℓ) 및 물(0.46 ℓ)의 혼합물 내에 현탁시켰다. 메탄설폰산을 서서히 첨가하여 데페록사민 B를 용해시키고, 용액의 pH를 3.5로 조정하였다. 상기 용액에 에탄올 30 ℓ를 더 첨가하여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침전시켰다. 이어서, 생성된 현탁액은 -5℃ 내지 0℃로 냉각시키고, 감소된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유시시켰다. 결정은 여과 분리하고, 에탄올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HPLC 분석으로 측정된 순도가 98%(w/w)인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299 g)를 얻었다.
실시예 3
데페록사민 B 530 g을 함유하는 미정제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760 g)은 40℃에서 1:1 아세토니트릴-물(14 ℓ) 내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생성된 용액을 여과하고, 진한 수성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pH를 9.9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 아세토니트릴(49 ℓ)을 첨가하여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침전시켰다. 그 다음, 생성된 현탁액을 17℃로 냉각하고, 감소된 온도에서 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침전은 여과 분리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하여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403 g)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염기를 물(20 ℓ)에 현탁하고, 염산을 서서히 첨가하여 상기 염기를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5.0 내지 5.5로 조정하였다.
상기 용액은 크로마토그래피 컬럼내의 앰버라이트 XAD 1180 흡착 수지(7.2 ℓ)로 이루어진 베드에 로딩하고, 25% 아세토니트릴-물로 용출시켰다. 데페록사민 B(320 g)는 단일 분획을 수집하였다.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용출물은 활성탄(10 g) 상에서 탈색시켰다. 여과후, 데페록사민 B 305 g을 함유하는 탈색된 용출물을 약 110 g/ℓ로 농축시켰다. 이어서, 상기 용액에 동일한 부피의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였다. 앰버라이트 IRA 67 음이온 교환 수지(OH-형태)를 첨가하여 상기 용액의 pH를 8.6 내지 9.0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용액에 수성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침전시켰다. 상기 현탁액의 pH가 9.8이 될 때까지 계속 첨가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4℃로 냉각하고, 감소된 온도에서 수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결정은 여과 분리하고, 아세토니트릴-물의 1:1 혼합물내에 현탁하고, 다시한번 여과한 후, 감압하에서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된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분말로 만든 후, 실시예 1의 마지막 문단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메실레이트 염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였다. 분말로 만든 유리 염기의 순도는 HPLC 분석 결과 97.8%(w/w) 였다. 상기 물질을 이용하여 획득한 메실레이트 염은 0.96%의불순물(HPLC 분석에 따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클로라이드 함량은 60 ppm 미만이었다.
실시예 4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는 실시예 2의 과정에 따라 미정제 데페록사민 B로부터 분리하였으나,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는 15% 에탄올-물, 이어서 25% THF-물을 이용하여 앰버라이트 XAD 1180 흡착 수지로 이루어진 베드로부터 용출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238 g)는 불순물 함량이 1.73(w/w)(HPLC 분석에 따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미정제 데페록사민 B 히드로클로라이드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용출물을 90 g/ℓ로 농축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탈색한 후, 탈색된 용출물은 각각 데페록사민 B 40 g을 함유하는 3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분할하였다. 각각의 부분은 안티-용매로 희석하였다. 한 부분은 동일한 부피의 메탄올로 희석하고, 다른 부분은 동일한 부피의 에탄올로 희석하고, 또 다른 부분은 동일한 부피의 아세톤으로 희석하였다. 수성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각 부분의 pH를 8.6 내지 10.1로 조정하여 용액으로부터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분리하였다. 각각의 부분에 상기 부분 부피의 3배 부피의 아세토니트릴-안티-용매 1:1 혼합물, 즉 아세토니트릴-메탄올, 아세토니트릴-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아세톤을 첨가하여 침전을 완료시켰다. 이어서, 현탁액은 -20 내지 -5℃로 냉각하고,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는 각각의 현탁액으로부터 여과 분리하였다. 결정은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세척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유리 염기를 메실레이트로 전환시켜, 미정제 데페록사민 B 40 g으로부터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24 내지 28 g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데페록사민 B의 불순물 함량은 1.1 내지 1.5%(w/w) 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방법을 수행하였으나, 미정제 데페록사민 B는 설페이트 음이온을 함유하였으며, 앰버라이트 XAD 1180 수지는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대신에 수성 암모늄 설페이트로 세척하였으며, 이어서 메탄올-물 1:4 혼합물 대신에 10% 아세토니트릴-물로 용출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염(261 g)의 불순물 함량은 HPLC로 측정한 결과 1.4%(w/w) 였다.
실시예 7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의 현탁액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기술된 바와 같이 4℃로 냉각하였다.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34.1 g을 함유하는 현탁액 1/10 부분을 36℃로 가열하고, 승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유리 염기를 회수하였다. 이어서, 회수한 결정을 건조하고, 실시예 2에 기술한 바와 같이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로 전환하였다. 생성물(27 g)의 불순물 함량은 HPLC 분석 결과 1.4%(w/w) 였다.
실시예 8
실시예 2의 첫번째 문단과 두번째 문단에 기술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였으나, 데페록사민 B 43.2 g을 함유하는 용출물의 부분은 탈색하지 않았다. 유리 염기는 상기 용출물의 분획으로부터 2회 침전시켰다. 데페록사민 B는 실시예 2의 두번째 문단에 기술된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침전시켰다. 이어서, 일단 침전된 데페록사민 B 염기는 아세토니트릴:물의 1:1 혼합물 내에서 40 내지 50 g/ℓ로 현탁시켰다. 이어서, 상기 현탁액에 1몰의 염산을 서서히 첨가하여 데페록사민 B를 용해시켰다. 그 다음,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는 실시예 2의 두번째 문단에 기재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용액으로부터 재침전시켰으며, 실시예 2의 세번째 문단에 기재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메실레이트 염으로 전환시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27 g을 얻었다. 생성물의 색은 실시예 2의 생성물의 색과는 구별할 수 없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과정을 따라, 미정제 데페록사민 B를 크로마토그래피하고, 데페록사민 B(45.3 g)를 함유하는 용출물을 탈색시켰다. 탈색된 용액은 90 g/ℓ로 농축시키고, 다이아이온 SP 207 흡착 수지로 이루어진 베드를 통해 통과시켰다. 실시예 1의 두번째 문단과 세번째 문단에 기재된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유리 염기를 침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를 메실레이트로 전환시켜 HPLC 분석에 따른 불순물 함량이 1.46%(w/w)인 메실레이트 31.5 g을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과정을 수행하였으나, 에탄올 200 ℓ 대신에 아세토니트릴 200 ℓ를 이용하여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를 침전시켰다.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의 수율은 94.7%였다.
실시예 1의 과정을 수행하였으나, 에탄올 대신에 프로판올, 부탄올, 아밀 알콜, 헥산올 및 헵탄올을 이용하여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침전시켜 수율 83.1 내지 89.1%로 메실레이트를 얻었다.
에탄올 대신에 에틸 포르메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헥산 및 THF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과정을 수행하여 88.1 내지 93.1%의 수율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얻었다.
실시예 1의 과정에 대한 이들 각각의 변형에서, HPLC로 측정한 결과 불순물은 2.5%(w/w)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는 메탄올 및 메탄올과 다른 용매의 혼합물로부터 81.3 내지 93.7%로 재결정화하였다. 재결정화는 35℃에서 메탄올 8.5 부피 내에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용해시킨후, 이어서 실온에서 하기 용매중 하나의 용매를 첨가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 포르메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헥산, 톨루엔, THF 또는 아세토니트릴. 재결정화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의 불순물 함량은 일반적으로 1.2 내지 1.6%(w/w) 였으며, 이는 재결정화 이전의 불순물 함량 1.84%(w/w) 보다 낮은 양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체예 및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을 변형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의도되는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6)

  1. (a) 원료 물질과 흡착 수지를 접촉시킴으로써 흡착 수지상에 데페록사민 B를 흡착시키는 단계;
    (b) 물과 수용성 유기 용출 용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부에 데페록사민 B가 흡착되어 있는 흡착 수지를 용출시킴으로써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용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c)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또는 알칼리성 용액, 또는 둘 다를 이용하여 상기 용출제의 pH를 약 8.6 내지 10.5 사이로 조정하는 단계;
    (d) 필요에 따라, 상기 용출물을 데페록사민 B 농도 150 g/ℓ이하로 부분 농축한후에,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 안티-용매를 첨가하여 pH-조정된 용출물로부터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결정화하는 단계;
    (e)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 및 물과 메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내에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현탁시키는 단계;
    (f) 상기 현탁액과 메탄설폰산을 접촉시킴으로써 혼합 용매내에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를 용해시키는 단계; 및
    (g)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침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생성된 데페록사민 B를 함유하는 원료 물질로부터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를 분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흡착 수지로 이루어진 예비 컬럼 베드를 통해 원료 물질을 통과시키는 예비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물질에 무기염을 첨가하는 예비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이 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암모늄 설페이트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지는 물, 및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과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용출시키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가 아세토니트릴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의 pH를 조정하기 이전에 상기 용출물을 탈색하는 중간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의 pH를 조정하기 이전에 상기 용출물의 데페록사민 B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증발에 의해 상기 용출물내 데페록사민 B 농도를 약 50 g/ℓ 내지 약 150 g/ℓ로 조정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페록사민 B 농도를 약 80 g/ℓ 내지 약 100 g/ℓ로 조정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페록사민 B 농도를 약 90 g/ℓ로 조정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정 이후 및 pH 조정 이전에 상기 용출물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의 pH는 약 9.4 내지 약 10으로 조정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의 pH는 알칼리성 용액의 첨가에 의해 조정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용액은 NaOH 용액, KOH 용액, 암모니아 용액 또는 아민 용액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용액이 수성 암모니아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의 pH는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의 pH는 pH가 약 8.0 내지 약 9.3에 도달할 때까지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를 첨가하고, 상기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고, pH가 약 9.4 내지 10에 도달할 때까지 수성 암모니아를 첨가함으로써 약 9.4 내지 약 10으로 조정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가 현탁된 혼합 용매가 물, 및 C1-C7지방족 알콜, 아세톤, 메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가 에탄올,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데페록사민 B 유리 염기가 현탁된 혼합 용매가 메탄올, 및 C1-C7지방족 알콜, 아세톤, 메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가 에탄올,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의 침전이 냉각에 의해 가속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의 침전이 C1-C7지방족 알콜, 아세톤, 메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 안티-용매를 첨가함으로써 가속되는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의 클로라이드 이온 함량이 약 90 ppm 이하인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된 데페록사민 B 메실레이트의 다른 폴리히드록사메이트의 함량이 데페록사민 B의 몰수를 기준하여 약 2.5 몰% 미만인 방법.
KR1020027007014A 1999-12-01 2000-11-30 고순도의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염의 다단 제조 방법 KR200200670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9904454A HU227315B1 (en) 1999-12-01 1999-12-01 Process having several steps for producing deferoxamine mesilate of high purity
HUP9904454 1999-12-01
PCT/US2000/032574 WO2001040164A1 (en) 1999-12-01 2000-11-30 A multistag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pure deferoxamine mesylate sal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044A true KR20020067044A (ko) 2002-08-21

Family

ID=9000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014A KR20020067044A (ko) 1999-12-01 2000-11-30 고순도의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염의 다단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235791A4 (ko)
JP (1) JP2003515579A (ko)
KR (1) KR20020067044A (ko)
CN (1) CN1433399A (ko)
AU (1) AU1935101A (ko)
CA (1) CA2392925A1 (ko)
CZ (1) CZ20021823A3 (ko)
HU (1) HU227315B1 (ko)
MX (1) MXPA02005377A (ko)
PL (1) PL355328A1 (ko)
RU (1) RU2002114073A (ko)
SK (1) SK7472002A3 (ko)
WO (1) WO2001040164A1 (ko)
YU (1) YU39602A (ko)
ZA (1) ZA2002040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4374A (zh) * 2020-05-13 2020-08-18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四医学中心 注射用甲磺酸去铁胺在治疗增龄性骨丢失及骨髓干细胞衰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38351A (de) * 1959-09-25 1967-06-30 Ciba Geigy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Wuchsstoffe
FR1898M (fr) * 1961-04-07 1963-07-08 Ciba Geigy Nouvelle substance utilisable en thérapeutique.
WO1993003045A1 (en) * 1991-08-09 1993-02-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ocess for purer organic metal ion chelate complexes
US5254724A (en) * 1991-10-30 1993-10-19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for synthesis of desferrioxamine B, analogs and homologs thereof
HU214452B (hu) * 1992-06-01 1998-03-30 BIOGAL Gyógyszergyár Rt. Eljárás nagytisztaságú deferoxamin-B-sók előállításá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227315B1 (en) 2011-03-28
EP1235791A4 (en) 2006-03-08
CA2392925A1 (en) 2001-06-07
CN1433399A (zh) 2003-07-30
MXPA02005377A (es) 2002-12-05
ZA200204030B (en) 2003-05-21
HUP9904454A2 (hu) 2001-08-28
CZ20021823A3 (cs) 2003-02-12
YU39602A (sh) 2005-07-19
SK7472002A3 (en) 2003-03-04
PL355328A1 (en) 2004-04-19
EP1235791A1 (en) 2002-09-04
JP2003515579A (ja) 2003-05-07
HU9904454D0 (en) 2000-02-28
RU2002114073A (ru) 2004-01-20
WO2001040164A1 (en) 2001-06-07
AU1935101A (en) 2001-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1870A (en) Process for purifying anthracyclinone glycosides by selective adsorption on resins
EP1155034B1 (en) Formation and anion-exchange of inner crystalline echinocandin b ammonium salts
US20130303754A1 (en) Refining process of cefamandole sodium
EP1612216B1 (en) Process of purifying vancomycin hydrochloride
JP4729047B2 (ja) 純粋なバンコマイシン塩酸塩
EP1734042B1 (en) Acid cefotetan totally solvent free and method for obtaining same
US5853720A (en) Combined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vancomycin hydrochloride
ITRM930147A1 (it)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sali dell&#39;acido clavulanico.
US6858414B2 (en) Multistag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pure deferoxamine mesylate salt
EP2081926B1 (en) Pr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mupirocin calcium
KR20020067044A (ko) 고순도의 데페록사민 메실레이트 염의 다단 제조 방법
CN113045611A (zh) 一种高纯度盐酸林可霉素的制备方法
JP2728482B2 (ja) マクロライド系抗生物質の精製法
EP0096013B1 (en) Salts of erythromycin showing a combined therapeutic activity,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US6767998B2 (en) Method for preparing purified erythromycin
CN112940083A (zh) 一种高纯度硫酸多粘菌素b1晶型及其制备方法
JPH0737434B2 (ja) 7−ジメチルアミノ−6−デメチル−6−デオキシテトラサイクリンの採取法
JPH0673085A (ja) デカプラニン塩溶液および結晶デカプラニン塩ならびにそれらの調製方法
JPH0196190A (ja) 6−0−アルキル−エリスロマイシンa サイクリック11,12−カーボネート
JPH043782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