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368A -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368A
KR20020066368A KR1020010086654A KR20010086654A KR20020066368A KR 20020066368 A KR20020066368 A KR 20020066368A KR 1020010086654 A KR1020010086654 A KR 1020010086654A KR 20010086654 A KR20010086654 A KR 20010086654A KR 20020066368 A KR20020066368 A KR 20020066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rap
mobile phone
mounting
strap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요코다
Original Assignee
유키오 요코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오 요코다 filed Critical 유키오 요코다
Publication of KR2002006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3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둘로 접어 수납 가능한 휴대전화기를 밸런스좋게 유지할 수 있는 스트랩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200)는 회전축(110)을 거쳐 접기 가능한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설치구 본체(210)와, 이 설치구 본체(2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쪽 끝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트랩설치부(230)로 이루어지고, 설치구 본체(210)가 접었을 때의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간극부분에 개재하도록 평판형상부재로 구성되고, 스트랩설치부(230)의 돌출부위에 스트랩(300)을 설치하기 위한 스트랩설치수단(233)(천공)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THE STRAP ATTACHMENT IMPLEMENT FOR A CELLULAR PHONE AND THE CELLULAR PHONE WITH A STRAP ATTACHMENT IMPLEMEN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표시화면을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제 2 부재가 회동축을 거쳐 둘로 접어 수납 가능하게 설치된 휴대전화기에서의 스트랩설치구조에 적합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본체의 4개의 모서리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있어서, 측면 및 이면에 걸쳐 관통한 관통부분을 설치하여 이 관통부분에 스트랩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상기한 둘로 접어 수납 가능한 휴대전화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둘로 접어 수납 가능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스트랩설치구조에 의해 스트랩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밸런스가 좋지 않아 운반이 불편하다.
또 종래 스트랩의 설치는, 상기한 휴대전화기의 본체부분에 설치된 설치구조에 의한 것 밖에 생각되어 있지 않아 휴대전화기 본체에 새로운 스트랩구조를 부가하는 것은 고안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본 발명의 과제는 둘로 접어 수납 가능한 휴대전화기를 밸런스 좋게 유지할 수 있는 스트랩설치구조를 고찰하여 이와 같은 스트랩설치구조를 발휘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휴대전화기의 접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의 스트랩설치구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a-a선 화살표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전화기 본체 110 : 회동축
120 : 제 1 부재 121 : 표시화면
130 : 제 2 부재 131 : 조작버튼
200 : 스트랩설치구 210 : 설치구 본체
210a : 표면 211 : 점착층
220 : 박리지 230 : 스트랩설치부
230a : 돌출하는 부분(만곡부분) 230b : 끝부
231 : 보강부재(보강수단) 233 : 천공(스트랩 설치수단)
300 : 스트랩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로서의 특징은, 표시화면(121) 등을 포함하는 제 1 부재 (120)와 조작버튼(131)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재(130)가 회동축(110)을 거쳐 접기 가능하게 설치된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하도록 설치된 설치구 본체(210)와, 이 설치구 본체(2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쪽 끝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스트랩설치부(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구 본체(210)는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간극부분에 개재하도록 평판형상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설치부(230)에는 상기 돌출부위에 스트랩(300)을 설치하기 위한 스트랩설치수단(233)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랩설치구는, 설치구 본체(210)를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하면 그 양쪽 끝으로부터 스트랩설치부(230)가 돌출하여 그 스트랩설치부(230)에 설치된 스트랩설치수단(233)에 스트랩(300)을 설치함으로써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그 양쪽 끝으로부터 스트랩(300)에 의하여 유지할 수 있어 그 밸런스가 우수하다. 또한 이 2개의 스트랩설치부(230)는 설치구 본체(210)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양자의 설치위치에 언밸런스를 일으키기 어렵다. 또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있어서도 그 설치구 본체(210)는 휴대전화기 본체 (100)의 제 1 부재(120)와 제 2 부재(130)의 간극부분에 존재하도록 평판형상부재로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접기의 지장이 되는 일이 없다. 또 다른 기종 등이더라도 가로폭 등이 일정범위의 것이면, 상기 스트랩설치수단(233)이 양쪽 끝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구 본체(210)를 설치할 수 있어 여러가지의 휴대전화기이더라도 상기 스트랩설치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스트랩설치구에 있어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트랩설치수단으로서 천공(233)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천공(233)을 이용하여 스트랩(3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평판형상부재로 이루어지는 설치구 본체(210)에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한 스트랩설치부(230)에 천공(233)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스트랩설치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트랩설치구에 있어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트랩설치부(230)에는 적어도 상기 천공부분(233)에 고무,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수단(231)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천공(233)을 이용하여 스트랩(300)을 설치하여도 상기 천공(233)은 보강수단(231)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천공 (233)의 파손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구 본체(210)를 평판형상부재로 구성하고, 이것에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된 스트랩설치부(230)에 천공(233)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평판형상부재에 비하여 이러한 천공부분(233)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즉 평판형상부재는 이와 같은 부착부위의 강도에 구애되지 않고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간극부분에 적합한 두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보강수단(231)은 예를 들면 스트랩설치부(230)의 표면 또는/ 및 이면에 부설(부착이나 압착 등)된 고무, 금속 등의 보강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에도 상기 천공(233)에 대응하는 부분에 천공을 형성하게 되나, 이 경우에는 상기 스트랩설치부(230)의 천공형성시에 동시에 보강부재의 천공도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에 있어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치구 본체(210)의 이면에는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하도록 점착층(211)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하면 설치구 본체(210)를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그 점착층 (211)을 가지고 부착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에 있어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0a)이 인자 또는 인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0a)에 광고나 그 이용자가 좋아하는 디자인 등을 인자 또는 인쇄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에 있어서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치구 본체(210)가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 부근에설치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스트랩설치부(230)는 설치구 본체(210)로부터 돌출하는 부분(230a)이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설치구 본체(210)를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 부근에 설치할 수 있어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그 회동축 (110) 부근에 스트랩설치수단(233)이 위치함으로써 그 밸런스가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에 있어서 그 양측의 회동축(110)부재가 약간 커져 있는 것이더라도 정확하게 회동축(110)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로서의 특징은, 휴대전화기본체(100)가 표시화면(121) 등을 포함하는 제 1 부재(120)와 조작버튼(131)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재(130)가 회동축(110)을 거쳐 접기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스트랩설치수단(233)을 가지는 휴대전화기로서 스트랩설치수단(233)은 휴대전화기 본체 (100)의 회동축(110) 부근에서, 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측에 스트랩설치수단(23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스트랩설치수단(233)에 스트랩 (300)을 설치함으로써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그 양쪽 끝으로부터 스트랩 (300)에 의해 유지할 수 있어 그 밸런스가 우수하다. 또한 이 스트랩설치수단 (233)은 회동축(110) 부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밸런스적으로 우수하다는이점을 가진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쪽 끝으로부터 스트랩설치부(230)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어 스트랩설치수단으로서 상기 스트랩설치부(230)에 천공(233)이 형성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천공(233)을 이용하여 스트랩(3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설치구 본체(210)와, 스트랩설치수단(233)이 설치된 스트랩설치부(230)로 이루어지는 스트랩설치구를 구비하고, 설치구 본체(210)가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휴대전화기 본체 (100)의 간극부분에 있는 평판형상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판형상부재에 스트랩설치부(230)를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하여 설치하고, 이 스트랩설치부(230)에 천공(233)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스트랩설치수단을 형성할 수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트랩설치부(230)에는 적어도 천공부분(233)에 고무, 금속 등의 보강수단(231)이 설치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천공(233)을 이용하여 스트랩(300)을 설치하여도 상기 천공(233)은 보강수단(231)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천공 (233)의 파손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구 본체 (210)를 평판형상부재로 구성하고, 이것에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된 스트랩부착부(230)에 천공(233)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평판형상부재에 비하여 이와 같은 천공부분(233)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즉 평판형상부재는 이와 같은 부착부(230) 부위의 강도에 구애되지 않고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간극부분에 적합한 두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설치구 본체(210)와, 스트랩설치수단(233)이 설치된 스트랩설치부(230)로 이루어지는 스트랩설치구(200)를 구비하고, 설치구 본체 (210)가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간극부분에 있는 것 같은 평판형상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설치부(230)는 설치구 본체 (210)의 양쪽 끝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스트랩(300)이 설치되는 2개의 스트랩설치부(230)가 설치구 본체(210)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양자의 설치위치에 언밸런스를 일으키기 어렵고, 설치하였을 때의 밸런스가 우수하다. 또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있어서도 그 설치구 본체(210)는 휴대전화기 본체 (100)의 제 1 부재(120)와 제 2 부재(130)의 간극부분에 존재하도록 평판형상부재로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접기의 지장이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됨으로써 다른 기종 등, 여러가지의 휴대전화기이더라도 상기와 같은 스트랩설치구 (200)를 설치함으로써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치구본체(210)의 이면에는 점착층(211)이 형성되고, 이 설치구 본체(210)가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하면 설치구 본체(210)를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그 점착층 (211)을 가지고 부착함으로써 간단하게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0a)이 인자 또는 인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0a)에 광고나 그 이용자가 좋아하는 디자인 등을 인자 또는 인쇄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쪽 끝으로부터 스트랩설치수단(233)을 가지는 스트랩설치부(230)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랩설치부(230)는 상기 돌출하는 부분(230a)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에 있어서 그 양측의 회동축(110)부재가 약간 커져 있는 것이더라도 정확하게 회동축(110)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 때문에 밸런스가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작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휴대전화기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의 스트랩설치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 화살표 단면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는 폴더식의 휴대전화기 본체 (100)와, 이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랩설치구(200)로 이루어지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상기 스트랩설치구(200)의 스트랩설치수단 (233)에 스트랩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 본체(100)는 표시화면(121) 및 음성출력부(123)가 설치된 제 1 부재(120)와, 여러가지의 조작버튼(131) 및 음성입력부(133)가 설치된 제 2 부재(130)가 회동축(110)을 거쳐 접기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제 1 부재(120)와 제 2 부재(130)는 접었을 때에 있어서 약간의 간극을 가진다.
상기 스트랩설치구(200)는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의 안쪽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나,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화면(121)을 가지는 제 1 부재(120)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랩설치구 (200)는 제 1 부재(120)에 있어서 표시화면(121)과 회동축(110) 사이에 있어서 설치되어 있고, 회동축(110)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설치구(2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설치구 본체(210)와, 이 설치구 본체(210)의 양쪽 끝에 일체로 설치되어 스트랩설치수단(233)이 형성된 스트랩설치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구 본체(2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제 1 부재(120) 및 제 2 부재(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극부분에 개재되는 두께의 평판형상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설치구 본체(21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에 점착층(2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점착층(211)에 의하여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점착층(211)의 점착력은 설치된 스트랩(300)을 유지하였을 때에 휴대전화기 본체(100)와 설치구 본체(210)가 뜻하지 않게 이탈하지 않고, 또한 이용자가 떼어 낼 때에 떼어내기 가능한 정도의 점착력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에 있어서는 설치구 본체(210)에는 그 이면의 점착층(211)에 박리지(22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박리지(220)를 떼어 낸 후에 예를 들면 이용자가 상기 설치구 본체(210)를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부착함으로써 스트랩설치구(200)를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구 본체(210)는 그 표면(210a)이 인쇄 또는 인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설치구 본체(210)[의 적어도 표면(210a)]는 놋쇠등으로 이루어지고, 이 때문에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Oa)은 예를 들면 광고, 디자인 등을 인쇄 또는 인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설치부(230)는, 상기 설치구 본체(210)의 양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트랩설치구(200) 자체가 1매의 판을 일정형상으로 펀칭하여 형성되고, 이 판의 스트랩설치부(230)에 상당하는 부분에 보강부재(231)가 표리면에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스트랩설치부(230)는 상기 설치구 본체(210)로부터 끝부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고,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하였을 때에 그 양쪽 끝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스트랩설치부(230)에는 스트랩설치수단으로서의 천공(2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공(233)부분에는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23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스트랩설치부(230)는, 설치구 본체(210)로부터 돌출하는 부위(230a)가 설치된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만곡하여 설치되어 있고, 다시 상기 돌출하는 부위(230a)로부터 천공(233)에 걸어 [끝부 (230b)가] 회동축(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만곡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트랩설치부(230)는 대략 く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설치구 본체(210)로부터 돌출하는 부위(230a)가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끝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스트랩설치구(200)의 형성방법에 대하여 대략 설명하면 먼저 1매의 판을 일정형상으로 펀칭한다. 이 일정형상은 상기한 설치구 본체(210) 및 스트랩설치부(230)의 일체형상으로, 4각형상의 설치구 본체(210)와, 그 양쪽 끝부로부터 회동축(110)과 이반하는 방향으로 만곡하여 돌출하고, 이 만곡한 부분(230a)으로부터 다시 끝부(230b)에 걸쳐서 회동축(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만곡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랩설치부(230)로 구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 스트랩설치구 (200)를 구성하는 판의 재질은 놋쇠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판[설치구 본체(100)]의 두께는 0.3mm의 것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두께는 강도등을 고려하면 0.1mm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이다. 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간극부분을 고려하면 0.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mm 이하이다.
그리고 상기 판 중, 스트랩설치부(230)의 개소에 보강부재(231)를 부설한다. 이 보강부재(231)로서는 아크릴수지 등의 합성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그 외 천연고무 등의 고무, 금속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부설방법으로서는 압착, 용융한 재료를 도포 및 고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231)를 부설한 후에 스트랩설치부(230)에 천공(233)을 뚫어 설치한다. 이 때에 상기한 보강부재(231)에도 천공이 형성되게 된다. 이 천공(233)은 스트랩설치부(230) 중, 상기한 바와 같이 만곡한 부분 (230a)으로부터 다시 끝부에 걸쳐 회동축(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만곡한 부분 (230b)(끝부)에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되었을 때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에 의해 근접한 위치에 천공(233)이 위치하게 되어 스트랩 설치시에 있어서 밸런스가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판 중,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0a)에 인자 또는 인쇄가 행하여진다. 한편 그 이면에는 점착층(211)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점착층(211)에 박리지 (220)가 부착된다. 또한 이 인자 또는 인쇄 및 점착층(211)의 형성은 상기 보강부재(231)의 부설 및 천공(233)의 형성 전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판을 일정형상으로 펀칭하기 전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설치구(200)는 예를 들면 이용자가 박리지(220)를 벗겨 그 점착층(211)을 이용하여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부착되어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 부근에 부착된 후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랩설치구(200)의 천공(233)에 스트랩(300)이 설치되게 된다.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천공(233)에 양쪽 끝이 걸어 멈춰지는 스트랩(300)은 사람의 손가락이 몇개나 들어 갈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고, 이 스트랩(300)에 다시 예를 들면 목에 걸 수 있는 길이의 스트랩 등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즉,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쪽 끝측에 있어서 그 회동축(110) 부근에 스트랩설치수단으로서의 2개의 천공(233)이 위치하고, 이 2개의 천공(233)에 스트랩을 설치함으로써 밸런스가 좋은 상태로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유지할 수 있다. 또상기 천공(233)은 회동축(110)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특히 이 천공(233)은 스트랩설치부(230)의 회동축(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만곡한 부위(230b)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더욱 회동축(110)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밸런스적으로 뛰어나다.
또 상기 2개의 천공(233)은 설치구 본체(210)와 일체로 양쪽 끝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스트랩설치부(230)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설치구 본체(210)의 부착에 의하여 각 천공(233)의 위치가 어느 정도 정해지고, 이 때문에 2개의 천공(233)의 위치가 언밸런스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구 본체(210)[스트랩설치구(200)]는 휴대전화기 본체(100)의간극부분에 존재하는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있어서 그 접기의 지장이 되는 일이 없다.
또 스트랩설치수단으로서 천공(233)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천공(233)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스트랩(300)을 설치할 수 있고, 또 스트랩설치부(230)를 뚫어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트랩설치수단(233)을 구성할 수 있어 그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스트랩설치부(230)[천공부분(233)]에는 보강부재(231)가 부설되어 있기때문에 천공(233)을 이용하여 스트랩(300)을 설치하여도 이와 같은 천공(233)의 파손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랩설치부 (230)는 설치구 본체(210)와 일체의 판으로 구성되어 그 형성의 간이화가 도모되고 있으나, 보강부재(231)의 존재에 의해 천공(233)의 강도가 확보되기 때문에 판 자체는 걸리는 설치부위의 강도로 취해지지 않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스트랩설치구(200)의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0a)은 인자 또는 인쇄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의 디자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설치구(200)는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구 본체(210)의 이면에 설치된 점착층(211)을 가지고 부착할 수 있고, 또 점착층(211)의 점착력은 이용자가 이탈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기 때문에 변경 등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 떼어 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설치구 본체(210)의 양쪽 끝으로부터 스트랩설치부(230)가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230a)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구 본체(210)를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부근에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에 있어서 그 양측의 회동축(110)부재가 약간 커져 있는 것이어도 정확하게 회동축 (110)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랩설치부(230)는 상기 만곡한 부분으로부터 더욱 회동축(110)측으로 만곡하여 그 회동축(110)측으로 만곡한 부분(230b)에 스트랩설치수단으로서의 천공(2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랩(300)을 회동축(110)에 근접한 위치에서 설치할 수 있어 밸런스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스트랩설치구(200)에 있어서는 판을 펀칭하여 그 스트랩설치부 (230)에 천공(233)을 형성함으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기종등이 다르더라도 일정폭의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것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이점을 가지는 것이었으나,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청구항 기재의 발명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휴대전화기 본체의 양쪽 끝으로부터 돌출한 스트랩설치수단에 스트랩를 설치함으로써 둘로 접어 수납 가능한 휴대전화기 본체를 그 양쪽 끝로부터 스트랩에 의해 밸런스 좋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표시화면(121) 등을 포함하는 제 1 부재 (120)와 조작버튼(131)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재(130)가 회동축(110)을 거쳐 접기 가능하게 설치된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하도록 설치된 설치구 본체(210)와;
    상기 설치구 본체(2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쪽 끝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스트랩설치부(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구 본체(210)는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간극부분에 개재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설치부(230)에는 상기 돌출부위에 스트랩(300)을 설치하기 위한 스트랩설치수단(23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설치수단으로서 천공(2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설치부(230)에는 적어도 상기 천공부분(233)에 고무,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수단(23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스트랩설치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 본체(210)의 이면에는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부착하도록 점착층(2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0a)은, 인자 또는 인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 본체(210)는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 부근에 설치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랩설치부(230)는 상기 설치구 본체(210)로부터 돌출하는 부분(230a)이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7. 휴대전화기본체(100)가 표시화면(121) 등을 포함하는 제 1 부재(120)와 조작버튼(131)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재(130)가 회동축(110)을 거쳐 접기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스트랩설치수단(233)을 가지는 휴대전화기로서 상기 스트랩설치수단 (233)은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 부근에서, 또한 휴대전화기 본체 (1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쪽 끝으로부터 스트랩설치부(230)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있고, 상기 스트랩설치수단으로서 상기 스트랩설치부(230)에 천공(2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설치부(230)에는 적어도 천공부분(233)에 고무, 금속 등의 보강수단(23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설치구 본체(210)와;
    상기 스트랩설치수단(233)이 설치된 스트랩설치부(230)로 이루어지는 스트랩설치구(200)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구 본체(210)가 휴대전화기 본체(100)를 접었을 때에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간극부분에 개재하도록 평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설치부(230)는 설치구 본체 (210)의 양쪽 끝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 본체(210)의 이면에는 점착층(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구 본체(210)가 휴대전화기 본체(100)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 본체(210)의 표면(210a)은 인자 또는 인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양쪽 끝으로부터 상기 스트랩설치수단(233)을 가지는 스트랩설치부(230)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랩설치부(230)는 상기 돌출하는 부분(230a)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 본체(100)의 회동축(110)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KR1020010086654A 2001-02-09 2001-12-28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KR200200663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4291A JP3203594B1 (ja) 2001-02-09 2001-02-09 携帯電話機のストラップ取付具、及び、ストラップ取付具付き携帯電話機
JPJP-P-2001-00034291 2001-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368A true KR20020066368A (ko) 2002-08-16

Family

ID=1889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654A KR20020066368A (ko) 2001-02-09 2001-12-28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03594B1 (ko)
KR (1) KR200200663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2215A (ja) * 2006-11-29 2008-06-12 Kazunori Yugawa 折畳み式財布用持ち手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8884A (ja) * 1992-01-31 1993-08-27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機器のストラップ構造
JPH06260979A (ja) * 1993-03-08 1994-09-16 Tokai Riken Kk 携帯電話機用ストラップアンテナ
JPH10163640A (ja) * 1996-11-28 1998-06-19 Saitama Nippon Denki Kk 携帯型端末の落下防止機構およびその落下防止方 法
KR19990038813U (ko) * 1998-03-06 1999-10-25 고이찌 기누가와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KR20000018393U (ko) * 1999-03-18 2000-10-16 한기천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KR20010084394A (ko) * 2000-02-25 2001-09-06 서평원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8884A (ja) * 1992-01-31 1993-08-27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機器のストラップ構造
JPH06260979A (ja) * 1993-03-08 1994-09-16 Tokai Riken Kk 携帯電話機用ストラップアンテナ
JPH10163640A (ja) * 1996-11-28 1998-06-19 Saitama Nippon Denki Kk 携帯型端末の落下防止機構およびその落下防止方 法
KR19990038813U (ko) * 1998-03-06 1999-10-25 고이찌 기누가와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KR20000018393U (ko) * 1999-03-18 2000-10-16 한기천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KR20010084394A (ko) * 2000-02-25 2001-09-06 서평원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03594B1 (ja) 2001-08-27
JP2002233415A (ja) 200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50392S1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panel or screen
KR20020066368A (ko)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EP0776038A3 (en) Integrated circuit driver for a liquid crystal device
EP1231584A3 (en) A document display holder
US5243152A (en) Sound anti-muffler for a sound generator
JP2003054174A (ja) メモクリップの紙固定構造
KR200356076Y1 (ko) 스케치북
JP2003135137A (ja) 携帯電話のストラップ
KR200291861Y1 (ko) 탈착형 메모북
KR200190161Y1 (ko) 부착식 금전등록기의 롤용지
KR200236314Y1 (ko) 조합 스티카
JP3069547U (ja) 電 卓
KR200260789Y1 (ko) 지철구
KR200379781Y1 (ko) 메모용지 보드
KR200182335Y1 (ko) 부착이 깔끔한 판
JP3028083U (ja) ピンポイントボード
JPH09128344A (ja) システム手帳用電子手帳取り付け具
KR200186397Y1 (ko) 메모지의 보관과 광고 기능을 구비한 메모광고판
KR200242022Y1 (ko) 장식용 액자
KR200232596Y1 (ko) 컴퓨터 모니터용 서류취부클립
KR200186093Y1 (ko) 필기구꽂이가 설치된 노트/책
JP3157380U (ja) 携帯機器用指ストラップ
KR200242383Y1 (ko) 스티커 부착면을 가지는 편지지
JP3089415U (ja) ヘッドホン
KR200373733Y1 (ko) 손가락을 이용한 메모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