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813U -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813U
KR19990038813U KR2019980009642U KR19980009642U KR19990038813U KR 19990038813 U KR19990038813 U KR 19990038813U KR 2019980009642 U KR2019980009642 U KR 2019980009642U KR 19980009642 U KR19980009642 U KR 19980009642U KR 19990038813 U KR19990038813 U KR 199900388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held
ear
hook
mobile ph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찌 기누가와
Original Assignee
고이찌 기누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이찌 기누가와 filed Critical 고이찌 기누가와
Priority to KR2019980009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813U/ko
Publication of KR19990038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813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전화기 통화시에 휴대전화기를 손에 들 필요가 없어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를 간편한 구조로 실현한다.
[해결수단]
유지 기구(귀걸이) 10A는 휴대전화기에 부착이 가능한 유지 부분 2와 그 유지 부분 2에 유지되어 동시에 강한 재질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귀에 걸 수 있는 모양을 갖고 있는 유지 걸이 1을 겸비하고 있고 이 유지기구(귀걸이) 10A를 휴대전화기 20에 부착시킴으로써 휴대전화기 20을 사람의 귀에 유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 및 휴대전화기
전화 통화시에 손에 쥐지 않고 손을 자유로이 쓸 수 있는 휴대전화기를 간단한 구조로 만드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가정 내에서 설치형 전화기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 휴대전화기가 그 가벼움과 편리함으로 인하여 많이 보급되었다.
휴대전화기는 매우 작고 가볍게 만들어져 휴대성은 향상되었지만, 소형화됨에 따라 일반 수화기처럼 얼굴과 어깨 사이에 끼워 통화하기에 불편해 주로 손에 들고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장시간 통화 때에는 팔이 쉽게 피로해지거나 손으로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이어폰형 수화기와 마이크가 붙어있는것이 있지만 그 구성에는 스피커, 마이크, 스위치, 배선 등이 필요한 고가품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 통화시에 손에 쥐지 않고 손을 자유로이 쓸 수 있는 휴대전화기를 만드는 것이다.
[도면 1]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1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2]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1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3]
도면 1의 영역 R1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 4]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1에 있어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5]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1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6]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2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 (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7]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2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8]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2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9]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2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10]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3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11]
도면 10의 영역 R2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 12]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3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13]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3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14]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4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15]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4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16]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4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17]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4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18]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5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 (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19]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5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20]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5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21]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5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가 휴대전화기에 부착된 모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A 유지 걸이
1D 지지체
1E 가동부 지지체
2 유지 부분
3 양면 접착 테이프
10A, 10B, 10C, 10D, 10E 유지 기구(귀걸이)
20 휴대전화기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는 휴대전화기를 귀에 걸기 위한기구로서 휴대전화기에 부착이 가능한 유지 부분과 그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귀에 걸 수 있는 걸이 부분을 겸하고 있다.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에 의하면 휴대전화기를 귀에 걸어 놓기 때문에 통화중에도 휴대전화기를 손에 들고 있을 필요가 없고, 따라서 손을 자유로이 쓸 수 있다. 또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사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스피커, 마이크, 스위치, 배선 등이 필요 없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강한 재질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귀가 붙어 있는 부분에 맞는 모양을 하고있어 귀에 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러므로 걸이 부분을 귀에 걸게 함으로써 휴대전화기를 통화가 가능한 위치에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위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회전이 가능하고 동시에 복수의 회전 각도 위치에서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걸이 부분을 회전시킴에 따라 휴대전화기를 통화가 용이한 회전 각도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유지 부분에 대한 각도를 유지한 채 스라이드가 가능하도록 하고 동시에 복수의 스라이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게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다. 또 걸이부분을 스라이드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통화를 쉽게 하기 위한 위치에 휴대전화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유지 부분에 대해서 회전 또는 스라이드가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걸이부분은 제1의 결합 부분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유지 부분은 제1의 결합 부분에 결합이 가능한 제2의 결합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의 결합 부분의 결합에 의해 결합된 부분은 유지 부분에 대해 소정의 회전 위치나 스라이드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개인이 통화하기 쉽도록 유지기구(귀걸이)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에 있어서 강한 재질을 갖고 있는 걸이 부분의 한쪽 끝 부분이 유지 부분에 유지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조를 한층 더 간략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걸이 상태가 되도록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고 귀에 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의 스피거 부분이 귀에 위치하도록 길이와 유지 부분의 부착 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이 부분을 귀에 걸음으로써 휴대전화기를 통화가 가능한 위치에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받침점으로써 유지 부분에 유지만 하는 것으로 귀에 건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귀를 집어서 유지할 수 있는 클립 모양의 부품이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용 걸이 부분을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다.
[고안의 실체의 형태]
이하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써서 설명한다.
실체의 형태 1
l도면 1과 도면 2는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1에 대해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면 3은 도면 1의 영역 R1을 확대하여 표시한 부분 단면이다.
도면 1과 도면 2를 참조하면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10A는 실체의사용시에 귀에 거는 부분인 유지 걸이 1과 전화기 본체와의 접속 부분이고 유지 기구(귀걸이) 10A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 걸이 1의 양단에 만들어진 유지 부분 2와, 또 유지 부분 2와 전화기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 접착테이프 3도 갖고 있다.유지 걸이 1은 강한 재질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귀가 붙어 있는 부분에 맞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면 3을 참조하면 유지 걸이 1과 유지 부분 2가 관통할 수 있게 리벳 모양의 접속된 핀 4개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접속된 핀 4개로 인해 유지 걸이 1은 유지 부분 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도면2) 유지되고 있다.이 경우에는 유지 걸이 1에 만들어진 홈이 파진 1a가 유지 부분 2에 만들이진 뾰족하게 나온 2a에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각도 위치에서 유지 부분 2에 대하여 유지 걸이 1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홈이 파진 1a와 뾰족하게 나온 2a에 의해서 유지 걸이 1이 유지 부분 2에 대해 각도를 설정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뾰족하게 나온 2a는 유지 부분 2의 표면에 원형 방향으로 여러개 만들어져 있다.
이 유지 기구(귀걸이) 10a는 도면 4와 도면 5에 표시한 대로 휴대전화기 2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 있어서 양면 접착 테이프 3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면 4와 도면 5를 참조하면 휴대전화기 20은 전화기 본체 21과 전화 번호등을 표시하는 표시 부분과 번호 버튼 등을 갖고 있는 키 부분 23과 상대방의 통화음성이 발성되는 스피커 부분24와 자신의 통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바꾸는 마이크 부분 25와 전파를 받기 위한 안테나 부분 26과 전지 부분 27을 갖고 있다.
유지 기구(귀걸이) 10A는 휴대화기 20의 양측 측면을 끼워놓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유지 걸이 1을 귀에 걺으로써 휴대전화기 20은 유지된다. 이때 유지 걸이 1은 강한 재질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귀가 붙어 있는 부분에 맞는 모양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지 걸이 1을 귀에 거는 것만으로 자연히 휴대전화기 20은 통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통화가 용이한 위치 즉, 마이크부분 25가 입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되고 스피커 부분 24는 귀에 가까운 위치에 놓이게 된다.
단, 사람에 따라 휴대 전화 20의 위치를 통화에 더욱 적합한 위치에 놓고싶을 때는 도면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홈이 파진 1a가 결합하는, 뾰족하게 나온 2a를 여러 단계로 조정하여 유지 걸이 1의 유지 부분 2에 대한 회전위치를 여러 단계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도면 5에 있어서 유지 걸이 1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는 보통사용시(통화시)의 위치이고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는 통화하지 않을 때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체의 형태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10A에서는 유지걸이 1을 귀에 걸 뿐이며, 자연히 휴대전화기 20을 통화가 가능하면서도 편안한 위치에 놓기 위해 통화중에 휴대전화기 20을 손에 들 필요가 없고 자유로이 손을 쓸 수가 있다. 또 휴대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 부분 25와 스피커 부분 24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피커, 마이크, 스위치, 배선 등을 새로 설치할 필요 없고, 유지 기구(귀걸이) 10A의 구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 기구(귀걸이) 10A를 휴대전화기 20과 별체로 구성하고 휴대전화기 20 뒤에 부착할 경우에는 유지 기구(귀걸이) 10A를 모양 및 치수가 다른 기종의 휴대전화기 20에 대해 같이 쓸 수 있게 되고, 양산 효과에 따라 가격을 낮출 수도 있다.
상기의 실체의 형태로는 유지 기구(귀걸이) 10A를 휴대전화기 20과 별체로 구성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 4와 도면 5에 있어서 유지 부분 2가 전화기 본체 21의 캐비넷에 합쳐져 일체로 되는 경우에는 별체로 하는 경우보다도 구성 부품을 줄이고 가격을 내릴 수가 있다. 동시에 본 실체의 형태에 있어서 유지대 1을 형성하는 소재의 범위는 매우 넓다. 예를 들면 안경테에 쓰이고 있는 티타늄 합금을 위시한 금속, 형상 기억 합금(와이어모양으로 된 벨트 모양도 좋음), 합성 고무, 탄성 수지, 고무, 섬유 제품, 끈 및 벨트형(테이프, 리본 등)과 같은 강한 재질이 있으면 어떠한 재료라도 좋다. 또 유지 걸이 1을 섬유 제품이나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각도를 조정하는 기구도 필요 없어 보다 간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실체의 형태 2
도면 6과 도면 7은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2에 대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면 6과 도면 7을 참조하면 실체의 형태의 유지 기구(귀걸이) 10B는 유지걸이 1A가 한쪽을 유지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결국 유지 걸이 1A의 한쪽끝 부분에만 유지 부분 2와 양면 접착 테이프 3이 부착되어 있고, 다른 쪽끝은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 상기한 실체의 형태 1과는 다르다. 동시에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한 실체의 형태 1과 거의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체의 형태로는 유지 기구(귀걸이) 1OB가 한쪽을 유지하는 유지 기구(귀걸이)이기 때문에 유지 걸이 1A에는 실체의 형태 1보다도 강도가 높은 소재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강도가 높은 소재로는 예를 들어 티타늄 합금 따위의 금속 수지 경우에는 엔지니어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그룹에 속하는 고감도 나일론, PBT, POM 등 또 카본, 케브라, 보론 등의 섬유를 수지에 합성시켜 만들어진 것도 적합하다.
이 유지 기구(귀걸이) 10B는 도면 8과 도면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2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동시에 도면에 있어서 양면 접착 테이프 3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면 8과 도면 9를 참조하면 유지 기구(귀걸이) 10B는 한쪽만 유지된 구조이기 때문에 유지 걸이 1A의 한쪽 부분에서만 휴대전화기 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유지 걸이 1을 귀에 걸게 되어 있어 휴대전화기 20은 귀에 유지된다. 이때 유지 걸이 1은 강한 재질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귀가 붙어있는 부분에 맞는 형태를 지니기 때문에 유지 걸이 1을 귀에 거는 것만으로도 자연히 휴대전화기 20은 통화가 가능하면서도 통화에 용이한 위치에 놓이게 되고 또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단, 사람에 따라 휴대전화기 20의 위치를 통화하기 쉬운 위치로 하고 싶을때는 실체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지 걸이 1의 유지 부분 2에 대한 회전 각도의 위치를 여러 단계로 조정할 수가 있다. 본 실체의 형태의 유지 기구(귀걸이) 10B에시는 유지 걸이 1A를 한쪽만의 유지 구조로 만들었기 때문에 실체의 형태 1과 비교해서 보다 구조를 간략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실체의 형태 2는 유지 기구(귀걸이) 10B가 휴대전화기 20과는별체로 구성되어 휴대전화기 20 뒤에 부착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실체의 형태 1과 동일하게 유지 기구(귀걸이) 10B의 유지부 2는 전화기 본체 21의 캐비넷에 일체화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실체의 형태 3
도면 10은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3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정면도이고 도면 11은 10의 영역 R2를 확대하여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10과 11을 참조해서 본 실체의 형태로는 유지 걸이 1이 유지 부분 2에대해서 움직임이 가능하다는 점이 실체의 형태 1과는 다르다.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지 걸이 2에 설치된 관통하는 구멍 2B에 끼워져 있고, 이 관통하는 구멍 2B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 걸이 1의 양쪽끝 부분에는 후크 1C가 만들어져 있다.
또 움직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유지 걸이의 양쪽 끝 부분에는 여러 개의 구멍 1B가 만들어져 있고, 유지 부분 2에는 그 구멍 1B에 결합이 가능한 뾰족한 2A가 만들어져 있다. 더욱이 이 이외의 구성에 있어서는 위에서 기술한 실체의 형태 1과 거의 같기 때문에 동일한 재질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체의 형태로는 유지 걸이 1은 어느 정도 탄력성이 있는 띠 모양의 부품이 바람직하고 띠 모양의 금속 또는 수지판, 섬유제 벨트 또는 합성 수지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유지 기구(귀걸이) 10C는 도면 12 및 도면 13에 표시한 것처럼 휴대전화기 20에 부착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 양면 접착 테이프 3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생략하고 있다. 도면 12는 통화상태(뽑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지 걸이 1은 뽑아 놓은 상태이고 또 안쪽으로 수그러진 상태에 있다. 또 도면 13은 통화를 하지 않는 상태(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유지 걸이 1은 수납 상태(쓰지 않는 상태)에 있다.
도면 12와 도면 13을 참조하면 유지 부분 10C는 휴대 전화기 20의 양쪽 측면에 끼워 넣을 수 있게 고정된다. 그리고 유지 걸이 1을 귀에 걸수 있게 되어 있어 휴대 전화기 20은 귀에 유지된다. 이때 유지 걸이 1은 강한 성질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귀가 붙어 있는 부분에 맞는 형태를 갖고 있기때문에 유지 걸이 1을 귀에 거는 것만으로도 자연히 휴대전화기 20은 통화가 가능하면서 통화에 용이한 위치가 된다.
단, 사람에 따라 휴대전화기 20의 위치를 통화하기에 보다 적절한 위치로 하고 싶을 경우에는 실체의 형태 1과 같이 유지 걸이 1의 유지 부분 2에 대한회전 위치를 여러 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체의 형태로는 유지걸이 1을 유지 부분 2에 대해서 미끄러지게 하는 방법으로도 휴대 전화기 20의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본 실체의 형태로는 전화기를 쓰지 않을 때에는 유지 걸이 1이 쓰지 않는 원상태가 되고, 휴대시에 유지 걸이 1의 끝 부분이 포켓 등에 걸리는 일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유지 걸이 1을 쓰지 않는 원상태로 가능하게 하는 유지 기구(귀걸이) 1OC가 붙어있음으로써 휴대성에 대한 결점이 발생할 일도 없다. 또 귀에 유지한 상태에서 휴대전화기 20의 위치를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동시에 본 실제의 상태로는 유지 기구(귀걸이) 1OC가 휴대 전화기 20과 별체로 구성되고, 휴대 전화기 20의 뒤에 부착되는 경우에 설명했지만 실체의 형태 1과 같이 유지 기구(귀걸이) 10C의 유지 부분 2는 전화기 본체 21의 캐비넷과 일체화되어 형성되어도 좋다.
실체의 형태 4
도면 14와 도면 15는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4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먼 14와 도면 15를 참조하면 본 실체의 형태 4는 전화기 본체의 측면에 대해 유지 부분을 고정시킬 수 없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실체의 형태의 유지 기구(귀걸이) 10D는 걸이 부분 1D가 하나의 유지 부분 2에 걸이형으로 유지되고 있다. 동시에 이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위에서 기술한 실제의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품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유지 기구(귀걸이) 10D는 도면 16 및 도면 l7이 표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20에 부착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 양면 접착테이프 3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면 16과 도면 17을 참조하면 유지 기구(귀걸이) 10D는 휴대전화기 20의 뒷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 3을 끼워서 고정된다. 그리고 유지 부분 1D를 귀에 걺으로써 휴대전화기 20은 귀에 유지된다. 이때 걸이 부분 1D는 귀에 건상태로 휴대전화기 20의 마이크 부분 25가 입에 가까워지고, 스피커 부분이 귀에 가깝게 되도록 그 길이와 부착 위치가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걸이 1을 귀에 거는 것만으로도 자연히 휴대전화기 20은 통화가 가능하면서도 통화에 용이한 위치가 된다.
본 실체의 형태로는 걸이 부분 1D는 끈 모양이 바람직하며 금속제, 수지제이면 상관이 없다. 걸이 부분 1D가 강한 성질을 띠고 있을 경우에는 유지부분 2의 내부에 걸이 부분 1D의 각도를 설정 유지하는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걸이 부분 1D가 섬유 등의 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지 부분 2는 걸이 부분 1D를 지지축으로 해서 지지하는 것만으로도 그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동시에 본 실체의 형태로는 유지 기구(귀걸이) 10D가 휴대전화기 20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휴대전화기 20의 뒤에 부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실체의 형태 1과 동일하게 유지 부분 2는 전화기 본체 21의 캐비넷과 일체화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실체의 형태 5
도면 18와 도면 19는 본 고안의 실체의 형태 5에 있어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면 18와 도면 19를 참조하면 본 실체의 형태 5의 유지 기구(귀걸이) 10E는 상기한 실체의 형태 l∼4의 유지 기구(귀걸이)의 구성과는 전혀 다르고 이어링 등에서 볼 수 있는 클립 타입이다. 즉, 유지 기구(귀걸이) 10E는 고정된 유지 부분 2C에 대해 움직이는 쪽의 유지 걸이를 부착시켜 구성된 것이고, 고정된 쪽 유지 부분 2C와 움직이는 쪽 1E의 선단부 1F와 함께 귀를 집어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고정된 쪽 유지 걸이 2C에는 휴대전화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 3이 부착되어 있다. 또 고정된 쪽 유지 부분 2C와 움직이는 쪽의 유지 걸이 1E와의 사이에는 휴대전화기를 귀에 유지한 상태에 있어 휴대전화기가 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적당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유지 기구(귀걸이) 10E를 휴대전화기에 부착한 모양을 도면 20과 도면21에 표시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양면 접착 테이프 3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면 20과 도면 21을 참조하면 귀에 유지할 경우에는 우선 고정된 쪽 유지부분 2C와 선단부 1F와의 사이를 넓히도록 움직이는 쪽 유지 걸이 1E를 조작해서 그 넓힌 상태에서 고정된 쪽 유지 걸이 2C와 유지된 쪽 1F와의 사이에 귀를 두고 그 상태에서 유지된 쪽 1F와 고정된 쪽 유지 걸이 2C와의 사이를 좁힘으로써 귀를 집어 유지한다. 이렇게 됨으로써 휴대전화기가 귀에 유지되는 것이 끝난다.
본 실체의 형태로는 유지 기구(귀걸이) 10E를 클립 형태를 썼기 때문에 소형, 경량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체의 형태로는 고정된 쪽 유지 부분 2C가 휴대전화기 20과 별체로구성되어 휴대전화기 20의 뒤에 부착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실체의 형태 1과 같이 고정된 쪽 유지 부분 2C는 전화기 본체 21의 캐비넷과 일체화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금번 분해 표시된 실체의 형태는 모든 것이자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의해 표시되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와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그 의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에 의하면 휴대전화기를 귀에 유지하기 때문에 통화중에도 휴대 전화기를 손에 들고 있을 필요가 없고 자유로이 손을 쓸 수가 있다. 또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서서 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피커, 마이크, 스위치, 배선 등이 새로 필요하지 않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걸이 부분은 강한 재질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귀에 걸기에 알맞은 모양을 갖고 또 귀에 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걸이 부분을 귀에 걸기만 해도 휴대전화기를 통화 가능한 위치에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걸이 부분은 회전을 가능하게, 또 복수의 회전 각도 위치에서 그 각도를 유지 가능하도록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걸이 부분을 회전시킴에 따라 통화에 용이한 회전 각도 위치에 휴대전화기를 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걸이 부분은 유지 부분에 대한 각도를 유지한 채 스라이드가 가능하게, 또 복수의 스라이드 위치에서 그 위치를 유지 가능하도록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걸이 부분을 스라이드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통화가 용이한 스라이드 위치로 휴대전화기를 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걸이에 있어서 제1과 제2의 결합부분의 결합에 의해 걸이 부분은 유지 부분에 대해서 소정의 회전 위치 또는 스라이드 위치에서 유지시키기 때문에 사람이 통화하기 쉽도록 유지 기구(귀걸이)의 상태를 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걸이에 있어서 강한 재질을 갖고 있는 걸이 부분의 한쪽 끝 부분이 유지 부분에 유지되고 다른 쪽 끝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더 구조를 간략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걸이 부분은 사람의 귀에 건 상태로 휴대전화기의 스피커 부분이 귀에 위치하도록 길이와 유지 부분의 부착 위치가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걸이 부분을 귀에 거는 것만으로 휴대전화기를 통화가 가능한 위치에 유지할 수가 있다. 또 그것이 받침점으로써 유지부에 유지할 뿐 귀에 건 상태에서 통화가 가능한 기능을 달성할 수가 있다.
상기의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의 걸이 부분은 귀를 집을 수 있는 클립 모양으로 된 부품이기 때문에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 걸이를 소형이면서도 가벼운 것으로 만들 수가 있다.

Claims (9)

  1. 휴대전화기를 사람의 귀에 걸고 유지하기 위한 휴대전화기에 부착시킬 수 있는 유지 부분과;
    그 부착된 부분에 유지되고 동시에 사람의 귀에 걸 수 있는 걸이 부분을 겸한 휴대 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2. 휴대전화기와 그 휴대전화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유지 부분과;
    그 유지 부분에 유지되고 동시에 귀에 걸 수 있는 걸이 부분을 부착한 휴대전화기
  3.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강한 재질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귀가 붙어 있는 부분에 맞는 모양을 가지고 동시에 귀에 걸려 있는 상태로 휴대전화기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또는 휴대전화기
  4.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회전이 가능하고 동시에 회전 각도 위치에서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및 휴대전화기
  5. 휴대전화기용 걸이 부분은 유지 부분에 대한 각도를 유지한 채 스라이드가 가능하고 동시에 복수의 스라이드 위치에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다.
    청구항 3 또는 4에 기술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및 휴대전화기
  6.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유지 부분에 대해서 회전 또는 스라이드가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또 걸이 부분은 제1의 결합 부분을 갖고 있고, 또 유지부분은 제1의 결합 부분에 결합이 가능한 제2의 결합 부분을 갖고 있다. 또 제1과 제2의 결합 부분의 결합에 의해 그 걸이 부분은 유지 부분에 대해 소장의 회전 위치 또는 스라이드 위치에서 유지된다.
    청구항 3∼5에 기재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및 휴대전화기
  7. 강한 재질을 가진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의 한쪽 끝 부분이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6에 기재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및 휴대전화기
  8. 휴대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귀에 걸 수 있는 고리 상태가 되도록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고 귀에 걸린 상태에서 휴대전화기의 스피커 부분이귀에 위치하도록 길이와 유지 부분의 부착 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및 휴대전화기
  9. 휴대용전화기의 걸이 부분은 귀를 집어 유지할 수 있는 클립 모양의 부품이다.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휴대전화기용 유지 기구(귀걸이) 및 휴대전화기
KR2019980009642U 1998-03-06 1998-06-08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KR199900388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42U KR19990038813U (ko) 1998-03-06 1998-06-08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238 1998-03-06
KR2019980009642U KR19990038813U (ko) 1998-03-06 1998-06-08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13U true KR19990038813U (ko) 1999-10-25

Family

ID=6957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42U KR19990038813U (ko) 1998-03-06 1998-06-08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8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368A (ko) * 2001-02-09 2002-08-16 유키오 요코다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368A (ko) * 2001-02-09 2002-08-16 유키오 요코다 휴대전화기의 스트랩설치구 및 스트랩설치구부착 휴대전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956B2 (en)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US20030157973A1 (en) Easy to carry hands-free kit containing earpiece inside the carrying case
JP4231525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JPH09506486A (ja) 通話用ヘッドセット
US20030165237A1 (en) Integrated headset for any two-way-communication device
KR20000057682A (ko) 손목장착용 전화기
JP2000507760A (ja) ヘッドセット型電話機に変換可能なハンドセット型電話機
US20040204207A1 (en) Hat for hands-free telephone operation
JP2008288960A (ja) 吊下げ装置
CA2530194A1 (en) Acoustic apparatus using bone-conduction speaker
WO2003100503A2 (en) Eyewear and mobile phone assembly
KR19990038813U (ko) 휴대전화기용유지기구및휴대전화기
US7640042B2 (en) Buckle phone
JP2002344590A (ja) 携帯電話用リストホルダー
AU774812B2 (e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sectioned keypad and antenna system
JP3054538U (ja) 携帯電話機用保持具および携帯電話機
JP3915581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760341B1 (ko) 음향기기
CN210183373U (zh) 一种耳挂式移动电话
WO1999059314A1 (fr) Telephone portable fixe sur le bras
JP3484529B2 (ja) 通話装置およびイヤホン
KR100393325B1 (ko) 휴대폰용 어깨받침장치
KR20000055477A (ko) 손목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KR200221375Y1 (ko) 지지대를 갖는 화상핸드폰
KR0130307Y1 (ko)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