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833A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833A
KR20020065833A KR1020010069793A KR20010069793A KR20020065833A KR 20020065833 A KR20020065833 A KR 20020065833A KR 1020010069793 A KR1020010069793 A KR 1020010069793A KR 20010069793 A KR20010069793 A KR 20010069793A KR 20020065833 A KR20020065833 A KR 2002006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leaning
main body
vacuum clea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479B1 (ko
Inventor
하마다아츠오
요시미카즈요시
오쿠다아츠시
스에츠구나오키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마루청소 및 간이청소의 모두를 행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로, 마루청소에 있어서 흡입구 본체에서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고, 쓰레기막힘을 억제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흡입구본체(1)와, 흡입구본체(1)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청소기본체(2)를 구비하고, 흡입구본체(1)에서 청소기본체(2)의 집진실에 이르는 본체측 유로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집진실에 이르는 간이청소용 유로가 설치되고, 청소기본체(2)를 경사시켜서 마루청소를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를 막고, 또한 청소기본체(2)를 기립시킨 상태에서는 간이청소용 유로를 개방하는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전기청소기이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루청소 및 간이청소의 모두를 행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로, 마루청소에 있어서 흡입구본체에서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고, 쓰레기막힘을 억제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 내에 흡입구본체와 집진실을 접속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마루면 위의 먼지 등은 흡인할 수 있지만, 의자 위나 계단 등의 청소를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종래로부터 마루청소만이 아니라 마루 이외의 곳도 청소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로는 가요성 호스의 일단을 청소기본체의 집진실에 접속함과 동시에, 가요성 호스의 타단을 흡입구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고, 가요성 호스의 타단을 흡입구본체에 접속한 상태에서, 흡입구본체에서 흡인한 공기를 가요성 호스를 통해 집진실 내로 흡인함과 동시에, 가요성 호스의 타단을 빼고 간이청소를 하는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는 가요성 호스를 통해 흡입구본체로부터 집진 등을 흡인하기 때문에, 통기저항이 크고, 흡인효율이 나쁘고, 게다가 가요성 호스에 쓰레기가 막히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마루청소 및 간이청소의 모두를 행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로, 마루청소에 있어서 흡입구본체로부터 흡인효율을 향상시키고, 쓰레기막힘을 억제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탠드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우측면에서 본 간이청소를 할 때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본체측 유로 및 간이청소측 유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스탠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따른 종단면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스탠드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에 따른 종단면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전기청소기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전기청소기의 Ⅹ-Ⅹ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마루청소를 할 때에 마루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마루청소를 할 때에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흡입구본체2:청소기본체
3:그립부4:선단측 파이프
5:가요성 호스7:집진실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흡입구본체와 흡입구본체에 흔들림이 자유롭게 지지된 청소기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본체에서 청소기본체의 집진실에 이르는 본체측 유로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집진실에 이르는 간이청소용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청소기본체를 경사시켜서 마루청소를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를 막고, 또한 상기 청소기본체를 기립시킨 상태에서는 간이청소용 유로를 개방하는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의 선단부가, 상기 청소기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수단이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의 선단부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수단이,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의 선단부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선단부의 개구를 막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구본체의 상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돌기부 또는 홈부를 갖는 캠(cam)면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수단이 상기 캠면에 당접(當接)하는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의 승강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의 기도(起倒)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탠드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우측면에서 본 간이청소를 할 때의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전기청소기의 본체측 유로 및 간이청소측 유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 도 5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배면도, 도 6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스탠드상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 따른 종단면설명도, 도 8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스탠드상태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따른 종단면설명도, 도 9는 도 7의 전기청소기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전기청소기의 Ⅹ-Ⅹ선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마루청소를 할 때에 마루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 및 도 12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마루청소를 할 때에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이다.
도 1∼ 도 8에 나타나는 업라이트형의 전기청소기는 흡입구본체(1)와, 상기 흡입구본체(1)의 상부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청소기본체(2), 그립부(3), 그립부(3)에 고착된 선단측 파이프(4), 가요성 호스(5)와 회동관(6)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단측 파이프(4)의 선단부는 청소기본체(2)의 통 모양의 선단측 파이프 지지부(10)에 삽입되어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그립부(3)는 그립부(3)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가요성 호스(5)를 통해 상기 청소기본체(2)의 집진실(7)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는 보통의 마루청소를 하는 사용상태에서는 본체측 유로(8)를 통해 흡입구본체(1)에서 집진실(7) 내로 흡인한다. 간이청소를 할 때에는 그립부(3)의 선단측 파이프(4)를 청소기본체(2)에서 빼내, 그립부(3)를 쥔 상태에서 선단측 파이프(4)의 선단에서 천장이나 벽, 또는 틈새 등의 먼지를 흡인한다.
본 실시예의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는 흡입구본체(1)에서의 본체측 유로(8) 및 간이청소용 유로(9)(선단측 파이프(4), 그립부(3), 회동관(6), 가요성 호스(5) 및 연결관(21)으로 이루어진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1)에서의 흡기는 가요성 호스(5)를 통하지 않고 집진실(7)에 도달한다. 따라서, 흡입구본체(1)에서의 흡인효율을 향상시키고, 쓰레기막힘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후술하는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41)에 의해, 마루청소시에는 간이청소용 유로(9)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1)에서의 흡인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흡입구본체(1)는 앞바퀴(16) 및 뒷바퀴(17)를 구비하고, 마루면을 전동(轉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흡입구본체(1)는 전동송풍기(18)를 내장하고, 또한 전동송풍기(18)의 축에 감긴 벨트(20)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브러시(19)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본체(2)는 착탈이 자유로운 집진부(29)를 구비하고 있고, 집진부(29)는 집진실 외각(30) 내부에 집진실(7)이 형성되고 그믈망 모양의 프레필터(31)와 HEPA필터 등으로 제작된 메인필터(32)로 이루어진 2종류의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 청소기본체(2)의 상부에는 선단측 파이프(4)를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한 선단측 파이프 지지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선단측 파이프 지지부(10)는 통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청소기본체(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3)는 속이 빈 통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손잡이(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3)를 통해 선단측 파이프(4) 및 가요성 호스(5)가 연결되어 있다. 또, 그립부(3)는 상기 선단측 파이프 지지부(10)에 대해서, 훅(12a)을 가지는 그립부 탈착 버튼(12)에 의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가요성 호스(5)는 하단이 청소기본체(2)에 설치된 약간 L자 모양을 나타내는 연결관(21)에 접속되고, 상단이 상기 그립부(3)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관(21)은 청소기본체(2)의 후방하단부근에 설치되어, 청소기본체(2) 내부의 본체측 유로(8)에 연통하고 있다.
도 3∼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선단측 파이프(4)를 이용해서 간이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그립부(3), 회동관(6), 가요성 호스(5) 및 연결관(21)으로 이루어지는 간이청소용 유로(9)를 지나, 그 다음에 본체측 유로(8)를 통해 집진실(7)에 포집된다.
가요성 호스(5)는 그립부(3)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회동관(6)을 통해 그립부(3)에 접속되어 있다.
또, 흡입구본체(1)에는 도 4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2)와 함께 요동을 하는 로터리 파이프(22)를 구비한 마루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13)가 내장되어 있다. 이 개폐 기구(13)는 청소기본체(2)를 거의 수직으로 세운, 도 3∼4에 나타나는 간이청소의 경우에는 로터리파이프(22)가 흡입구본체(1)의 내부공간에 대해 닫혀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1)에서의 흡기가 없고, 따라서 흡기효율이 좋게 간이청소를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는 도 7∼8 및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2)의 기도에 따라, 간이청소용 유로(9)의 개폐를 하는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41)가 청소기본체(2)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간이청소용 유로(9)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선단측 파이프(4)가 청소기본체(2)의 선단측 파이프 지지부(10)에 삽입되어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서는,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41)는 선단측파이프(4)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41)는 선단측 파이프(4)의 개구를 막는 뚜껑인 패킹(42)과, 패킹(42)에서 아래쪽으로 연설(延設)된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셔터(43)와, 셔터(43) 하단에 링크결합된 요동이 자유로운 셔터암(44)과, 셔터암(44)의 선단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약간 삼각형을 나타내는 돌기부(45)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부(45)는 압축코일스프링(48)의 가압력에 의해, 항상 청소기본체(2)의 하면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있다. 이 돌기부(45)는 흡입구본체(1)의 케이스어퍼(case upper)(46)에 형성된 부분적으로 돌기부 또는 홈부를 가지는 캠면(47)에 당접하여 있다.
청소기본체(2)를 경사시킨 마루청소를 하는 상태(도 12 참조)에서는, 돌기부(45)는 캠면(47)의 홈부에 들어가기 위해 하강하고, 그에 따라 셔터암(4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셔터(43)가 상승하고, 최종적으로 패킹(42)이 상승하여 선단측 파이프(4)의 개구를 높은 기밀성으로 닫는다.
따라서, 청소기본체(2)를 도 12와 같이 쓰러뜨리는 것만으로, 간이청소용 유로(9)를 구성하는 선단측 파이프(4)의 개구를 자동적으로 닫을 수 있고, 흡입구본체(1)에서의 흡인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소기본체(2)를 기립시킨 상태(도 7참조)에서는, 돌기부(45)가 캠면(47)의 돌기부에 얹혀져 상승함으로써 셔텨암(4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셔터암(43)이 하강하고, 패킹(42)이 하강하여 선단측파이프(4)의 개구를 자동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청소기본체(2)를 도 7과 같이 기립시키면, 간이청소용 유로(9)가 개방하기 때문에, 선단측파이프(4)를 빼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기를 운전시킨 때라도, 선단측 파이프(4)의 개구에서 공기가 새어나오므로, 전동송풍기의 모터가 과속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터에 과잉 부하가 걸리기 어려워지고, 청소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측 파이프(4)의 개구를 닫는 뚜껑 모양을 나타내는 패킹(42)이 선단측 파이프(4)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개폐하고 있다. 이렇게 축방향에서 선단측 파이프(4)를 막는 패킹(42)을 채용함으로써 선단측 파이프(4)의 외주면에 접접하여 닫는 접접부재와 비교해서 선단측 파이프(4)와 접접부재 사이의 접접면에 먼지가 들어감으로써 접접작동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모래 등에 의해 접접면이 깎여 공기누출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는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본체 배면측에 있어서 연장 파이프(14a), 틈새용 노즐(14b), 평형 노즐(14c) 및 둥근 브러시(14d) 등의 여러 가지 부속물을 장비하고 있기 때문에, 간이청소를 하는 경우, 상기 선단측 파이프(4)의 선단에 이들 부속물을 붙임으로써, 나아가, 높은 곳이나 좁은 틈 등의 청소작업도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7∼1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의 흡·배기 유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루청소시에 흡입구본체(1)에서 먼지와 함께 빨아들여진 공기는, 청소기본체(2)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본체측 유로(8)를 통해서 상승하고, 출구(8a)로부터 집진실(7)내부에 도입된다. 집진실(7)내부에서는, 공기는, 프레필터(31) 및 메인필터(32)를 통해서 여과된다. 이 때, 큰 먼지는 프레필터(31)와 집진실 외각(30)과 프레필터(31)와의 사이의 공간에 모아지고, 작은 먼지나 티끌은 메인필터(32)의 표면에 포집된다.
집진실(7)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집진실(7)내부를 하강해서, 송풍기용 연결관(25)을 통해 흡입구본체(1)내의 전동송풍기(18)에 보내어지고, 이어서 배기유로(26)를 통해서 상승하고, 청소기본체(2)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27)로부터 HEPA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기필터(28)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간이청소시에 선단측 파이프(4)로부터 먼지와 함께 빨아들여진 공기는, 선단측 파이프(4), 그립부(3), 회동관(6), 가요성 호스(5) 및 연결관(21)으로 이루어지는 간이청소용 유로(9)를 통해서, 본체측 유로(8)에 합류한다. 그 후의 흐름은, 전술한 마루청소의 경우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본체에서의 본체측 유로 및 간이청소용 유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에서의 흡기는 가요성 호스를 통하지 않고 집진실에 도달한다. 따라서, 흡입구본체에서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고, 쓰레기막힘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기구(41)에 의해 마루청소시에는 간이청소용 유로를 자동적으로 막을 수 있으므로, 흡입구본체에서의 흡인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흡입구 본체와, 흡입구 본체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청소기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 본체에서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에 이르는 본체측 유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집진실에 이르는 간이청소용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청소기본체를 경사시켜서 마루청소를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를 닫고, 또한 상기 청소기본체를 기립시킨 상태에서는 간이청소용 유로를 개방하는 간이청소용 유로개폐 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청소기용 유로의 선단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 수단이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의 선단부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수단이,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의 선단부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선단부의 개구를 닫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의 상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돌기부 또는 홈부를 갖는 캠면이 형성되고, 또, 상기 간이청소용 유로 개폐수단이, 상기 캠면에 당접하는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의 승강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의 기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2001-0069793A 2001-02-07 2001-11-09 전기청소기 KR100429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1434A JP2002233482A (ja) 2001-02-07 2001-02-07 電気掃除機
JPJP-P-2001-00031434 2001-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833A true KR20020065833A (ko) 2002-08-14
KR100429479B1 KR100429479B1 (ko) 2004-05-03

Family

ID=1889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793A KR100429479B1 (ko) 2001-02-07 2001-11-09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33482A (ko)
KR (1) KR100429479B1 (ko)
CN (1) CN116423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0103B2 (en) 2008-02-28 2014-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right type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940A (ja) 2003-02-26 2004-09-1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US20060026788A1 (en) * 2004-08-06 2006-02-09 Fischer Richard J Upright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telescopic handle and wand assembly with electrified hose
JP2007054433A (ja) * 2005-08-25 2007-03-08 Twinbird Corp 電気掃除機
JP2008161503A (ja) * 2006-12-28 2008-07-17 Sharp Corp 縦型電気掃除機
KR101253385B1 (ko) * 2007-01-11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JP5093067B2 (ja) * 2008-11-14 2012-1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5482103B2 (ja) * 2009-10-29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487397B (en) * 2011-01-20 2014-12-03 Dyson Technology Ltd A cylinder vacuum cleaner
GB2487398B (en) * 2011-01-20 2014-12-03 Dyson Technology Ltd A cylinder vacuum cleaner
WO2016141953A1 (de) * 2015-03-06 2016-09-15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taubsauger
GB2542198B (en) 2015-09-14 2018-01-10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GB2542197B (en) 2015-09-14 2017-12-20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A2971492A1 (en) * 2015-12-10 2017-06-15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Upright vacuum cleaner
CN105411477B (zh) * 2015-12-10 2017-11-14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立式吸尘器
EP3406173B1 (en) 2016-01-20 2022-09-07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GB2549148B (en) 2016-04-08 2018-08-15 Dyson Technology Ltd A wand and hos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7224967B2 (ja) 2019-03-05 2023-02-20 株式会社マキタ アップライト集じん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3032A (en) * 1979-06-06 1980-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ppright shaped electric cleaner
JPS59130654U (ja) * 1983-02-18 1984-09-01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用吸込具
JPH105155A (ja) * 1996-06-20 1998-01-13 Hitachi Ltd 縦形電気掃除機
KR100233369B1 (ko) * 1997-06-13 2000-01-15 윤덕하 흡입과 송풍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0299696B1 (ko) * 1999-08-13 2001-09-22 이충전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0386258B1 (ko) * 2000-12-01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0103B2 (en) 2008-02-28 2014-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right type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479B1 (ko) 2004-05-03
CN1368030A (zh) 2002-09-11
CN1164233C (zh) 2004-09-01
JP2002233482A (ja) 200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479B1 (ko) 전기청소기
JP4205466B2 (ja) 電気掃除機
JP2005028105A (ja) 真空掃除機用モータ組立体およびそ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JP2006272019A (ja) 電気掃除機
JP2009050735A (ja) 電気掃除機
KR100539750B1 (ko) 불기기능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0429478B1 (ko) 전기청소기
KR100414808B1 (ko) 전기청소기
JP2005006681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JP4559599B2 (ja) 電気掃除機
JP2005131135A (ja) 電気掃除機
US20050071945A1 (en) Airflow diverter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and upright-type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2009504308A (ja) 真空掃除機の排気流路構造
JP3744580B2 (ja) 電気掃除機
JP2008099855A (ja) 電気掃除機
KR20030005598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JP3532088B2 (ja) 電気掃除機
JPH114786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102054471B1 (ko) 로봇 청소기용 일체형 집진장치
CA2526665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a detachable head
KR100500797B1 (ko) 진공청소기
JP3668029B2 (ja) 空気循環式電気掃除機
JPH0527133Y2 (ko)
JP2001314355A (ja) 電気掃除機
JP2784970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