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696B1 - 스틱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틱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696B1
KR100299696B1 KR1019990033341A KR19990033341A KR100299696B1 KR 100299696 B1 KR100299696 B1 KR 100299696B1 KR 1019990033341 A KR1019990033341 A KR 1019990033341A KR 19990033341 A KR19990033341 A KR 19990033341A KR 100299696 B1 KR100299696 B1 KR 10029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valve
vacuum cleaner
stick
su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684A (ko
Inventor
황윤섭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KR101999003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696B1/ko
Priority to CA002292317A priority patent/CA2292317C/en
Priority to US09/464,407 priority patent/US6317921B1/en
Priority to IT2000TO000583A priority patent/IT1320501B1/it
Publication of KR20010017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흡입관으로부터 브러쉬 조립체를 빼내지 않고도 보조 툴을 이용한 청소작업이 가능한 스틱형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주흡입포트 및 보조흡입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컵과; 상기 보조흡입유로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그 입구측 선단에는 보조 툴이 부착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와; 상기 주흡입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과; 상기 보조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 및 상기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통하여 집진컵에 이르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모터-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틱형 진공청소기{Stick-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스틱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 본체를 들고 다니면서 계단 등과 같은 장소의 청소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에 청소기 본체가 붙어 있는 스틱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 의하면, 종래의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0)와, 집진컵(20)과, 모터-홴 시스템(30) 및 손잡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는 모터-홴 시스템(30)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2)의 일측에는 흡입유로(13)가 형성된 흡입관(14)이 마련된다. 상기 흡입관(14)의 상류측 단부에는 바닥 청소용 브러쉬 조립체(50)나 틈새 청소용 보조툴(50'; 도 2)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집진컵(20)은 청소기 본체(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흡입유로(13)와 연통되는 흡입포트(15)를 가진다. 이 흡입포트(15)에는 집진컵(2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플레이트(25)가 마련된다.
상기 집진컵(20)의 출구측 단부에는 그 내부로 유입된 먼지와 공기의 혼합물로부터 먼지를 걸러내어 포집하기 위한 필터(24)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홴 시스템(30)은 브러쉬 조립체(50) 및 흡입유로(13)를 통하여 집진컵(20)으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상류측에는 모터-홴 시스템(30)으로 먼지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17)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에는 모터-홴 시스템(3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외면에는 계단 등과 같은 곳의 청소시 청소기의 핸들링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한 보조 손잡이(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컵(20)의 전방 하측에는 후크(21)을 가지는 착탈 버튼(22)이 스프링(23)에 의하여 외측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11)의 상응하는 위치에는 후크(21)와 맞물리는 걸림턱(21')이 형성된다. 집진컵(20)은 이 착탈 버튼(22)의 조작에 의하여 청소기 본체(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모터-홴 시스템(30)이 작동되면, 브러쉬 조립체(50)와, 흡입유로(13) 및 흡입포트(15)를 통하여 집진컵(20)으로 이어지는 기류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먼지가 공기와 함께 브러쉬 조립체(50)를 통하여 흡입되며, 이렇게 흡입된 먼지는 흡입유로(13) 및 흡입포트(15)를 통하여 집진컵(2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24)에 의하여 집진컵(20)의 내부에 포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의 손잡이(40)를 잡고 브러쉬 조립체(50)의 저면을 마루바닥에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기를 이동시키기만 하면 마루바닥에 존재하는 먼지가 자동적으로 흡입되어 마루바닥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한편, 방이나 계단의 구석진 부분이나 마루바닥의 틈새 등과 같이 보다 강력한 흡입력이 요구되는 부분의 청소를 위하여는, 사용자는 흡입관(14)으로부터 브러쉬 조립체(50)를 빼내고 보조 툴(50')을 갈아끼운 후(도 2), 손잡이(40)와 보조 손잡이(18)를 이용하여 청소기를 들어서 이동시키면서 청소작업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틱형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조 툴(14)을 이용하여 구석진 부분이나 틈새 등과 같은 부분의 청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그 때마다 흡입관(14)으로부터 브러쉬 조립체(50)를 빼내고 보조 툴(50')을 갈아 끼워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틱형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조 툴(50')을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0)와 보조 손잡이(18)를 이용하여 무거운 청소기를 양 손으로 들고다녀야만 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흡입관으로부터 브러쉬 조립체를 빼내지 않고도 보조 툴을 이용한 청소작업이 가능한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거운 청소기를 양 손으로 들고다니지 않고도 보조 툴을 이용한 청소작업을 행할 수 있는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브러쉬 조립체를 이용하여 마루바닥을 청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보조 툴을 이용하여 계단을 청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브러쉬 조립체를 이용하여 마루바닥을 청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보조 툴을 이용하여 계단을 청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요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청소기 본체 111; 상부 하우징
112; 하부 하우징 113; 주흡입유로
114; 흡입관 115; 주흡입포트
116; 배출공 117, 124; 필터
118; 보조 손잡이 120; 집진컵
121; 후크 121'; 걸림턱
122; 착탈 버튼 123; 스프링
125; 밸브 플레이트 130; 모터-홴 시스템
140; 손잡이 150; 브러쉬 조립체
161; 보조흡입유로 162; 보조흡입포트
170; 어댑터 본체 171; 연결유로
172; 밸브 173; 밸브 이탈방지돌기
174; 리세스 175, 175'; 밸브 회전방지돌기
176, 176'; 걸림돌기 180; 가요성 호스
181; 보조 툴 185; 캡
186; 외륜부 187; 내륜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주흡입포트 및 보조흡입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컵과; 상기 보조흡입유로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그 입구측 선단에는 보조 툴이 부착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와; 상기 주흡입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과; 상기 보조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 및 상기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통하여 집진컵에 이르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모터-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흡입유로 차단수단은 상기 주흡입유로상에 설치된 밸브이며, 상기 보조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는 수단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선단과 맞물려 상기 보조 툴의 입구를 차단하는 캡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주흡입포트 및 보조흡입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컵과; 상기 주흡입포트 및 보조흡입포트와 각각 연통되는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보조흡입유로와 연통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 본체와; 상기 어댑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주흡입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와;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도록 그 일측이 상기 어댑터 본체에 결합되며, 그 타측에는 보조 툴이 결합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선단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 툴의 입구가 차단되도록 된 캡; 및 상기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통하여 집진컵에 이르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모터-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10)와, 집진컵(120)과, 모터-홴 시스템(130) 및 손잡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10)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는 모터-홴 시스템(130)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일측에는 주흡입유로(113)가 형성된 흡입관(114)이 마련된다. 상기 주흡입유로(113)의 부근에는 주흡입유로(113)와 격리되어 보조흡입유로(161)가 마련된다. 상기 흡입관(114)의 상류측 단부에는 바닥 청소용 브러쉬 조립체(15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집진컵(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하부 하우징(112)의 주흡입유로(113) 및 보조흡입유로(161)와 각각 연통되는 주흡입포트(115) 및 보조흡입포트(162)를 가진다.
상기 주흡입포트(115)에는 집진컵(12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플레이트(125)가 마련된다. 상기 집진컵(120)의 출구측 단부에는 그 내부로 유입된 먼지와 공기의 혼합물로부터 먼지를 걸러내어 포집하기 위한필터(124)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12)에는 어댑터 본체(170)가 결합된다. 상기 어댑터 본체(170)의 일측에는 하부 하우징(112)의 보조흡입유로(161)와 연통되는 연결유로(17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171)에는 가요성 호스(180)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가요성 호스(180)의 타측에는 틈새 청소용 보조툴(181)이 결합된다.
상기 어댑터 본체(170)에는 주흡입유로(113)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밸브(172)가 결합된다(도 6 참조). 도 6에서, 도면부호 173은 밸브 이탈방지돌기로서, 이 밸브 이탈방지돌기(173)가 밸브(172)에 형성된 리세스(174)에 맞물림으로서 밸브(172)가 어댑터 본체(1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면부호 175 및 175'는 밸브 회전방지돌기로서, 이 한 쌍의 밸브 회전방지돌기(175, 175') 사이에 밸브(172)에 형성된 걸림돌기(176, 176'; 도 5)가 위치됨으로서 밸브(172)는 주흡입유로(113)을 완전히 개방하거나(도 5) 또는 완전히 폐쇄한 상태(도 8)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 본체(170)의 연결유로(171)의 양측에는 이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캡(185)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도 6 참조). 상기 캡(185)는 하나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2 개를 형성하였다.
상기 캡(185)에는 보조 툴(181)의 입구측 선단부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이에 따라 보조 툴(181)의 입구가 차단되어 가요성 호스(180) 및 보조흡입유로(161)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차단된다.
상기 캡(185)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조 툴(181)의 입구측 단부의 외측이 끼워지는 외륜부(186)와 상기 보조 툴(181)의 입구측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륜부(187)를 가진다. 이 외륜부(186)와 내륜부(187)에 의하여 보조 툴(181)의 입구가 보다 확실하게 차단된다.
상기 모터-홴 시스템(130)은 주흡입유로(113) 및 보조흡입유로(161)를 통하여 집진컵(120)으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상류측에는 모터-홴 시스템(130)으로 먼지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117)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1)에는 모터-홴 시스템(13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 하우징(111)의 상면에는 계단 등과 같은 곳의 청소시 청소기의 핸들링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한 보조 손잡이(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컵(120)의 전방 하측에는 후크(121)을 가지는 착탈 버튼(122)이 스프링(123)에 의하여 외측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하부 하우징(111)의 상응하는 위치에는 후크(121)와 맞물리는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집진컵(120)은 이 착탈 버튼(122)의 조작에 의하여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밸브(172) 및 보조 툴(181)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보조 툴(181)을 통한 공기의 흡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모터-홴 시스템(130)이 작동되면, 브러쉬 조립체(150)와, 주흡입유로(113) 및 주흡입포트(115)를 통하여 집진컵(120)으로 이어지는 기류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먼지가 공기와 함께 브러쉬 조립체(150)를 통하여 흡입되며, 이렇게 흡입된 먼지는 주흡입유로(113) 및 주흡입포트(115)를 통하여 집진컵(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124)에 의하여 집진컵(120)의 내부에 포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의 손잡이(140)를 잡고 브러쉬 조립체(150)의 저면을 마루바닥에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기를 이동시키기만 하면 마루바닥에 존재하는 먼지가 자동적으로 흡입되어 마루바닥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한편, 방이나 계단의 구석진 부분이나 마루바닥의 틈새 등과 같은 부분의 청소를 위하여는, 사용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밸브(172)를 회전시킨 후, 캡(185)으로부터 보조 툴(181)을 빼내어 청소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 때에는, 밸브(172)에 의하여 주흡입유로(113)가 차단되기 때문에, 보조 툴(181)과, 가요성 호스(180)와, 연결유로(171)와, 보조흡입유로(161) 및 보조흡입포트(162)를 통하여 집진컵(120)으로 이어지는 기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브러쉬 조립체(150)를 보조 툴(181)로 교체하지 않고도 보조 툴(181)을 이용한 청소작업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툴(181)이 가요성 호스(18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무거운 청소기를 양손으로 들고다니지 않고도 보조 툴(181)을 자유롭게 움직여 필요한 부분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진공청소기에 의하면,흡입관으로부터 브러쉬 조립체를 빼내지 않고도 보조 툴을 이용한 청소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거운 청소기를 양 손으로 들고다니지 않고도 보조 툴을 이용한 청소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주흡입포트 및 보조흡입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컵과;
    상기 보조흡입유로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그 입구측 선단에는 보조 툴이 부착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와;
    상기 주흡입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과;
    상기 보조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 및
    상기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통하여 집진컵에 이르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모터-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흡입유로 차단수단은 상기 주흡입유로상에 설치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된 어댑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밸브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밸브에 형성된 리세스에 맞물림으로서 상기 밸브가 상기 어댑터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한 쌍의 밸브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밸브 회전방지돌기의 사이에 상기 밸브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위치됨으로서 상기 밸브가 상기 주흡입유로를 완전히 개방하거나 또는 완전히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는 수단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선단과 맞물려 상기 보조 툴의 입구를 차단하도록 된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호스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된 어댑터 본체를 통하여 상기 보조흡입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캡은 상기 어댑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어댑터 본체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외측이 끼워지는 외륜부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외측이 끼워지는 외륜부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외측이 끼워지는 외륜부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2. 주흡입포트 및 보조흡입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컵과;
    상기 주흡입포트 및 보조흡입포트와 각각 연통되는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보조흡입유로와 연통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 본체와;
    상기 어댑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주흡입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와;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도록 그 일측이 상기 어댑터 본체에 결합되며, 그 타측에는 보조 툴이 결합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선단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 툴의 입구가 차단되도록 된 캡; 및
    상기 주흡입유로 및 보조흡입유로를 통하여 집진컵에 이르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모터-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밸브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밸브에 형성된 리세스에 맞물림으로서 상기 밸브가 상기 어댑터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한 쌍의 밸브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밸브 회전방지돌기의 사이에 상기 밸브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위치됨으로서 상기 밸브가 상기 주흡입유로를 완전히 개방하거나 또는 완전히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어댑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어댑터 본체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외측이 끼워지는 외륜부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외측이 끼워지는 외륜부와 상기 보조 툴의 입구측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19990033341A 1999-08-13 1999-08-13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029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341A KR100299696B1 (ko) 1999-08-13 1999-08-13 스틱형 진공청소기
CA002292317A CA2292317C (en) 1999-08-13 1999-12-06 Stick-type vacuum cleaner
US09/464,407 US6317921B1 (en) 1999-08-13 1999-12-16 Stick-type vacuum cleaner
IT2000TO000583A IT1320501B1 (it) 1999-08-13 2000-06-16 Aspirapolvere del tipo ad asta, in particolare per la pulizia di zonedifficilmente accessibil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341A KR100299696B1 (ko) 1999-08-13 1999-08-13 스틱형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684A KR20010017684A (ko) 2001-03-05
KR100299696B1 true KR100299696B1 (ko) 2001-09-22

Family

ID=1960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341A KR100299696B1 (ko) 1999-08-13 1999-08-13 스틱형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625B1 (ko) * 2000-10-04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유로 시스템
JP2002233482A (ja) * 2001-02-07 2002-08-2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68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2317C (en) Stick-type vacuum cleaner
KR100615360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진공청소기
JP3917585B2 (ja) 真空清掃機
US7581286B2 (en)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on unit thereof
AU2004202473B2 (en) A releasable attachment device for a dust-collecting receptacle of a vacuum cleaner cyclonic separator
US20070186522A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16511671A (ja) 表面クリーニング装置
JP5066759B2 (ja) 掃除用電気器具のアタッチメント
KR100485714B1 (ko) 백레스 진공청소기
JP2005028105A (ja) 真空掃除機用モータ組立体およびそ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KR100485712B1 (ko) 사이클론 진공청소기의 오물수거통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사이클론 진공청소기
KR100299695B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0299696B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JP4901569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57951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공기흐름 전환장치 및 이를구비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1093887B1 (ko) 진공청소기
JP2005131135A (ja) 電気掃除機
KR20060125955A (ko) 집진 유니트
KR19980013972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조절스위치
KR100589772B1 (ko) 진공청소기용 핸들구조
KR101717537B1 (ko) 업라이트 형 진공청소기
KR0158386B1 (ko) 흡입구가 2개인 진공청소기
JP2003210369A (ja) 電気掃除機
KR200353553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144887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