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531A -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시각 보조물 - Google Patents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시각 보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531A
KR20020065531A KR1020027006593A KR20027006593A KR20020065531A KR 20020065531 A KR20020065531 A KR 20020065531A KR 1020027006593 A KR1020027006593 A KR 1020027006593A KR 20027006593 A KR20027006593 A KR 20027006593A KR 20020065531 A KR20020065531 A KR 20020065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 aid
lens system
lens
visu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109B1 (ko
Inventor
오프너제럴드안톤
Original Assignee
라이프 옵틱스 한델 운트 페어트리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프 옵틱스 한델 운트 페어트리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이프 옵틱스 한델 운트 페어트리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6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2Mounting on the human bod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4Magnifying glasses having binoc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scope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 Endoscop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Liquid Crystal (AREA)
  • Lens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렌즈 시스템을 갖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에 관한 것으로, 각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대물 렌즈(70)와 하나의 접안부(71)를 포함하고 있다. 망원경형 안경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렌즈 시스템의 초점을 조정하기 위해 렌즈 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변경시키는 자동 초점 조정 장치가 렌즈 시스템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시스템에는 초점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확대율을 변경하는 장치(줌) 및 시각 보조물의 렌즈 시스템들간의 시차를 물체로부터 망원경형 안경까지의 거리에 따라 조정된 초점 길이에 맞추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시차는 렌즈 시스템의 광선 경로에 제공되고 렌즈 시스템(1)으로부터 물체까지 연장된 광선 경로 사이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변 광학 요소(11)로 조정된다.

Description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VISUAL AID IN THE FORM OF TELESCOPIC SPECTACLES WITH AN AUTOMATIC FOCUSSING DEVICE}
자동 초점 조정 수단, 초점 거리 변경 수단 및 시각 보조물의 관들간의 시차를 각 초점 거리에 맞추는 수단을 구비하는 이러한 시각 보조물은 국제 특허 공개 번호 제 WO 96/09566호(또는 동일한 내용을 갖는 미합중국 특허 제 5,971,540A호)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시각 보조물은 망원경형 안경(telescopic spectacle)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공지의 망원경형 안경은 자동 및/또는 수동 초점 조정 수단, 확대율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장치 및 각 초점 길이에 일치하는 자동 및 기계식 시차 보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혈관 수술시, 수술 부위가 서로 다른 위치에 있음으로 인해 작동 거리를 변경해야만 할 경우, 초점 길이 및 시차 각도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새로운 작동 거리로 조정되어진다. 이런 방식으로, 그 시각에 진행되는 수술에 대응하도록 시각 보조물이 최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시각 보조물의 사용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으면서 수술에 임할 수 있도록 시시 각각 가장 편안한 인체 공학적 자세를 취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공지의 시각 보조물의 경우 어떠한 작동 거리를 선택하든지 확대율을 각 요구 조건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셋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공지의 시각 보조물의 경우 사용자는 매우 자유롭게 작동 거리 및 확대율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 작동(foot operated) 스위치를 제어 장치로 사용한다. 작동 거리 및 초점 조정 위치를 변경할 때 3차원 영상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지의 시각 보조물은 이것의 관 각도를 서로 기계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시차 각도를 각 초점 길이에 맞추는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을 사용한다. 시차를 각 설정된 초점 길이에 맞추는 이러한 유형은 몇가지 단점을 수반하게 된다.
(1) 관은 모터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동되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비교적 무거워 착용감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시각 보조물의 관이 서로 종축을 따라 이동 가능해야 하므로 기계적 응력에 대한 시스템의 저항력이 손상된다.
(3) 작동 거리의 각 변화에 대한 시차 보정은 관들간의 위치를 변경하여 접안부 평면의 각을 사용자의 눈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으로 반사가 방해를 받고 입사동 및 시계(field of vision)의 감소를 야기한다.
(4) 실제로, 이러한 유형의 시차 보정을 갖는 시스템을 사용자에 관계없이 제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즉, 각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 및 그의 동공 거리에 맞게 제조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를테면, 병원에서 이뤄지는 모든 수술에서 자동 초점 조정 망원경형 안경을 가지고 집행하려고 할 경우 매우 많은 투자비가 필요하게 된다.
(5) 접안부 위에 돌출하는 교정 렌즈를 접안부에 부착하는 경우, 관의 위치가 소정 상황에서 변할 때, 교정 렌즈가 사용자의 얼굴을 쳐 집중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수술시 사용자가 이러한 시각 보조물을 사용하면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보내진 환자의 활력 징후, 측정 척도, 또는 X선,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그 밖의 다른 데이터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볼 수 있다는데 매우 큰 이점이 있다. 현재, 공지의 망원경형 안경은 이러한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한 망원경형 안경이 특허 AT E 99782 B에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5,078,469A에는 수술 부위의 사진을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 및 표시부가 연결된 망원경형 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개 번호 제 WO 95/25979 A에는 수술 부위의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추가적인 정보, 예를 들면, 환자의 데이터를 반영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수술용 망원경이 개시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621,283 A호에는 망원경형 안경 및 기록 카메라와 광원을 갖는 의사의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회전 거울로 인해 어떤 거리를 두고 머리에 장착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기록 카메라와 광원의 관찰 방향이 의사의 눈 앞에 있는 망원경형 안경을 통해 보이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의사가 보는 영상 시역(image field)이 기록 수단을 통해 동일한 시야각으로 스크린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점 거리를 변경하는 수단, 시각 보조물의 관들간의 시차를 각 초점 거리에 일치시키는 수단 및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청구항 1의 도입부의 특징을 갖는 시각 보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상세한 설명, 특징 및 이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망원경형 광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얻는다.
도 1은 시각 보조물의 도면,
도 2는 조명 수단을 구비하는 시각 보조물의 도면,
도 3은 대물 렌즈 거리가 가변적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할당된 레이저 광원을 갖는 시각 보조물의 도면,
도 5 및 도 6은 시각 보조물용 헤드셋의 도면,
도 7, 도 7a 및 도 7b는 자동 초점 수단용 센서 앞에 장치를 갖는 일실시예의 도면,
도 8은 두개의 렌즈 시스템가 공통관에 내장되어 있는 일실시예의 도면,
도 9는 외부 적외선이 적외선 자동 초점 수단의 수신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시각 보조물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일실시예와 유사하게 외부 적외선이 적외선 자동 초점 수단의 수신부로 들어가는 방지하는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그리고
도 11은 시각 보조물의 광선 경로에서 투명 표시부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작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각 활동에 맞는 확대율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헤드 장착형 시각 보조물을 제조하는 데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은 시각 보조물의 두개의 관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필요없이 국제 특허 공개 번호 WO 제 96/09566에서 공지된 시각 보조물에서와 같이 보존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외부 데이터 소스에서 비롯된 문자 또는 비디오 형태의 추가적인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시각 보조물의 접안부상의 대응하는 설정에 의한 낮은 보임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은 시각 보조물의 두개의 관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필요없이 국제 특허 공개 번호 WO 제 96/09566에서 공지된 시각 보조물에서와 같이 보존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외부 데이터 소스에서 비롯된 문자 또는 비디오 형태의 추가적인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시각 보조물의 접안부상의 대응하는 설정에 의한 낮은 보임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 보조물은 광선 경로에 제공된 적절한 광학 요소를 이용하여 관을 지나 물체로 향하는 광선 경로 사이의 각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의 바람직하고 유익한 실시예들은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은 아주 새로운 응용 또는 제품군을 의미한다.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은 자동 초점 조정 특성, 광학 시차 보정 및 가변속 줌으로 인해 사용시 전례에 없이 완벽하게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는데 망원경형 안경 또는 수술용 현미경과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은 헤드셋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데 수술용 현미경과 크게 다르다.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은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의 수술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작업 시역을 확대해 관찰하려고 할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각 보조물의 관들간의 각도를 변경할 필요없이, 가변적 확대율, 자동 초점 조정과 자동 시차 보정 및 나쁜 시계를 보상할 가능성을 갖는 가볍고 안정적이며 편리한 입체적 시각 보조물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시각 보조물은 광선 경로를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난형(oval) 관에 수용할 수 있는 구조적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추가적 시각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다음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을 수술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을 사용하는 의사는 확대율을 변경하지 않고도, 이를테면, 보조자가 수술 부위를 보다 잘 관찰할 수 있도록 작동 거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확대율을 변경할 필요 없이, 예컨대, 종양과 같은 물체(object)를 정확하고 정량적인 판단할 수 있다.
수술시, 광선 경로는 종종 대물 렌즈와 수술 부위 사이를 교차하게 되며, 이것은 공지의 망원경형 안경의 자동 초점 조정 수단에 의해 원래의 시계에 대한 후속의 재조정과 동시에 교차된 물체를 고려하여 초점 길이를 조정해야 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야기한다. 본 발명에서 이것은 지연 스위치를 갖추고 있는 초점 길이의 자동 변화와 그에 따라 조정 시간 직후 작동 거리의 변화 그리고/또는 광속(optical speed)이 새로운 작동 거리에 대한 최적화된 거리로 유도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초점 조정부의 반응 시간을 특정 상황 또는 개인적인 작업 스타일에 맞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술 훈련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술을 관찰하는 학생들이 의사에게 제공된 투시도 그대로 수술 과정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인체 내강내 수술시, 최적의 조명에 관한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즉, 천장 조명등은 좀처럼 적절한 위치까지 이동되지 않으며, 부득이 헤드셋에 장착된 광원은 대물 렌즈와 시야 사이의 광선까지 시차 각도를 갖게 되어 원치 않는 투영 그림자(cast shadow)를 특히, 직경이 작은 인체 내강에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이것은 보조 내과 의사가 의사의 정확한 시야를 인식하는데 유리하므로 그들의 주의를 의사의 정확한 시야에 집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조직의 자발 형광 특성이 이용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필터 및 주파수 변환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과 결합된 UV/IR 레이저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대된 3차원 효과가 유리하게 되는 상황에 적용되며, 본 발명은 일례로 대물 렌즈들간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의 사용자는 종종 이를테면, 수술시 인습적으로 적응을 위해 눈 앞에 장착된 망원경형 안경을 자꾸 보게 된다. 만약 보임성이 좋지 않을 경우 교정 렌즈를 망원경형 안경의 접안부에 부착하는 것만이 실행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교정 렌즈는 망원경형 안경의 초점 길이가 변화할 경우 시차 적응을 수행하여 시차 각도의 변화에 따른 광학 품질의 감소를 방지한다.
국제 특허 공개 번호 제 WO 96/09566호의 공지 시각 보조물을 이용할 경우, 접안부 상에 장착된 디옵터 보정 장치에 의해 불충분한 보임성의 보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접안부 상에 장착된 교정 렌즈에 의해 불충분한 보임성을 줄일 수 있다.
소정 적용례에 있어서, 손질하기 쉽고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흡수, 반사 또는 여광 보호 렌즈를 사용하고 정보, 예를 들면, 수술 변수를 순간 시계에 반영하는 것은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에 대한 정확하고 정량적인 판단을 위해 액정 표시, LED 진공 형광 표시 또는 기체 방전 표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측정 척도를 중간 영상판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선 경로의 일부를 CAD 카메라 모듈 상에 반사시킴으로써 이를테면 수술 훈련에 적합한 모니터 상에서 수술 과정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변 구경을 갖는 섬유 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개 광학 시스템에 통합된바람직한 광원은 공지의 시각 보조물을 사용할 때 보다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일실시예를 사용할 때 조명 특성을 개선한다. 광은 광선 분할기에 의해서나 프리즘 반전 시스템의 프리즘 표면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에서는 관찰을 위한 UV/IR 또는 레이저 광이 방출된다. 물체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접안부의 필터에 의해 흡수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적외선 광, 자외선 광 또는 레이저 광을 사용하면 높은 진단 가치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초점 길이가 변할 때, 관 또는 접안부 거리의 변경 없이 각 대물 렌즈 또는 그 일부(전면 부재)를 대응하는 측방향 및/또는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선택적으로 기울이는 시각 보조물의 중간부에 장착된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쉬스 케이블 또는 기어 캠 제어를 통한 시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축 이동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거리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초점 길이의 변경). 시각 보조물의 기본 설치에 있어서(이동 가능한 대물 렌지 또는 렌즈부의 광축이 줌 연장의 광축에 놓여 있음), 접안부의 광축이 눈의 광중심점을 지나도록 거리 설정 및 폭주각을 중간 작동 거리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거리가 변할 때, 대물 렌즈 또는 내부적으로 초점을 조정하는 해당 대물 렌즈부는 물체측 시스템의 초점이 물체면에 놓이도록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두개의 대물 렌즈의 초점이 시각 보조물의 대칭면을 따라 정확하게 유도되는 방식으로 캠을 통한 측방향 이동이 일어난다. 이때, 시차 보정을 위한 접안부의 광축에 대한 각도의 변화 및 거리의 변화 모두 불필요하다.
또한, 대물 렌즈 또는 대물 렌즈부의 일부를 기울임으로써 측방향 상쇄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 오차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대물 렌즈 또는 대물렌즈부의 상기와 같은 이동은 전기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선형 구동 장치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초점 길이의 변경에 의한 렌즈 시스템의 초점 조정과 렌즈 시스템의 확대율의 변경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렌즈 시스템과 물체 시역사이의 소정 거리에서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렌즈 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대상 시역과 예컨대 자동 초점 조정 수단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경해야 한다. 이러한 초점 조정으로 영상의 크기가 렌즈 시스템과 물체 시역 사이의 거리에만 의존하는 집속된 영상을 얻게 된다. 물체 시역의 집속된 영상의 크기는 단지 물체 시역과 렌즈 시스템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경이 가능하다(긴 거리: 작은 영상-짧은 거리: 큰 영상). 한편, 줌 수단을 갖는 렌즈 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렌즈 시스템과 물체 시역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필요 없이 줌 수단을 이용하여 초점 길이를 변경시키는 것만으로 물체 시역의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줌 수단을 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동 초점 조정 수단으로 렌즈 시스템의 초점을 조정하는 것은 초점 길이의 변경을 수반하게 된다. 물론, 자동 초점 조정 수단과 줌 수단은 동일물이 아니다.
이러한 원리는 카메라의 대물 렌즈에 바탕을 두고 수립될 수 있다. 줌 기능이 없는 자동 초점 수단은 카메라가 한번 나무에 근접했다가 다시 멀어짐으로써, 보다 크게 또는 작게 정확하게 초점이 맞춰진 소정의 나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두 경우, 서로 다른 초점 길이로 사진을 찍게 된다. 한편, 줌 대물 렌즈를 갖는 카메라를 사용하면 한 장소에서 서로 다른 초점 길이로 한번은 크게, 그 다음에는 작게 나무를 찍는 것이 가능하며, 이 카메라는 또한 줌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줌 수단은 렌즈 시스템에 위치 선정 메카니즘을 갖는 추가적인 렌즈 그룹이 필요하므로, 이들 렌즈 시스템은 매우 비싸고 광의 세기가 서로 다르며, 대체로 부피가 크다.
도 1에는 두개의 관(1)들, 접안부(2), 적외선 다이오드(5)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중간부에 장착된 자동 초점 조정 수단(4) 및 수신부(6)로 이루어진 시각 보조물(망원경형 안경)이 도시되어 있다. 관(1)들은 서로 고정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로 편(1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스위치(3) 및 외부 전기부(7)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또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라디오 트랜스미터(8) 및 라디오 수신기(9) 또는 그 반대의 경우를 이용하여 시각 보조물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관(1) 내에는 가이드(12)로서 두개의 굽은 판이 내장되어 있으며, 광학 요소(11)의 각 위치의 굴절 특성이 관(1)으로부터 나오는 광선 경로(14) 사이에서 각각 선택된 작동 거리(A)에 필요한 각도(13)를 만들도록 가이드(12) 상에 모터(10)를 위치시킴으로써 광학 요소(11)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적절한 형태를 갖는 광학 요소(11)는 관(1) 내에 내장하거나 관(1)의 앞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 요소(11)는 곧은 판 또는 굽은 판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광학 요소(11)는 또한 단지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광학 요소(11)의 위치 측정 원리는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에 의해 전달된다. 이때, 시차 보정에 요구되는 광학 요소(11)의 위치 계산은 전기부(7)에 의해 수행된다. 전기부(7)는 또한 각 작동 거리(A)에 최적인 자동 초점 조절 수단(14)의 렌즈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 위치도 역시 위치 조정 모터(10)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도 1에 따르면, 활성화 후, 시각 보조물의 확대율(줌)은 렌즈 시스템(11)을 이용하여 외부 스위치(3)에 의해서나 음성 조절을 통해 연속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시각 보조물의 그 밖의 다른 기능들도 또한 외부 스위치(3)에 의해서나 음성 조절을 통해 활성화, 비활성화 또는 변화가 가능하다.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정보, 예를 들면, 환자의 활력 징후,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X선 데이터 또는 사진, 측정 척도 등도 두개의 관(1) 내에 위치하는 상기 광학판(16)에 삽입할 수 있다.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표시부(18)를 또한 하나의 접안부(2)의 근방 또는 두 접안부(2)의 근방에 장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정보들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정보는 입체적으로, 즉, 개별적인 영상들을 시차 및/또는 시각 거리(eye distance)에 관해 교정하여, 삽입할 수 있으며, 전체 또는 부분적인 화면("프리즈 프레임")으로 유지될 수 있다.
비디오 형태로 이송된 추가적인 정보는 관찰 물체에 관해 적소에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관성 센서와 함께 광학, 전자기 또는 그 밖의 위치 조정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환자에 관한 물체, 예를 들면, 수술 기구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것을 시각 보조물의 광선 경로에서 광학판을통해서나 또는 외부에 장착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관성 센서, 선형 또는 각형 엔코더 또는 초음파, 적외선 또는 그 밖의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면, 확대 영역, 관찰 물체까지의 거리등과 같은 시각 보조물의 현재 변수를 기록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컴퓨터 재생 또는 광학 정보의 확대를 위해 사용 및/또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에는 작업 영역의 조명을 위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요구되는 광은 외부 광원으로부터 헤드셋을 통해 시각 보조물의 대물 렌즈 판 부근으로 광섬유에 의해 보내진다. 광섬유의 일단에는 작업 시역이 최적의 크기 및 강도로 비춰지도록 나오는 빛을 선택된 작동 거리 및 확대율에 맞추는 렌즈 시스템이 부착될 수 있다. 측정 데이터는 내부 또는 외부 센서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광은 또한 광학 시스템 내에서 본 광이 광학 광선 경로(14)에 동축으로 물체까지 보내질 수 있도록 하나의 관(1) 또는 두개의 관(1)의 광학 시스템으로 광섬유에 의해 결합된다. 이런 방식으로, 광학 광선 경로(14)와 작업 영역의 조명간의 시차각을 피할 수 있다.
조광 표면의 광의 세기 및 크기를 선택된 확대율 및 각 작동 거리는 시각 보조물의 광학 시스템 내에서 맞춘다.
도 2는 물체 시역의 동축 조명을 위한 광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광은 광섬유(20)를 통해 외부 광원(19)으로부터 광학 요소(21)로 보내진다. 이들 광학 요소(21)는 광 광선(23)과 동축으로 정렬된다. 각 작동 거리에 대해 최적인 조명의 세기 및 양은 위치 조정 모터(10)를 이용하여 확보한다.이때, 위치 조정 모터(10)는 위치 조정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거나 또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블(24)에 의해 외부 전자부(7)까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소 수술의 경우, 3차원 효과를 각 적용 또는 그 시각에 보여지는 물체 영역의 표면 구조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은 접안부(2)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될 때 시각 보조물의 대물 렌즈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 3은 접압부의 거리(26)가 일정하며 변화 가능한 길이를 갖는 가로편(17)에 의해 상호 연결된 관(1)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치(25)는 물체의 영상을 놓치지 않으면서 관(1) 사이의 거리(27)가 변할 때 접안부(2)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그 위에서 접압부(2)를 전연 반대로 밀어내는 요소로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또한 대물 렌즈의 앞 또는 관(1) 내에 있는 이동식 광학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시각 보조물의 확대 영역을 변화시키기 위해, 광학 시스템외에, 교체형 접안부 또는 교체형 대물 렌즈를 관(1)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관에 사용할 수 있다.
의학 진단학에서는 광역학적 진단이라고 불리는 공정이 사용된다. 이 경우, 감광성 물질을 사용하여 소정 부위, 예를 들면, 악성 조직 부위에 축적한 후,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보여질 수 있게 하며, 여기서는 광으로 5㎜의 침투 깊이를 갖는 보통 적색 레이저 광을 사용한다. 또한, 존재하는 암종 또는 발암 물질 전구체 부위를 보이게 하도록 소정 파장의 광 아래에서의 건강 및 악성 조직부위의 서로 다른 자동 형광 특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현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많은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대체로 내시경 또는 수술용 현미경을 이용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이를테면, 개방성 수술시 사용할 경우 이롭기는 하나 장시간 동안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헤드 장착형 시각 보조물은 없다. 일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은 소정 파장의 광의 조사에 기인하는 관찰 물체 영역의 소정 반사 특성의 인지를 가능하게 하거나 쉽게 하는 광학 시스템의 광선 경로에 필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관찰되는 물체 시역의 반사 차이, 예를 들면, 조직 부위의 자동 형광이 뚜렷하게 감지되지 않을 경우, 일실시예에서, 시각 보조물에는 광원으로부터 직접 또는 외부 또는 내부 동축 광섬유 시스템을 통해 반사되어지는 관찰 영역으로 보내지는 광을 수용하고, 내부 또는 외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한 후 건강 및 의심 조직 부위에 서로 다른 색을 할당하는 내부 및/또는 외부 수용기, 예를 들면, 카메라 칩을 설치할 수 있다. 이들 색은 다시 광학 시스템의 관(1) 또는 관들(1)로 반사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색은 외부 표시부 또는 모니터부를 통해 재생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물체 위의 광선의 위치 및 크기를 지시하는 위치 마크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양 제거하기 위한 개방성 수술의 경우, 이것은 근본적인 제거를 향상시키거나 암종의 조기 발견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에는 관, 접안부(2)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로 편(17)으로 구성된 시각 보조물을 도시되어 있으며, 광학 시스템에 두개의 필터(28)가 존재한다.필터(28)는 수동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예를 들면, 판 상에서의 측면 이동에 의해 작동 위치로 그리고 작동 위치로부터 밀어내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시각 보조물의 두개의 관(1) 사이의 한 위치로부터 물체 시역(30)을 비춰 물체 시역(30)의 표면 아래로 통과시키는 광섬유(20)를 갖는 레이저 광원(29)을 도시하고 있다. 암종(32)에 의해 반사된 광(31)은 건강한 조직에 의해 반사된 광(33)과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이들의 차이는 영상의 반영, 분석 및 색 부호화(color coding) 및 재반영에 의해서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 위치로 밀어내진 필터(28)에 의해 표시된다.
공지의 헤드 장착형 시각 보조물의 경우, 오랫동안 시각 보조물의 무게에 의한 경사 이동 및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요구되는 거리에 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각 보조물(도 5 및 도 6)은 이러한 문제를 헤드셋(34)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까지 종축으로 이어지는 구부러진 대각 부재(35) 및 헤드셋(34)의 후방부에 부착된 추(36)를 부착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의 민감한 이마 및 코 영역에 있던 무게 중심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머리의 중심으로 이동함으로써 또한 머리의 종축으로 이동하며, 이로써 인체 공학적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된다.
도 5에는 대각 부재(35) 및 균형추(36)를 구비하는 헤드셋(34)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헤드셋(34)의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시각 보조물(37)의 무게 및 사용자의 눈으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유발되는 경사 이동(38)이 조정 수단(41)에 의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대각 부재(35)와 균형추(36)에 의해 어떻게 균형을 이루는지 보여주고 있다. 무게는 역선(39)을 따라 사용자의 머리 중심 상에서 종축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과거에는 헤드 장착형 시각 보조물의 고 확대율에서는 "요동" 및 "불확실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시각 보조물은 이러한 문제를 능동 또는 수동 진동 감쇠에 의해 해결하고 있다.
물체를 볼 때, 시각 보조물의 사용자는 중간 강조 자동 초점 장치에 의해 감지된 영역이 아니라 예를 들면, 영상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다른 영역을 관찰하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의 경우, 다중 자동 초점 장치 구역에 결합된 사용자의 눈동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 및 적절한 제어부가 장착되어 있다.
헤드 장착형 시각 보조물의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를 필요 없이 시각 보조물 및/또는 외부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음성 제어는 모든 상황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의 헤드셋의 적절한 영역에는 사용자의 뇌의 전류를 포착하여 시각 보조물의 상기의 기능들을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가 인지한 영상을 재구성하기 위한 전극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헤드셋의 적절한 영역에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생체 귀환(biofeedback) 센서를 장착한다. 이후, 이로부터 얻은 정보는, 예를 들면, 과도한 스트레스 또는 탈진 및 피로한 경우 의사에게의 경고 등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7,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 있어서, 적외선(IR) 시스템으로 제조된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경우,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의 수신부(6) 상에는 자동 초점 조정 수단으로부터 발생하거나 이에 속하지 않으며 물체 시계(30)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적외선 방사(43),(44)가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의 수신부(6)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있다.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에 속하지 않는 이들 반사 적외선(48)은 수동 적외선 영상 가이드 또는 항법 시스템(42)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자동 초점 조정 시스템(4)의 경우, 예를 들면, 필터, 특히, 편광 필터(45)(도 7), 물체 시계로 향해 있는 관(47)(도 7b) 또는 수직 또는 비스듬히 향해 있는 루버 또는 회절 격자 부착물(46)로 이루어진 장치에 의해 불필요한 영향을 막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의 일실시예의 경우, 두개의 렌즈 시스템(51),(52), 즉, 좌 및 우 렌즈 시스템이 공통관(50)(단통형 관)에 설치되어 있다. 공통관(50)에 수용된 렌즈 시스템(51),(52)은 예를 들면, 관(50)의 일단 또는 양단상에 커버(53)에 의해 오염물의 침투 및 외부 광 및 산란 광의 입사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외부 또는 산란 광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의 실시예에서의 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공통관(50)은 시각 보조물이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데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안정성, 시각 보조물의 충격, 응력 및 비틀림에 대한 비취약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시각 보조물은 습기 침투에 대비하여 밀봉되어 있어, 보존액에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국,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부품이 수술 부위에 떨어질 위험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의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초점 길이가 그 밖의 다른 실시예(특히, 도 1)에 관해 설명한 바와 같이, 공통관(50) 내에서 광학 요소(11)에 의해 변화할 때, 시차각은 균등하게 된다.
특히, 수술, 예를 들면, 인간의 뇌 수술의 경우, 의사는 직접 수술 부위를 볼 수 없으며, 단지 보조 장치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적외선 제어 장치를 환자에 대한 기구의 위치를 좇아가면서 그것을 모니터 상에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이들 장치(적외선 추적 수단)는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을 이러한 적외선 추적 수단과 함께 사용할 경우, 적외선 추적 수단에 의해 방출되는 적외선 광이 시각 보조물의 적외선 제어 자동 초점 조절 수단에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경우에는 외부 광 또는 산란 광, 특히, 적외선 추적 수단(60)으로부터의 광의 입사를 방지하는 부품을 자동 초점 조정 수단에 할당할 수 있다. 이것은 도 7, 도 7a 및 도7b를 이용하여 위에서 원칙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을 산업계에서 사용할 경우, 일광의 적외선부가 역시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방해를 일으키는 적외선 광에 의한 본 발명의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역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일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면, 적외선 추적 수단 및/또는 일광으로부터 기인하는 방해를 일으키는 적외선 광의 입사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수단의 일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있으며,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적외선 수신기(6)가 비스듬히 입사하는 적외선 광(61)을 수신할 수 없도록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적외선 수신기의 유입 개구(63) 위를 돌출하는 수개의 루버로 구성되어 있다. 즉, 수신기(6) 앞에 위치하는 루버(62)에 의해 광이 수신부(6)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지 적외선 수신기(6)가 보이는 방향과 평행으로 정렬된 적외선 광만이 수신기(6)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적외선 추진기 이용시, 수술 항법 시스템에 사용되며 수술 기구의 위치 탐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외선 산란 광이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수신부(6)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적외선 산란 광에 의해 초점 조정 과정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의 수신기(6)의 앞에 카메라의 대물 렌즈 앞에 사용되는 선 바이저와 유사한 관형 다이아프램(65)이 있다. 도 10은 적외선 추적 수단(60)에서 기인하는 적외선 광이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수신기(6)에 도달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단지 물체 평면(30)(물체 시계)에 의해 반사되고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에 속하는 적외선 수단(5)에 의해 방출되는 적외선 광(66)만이 수신기(6)에 도달할 수 있다. 통상 머리에 장착되는 적외선 추진기(60)로부터 나오는 적외선 광(61)은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의 적외선 수신부(6)의 유입 개구(63)로 들어가지 못한다.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수신부(6)의 앞에 있는 물체 시계를 향해 있는 관(65)은 강력한 효과를 위해 광 흡수 물질로 내부를 코팅하거나 이러한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 대신에, 다양한(편광) 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광(적외선 방사)의 입사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를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시계(visual field)에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데이터 및 그 밖의 다른 정보를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시계에 나타내는 공지의 가능성들은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고 작업할 만큼 충분한 휘도 및 대비로 반영된 데이터 또는 그 밖의 정보(컴퓨터 단층 촬영 및 자기 공명 영상)가 표시되지 않는다는데 단점이 있다.
도 11은 데이터 및 그 밖의 다른 정보의 시계에의 반영이 용이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보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에의 경우,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대물 렌즈(70)와 접안부(71) 사이, 바람직하게는 텔레컴프레서(72)와 텔레컨버터(73) 사이의 광선 경로에는 투명 표시부(74)가 존재한다. 투명 표시부(74)는 텔레컨버터와 접안부 사이에 광선 분할기(8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주 표시부(75)의 변환된 영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광선 분할기(80)는 광 광선을 부분적으로 반사하여 이를테면 90˚로 편향시키는 광 광선에 대해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이러한 광선 분할기(80)로는 포로 프리즘 또는 부분 투명 거울이 있다. 이것은 데이터 및 그 밖의 정보가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시계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시각 보조물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이 마스크된다 . 이런 방식으로, 그래픽(삽입된 데이터 및 그 밖의 정보)이 영상을 중첩하지 않으므로, 보다 밝고 높은 대비를 갖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주 표시부(75)는 외부 공급원, 예를 들면,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또는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디지털 X선 장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돌출 광학부 및 광선 분할기(80)를 통해 본 발명의 시각 보조물의 광선 경로에 반사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및 그 밖의 다른 정보가 보다 쉽게 주 표시부(75) 상에 보여질 수 있도록 주 표시부의 정보를 영상화시키는 곳에 관계없이 물체 영상을 약하게 하거나 진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두개의 렌즈 시스템을 갖는 망원경형 시각 보조물에 관한 것으로, 각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대물 렌즈(70)와 하나의 접안부(71)를 포함하고 있다. 망원경형 안경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렌즈 시스템의 초점을 조정하기 위해 렌즈 시스템의 초점 길이를 변경시키는 자동 초점 조정 장치가 렌즈 시스템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시스템에는 초점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확대율을 변경하는 장치(줌) 및 시각 보조물의 렌즈 시스템들간의 시차를 물체로부터 망원경형 안경까지의 거리에 따라 조정된 초점 길이에 맞추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시차는 렌즈 시스템의 광선 경로에 제공되고 렌즈 시스템(1)으로부터 물체까지 연장된 광선 경로 사이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변 광학 요소(11)로 조정된다.

Claims (61)

  1.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에 있어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물 렌즈(70) 및 하나의 접안부(71)를 포함하는 두개의 렌즈 시스템, 물체로부터의 망원경형 안경의 거리에 따라 상기 렌즈 시스템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초점 길이를 변경하는 자동 초점 조정 수단, 상기 렌즈 시스템의 확대율을 변경하는 수단(줌) 및 상기 시각 보조물의 렌즈 시스템들 사이의 시차를 물체로부터의 망원경형 안경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 초점 길이에 맞추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시각 보조물의 광선 경로(14)에는 가변 광학 요소가 있으며, 상기 렌즈 시스템을 지나 물체까지의 광선 경로(14) 사이의 각도(13)를 상기 시각 보조물의 광선 경로에 제공된 가변 광학 요소(11)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11)가 상기 렌즈 시스템의 광선 경로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11)가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사기 광학 요소(11)가 곡선 경로(12)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11)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11)가 렌즈들 또는 렌즈의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11)가 프리즘들 또는 프리즘의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51,53)이 동시에 하나의 관(1)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51,53)이 공통 관(1)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51,53)이 상기 접안부(71) 및/또는 상기 대물 렌즈(70) 근방에 위치하는 커버(53)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11)가 관(50) 또는 관들(1)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11)가 대물 렌즈판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디오 및/또는 문자 형태의 정보가 상기 렌즈 시스템중의 하나에 위치하는적어도 하나의 광학판(16)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접안부(2)중의 적어도 하나의 근방에는 비디오 및/또는 문자 형태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8)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보조물에 의해 포착된 영상이 전송될 수 있는 표시 수단(18)(예, 표시부)이 상기 시각 보조물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18)이 상기 시각 보조물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7. 제 14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보조물에 의해 포착된 영상이 광학 요소(예, 광선 분할기) 또는 상기 시각 보조물의 두개의 광선 경로중의 적어도 하나의 반사에 의해 상기 표시수단(18)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또는 문자 삽입이 상기 관(1)의 두개의 광선 경로에 입체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 또는 문자 부분이 눈과 물체와의 거리 및 시차에 의해 교정된 개개의 영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된 정보는 상기 시각 보조물의 관찰 물체까지의 시야각을 변경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또는 전자기 위치 선정 시스템과 같은 측정 장치 및/또는 센서, 또는 가속도계 또는 각속도 센서와 같은 관성 센서가 상기 시각 보조물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2. 제 14 항 내지 제 21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EKG와 같은 해부학적, 기능적 및 기술적 정보가 정보로서 적소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3. 제 14 항 내지 제 2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환자에 대한 의료 장치 및/또는 기구의 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한 판단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2,71)의 근방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시스템의 광선 경로 또는 표시부(18)에 삽입된 영상은 전체 또는 부분 영상으로 표시되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 척도가 상기 대물 렌즈의 중간 영상판(16)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의 각 설정된 초점 길이 및 확대율의 측정 척도가 적절히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점 길이 및/또는 확대율의 변경이 음성 종속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명 범위의 크기가 상기 시각 보조물의 관찰 범위에 일치하도록 시각 보조물의 각 확대율에 맞는 구경 각도를 갖는 광원이 상기 시각 보조물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외부 광원(29)으로부터 광섬유의 그룹(20)을 통해 공급된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구경 각도 및 나오는 광의 세기가 관 내에 또는 광원 및/또는 셔터 상에 위치하는 렌즈 시스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19)으로부터의 광이 광선 분할기(21) 또는 프리즘 리버설 시스템(21)의 프리즘 표면에 의해 결합되어 시각 보조물의 광학 시스템을 통해 물체를 향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스템의 대물 렌즈들(70) 간의 거리가 접안부들(2) 간의 일정 거리에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들(70) 간의 거리가 상기 렌즈 시스템들의 접안부들(2) 간의 일정 연결부(17)로 렌즈 시스템을 고정하는 관들(10) 간의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부(17)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들(70) 간의 거리가 관(1)의 평형 조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접안부(2)는 관(1)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2)가 교체형 접안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또는 상기 대물 렌즈는 교체형 대물 렌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보조물에는 상기 자동 초점 조정 수단에 결합되어 있는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시각 보조물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동공의 위치로 지시된 시야각에서 자동 초점 조정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포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렌즈 시스템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필터(28)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8)가 작용 위치로 및 작용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시스템에서 렌즈 시스템의 광선 경로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레이저 수단으로부터 발생한 레이저 광선이 상기 물체(30)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선의 직경 및 위치가 관찰 범위에 표시될 수 있도록 중간 영상판에서의 레이저 광선의 결합에 위치 마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1. 제 1 항 내지 제 4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보조물이 헤드셋(34)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34) 상에 이마로부터 머리의 뒤까지 이르는 가변 길이를 갖는 대각 부재(35)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34) 상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시각 보조물의 무게를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동등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형추(36)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4. 제 1 항 내지 제 4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야광(light of sight) 안정화가 상기 렌즈 시스템을 통해 광선 경로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5. 제 44 항에 있어서,
    시야광 안정화가 능도 또는 수동 진동 감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6. 제 41 항 내지 제 4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보조물에 대한 헤드셋(34) 상에 뇌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극이 있으며, 상기 전극은 시각 보조물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외부 장치(예, 로봇)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이 유선 방송 또는 적외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49. 제 1 항 내지 제 4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34)상에 바이오 센서, EEG 센서 및/또는 피부의 저항을 측정하고 시각 보조물의 사용자의 활력 징후를 탐지하는 센서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0. 제 1 항 내지 제 4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보조물의 접안부(2) 상에 광학 시각 장치용 지지 장치(예, 스펙터클 안경)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시각 보조물이 접안부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2. 제 1 항 내지 제 4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광선 경로의 렌즈 시스템이 공통관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45,46)가 물체 시역(30)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신호(44)에만 투과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필터(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편광 필터(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6.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물체 시역(30)을 향해 있으며 상기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수신부(6) 상에 위치하는 관(47,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7.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자동 초점 조정 수단(4)의 수신부(6) 상에 위치하는 루버(63) 또는 대각 부재(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63) 또는 대각 부재(46)가 직선으로 향해 있는 루버(46) 또는 대각 부재(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또는 대각 부재가 비스듬히 향해 있는 루버 또는 대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60. 제 1 항 내지 제 5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시스템(51,53)의 경사 경로에 투명 표시부(74)가 있고, 가상 표시가 광선 분할기(80)를 통해 주 표시부(75)로부터 상기 렌즈 시스템의 광선 경로로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 분할기(80)가 프리즘, 특히, 포로 프리즘, 또는 반투명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형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물.
KR1020027006593A 1999-11-24 2000-11-23 망원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장치 KR100706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994/99 1999-11-24
AT199499 1999-11-24
AT0201699A AT409042B (de) 1999-11-24 1999-11-30 Sehhilfe
ATA2016/99 199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531A true KR20020065531A (ko) 2002-08-13
KR100706109B1 KR100706109B1 (ko) 2007-04-11

Family

ID=2559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593A KR100706109B1 (ko) 1999-11-24 2000-11-23 망원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장치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7286287B1 (ko)
EP (1) EP1247133B1 (ko)
JP (1) JP4624629B2 (ko)
KR (1) KR100706109B1 (ko)
CN (1) CN1222807C (ko)
AT (2) AT409042B (ko)
AU (1) AU771368B2 (ko)
BG (1) BG64807B1 (ko)
BR (1) BR0015745A (ko)
CA (1) CA2394003A1 (ko)
CZ (1) CZ20021777A3 (ko)
DE (1) DE50006283D1 (ko)
DK (1) DK1247133T3 (ko)
ES (1) ES2220574T3 (ko)
HR (1) HRP20020546A2 (ko)
HU (1) HUP0204035A2 (ko)
IL (1) IL149481A (ko)
MX (1) MXPA02005129A (ko)
NO (1) NO20022439D0 (ko)
PL (1) PL355507A1 (ko)
PT (1) PT1247133E (ko)
RU (1) RU2273871C2 (ko)
TR (1) TR200401040T4 (ko)
WO (1) WO2001038919A1 (ko)
YU (1) YU372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4896C5 (de) * 2000-07-19 2015-04-23 Carl Zeiss Meditec Ag Kopflupe
DE10201835A1 (de) * 2002-01-18 2003-07-31 Leica Microsystems Optische Vergrösserungseinrichtung zur Abstandsvariation
AT413641B (de) 2002-02-14 2006-04-15 Life Optics Gmbh Halter für am kopf zu tragende geräte
EP1372020A1 (de) * 2002-06-14 2003-12-17 Rudi Schael Fernrohr-/Lupenbrille mit verbessertem Autofokussystem
US7207531B2 (en) 2002-12-17 2007-04-24 Piontkowski Paul K Head manipulable binocular microscope support
AT6702U3 (de) * 2003-09-24 2004-07-26 In Vision Praez Soptik Produkt Stereoskopische lupe
US7420731B2 (en) 2004-12-14 2008-09-02 Piontkowski Paul K Surgical microscope support system
CN100422842C (zh) * 2005-03-16 2008-10-01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辅助对焦方法
CN1908729B (zh) * 2006-08-17 2011-03-09 深圳市亿特联合显示技术有限公司 防止佩带头佩式眼镜显示器视疲劳的方法及其装置
AT504101B1 (de) * 2006-08-29 2008-06-15 Scharmueller Josef Ing Mikroskopanordnung
FR2933783A1 (fr) * 2008-07-08 2010-01-15 Salah Hassanin Le casque porte endoscope main libre
US20100053540A1 (en) * 2008-08-29 2010-03-04 Kerr Corporation Laser Filtering Optical System
DE102009012897B4 (de) * 2009-03-12 2021-12-23 Carl Zeiss Meditec Ag Stereomikroskop
CA2787576A1 (en) 2010-01-22 2011-07-28 Oakley, Inc. Lenses for 3d eyewear
CN103210335A (zh) * 2010-08-05 2013-07-17 克尔公司 可变放大倍率光学放大镜
FI20100328A (fi) * 2010-09-22 2012-03-23 Niko Rusanen Tallennusväline ja menetelmä sen käyttämiseksi
US10061115B2 (en) 2011-03-30 2018-08-28 Designs For Vision, Inc. Magnification device and assembly
US10852566B1 (en) 2011-03-30 2020-12-01 Designs For Vision, Inc. Magnification device and assembly
US10215977B1 (en) 2011-03-30 2019-02-26 Designs For Vision, Inc. Magnification device and assembly
US9285592B2 (en) * 2011-08-18 2016-03-15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CN103472659B (zh) * 2013-09-22 2016-06-15 四川九洲视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变焦式激光红外灯
WO2015044062A1 (en) * 2013-09-30 2015-04-02 Koninklijke Philips N.V. Means for creating an ambient experience
FR3036187B1 (fr) * 2015-05-12 2019-09-13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cede de correction d’une image de fluorescence
DE102015214671B4 (de) * 2015-07-31 2020-02-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tofokussierende opt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ptischen Autofokussierung
WO2017049381A1 (en) * 2015-09-24 2017-03-30 Synaptive Medical (Barbados) Inc. Motorized full field adaptive microscope
KR20180104056A (ko) 2016-01-22 2018-09-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와이드 필드 개인 디스플레이
US10558047B2 (en) 2016-09-22 2020-02-11 Magic Leap, Inc. Augmented reality spectroscopy
KR101968399B1 (ko) * 2017-03-21 2019-04-1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976551B2 (en) 2017-08-30 2021-04-13 Corning Incorporated Wide field personal display device
US11480467B2 (en) 2018-03-21 2022-10-25 Magic Leap, Inc.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spectroscopic analysis
CN111445786B (zh) * 2019-01-16 2022-06-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屏幕模组
CN109683300A (zh) * 2019-01-24 2019-04-26 陈轩 医用显微装置
CH716570A2 (de) * 2019-09-09 2021-03-15 Andre Reber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Sehfähigkeit einer sehbehinderten Person mit einer portablen Sehhilfe.
WO2021150921A1 (en) 2020-01-22 2021-07-29 Photonic Medical Inc Open view, multi-modal, calibrated digital loupe with depth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98782B (de) 1922-05-19 1924-12-10 Josef Martin Rost mit festen Roststufen und zwischen ihnen gegenläufig bewegten Schürrosten.
US2406526A (en) * 1943-08-23 1946-08-27 American Optical Corp Microscope
IL69975A (en) * 1983-10-16 1988-01-31 Yeda Res & Dev Stereoscopic optical device
US4779965A (en) 1984-02-27 1988-10-25 Beecher William J Eccentric close-up lens converting a binocular into a stereomicroscope
US4621283A (en) * 1984-08-27 1986-11-04 Designs For Vision, Inc. Head-mounted coaxial image system for surgeons
GB8421783D0 (en) * 1984-08-29 1984-10-03 Atomic Energy Authority Uk Stereo camera
JPS6424221A (en) * 1987-07-20 1989-01-26 Kanda Obuteikaru Kk Magnifying spectacles
JP2765022B2 (ja) * 1989-03-24 1998-06-11 キヤノン販売株式会社 立体画像形成装置
US5078469A (en) 1989-10-11 1992-01-07 Luxtec Corporation Optical system which allows coincident viewing, illuminating and photographing
DE9001937U1 (ko) * 1990-02-19 1990-04-26 Zapp, Walter, Oberegg, Ch
NL9001084A (nl) * 1990-05-04 1991-12-02 Schmidt Optiek B V Lenzenstelsel.
JPH06161350A (ja) * 1992-11-27 1994-06-07 Nikon Corp バードウォッチング用光学機器
JP3265091B2 (ja) 1993-11-30 2002-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複眼撮像系
JP3678765B2 (ja) * 1994-03-10 2005-08-03 ソニー株式会社 眼鏡型ディスプレイ装置
WO1995025979A1 (en) * 1994-03-24 1995-09-28 Philips Electronics N.V. Operating microscope
JPH07287174A (ja) * 1994-04-18 1995-10-31 Nisshin Koki Kk 携帯用双眼鏡
AT307U1 (de) * 1994-09-22 1995-07-25 Olympus Austria Ges M B H Olym Lupenbrille mit variablem fokus und variablem vergroesserungsfaktor
AT401582B (de) * 1994-09-22 1996-10-25 Olympus Austria Gmbh Lupenbrille mit variablem fokus, variablem vergrösserungsfaktor und automatischem parallaxausgleich
US5592331A (en) * 1995-01-18 1997-01-07 Eastcott; John Optical adapter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plane of focus
JP3196613B2 (ja) * 1995-11-17 2001-08-06 ミノルタ株式会社 双眼鏡
JP3090007B2 (ja) * 1995-11-08 2000-09-18 ミノルタ株式会社 双眼鏡
US6134048A (en) * 1995-11-08 2000-10-17 Minolta Co., Ltd. Binoculars with a convergence angle correction mechanism
US5971540A (en) * 1996-06-07 1999-10-26 Olympus Austria Gesellschaft Magnifying spectacles with variable focus, variable magnification factor and automatic parallax compensation
JPH1062674A (ja) * 1996-08-23 1998-03-06 Minolta Co Ltd 双眼鏡
DE59710516D1 (de) * 1996-10-25 2003-09-04 Wolfdietrich Steinhuber Binokulare fernrohrlupenbrille
JPH10216164A (ja) * 1997-02-12 1998-08-18 Kiyoshi Matsuo 目の見開き助長具
JP3758280B2 (ja) * 1997-03-07 2006-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7133B1 (de) 2004-04-28
YU37202A (sh) 2004-03-12
NO20022439L (no) 2002-05-23
RU2002116687A (ru) 2004-03-10
BR0015745A (pt) 2002-07-16
CN1399728A (zh) 2003-02-26
PT1247133E (pt) 2004-09-30
BG64807B1 (bg) 2006-04-28
TR200401040T4 (tr) 2004-09-21
MXPA02005129A (es) 2003-09-25
ATA201699A (de) 2001-09-15
JP4624629B2 (ja) 2011-02-02
AU771368B2 (en) 2004-03-18
HUP0204035A2 (en) 2003-05-28
AT409042B (de) 2002-05-27
WO2001038919A1 (de) 2001-05-31
NO20022439D0 (no) 2002-05-23
ES2220574T3 (es) 2004-12-16
KR100706109B1 (ko) 2007-04-11
JP2003515759A (ja) 2003-05-07
EP1247133A1 (de) 2002-10-09
BG106705A (en) 2003-04-30
HRP20020546A2 (en) 2005-06-30
IL149481A (en) 2005-05-17
US7286287B1 (en) 2007-10-23
DE50006283D1 (de) 2004-06-03
IL149481A0 (en) 2002-11-10
ATE265696T1 (de) 2004-05-15
PL355507A1 (en) 2004-05-04
CZ20021777A3 (cs) 2002-11-13
RU2273871C2 (ru) 2006-04-10
CA2394003A1 (en) 2001-05-31
AU1842501A (en) 2001-06-04
DK1247133T3 (da) 2004-08-09
CN1222807C (zh)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109B1 (ko) 망원 안경 형태의 시각 보조장치
JP7324802B2 (ja) 非可視光線可視化自動整合型拡張現実グラス
US6580448B1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parallel capture of visual information
US4621283A (en) Head-mounted coaxial image system for surgeons
US7940455B2 (en) Ophthalmic surgical microscope system
JPH10272098A (ja) 自覚検眼および/またはその他の視覚機能の判定のための装置
JPH08140991A (ja) 医療用観察装置
JPH0339711A (ja) 手術用顕微鏡
JP5311601B1 (ja) 双眼ルーペの製作方法
US20040070823A1 (en) Head-mount recording of three-dimensional stereo video images
JPH11503836A (ja) 顕微鏡、特に、立体顕微鏡
JP2003204972A (ja) 双眼ルーペ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JP2023542384A (ja) 顕微手術補助装置
JPH06276459A (ja) 眼幅調整可能な映像表示装置
JPH11197108A (ja) 視機能検査装置
JP3709921B2 (ja) 眼疾患者への映像付与方法及び映像付与装置
US20040145539A1 (en) Image display for projecting image directly onto retina of wearer
US11504001B2 (en) Surgery 3D visualization apparatus
ZA200203746B (en) Visual aid in the form of telescopic spectacles with an automatic focussing device.
JPH11197107A (ja) 視力表表示装置
JPH09171147A (ja) 接眼光学系
JP2815484B2 (ja) 立体視装置
WO2002054944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visual power of a blind person
JPH11290276A (ja) 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