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931A - 흡입기용 내부 와류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흡입기용 내부 와류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931A
KR20020062931A KR1020027005504A KR20027005504A KR20020062931A KR 20020062931 A KR20020062931 A KR 20020062931A KR 1020027005504 A KR1020027005504 A KR 1020027005504A KR 20027005504 A KR20027005504 A KR 20027005504A KR 20020062931 A KR20020062931 A KR 2002006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drug
air
control device
flo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미르 게노사르
리차드엠. 파브코브
Original Assignee
시스테믹 풀모너리 딜리버리,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테믹 풀모너리 딜리버리, 엘티디 filed Critical 시스테믹 풀모너리 딜리버리,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2006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6Inhalation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Electron Tubes F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축에어로졸 캐니스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계량된 약물 흡입기는, 마우스피스와 함께 도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도관 속으로 에어로졸을 방출하기 위해 배열되어있는 노즐방출오리피스를 가진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도관의 벽내에 위치하며 외부 대기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해 공기 입구와 연통되는 와류 발생기는 도관의 내면에 약물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난류 경계층 유동을 도관의 내벽에 공급한다.

Description

흡입기용 내부 와류 메커니즘{INTERNAL VORTEX MECHANISM FOR INHALER DEVICE}
에어로졸은 인체 치료의 목적으로 폐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천식치료에 있어 흡입기는 β2작용약과 같은 기관지 확장제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같은 반염증성 약제를 전달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두 가지 형태의 흡입기가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계량된 약물 흡입기(MDIs)와 건조가루 흡입기(DPIs)가 그것이다.
종래의 MDI 장치에서, 약물은 압축 에어로졸 캐니스터(canister)의 형태로 의약제조자에 의해 공급되어지는데, 약물은 크롤로플루오로카본(CFC)이나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카인(HFA)과 같은 액체 프로펠런트(propellant) 속에 떠돌거나 용해되어 있다. 계량된 양의 프로펠런트-약물 혼합물을 약물입자들이 떠돌고 있거나 용해되어 있는 프로펠런트의 미세한 방울을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의 형태로 방출하기 위하여 캐니스터는 캐니스터 안으로 눌러질 수 있는 공동방출스템(hollow discharge stem)을 가지는 계량 밸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캐니스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MDI는, 액츄에이터(actuator)와 노즐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캐니스터는 하우징 속으로 삽입되는데, 캐니스터의 공동방출스템은 엑츄에이터의 구멍 속에 수용된다. 캐니스터의 막힌 단부를 누르면, 스템이 캐니스터 안쪽으로 눌려져서 계량된 약물이 노즐을 통해 방출된다. 하우징은 노즐과 유체를 주고받는 유로(flowpath)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데, 에어로졸화된 약물이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빠져나간 후 흡입될 수 있도록 유로는 하우징의 마우스피스에 출구를 가진다. 환자는 입술로 마우스피스 주변을 감싸면서 마우스피스를 삽입하거나, 입을 연 채 약간의 거리를 두고 마우스피스를 유지한다. 그런 후, 환자는 약물을 방출시키기 위해 캐니스터를 누름과 동시에 흡입한다.
여러 적용분야에 있어 일반적으로 유효하기는 하지만, 현재의 MDIs는 많은 중대한 결점을 가진다. 현재의 MDIs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점은, 약물전달효율이 낮다는 점이다. 현재의 MDIs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캐니스터로부터 공급된 약물의 약 10% 정도만이 의도한 결과를 얻고자 하는 폐에 실질적으로 도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상당량의 약물이 MDI 장치의 내면에 부딪히고 고착한다. 이러한 점때문에 MDIs는 고가의 약물을 공급하기에 결코 최적이지 않다.
MDIs 장치의 내면에 고착하는 약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출원인이 함께 출원중인 출원번호 08/952,352, 09/326,538, 09/326,531은, 약물이 MDI 장치 속으로 빠져나가는 지점 가까이 위치하며, MDI 장치의 내면에 장착되는 일련의 내부 베인(vane)을 개시하고 있다. 내면에 약물이 충돌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공기는 약물을 공급하는 동안에 MDI 장치의 내면을 따르는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난류경계층을 만들기 위해 베인 위로 향하게 된다. 비록, 베인은 약물의 충돌을 최소화하지만, MDI 장치의 가격과 복잡성을 또한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량된 약물의 흡입할 수 있는 양(예를 들면, 최적 크기의 입자 형태로의 양)이 장치의 출구에서 최대화되도록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내벽에 약물이 충돌하고 고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공급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이 적게 들고 간단한 방법으로, MDI 장치의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공기의 난류경계층을 갖는 MDI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흡입에 의해 1회분의 에어로졸(aerosol)화된 약물을 환자의 폐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기용 내부 와류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한 부분을 이루는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MDI 장치의 하우징의 후방 벽의 사시도로서, 보조 공기입구와 와류 발생기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MDI 장치의 보조 공기 입구의 확대도로서, 와류 발생기의 피라미드 형상부의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DI 장치의 하우징의 후방 벽의 전방부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MDI 장치의 하우징의 후방벽 측단면도로서, 와류 발생기 출구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 발생기의 측단면도로서, 제1, 2 피라미드 형상부의 중첩되는 정점들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은 다음의 장치 및 방법 발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유동제어기술과 장치는 주로 MDI 장치의 내면에 대한 약물의 충돌과 고착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또한,
ㆍ대기와 약물의 혼합과 에어로졸화된 약물 플룸(plume)의 분산을 돕고;
ㆍ약물 에어로졸 프로펠런트의 증발;
ㆍ환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약물 혼합물을 마우스피스로 향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는 개방 단부(open end)와 내면을 포함하는 벽을 가진 일반적인 관형상의 도관(conduit)을 가지는 하우징(housing),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도관 속으로 1회분의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약물공급기, 그리고 약물공급기의 하류쪽 벽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와류 발생기는 공기유동이 개방단부를 통하여 형성될 때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난류 공기유동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는 벽에 의해 형성되는 도관을 가지는 하우징, 사용자의 입안에 삽입되는 개방 단부, 그리고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실질적으로 막힌 단부를 포함한다.상기 장치는 또한,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1회분의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도관 속으로 공급하는 약물공급기, 도관의 외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공기 입구, 그리고 약물공급기의 도관 하류쪽의 벽 내에 위치한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와류 발생기는 공기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도관의 개방 단부에서의 흡입 노력은 공기를 와류 발생기 위로 흐르게 하여, 약물이 도관 내면 위에 충돌하고 고착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도관의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난류 경계층 유동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는 도관, 사용자의 입 속으로 삽입되는 개방 단부, 개방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실질적으로 막힌 단부 및,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1회분의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도관 속으로 공급하는 약물공급기를 구비한 하우징을 가지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로 1회분의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도관 내에 에어로졸화된 약물 플룸을 형성하기 위해 약물공급기로부터 1회분의 약물을 방출하는 단계와, 적어도 방출단계 동안에는 도관의 개방 단부에 가해진 흡입 노력에 의해 도관 내면을 따라 공기유동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유동은, 하우징의 도관과 막힌 단부 사이의 연결부에 인접한 도관의 외면에 형성되어있는 다수개의 공기 입구를 통하여, 약물공급기의 하류쪽 벽 내에 형성되고 도관의 내면에 인접한 출구를 가지는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 위로 도입된다. 약물이 도관 내면에 부딪히면서 고착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도관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난류 경계층 유동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면을 가지는 벽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관형상의 도관과 개방 단부를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 도관 외부의 대기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공기 입구를 가지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도관 속으로 1회분의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약물공급기 어셈블리(assembly)와 약물공급기의 하류쪽 도관 벽내에 위치한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를 포함한다. 각 와류 발생기는, 정점 및 내면에 위치한 출구를 형성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 제1 피라미드 형상부, 정점 및 공기 입구와 연통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 제2 피라미드 형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라미드 형상부의 정점들은, 피라미드 형상부 사이에 유체소통을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중첩되는데, 여기서 상기 와류 발생기와 공기 입구는, 개방 단부를 통해 공기 유동이 형성될 때,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난류 공기유동을 형성하는데 상호 기여한다.
본 발명의 독특한 특징 중의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 발생기를 사용하는 MDI 장치의 제작상의 간편함과 비용절감이다. 특히, 상기 와류 발생기의 독특한 피라미드 형상은,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플라스틱 성형으로 쉽게 제작/수정할 수 있다. 도관 벽내에 와류 발생기를 형성함으로써, 도관의 내벽에 베인을 형성할 때의 추가적인 재료비용이 절감된다. 더욱이, 도관 생산을 위한 주형의 복잡함이 줄어들고, 주형 제작 및 MDI 장치의 생산을 더 쉽게 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쉽게 제작되며, 독특한 와류 발생기의 디자인은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때 쉽게 뽑아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그에 관한 설명들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 도 4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흡입기를 나타낸다. 상기 흡입기는, 도관(16)에 연결되어 있는 수용부(receptacle)(14)를 가지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캐니스터(canister)(18)는,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흡입기 장치는, 약물의 방출이 방지되는 비활동위치로부터, 캐니스터 내용물의 계량된 양이 공동(hollow) 방출스템을 통하여 방출되는 활동위치까지, 캐니스터 몸체에 대하여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는 공동 방출스템과 함께 내부 계량밸브를 가지는 임의의 표준 압축 캐니스터에 사용 가능하다.
상기 도관(16)은, 수용부(14)로부터 떨어진 개방 단부(20)와 상기 수용부(14)에 연결된 단벽(end wall)(24)에 의해 형성되는 막힌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벽(24)은, 개방 단부(20)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벽(24)의 부분을 형성하는 정점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원추형이나 반구형인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기(10)는, 도관(16)의 개방 단부(20)에 연결되는 분리된 마우스피스(60)를 포함한다. 상기 마우스피스(60)는,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소경부(63)를 가진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60)는, 노즐방출오리피스(30)의 아래쪽에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관계에 있는 출구(36)를 갖는 공기튜브(34)와, 마우스피스 외부에 위치한 공기 입구(38)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입구(38)는, 공기튜브(34)의 출구(36)와 연통하며, 오리피스(30)로부터 방출된 약물 플룸에 충돌하도록 외부 대기를 공급한다.
상기 하우징(12)은, 단벽(24)에 의해 지지되는 엑츄에이터와 노즐 어셈블리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엑츄에이터와 노즐 어셈블리(26)는, 캐니스터(18)의 공동 방출스템을 수용하는 구멍(28)과, 상기 구멍(28)과 연통하는 노즐방출오리피스(3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방출오리피스(30)는, 단벽(24)의 정점에 위치하고, 에어로졸 플룸이 도관의 중앙 수평축(32)을 따르도록 지향되는게 유리하다. 상기 오리피스(30)는 약 0.025 인치보다 작은 출구 내경지름을 가지는게 바람직하며, 약 0.005인치와 약 0.019 인치 사이의 치수를 가지는게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작상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2)은 세부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하우징(12)은, 수용부(14), 단벽(24) 및 도관(16)을 포함하는 제1부, 마우스피스(60)를 포함하는 제2부로 하여, 두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14)은 도관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평면으로 분할된 두 분할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두 부분은 일반적으로 서로 대칭형상이며 대칭되는 평면을 따라 결합된다. 그렇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세부분을 가지는 실시예가 제시되고 기술되어진다.
제1부(70)는 수용부(14), 단벽(24) 및 엑츄에이터와 노즐 어셈블리(26), 도관(16)의 한 부분을 형성하며 연결부(48)에서 단벽(24)에 연결되는 원통형상부를 (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70)는,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되는게 유리하다.
제2부(72)는 제2의 원통형상부를 포함하는데, 그 내외경은 원통형상인 제1부(70)의 내외경보다 작다. 축소된 직경은 연결부(48)에서 제2부가 제1부의 개방 단부내에 수용되는 걸 허용한다. 제2부(72)도,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되는게 유리하다.
상기 하우징(12)의 제3부(74)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데, 상기 마우스피스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이며, 제2부(72)의 단부(개방단부 20)를 수용하며, 또한 MDI 장치의 외면에 위치한 공기입구(36)를 구비하는 공기튜브(34)와, 충돌성 기류를 제공하는 출구(38)를 포함한다.
비록, 본 발명은 제1부와 제3부(마우스피스)보다 지름이 작은 제2부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각 부분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어떤 디자인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2)은, 사출성형이나 블로우 몰딩(blow molding)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기(10)는 단벽과 도관 사이의 연결부에 인접한 도관의 벽 내에, 더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에 인접한 단벽에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를 포함한다. 각 와류 발생기는, 도관/단벽의 내면에 있는 출구를 형성하는 개방 베이스(58)를 가지며, 보조 대기 입구(46)와 연통되는 정점을 가지는 제1 피라미드 형상부(56)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공기 입구(46)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둔 채 단벽(24)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연결부(48)에 인접하여 위치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제1 피라미드 형상부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보조 공기입구와 연통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또는 보조 공기 입구를 형성하는) 제2 피라미드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피라미드 형상부는 제1 피라미드 형상부의 정점과 중첩하여, 유체소통을 형성하고 피라미드 형상부 사이에 중첩부(54)를 만드는 정점을 포함한다.
상기 와류 발생기의 피라미드 형상부는, 도관의 내부를 따라 원주방향의 와류, 난류경계층을 만들면서, 도관에 대해 반지름 방향 및 축방향의 성분을 가지는 공기 유동(61)을 야기한다. 이 경계층은 주로 약물 입자들이 도관의 내벽에 부딪히면서 영구히 고착될 가능성을 줄이며, 또한 공기와 약물의 혼합, 에어로졸 프로펠런트의 증발 및 공기/약물 혼합물을 마우스피스로 향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각 피라미드 형상부는, 바닥면에 대해 90도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한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와류 발생기에 두 개의 피라미드 형상부를 사용할 경우, 피라미드의 정점은 두 피라미드 형상부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면서, 중첩(셧-오프)되기 위해 90도 측면에 함께 형성된다. 상기 개구의 크기는 두 피라미드 사이에 정점 중첩을 증가시키거나 감쇠시킴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중첩이 크면 클수록 개구는 더 커진다. 궁극적으로, 개구의 크기는 와류 발생기를 지나는 공기 유동의 양을 결정한다. 따라서, 중첩을 조절하는 것이 도관의 내면 주위의 경계층에 있어 보조 공기 유동의 양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는 우선 완전히 숨을 내쉰 후, 입술로 원통형상부(62) 주위를 감싼 채, 입안으로 원통형상부(62)를 삽입한다. 그리고, 공기튜브(34)로부터의 공기유동, 와류 발생기(54)로부터의 원주방향의 와류, 난류(61)를 형성하면서 흡입하기 시작한다, 일단 이러한 공기 유동이 형성되고 흡입을 계속하는 동안에, 사용자는 노즐방출오리피스(30)로부터 약물과 프로펠런트 혼합물의 계량된 양을 방출하기 위하여 캐니스터(18)를 누른다. 상기 공기튜브(34)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는 단벽의 정점에서 출구오리피스를 빠져나오는 에어로졸화된 약물 플룸에 부딪히면서, 약물의 속도를 떨어뜨리고 대부분의 에어로졸 프로펠런트를 증발시킨다. 상기 와류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공기 유동(61)은, 주로 도관의 내벽에 약물입자들이 없도록 하며, 또한 약물과 공기와의 혼합을 증진시키고 공기튜브(34)로부터의 충돌성 기류에 의해 증발되지 않은 프로펠런트 잔류물을 증발시킨다. 사용자는 흡입을 계속하여 폐의 용량만큼 폐를 채우고, 에어로졸화된 약물이 폐의 기로(airway) 내에 안치되도록 일정시간 숨을 참는다.
본 발명이 여러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어지고,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은 상당히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지만, 청구항의 범위를 상기 상세한 사항으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려는 것은 결코 출원인의 의도가 아니다. 추가적인 장점이나 수정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좀 더 넓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특정된 상세사항, 대표적인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도시되고 묘사된 예시적인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원인의 일반적인 발명 구상의 기술사상이나 범위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상기 상세 사항들로부터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로서,
    a. 개방단부와, 내면을 포함하는 벽을 가지는 관형상의 도관을 포함하는 하우징;
    b.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관으로 1회분의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기; 및
    c. 상기 벽 내의 상기 약물공급기의 하류쪽에 위치하며, 외부 대기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입구와 상기 내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출구를 가지며, 공기 유동이 상기 개방 단부를 통하여 형성될 때 상기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난기류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공기 입구와 연통하는 정점을 가지는 피라미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정점 및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제1 피라미드 형상부와, 정점 및 공기 입구와 연통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 제2 피라미드 형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점은 상기 피라미드 형상부들 사이에 유체 소통을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공급기는 약물을 함유하는 압축 캐니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니스터의 공동(hollow) 방출스템을 수용하는 액츄에이터와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엑츄에이터와 노즐 어셈블리는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상기 도관으로 방출하도록 배치된 노즐방출오리피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는 상기 도관 내에 지지되는 공기튜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노즐방출오리피스의 반대편에 배열되어 있는 출구와 상기 도관의 외부에 대기와 연통되는 입구를 가지며, 상기 도관의 개방 단부에서 가해진 흡입 노력이 공기가 상기 공기튜브 입구로의 유동과 상기 공기튜브 출구 밖으로의 유동을 야기하며, 상기 공기튜브는 상기 공기튜브 출구 밖으로의 공기 흐름이 노즐방출오리피스를 통해 캐니스터로부터 방출되는 에어로졸화된 약물 플룸에 부딪히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막힌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막힌 단부는 상기 다수개의 공기 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7.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로서,
    a.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는 벽에 의해 형성되는 도관, 사용자의 입속으로 삽입되는 개방단부 및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막힌 단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b.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되며, 상기 도관 속으로 1회분의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기;
    c. 상기 도관의 상기 외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공기 입구; 그리고
    d. 상기 약물공급기의 상기 하류쪽 벽 내에 위치하며, 상기 내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출구를 가지고, 상기 공기 입구와 연통되는, 상기 도관의 개방 단부에 가해진 흡입노력이 약물의 충돌과 고착을 줄이기 위해, 상기 도관의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의 소용돌이치는 난류 경계층 흐름을 형성하면서, 와류 발생기 위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개방 베이스 및 공기 입구와 연통되는 정점을 가지는 피라미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정점 및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 제1 피라미드 형상부, 정점 및 공기 입구와 연통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 제2 피라미드 형상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정점은 상기 피라미드 형상부 사이에 유체 소통을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공급기는, 압축 약물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의 공동 출구스템을 수용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엑츄에이터와 노즐 어셈블리 및, 상기 구멍과 연통하며 에어로졸화된 약물 플룸을 상기 도관으로 향하도록 배열된 노즐방출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는 도관 내에 지지되는 공기 튜브를 추가적으로포함하며, 상기 노즐방출오리피스의 반대편에 배열된 출구 및 상기 도관 외부에 대기와 연통하는 입구를 가지며, 상기 도관의 상기 개방 단부에 가해진 흡입 노력이 공기가 상기 공기튜브 입구로 들어가고 상기 공기튜브 출구로 나오게 하며, 상기 공기튜브는 상기 공기튜브 출구 밖의 공기유동이 상기 노즐방출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캐니스터로부터 방출된 에어로졸화된 약물 플룸에 부딪히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힌 단부는, 상기 도관의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상기 막힌 단부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정점를 가진 원추형이나 반구형이며, 또한 상기 공기 입구는 상기 막힌 단부와 상기 도관 사이의 연결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와 노즐 어셈블리는, 상기 구멍과 연통하는 제2 노즐방출오리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두 노즐방출오리피스는 서로 떨어져 있고, 상기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된 플룸이 에어로졸화된 약물의 분산과 혼합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도관 내에서 서로 부딪히도록 서로에 대하여 어떤 각도를 가지게 방향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14.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는 도관,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개방 단부,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막힌 단부 및,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1회분의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상기 도관으로 공급하는 약물공급기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로 1회분의 약물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도관 내에 에어로졸화된 약물 플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약물 공급기로부터 1회분의 약물을 방출하는 단계;
    b. 적어도 상기 방출단계 동안에는 상기 도관의 상기 개방 단부에 가해진 흡입 노력에 의해 상기 도관의 상기 내면을 따른 공기유동을 제공하며, 상기 공기유동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도관과 상기 막힌 단부 사이의 연결부에 인접한 상기 도관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공기입구를 통하여, 상기 약물공급기의 하류쪽 벽내에 형성되고 상기 도관의 내면에 인접한 출구를 가지는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 위로 도입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로서,
    a. 개방 단부와, 외부 대기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공기 입구와, 내면을 포함하는 벽을 가지는 관형상의 도관을 포함하는 하우징;
    b.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1회분의 에어로졸화된 약물을 상기 도관 속으로 공급하는 약물공급기; 그리고
    c. 상기 약물 공급기의 상기 도관 하류쪽의 벽내에 위치하며, 정점 및 상기내면에 위치한 출구를 형성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 제1 피라미드 형상부와 정점 및 공기 입구와 연통하는 개방 베이스를 가지는 제2 피라미드 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정점들은 상기 피라미드 형상부 사이에 유체 소통을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중첩되며, 상기 개방 단부를 통해 공기 유동이 형성될 때 상기 공기 입구와 함께 상기 내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난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는 다수개의 와류 발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유동제어장치.
KR1020027005504A 1999-11-01 2000-11-01 흡입기용 내부 와류 메커니즘 KR20020062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31,266 1999-11-01
US09/431,266 US6367471B1 (en) 1999-11-01 1999-11-01 Internal vortex mechanism for inhaler device
PCT/US2000/041722 WO2001036033A2 (en) 1999-11-01 2000-11-01 Internal vortex mechanism for inhal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931A true KR20020062931A (ko) 2002-07-31

Family

ID=2371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504A KR20020062931A (ko) 1999-11-01 2000-11-01 흡입기용 내부 와류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367471B1 (ko)
EP (1) EP1225943B1 (ko)
JP (1) JP4688391B2 (ko)
KR (1) KR20020062931A (ko)
CN (1) CN1387447A (ko)
AT (1) ATE352338T1 (ko)
AU (1) AU777562B2 (ko)
CA (1) CA2389535C (ko)
DE (1) DE60033167T2 (ko)
DK (1) DK1225943T3 (ko)
ES (1) ES2281375T3 (ko)
MX (1) MXPA02004351A (ko)
NO (1) NO20022051L (ko)
PT (1) PT1225943E (ko)
TR (1) TR200201176T2 (ko)
WO (1) WO20010360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58B1 (ko) * 2006-04-29 2007-08-03 주식회사 코캣 와류형성용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3222B (en) * 1999-06-23 2001-09-19 Cambridge Consultants Inhalers
CA2826724C (en) 2000-04-11 2016-02-02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Aerosol delivery apparatus with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capacity
TWI224511B (en) * 2000-06-23 2004-12-01 Norton Healthcare Ltd De-agglomerator for breath-actuated dry powder inhaler
US6681768B2 (en) * 2001-06-22 2004-01-27 Sofotec Gmbh & Co. Kg Powder formulation disintegrating system and method for dry powder inhalers
US7231919B2 (en) 2001-09-28 2007-06-19 Kurve Technology, Inc. Particle dispersion device for nasal delivery
US20030205226A1 (en) * 2002-05-02 2003-11-06 Pre Holding, Inc. Aerosol medication inhalation system
AU2003249623A1 (en) * 2002-05-09 2003-12-12 Kurve Technology, Inc. Particle dispersion chamber for nasal nebulizer
US6904908B2 (en) 2002-05-21 2005-06-14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Visual indicator for an aerosol medication delivery apparatus and system
EP1585561A2 (en) * 2002-10-30 2005-10-19 Glaxo Group Limited Tubular nozzles for use in systems for delivering medicaments
AU2003276447A1 (en) * 2002-11-04 2004-06-07 Cambridge Consultants Limited Inhalers
US20040187866A1 (en) * 2003-03-31 2004-09-30 Nathaniel Hughes Liquid medicament delivery system
US7360537B2 (en) * 2003-04-16 2008-04-22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Antistatic medication delivery apparatus
WO2005023334A2 (en) * 2003-09-05 2005-03-17 Kurve Technology, Inc. Nasal adapter for the base of the nose
EP1673123A2 (en) * 2003-09-05 2006-06-28 Kurve Technology, Inc. Integrated nebulizer and particle dispersing chamber for delivery of medicament
AU2004272077A1 (en) * 2003-09-10 2005-03-24 Map Pharmaceuticals, Inc. Aerosol formulations for delivery of dihydroergotamine to the systemic circulation via pulmonary inhalation
GB2405799A (en) * 2003-09-15 2005-03-16 Vectura Ltd Dry powder inhaler incorporating a valve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pressurized gas
US7107987B2 (en) * 2004-02-10 2006-09-19 Cfd Research Corporation Spacer for delivery of medications from an inhaler to children and breathing impaired patients
WO2006031775A2 (en) * 2004-09-13 2006-03-23 Oriel Therapeutics, Inc. Dry powder inhalers that inhibit agglomeration, related devices and methods
GB0515592D0 (en) 2005-07-28 2005-09-07 Glaxo Group Ltd Nozzle for a nasal inhaler
US8375987B2 (en) * 2005-12-22 2013-02-19 Donovan B. Yeates Concentrator for increasing the particle concentration in an aerosol flow
US8596268B2 (en) 2005-12-22 2013-12-03 Donovan B. Yeates Method of operating a compact, low flow resistance aerosol generator
US8616532B2 (en) 2005-12-22 2013-12-31 Donovan B. Yeates Flow conditioner for a compact, low flow resistance aerosol generator
US8820662B2 (en) 2005-12-22 2014-09-02 Donovan B. Yeates Nozzle and nozzle holder for an aerosol generator
US7802569B2 (en) * 2005-12-22 2010-09-28 Kaer Biotherapeutics Corporation Aerosol processing and inhalation method and system for high dose rate aerosol drug delivery
CA2661270A1 (en) * 2006-08-22 2008-02-28 Glaxo Group Limited Actuator for an inhaler
US20110259323A1 (en) * 2006-08-22 2011-10-27 Gary Thomas Crosby Actuator for an inhaler
CA2661266A1 (en) * 2006-08-22 2008-02-28 Glaxo Group Limited Actuator for an inhaler
WO2008023018A1 (en) * 2006-08-22 2008-02-28 Glaxo Group Limited Actuator for an inhaler
WO2008028092A2 (en) 2006-08-30 2008-03-06 Kurve Technology, Inc. Aerosol generating and delivery device
US8148377B2 (en) 2007-02-11 2012-04-03 Map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herapeutic administration of DHE to enable rapid relief of migraine while minimizing side effect profile
DE102007013385A1 (de) * 2007-03-16 2008-09-18 Enk, Dietmar, Dr.med. Gasstromumkehrelement
JP5274888B2 (ja) * 2007-05-15 2013-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ザ波長変換装置、分極反転構造の形成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US20090145433A1 (en) * 2007-12-08 2009-06-11 Michael James Apparatus for dispensing a powdered composition into the aerodigestive tract
ES2546025T3 (es) * 2008-01-24 2015-09-17 Vectura Delivery Devices Limited Inhalador
ES2648196T3 (es) * 2008-02-07 2017-12-29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Dispositivo aerosol circunferencial
US20090314223A1 (en) * 2008-06-20 2009-12-24 Jaewon John Yuu Pet trainer dispensing treats based on moisture detection
US8517009B2 (en) * 2008-07-13 2013-08-27 Map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erosolized medication
US20100196286A1 (en) * 2008-12-01 2010-08-05 Armer Thomas A Inhalation delivery methods and devices
WO2010074753A1 (en) 2008-12-23 2010-07-01 Map Pharmaceuticals, Inc. Inhala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administration of sedative hypnotic compounds
US20110171141A1 (en) * 2009-06-26 2011-07-14 Kellerman Donald J Administration of dihydroergotamine mesylate particles using a metered dose inhaler
IN2012DN04857A (ko) 2009-12-23 2015-09-25 Map Pharmaceuticals Inc
CN105194772B (zh) * 2010-09-24 2019-03-26 多诺万·B.·耶茨 用于增大气溶胶流中的颗粒浓度的浓缩器
BR122021002471B8 (pt) 2011-03-03 2022-10-25 Impel Neuropharma Inc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droga nasal
WO2012154859A1 (en) 2011-05-09 2012-11-15 Impel Neuropharma Inc. Nozzles for nasal drug delivery
US9603906B2 (en) 2012-02-01 2017-03-28 Protalix Ltd. Inhalable liquid formulations of DNase I
US9713687B2 (en) * 2012-08-21 2017-07-25 Philip Morris Usa Inc. Ventilator aerosol delivery system with transition adapter for introducing carrier gas
CA2909714C (en) * 2013-04-16 2023-08-29 Dance Biopharm Inc. Liquid dispensing and methods for dispensing liquids
JP2016520378A (ja) 2013-04-28 2016-07-14 インペル ニューロ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用単位用量コンテナ
GB201308679D0 (en) 2013-05-14 2013-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ctuator for an inhaler
GB2524469A (en) * 2014-02-14 2015-09-30 Kind Consumer Ltd A cannabinoid inhaler and composition therefor
US10561809B2 (en) * 2014-06-06 2020-02-18 Rijksuniversiteit Groningen Breath actuated dry powder inhaler
US20170304459A1 (en) 2014-10-10 2017-10-26 Alnylam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alation delivery of conjugated oligonucleotide
MX2018002895A (es) 2015-09-10 2018-07-06 Impel Neuropharma Inc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nasal en linea.
EP3397329B1 (en) * 2015-12-28 2023-03-08 Koninklijke Philips N.V. Air-flow in a nebulizer head
CN111372635B (zh) 2017-11-21 2022-08-16 英倍尔制药公司 带有入口接口的鼻内装置
JP7191099B2 (ja) 2017-11-21 2022-12-16 インペル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浸漬管を備えた鼻腔内装置
AU2019205318B2 (en) 2018-01-05 2022-02-03 Impel Pharmaceuticals Inc. Intranasal delivery of dihydroergotamine by precision olfactory device
AU2019205329B2 (en) 2018-01-05 2023-04-20 Impel Pharmaceuticals Inc. Intranasal delivery of olanzapine by precision olfactory device
EP3743140A1 (en) * 2018-01-23 2020-12-02 SHL Medical AG Aerosol generator
WO2020018959A1 (en) 2018-07-19 2020-01-23 Impel Neuropharma, Inc. Respiratory tract delivery of levodopa and dopa decarboxylase inhibitor for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WO2020142206A1 (en) 2019-01-03 2020-07-09 Impel Neuropharma, Inc. Nasal drug delivery device
SG11202107903SA (en) * 2019-04-12 2021-08-30 Nat Univ Singapore Inhalable medical aerosol dispensing system
BR112021023049A8 (pt) 2019-05-17 2022-10-18 Impel Neuropharma Inc Dispositivo de dispensação nasal de uso único
CN111359060A (zh) * 2020-02-20 2020-07-03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雾化吸嘴及雾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5210A (en) * 1940-10-28 1942-12-15 Spraying Systems Co Spray shaper
US4768717A (en) * 1987-02-12 1988-09-06 Specialty Packaging Licensing Company Nozzle
DE3856185D1 (de) * 1987-12-11 1998-06-18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Dralldüse zum Zerstäuben einer Flüssigkeit
US5178138A (en) * 1990-09-11 1993-01-12 Walstrom Dennis R Drug delivery device
ES2284226T3 (es) 1991-07-02 2007-11-01 Nektar Therapeutics Dispositivo para proporcionar medicamentos en aerosol.
DE59209686D1 (de) * 1991-08-29 1999-06-02 Broncho Air Medizintechnik Ag Medizinisches gerät zur inhalation von dosier-aerosolen
US5228624A (en) * 1992-03-02 1993-07-20 Mensink Daniel L Swirling structure for mixing two concentric fluid flows at nozzle outlet
DE4208880A1 (de) * 1992-03-19 1993-09-23 Boehringer Ingelheim Kg Separator fuer pulverinhalatoren
GB2279879B (en) * 1993-07-14 1997-10-08 Bespak Plc Medicament inhalers
GB2312379B (en) * 1996-04-25 1999-11-17 Bespak Plc Improved inhalers
GB2312848B (en) * 1996-04-26 1999-11-17 Bespak Plc Controlled flow inhalers
GB2318737B (en) * 1996-10-30 2000-06-14 Bespak Plc Improved inhalers
NZ504021A (en) * 1997-10-17 2003-04-29 Systemic Pulmonary Delivery Lt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erosolized medication having air discharged through air tube directly into plume of aerosolized med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58B1 (ko) * 2006-04-29 2007-08-03 주식회사 코캣 와류형성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3763A (ja) 2003-04-15
PT1225943E (pt) 2007-02-28
TR200201176T2 (tr) 2002-08-21
DE60033167T2 (de) 2007-10-31
NO20022051D0 (no) 2002-04-30
DK1225943T3 (da) 2007-03-12
JP4688391B2 (ja) 2011-05-25
EP1225943B1 (en) 2007-01-24
AU2749201A (en) 2001-05-30
AU777562B2 (en) 2004-10-21
WO2001036033A3 (en) 2001-12-13
WO2001036033A2 (en) 2001-05-25
DE60033167D1 (de) 2007-03-15
CA2389535A1 (en) 2001-05-25
ES2281375T3 (es) 2007-10-01
MXPA02004351A (es) 2002-11-07
NO20022051L (no) 2002-06-28
ATE352338T1 (de) 2007-02-15
US6367471B1 (en) 2002-04-09
EP1225943A2 (en) 2002-07-31
CN1387447A (zh) 2002-12-25
CA2389535C (en) 2009-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2931A (ko) 흡입기용 내부 와류 메커니즘
US5596982A (en) Apparatus for drying and buffering aerosols
US6418925B1 (en) Low spray force, low retention atomization system
JP5114515B2 (ja) エアロゾル化薬剤の送出方法と装置
US921625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erosolized medication
US6062214A (en) Inhaler for medicament
US5699789A (en) Dry powder inhaler
US4620670A (en) Gas-powered nebulizer
CA1077799A (en) Attachment to medicinal inhalation devices
JPH07501239A (ja) 計量されたエーロゾルを吸入するための医療器具
JPH08508670A (ja) ネブライザー用連続流アダプター
JPH07504344A (ja) 粉末薬噴霧装置と噴霧方法
WO2005077444A1 (en) Spacer for delivery of medications from an inhaler to children and breathing impaired patients
PL60085Y1 (en) Dispenser for oral inhalation of drugs in aerosol form
US6325063B1 (en) Breath-powered mist inhaler
JP2003531693A (ja) 呼吸装置用スペーサアセンブリ
WO2008017575A1 (en) An inhaler and a method of dispensing medication to a person
WO2022161938A1 (en) An inhaler body with a mouthpiece
WO2022161937A1 (en) An inhaler body forming a pa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