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934A -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934A
KR20020061934A KR1020010003057A KR20010003057A KR20020061934A KR 20020061934 A KR20020061934 A KR 20020061934A KR 1020010003057 A KR1020010003057 A KR 1020010003057A KR 20010003057 A KR20010003057 A KR 20010003057A KR 20020061934 A KR20020061934 A KR 2002006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ank
header
condens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기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934A/ko
Publication of KR2002006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컨덴서를 라디에이터 등에 장착시 이용되는 브라켓의 조립 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제작방법을 개선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컨덴서의 브라켓에 있어서,
탱크와 헤더, 상부 레인포스먼트에 조립되어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탱크와 헤더, 하부 레인포스먼트에 조립되어 차체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BRAKET OF CONDENS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컨덴서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덴서를 라디에이터 등에 장착시 이용되는 브라켓의 조립 작업과 원가절감을 도모하게 개선한 자동차용 컨덴서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에어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컨시스템(2)은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변환하는 압축기(4), 고온 고압의 가스를 액화하는 컨덴서(6), 수분과 먼지등을 제거하고 냉방부하에 맞게 필요한 양을 증발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를 일시 저장하는 리시버드라이어(8), 증발기에서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저온 저압의 미립자 액상으로 만드는 팽창밸브(10), 블로워유니트(12)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기를 생성하는증발기(14)로 구성되며, 증발기(14)를 거친 냉매는 다시 압축기(4)로 순환 반복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에어컨 시스템(2)과 같은 공조장치를 차량에 적용함은 승차자의 호흡이나 외부의 온도변화등에 의하여 오염된 실내를 신선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활동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공조장치는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을때 실내온도를 높혀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난방장치와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때 실내온도를 낮게 유지하게 하는 냉방장치로 구성되고 있다.
난방장치는 블로워 유니트에 의하여 유입된 내, 외공기가 히터코어를 거치도록 하므로서 공기가 히팅되어 모듈케이스를 거쳐 각 모드별로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시켜 차내온도를 높혀주는 장치이다.
냉방장치는 유입된 공기로 하여금 증발기를 거쳐 모듈케이스의 모드도어의 제어에 의하여 각 모드별로 실내에 공급하므로서 실내온도를 낮춰 냉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2는 종래기술인 컨덴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컨덴서(6)는 열교환할 냉매를 공급받고 열교환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탱크(16)와, 이 탱크(16)가 결합되는 헤더(18)와, 이 헤더(18) 사이에 다단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튜브(20)와, 이 튜브(20) 사이에 열교환성을 향상하게 개재되는 센터(22)와, 상기 튜브(20)의 상,하단에 센터(22)와 튜브(20)의 구성을 유지하게 설치되는 레인포스먼트(24)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탱크(16)에는 프레임등의 장착 위치에 따라 적당한 형상을 한 브라켓(26)을 상측에 조립하고 있다.
상기 브라켓(26)은 스탬핑(STAMPING)으로 제작되어 좌,우측 형상을 달리하는 좌측브라켓(28)와 우측 브라켓트(30)로 구성되고 있다.
좌측브라켓(28)은 압축성형으로 제작되어 탱크(16)의 외주면에 강제 조립되게 호형으로 형성한 결합부(32)와, 이 결합부(3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엠보싱 가공되어 돌출된 보강부(34)와, 이 보강부(34)의 상단에 볼팅 가능하게 볼트공(36)을 뚫어 형성한 체결부(38)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측 브라켓트(30)는 탱크(16)에 조립되는 결합부(40)와, 이 결합부(4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체결공(42)을 형성한 체결부(44)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3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인 컨덴서를 도시한 도면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도2와 동일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컨덴서(6)에 적용된 브라켓(46)은 탱크(16)의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 일체로 연장되어 체력공(48)을 뚫은 체결부(5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도4는 종래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인 컨텐서를 도시한 도면으로, 역시 기본적인 구성은 도2와 동일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컨덴서(6)에 적용된 브라켓(52)은 탱크(16)의 상측에 압출성형으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상측 브라켓(54)과 하측에 단조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하측 브라켓(56)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측 브라켓(54)은 탱크(16)와 결합이 이루어지게 형성한 결합부(58)와, 이결합부(58)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면서 체결공(60)을 형성한 체결부(62)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측 브라켓(56)은 탱크(16)나 헤더(18)에 삽입되게 삽입공간부(64)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 삽입공간부(64)의 외측에는 브라켓 바디(6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컨덴서에 적용되는 브라켓(26)(46)(52)은 스탬핑, 압출, 단조로 제작되거나 단순 스틸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26)(46)(52)의 제작시 많은 비용을 초래하고, 조립이나 장착시 작업자가 많은 노력을 들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덴서를 라디에이터 등에 장착시 이용되는 브라켓의 조립 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제작방법을 개선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한 자동차용 컨덴서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에어컨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의 컨덴서에 스탬핑과 압출로 제작된 브라켓이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도3은 종래의 컨덴서에 스틸 브라켓이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도4는 종래의 컨덴서에 압출과 단조로 제작된 브라켓이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으로 컨덴서에 브라켓이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으로 컨덴서에 적용되는 제1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6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브라켓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으로 컨덴서에 적용되는 제2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브라켓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브라켓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도11의 B-B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컨덴서 72:브라켓
74:제1브라켓 76:제2브라켓
78:탱크 80:헤더
82:상부 레인포스먼트 84:덮개부
85:삽입부 88:장착플레이트
90:제1가이드홈부 92:개구부
94:하부 레인포스먼트 96:지지부
98:지지삽입부 106:간섭방지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컨덴서의 브라켓에 있어서,
탱크와 헤더, 상부 레인포스먼트에 조립되어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탱크와 헤더, 하부 레인포스먼트에 조립되어 차체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브라켓은 상부 레인포스먼트에 삽입되어 커버하게 형성한 덮개부와, 이 덮개부의 일측에 탱크와 헤더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수직형으로 형성한 삽입관부와, 이 삽입관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게 장착홀을 형성한 장착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삽입관부에는 탱크와 헤더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기밀한 결합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홈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장착홀은 프레임에 장착시 체결부재에 횡측에서 진입이 이루어지게 개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2브라켓은 하부 레인포스먼트가 위치하면서 탱크와 헤더의 하단 갭차를 극복하게 리브를 형성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를 일측에 형성하면서 탱크와 헤더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형성한 지지삽입부와, 이 지지삽입부의 하단에 프레임의 조립홀에 삽입되게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축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지지삽입부에는 탱크와 헤더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기밀한 결합을 유지하게 형성한 제2가이드홈부와, 이 제2가이드홈부에는 탱크와 헤드의 조립시 간섭을 해소하게 뚫어 형성한 간섭방지홀과, 상기 가이드홈부의 일측에 탱크와 헤드의 조립을 용이하게 형성한 개구부와, 상기 간섭방지홀의 하단에 응축수등의 배출을 위한 배수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지지삽입부는 탱크의 하단과 견고한 조립을 위해 내주면에 수직으로 경사진 테이퍼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브라켓은 차체 프레임에 장착을 위해 형성한 홀에 삽입시켜 체결이 이루어지게 삽입관부의 외주면에 돌출시킨 삽입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으로 컨덴서에 브라켓트가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으로 컨덴서에 적용되는 제1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7은 도6의 A-A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브라켓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9는 본 발명으로 컨덴서에 적용되는 제2브라켓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브라켓트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브라켓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도11의 B-B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차용 컨덴서(70)에 적용되는 브라켓(72)은 제1브라켓(74)과, 제2브라켓(76)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제1브라켓(74)은 탱크(78)와 헤더(80), 상부 레인포스먼트(82)에 조립되어 도시생략한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있다.
제1브라켓(74)은 상부 레인포스먼트(82)에 삽입되어 커버하게 덮개부(84)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덮개부(84)의 일측에 탱크(78)와 헤더(80)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수직형으로 삽입부(8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삽입부(85)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게 장착홀(86)을 형성한 장착플레이트(88)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제1브라켓(74)은 수지재를 이용 사출 성형시켜 제작하므로서 경량화와 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삽입부(85)에는 탱크(78)와 헤더(80)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기밀한 결합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홈부(9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 상기 장착홀(86)은 프레임에 장착시 이용되는 체결부재(도시생략)에 대해 횡측에서 진입이 이루어지게 개구부(92)를 형성하고 있다.
제2브라켓(76)은 탱크(78)와 헤더(80), 하부 레인포스먼트(94)에 조립되어 차체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제2브라켓(76) 역시 수지재로 사출 성형시켜 제작하므로서 경량화와 원가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2브라켓(76)은 하부 레인포스먼트(94)가 위치하면서 탱크(78)와 헤더(80)의 하단 갭차를 극복하게 형성한 지지부(96)와, 이 지지부(96)를 일측에 형성하면서 탱크(78)와 헤더(80)에 삽입되는 지지삽입부(98)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삽입부(98)의 하단을 프레임등에 고정을 위해 형성되는 홀(도시생략)에 삽입되게 하향으로 축돌기(100)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지지부(96)에는 하부 레인포스먼트(94)와 탱크(78), 헤더(80)와의 단차를 극복하면서 보강을 위해 하부 레인포스먼트(94)측에 리브(102)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삽입부(98)에는 탱크(78)와 헤더(80)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기밀한 결합을 유지하게 제2가이드홈부(104)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홈부(104)에는 탱크(78)와 헤드(80)의 조립시 간섭을 해소하게 간섭방지홀(106)을 뚫어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홈부(104)의 일측에 탱크(78)와 헤드(80)의 조립을 용이하게 개구부(108)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간섭방지홀(106)의 하단에 응축수등의 배출을 위해 배수구(110)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108)에는 탱크(78)의 조립시 외측면의 긁힘이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주면 가장자리에 곡면부(112)를 형성하고 있다. (도13참조)
또, 지지삽입부(98)는 탱크(78)의 하단과 견고한 조립을 위해 내주면에 수직으로 경사돌기(113)를 3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도8은 제1브라켓(74)의 다른 실시예로 차체 프레임에 장착을 위해 형성한 홀에 삽입시켜 체결이 이루어지게 삽입부(85)의 외주면에 장착플레이트(88) 대신에 돌출시켜 박스형으로 형성한 보강부(116)와, 이 보강부(116)의 전면에 장착핀(118)을 돌출시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1,2가이드홈부(90)(104)에는 헤더(80)가 조립되는 측에 플렌지부(122)와 기밀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테이퍼돌기(114)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컨덴서에 브라켓(72)의 조립시 상측은 제1브라켓(74)을 이용해 조립하고, 하측은 제2브라켓(76)을 이용해 조립한다.
제1브라켓(74)은 삽입부(85)를 먼저 탱크(78)와 헤더(80)에 일치시킨 후 상측에서 하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탱크(78)와 헤더(80)의 플렌지부(120)(122)를 따라 제1가이드홈부(90)가 미끄러지면서 삽입부(85)의 완전 조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덮개부(84) 또한 상부 레인포스먼트(82)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브라켓(76)은 탱크(78)와 헤더(80)의 하단에 지지삽입부(98)를 위치시키면서 제2가이드홈부(104)에 탱크(78)와 헤더(80)의 플렌지부(120)(122)를 일치시킨 후 상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브라켓(76)은 하부 레인포스먼트(94)에 리브(102)를 형성한 지지부(96)가 조립되므로서 탱크(78), 헤더(80)와 하부 레인포스먼트(94)의 갭차를 줄여 컨덴서(70)의 지지를 안정되게 하면서 조립된다.
또, 제2브라켓(76)을 상향으로 가압하여 조립시 제2가이드홈부(104)의 간섭방지홀(106)에 의해 탱크(78)와 헤더(80)의 플렌지부(120)(122)에 대해 간섭을 해소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일측에 곡면부(112)를 형성한 개구부(108)를 마련하므로서 탱크(78)의 용이한 조립을 도모하게 한다.
상기 제2브라켓(76)의 지지삽입부(98) 하측에 형성한 배수구(110)를 통해 응축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저면에 형성한 축돌기(100)를 통해서는 차체 프레임에 마련된 거치홀에 삽입시켜 컨덴서(7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브라켓(72)을 플라스틱의 수지재로 하므로서 사출 성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하게 되며, 경량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컨덴서에 적용되는 브라켓을 사출 성형을 제작하므로서 종래의 브라켓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보다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브라켓을 수지재로 하므로서 조립 작업이 용이해 정비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적 사상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13)

  1. 자동차용 컨덴서의 브라켓에 있어서,
    탱크와 헤더, 상부 레인포스먼트에 조립되어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탱크와 헤더, 하부 레인포스먼트에 조립되어 차체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브라켓은 상부 레인포스먼트에 삽입되어 커버하게 형성한 덮개부와, 이 덮개부의 일측에 탱크와 헤더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수직형으로 형성한 삽입관부와, 이 삽입관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게 장착홀을 형성한 장착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삽입관부에는 탱크와 헤더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기밀한 결합을 유도하는 가이드홈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4. 제 2 항에 있어서, 장착홀은 프레임에 장착시 체결부재에 횡측에서 진입이이루어지게 개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제2브라켓은 하부 레인포스먼트가 위치하면서 탱크와 헤더의 하단 갭차를 극복하게 리브를 형성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를 일측에 형성하면서 탱크와 헤더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형성한 지지삽입부와, 이 지지삽입부의 하단에 프레임의 조립홀에 삽입되게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축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삽입부에는 탱크와 헤더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기밀한 결합을 유지하게 형성한 가이드홈부와, 이 가이드홈부에는 탱크와 헤드의 조립시 간섭을 해소하게 뚫어 형성한 간섭방지홀과, 상기 가이드홈부의 일측에 탱크와 헤드의 조립을 용이하게 형성한 개구부와, 상기 간섭방지홀의 하단에 응축수등의 배출을 위한 배수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7.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삽입부는 탱크의 하단과 견고한 조립을 위해 내주면에 수직으로 테이퍼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8.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부에는 하부 레인포스먼트와 탱크, 헤더와의 단차를 극복하면서 보강을 위해 리브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9. 제 2 항에 있어서, 제1브라켓은 삽입부의 일측으로 돌출시켜 박스형으로 형성한 보강부와, 이 보강부의 전면에 장착핀을 돌출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의 브라켓.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1브라켓을 사출 성형으로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2브라켓을 사출 성형으로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브라켓이 수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2브라켓이 수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KR1020010003057A 2001-01-19 2001-01-19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KR20020061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057A KR20020061934A (ko) 2001-01-19 2001-01-19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057A KR20020061934A (ko) 2001-01-19 2001-01-19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934A true KR20020061934A (ko) 2002-07-25

Family

ID=2769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057A KR20020061934A (ko) 2001-01-19 2001-01-19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9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734B1 (ko) * 2002-10-23 2009-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응축기 마운팅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180A (ja) * 1990-08-21 1992-04-09 Unitika Ltd 抗菌性を有する防汚性白色布帛の製造方法
JPH04288484A (ja) * 1991-02-28 1992-10-13 Showa Alum Corp 熱交換器における取付け用ブラケットの一括ろう付け方法
JPH04288965A (ja) * 1991-02-28 1992-10-14 Showa Alum Corp 熱交換器における取付け用ブラケットのろう付け方法
JPH04363591A (ja) * 1991-06-10 1992-12-16 Showa Alum Corp 熱交換器
JPH09243289A (ja) * 1996-03-06 1997-09-19 Calsonic Corp 取付ブラケット付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180A (ja) * 1990-08-21 1992-04-09 Unitika Ltd 抗菌性を有する防汚性白色布帛の製造方法
JPH04288484A (ja) * 1991-02-28 1992-10-13 Showa Alum Corp 熱交換器における取付け用ブラケットの一括ろう付け方法
JPH04288965A (ja) * 1991-02-28 1992-10-14 Showa Alum Corp 熱交換器における取付け用ブラケットのろう付け方法
JPH04363591A (ja) * 1991-06-10 1992-12-16 Showa Alum Corp 熱交換器
JPH09243289A (ja) * 1996-03-06 1997-09-19 Calsonic Corp 取付ブラケット付熱交換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734B1 (ko) * 2002-10-23 2009-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응축기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5342A (ko) 차량 캐빈용 공조시스템과 이를 수용하는 모듈
KR20020061934A (ko) 자동차용 컨덴서 브라켓
JP2002004861A (ja) 送風機の取付構造
US6672416B1 (en) Device for fixing a piece of equipment, in particular a heat exchanger, on a motor vehicle structural element
KR100406721B1 (ko) 자동차 에어컨시스템의 블로워케이스
KR100533268B1 (ko) 얼라인먼트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컨덴서
CN215096901U (zh) 驻车空调器
CN215096900U (zh) 驻车空调器
CN219083490U (zh) 底盘组件及制冷设备
CN215096899U (zh) 驻车空调器
KR100397045B1 (ko) 컨덴서 일체형 리시버드라이어 조립방법 및 그리시버드라이어
KR100387466B1 (ko) 루프형 에어컨의 케이스 구조
KR200245718Y1 (ko) 에어컨실외기의평행흐름식콘덴서장착구조
KR200232361Y1 (ko) 패키지에어컨실외기용배플
CN212108742U (zh) 空调器室外机
KR200245719Y1 (ko) 평행흐름식콘덴서를구비한에어컨실외기
KR20090024053A (ko) 증발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JPH10309928A (ja) 車両用空調装置の配管組付構造
KR200213720Y1 (ko) 에어컨 실외기의 평행흐름식 콘덴서
KR200184235Y1 (ko) 열교환기용 블로어의 쉬라우드 조립구조
JP2002114025A (ja) 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KR20000019545U (ko) 자동차용 히터코어 인/아웃렛 파이프의 장착구조
JP2577663Y2 (ja) 自動車用空気調整装置
JP2005212597A (ja) 自動車のフロント構造
KR20020001119A (ko) 자동차 컨덴서용 마운팅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