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067A -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 Google Patents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067A
KR20020060067A KR1020017012729A KR20017012729A KR20020060067A KR 20020060067 A KR20020060067 A KR 20020060067A KR 1020017012729 A KR1020017012729 A KR 1020017012729A KR 20017012729 A KR20017012729 A KR 20017012729A KR 20020060067 A KR20020060067 A KR 2002006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ii
substituents
described later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따다까시
와다구니오
오구찌미노루
혼마히데히또
후지와라도시히꼬
이와부찌하루오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요시부미
상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요시부미, 상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요시부미
Publication of KR2002006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06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06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12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2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s ring hetero at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besit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학식 Ⅰ
[화학식 Ⅰ]
[식 중, R1은 알킬기 등을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등을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등을 나타내고, A 는 =CH-기 등을 나타내고, B 는 산소원자 등을 나타내고, W1은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는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는 수소원자 등을 나타내고, Y 는 산소원자 등을 나타내고, Z1은 알콕시기 등을 나타낸다]
를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는 당뇨병, 내당능부전, 임신당뇨병 등의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α-SUBSTITUTED CARBOXYLIC ACID DERIVATIVES}
본원에 관련되는 화합물인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일부는, (1)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8-504194호, (2)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10-501222호, (3)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10-504808 호,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14751 호, (5) WO98/31359 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이 갖는 작용 또는 목적은, 항혈증판응집·파골세포 중개골 흡수억제·골다공증의 치료 등인 점에서 본 발명과 다르다.
또, 당뇨병의 치료·혈당강하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이, (6) WO97/31907 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은, 본원에 관련되는 화합물 구조상의 특징의 하나인 벤즈이미다졸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당해 벤즈이미다졸 구조의 벤젠고리상에는 치환분을 갖지 않거나, 치환분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당해 치환분은 저급알킬기뿐이다. 또한, 본원에 관련되는 화합물은 벤즈이미다졸 또는 이미다졸피리딘 구조의 벤젠고리상에 비교적 큰치환분을 갖고 있는 점에서, 당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과는 다르다.
또한, 당뇨병의 치료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이 (7) WO99/29640 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은 본원에 관련되는 화합물에 유사한 벤즈이미다졸 구조를 갖는 α-카르복실산인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α위의 치환분이 아미노기이거나, 알킬카르보닐기나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의 비교적 제거하기 쉬운 보호기인 점에서, 본원에 관련되는 화합물과는 다르다. 또, 당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이 갖는 작용은 섬유아세포 증식인자 길항인 점도 본원발명과는 다른 점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오랜 동안에 걸쳐 일련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의 탐색, 합성과 이들의 약리활성에 대하여 검토해온 결과,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우수한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 혈당저하작용, 항염증작용, 면역조절작용, 알도스 환원 효소저해작용, 5-리폭시게아나제 저해작용, 과산화지질생성억제작용, PPAR 활성화작용, 항골다공증 작용, 류코트리엔 길항작용, 지방세포화촉진작용, 암세포증식억제작용, 칼슘길항작용을 갖고 있고, 부작용도 적고, 또한, 지용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증, 내당능부전, 고혈압증, 지방간,당뇨병 합병증 (예컨대, 망막증, 신증, 신경증, 백내장, 관동맥질환 등임), 동맥경화증, 임신당뇨증, 다낭포난소증후군, 심혈관성질환 (예컨대, 허혈성심질환 등임),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또는 허혈성심질환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손상 (예컨대, 뇌졸중에 의해 야기되는 뇌손상 등임), 통풍, 염증성질환 (예컨대, 골관절염, 동통, 발열, 류마티성 관절염, 염증성양염, 아크네, 햇빛에 의한 화상, 건선, 습진, 알레르기성질환, 천식, GI궤양, 악액질, 자기면역질환, 췌염 등임), 암, 골다공증, 백내장 등의 질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과, 술포닐우레아제, α-글루코시다아제저해제, 알도스 환원 효소저해제, 비구아나이드제, 스타틴계 화합물, 스쿠알렌합성저해제, 피브라이트계 화합물, LDL 이화촉진제, 안지오텐신Ⅱ 길항제, 안지오텐신 변환효소저해제, 항종양제 및 RXR 활성화제의 적어도 1 종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의약조성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임)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Ⅰ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1가 (i) 수소원자, (ii) C1-C6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C1-C6알킬티오기, (v) 할로겐원자, (v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6-C10아릴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x)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3-C10시클로알킬옥시기, (xi) C3-C10시클로알킬티오기, (xii) 포화 복소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i) 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6-C10아릴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7-C16아랄킬티오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포화 복소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아실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Ⅱ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2가 포화 복소환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2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2가 (i) C3-C10시클로알킬기, (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1-C7지방족아실기, (v)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x)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아실기, (vi)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Ⅲ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3이 (i) C1-C6알킬기, (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3-C10시클로알킬기, 또는 (v) 포화 복소환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아실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화학식 Ⅳ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R4가 (i) C1-C6알킬기, (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4가 (i) C1-C6알콕시기, (ii) C1-C6알킬티오기, (iii) 할로겐원자, (iv)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 C6-C10아릴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3-C10시클로알킬옥시기, (ix) C3-C10시클로알킬티오기, (x) 포화 복소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6-C10아릴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i)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포화 복소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vii)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아실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를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화학식 Ⅱ 에서의 Z2O- 기, 화학식 Ⅲ 에서의 Z3S-기 및 화학식 Ⅳ 에서의 Z4는 화학식 Ⅰ 에서의 Z1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 있어서, R1, R2, R3, R4, X, Z1, Z3, α1및 γ가 「C1-C6알킬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탄소수 1 내지 6 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부틸, t-부틸, 펜틸, s-펜틸, 이소펜틸, 2-메틸부틸, 네오펜틸, 1-에틸프로필, 헥실, 4-메틸펜틸 (이소헥실), 3-메틸펜틸, 2-메틸펜틸, 1-메틸펜틸(s-헥실), 3,3-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1,1-디메틸부틸, 1,2-디메틸부틸, 1,3-디메틸부틸, 2,3-디메틸부틸, 또는 2-에틸부틸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기이다.
R1, R2, R3, R4, Z1, Z3및 Z4가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X, α1, 및 α2가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β가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Z2가「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2를 1 내지 5 개 가짐)」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C6-C10아릴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페닐, 인데닐, 또는 나프틸을 들 수 있다.
R1, R2, R3, R4, Z1및 Z3가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X, α1, 및 α2가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β가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C7-C16아랄킬부분은 상술한 C6-C10아릴에 의해 1 개 치환된 C1-C6알킬기를 나타낸다. 당해 아랄킬부분으로서는 예컨대, 벤질, 나프틸메틸, 인데닐메틸, 1-펜에틸, 2-펜에틸, 1-나프틸에틸, 2-나프틸에틸, 1-페닐프로필, 2-페닐프로필, 3-페닐프로필, 1-나프틸프로필, 2-나프틸프로필, 3-나프틸프로필, 1-페닐부틸, 2-페닐부틸, 3-페닐부틸, 4-페닐부틸, 1-나프틸부틸, 2-나프틸부틸, 3-나프틸부틸, 4-나프틸부틸, 5-페닐펜틸, 5-나프틸펜틸, 6-페닐헥실, 또는 6-나프틸헥실을 들 수 있다.
R1, R2및 R3이「C1-C6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상기 C1-C6알킬기가 술포닐에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탄술포닐, 에탄술포닐, 프로판술포닐, 이소프로판술포닐, 부탄술포닐, 이소부탄술포닐, s-부탄술포닐, t-부탄술포닐, 펜탄술포닐, 이소펜탄술포닐, 2-메틸부탄술포닐, 네오펜탄술포닐, 1-에틸프로판술포닐, 헥산술포닐, 4-메틸펜탄술포닐, 3-메틸펜탄술포닐, 2-메틸펜탄술포닐, 3,3-디메틸부탄술포닐, 2,2-디메틸부탄술포닐, 1,1-디메틸부탄술포닐, 1,2-디메틸부탄술포닐, 1,3-디메틸부탄술포닐, 2,3-디메틸부탄술포닐, 또는 2-에틸부탄술포닐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술포닐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술포닐기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술포닐이다.
R1, R2및 R3이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상술한 C1-C6알킬술포닐기의 알킬부분이 할로겐원자에 의해 1 이상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트리클로로메탄술포닐, 디플루오로메탄술포닐, 디클로로메탄술포닐, 디브로모메탄술포닐, 플루오로메탄술포닐, 2,2,2-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2,2,2-트리클로로에탄술포닐, 2-브로모에탄술포닐, 2-클로로에탄술포닐, 2-플루오로에탄술포닐, 2-요오드 에탄술포닐, 3-클로로프로판술포닐, 4-플루오로부탄술포닐, 6-요오드헥산술포닐, 또는 2,2-디브로모에탄술포닐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C4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2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다.
R1, R2및 R3이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C6-C10아릴술포닐부분은 상술한 C6-C10아릴술포닐에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6-C10아릴술포닐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페닐술포닐, 인데닐술포닐, 또는 나프틸술포닐을 들 수 있다.
R1, R2및 R3이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치환분을 갖고 있지 않은 C7-C16아랄킬술포닐부분은 상술한 C7-C16아랄킬이 술포닐에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7-C16아랄킬술포닐부분으로서는, 예컨대 벤질술포닐, 나프틸메틸술포닐, 인데닐메틸술포닐, 1-펜에틸술포닐, 2-펜에틸술포닐, 1-나프틸에틸술포닐, 2-나프틸에틸술포닐, 1-페닐프로필술포닐, 2-페닐프로필술포닐, 3-페닐프로필술포닐, 1-나프틸프로필술포닐, 2-나프틸프로필술포닐, 3-나프틸프로필술포닐, 1-페닐부틸술포닐, 2-페닐부틸술포닐, 3-페닐부틸술포닐, 4-페닐부틸술포닐, 1-나프틸부틸술포닐, 2-나프틸부틸술포닐, 3-나프틸부틸술포닐, 4-나프틸부틸술포닐, 5-페닐펜틸술포닐, 5-나프틸펜틸술포닐, 6-페닐헥실술포닐, 또는 6-나프틸헥실술포닐을 들 수 있다.
W1및 W2가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탄소수 1 내지 8 개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예컨대, 메틸렌, 메틸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1-메틸에틸렌, 테트라메틸렌, 1-메틸트리메틸렌, 2-메틸트리메틸렌, 3-메틸트리메틸렌, 1-메틸프로필렌, 1,1-디메틸에틸렌, 펜타메틸렌, 1-메틸테트라메틸렌, 2-메틸테트라메틸렌, 3-메틸테트라메틸렌, 4-메틸테트라메틸렌, 1,1-디메틸트리메틸렌, 2,2-디메틸트리메틸렌, 3,3-디메틸트리메틸렌, 헥사메틸렌, 1-메틸펜타메틸렌, 2-메틸펜타메틸렌, 3-메틸펜타메틸렌, 4-메틸펜타메틸렌, 5-메틸펜타메틸렌, 1,1-디메틸테트라메틸렌, 2,2-디메틸테트라메틸렌, 3,3-디메틸테트라메틸렌, 4,4-디메틸테트라메틸렌, 헵타메틸렌, 1-메틸헥사메틸렌, 2-메틸헥사메틸렌, 5-메틸헥사메틸렌, 3-에틸펜타메틸렌, 옥타메틸렌, 2-메틸헵타메틸렌, 5-메틸헵타메틸렌, 2-에틸헥사메틸렌, 2-에틸-3-메틸펜타메틸렌, 3-에틸-2-메틸펜타메틸렌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쇄상의 C1-C6알킬렌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쇄상의 C1-C4알킬렌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직쇄상의 C1-C2알킬렌기이다.
X, α1및 γ가 「C1-C6할로게노알킬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상술한 C1-C6알킬기가 할로겐원자에 의해 1 이상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디클로로메틸, 디브로모메틸, 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2-브로모에틸, 2-클로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2-요오드에틸, 3-클로로프로필, 4-플루오로부틸, 6-요오드헥실, 또는 2,2-디브로모에틸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C4할로게노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2할로게노알킬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다.
X, Z1, Z4및 α1이「C1-C6알콕시기」를 나타내는 경우, 상술한 C1-C6알킬기가 산소원자에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부톡시, t-부톡시, 펜톡시, 이소펜톡시, 2-메틸부톡시, 네오펜톡시, 1-에틸프로폭시, 헥실옥시, 4-메틸펜톡시, 3-메틸펜톡시, 2-메틸펜톡시, 3,3-디메틸부톡시, 2,2-디메틸부톡시, 1,1-디메틸부톡시, 1,2-디메틸부톡시, 1,3-디메틸부톡시, 2,3-디메틸부톡시, 또는 2-에틸부톡시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C4알콕시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2알콕시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톡시이다.
X, Z1, Z4, α1, β 및 γ가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소원자 또는 염소원자이다.
X, Z3, α1및 α2가 「C3-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3 내지 10원 포화환상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노르보르닐, 또는 아다만틸이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헥실, 또는 아다만틸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다만틸이다.
X, α1, α2및 β가 「C1-C7지방족아실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 헥사노일,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또는 크로토노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1-C5지방족아실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3지방족아실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이다.
X, α1, α2및 β가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카르보닐기에 상술한 C3-C10시클로알킬이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 시클로부틸카르보닐, 시클로펜틸카르보닐, 시클로헥실카르보닐, 시클로헵틸카르보닐, 노르보르닐카르보닐, 또는 아다만틸카르보닐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4-C7시클로알킬카르보닐이다.
X, Z2, α1및 α2가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β가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C7-C11아릴카르보닐부분은 카르보닐기에 상술한 C6-C10아릴이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7-C11아릴카르보닐부분으로서는, 예컨대 벤조일, 1-인단카르보닐, 2-인단카르보닐 또는 1- 또는 2-나프토일을 들 수 있다.
X, α1및 α2가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 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β가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C8-C17아랄킬카르보닐부분은 카르보닐기에 상술한 C7-C16아랄킬이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8-C17아랄킬카르보닐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페닐아세틸, 3-페닐프로피오닐, 4-페닐부티릴, 5-페닐펜타노일, 6-페닐헥사노일, 나프틸아세틸, 4-나프틸부티릴, 또는 6-나프틸헥사노일을 들 수 있다.
X, α1및 α2가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β가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부분은 카르보닐기에 산소원자, 질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3 개 갖는 5 내지 7원 복소 방향환이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프릴카르보닐, 티에닐카르보닐, 피롤릴카르보닐, 피라졸릴카르보닐, 이미다졸릴카르보닐, 옥사졸릴카르보닐, 이소옥사졸릴카르보닐, 티아졸릴카르보닐, 이소티아졸릴카르보닐, 1,2,3-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 트리아졸릴카르보닐, 또는 티아디아졸릴카르보닐 등의 5 원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 ; 피라닐카르보닐, 니코티노일, 이소니코티노일, 피리다지닐카르보닐, 또는 피라지닐카르보닐 등의 6 원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 ; 또는 아제피닐카르보닐 등의 7 원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을 들 수 있다.
X, α1및 α2가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β가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부분은 아미노카르보닐기의 아미노기가 상술한 C6-C10아릴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페닐아미노카르보닐, 인데닐아미노카르보닐, 또는 나프틸아미노카르보닐을 들 수 있다.
Z1및 Z4가 「C1-C6알킬티오기」를 나타내는 경우, 황원자에 상술한 C1-C6알킬기가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이소부틸티오, s-부틸티오, t-부틸티오, 펜틸티오, 이소펜틸티오, 2-메틸부틸티오, 네오펜틸티오, 1-에틸프로필티오, 헥실티오, 4-메틸펜틸티오, 3-메틸펜틸티오, 2-메틸펜틸티오, 3,3-디메틸부틸티오, 2,2-디메틸부틸티오, 1,1-디메틸부틸티오, 1,2-디메틸부틸티오, 1,3-디메틸부틸티오, 2,3-디메틸부틸티오, 또는 2-에틸부틸티오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티오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티오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티오기이다.
Z1및 Z4가 「C6-C10아릴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C6-C10아릴옥시부분은 산소원자에 상술한 C6-C10아릴이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6-C10아릴옥시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페녹시, 인데닐옥시, 또는 나프틸옥시를 들 수 있다.
Z1및 Z4가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C7-C16아랄킬옥시부분은 산소원자로 상술한 C7-C16아랄킬옥시가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7-C16아랄킬옥시부분으로서는, 예컨대, 벤질옥시, 나프틸메틸옥시, 인데닐메틸옥시, 1-펜에틸옥시, 2-펜에틸옥시, 1-나프틸에틸옥시, 2-나프틸에틸옥시, 1-페닐프로필옥시, 2-페닐프로필옥시, 3-페닐프로필옥시, 1-나프틸프로필옥시, 2-나프틸프로필옥시, 3-나프틸프로필옥시, 1-페닐부틸옥시, 2-페닐부틸옥시, 3-페닐부틸옥시, 4-페닐부틸옥시, 1-나프틸부틸옥시, 2-나프틸부틸옥시, 3-나프틸부틸옥시, 4-나프틸부틸옥시, 5-페닐펜틸옥시, 5-나프틸펜틸옥시, 6-페닐헥실옥시, 또는 6-나프틸헥실옥시를 들 수 있다.
Z1및 Z4가 「C3-C10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산소원자로 상술한 C3-C10시클로알킬이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시클로프로필옥시, 시클로부티릴옥시, 시클로펜틸옥시, 시클로헥실옥시, 시클로헵틸옥시, 노르보르닐옥시, 또는 아다만틸옥시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3-C6시클로알킬옥시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5-C6시클로알킬옥시기이다.
Z1및 Z4가 「C3-C10시클로알킬티오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황원자로 상술한 C3-C10시클로알킬이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시클로프로필티오, 시클로부틸티오, 시클로펜틸티오, 시클로헥실티오, 시클로헵틸티오, 노르보르닐티오, 또는 아다만틸옥시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3-C6시클로알킬티오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5-C6시클로알킬티오기이다.
Z2및 Z3가 「포화 복소환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포화 복소환부분은 질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적어도 1개 갖는 4 내지 7 원 포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당해 포화 복소환부분으로서는, 예컨대 아제티딜옥시 등의 4 원 포화 복소환; 피롤리딜, 테트라히드로프라닐,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딜, 옥사졸리딜, 이소옥사졸리딜, 티아졸리딜, 또는 이소티아졸리딜 등의 5 원 포화 복소환; 피페리디노,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 피레라디노, 모르폴리노, 또는 티오모르폴리노 등의 6 원 포화 복소환; 또는 호모피페라지노 등의 7 원 포화 복소환기를 들 수 있다.
Z1및 Z4가 「포화 복소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포화 복소환 옥시부분은 산소원자에 상술한 포화 복소환이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포화 복소환 옥시부분으로서는, 예컨대 아제티딜옥시 등의 4 원 포화 복소환 옥시; 피롤리딜옥시, 테트라히드로프라닐옥시,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옥시, 이미다졸리딜옥시, 옥사졸리딜옥시, 이소옥사졸리딜옥시, 티아졸리딜옥시 또는 이소티아졸리딜옥시 등의 5 원 포화 복소환 옥시; 피페리디노옥시, 테트라히드로피라닐옥시,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옥시, 피레라지노옥시, 모르폴리노옥시, 또는 티오모르폴리노옥시 등의 6 원 포화 복소환 옥시; 또는 호모피페라지노옥시 등의 7 원 포화 복소환 옥시기를 들 수 있다.
Z1및 Z3가 「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부분은 산소원자에 산소원자, 질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3 개 갖는 5 내지 7 원 복소 방향환이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프릴옥시, 티에닐옥시, 피롤릴옥시, 피라졸릴옥시, 이미다졸릴옥시, 옥사졸릴옥시, 이소옥사졸릴옥시, 티아졸릴옥시, 이소티아졸릴옥시, 1,2,3-옥사디아졸릴옥시, 트리아졸릴옥시, 테트라졸릴옥시, 또는 티아디아졸릴옥시 등의 5 원 복소 방향환 옥시, 피라닐옥시, 피리딜옥시, 피리다지닐옥시, 피리미디닐옥시, 또는 피라디닐옥시 등의 6 원 복소환 방향옥시, 또는 아제피닐옥시 등의 7 원 복소 방향환 옥시를 들 수 있다.
Z1및 Z4가 「C6-C10아릴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C6-C10아릴티오부분은 황원자로 상술한 C6-C10아릴이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6-C10아릴티오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페닐티오, 인데닐티오, 또는 나프틸티오를 들 수 있다.
Z1및 Z4가 「C7-C16아랄킬티오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C7-C16아랄킬티오부분은 황원자로 상술한 C7-C16아랄킬이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당해 C7-C16아랄킬티오부분으로서는, 예컨대 벤질티오, 나프틸메틸티오, 인데닐메틸티오, 1-펜에틸티오, 2-펜에틸티오, 1-나프틸에틸티오, 2-나프틸에틸티오, 1-페닐프로필티오, 2-페닐프로필티오, 3-페닐프로필티오, 1-나프틸프로필티오, 2-나프틸프로필티오, 3-나프틸프로필티오, 1-페닐부틸티오, 2-페닐부틸티오, 3-페닐부틸티오, 4-페닐부틸티오, 1-나프틸부틸티오, 2-나프틸부틸티오, 3-나프틸부틸티오, 4-나프틸부틸티오, 5-페닐펜틸티오, 5-나프틸펜틸티오, 6-페닐헥실티오, 또는 6-나프틸헥실티오를 들 수 있다.
Z1및 Z4가 「포화 복소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포화 복소환 티오부분은 황원자에 상술한 포화 복소환이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포화 복소환 티오부분으로서는, 예컨대 아제티딜티오 등의 4 원 포화 복소환 티오; 피롤리딜티오, 테트라히드로프라닐티오, 이미다졸리딜티오, 옥사졸리딜티오, 이소옥사졸리딜티오, 티아졸리딜티오, 또는 이소티아졸리딜티오 등의 5 원 포화 복소환 티오; 피페리딜티오, 테트라히드로피라닐티오,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티오, 피레라질티오, 모르폴릴티오, 또는 티오모르폴릴티오 등의 6 원 포화 복소환 티오; 또는 호모피페라지노티오 등의 7 원 포화 복소환 티오기를 들 수 있다.
Z1및 Z3가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부분은 황원자에 산소원자, 질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3 개 갖는 5 내지 7 원 복소 방향환이 결합한 기를 나타낸다. 당해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프릴티오, 티에닐티오, 피롤릴티오, 피라졸릴티오, 이미다졸릴티오, 옥사졸릴티오, 이소옥사졸릴티오, 티아졸릴티오, 이소티아졸릴티오, 1,2,3-옥사디아졸릴티오, 트리아졸릴티오, 테트라졸릴티오, 또는 티아디아졸릴티오 등의 5 원 복소 방향환 티오, 피라닐티오, 피리딜티오, 피리다지닐티오, 피리미디닐티오, 또는 피라지닐티오 등의 6 원 복소 방향환 티오, 또는 아제피닐티오 등의 7 원 복소 방향환 티오를 들 수 있다.
치환분 β가「C1-C10알킬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나타내고,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상기 C1-C6알킬기의 정의에서 열거한 기에 추가하여, 헵틸, 1-메틸헥실, 2-메틸헥실, 3-메틸헥실, 4-메틸헥실, 5-메틸헥실, 1-프로필부틸, 4,4-디메틸펜틸, 옥틸, 1-메틸헵틸, 2-메틸헵틸, 3-메틸헵틸, 4-메틸헵틸, 5-메틸헵틸, 6-메틸헵틸, 1-프로필펜틸, 2-에틸헥실, 5,5-디메틸헥실, 노닐, 3-메틸옥틸, 4-메틸옥틸, 5-메틸옥틸, 6-메틸옥틸, 1-프로필헥실, 2-에틸헵틸, 6,6-디메틸헵틸, 데실, 1-메틸노닐, 3-메틸노닐, 8-메틸노닐, 3-에틸옥틸, 3,7-디메틸옥틸, 또는 7,7-디메틸옥틸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C6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C1-C2알킬기이다.
상술한 치환분 γ의 정의에 의해, 치환분 β가「C6-C10아릴기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 γ를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4-메틸페닐, 4-메틸나프틸, -3,4-디메틸페닐, 2,3,4-트리메틸페닐, 4-프로필페닐, 4-프로필나프틸, 2-, 3-,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 3-,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나프틸, 3,4-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3,4-트리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페닐, 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나프틸, 4-플루오로페닐, 4-플루오로나프틸, 3,4-디플루오로페닐, 2,3,4-트리플루오로페닐, 4-히드록시페닐, 4-히드록시나프틸, 3,4-디히드록시페닐, 또는 2,3,4-트리히드록시페닐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6-C10아릴기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다.
치환분 β가「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4-메틸벤질, 2,3,4-트리메틸벤질, 4-메텔펜에틸, 2,3,4-트리메틸펜에틸, 4-(4-메틸페닐)부틸, 2-, 3-,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3,4-디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2,3,4-트리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벤질, 4-트리플루오로메틸펜에틸, 3,4-디트리플루오로메틸펜에틸, 2,3,4-트리트리플루오로메틸펜에틸, 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펜에틸, 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부틸, 4-(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부틸, 6-(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헥실, 6-(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페닐)헥실, 2-, 3-,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나프틸메틸, 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부틸메틸, 4-(4-트리플루오로메틸나프틸)부틸, 4-(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나프틸)부틸, 4-플루오로벤젤, 2,3,4-트리플루오로벤질, 4-플루오로펜에틸, 2,3,4-트리플루오로펜에틸, 4-(4-플루오로페닐)부틸, 4-히드록시벤질, 2,3,4-트리히드록시벤질, 4-히드록시펜에틸, 2,3,4-트리히드록시펜에틸, 또는 4-(4-히드록시페닐)부틸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C1-C6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으로 트리플루오로메틸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2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으로 트리플루오로메틸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치환분 β가「C7-C11아릴카르보닐기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4-메틸벤조일, 1-또는 2-(5-메틸)나프토일,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벤조일, 1-(5-트리플루오로메틸인단)카르보닐, 2-(5-트리플루오로메틸인단)카르보닐,2-(6-트리플루오로메틸인단)카르보닐, 1- 또는 2-(5-트리플루오로메틸)나프토일, 4-플루오로벤조일, 1- 또는 2-(5-플루오로)나프토일, 4-히드록시벤조일, 또는 1- 또는 2-(5-히드록시)나프토일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1아릴카르보닐기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일기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일기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조일기 (치환분으로 트리플루오로메틸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치환분 β가「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4-메틸페닐아세틸, 4-(4-메틸)페닐부티릴, 6-(메틸나프틸)헥사노일, 2-, 3-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틸, 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페닐아세틸, 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부티릴, 6-(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헥사노일, 4-트리플루오로메틸나프틸아세틸, 6-(트리플루오로메틸나프틸)헥사노일, 4-플루오로페닐아세틸, 4-(4-플루오로)페닐부티릴, 6-(플루오로나프틸)헥사노일, 4-히드록시페닐아세틸, 4-(4-히드록시)페닐부티릴, 또는 6-(히드록시나프틸)헥사노일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으로 C1-C6할로게노알킬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으로 트리플루오로메틸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아세틸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틸이다.
치환분 β가「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기로서, 예컨대 메틸프릴카르보닐, 메틸티에닐카르보닐, 메틸피롤릴카르보닐, 메틸니코티오닐, 트리플루오로메틸프릴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메틸티에닐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메틸피롤릴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메틸옥사졸릴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릴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티노일,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프릴카르보닐,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티에닐카르보닐,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피롤릴카르보닐, 플루오로프릴카르보닐, 플루오로티에닐카르보닐, 플루오로피롤릴카르보닐, 플루오로니코티노일, 히드록시프릴카르보닐, 히드록시티에닐카르보닐, 히드록시피롤릴카르보닐, 또는 히드록시니코티노일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으로 트리플루오로메틸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으로서 트리플루오로메틸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프릴카르보닐, 티에닐카르보닐, 피롤릴카르보닐, 또는 니코티노일이다.
치환분 β가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4-메틸페닐카르바모일, 2,3,4-트리메틸페닐카르바모일, 1-또는 2-(6- 또는 7-메틸나프틸)카르바모일, 2-, 3-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 4-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페닐카르바모일, 3,4-디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 2,3,4-트리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 1- 또는 2-(6- 또는 7-트리플루오로메틸나프틸)카르바모일, 2-(6-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나프틸)카르바모일, 4-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 2,3,4-트리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 1- 또는 2-(6-또는 7-플루오로나프틸)카르바모일, 4-히드록시페닐카르바모일, 2,3,4-트리히드록시페닐카르바모일, 또는 1- 또는 2-(6- 또는 7-히드록시나프틸)카르바모일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로서 C1-C6할로게노알킬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분으로 트리플루오로메틸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상술한 β의 정의로부터,
x, α1및 α2가 「C6-C10아릴기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페닐, 아세틸페닐, 벤조일페닐, 비페닐릴, 메틸비페닐릴, 메틸나프틸, 아세틸나프틸, 또는 벤조일나프틸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6-C10아릴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x, α1및 α2가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벤질, 아세틸벤질, 벤조일벤질, 비페닐릴메틸, 메틸비페닐릴메틸, 메틸나프틸메틸, 아세틸나프틸메틸, 벤조일나프틸메틸, 메틸펜에틸, 아세틸펜에틸, 메틸나프틸에틸, 아세틸나프틸에틸, 메틸페닐부틸, 아세틸페닐부틸, 메틸나프틸부틸, 또는 아세틸나프틸부틸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4알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질 또는 펜에틸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x, α1및 α2가 「C7-C11아릴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벤조일, 비페닐카르보닐, 아세틸벤조일, 카르바모일벤조일,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벤조일, 또는 트리플루오로나프틸카르보닐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1아릴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일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일기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조일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x, α1및 α2가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페닐아세틸, 아세틸페닐아세틸, 벤조일페닐아세틸, 비페닐릴아세틸, 카르바모일페닐아세틸,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세틸, 4-(메틸페닐)부티릴, 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부티릴, 메틸나프틸아세틸, 또는 카르바모일나프틸아세틸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2-C7알킬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2-C7알킬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아세틸기 (페닐상에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x, α1및 α2가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프릴카르보닐, 메틸티에닐카르보닐, 메틸피롤릴카르보닐, 메틸옥사졸릴카르보닐, 메틸티아졸릴카르보닐, 메틸트리아졸릴카르보닐, 메틸피라닐카르보닐, 메틸니코티노일, 메틸피리다지닐카르보닐, 메틸피리미디닐카르보닐, 아세틸프릴카르보닐, 아세틸티에닐카르보닐, 아세틸피롤릴카르보닐, 아세틸옥사졸릴카르보닐, 아세틸티아졸릴카르보닐, 아세틸니코티노일, 카르바모일프릴카르보닐, 카르바모일티에닐카르보닐, 카르바모일피롤릴카르보닐, 카르바모일옥사졸릴카르보닐, 카르바모일티아졸릴카르보닐, 또는 카르바모일니코티노일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x, α1및 α2가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페닐카르바모일, 비페닐릴카르바모일, 아세틸페닐카르바모일, 메틸나프틸카르바모일, 또는 아세틸나프틸카르바모일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x 및 α1이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되는 아미노기」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아미노,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부틸아미노, s-부틸아미노, t-부틸아미노, 펜틸아미노, 헥실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N-에틸-N-메틸아미노, 디프로필아미노, 디부틸아미노, 디펜틸아미노, 디헥실아미노, 페닐아미노, 1- 또는 2-인데닐아미노, 1- 또는 2-나프틸아미노, 벤질아미노, 1- 또는 2-나프틸메틸아미노, 1-인데닐메틸아미노, 1- 또는 2-펜에틸아미노, 1-, 2- 또는 3-페닐프로필아미노, 4-페닐부틸아미노, 1-페닐부틸아미노, 5-페닐펜틸아미노, 6-페닐헥실아미노, 디벤질아미노, 포르밀아미노,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부티릴아미노, 이소부티릴아미노, 발레릴아미노, 이소발레릴아미노, 피발로일아미노, 헥사노일아미노, 아크릴로일아미노, 메타크릴로일아미노, 크로토일아미노, 벤조일아미노, 1-인단카르보닐아미노, 1- 또는 2-나프토일아미노, 1-인단카르보닐아미노, 1- 또는 2-나프토일아미노, 페닐아세틸아미노, 3-페닐프로피오닐아미노, 4-페닐부티릴아미노, 5-페닐펜타노일아미노, 6-페닐헥사노일아미노, 시클로프로피오닐아미노, 시클로부티릴아미노, 시클로펜타노일아미노, 시클로헥사노일아미노, 피롤릴카르보닐아미노, 이미다졸릴카르보닐아미노, 피라졸릴카르보닐아미노, 트리아졸릴카르보닐아미노, 테트라졸릴카르보닐아미노, 니코티노일아미노, 이소니코티노일아미노, 피라지닐카르보닐아미노, 피리미디닐카르보닐아미노, 피리다지닐카르보닐아미노, 티아졸릴카르보닐아미노, 옥사졸릴카르보닐아미노, 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아미노, 티아디아졸릴카르보닐아미노, N,N-디아세틸아미노, N-포르밀-N-헥실아미노, N-아세틸-N-메틸아미노, N-아세틸-N-에틸아미노, N-아세틸-N-프로필아미노, N-아세틸-N-부틸아미노, N-아세틸-N-펜틸아미노, N-아세틸-N-헥실아미노, N-벤조일-N-메틸아미노, N-벤조일-N-에틸아미노, N-벤조일-N-프로필아미노, N-벤조일-N-부틸아미노, N-벤조일-N-펜틸아미노, N-벤조일-N-헥실아미노, N-벤조일-N-페닐아미노, N-벤질-N-벤조일아미노, N-헥실-N-1-나프토일아미노, N-헥실-N-2-나프토일아미노, N-헥실-N-페닐아세틸아미노, N-이소부틸-N-시클로헵타노일아미노, N-부틸-N-니코티노일아미노, N-헥실-N-니코티노일아미노, N-이소니코티노일-N-헥실아미노, 또는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아미노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치환분으로서 C1-C10알킬, C1-C7지방족아실, 또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1 내지 2 개 갖고 있어도 되는 아미노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환분으로서 C1-C6알킬, C1-C2지방족아실, 또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1 내지 2 개 갖고 있어도 되는 아미노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1 개 갖고 있어도 되는 아미노기이다.
상술한 X, α1및 α2의 정의로부터,
R1, R2, R3, R4, Z1, Z3및 Z4가 「C6-C10아릴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히드록시페닐,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닐,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아다만틸페닐, 4-아미노-3,5-디메틸페닐, 아세틸페닐, 메톡시페닐, 벤조일페닐, 플루오로페닐, 디플루오로페닐, 클로로페닐, 디클로로페닐, 브로모페닐, 니트로페닐, (디메틸아미노)페닐, 비페닐릴, 메틸비페닐릴, 메틸나프틸, 트리플루오로나프틸, 히드록시나프틸, 메톡시나프틸, 플루오로나프틸, 또는 클로로나프틸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6-C10아릴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2가「C6-C10아릴기 (치환분 α2을 1 내지 5 개 가짐)」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아다만틸페닐, 비페닐릴, 메틸비페닐릴, 벤질페닐, 아세틸페닐, 시클로헥실카르보닐페닐, 벤조일페닐, 벤질카르보닐페닐, 피리딘카르보닐페닐, 또는 페닐아미노카르보닐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6-C10아릴기 (치환분 α2를 1 내지 3 개 가짐)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내지 3 개 갖는다)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또는 2 개 갖는다)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개 갖는다) 이다.
R1, R2, R3, R4, Z1, Z3및 Z4가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벤질, 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히드록시벤질, 4-히드록시-2,3,5-트리메틸벤질,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아다만틸벤질, 4-아미노-3,5-디메틸벤질, 아세틸벤질, 메톡시벤질, 벤조일벤질, 플루오로벤질, 디플루오로벤질, 클로로벤질, 디클로로벤질, 니트로페닐, (디메틸아미노)벤질, 비페닐릴메틸, 메틸비페닐릴메틸, 메틸펜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펜에틸, 히드록시펜에틸,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펜에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펜에틸, 아다만틸펜에틸, 4-아미노-3,5-디메틸펜에틸, 아세틸펜에틸, 메톡시펜에틸, 벤조일펜에틸, 플루오로펜에틸, 디플루오로펜에틸, 클로로펜에틸, 니트로펜에틸, (디메틸아미노)펜에틸, 비페닐릴에틸, 메틸비페닐릴에틸, 메틸페닐부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부틸, 히드록시페닐부틸,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닐부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틸, 아다만틸페닐부틸, 4-아미노-3,5-디메틸페닐부틸, 아세틸페닐부틸, 메톡시페닐부틸, 플루오로페닐부틸, 클로로페닐부틸, 니트로페닐부틸, (디메틸아미노)페닐부틸, 비페닐릴부틸, 메탈나프틸메틸, 트리플루오로나프틸메틸, 히드록시나프틸메틸, 메톡시나프틸메틸, 플루오로나프틸메틸, 또는 클로로나프틸메틸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4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2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R1, R2및 R3이 「C6-C10아릴술포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페닐술포닐, 아세틸페닐술포닐, 벤조일페닐술포닐, 비페닐릴술포닐, 메틸비페닐릴술포닐, 메틸나프틸술포닐, 아세틸나프틸술포닐, 또는 벤조일나프틸술포닐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6-C10아릴술포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술포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술포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R1, R2및 R3이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벤질술포닐, 아세틸벤질술포닐, 벤조일벤질술포닐, 비페닐릴메틸술포닐, 메틸비페닐릴메틸술포닐, 메틸나프틸메틸술포닐, 아세틸나프틸메틸술포닐, 또는 벤조일나프틸메틸술포닐, 메틸펜에틸술포닐, 아세틸펜에틸술포닐, 메틸나프틸에틸술포닐, 아세틸나프틸에틸술포닐, 메틸페닐부틸술포닐, 아세틸페닐부틸술포닐, 메틸나프틸부틸술포닐, 또는 아세틸나프틸부틸술포닐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술포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4알킬술포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질술포닐, 또는 펜에틸술포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1및 Z4가「C6-C10아릴옥시기 (치환분 α1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페녹시, 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 히드록시페녹시,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녹시,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녹시, 시클로프로필페녹시, 아다만틸페녹시, 시아노페녹시, 니트로페녹시, 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 아세틸페녹시, 메톡시페녹시, 벤조일페녹시, 플루오로페녹시, 디플루오로페녹시, 클로로페녹시, 디클로로페녹시, 니트로페녹시, (디메틸아미노)페녹시, 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아미노)-3,5-디메틸페녹시, 비페닐릴옥시, 메틸비페닐릴옥시, 디메틸아미노페녹시, 메틸나프틸옥시, 트리플루오로나프틸옥시, 히드록시나프틸옥시, 메톡시나프틸옥시 또는 플루오로나프틸옥시, 클로로나프틸옥시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6-C10아릴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1및 Z4가「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벤질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 히드록시벤질옥시, 4-히드록시-2,3,5-트리메틸벤질옥시,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옥시, 아다만틸벤질옥시, 4-아미노-3,5-디메틸벤질옥시, 아세틸벤질옥시, 메톡시벤질옥시, 벤조일벤질옥시, 플루오로벤질옥시, 디플루오로벤질옥시, 클로로벤질옥시, 디클로로벤질옥시, 니트로벤질옥시, (디메틸아미노)벤질옥시, 비페닐릴메톡시, 메틸비페닐릴메톡시, 메틸펜에틸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펜에틸옥시, 히드록시펜에틸옥시,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펜에틸옥시, 3,5-디-t-부틸-4-히드록시펜에틸옥시, 아다만틸펜에틸옥시, 4-아미노-3,5-디메틸펜에틸옥시, 아세틸펜에틸옥시, 메톡시펜에틸옥시, 벤조일펜에틸옥시, 플루오로펜에틸옥시, 디플루오로펜에틸옥시, 클로로펜에틸옥시, 니트로펜에틸옥시, (디메틸아미노)펜에틸옥시, 비페닐릴에틸옥시, 메틸비페닐릴에톡시, 메틸페닐부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부톡시, 히드록시페닐부톡시,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닐부톡시,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톡시, 아다만틸페닐부톡시, 4-아미노-3,5-디메틸페닐부톡시, 아세틸페닐부톡시, 메톡시페닐부톡시, 플루오로페닐부톡시, 클로로페닐부톡시, 니트로페닐부톡시, (디메틸아미노)페닐부톡시, 비페닐릴부톡시, 메틸나프틸메톡시, 트리플루오로나프틸메톡시, 히드록시나프틸메톡시, 메톡시나프틸메톡시, 플루오로나프틸메톡시, 또는 클로로나프틸메톡시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치환분 α2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옥시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옥시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4알킬옥시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2알킬옥시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1및 Z4가「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주로 단당류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표시한다. 당해 단당류란, 예컨대 아라비노스, 크실로스, 또는 리보스 등의 펜토스 ; 글루코스, 갈락토스, 또는 만노스 등의 헥소스 ; 글루코사민, 또는 가락토사민 등의 아미노당 ; 또는 글루크론산 등의 우론산을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온혈동물 (특히 사람) 의 생체내에서 생리작용을 갖는 단당류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우롱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루크론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이다.
Z2및 Z3가「포화 복소환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는 주로 상술한 단당류로부터 히드록시기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온혈동물 (특히 사람) 의 생체내에서 생리작용을 갖는 단당류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우롱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루크론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이다.
Z1및 Z4가「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플루오로프릴옥시, 플루오로티에닐옥시, 플루오로피롤릴옥시, 플루오로옥사졸릴옥시, 플루오로티아졸릴옥시, 플루오로트리아졸릴옥시, 플루오로피라닐옥시, 플루오로피리딜옥시, 플루오로피리다지닐옥시, 플루오로피리미디닐옥시, 메틸프릴옥시, 메틸티에닐옥시, 메틸피롤릴옥시, 메틸옥사졸릴옥시, 메틸티아졸릴옥시, 메틸피리딜옥시, 메톡시프릴옥시, 메톡시티에닐옥시, 메톡시피롤릴옥시, 메톡시옥사졸릴옥시, 메톡시티아졸릴옥시, 메톡시피리딜옥시, 디메틸아미노프릴옥시, 디메틸아미노티에닐옥시, 디메틸아미노피롤릴옥시, 디메틸아미노옥사졸릴옥시, 디메틸아미노티아졸릴옥시, 또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딜옥시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원자를 1 또는 2 개 갖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1및 Z4가「C6-C10아릴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페닐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 히드록시페닐티오,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닐티오,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 아다만틸페닐티오, 4-아미노-3,5-디메틸페닐티오, 아세틸페닐티오, 메톡시페닐티오, 벤조일페닐티오, 플루오로페닐티오, 디플루오로페닐티오, 클로로페닐티오, 디클로로페닐티오, 니트로페닐티오, (디메틸아미노)페닐티오, 비페닐릴티오, 메틸비페닐릴티오, 메틸나프틸티오, 트리플루오로나프틸티오, 히드록시나프틸티오, 메톡시나프틸티오, 플루오로나프틸티오, 또는 클로로나프틸티오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6-C10아릴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1및 Z4가「C7-C16아랄킬티오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벤질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티오, 히드록시벤질티오, 4-히드록시-2,3,5-트리메틸벤질티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티오, 아다만틸벤질티오, 4-아미노-3,5-디메틸벤질티오, 아세틸벤질티오, 메톡시벤질티오, 벤조일벤질티오, 플루오로벤질티오, 디플루오로벤질티오, 클로로벤질티오, 디클로로벤질티오, 니트로벤질티오, (디메틸아미노)벤질티오, 비페닐릴메틸티오, 메틸비페닐릴메틸티오, 메틸펜에틸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펜에틸티오, 히드록시펜에틸티오,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펜에틸티오, 3,5-디-t-부틸-4-히드록시펜에틸티오, 아다만틸펜에틸티오, 4-아미노-3,5-디메틸펜에틸티오, 아세틸페니텔티오, 메톡시펜에틸티오, 벤조일펜에틸티오, 플루오로펜에틸티오, 디플루오로펜에틸티오, 클로로펜에틸티오, 니트로펜에틸티오, (디메틸아미노)펜에틸티오, 비페닐릴에틸티오, 메틸비페닐릴에틸티오, 메틸페닐부틸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부틸티오, 히드록시페닐부틸티오,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닐부틸티오,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틸티오, 아다만틸페닐부틸티오, 4-아미노-3,5-디메틸페닐부틸티오, 아세틸페닐부틸티오, 메톡시페닐부틸티오, 플루오로페닐부틸티오, 클로로페닐부틸티오, 니트로페닐부틸티오, (디메틸아미노)페닐부틸티오, 비페닐릴부틸티오, 메틸나프틸메틸티오, 트리플루오로나프틸메틸티오, 히드록시나프틸메틸티오, 메톡시나프틸메틸티오, 플루오로나프틸메틸티오, 또는 클로로나프틸메틸티오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C7-C16아랄킬티오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티오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6알킬티오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4알킬티오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 C1-C2알킬티오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1및 Z4가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메틸피롤리딜티오, 메톡시피롤리딜티오, 메틸테트라히드로프라닐티오, 메톡시테트라히드로프라닐티오, 메틸피페리딜티오, 메톡시피페리딜티오, 메틸테트라히드로피라닐티오, 메톡시테트라히드로피라닐티오, 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티오, 메톡시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티오, 메틸피페라질티오, 메톡시피페라질티오, 메틸모르폴릴티오, 메톡시모르폴릴티오, 메틸티오모르폴릴티오 또는 메톡시티오모르폴릴티오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또는 6 원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1및 Z4가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치환분을 갖고 있는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플루오로프릴티오, 플루오로티에닐티오, 플루오로피롤릴티오, 플루오로옥사졸릴티오, 플루오로티아졸릴티오, 플루오로트리아졸릴티오, 플루오로피라닐티오, 플루오로피리딜티오, 플루오로피리다지닐티오, 플루오로피리미디닐티오, 메틸프릴티오, 메틸티에닐티오, 메틸피롤릴티오, 메틸옥사졸릴티오, 메틸티아졸릴티오, 메틸피리딜티오, 메톡시프릴티오, 메톡시티에닐티오, 메톡시피롤릴티오, 메톡시옥사졸릴티오, 메톡시티아졸릴티오, 메톡시피리딜티오, 디메틸아미노프릴티오, 디메틸아미노티에닐티오, 디메틸아미노피롤릴티오, 디메틸아미노옥사졸릴티오, 디메틸아미노티아졸릴티오, 또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딜티오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갖고 있어도 됨)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원자를 1 또는 2 개 갖는 5 또는 6 원 단환식 복소 방향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갖고 있어도 됨) 이다.
Z1및 Z4가 「아미노기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를 나타내는 경우, 당해 기로서는, 예컨대 아미노,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부틸아미노, s-부틸아미노, t-부틸아미노, 펜틸아미노, 헥실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N-에틸-N-메틸아미노, 디프로필아미노, 디부틸아미노, 디펜틸아미노, 디헥실아미노, 페닐아미노, 1- 또는 2-인데닐아미노, 1- 또는 2-나프틸아미노, 디페닐아미노, 프로밀아미노,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부티릴아미노, 이소부티릴아미노, 발레릴아미노, 이소발레릴아미노, 피발로일아미노, 헥사노일아미노, 아크릴로일아미노, 메타크릴로일아미노, 크로토일아미노, 벤조일아미노, 1-인단카르보닐아미노, 1- 또는 2-나프토일아미노, 2,6-디이소프로필벤조일아미노, 1-인단카르보닐아미노, 1- 또는 2-나프토일아미노, 페닐아세틸아미노, 3-페닐프로피오닐아미노, 4-페닐부티릴아미노, 5-페닐펜타노일아미노, 6-페닐헥사노일아미노, 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부탄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펜탄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 피롤릴카르보닐아미노, 이미다졸릴카르보닐아미노, 피라졸릴카르보닐아미노, 트리아졸릴카르보닐아미노, 테트라졸릴카르보닐아미노, 니코티노일아미노, 이소니코티노일아미노, 피라지닐카르보닐아미노, 피리미디닐카르보닐아미노, 피리다지닐카르보닐아미노, 티아졸릴카르보닐아미노, 옥사졸릴카르보닐아미노, 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아미노, 티아디아졸릴카르보닐아미노,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아미노, N,N-디아세틸아미노, N-포르밀-N-헥실아미노, N-아세틸-N-메틸아미노, N-아세틸-N-에틸아미노, N-아세틸-N-프로필아미노, N-아세틸-N-부틸아미노, N-아세틸-N-펜틸아미노, N-아세틸-N-헥실아미노, N-벤조일-N-메틸아미노, N-벤조일-N-에틸아미노, N-벤조일-N-프로필아미노, N-벤조일-N-부틸아미노, N-벤조일-N-펜틸아미노, N-벤조일-N-헥실아미노, N-벤조일-N-페닐아미노, N-벤질-N-벤조일아미노, N-헥실-N-1-나프토일아미노, N-헥실-N-2-나프토일아미노, N-헥실-N-페닐아세틸아미노, N-이소부틸-N-시클로헵탄카르보닐아미노, N-부틸-N-니코티노일아미노, N-헥실-N-니코티노일아미노, 또는 N-이소니코티노일-N-헥실아미노를 들 수 있다. 당해 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치환분으로 C1-C6알킬, C1-C7지방족아실,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되는 C6-C10아릴, 아릴 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되는 C7-C16아랄킬, 아릴상에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되는 C7-C11아릴카르보닐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치환분으로서 C1-C4알킬, C1-C2지방족 아실,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 페닐상에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 C1-C4알킬, 페닐상에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되는 벤조일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되는 아미노기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므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염으로 할 수 있다. 그 같은 염으로는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 칼슘염, 마그네슘염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염 ; 알루미늄염, 철염, 아연염, 구리염, 니켈염, 코발트염 등의 금속염 ; 암모늄염과 같은 무기염 ; t-옥틸아민염, 디벤질아민염, 모르폴린염, 글루코사민염, 페닐글리신알킬에스테르염, 에틸렌디아민염, N-메틸글루카민염,구아니딘염, 디에틸아민염, 트리에틸아민염, 디시클로헥실아민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클로로프로카인염, 프로카인염, 디에탄올아민염, N-벤질-N-펜에틸아민염, 피페라진염, 테트라메틸암모늄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염과 같은 유기염 등의 아민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는 피리딜, 또는 퀴놀릴기 등의 염기부를 갖는 경우 또는 이들 염기부를 갖지 않는 경우에도 염으로 할 수 있다. 그 같은 염으로는 예컨대 불화수소산, 염산, 브롬화 수소산, 요오드화 수소산과 같은 할로겐화 수소산염 ; 질산염, 과염소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과 같은 저급 알칼술폰산의 염 ;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염 등과 같은 아릴술폰산염 ;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 ; 푸마르산, 숙신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말레산과 같은 카르복실산의 염 등의 유기산 및 ; 오르니틴산염, 글루타민산염, 아스파라긴산염과 같은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수소산염 또는 유기산염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로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 내지 (IV) 를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는 상기 화학식 (I) 내지 (IV) 를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비해 의학적으로 사용되고, 약리상 허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에스테르로는 예컨대 C1-C6알킬, C7-C19아르알킬, C1-C7지방족 아실옥시가 치환된 C1-C6알킬, C1-C7알킬옥시카르보닐옥시가 치환된 C1-C6알킬, C5-C7시클로알킬카르보닐옥시가 치환된 C1-C6알킬, C6-C8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옥시가 치환된 C1-C6알킬, C7-C11아릴카르보닐옥시가 치환된 C1-C6알킬, C7-C11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가 치환된 C1-C6알킬기, 및 5 위치에 치환분으로서 C1-C6알킬을 갖는 2-옥소-1,3-디옥소렌-4-일메틸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에스테르 잔기로서,
C1-C6알킬기로는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부틸, t-부틸, 펜틸, 메틸부틸, 디메틸프로필, 에틸프로필, 헥실, 메틸펜틸, 디메틸부틸, 에틸부틸, 또는 트리메틸프로필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또는 이소부틸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이다.
C7-C19아르알킬기로는 예컨대 벤질, 펜에틸, 페닐프로필, 페닐부틸, 나프틸메틸 또는 디벤질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벤질이다.
C5-C7시클로알킬기로는 예컨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이다.
C6-C10아릴기로는 예컨대 페닐 또는 나프틸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페닐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 잔기의 구체예는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벤질, 아세톡시메틸, 1-(아세톡시)에틸, 프로피오닐옥시메틸, 1-프로피오닐옥시에틸, 부티릴옥시메틸, 1-부티릴옥시에틸, 1-이소부티릴옥시에틸, 발레릴옥시메틸, 1-발레릴옥시에틸, 이소발레릴옥시메틸, 1-이소발레릴옥시에틸, 피발로일옥시메틸, 1-피발로일옥시에틸, 메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 1-메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에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 1-에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메틸, 1-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에틸,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메틸, 1-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에틸, 부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 1-부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이소부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 1-이소부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t-부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 1-(t-부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시클로펜탄카르보닐옥시메틸, 1-시클로펜탄카르보닐옥시에틸, 시클로헥산카르보닐옥시메틸, 1-시클로헥산카르보닐옥시에틸, 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 1-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 1-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 벤조일옥시메틸, 1-벤조일옥시에틸, 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 1-페녹시카르보닐옥시에틸 또는 5-메틸-2-옥소-1,3-디옥소렌-4-일메틸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아미드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카르복실기와 암모니아가 탈수축합된 것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가 -CONH2기로 변환된 유도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각종 이성체도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2 위의 탄소는 부제탄소이고, 또한 치환기상에도 부제탄소가 존재하므로, 광학이성체를 갖는다.
즉, R2, Y 및 질소원자가 결합된 α위치 탄소는 부제탄소원자이고, R 배위, S 배위인 입체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각각 또는 그들의 임의의 비율의 화합물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같은 입체이성체는 광학분할된 원료화합물을 사용하여 화합물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합성하거나 또는 합성한 화합물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목적하는 바에 따라 통상의 광학분할법 또는 분리법을 사용하여 광학분할할 수 있고, 또는 부제합성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또한 Y 가 술폭시드기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황원자가 부제중심이 되어 광학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그 이성체의 각각 또는 그들의 임의의 비율의 화합물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되고, 그 같은 입체이성체는 통상의 광학분할법 또는 분리법을 이용하여 광학분할할 수 있고, 또는 부제합성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소 사슬상에 이중결합을 갖는 것은 기하이성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들 이성체의 전부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I) 내지 (IV) 는 대기중에 방치해 두거나, 재결정함으로써, 수분을 흡수하여 흡착수가 붙거나, 수화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 같은 용매화합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들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I) 내지 (IV) 는 다른 어떤 종류의 용매를 흡수하여 용매화합물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같은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생체내에서 대사되어 본 발명의 화합물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으로 변환되는 화합물, 각종 프로드러그도 전부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I) 내지 (IV) 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과 조합하여 의약조성물을 이루는 약제로는 술포닐 우레아제,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제, 비구아나이드제, 스타틴계 화합물, 스쿠알렌 합성 저해제, 피브레이트계 화합물, LDL 이화촉진제,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 저해제, 항종양제 및 RXR 활성화제를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술포닐 우레아제란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약이며, 예컨대 톨부타미드, 아세토헥사미드, 톨아자미드, 클로르프로파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란 아밀라제, 말타제, α-덱스트리나제, 수크라제 등의 소화효소를 저해하여 전분이나 자당의 소화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갖는 약제이고, 예컨대 아카르보스, N-(1,3-디히드록시-2-프로필)발리올아민 (일반명칭 : 보그리보스), 미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제란 폴리올 경로의 최초의 단계의 율속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당뇨병성 합병증을 저지하는 약제이고, 예컨대 톨레스타트, 에팔레스타트, 2,7-디플루오로-스피로(9H-플루오렌-9,4'-이미다졸리딘)-2',5'-디온(일반명칭 : 이미레스타트), 3-[(4-브로모-2-플루오로페닐)메틸]-7-클로로-3,4-디히드로-2,4-디옥소-1(2H)-퀴나졸린아세트산 (일반명칭 : 제나레스타트), 6-플루오로-2,3-디히드로-2',5'-디옥소-스피로[4H-1-벤조피란-4,4'-이미다졸리딘]-2-카르복사미드 (SNK-860), 조폴레스타트, 소르비닐, 1-[(3-브로모-2-벤조프라닐)술포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M-16209)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비구아나이드제란 혐기성 해당촉진작용, 말초에서의 인슐린 작용증강, 장관으로부터의 글루코스 흡수억제, 간당신생의 억제, 지방산 산화 저해 등의 작용을 갖는 약제이고, 예컨대 펜포르민, 메트포르민, 부포르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스타틴계 화합물이란 히드록시메틸글루타릴 CoA (HMG-CoA) 리덕타제를 저해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약제이고, 예컨대 프라버스타틴 및 그의 나트륨염,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셀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스쿠알렌 합성 저해제란 스쿠알렌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약제이고, 예컨대 (S)-α-[비스(2,2-디메틸-1-옥소프로폭시)메톡시]포스피닐-3-페녹시벤젠부탄술폰산 모노칼륨염 (BMS-188494)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피브레이트계 화합물이란 간장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합성 및 분비를 억제하고, 리포단백질 리파아제를 활성화함으로써, 혈중 트리글리세리드를 저하시키는 약제이고, 예컨대 베자피브레이트, 베클로피브레이트, 비니피브레이트, 시프로피브레이트, 클리노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클로피브린산, 에토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겜피브로질, 니코피브레이트, 피리피브레이트, 로니피브레이트, 심피브레이트, 테오피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LDL 이화촉진제란 LDL (저밀도 리포단백질) 수용체를 증가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약제이고,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6144 호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 구체적으로는 N-[2-[4-비스(4-플루오로페닐)메틸-1-피페라지닐]에틸]-7,7-디페닐-2,4,6-헵타트리엔산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스타틴계 화합물, 스쿠알렌 합성 저해제, 피브레이트계 화합물 및 LDL 이화촉진제는 혈중의 콜레스테롤이나 트리글리세리드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다른 약제와 치환해도 된다. 이 같은 약제로는 예컨대 니코몰이나 니세리트롤 등의 니코틴산 유도체 제제 ; 프로브콜 등의 항산화제 ; 콜레스티라민 등의 이온 교환 수지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안지오텐신 II 길항제란 안지오텐신 II 에 의한 혈압상승을 강력하게 억제하여 혈압을 떨어뜨리는 약제이다. 이 같은 약제로는 예컨대 로살탄칼륨, 칸데살탄시레키세틸, 바르살탄, 테르미살탄, 오르메살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 저해제란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혈압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혈당을 저하시키는 약제이고, 예컨대 카프토프릴, 에나라프릴, 알라세프릴, 델라프릴, 라미프릴, 리시노프릴, 이미다프릴, 베나제프릴, 세로나프릴, 실라자프릴, 에날라프릴레이트, 포시노프릴, 모벨트프릴, 페린도프릴, 퀴나프릴, 스피라프릴, 테모카프릴, 트란돌라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6알킬기, (iii) C6-C10아릴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르알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4알킬술포닐기, 또는 (vi)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iii)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iv) 페닐 C1-C2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 C1-C2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C1-C4알킬기, 또는 페닐 C1-C4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7)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8)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C1-C2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9) A 가 질소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0) A 가 = CH- 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1)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2) B 가 황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3) W1이 C1-C6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4) W1이 C1-C4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5)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6) W1이 메틸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7)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6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8) W2가 C1-C4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19)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0)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1) X 는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i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v) C1-C4알콕시기 (v) 할로겐원자, (vi) 히드록시기, (vii) 시아노기, (viii) 니트로기, (ix) C1-C5지방족 아실기, 또는 (x)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2) X 가 (i) 수소원자, (ii) C1-C2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히드록시기, (v) C1-C2지방족 아실기, 또는 (vi) 아미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3)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4) Z1이 (i) C1-C4알콕시기, (ii) C1-C4알킬티오기, (iii) 할로겐원자, (iv) C6-C10아릴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7-C16아르알킬옥시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vi) C6-C10시클로알킬옥시기, (vii)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6-C10아릴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x)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아미노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5) Z1이 (i) C1-C2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할로겐원자, (iv)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아미노기, 또는 (ix)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6) Z1이 (i) C1-C2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7) Z1이 (i) C1-C2알콕시기, (ii)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ii)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8)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ii) C1-C4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6-C10시클로알킬기, (ix) C1-C2지방족 아실기, (x) C7-C11아릴카르보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xi) 카르바모일기, (xii)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i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9)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ii) C1-C2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아다만틸기, (ix) 벤조일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x)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0)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히드록시기, (iv) 아다만틸기, (v) 벤조일기, (vi)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1)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히드록시기, 또는 (iv) 아다만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2) 치환분 α1이 C1-C4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3) 치환분 α1이 할로겐원자, 또는 아다만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4) 치환분 α1이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5) 치환분 α1이 C1-C4알킬기, 벤조일기, 또는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6) 치환분 α1벤조일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7) 치환분 β가 (i) C1-C6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페닐기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iv) 페닐 C1-C4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5지방족 아실기, 또는 (vi)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8) 치환분 β가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또는 (iii)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9) 치환분 β가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0) 치환분 γ가 (i) C1-C2알킬기, (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또는 (iv)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1)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2)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한, 상기 화학식 (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1) 내지 (8) 에서 R1, R2, 및 R3을 선택하고, (9) 또는 (10) 에서 A 를 선택하고, (11) 또는 (12) 에서 B 를 선택하고, (13) 내지 (16) 에서 W1을 선택하고, (17) 내지 (20) 에서 W2를 선택하고, (21) 내지 (23) 에서 X 를 선택하고, (24) 내지 (27) 에서 Z1을 선택하고, (28) 내지 (36) 에서 α1을 선택하고, (37) 내지 (39) 에서 β를 선택하고, (40) 내지 (42) 에서 γ를 선택하여 조합한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43)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6알킬기, (iii) C6-C10아릴기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르알킬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4알킬술포닐기, 또는 (vi)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4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4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i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v) C1-C4알콕시기, (v) 할로겐원자, (vi) 히드록시기, (vii) 시아노기, (viii) 니트로기, (ix) C1-C5지방족 아실기, 또는 (X)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Z1이 (i) C1-C4알콕시기, (ii) C1-C4알킬티오기, (iii) 할로겐원자, (iv) C6-C10아릴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7-C16아르알킬옥시기 (아릴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vi) C6-C10시클로알킬옥시기, (vii)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6-C10알킬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x)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ii) C1-C4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6-C10시클로알킬기, (ix) C1-C2지방족 아실기, (x) C7-C11아릴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xi) 카르바모일기, (xii)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i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6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페닐기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iv) 페닐 C1-C4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5지방족 아실기, 또는 (vi)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i) C1-C2알킬기, (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또는 (iv)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4)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iii)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iv) 페닐 C1-C2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 C1-C2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i) 수소원자, (ii) C1-C2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히드록시기, (v) C1-C2지방족 아실기, 또는 (vi)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이다.) 를 나타내고,
Z1이 (i) C1-C2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할로겐원자, (iv)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아미노기, 또는 (ix)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ii) C1-C2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아다만틸기, (ix) 벤조일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x)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또는 (iii)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5)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이다.) 를 나타내고,
Z1이 (i) C1-C2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히드록시기, (iv) 아다만틸기, (v) 벤조일기, (vi)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한, 상기 화학식 (I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46) Z2가 5 원 또는 6 원 포화 복소환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내지 3 개 갖는다.)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7) Z2가 테트라히드로피란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8) Z2가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개 갖는다.)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9) 치환분 α2가 (i) C6-C10시클로알킬기, (ii) 페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iii) 페닐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v)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0) 치환분 α2가 C6-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1) 치환분 α2가 아다만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한, 상기 화학식 (I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1) 내지 (8) 에서 R1, R2, 및 R3을 선택하고, (9) 또는 (10) 에서 A 를 선택하고, (11) 또는 (12) 에서 B 를 선택하고, (13) 내지 (16) 에서 W1을 선택하고, (17) 내지 (20) 에서 W2를 선택하고, (21) 내지 (23) 에서 X 를 선택하고, (46) 내지 (48) 에서 Z2를 선택하고, (28) 내지 (36) 에서 α1을 선택하고, (49) 내지 (51) 에서 α2를 선택하고, (37) 내지 (39) 에서 β를 선택하고, (40) 내지 (42) 에서 γ를 선택하여 조합한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I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52)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iii)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iv) 페닐 C1-C2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 C1-C2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4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4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i) 수소원자, (ii) C1-C2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히드록시기, (v) C1-C2지방족 아실기, 또는 (vi)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이다.) 를 나타내고,
Z2가 5 또는 6 원 포화 복소환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내지 3 개 갖는다.)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히드록시기, (iv) 아다만틸기, (v) 벤조일기, (vi)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2가 C6-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또는 (iii)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3)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이다.) 를 나타내고,
Z2가 테트라히드로피란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4)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이다.) 를 나타내고,
Z2가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개 갖는다.)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할로겐원자, 또는 아다만틸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2가 아다만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한, 상기 화학식 (II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55) Z3이 (i) C1-C4알킬기, (ii) C6-C10아릴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ii) C3-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6) Z3이 C1-C4알킬기, 또는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C3-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7) Z3이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한, 상기 화학식 (II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1) 내지 (8) 에서 R1, R2, 및 R3을 선택하고, (9) 또는 (10) 에서 A 를 선택하고, (11) 또는 (12) 에서 B 를 선택하고, (13) 내지 (16) 에서 W1을 선택하고, (17) 내지 (20) 에서 W2를 선택하고, (21) 내지 (23) 에서 X 를 선택하고, (55) 내지 (57) 에서 Z3을 선택하고, (28) 내지 (36) 에서 α1을 선택하고, (37) 내지 (39) 에서 β를 선택하고, (40) 내지 (42) 에서 γ를 선택하여 조합한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III)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58)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이다.) 를 나타내고,
Z2가 (i) C1-C4알킬기, (ii) C6-C10아릴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ii) C3-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히드록시기, 또는 (iv) 아다만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9)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C1-C4알킬기, 또는 페닐 C1-C4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이다.) 를 나타내고,
Z3이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C1-C4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한, 상기 화학식 (IV) 를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60) R4가 C1-C4알킬기, 또는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1) R4가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2) Z4가 (i) C1-C4알콕시기, (ii) C1-C4알킬티오기, (iii) C6-C10아릴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iv) 벤질옥시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v) C6-C10아릴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 벤질티오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3) Z4가 (i) C1-C4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v)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4) Z4가 C1-C2알콕시기 또는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5) Z4가 C1-C2알콕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6) Z4가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한, 상기 화학식 (IV)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1) 내지 (8) 에서 R1, R2, 및 R3을 선택하고, (60) 또는 (61) 에서 R4를 선택하고, (9) 또는 (10) 에서 A 를 선택하고, (11) 또는 (12) 에서 B 를 선택하고, (13) 내지 (16) 에서 W1을 선택하고, (17) 내지 (20) 에서 W2를 선택하고, (21) 내지 (23) 에서 X 를 선택하고, (62) 내지 (66) 에서 Z4를 선택하고, (28) 내지 (36) 에서 α1을 선택하고, (37) 내지 (39) 에서 β를 선택하고, (40) 내지 (42) 에서 γ를 선택하여 조합한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IV)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67) R1, R2, 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R4가 C1-C4알킬기, 또는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i) 수소원자, (ii) C1-C2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히드록시기, (v) C1-C2지방족 아실기, 또는 (vi)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Z4가 (i) C1-C4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v)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히드록시기, (iv) 아다만틸기, (v) 벤조일기, (vi)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또는 (iii)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8)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4가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Z4가 C1-C2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벤조일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69)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4가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Z4가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C1-C4알킬기, 벤조일기, 또는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본 발명의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로서, 예컨대 표 1 내지 표 5 에 기재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표 1 내지 표 5 의 화합물은 각각 식 I-1 내지 I-5 의 구조식을 갖는다. 단, 표중의 약기는 다음과 같다.
Ac : 아세틸, Ada : 아다만틸, Boz : 벤조일, Bu : 부틸, iBu : 이소부틸, sBu : s-부틸, tBu : t-부틸, Bz : 벤질, Byr : 부티릴, iByr : 이소부티릴, Car : 카르바모일, Et : 에틸, GlcA : β-D-글루코피란우라노실옥시, Hx : 헥실, iHx : 이소헥실, sHx : s-헥실, cHx : 시클로헥실, Hynyl : 헥사노일, Imid : 이미다졸릴, Me : 메틸, Mor : 모르폴리닐, Nic : 니코티노일, iNic : 이소니코티노일, Np : 나프틸, Ph : 페닐, Pip :1-피페리디닐, Pipra : 피페라지닐, Pn : 펜틸, cPn : 시클로펜틸, cPnc : 시클로펜틸카르보닐, Pr : 프로필, cPr : 시클로프로필, iPr :이소프로필, Prn : 프로피오닐, Pyr : 피리딜, Pyrd : 피롤리디닐, TioMor : 티오모르폴리닐, Tos : p-톨루엔술포닐, Va : 발레릴기.
상기 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예시 화합물 번호
1-1 3-[4-[6-(4-아다만탄-1-일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1-86 3-[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1-87 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1-170 4-[6-(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1-177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1-179 2-에톡시-3-[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3-188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3-285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3-299 4-[6-[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5-1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5-4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5-21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5-22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포닐프로피온산,
5-23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5-26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5-43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5-45 3-[4-[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5-48 3-[4-[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5-65 3-[4-[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5-67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5-68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시 화합물 번호,
1-1 3-[4-[6-(4-아다만탄-1-일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1-86 3-[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1-87 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1-170 4-[6-(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1-177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1-179 2-에톡시-3-[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3-188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3-285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3-299 4-[6-[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5-1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5-4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5-21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5-22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포닐프로피온산,
5-26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5-48 3-[4-[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5-67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5-68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예시 화합물 번호,
1-1 3-[4-[6-(4-아다만탄-1-일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1-86 3-[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1-179 2-에톡시-3-[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3-188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3-285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5-21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5-67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I) 을 갖는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A 법
상기 식 중, R1, R2, R3, W1, W2, X, Y, A 및 B 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Z 는 상술한 Z1, Z2O- 기, Z3S- 기 또는 Z4를 나타내고, Y' 는 상술한 Y 또는 N-R4기 (R4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R 은 상술한 에스테르 잔기를 나타낸다.
A 법은 화학식 (I)-(IV) 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며, 불활성 용매중, 화학식 (V) 을 갖는 화합물을 산 또는 염기의 존재하에 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류 ; 물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 용매 ; 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알코올류, 아미드류, 물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 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 또는 에테르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산은 통상의 반응에 있어서 산촉매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과 같은 무기산 ; 아세트산, 포름산, 옥살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캄파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과 같은 유기산 등의 브렌스테드산 ; 염화아연, 사염화주석, 보론트리클로리드, 보론트리플루오리드, 보론트리브로미드와 같은 루이스산 ; 산성 이온 교환수지 ; 이고, 바람직하게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산, 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로는 화합물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탄산염류 ;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중탄산염류 ;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류 ;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금속알콕시드류 ; 암모니아수, 진한 암모니아-메탄올과 같은 암모니아류 : 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류 또는 금속알콕시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알칼리금속 수산화물류 또는 금속알콕시드류)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60 ℃)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30 분간 내지 5 일간 (바람직하게는 5 시간 내지 72 시간) 이다.
또한 본 공정은 R 이 치환될 수 있는 벤질기인 경우에는 불활성 용매중, 대기압하 내지 가압하 (바람직하게는 가압하) 화합물 (V) 에 접촉환원반응을 수행하여 목적화합물 (I)-(IV) 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환원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통상의 접촉환원반응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팔라듐-탄소, 라니-니켈, 로듐-산화알루미늄, 트리페닐포스핀-산화로듐, 팔라듐-황산바륨, 팔라듐 흑, 산화백금, 백금 흑이고, 바람직하게는 팔라듐-탄소이다.
상기 접촉환원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옥탄올, 시클로헥사놀, 메틸셀로솔브와 같은 알코올류 ;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류 ;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매 ; 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알코올류 또는 유기산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코올류)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촉매,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 ℃)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촉매,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30 분간 내지 48 시간이다.
B 법
상기 식 중, R1, R2, R3, W1, W2, X, Y', Z, A,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의미를 나타내고, Boc 기는 t-부톡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B 법은 화학식 (V) 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며, 화학식 (V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VII) 을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산과 처리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본 공정에 있어서, 중간체가 되는 아미드화합물을 단리정제하지 않고, 상기 반응과 동일하게 아미노기의 보호기인 t-부톡시카르보닐기를 산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이어서 폐환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본 공정은 화합물 (IV) 과 화합물 (VII) 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중간체 (VIII) 를 단리정제한 (B1 공정) 후, 산과 접촉시킴 (B2 공정) 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B1 공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a) 산할라이드법
산할라이드법은 불활성 용매중, 화합물 (VII) 을 할로겐화제 (예컨대 염화티오닐, 브롬화 티오닐, 옥살산클로리드, 옥살산디클로리드, 옥시염화 인, 삼염화 인, 오염화 인 등) 와 반응시켜 산할라이드류를 제조하고, 그 산할라이드류화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을 불활성 용매중, 염기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 (바람직하게는 존재하) 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는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탄산염류 ;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중탄산염류 ; 수소화 리튬, 수소화 나트륨, 수소화 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소화물류 ; 수산화 리튬,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류 ;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알칼리금속 알콕시드류 ;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나-5-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DBU) 와 같은 유기 아민류이고, 바람직하게는 유기 아민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또는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 아세톤과 같은 케톤류 ;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 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디메틸술폭시드와 같은 술폭시드류 ; 술포란 ; 이고,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에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시약 등에 따라 다르지만, 할로겐화제와 화합물 (VII) 의 반응 및 산할라이드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과의 반응 모두 통상 -20 ℃ 내지 150 ℃ 이고,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제와 화합물 (VII) 의 반응은 -10 ℃ 내지 100 ℃ 이고, 산할라이드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과의 반응은 -20 ℃ 내지 100 ℃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시약,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할로겐화제와 화합물 (VII) 의 반응 및 산할라이드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과의 반응 모두 통상 30 분간 내지 8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8 시간) 이다.
(b) 활성에스테르법
활성에스테르법은 불활성 용매중, 화합물 (VII) 과 활성에스테르화제를 반응시켜 활성에스테르류를 제조한 후, 불활성 용매중, 염기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 (바람직하게는 존재하) 에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활성에스테르화제는 예컨대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와 같은 N-히드록시 화합물 ; 디피리딜디술피드와 같은 디술피드 화합물 ;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와 같은 카르보디이미드 ; 카르보닐디이미다졸 ; 트리페닐포스핀 ; 과 같은 축합제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또는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 아세톤과 같은 케톤류 ;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디메틸술폭시드와 같은 술폭시드류 ; 술포란 ; 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는 예컨대 상기 산할라이드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염기를 들 수 있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시약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활성에스테르화 반응에서는 -70 ℃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 ℃) 이고, 활성에스테르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과의 반응에서는 -2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50 ℃)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시약,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활성 에스테르화 반응 및 활성 에스테르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과의 반응 모두 통상 30 분간 내지 8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8 시간) 이다.
(c) 혼합산무수물법
혼합산무수물법은 불활성 용매중, 염기존재하 또는 비존재하 (바람직하게는 존재하) 에 화합물 (VII) 과 혼합산무수물화제를 반응시켜 혼합산무수물류를 제조한 후, 불활성 용매중, 혼합산무수물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을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는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탄산염류 ;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중탄산염류 ; 수소화 리튬, 수소화 나트륨, 수소화 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소화물류, 수산화 리튬,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류 ;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알칼리금속알콕시드류 ;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나-5-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DBU) 와 같은 유기 아민류이고, 바람직하게는 유기 아민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혼합산무수물화제는 예컨대 클로르탄산에틸, 클로르탄산이소부틸과 같은 탄산 C1-C4알킬할라이드 ; 피발로일클로리드와 같은 C1-C5알카노일할라이드 ; 시아노포스폰산디에틸, 시아노포스폰산디페닐과 같은 디C1-C4알킬 또는 디C6-C14아릴시아노 인산이고, 바람직하게는 디C1-C4알킬 또는 디C6-C14아릴시아노 인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아노포스폰산디에틸) 이다.
혼합산무수물화제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고, 출발물질을 어느 정도 용해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또는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 아세톤과 같은 케톤류 ;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디메틸술폭시드와 같은 술폭시드류 ; 술포란 ; 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이다.
혼합산무수물류를 제조하는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시약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60 ℃) 이다.
혼합산무수물류를 제조하는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시약,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30 분간 내지 72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24 시간) 이다.
혼합산무수물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과의 반응은 불활성 용매중, 염기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 (바람직하게는 존재하) 에서 수행되고, 사용되는 염기 및 불활성 용매는 상술된 혼합산무수물류를 제조하는 반응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혼합산무수물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의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시약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3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80 ℃) 이다.
혼합산무수물류와 화합물 (VI) 또는 그의 산부가염의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시약,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 분간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간 내지 16 시간) 이다.
또한, 본 반응에 있어서, 디C1-C4알킬시아노 인산 또는 디C6-C14아릴시아노 인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염기의 존재하, 화합물 (VI) 과 화합물 (VII) 을 직접 반응시킬 수도 있다.
반응종료후, 본 반응의 목적화합물 (VIII) 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반응혼합물에서 채취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혼합물을 적절히 중화시키고, 또한 불용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여과를 통해 제거한 후, 물과 아세트산에틸과 같은 혼화하지 않는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목적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 등으로 세척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 무수황산나트륨, 무수탄산수소나트륨 등으로 건조시킨 후, 용제를 증류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B2 공정인 산을 사용하여 폐환하는 반응은 산의 존재하에 화합물 (VIII) 을 불활성 용매중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사용되는 산은 통상의 반응에 있어서 산촉매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과 같은 무기산 ; 아세트산, 포름산, 옥살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캄파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과 같은 유기산 등의 브렌스테드산 ; 염화아연, 사염화 주석, 보론트리클로리드, 보론트리플루오리드, 보론트리브로미드와 같은 루이스산 ; 산성 이온교환수지 ; 이고, 바람직하게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산, 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탄산디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옥탄올, 시클로헥사놀, 메틸셀로솔브와 같은 알코올류 ;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물 ; 또는 물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 용매 ; 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 내지 비등점 온도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100 ℃)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5 분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간 내지 20 시간) 이다.
또한 B3 공정은 화학식 (III) 의 -YR3기의 관능기 변환이고, 화학식 (VIII' : 화학식 (VIII)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YR3기가 -OH 기인 것)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i) 광연반응, (ii) 에테르화 반응, (iii) 알칸술포닐화 (또는 아릴술포닐화) 한 후에 티오에테르화 반응 또는 (iv) 알칸술포닐화 (또는 아릴술포닐화) 한 후에 아지드화 반응에 이어서 환원반응을 수행하고, 화학식 (VIII" : 화학식 (VIII)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YR3기가 알콕시기, 알킬티오기 또는 아미노기인 것)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 있어서의 (i) 광연반응은 화학식 (VI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고, 불활성 용매중, 포스핀류 (바람직하게는 트리부틸포스핀 또는 트리페닐포스핀이다.) 및 아조디카르복실산 화합물류 (바람직하게는 아조디카르복실산디에틸 또는 1,1-아조디카르복실산디피페리딘이다.) 의 존해하에 행해진다.
(ii) 에테르화 반응은 후술하는 D1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iii) 알칸술포닐화 (또는 아릴술포닐화) 한 후에 티오에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공정은 후술하는 F1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iv) 알칸술포닐화 (또는 아릴술포닐화) 한 후에 아지드화 반응에 이어서 환원반응을 수행하는 공정은 후술하는 G1 공정과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아미노 화합물은 추가로 후술하는 H1 공정에 준거한 할로겐화 알킬에 의한 알킬화, 알데히드나 케톤을 사용한 일반적 환원적 알킬화를 적용함으로써 알킬아미노체로 할 수 있다.
C 법
상기 식 중, R2, R3, W1, W2, X, Y',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C 법은 화학식 (V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불활성 용매중, 화학식 (IX) 을 갖는 화합물을 산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사용되는 산은 통상의 반응에 있어서, 산촉매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과 같은 무기산 ; 아세트산, 포름산, 옥살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캄파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과 같은 유기산 등의 브렌스테드산 ; 염화아연, 사염화 주석, 보론트리클로리드, 보론트리플루오리드, 보론트리브로미드와 같은 루이스산 ; 산성 이온교환수지 ; 이고, 바람직하게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산, 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탄산디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옥탄올, 시클로헥사놀, 메틸셀로솔브와 같은 알코올류 ;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물 ; 또는 물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 용매 ; 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 내지 비등점 온도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80 ℃)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5 분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간 내지 20 시간) 이다.
D 법
상기 식 중, R2, R3, W1, W2, X, Y',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Halo 기는 상술한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D 법은 화학식 (I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불활성 용매중, 화학식 (X) 를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R3-Halo 로 표시되는 할로겐화물을 염기 또는 산화 은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는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과 같은 알칼리금속 탄산염류 ;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중탄산염류 ; 수소화리튬,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소화물류 ;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류 ;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금속알콕시드류 ;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나-5-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DBU) 와 같은 유기 아민류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 수소화물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나트륨)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탄산디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매 ; 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 내지 비등점 온도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100 ℃)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염기,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5 분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간 내지 20 시간) 이다.
E 법
상기 식 중, R2, W1, W2, X, B, R 및 Halo 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E 법은 화학식 (XI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불활성용매 중에서 화학식 (X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XII) 으로 표시되는 할로겐화물을 염기 또는 산화은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는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과 같은 알칼리금속탄산염류;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중탄산염류; 수소화리튬,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소화물류;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산화물류;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알칼리금속알콕시드류;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나-5-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DBU) 와 같은 유기아민류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수소화물류, 알칼리금속탄산염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탄산디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액이고, 바람직하게는 케톤류, 에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메틸포름아미드)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내지 비등점온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5 분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간 내지 20 시간) 이다.
F 법
상기 식 중, R2, R3, W1, W2, X,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F 법은 화학식 (XI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불활성용매 중에서 화학식 (XIII) 을 갖는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 염화메탄술포닐과 반응시킨 후,화학식 R3SH 로 표시되는 메르캅탄화물을 염기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의 F1 공정에 사용되는 염기는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탄산염류;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중탄산염류; 수소화리튬,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소화물류;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산화물류;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알칼리금속알콕시드류;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나-5-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DBU) 와 같은 유기아민류이고, 바람직하게는 유기아민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 이다. 상기 반응의 제 2 단계에 사용되는 염기는 제 1 단계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수소화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나트륨)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탄산디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액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내지 비등점온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5 분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간 내지 20 시간) 이다.
G 법
상기 식 중, R2, R3, W1, W2, X, Y,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G 법은 화학식 (X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불활성용매 중에서 화학식 (XIII) 을 갖는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 염화메탄술포닐과 반응시킨 후,아지화나트륨과 반응시켜 아지드화합물로 하고 그것을 환원함으로써 수행된다.
염화메탄술포닐과 반응시킨 후 아지화나트륨과 반응시키는 조건은 상기 F1 공정과 동일하고 (단, 제 2 단계에서는 염기는 필요로 하지 않음), 또한 환원반응은 아지드화합물을 아미노기로 변환하는 방법 (상기 접촉환원반응 및 포스핀류와의 반응) 에 준하여 수행된다.
H 법
상기 식 중, R2, R3, R4, W1, W2, X,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H 법은 화학식 (X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화학식 (XV) 을 갖는 화합물의 아미노기에 알킬화, 아르알킬화 또는 아릴화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공정의 아미노기의 알킬화 또는 아르알킬화는 아미노기와 할로겐화알킬 또는 할로겐화아르알킬을 반응시키는 이미 알려진 합성법 등 아릴화는 아미노기와 할로겐화아릴을 염기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이미 알려진 합성법 등에 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의 H1 공정에 사용되는 염기는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탄산염류;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중탄산염류; 수소화리튬,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소화물류;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산화물류;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알칼리금속알콕시드류;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나-5-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DBU) 와 같은 유기아민류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중탄산염류이다.
I 법
상기 식 중, R2, R3, R4, W1, W2, X,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I 법은 화학식 (X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화학식 (XVII) 을 갖는 화합물의 아미노기에 H 법과 동일한 알킬화, 아르알킬화 또는 아릴화한 (I1 공정) 후, 다시 E1 공정과 동일한 반응을 실시함 (I2 공정) 으로써 수행된다. 본 공정에서 아미노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호기로 보호한 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J 법
상기 식 중, R2, W2, X,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J 법은 화학식 (X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IX) 을 갖는 케톤 또는 알데히드를 시아노히드린으로 한 후, 산 존재하에 가수분해 또는 가알콜 분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공정은 불활성용매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요오드화 아연을 촉매로 하여 수행된다.
또, 화학식 (XVII)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학식 (XIX) 을 갖는 케톤 또는 알데히드에 시안화수소와 암모니아를 작용시키는 아미노산의 일반적인 합성법인 스트레커 합성법을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K 법
상기 식 중, R1, Z, A 및 Boc 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K 법은 화학식 (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불활성용매 중에서 염기 존재하에 화학식 (XXI) 을 갖는 화합물을 화학식 Z-H 를 갖는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K1 공정), 이어서 환원반응을 실시함 (K2 공정) 으로써 수행된다.
K1 공정에서 사용되는 염기는 상기 D1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수소화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나트륨) 이다. 반응조건도 상기 D1 공정에 준하여 수행된다.
K2 공정은 방향족니트로기의 환원반응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촉환원반응, 금속과 산의 조합 (아연-아세트산, 주석-알콜 또는 주석-염산) 에 의한 환원반응 또는 하디로설파이트나트륨과의 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L 법
상기 식 중, R1, A 및 Boc 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L 법은 화학식 (XX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불활성용매 중에서 염기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화학식 (XXIII) 을 갖는 화합물에 아미노기의 보호기인 t-부톡시카르보닐기를 실시하고 (L1 공정), 이어서 알킬화, 아릴화 또는 아르알킬화를 실시함 (L2 공정) 으로써 수행된다.
L1 공정은 (XXIII) 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염기 존재하에 디-t-부틸디카보네이트를 반응시키는 아미노기로의 보호기 도입 (Boc 화) 의 반응공정이다.
L2 공정은 Boc 기로 보호된 아미노기의 알킬화, 아릴화 또는 아르알킬화이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반응에 준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화학식 (I) ∼ (IV) 및 중간체 (VI) 중의 Z 에 아미노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미노기의 알킬화, 아릴화, 아르알킬화 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아실화, 술포닐화, 또한 카르바모일화를 실시할 수 있다.
M 법
상기 식 중, R1, R2, W1, W2, X, Z, A, B, R, Boc 기 및 Halo 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M 법은 화학식 (I)-(III) 으로 표시되는 것 중 -Y-R3기가 히드록시기인 것을 합성하는 별도의 합성공정이다.
M1 공정은 화학식 (XXV) 을 갖는 화합물의 히드록시기와 카르복실산에 아세토나이드를 가하여 화학식 (XX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불활성용매 중에서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 (바람직하게는 비존재하) 에 화학식 (XXV) 을 갖는 화합물과 아세톤 또는 2,2-디메톡시프로판을 산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사용되는 산은 통상적인 반응에서 산촉매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과 같은 무기산; 아세트산, 포름산, 옥살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칸파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플루로오메탄술폰산과 같은 유기산 등의 브렌스테드산; 염화아연, 사염화주석, 보론트리클로리드, 보론트리플루오리드, 보론트리브로미드와 같은 루이스산; 산성 이온교환수지이고, 바람직하게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산,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내지 비등점온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0℃)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사용되는 산,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5 분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간 내지 20 시간) 이다.
M2 공정은 화학식 (XXV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V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XII) 을 갖는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반응은 E 법에 준하여 수행할 수 있다.
M3 공정은 화학식 (XXVI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VII) 을 갖는 화합물을 산 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반응은 C 법에 준하여 수행할 수 있다.
M4 공정은 화학식 (XXI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VII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VI) 을 갖는 화합물을 축합제 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반응은 B1 공정에 준하여 수행할 수 있다.
M5 공정은 화학식 (XXX) 또는 (XXX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IX) 을 갖는 화합물을 산 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물 또는 알콜 (물 또는 알콜을 용매로 할 수도 있음) 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반응은 제 B2 공정에 준하여 수행할 수 있다.
Y 가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이하와 같이 해도 합성할 수 있다.
N 법
상기 식 중, R1, R3, W1, W2, X, Z, A,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N 법은 화학식 (XXXV), (XXXVI), (XXXVII), (XXXVIII), (XXXIX) 및 (XL)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N1 공정은 화학식 (XXXI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V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XXXII) 을 갖는 화합물을 상술한 B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N2 공정은 화학식 (XXXI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XIII) 을 갖는 화합물을 상술한 B2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N3 공정은 화학식 (XXX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XIV) 을 갖는 화합물을 상술한 A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N3 공정은 불활성용매 중에서 화학식 (XXXIV) 을 갖는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 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알콜류; 물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액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알콜류, 아미드류, 물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매 (더 바람직하게 알콜류 또는 에테르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콜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이다.
상기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로는 화합물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탄산염류;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중탄산염류;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산화물류;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금속알콕시드류; 암모니아수, 진한암모니아-메탄올과 같은 암모니아류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수산화물류 또는 금속알콕시드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수산화물류 또는 금속알콕시드류)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30 분간 내지 5 일간 (바람직하게는 2 시간 내지 72 시간) 이다.
N4 공정은 화학식 (XXX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XV) 을 갖는 화합물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수행되고, 상술한 B1 공정에 준하여 화학식 (IV) 을 갖는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ROH 로 표시되는 알콜을 사용하고, (a) 산 할라이드법, (b) 활성 에스테르법 또는 (c) 혼합산 무수물법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또, 화학식 (XXXV)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ROH 로 표시되는 알콜을 산 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또는 당해 알콜을 용매로서 반응시킴으로써도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알콜류; 물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매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류, 알콜류, 아미드류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매 (더 바람직하게는 알콜류 또는 에테르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콜류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이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산은 통상적인 반응에서 산촉매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과 같은 무기산; 아세트산, 포름산, 옥살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칸파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플루로오메탄술폰산과 같은 유기산 등의 브렌스테드산; 염화아연, 사염화주석, 보론트리클로리드, 보론트리플루오리드, 보론트리브로미드와 같은 루이스산; 산성 이온교환수지이고, 바람직하게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산,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용매, 반응돈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30 분간 내지 5 일간 (바람직하게는 5 시간 내지 72 시간) 이다.
N5 공정은 화학식 (XXXV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XV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R3-Halo (단, R3는 수소원자가 아님) 을 갖는 화합물을 상술한 D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N6 공정은 화학식 (XXXVI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XVII) 을 갖는 화합물을 상술한 A1 공정에 준한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N7 공정은 화학식 (XXXI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XXXVIII) 을 갖는 화합물과 암모니아를 상술한 B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N8 공정은 화학식 (XL)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XV) 을 갖는 화합물과 암모니아를 상술한 B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N9 공정은 화학식 (XXXI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L)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R3-Halo (단, R3는 수소원자가 아님) 을 갖는 화합물을 상술한 D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O 법
상기 식 중, R1, R3, W1, W2, X, Z, A,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나타낸다.
O 법은 술피드의 산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XLI), (XLII), (XLIII), (XLIV), (XLV) 및 (XL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O1 공정은 화학식 (XLI) 및 (XL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XVII) 을 갖는 화합물과 m-크롤과벤조산, 과산화수소 또는 t-부틸히드로퍼옥시드와 같은 과산화물을 염기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불활성용매는 본 반응에 불활성인 것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헥산, 헵탄, 리그로인, 석유에테르와 같은 지방족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알콜류; 물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액이고,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탄화수소류, 알콜류, 아미드류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용매 (더 바람직하게 알콜류 또는 할로겐화탄화수소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콜류 또는 디클로로메탄) 이다.
상기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로는 화합물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탄산염류;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중탄산염류;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수산화물류; 리튬메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와 같은 금속알콕시드류; 암모니아수, 진한암모니아-메탄올과 같은 암모니아류이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탄산염류 또는 알칼리금속중탄산염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중탄산염류) 이다.
반응온도는 원료화합물, 용매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이다.
반응시간은 원료화합물, 용매,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 분간 내지 1 일간 (바람직하게는 5 시간 내지 2 시간) 이다.
O2 공정은 화학식 (XLIII) 및 (XLI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O1 공정과 동일하게 화학식 (XXXVIII) 을 갖는 화합물 m-크롤과벤조산, 과산화수소 또는 t-부틸히드로퍼옥시드와 같은 과산화물을 염기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O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O3 공정은 화학식 (XLV) 및 (XL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O1 공정과 동일하게 화학식 (XXXIX) 을 갖는 화합물 m-크롤과벤조산, 과산화수소 또는 t-부틸히드로퍼옥시드와 같은 과산화물을 염기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O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 법
상기 식 중, R1, R3, W1, W2, X, Z, A,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Z' 는 Z 정의에서 벤질옥시기를 나타내고, Z'' 는 Z 정의에서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중 치환분 α1이 보호되어 있는 기를 나타내고, Z''' 는 Z 정의에서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낸다.
P 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Ⅰ) 중 Z 가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인 화학식 (LI), (LII), (LIII) (LIV), (LV) 및 (LVI) 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P1 공정은 화학식 (XLV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XII' : Z' = 벤질옥시기)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K2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2 공정은 화학식 (XLVI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LVI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XXXI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B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3 공정은 화학식 (XLI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LVII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B2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4 공정은 화학식 (L)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LIX) 을 갖는 화합물과 그 치환분이 보호된 Z 기에 상당하는 화합물, 예컨대 1,2,3,4-테트라-O-아세틸-β-D-피라누론산메틸 (Methl1,2,3,4-tetra-O-acetyl-β-D-glucopyranuronate) 등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J.Am.Chem.Soc.,77, 3310(1955) 또는Chem.Pharm.Bull.39(8), 2124-2125(1991) 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5 공정은 화학식 (L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J.Am.Chem.Soc.,77, 3310(1955) 또는 Chem.Pharm.Bull.39(8), 2124-2125(1991) 에 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6 공정은 화학식 (L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A1 공정에 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7 공정은 화학식 (L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A1 공정에 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8 공정은 화학식 (LI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I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B1 공정에 준하여 암모니아와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9 공정은 화학식 (LI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II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R3-Halo (단, R3는 수소원자가 아님)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D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10 공정은 화학식 (L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II) 을 갖는 화합물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수행되고, 상술한 N4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P11 공정은 화학식 (L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V)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R3-Halo (단, R3는 수소원자가 아님)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D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Q 법
상기 식 중, R1, R3, W1, W2, X, Z''', A,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3은 수소원자가 아니다.
Q 법은 화학식 (LVII) 및 (LVIII), 이어서 이들 및 화학식 (LVI) 을 갖는 화합물을 O 법과 동일하게 술피드의 산화반응에 따라 화학식 (LIX), (LX), (LXI), (LXII), (LXIII) 및 (LXI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Q1 공정은 화학식 (LV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V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A1 공정에 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Q2 공정은 화학식 (LVIII) 을 갖는 화합물을 갖는 공정으로, 화학식 (LVI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B1 공정에 준하여 암모니아와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Q3 공정은 화학식 (LIX) 및 (L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VI) 을 갖는 화합물과 m-크롤과벤조산, 과산화수소 또는 t-부틸히드로퍼옥시드와 같은 과산화물을 염기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O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Q4 공정은 화학식 (LXI) 및 (LX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VII) 을 갖는 화합물과 m-크롤과벤조산, 과산화수소 또는 t-부틸히드로퍼옥시드와 같은 과산화물을 염기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O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Q5 공정은 화학식 (LXIII) 및 (LXI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VIII) 을 갖는 화합물과 m-크롤과벤조산, 과산화수소 또는 t-부틸히드로퍼옥시드와 같은 과산화물을 염기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O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I)-(IV) 중 Z 가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일 때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 (I)-(IV) 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합성할 수 있다.
R 법
상기 식 중, R1, R2, R3, W1, W2, X, Y', Z'', Z''', A, B 및 R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 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IV) 중 Z 가 보호되어 있어도 되는 포화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인 화학식 (LXVII), (LXVIII), (LXIX), (LXX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R1 공정은 화학식 (LXV)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XLVII) 을 갖는 화합물과 화학식 (VI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B1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R2 공정은 화학식 (LXV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XV)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B2 공정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R3 공정은 화학식 (LXV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XVI) 을 갖는 화합물과 그 치환분이 보호된 Z 기에 상당하는 화합물, 예컨대 1,2,3,4-테트라-O-아세틸-β-D-피라누론산메틸 (Methl1,2,3,4-tetra-O-acetyl-β-D-glucopyranuronate) 등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J.Am.Chem.Soc.,77, 3310(1955) 또는 Chem.Pharm.Bull.39(8), 2124-2125(1991) 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R4 공정은 화학식 (LXVI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XVI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J.Am.Chem.Soc.,77, 3310(1955) 또는 Chem.Pharm.Bull.39(8), 2124-2125(1991) 에 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R5 공정은 화학식 (LXI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XVII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B1 공정에 준하여 암모니아와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R6 공정은 화학식 (LX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XV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A1 공정에 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R7 공정은 화학식 (LXX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XX)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상기 B1 공정에 준하여 암모니아와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R8 공정은 화학식 (LXXII)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XXI) 을 갖는 화합물과 그 치환분이 보호된 Z 기에 상당하는 화합물, 예컨대 1,2,3,4-테트라-O-아세틸-β-D-피라누론산메틸 (Methl1,2,3,4-tetra-O-acetyl-β-D-glucopyranuronate) 등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J.Am.Chem.Soc.,77, 3310(1955) 또는 Chem.Pharm.Bull.39(8), 2124-2125(1991) 에 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R9 공정은 화학식 (LXIX) 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화학식 (LXXII) 을 갖는 화합물을 불활성용매 중에서 J.Am.Chem.Soc.,77, 3310(1955) 또는 Chem.Pharm.Bull.39(8), 2124-2125(1991) 에 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IV) 중 Z 가 히드록시기인 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합성할 수 있다.
S 법
S 법은 N 법의 화학식 (XXXV) 내지 (XL) 및 O 법의 화학식 (XXXVI) 내지(XLVI)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Z 가 히드록시기인 것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법은 N 법 및 O 법에서 출발물질인 화학식 (VI) 및 화학식 (XXXVII) 중에서 Z 가 히드록시기인 것을 사용하고, N 법 및 O 법에 준하여 반응함으로써 화학식 (XXXV) 내지 (XL) 및 화학식 (XLI) 내지 (XLVI)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Z 가 히드록시기인 것을 제조할 수 있다.
또, 화학식 (VI)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Z 가 히드록시기인 화합물 (XLVI) 를 제조하는 공정은 상술한 P1 공정에서 수행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화학합성 경로에서 표시되어 있는 화합물을 대신하여 그 치환분이 보호된 화합물을 사용하고, 그 후에 당해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화학합성 경로에서 표시되어 있는 화합물로 유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치환분 γ가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경우에 당해 히드록시기가 보호된 화합물을 사용하며 상술한 화학합성을 진행시키고, 그 후에 당해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화학합성 경로에서 표시되어 있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반응종료 후 각 공정의 목적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반응혼합물에서 채취된다. 예컨대, 반응혼합물을 적절하게 중화시키고, 불용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여과에 의해 제거한 후, 물과 아세트산에틸과 같은 혼화되지 않은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목적화합물을 함유한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 등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 무수황산나트륨, 무수탄산수소나트륨 등으로 건조시킨 후 용제를 증류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얻은 목적화합물은 필요하면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재결정, 재침전 등의 통상, 유기화합물의 분리정제에 관용되고 있는 방법을적절하게 조합하고, 크로마토그래피를 응용하여 적절한 분리제로 용출함으로써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생리활성을 갖는 화합물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5970 호에 기재된 화합물) 을 온혈동몰에 투여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그 동물에서 생체 시료를 얻는다. 이어서, 당해 생체 시료 중의 화합물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분석법으로 단리 정제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는다.
여기에서 온혈동물이라 함은 체온조절 능력을 갖고 있어 외기 온도에 관계없이 항상 거의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는 동물을 말하며, 예컨대 고양이, 원숭이, 토기, 마멋, 래트 또는 마우스 등의 포유류; 닭 등의 조류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생체 시료라 함은 예컨대 혈장, 소변, 대변 (담즙), 간장 또는 신장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IV) 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는 우수한 PPARγ활성화 작용,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 혈당저하작용, 항염증작용, 면역조절작용,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 과산화지질생성 억제작용, PPAR 활성화작용, 항골다공증 작용, 류코트리엔 길항작용, 지방세포화 촉진작용, 암세포증식 억제작용, 칼슘길항작용을 가지며,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증, 내당능부전, 고혈압증, 지방간, 당뇨병합병증 (예컨대, 망막증, 신장증, 신경증,백내장, 관동맥질환 등), 동맥경화증, 임신당뇨병, 다배낭난소증후군, 심혈관성질환 (예컨대, 허혈성 심질환 등), 비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또는 허혈성 심질환으로 야기되는 세포손상 (예컨대, 뇌졸중으로 야기되는 뇌손상 등), 통풍, 염증성질환 (예컨대, 골관절염, 동통, 발열, 류머티즘성 관절염, 염증성 장염, 좌창, 햇빛에 의한 화상, 건선 (乾癬), 습진, 알러지성 질환, 천식, GI 궤양, 악액질, 자기면역질환, 췌장염), 암, 골다공증, 백내장 등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IV) 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RXR 활성화제 (RXR 애고니스트),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제, 비구어나이드제, 스타틴계 화합물, 스쿠알렌합성 저해제, 피브라이트계 화합물, LDL 이화 촉진제 및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저해제 중 1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의약조성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합병증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I)-(IV) 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를 상기 치료제 도는 예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 또는 적절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고, 예컨대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또는 시럽제 등에 의한 경구적 또는 주사제나 좌제 등에 의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부형제 (예컨대, 젖당, 백당, 포도당, 만니톨, 솔비톨과 같은당유도체;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α전분, 덱스트린과 같은 전분유도체; 결정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유도체; 아라비어검; 덱스트런; 풀란과 같은 유기계 부형제 및 연질무수규산, 합성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과 같은 규산염유도체; 인산수소칼슘과 같은 인산염; 탄산칼슘과 같은 탄산염; 황산칼슘과 같은 황산염 등의 무기계 부형제를 들 수 있음), 활택제 (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같은 스테아르산금속염; 탈크; 콜로이드실리카; 비검, 경랍과 같은 왁스류; 붕산; 아디프산; 황산나트륨과 같은 황산염; 글리콜; 푸말산; 벤조산나트륨; DL 로이신; 지방산나트륨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마그네슘과 같은 라우릴황산염; 무수규산, 규산수화물과 같은 규산류 및 상기 전분유도체를 들 수 있음), 결합제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매크로골 및 상기 부형제와 동일한 화합물을 들 수 있음), 붕괴제 (예컨대,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내부 가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같은 셀룰로오스유도체;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화학 수식된 전분 ·셀룰로오스류를 들 수 있음), 안정제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과 같은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콜, 페닐에틸알콜과 같은 알콜류;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졸과 같은 페놀류; 티메로살; 디히드로아세트산 및 솔빈산을 들 수 있음), 교미교취제 (예컨대, 통상 사용되는 감미료, 산미료, 향료 등을 들 수 있음), 희석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주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그 사용량은 증상, 연령, 투여방법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1회당 하한으로 0.001㎎/㎏ 체중 (바람직하게는 0.01㎎/㎏ 체중), 상한으로 500㎎/㎏ 체중 (바람직하게는 50㎎/㎏ 체중) 을, 정맥내 투여의 경우에는 1회당 하한으로 0.005㎎/㎏ 체중 (바람직하게는 0.05㎎/㎏ 체중), 상한으로 50㎎/㎏ 체중 (바람직하게는 5㎎/㎏ 체중) 을 하루에 1 내지 수회 증상에 따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 참고예 및 시험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4-[6-(4-아다만탄-1-일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예시화합물 번호 1-1 의 메틸에스테르)
3-[4-[4-(4-(아다만탄-1-일)페녹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프로피온산메틸 0.8g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20㎖ 를 실온하 1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중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에 헥산 : 아세트산에틸 = 4:1 의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면, 융점 118-120℃ 를 갖는 목적화합물 0.43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3-[4-[6-(4-아다만탄-1-일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예시화합물 번호 1-1)
3-[4-[6-(4-아다만탄-1-일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0.25g, 2N 수산화나트륨수용액 2㎖ 및 메탄올 5㎖ 의 혼합물을 실온하에서 2시간 교반하고, 테트라히드로푸란 5㎖ 를 첨가하고 다시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붓고 염산과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에서 중화시킨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면, 융점 148-149℃ 를 갖는 목적화합물을 0.23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3-[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예시화합물 번호 1-86 의 메틸에스테르)
3-[4-[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프로피온산메틸 0.50g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10㎖ 를 사용하며 실시예 1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Rf 값 = 0.15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1) 을 갖는 목적화합물을 0.24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
3-[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예시화합물 번호 1-86)
3-[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0.22g, 2N 수산화나트륨수용액 2㎖ 및 메탄올 5㎖ 를 사용하며 실시예 2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융점 40-46℃ 를 갖는 목적화합물을 0.13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예시화합물 번호 1-177 의 메틸에스테르)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N-[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미드 4.5g, 메탄올 40㎖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40㎖ 를 사용하며 실시예 1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아세트산에틸로 재결정하면, 융점 169-170℃ 를 갖는 목적화합물을 1.84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1-177 의 염산염)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0.2g, 메탄올 5㎖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10㎖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반응액을 농축하며 석출결정을 여과하고, 메탄올/에테르 혼합물로 세정하면 융점 193-195℃ 를 갖는 목적화합물을 0.2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7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예시화합물 번호 1-177)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0.15g, 진한 염산 2㎖ 및 디옥산용액 2㎖ 의 혼합물을 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며 디옥산을 첨가하여 물을 공비 (共沸) 에 의해 제거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면, 융점 216-218℃ 를 갖는 목적화합물을 0.15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8
2-에톡시-3-[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메틸 (예시화합물 번호 1-179 의 메틸에스테르)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0.6g, 요오드화에틸 0.52㎖, 산화은 0.88g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15㎖ 의 혼합물을 4.5 시간 가열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에서 불용물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며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무수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2:3) 를 사용하면 융점 88-92℃ 를 갖는 목적화합물을 0.15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9
2-에톡시-3-[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1-179 의 염산염)
2-에톡시-3-[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메틸 0.17g, 진한 염산 2㎖ 및 디옥산용액 2㎖ 의 혼합물을 1.5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며 디옥산을 첨가하여 물을 공비에 의해 제거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면, 융점 143-146℃ 를 갖는 목적화합물을 0.16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0
4-[6-(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예시화합물 번호 1-170 의 메틸에스테르)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N-[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메톡시메톡시-2,3,5-트리메틸페녹시)페닐]아미드 5.98g, 메탄올 50㎖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50㎖ 를 사용하며, 실시예 1 에 준하여 반응하여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중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2 →1:3) 를 사용하면 융점 172-173℃ 를 갖는 목적화합물 3.15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1
4-[6-(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1-170 의 메틸에스테르의 염산염)
4-[6-(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0.2g, 메탄올 2㎖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5㎖ 를 사용하며, 실시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융점 113-119℃ 를 갖는 목적화합물 0.195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2
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메틸 (예시화합물 번호 1-87 의 메틸에스테르)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N-[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페닐]아미드 5.1g, 메탄올 40㎖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40㎖ 를 사용하며, 실시예 1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융점 155-156℃ 를 갖는 목적화합물 2.6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3
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1-87 의 메틸에스테르의 염산염)
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0.2g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10㎖ 를 사용하며, 실시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융점 135-139℃ 를 갖는 목적화합물 0.19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4
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예시화합물 번호 3-177 의 메틸에스테르)
2-아지드-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페닐]프로피온산메틸 2.42g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 에 용해시키고 트리페닐포스핀 1.6g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5 시간 교반하고 물 5㎖ 를 첨가하고 다시 60℃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 를 사용하면, 융점 108-111℃ 를 갖는 목적화합물을 1.63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5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예시화합물 번호 3-188 의 메틸에스테르
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1.1g, 2-벤조일시클로헥사논 0.7g, 10% 팔라듐탄소 0.2g 및 아니솔 15㎖ 의 혼합물을 21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에서 아니솔을 감압하에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2) 를 사용하면, Rf 값 = 0.51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3) 을 갖는 목적화합물 0.95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6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3-188 의 염산염)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0.45g, 메탄올 2㎖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10㎖ 을 사용하며, 실시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융점 132-136℃ 를 갖는 목적화합물 0.195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7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예시화합물 번호 3-188)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0.45g, 진한 염산 5㎖ 및 디옥산용액 5㎖ 를 사용하며, 실시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융점 140-146℃ 를 갖는 목적화합물 0.44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8
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2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3-177 의 2염산염)
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 0.12g, 진한 염산 2㎖ 및 디옥산용액 2㎖ 를 사용하며, 실시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융점 235-237℃ (분해) 를 갖는 목적화합물 0.11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9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예시화합물 번호 3-285 의 메틸에스테르)
4-[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5-디메틸페녹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1.05g, 메탄올 5㎖ 및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10㎖ 를 사용하며, 실시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 LiChroprep NH2(MERCK),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2) 를 하면 Rf 값 = 0.39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LiChroprep NH2(MERCK));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2) 를 갖는 목적화합물 0.62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0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2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3-285 의 2염산염)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0.25g, 수산화리튬 1수화물 0.04g, 테트라히드로푸란 5㎖ 및 물 2㎖ 의 혼합물을 실온하 3시간 교반하였다. 1N 염산에서 중화시킨 후,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 'LiChroprepDILO(MERCK), (아세트산에틸) 를 사용하여 얻은 황색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 에 용해시키고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1㎖ 를 첨가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면, 융점 148-155℃ 를 갖는 목적화합물 0.11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1
4-[6-[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드)-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예시화합물 번호 3-299 의 메틸에스테르)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0.35g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에 용해시키고 4-트리플루오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 0.1㎖ 를 첨가하여 실온하 20 시간 교반하였따.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 LiChroprepDIOL(MERCK),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3) 를 실시하면 Rf 값 = 0.59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LiChroprepDIOL(MERCK)) : 아세트산에틸) 를 갖는 목적화합물 0.43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2
4-{6-[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드)-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예시화합물 번호 3-299)
4-{6-[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드)-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0.4g, 수산화리튬 1수화물 0.042g, 테트라히드로푸란 5㎖ 및 물 2㎖ 의 혼합물을 실온하 4시간 교반하고, 2 일간 방치하였다. 1N 염산에서 중화시킨 후,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얻은 황색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에 용해시키고 4N 염화수소/디옥산용액 1㎖ 를 첨가하여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에테르를 첨가하여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면, 융점 165-172℃ 를 갖는 목적화합물 0.38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3
N-메탄술포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예시화합물 번호 3-261 의 메틸에스테르)
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0.2g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6㎖ 및 메틸포름아미드 3㎖ 에 용해시키고 피리딘 0.09㎖, 이어서 메탄술폰산무수물 0.14g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농축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면, 융점 168-171℃ 를 갖는 목적화합물 0.12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4
N-메탄술포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3-261 의 염산염)
N-메탄술포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메틸에스테르 0.11g, 진한 염산 1㎖ 및 디옥산 4㎖ 을 사용하며, 실시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를 하면, 융점 214-217℃ (분해) 를 갖는 목적화합물 0.11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5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틸 (예시화합물 번호 5-1 의 에틸에스테르의 염산염)
5-[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벤질]티아졸리딘-2,4-디온 염산염 8.0 g 을 에탄올 150 ㎖ 에 현탁하고, 수산화칼륨 30 g 의 수용액 (물 150 ㎖) 을 가하여, 75 ℃ 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얼음물에 넣고 염산으로 산성화한 후, 30 분간 교반하였다. 석출물을 여과하여 수세한 후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얻은 분말을 무수에탄올 100 ㎖ 및 4 규정 HCl/디옥산 200 ㎖ 에 용해하여 실온하에서 2 일간 방치하였다. 반응혼합물로부터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고, 물을 가하여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LChroprepNH2(Merck)(용리액 ; 아세트산에틸 : 헥산 = 4 : 1)] 처리하면, Rf 값 =O.45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LChroprepNH2(Merck)(전개용제 ; 아세트산에틸/n-헥산 = 5/1)] 을 갖는 목적물 3.93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6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예시화합물 번호 5-4 의 에틸에스테르)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틸 3.9 g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80 ㎖ 에 용해하고, 요오드화메틸 0.87 ㎖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94 ㎖ 을 가하여 하룻밤 방치하였다. 다시 요오드화메틸 0.6 ㎖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3 ㎖ 을 가하고, 7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로부터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고,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 아세트산에틸 : 헥산 = 1 : 1)] 처리하면, Rf 값 = 0.45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용제 ; 아세트산에틸/n-헥산 = 1/1)] 을 갖는 목적물 3.58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온하 방치해 두면 융점 74∼76 ℃ 를 갖는 고체가 되었다.
실시예 27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예시화합물 번호 5-4 의 염산염)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2.0 g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5 ㎖ 에 용해하고, 수산화칼륨 1 수화물 0.42 g 이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5 ㎖ 을 가한 후, 2 시간 실온하 교반하였다. 수산화칼륨 1 수화물 0.42 g 및 물 5 ㎖ 을 가하여 실온하 20 분간 교반한 후, 디메틸포름아미드 5 ㎖ 을 가하여 1 시간 실온하 교반하였다. 하룻밤 방치한 후, 다시 수산화칼륨 1 수화물 O.42 g, 물 5 ㎖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5 ㎖ 을 가하여 75 ℃ 에서 8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 규정 염산 800 ㎖ 에 넣고 30 분간 교반하여 석출물을 여과하고 물, 아세톤,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여 감압하에서 건조시키면, 융점 201∼206 ℃ 을 갖는 목적물 1.27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8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아미드 (예시화합물 번호 5-4 의 아미드체)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1.1 g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 ㎖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15 ㎖ 에 가하고, 트리에틸아민 0.82 ㎖, 이어서 클로로탄산에틸 0.28 ㎖ 를 가한 후, 30 분간 실온하 교반하였다. 암모니아수 (28%) 5 ㎖ 를 가하여 실온하 15 분간 교반한 후,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혼합물로부터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고, 물을 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고, 에탄올 및 아세트산에틸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면 융점 204∼206 ℃ 을 갖는 목적물 0.45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9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아미드 (예시화합물 번호 5-21 의 아미드체) 및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포닐프로피온산 아미드 (예시화합물 번호 5-22 의 아미드체)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아미드 0.35 g 을 술포란 8 ㎖ 및 염화메틸렌 15 ㎖ 에 가하고, 탄산수소나트륨 84 ㎎ 이어서 m-클로르과벤조산 0.22 g 을 가한 후, 1.5 시간 실온하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2% 황산나트륨 수용액 5 ㎖ 을 가하고 실온하 1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LChroprepNH2(Merck)(용리액 ; 아세트산에틸 : 에탄올 = 15 : 1)] 처리하면, Rf 값 = 0.45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LChroprepNH2(Merck)(전개용제 ; 아세트산에틸/n-헥산 = 5/1)] 을 갖는 목적물 3.93 g 을 얻을 수 있었다.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고 에탄올 및 아세트산에틸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면 융점 233∼236 ℃ 를 갖는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포닐프로피온산 아미드 0.12 g 및 융점 188∼190 ℃ 를 갖는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아미드 0.14 g 가 얻어졌다.
실시예 30
3-[4-[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아미드 (예시화합물 번호 5-48 의 아미드체)
5-[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벤질]티아졸리딘-2,4-디온의 염산염을 5 ㎎/㎏ 경구투여후 0∼24 시간까지의 래트의 담즙을 모아 동결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ODS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충전제 ; ODS-A 120-S75 YMC 사 제조, 용리액 : 물 (1 mol/ℓ의 염산으로 pH4 로 조정)/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100/0-60/40의 단계적 용출) 로 조정제(粗精製)하였다. 다시, 대사물함유 획분을 HPLC-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목적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m/z548[M+H]-(ESI-MS : Q-TOF 하이브리드 타입 MS/MS 스펙트로미터 (마이크로마스 UK 사 제조))).
HPLC 조건(그래디언트법)
HPLC 장치 : 히타치 HPLC 그래디언트 시스템 (L-6200 Intelligent Pump, D-2500 Chromato-Integrator, L-400O UV-Detector)
칼럼 : YMC-Pack ODS-A A-312 (길이 150 ㎜, 내경 6.O ㎜, 입자직경 5 ㎛, YMC 주식회사 제품)
유속 : 1.O ㎖/min
온도 : 실온
유지시간 : 13.9 분
이동상 : 이동상 A : 물 (O.O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 이동상 B : 아세토니트릴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
그래디언트 조건 : 0 min - 이동상 A : 88%, 이동상 B : 12%
30 min - 이동상 A : 40%, 이동상 B : 60%
35 min - 이동상 A : 10%, 이동상 B : 90%
40 min - 이동상 A : 10%, 이동상 B : 90%
검출 : UV 검출 검출파장 220 ㎚
RI 검출14C 검출
검출기 : Flow-one/beta-Radiomatic525TR (패커드 주식회사 제조)
액체 신틸레이터 : ULTIMA-FLO M (패커드 주식회사 제조)
유속 : 3.0 ㎖/min.
실시예 31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예시화합물 번호 5-21 의 아미드체)
실시예 30 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화합물 (m/z 403[M+H]+(ESI-MS ; Q-TOF 하이브리드 타입 MS/MS 스펙트로미터 (마이크로마스 UK 사 제조))) 가 얻어졌다.
유지시간 : 18.2분.
실시예 32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아미드 (예시화합물 번호 5-26 의 아미드체)
실시예 3O 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화합물 (m/z 372[M+H]+(ESI-MS ; Q-TOF 하이브리드 타입 MS/MS 스펙트로미터 (마이크로마스 UK 사제))) 가 얻어졌다.
유지시간 : 18.2분.
실시예 33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아미드 (예시화합물 번호 5-21 의 아미드체)
5-[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벤질]티아졸리딘-2,4-디온의 염산염을 5 ㎎/㎏ 경구투여후 0∼24 시간까지의 래트에서 축뇨(蓄尿)하여 모은 요(尿)를 동결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ODS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충전제 : ODS-A 120-S75 YMC 사 제조, 용리액 : 물(1 mol/ℓ의 염산으로 pH4 로 조정)/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100/0-60/40 의 단계적 용출) 로 조정제하였다. 다시, 대사물함유 획분을 HPLC 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목적화합물이 얻어졌다 (m/z 402[M+H]-(ESI-MS : Q-TOF 하이브리드 타입 MS/MS 스펙트로미터 (마이크로마스 UK 사 제조))).
HPLC 조건(그래디언트법)
HPLC 장치 : 히타치 HPLC 그래디언트 시스템 (L-6200 Intelligent Pump, D-2500 Chromato-Integrator, L-400O UV-Detector)
칼럼 : YMC-Pack ODS-A A-312 (길이 150 ㎜, 내경 6.O ㎜, 입자직경 5 ㎛, YMC 주식회사 제품)
유속 : 1.O ㎖/min
온도 : 실온
유지시간 : 17.2 분
이동상 : 이동상 A : 물 (O.O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 이동상 B : 아세토니트릴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
그래디언트 조건 : 0 min - 이동상 A : 88%, 이동상 B : 12%
30 min - 이동상 A : 40%, 이동상 B : 60%
35 min - 이동상 A : 10%, 이동상 B : 90%
40 min - 이동상 A : 10%, 이동상 B : 90%
검출 : UV 검출 검출파장 220 ㎚
RI 검출14C 검출
검출기 : Flow-one/beta-Radiomatic525TR (패커드 주식회사 제조)
액체 신틸레이터 : ULTIMA-FLO M (패커드 주식회사 제조)
유속 : 3.0 ㎖/min.
실시예 34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예시화합물 번호 5-21)
실시예 33 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화합물 (m/z 403[M+H]+(ESI-MS ; Q-TOF 하이브리드 타입 MS/MS 스펙트로미터 (마이크로마스 UK 사 제조))) 가 얻어졌다.
유지시간 : 18.3분
실시예 35
3-[4-[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5-45 의 염산염)
1-O-[1-메틸-2-[4-(2,4-티아졸리딘디온-5-일메틸)페녹시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을 에탄올에 현탁하고 수산화칼륨의 수용액을 가하여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얼음물에 넣고 염산에 의해 산성으로 한 후, 교반한다. 석출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 건조하면, 목적물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6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5-26 의 에틸에스테르의 염산염)
N-{2-[4-(2-메틸티오-2-에톡시카르보닐에틸)페녹시아세틸아미노]-5-히드록시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11 g, 에탄올 50 ㎖ 및 4 규정 염산 1,4-디옥산 용액 200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용제를 증류제거하고, 석출물을 여과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면 융점 149℃∼152℃ 를 갖는 회백색 분말상의 목적화합물 6.12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7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5-26 의 염산염)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염산염 6 g, 수산화칼륨 6 g, N,N-디메틸포름아미드 50 ㎖ 및 증류수 50 ㎖ 을 사용해서 실시예 27 에 준하여 반응 및 후처리하여 융점 195℃∼l98℃ 를 갖는 담홍색 분말상의 목적화합물 2.7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8
2-메르캅토-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예시화합물 번호 5-1 의 아미드체)
2-아세틸티오-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1.53 g, 무수트리에틸아민 0.4 g, 클로로탄산에틸 0.65 g,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 10 ㎖ 및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 의 혼합물을 실온으로 1 시간 교반한 후에 28% 암모니아 수용액 20 ㎖ 을 가하고 다시 2 시간 교반하였다. 하룻밤 방치후, 반응혼합물을 물로 희석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였다. 용제를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iChroprepNH2"(MERCK), 아세트산에틸 : 에탄올 = 12:1) 처리하면 융점 204℃ 내지 208℃ 를 갖는 담황색 분말상의 목적화합물 0.21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9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메틸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5-67 의 메틸에스테르의 염산염)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메틸 7.14 g, 요오드화메틸 3.78 g, 트리에틸아민 2.69 g 및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 200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농축한 후, 물을 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 : 2) 처리한 후, 4 규정 염산 아세트산에틸용액을 사용하여 염산염으로 하면, 융점 163∼166 ℃ 를 갖는 목적화합물 5.75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0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염산염 (예시화합물 번호 5-67 의 염산염)
5.75 g 의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메틸 염산염, 100 ㎖ 의 진한 염산 및 100 ㎖ 의 1,4-디옥산의 혼합물을 90 분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건고한 후, 얻은 잔류물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가하여 초음파조사하였다. 불용성 성적체를 여과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고, 다시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에테르로부터 재침전시키면 융점 193∼196℃ 를 갖는 목적화합물 5.02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1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메틸 (예시화합물 번호 5-67 의 메틸에스테르)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메틸티오니트로벤젠 55.9 g, 10% 팔라듐탄소 7.25 g 및 메탄올/1,4-디옥산(1/1) 혼합용매 600 ㎖ 을 사용해서 참고예 5 에 준하여 반응, 처리하여 Rf 값 = 0.16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조정제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메틸티오아닐린 54.8 g 을 얻을 수 있었다.
얻은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메틸티오아닐린 54.8 g, 4-(2,4-디옥소티아졸리딘-5-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 64.0 g, 시아노인산디에틸 36.8 g, 트리에틸아민 22.8 g 및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 300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67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농축하고 물을 가하여, 3 규정 염산 및 중조로 중화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후,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얻은 잔류물에 4 규정 염산디옥산 용액 150 ㎖ 을 가하여 실온에서 15 시간, 80℃ 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농축하여 중조로 중화한 후, 아세트산에틸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아세트산에틸로부터 재침전시키고, 얻은 침전물을 4 규정 염산아세트산에틸에 현탁시켜 불용성 성적체를 여과한 다음,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한 후, 통풍에 건조시켰다. 이어서, 이 중간 성적체 35.2 g 을 28% 나트륨메틸레이트/메탄올용액 300 ㎖ 및 물 200 ㎖ 에 용해하여 80℃ 에서 9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한 후, 6 규정 염산을 이용하여 산성으로 하고, 석출한 성적체를 여과하여 물 및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한 후, 감압하 건조하였다.그리고, 이 중간 성적체 22.4 g 을 4 규정 디옥산 염산 150 ㎖ 에 용해하고, 메탄올 150 ㎖ 을 가하여 실온에서 6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고 5% 중조수로 중화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 : 3) 처리하면, 융점 97∼100℃ 을 갖는 목적화합물 7.49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
4-(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젖산메틸
4-히드록시페닐젖산메틸 18.5 g, 브로모아세트산-t-부틸 14 ㎖, 무수탄산칼륨 26.0 g 및 무수디메틸포름아미드 300 ㎖ 의 혼합물을 60℃ 에서 10 시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1 일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물에 넣어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2 : 1 →1 : 1) 처리하면, Rf 값 = 0.62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17.5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
3-[4-(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4-(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젖산메틸 3.0 g, 4-플루오로벤질브로미드 2.4 ㎖, 산화은 9.0 g 및 톨루엔 60 ㎖ 의 혼합물을, 질소분위기하 80℃ 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분리한 후, 톨루엔을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5 : 1) 처리하면, Rf 값 = 0.39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2.9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
3-[4-(카르복시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3-[4-(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2.8 g 을 4NHCl/디옥산 50 ㎖ 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Rf 값 = 0.10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5:1) 을 갖는 목적화합물 2.42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4
4-(4-아다만탄-1-일페녹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
2.1 g 의 수소화나트륨을 헥산으로 세정한 후, 디메틸포름아미드 200 ㎖ 을 가하고, 빙냉하에 4-(1-아다만틸)페놀 10.0 g 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고, 빙냉하 4-클로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 15.1 g 을 가하여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한 후, 2 일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한 후, 잔류물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10 : 1) 처리하면, Rf 값 = 0.63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23.0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5
4-(4-아다만탄-1-일페녹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아닐린
4-(4-아다만탄-1-일페녹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 14 g, 10% 팔라듐탄소 1.50 g 및 메탄올 300 ㎖ 의 혼합물을 수소기류 중 실온, 이어서 50 ℃ 로 2 시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한 후 다시 50℃ 에서 각각 2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분리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처리하면, 융점 85∼90℃ 을 갖는 목적화합물 6.70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6
3-{4-[4-(4-(아다만탄-1-일)페녹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젠)프로피온산메틸
3-[4-(카르복시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0.6 g, 4-(4-아다만탄-1-일페녹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아닐린 0.75 g 및 트리에틸아민 0.28 ㎖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15 ㎖ 용액에 시아노인산디에틸 0.30 ㎖ 을 가하여 실온하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넣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면,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처리하여 융점 52∼56 ℃ 을 갖는 목적화합물 1.08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7
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메르캅탄 8.0 g, 4-클로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 9.62 g, 탄산칼륨 23.2 g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150 ㎖ 의 혼합물을 80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20 : 1 → 10 : 1) 처리하면, 융점 140∼141 ℃ 을 갖는 목적화합물 12.1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8
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아닐린
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 9.4 g, 10% 팔라듐탄소 9.4 g 및 메탄올 100 ㎖ 을 사용해서 참고예 5 에 준하여 반응, 처리하면 융점 95∼96 ℃ 을 갖는 목적물 8.82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9
3-{4-[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프로피온산메틸
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아닐린 2.28 g, 3-[4-(카르복시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메틸 1.75 g, 트리에틸아민 0.83 ㎖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50 ㎖ 용액 및 시아노인산 디에틸 0.90 ㎖ 을 사용해서 참고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하면 Rf 값 = 0.48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0.60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0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놀
4-히드록시페닐젖산 30 g 을 아세톤 100 ㎖ 에 용해한 후, -50℃ 에서 진한 황산 10 ㎖ 을 적하하여 4 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얼음물에 넣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면, Rf 값 = 0.34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4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21.6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1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벤질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놀 21.5 g, 브로모아세트산벤질 44 g, 탄산 세슘 63 g 및 아세톤 500 ㎖ 의 혼합물을 실온하 1.5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5 : 1 ∼ 3 : 1) 처리하면, Rf 값 = 0.51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4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32.9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2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벤질 15 g, 5% 팔라듐 탄소 2 g 및 디옥산 150 ㎖ 의 혼합물을 수소분위기하 실온에 1.5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분리하고 여과액을 감압하 농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 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건조한 후, 융점 138 ∼ 139 ℃ 을 갖는 목적화합물 9.42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3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 N-[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미드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메톡시아닐린 2.5 g,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 3.0 g, 트리에틸아민 1.66 ㎖,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 및 시아노인산디에틸 1.82 ㎖ 을 사용해서 참고예 6 에 준해서 반응, 처리하면 Rf 값 = 0.17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4.56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4
4-메톡시메톡시-2,3,5-트리메틸페놀
피발린산 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닐에스테르 35.4 g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00 ㎖ 에 용해하고, 실온하 55% 수소화나트륨 8.51 g 을 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에 메톡시메틸클로라이드 15.7 g 를 적하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메탄올 100 ㎖ 에 용해하고, 수산화칼륨 16.8 g 의 메탄올 1OO ㎖ 용액을 적하한 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에 물을 가하여 3N 염산으로 중화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5 : 1) 처리하면, Rf 값 = 0.16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4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27.5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5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메톡시메톡시-2,3,6-트리메틸페녹시)니트로벤젠
4-메톡시메톡시-2,3,5-트리메틸페놀 27.5 g 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0 ㎖ 에 용해하고 55% 수소화나트륨 6.11 g 을 가하여 1 시간 교반하였다. 용액에 4-클로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 40.1 g 을 소량씩 가하여 120 ℃ 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5 : 1) 처리하면, Rf 값 = 0.55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4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57.0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6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메톡시메톡시-2,3,6-트리메틸페녹시)아닐린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메톡시메톡시-2,3,6-트리메틸페녹시)니트로벤젠 57.0 g, 10% 팔라듐탄소 3 g 및 메탄올 500 ㎖ 을 사용해서 참고예 5 에 준하여 반응, 처리하면 Rf 값 = 0.31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목적물 52.5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7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 N-[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메톡시메톡시-2,3,5-트리메틸페녹시)페닐]아미드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메톡시메톡시-2,3,6-트리메틸페녹시)아닐린 4.0 g,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 3.23 g, 트리에틸아민 1.73 ㎖, 테트라히드로푸란 150 ㎖ 및 시아노인산디에틸 1.9 ㎖ 를 사용해서 참고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하면 Rf 값 = 0.25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6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8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 N-[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페닐]아미드
4-(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아닐린 4.5 g, 4-(5,5-디메틸-2-옥소디옥소란-3-일메틸)페녹시아세트산 3.0 g,트리에틸아민 1.66 ㎖,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 및 시아노인산디에틸 1.82 ㎖ 을 사용해서 참고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하면 Rf 값 = 0.38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2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5.15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19
2-아지드-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페닐]프로피온산메틸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메틸 2.5 g, 디페닐인산아지드 2.3 ㎖, 아조디카르복실산디에틸 4.8 ㎖, 트리페닐포스핀 2.8 g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1OO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여 하룻밤 방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2 : 1) 처리하면, 융점 105∼107 ℃ 을 갖는 목적화합물 2.1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0
N-(2-벤조일페닐)티로신 메틸에스테르
티로신 메틸에스테르염산염 4.8 g, 2-벤조일시클로헥사논 5.0 g, 10% 팔라듐탄소 1.0 g, 트리에틸아민 2.9 ㎖ 및 아니솔 70 ㎖ 의 혼합물을 20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분리하고 여과액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처리하면, Rf 값 = 0.39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1.83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1
4-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N-(2-벤조일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N-(2-벤조일페닐)티로신메틸에스테르 0.97 g, 브로모아세트산-t-부틸 0.55 ㎖, 탄산 세슘 1.14 g 및 아세톤 15 ㎖ 의 혼합물을 실온하 1.5 시간 교반하여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하 증류제거하면 Rf 값 = 0.65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을 갖는 목적화합물 1.42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2
4-카르복시메톡시-N-(2-벤조일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4-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N-(2-벤조일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1.4 g, 4N 염화수소/디옥산 용액 10 ㎖ 및 디옥산 10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교반하여 하룻밤 방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고 톨루엔을 가하여 다시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LiChroprepDIOL'(MERCK)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2 : 1 →1 : 1) 처리하면, Rf 값 = 0.53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2) 을 갖는 목적화합물 0.87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3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니트로벤젠
0.35 g 의 수소화나트륨 (55 중량%) 을 포함하는 30 ㎖ 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현탁액중에 1.10 g 의 4-아미노-3,5-디메틸페놀을 가하여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2.29 g 의 4-클로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을 조금씩 가하여 120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종료후,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용매를 증류제거한 후,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용제 ; 아세트산에틸/n-헥산 = 1/3) 로 정제하면, Rf 값 = 0.24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아세트산에틸 : n-헥산 = 1 : 3) 을 갖는 목적화합물 2.27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4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5-디메틸페녹시)니트로벤젠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니트로벤젠 2.27 g, 디-t-부틸디카르보네이트 1.28 g, 트리에틸아민 0.59 g 및 20 ㎖ 의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물을 6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류제거하면,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 헥산 = 1 : 10) 으로 정제하여 융점 : 154∼156 ℃ 를 갖는 목적화합물 1.74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5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5-디메틸페녹시)아닐린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5-디메틸페녹시)니트로벤젠 1.71 g, 메탄올 100 ㎖ 및 10% 팔라듐탄소 O.2 g 를 사용해서 참고예 5 에 준하여 반응, 처리하면 Rf 값 = 0.14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아세트산에틸 : 헥산 = 1 : 3) 을 갖는 목적화합물 1.56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6
4-[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5-디메틸페녹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4-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5-디메틸페녹시)아닐린 0.69 g, 4-카르복시메톡시-N-(2-벤조일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0.85 g, 트리에틸아민 0.3 ㎖, 테트라히드로푸란 20 ㎖ 및 시아노인산디에틸 0.33 ㎖ 을 사용해서 참고예 6 에 준하여 반응, 처리하면 Rf 값 = 0.93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아세트산에틸) 을 갖는 목적화합물 1.06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7
1-O-[1-메틸-2-[4-(2,4-티아졸리딘디온-5-일메틸)페녹시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
5-[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벤질]티아졸리딘-2,4-디온염산염, 1,2,3,4-테트라-O-아세틸-β-D-피라누론산메틸, 톨루엔술폰산을 니트로벤젠에 가하여 감압하에 가열하면서 교반한다. 반응종료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해서 정제하면 목적물의 보호체를 얻을 수 있다. 당해 보호체를 메탄올에 가하여 빙냉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적하하고, 적하후 교반한다. 반응용액에 염화나트륨을 가하여 포화시키고, 염산으로 용액을 산성으로 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 증류제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해서 정제하면 목적물을 얻을 수 있다.
참고예 28
5-[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벤질]티아졸리딘-2,4-디온 염산염
N-(2-아미노-5-히드록시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0.43 g, 5-(4-카르복시메톡시벤질)티아졸리딘-2,4-디온 0.51 g, 시아노포스폰산디에틸(DEPC) 0.29 g, 트리에틸아민 0.18 g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20 ㎖ 의 혼합물을 실온하 8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로부터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고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 아세트산에틸 : 헥산 = 3 : 2) 처리하여 N-{5-히드록시-2-[4-(2,4-디옥소티아졸리딘-5-일메틸)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0.75 g 을 얻을 수 있었다.
얻은 N-{5-히드록시-2-[4-(2,4-디옥소티아졸리딘-5-일메틸)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0.75 g 을 4 규정 HCl 디옥산 용액 10 ㎖ 에 현탁하여 19 시간 실온하에 방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아세트산에틸을 가하여 초음파처리를 한 후, 불용물을 여과하여 취해 건조하면, 융점 217∼220 ℃ 를 갖는 목적물 0.52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29
N-(5-벤질옥시-2-니트로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수소화나트륨 (55%, 유성) 5.24 g, 벤질알콜 13 g 및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0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N-(5-클로로-2-니트로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28.7 g 를 실온에서 가하여 18 시간 교반한 후, 용제를 증류제거하고 물로 희석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용제를 증류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 : n-헥산 = 1 : 10) 처리하면, 융점 108∼110 ℃ 를 갖는 황색 결정상의 목적화합물 29.2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0
N-(2-아미노-5-히드록시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N-(5-벤질옥시-2-니트로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15 g, 10% 팔라듐탄소 촉매 3 g, 톨루엔 150 ㎖ 및 메탄올 150 ㎖ 의 혼합물을 수소분위기하 실온에서 12.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로부터 10% 팔라듐탄소 촉매를 여과분리하여여과분리액으로부터 용제를 증류제거하면, Rf 값 = 0.15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 n-헥산 = 1 : 4) 을 갖는 갈색 오일상의 목적화합물 12.3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1
3-(4-히드록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틸
5-(4-아세톡시벤질)티아졸리딘-2,4-디온 100 g, 수산화칼륨 150 g, 증류수 500 ㎖ 및 에탄올 500 ㎖ 의 혼합물을 75 ℃ 에서 2.5 시간 교반하였다. 수산화칼륨 250 g 을 빙냉하에서 추가하여 다시 75 ℃ 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하룻밤 방치후, 반응혼합물을 약 300 ㎖ 로 농축하고 얼음물로 희석하여 농염산 수용액으로 pH3 으로 조정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였다. 추출액으로부터 용제를 증류제거하여 얻을 수 있는 오일상의 잔류물을 무수에탄올 500 ㎖ 에 용해하여 4 규정 염산 1,4-디옥산 용액 500 ㎖ 을 실온에서 가하여 2 일간 방치하였다. 용제를 증류제거후, 잔류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아세트산에틸 : n-헥산 = 1 : 3) 처리하면, Rf 값 = 0.87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 n-헥산 = 1 : 1) 을 갖는 담황색 오일상의 목적화합물 50.1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2
3-(4-히드록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3-(4-히드록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틸 30 g, 요오드화메틸 28.4 g, 트리에틸아민 20.2 g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150 ㎖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7 시간 교반하였다. 용제를 증류제거하고 물로 희석하여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였다. 용제를 증류제거하고 Rf 값 = 0.37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 n-헥산 = 1 : 4) 을 갖는 담황색 오일상의 목적화합물 30.3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3
3-(4-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3-(4-히드록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14 g, 탄산세슘 28.5 g, 브로모아세트산t-부틸 20 g 및 아세토니트릴 200 ㎖ 을 사용해서 참고예 21 에 준하여 반응 및 후처리하면, Rf 값 = 0.46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 n-헥산 = 1 : 7) 을 갖는 담황색 오일상의 목적화합물 24.3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4
3-(4-카르복시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3-(4-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24 g 및 4 규정 염산 1,4-디옥산 용액 150 ㎖ 을 사용해서 참고예 3 에 준하여 반응 및 후처리하면, 융점 77 ℃ 내지 78 ℃ 를 갖는 유백색 분말상의 목적화합물 11.9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5
N-[2-[4-(2-메틸티오-2-에톡시카르보닐에틸)페녹시아세틸아미노]-5-히드록시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N-(2-아미노-5-히드록시페닐)-N-메틸카르바민산t-부틸 12.2 g, 3-(4-카르복시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에틸 12.2 g, 시아노인산디에틸 9.79 g, 트리에틸아민 6.1 g 및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 250 ㎖ 을 사용해서 참고예 6 에 준하여 반응 및 후처리하면, Rf 값 = 0.14 (실리카 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 : n-헥산 = 1 : 2) 을 갖는 황색 오일상의 목적화합물 11.1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6
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4-메틸티오니트로벤젠
57.3 g 의 4-클로로-2-(N-t-부톡시카르보닐-N-메틸아미노)니트로벤젠, 21.0 g 의 나트륨 티오메톡시드 및 400 ㎖ 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종료후,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용매를 증류제거한 후, 얻은 잔류물에 n-헥산을 가하여 초음파조사하였다. 불용성의 성적체를 여과하여 취해 n-헥산으로 세정하면, 융점 114∼117 ℃ 를 갖는 목적화합물 55.9 g 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37
2-아세틸티오-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2-메르캅토-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염산염 1.5 g, 피리딘 0.87 g, 테트라히드로푸란 30 ㎖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 ㎖ 의 혼합물에 무수아세트산 0.56 g 을 실온에서 가하여 5 시간 교반하고 다시 36 시간 방치하였다. 용제를 증류제거하고 석출물을 여과하여 취해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면 융점 209 ℃ 내지 214 ℃ 를 갖는 담황색 분말상의 목적화합물 1.55 g 을 얻을 수 있었다.
[시험예] 혈당강하작용
당뇨병을 발증한 KK 마우스 (4∼5 개월령) 의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그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각 군의 마우스의 혈당치 평균이 같아지도록 마우스를 군으로 분류한 (1 군 4 마리) 후, 시험화합물을 0.01% 함유하도록 조정한 마우스용 분말사료 (F-1, 후나바시 농장) 를 마우스에게 3 일간 주었다. 시험화합물을 먹인 마우스군을 약물투여군으로 하였다. 또, 시험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분말사료를 먹인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3 일 후에 마우스의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얻은 혈장중 글루코스농도를, 글루코스 분석기 (글루코로더, A&T 사) 로 측정하였다. 하기의 식으로부터 평균 혈당저하율을 구하였다.
혈당저하율(%) =
(대조군의 평균혈당치-약품투여군의 평균혈당치) ×100/대조군의 혈당치
시험화합물 혈당저하율 (%)
실시예 2 의 화합물 58.5
4 40.8
9 48.4
16 32.1
20 40.0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화합물은 우수한 혈당저하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제제예]
(1) 캡슐제
실시예 2 의 화합물1O ㎎
락토오스110 ㎎
옥수수 전분58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180 ㎎
상기에서 나타내는 각 성분의 분말을 잘 혼합하여, 60 메시의 체 (메시의 기준은 Tyler 기준에 의함) 에 통과시킨다. 얻을 수 있는 분말 180 ㎎ 을 계량하여 나누어 젤라틴 캡슐 (No.3) 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조제한다.
(2) 정제
실시예 2 의 화합물10 ㎎
락토오스85 ㎎
옥수수 전분34 ㎎
미결정 셀룰로오스2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
150 ㎎
상기에서 나타내는 각 성분의 분말을 잘 혼합하여, 각 150 ㎎ 중량의 정제로 압축성형한다. 필요하다면 이들 정제는 당 또는 필름으로 피복해도 된다.
(3) 과립제
실시예 2 의 화합물1O ㎎
락토오스839 ㎎
옥수수 전분15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
1000 ㎎
상기에서 나타내는 각 성분의 분말을 잘 혼합하고 순수로 적셔, 바스켓식 과립화기로 과립화하고 건조하여 과립제를 얻는다.
본 발명은 우수한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 혈당저하작용, 항염증작용, 면역조절작용,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 PPAR 활성화작용, 항골다공증 작용, 류코트리엔 길항작용, 지방세포화 촉진작용, 암세포 증식억제작용, 칼슘길항작용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증, 내당능부전, 고혈압증, 지방간, 당뇨병합병증 (예컨대, 망막증, 신증, 신경증, 백내장, 관동맥질환 등임), 동맥경화증, 임신당뇨병, 다낭포난소증후군, 심혈관성질환 (예컨대, 허혈성심질환 등임),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또는 허혈성심질환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손상 (예컨대, 뇌졸중에 의해 야기되는 뇌손상 등임), 통풍, 염증성질환 (예컨대, 골관절염, 동통, 발열, 류마티성 관절염, 염증성양염, 아크네, 햇빛에 의한 화상, 건선, 습진, 알레르기성질환, 천식, GI궤양, 악액질, 자기면역질환, 췌염 등임), 암, 골다공증, 백내장 등의 질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과, 술포닐우레아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알도스 환원 효소저해제, 비구아나이드제, 스타틴계 화합물, 스쿠알렌합성저헤제, 피브라이트계 화합물, LDL 이화촉진제, 안지오텐신Ⅱ길항제, 안지오텐신 변환효소저해제, 항종양제 및 RXR 활성화제 (RXR 아고니스트) 의 적어도 1 종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의약조성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임)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Ⅰ 내지 (Ⅳ) 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는, 우수한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 혈당저하작용, 항염증작용, 면역조절작용,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 PPAR 활성화작용, 항골다공증작용, 류코트리엔 길항작용, 지방세포화 촉진작용, 암세포 증식억제작용, 칼슘길항작용을 가지며,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증, 내당능부전, 고혈압증, 지방간, 당뇨병합병증 (예컨대, 망막증, 신증, 신경증, 백내장, 관동맥질환 등이다.), 동맥경화증, 임신당뇨병, 다낭포난소증후군, 심혈관성 질환 (예컨대, 허혈성 심질환 등이다.), 비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또는 허혈성 심질환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손상 (예컨대, 뇌졸중에 의해 야기되는 뇌손상 등이다.), 통풍, 염증성 질환 (예컨대, 골관절염, 동통, 발열, 류머티즘성 관절염, 염증성 장염, 아크네, 햇빛에 의한 화상, 건선, 습진, 알레르기성 질환, 천식, GI 궤양, 악액질, 자기면역질환, 췌장염이다.), 암, 골다공증, 백내장 등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Ⅰ 내지 (Ⅳ) 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제, 비구아나이드제, 스타틴계 화합물, 스쿠알렌합성 저해제, 피브라이트계 화합물, LDL 이화촉진제,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저해제 및 RXR 활성화제 중 적어도 1 종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의약조성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이다.) 도 유용하다.

Claims (68)

  1. 화학식 Ⅰ
    [화학식 Ⅰ]
    [식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을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ⅸ) C3-C10시클로알킬기, (ⅹ)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ⅰ)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ⅱ) C1-C7지방족아실기, (ⅹⅲ)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ⅹⅳ)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ⅴ)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ⅵ)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ⅶ) 카르바모일기, (ⅹⅷ)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ⅹⅸ)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1이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알콕시기, (ⅳ) C1-C6알킬티오기, (ⅴ) 할로겐원자, (ⅵ)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5 개 갖고 있어도 됨), (ⅶ)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ⅷ) C6-C10아릴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ⅸ)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 C3-C10시클로알킬옥시기, (ⅹⅰ) C3-C10시클로알킬티오기, (ⅹⅱ) 포화복소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ⅲ) 단환식 복소방향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ⅳ) C6-C10아릴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ⅴ) C7-C16아랄킬티오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ⅵ) 포화복소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ⅶ) 단환식 복소 방향족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ⅷ)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ⅹⅸ)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ⅰ) C1-C6알킬기, (ⅱ) C1-C6할로게노알킬기, (ⅲ) C1-C6알콕시기, (ⅳ) 할로겐원자, (ⅴ) 히드록시기, (ⅵ) 시아노기, (ⅶ) 니트로기, (ⅷ) C3-C10시클로알킬기, (ⅸ)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ⅰ) C1-C7지방족아실기, (ⅹⅱ)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ⅹⅲ)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ⅳ)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ⅴ) 단환식 복소 방향족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ⅵ) 카르바모일기, (ⅹⅶ)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ⅷ)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 을 1 내지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ⅹⅸ)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 이, (ⅰ) C1-C10알킬기, (ⅱ) 할로겐원자,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7지방족아실기, (ⅵ)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ⅶ)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ⅷ)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ⅸ) 단환식 복소 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 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ⅹ) 카르바모일기, 또는 (ⅹⅰ)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 을 1 내지 5 개 가짐)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 이,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냄] 를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R1, R2및 R3가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4알킬기, (ⅲ)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페닐 C1-C2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ⅴ) C1-C2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는 α-치환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R1, R2및 R3가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4알킬기, 또는 (ⅲ)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R1가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가 C1-C4알킬기 또는 페닐 C1-C4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R1가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가 =CH- 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W1가 C1-C4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W1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W2가 C1-C4알킬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2알킬기, (ⅲ) 할로겐원자, (ⅳ) 히드록시기, (ⅴ) C1-C2지방족아실기, 또는 (ⅵ) 아미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1가, (ⅰ) C1-C2알콕시기, (ⅱ) C1-C2알킬티오기, (ⅲ) 할로겐원자, (ⅳ)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포화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ⅵ)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ⅶ) 포화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ⅷ) 아미노기, 또는 (ⅸ)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1가, (ⅰ) C1-C2알콕시기, (ⅱ) C1-C2알킬티오기, (ⅲ)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포화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ⅵ)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α1이, (ⅰ) C1-C4알킬기, (ⅱ) C1-C2할로게노알킬기, (ⅲ) C1-C2알콕시기, (ⅳ) 할로겐원자, (ⅴ) 히드록시기, (ⅵ) 시아노기, (ⅶ) 니트로기, (ⅷ) 아다만틸기, (ⅸ) 벤조일기 (치환분 β 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ⅹ) 아미노기 (치환분 β 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ⅹⅰ)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7.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α1이, (ⅰ) C1-C4알킬기, (ⅱ) 할로겐원자, (ⅲ) 히드록시기, (ⅳ) 아다만틸기, (ⅴ) 벤조일기, (ⅵ) 아미노기 (치환분 β 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ⅶ)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8.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α1이, C1-C4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19.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α1이, 할로겐원자 또는 아다만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20.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α1이, C1-C4알킬기, 벤조일기 또는 아미노기 (치환분 β 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β 이, (ⅰ) C1-C11알킬기, (ⅱ) 할로겐원자, 또는 (ⅲ)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 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22.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β 이,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 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 길항작용제.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γ 이,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24. 제 1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25. 제 1 항에 있어서,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4알킬기, (ⅲ)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페닐 C1-C2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ⅴ) C1-C2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2알킬기, (ⅲ) 할로겐원자, (ⅳ) 히드록시기, (ⅴ) C1-C2지방족 아실기, 또는 (ⅵ)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나타내고,
    Z1이 (i) C1-C2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할로겐원자, (iv)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포화 복소환 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아미노기, 또는 (ix)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C1-C2할로게노알킬기, (iii) C1-C2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아다만틸기, (ix) 벤조일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x)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또는 (iii)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26. 제 1 항에 있어서,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4알킬기, 또는 (ⅲ)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1이 (i) C1-C2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포화 복소환 옥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히드록시기, (iv) 아다만틸기, (v) 벤조일기, (vi)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vii)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27. 화학식 Ⅱ
    [화학식 Ⅱ]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 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2가 포화 복소환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2를 1 내지 5 개 가짐)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 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2가 (i) C3-C10시클로알킬기, (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1-C7지방족 아실기, (v)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x)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 아실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냄]
    를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8. 제 27 항에 있어서,
    Z2가 테트라히드로피란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을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29. 제 27 항에 있어서,
    Z2가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개 가짐)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α2가 (i) C6-C10시클로알킬기, (ii) 페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iii) 페닐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v)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치환분 β를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1. 제 27 항 내지 제 2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환분 α2가 C6-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2. 제 27 항에 있어서,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2가 테트라히드로피란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을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3. 제 27 항에 있어서,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나타내고,
    Z2가 페닐기 (치환분 α2를 1 개 가짐)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할로겐원자, 또는 아다만틸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2가 아다만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4. 제 27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35. 제 27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36. 제 27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내당능부전, 신경증, 백내장, 관동맥질환, 임신당뇨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37. 화학식 Ⅲ
    [화학식 Ⅲ]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 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3이 (i) C1-C6알킬기, (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3-C10시클로알킬기, 또는 (v) 포화 복소환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 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 아실기, (vi)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냄]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8. 제 37 항에 있어서,
    Z3이 (i) C1-C4알킬기, (ii) C6-C10아릴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ii) C3-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39. 제 37 항에 있어서,
    Z3이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0. 제 37 항에 있어서,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i) 수소원자, (ii) C1-C4알킬기, 또는 (iii) 벤질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C1-C2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3이 (i) C1-C4알킬기, (ii) C6-C10아릴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ii) C3-C10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4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히드록시기, 또는 (iv) 아다만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1. 제 37 항에 있어서,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C1-C4알킬기, 또는 페닐 C1-C4알킬기 (페닐상에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3이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C1-C4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42. 제 37 항 내지 제 4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43. 제 37 항 내지 제 4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44. 제 37 항 내지 제 4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내당능부전, 신경증, 백내장, 관동맥질환, 임신당뇨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45. 화학식 Ⅳ
    [화학식 Ⅳ]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R4가 (i) C1-C6알킬기, (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 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4가 (i) C1-C6알콕시기, (ii) C1-C6알킬티오기, (iii) 할로겐원자, (iv)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 C6-C10아릴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3-C10시클로알킬옥시기, (ix) C3-C10시클로알킬티오기, (x) 포화 복소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단환식 복소방향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6-C10아릴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i) C7-C16아랄킬티오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포화 복소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방향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vii)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 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 아실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냄]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46. 제 45 항에 있어서,
    R4가 C1-C4알킬기, 또는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47. 제 45 항에 있어서,
    R4가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48. 제 45 항 내지 제 4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4가 (i) C1-C4알콕시기, (ii) C1-C2알킬티오기, (iii)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v) 페닐티오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49. 제 45 항 내지 제 4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4가 C1-C2알콕시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50. 제 45 항 내지 제 4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4가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51. 제 45 항에 있어서,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4가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Z4가 C1-C2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벤조일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52. 제 43 항에 있어서,
    R1이 C1-C2알킬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3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4가 페닐기 (치환분 α1을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W1이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X 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Z4가 페녹시기 (치환분 α1을 1 내지 3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C1-C4알킬기, 벤조일기, 또는 아미노기 (치환분 β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상에 치환분 γ를 1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53. 제 1 항 내지 제 5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4-[6-(4-아다만탄-1-일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3-[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4-[6-(4-히드록시-2,3,5-트리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젖산,
    2-에톡시-3-[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4-[6-[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드)-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포닐프로피온산,
    3-[4-(6-히드록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3-[4-[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우론산)-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르캅토프로피온산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4. 제 1 항 내지 제 5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4-[6-(4-아다만탄-1-일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3-[4-[6-(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티오)-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4-플루오로벤질옥시)프로피온산,
    2-에톡시-3-[4-(1-메틸-6-메톡시-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N-(2-벤조일페닐)-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알라닌,
    4-[6-(4-아미노-3,5-디메틸페녹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N-(2-벤조일페닐)페닐알라닌,
    3-[4-(6-메톡시-1-메틸-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술페닐프로피온산,
    3-[4-(1-메틸-6-메틸티오-1H-벤즈이미다졸-2-일메톡시)페닐]-2-메틸티오프로피온산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55. 제 53 항 또는 제 54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56. 제 53 항 또는 제 54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혈당강하작용제, 면역조절작용제,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작용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작용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제, PPAR 활성화작용제, 류코트리엔 길항작용제, 히드록시 지방세포화 촉진작용제, 또는 칼슘길항작용제.
  57. 제 53 항 또는 제 54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내당능부전, 신경증, 백내장, 관동맥질환, 임신당뇨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58.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제 35 항, 제 43 항, 제 45 항 내지 제 52 항 및 제5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
  59.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제 35 항, 제 43 항, 제 45 항 내지 제 52 항 및 제 5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당강하작용제.
  60. 화학식 Ⅰ
    [화학식 Ⅰ]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 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1이 (i) 수소원자, (ii) C1-C6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C1-C6알킬티오기, (v) 할로겐원자, (v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6-C10아릴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x)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3-C10시클로알킬옥시기, (xi) C3-C10시클로알킬티오기, (xii) 포화 복소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i) 단환식 복소방향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6-C10아릴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C7-C16아랄킬티오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포화 복소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단환식 복소방향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 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 아실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냄]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내당능부전, 신경증, 백내장, 관동맥질환, 임신당뇨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61. 화학식 Ⅳ
    [화학식 Ⅳ]
    [식 중, R1, R2및 R3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ⅳ)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ⅴ) C1-C6알킬술포닐기, (ⅵ) C1-C6할로게노알킬술포닐기, (ⅶ) C6-C10아릴술포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ⅷ) C7-C16아랄킬술포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R4가 (i) C1-C6알킬기, (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ii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A 가 질소원자 또는 =CH- 기를 나타내고,
    B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W1이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2가 단일결합 또는 C1-C8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가 (ⅰ) 수소원자, (ⅱ) C1-C6알킬기, (ⅲ) C1-C6할로게노알킬기, (ⅳ) C1-C6알콕시기, (ⅴ) 할로겐원자, (ⅵ) 히드록시기, (ⅶ) 시아노기, (ⅷ) 니트로기, (ix) C3-C10시클로알킬기, (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1-C7지방족 아실기, (x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v)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됨), (x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 카르바모일기, (xvi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Y 가 산소원자, 또는 S(O)p 기 (식 중 p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Z4가 (i) C1-C6알콕시기, (ii) C1-C6알킬티오기, (iii) 할로겐원자, (iv)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 C6-C10아릴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7-C16아랄킬옥시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3-C10시클로알킬옥시기, (ix) C3-C10시클로알킬티오기, (x) 포화 복소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단환식 복소방향환 옥시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 C6-C10아릴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ii) C7-C16아랄킬티오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포화 복소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방향환 티오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α1을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vii)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α1이 (i) C1-C6알킬기, (ii) C1-C6할로게노알킬기, (iii) C1-C6알콕시기, (iv) 할로겐원자, (v) 히드록시기, (vi) 시아노기, (vii) 니트로기, (viii) C3-C10시클로알킬기, (ix)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 C1-C7지방족 아실기, (x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xii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iv)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 카르바모일기, (xvi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viii) 아미노기 (후술하는 치환분 β를 1 또는 2 개 갖고 있어도 됨) 또는 (xix)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치환분 β가 (i) C1-C10알킬기, (ii) 할로겐원자, (iii) C6-C10아릴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iv) C7-C16아랄킬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 C1-C7지방족 아실기, (vi) C7-C11아릴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 C8-C17아랄킬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viii) C4-C11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ix) 단환식 복소방향환 카르보닐기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x) 카르바모일기, 또는 (xi) C7-C11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 (아릴상에 후술하는 치환분 γ를 1 내지 5 개 갖고 있어도 됨) 를 나타내고,
    치환분 γ가 C1-C6알킬기, C1-C6할로게노알킬기,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냄]
    을 갖는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류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아미드체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내당능부전, 신경증, 백내장, 관동맥질환, 임신당뇨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62. 제 36 항, 제 44 항, 제 57 항, 제 60 항 및 제 6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63.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제 35 항, 제 43 항, 제 45 항 내지 제 52 항 및 제 5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64.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제 35 항, 제 43 항, 제 45 항 내지 제 52 항 및 제 5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당강하작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65. 제 36 항, 제 44 항, 제 57 항, 제 60 항 및 6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
  66.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제 35 항, 제 43 항, 제 45 항 내지 제 52 항 및 제 5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의 용도.
  67. 혈당강하작용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제 35 항, 제 43 항, 제 45 항 내지 제 52 항 및 제 5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의 용도.
  68. 당뇨병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36 항, 제 44 항, 제57 항, 제 60 항 및 제 6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의 용도.
KR1020017012729A 1999-04-06 2000-04-06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KR20020060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99286 1999-04-06
JP9928699 1999-04-06
JP21514199 1999-07-29
JPJP-P-1999-00215141 1999-07-29
PCT/JP2000/002215 WO2000059889A1 (en) 1999-04-06 2000-04-06 α-SUBSTITUTED CARBOXYLIC ACID DERIVATI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067A true KR20020060067A (ko) 2002-07-16

Family

ID=2644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729A KR20020060067A (ko) 1999-04-06 2000-04-06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6596751B2 (ko)
EP (1) EP1167357A4 (ko)
KR (1) KR20020060067A (ko)
CN (1) CN1208323C (ko)
AU (1) AU760163B2 (ko)
BR (1) BR0009593A (ko)
CA (1) CA2369871A1 (ko)
CZ (1) CZ20013593A3 (ko)
HK (1) HK1039939A1 (ko)
HU (1) HUP0200895A3 (ko)
IL (1) IL145732A0 (ko)
MX (1) MXPA01010109A (ko)
NO (1) NO20014849L (ko)
NZ (1) NZ514661A (ko)
PL (1) PL351898A1 (ko)
RU (1) RU2219172C2 (ko)
TR (1) TR200102908T2 (ko)
WO (1) WO2000059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1441A1 (fr) * 2000-12-26 2002-07-04 Sankyo Company, Limited Compositions medicinales contenant un diuretique et un agent renforçant la resistance a l'insuline
WO2003002550A1 (en) * 2001-06-28 2003-01-09 Dr. Reddy's Research Foundation Dioxalane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WO2003010157A1 (en) * 2001-07-23 2003-02-06 Dr. Reddy's Research Foundation Dioxane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WO2003011834A1 (en) * 2001-07-30 2003-02-13 Novo Nordisk A/S Novel vinyl n-(2-benzoylphenyl)-l-tyros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diabetics etc
US7067530B2 (en) 2001-07-30 2006-06-27 Novo Nordisk A/S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WO2003011814A1 (en) * 2001-07-30 2003-02-13 Novo Nordisk A/S Novel vinyl n-(2-benzoylphenyl)-l-tyros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diabetics etc
FR2829765A1 (fr) * 2001-09-14 2003-03-21 Lipha Derives imidazolylalkoxylarylalcanoiques leurs applications en therapeutique
GB0314079D0 (en) * 2003-06-18 2003-07-23 Astrazeneca Ab Therapeutic agents
GB0229931D0 (en) 2002-12-21 2003-01-29 Astrazeneca Ab Therapeutic agents
SE0104334D0 (sv) * 2001-12-19 2001-12-19 Astrazeneca Ab Therapeutic agents
AU2002347022A1 (en) * 2001-12-20 2003-07-09 Novo Nordisk A/S Benzimidazols and indols as glucagon receptor antagonists/inverse agonisten
US20050250831A1 (en) * 2002-02-21 2005-11-10 Gibson Tracey 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modulators
US8980952B2 (en) * 2002-03-20 2015-03-17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Methods for treating brain swelling with a compound that blocks a non-selective cation channel
US7872048B2 (en) * 2004-09-18 2011-01-18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Methods for treating spinal cord injury with a compound that inhibits a NCCa-ATP channel
ES2807274T3 (es) 2002-03-20 2021-02-22 Univ Maryland Un canal catiónico no selectivo en células neurales y compuestos que bloquean el canal para su uso en el tratamiento de la inflamación del cerebro
WO2004013109A1 (ja) * 2002-08-02 2004-02-12 Sankyo Company, Limited レゾルシノール誘導体
MXPA05001549A (es) 2002-08-08 2005-05-05 Kissei Pharmaceutical Derivado de pirazol, composicion medicinal que lo contiene, su uso medicinal, e intermediario para su produccion.
CN100351263C (zh) * 2002-08-08 2007-11-28 橘生药品工业株式会社 吡唑衍生物、含该衍生物的医药组合物、其医药用途及用于制备的中间体
AR041481A1 (es) * 2002-10-07 2005-05-18 Hoffmann La Roche Derivados de acido arilpropionico-oxazol y su uso como agonistas de ppar
WO2004063155A1 (en) * 2003-01-06 2004-07-29 Eli Lilly And Company Fused heterocyclic derivatives as ppar modulators
EP1597248B1 (en) * 2003-02-14 2007-12-26 Eli Lilly And Company Sulfonamide derivatives as ppar modulators
WO2004100525A2 (en) * 2003-05-05 2004-11-18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television signal having multiple different content ratings
GB0314136D0 (en) * 2003-06-18 2003-07-23 Astrazeneca Ab Therapeutic agents
GB0314129D0 (en) * 2003-06-18 2003-07-23 Astrazeneca Ab Therapeutic agents
AU2005290238A1 (en) * 2004-09-18 2006-04-06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Therapeutic agents trageting the NCCa-ATP channel and methods of use thereof
TW200637856A (en) * 2005-01-24 2006-11-01 Sankyo Co Process for producing thiazolidinedion compound and intermediate thereof
KR100811100B1 (ko) * 2006-09-27 2008-03-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벤즈아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103451A1 (en) * 2007-01-12 2016-12-14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Targetting ncca-atp channel for organ protection following ischemic episode
EP2114160B1 (en) * 2007-02-09 2016-11-16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Antagonists of a non-selective cation channel in neural cells
EP2848252A3 (en) * 2007-03-23 2015-06-17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ldose reductase inhibitors for use in treating uveitis
JP5294419B2 (ja) * 2007-04-05 2013-09-18 第一三共株式会社 縮合二環式ヘテロアリール誘導体
US8557867B2 (en) 2007-06-22 2013-10-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Inhibitors of NCCa-ATP channels for therapy
WO2010002075A1 (en) * 2008-07-02 2010-01-07 Pharmacostech Co., Ltd. Methods for preparing amide derivatives
EP2404918B1 (en) 2009-03-05 2016-11-30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Pyridine derivative as ppary inhibitor
WO2011094890A1 (en) * 2010-02-02 2011-08-11 Argusina Inc. Phenylalan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non-peptide glp-1 receptor modulators
CN102946882B (zh) * 2010-02-02 2016-05-18 格斯有限公司 苯基丙氨酸衍生物及其作为非肽glp-1受体调节剂的用途
CN104744282A (zh) * 2015-02-17 2015-07-01 南通恒盛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胰岛素增敏剂的制备工艺
WO2018002673A1 (en) 2016-07-01 2018-01-04 N4 Pharma Uk Limited Novel formulations of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2245A (en) 1987-04-20 1990-07-17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Benzimidazole Derivatives
WO1994012181A1 (en) 1992-12-01 1994-06-09 Merck & Co., Inc.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s
AU701776B2 (en) 1994-05-27 1999-02-04 Merck & Co., Inc. Compounds for inhibiting osteoclast-mediated bone resorption
MX9700041A (es) 1994-06-29 1997-04-30 Smithkline Beecham Corp Antagonistas de receptor de vitronectina.
IL118474A (en) * 1995-06-01 2001-08-08 Sankyo Co Benzimideol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GB9604242D0 (en) * 1996-02-28 1996-05-01 Glaxo Wellcome Inc Chemical compounds
DE19629817A1 (de) 1996-07-24 1998-01-29 Hoechst Ag Neue Imino-Derivate als Inhibitoren der Knochenresorption und Vitronectinrezeptor-Antagonisten
JP2001509176A (ja) 1997-01-17 2001-07-10 メルク エンド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テグリンアンタゴニスト
AU1903799A (en) 1997-12-05 1999-06-28 Eisai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the activity of fibroblast growth factor
DE69828445D1 (de) * 1998-04-23 2005-02-03 Reddys Lab Ltd Dr Heterozyklische verbindungen,und deren verwendung in arzneimittel,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tellungen
TWI250160B (en) 1999-07-06 2006-03-01 Sankyo Co Crystalline 1-methylcarbapenem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0102908T2 (tr) 2002-04-22
CA2369871A1 (en) 2000-10-12
BR0009593A (pt) 2002-06-18
HUP0200895A2 (hu) 2002-11-28
NO20014849D0 (no) 2001-10-05
AU3670700A (en) 2000-10-23
WO2000059889A1 (en) 2000-10-12
NO20014849L (no) 2001-11-27
CN1353694A (zh) 2002-06-12
IL145732A0 (en) 2002-07-25
PL351898A1 (en) 2003-06-30
MXPA01010109A (es) 2002-06-04
HK1039939A1 (zh) 2002-05-17
EP1167357A1 (en) 2002-01-02
RU2219172C2 (ru) 2003-12-20
US20030069294A1 (en) 2003-04-10
HUP0200895A3 (en) 2002-12-28
US6596751B2 (en) 2003-07-22
CN1208323C (zh) 2005-06-29
NZ514661A (en) 2003-06-30
EP1167357A4 (en) 2002-06-05
AU760163B2 (en) 2003-05-08
CZ20013593A3 (cs) 2002-03-13
US20040002512A1 (en) 200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0067A (ko) α-치환 카르복실산 유도체
KR100588284B1 (ko) 아민 유도체 화합물
RU2196141C2 (ru) Замещенное конденсированное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способ фармаколог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5-липоксигеназы, ингибирования продукции липидных пероксидов или снижения уровня сахара в крови
EP0045200B1 (en) Benzimidazol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
US8980895B2 (en) AMPK modulators
EP1303509B1 (en) Beta3 adrenergic agonists
CN104059039B (zh) 具有gpr40受体功能调节作用的稠环化合物
JP2005504100A (ja) 肥満の治療のための1,5,6,7−テトラヒドロピロロ[3,2−c]ピリジン誘導体の製造法および使用
US9512140B2 (en) (Thieno[2,3-b][1,5]benzoxazepin-4-yl)piperazin-1-yl compounds as dual activity H1 inverse agonists/5-HT2A antagonists
US20050020654A1 (en) Novel PPAR agonist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1354602B1 (en) Medicinal compositions containing diuretic and insulin resistance-improving agent
PL181801B1 (pl) Podstawione aryloalkilotioalkilotiopirydyny do zwalczania bakterii Helicobacter oraz srodek leczniczy zawierajacy podstawione aryloalkilotioalkilotiopirydyny PL
SK18893A3 (en) Imidazolyl substituted amides of phenylacetic acid
JP2002193948A (ja) α−置換カルボン酸誘導体を含有する糖尿病治療剤
JP2002179568A (ja) アミン誘導体化合物を含有する糖尿病予防剤、治療剤
US20040209929A1 (en) Fused heteroaryl carboxylic acids as PPAR agonists
JP4197387B2 (ja) アミン誘導体化合物
JP2001097955A (ja) α−置換カルボン酸誘導体
US10894038B2 (en) Indolizine derivatives,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Xu et al.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selective histone deacetylase 6 (HDAC6) inhibitors bearing benzoindazole or pyrazoloindazole scaffold as surface recognition motif
JP2000351777A (ja) 置換縮合イミダゾール誘導体
JP2002114781A (ja) 置換縮合イミダゾ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糖尿病の予防剤、治療剤
JP2001097954A (ja) スルホキシ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
TW200403055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gamma atcivetor and a diuretic
US7084134B2 (en) Thrombin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