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412A -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상이한 치수를 갖는 와이퍼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상이한 치수를 갖는 와이퍼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412A
KR20020059412A KR1020027003828A KR20027003828A KR20020059412A KR 20020059412 A KR20020059412 A KR 20020059412A KR 1020027003828 A KR1020027003828 A KR 1020027003828A KR 20027003828 A KR20027003828 A KR 20027003828A KR 20020059412 A KR20020059412 A KR 2002005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wiper blade
wiper
glass pane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5590B1 (ko
Inventor
코틀라르스키토마스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5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able Equipment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각각의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속하고 유리 패널(12)에 인접 가능하고 유리 패널에 대면하는 하부의 밴드 표면(21)에 배치되는 각각의 와이퍼 스트립(22)을 위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모양 스프링 탄성 지지부재(14)를 구비하며, 유리 패널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부의 밴드 표면(15)에서 각각의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단면 내에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연결장치(18) 반쪽부(16)가 고정되어있다. 단 한가지 유형의 상기와 같은 연결장치 반쪽부를 구비한 상이한 크기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고, 그로 인해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상기 길이방향 중심 단면 내 지지부재의 폭(36)은 상기 지지부재의 다른 치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상이한 치수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S HAVING DIFFERENT SIZES FOR AUTOMOBILE GLASS PANELS}
그러므로 차량 제조업체에 의해 사전 지정된 제품 요건 명세서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는 본 경우와 관련하여 특히 상이한 길이 및 폭에 의해 구별된다. 또한 상기의 지지부재의 경우 그 길이에 걸쳐 예컨대 상기 지지부재의 폭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동시에 연결장치 반쪽부의 피팅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지지부재의 횡단면 또는 그 폭이 가늘어진다.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명시된 유형(DE 19729865.6 A1)의 공지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상기 장치 반쪽부는 훅(hook) 모양의 연장부를 이용하여 지지부재의 외부 길이방향 에지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하부에서 고정시키며, 그럼으로써 상기 반쪽부는 지지부재와 고정되어 연결된다. 앞서 언급한 이유에 근거하여 지지부재의 최대 폭은 경우에 따라 상이해지기 때문에, 상기 사례의 모든 경우에 대해, 비록 폭에 있어서 편차가 상대적으로 극미하다고 하더라도, 특히 지지부재의 폭에 일치하는 장치 반쪽부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은, 장치 반쪽부가 항상, 다시 말해 와이핑 작동 동안에도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와이퍼 암 측의 또 다른 연결장치 반쪽부로 인해 지지부재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건은 다수 개의 장치 반쪽부를 요구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반쪽부의 각각은 대개 오직 한가지 차종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서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교 가능한 문제점들은 지지부재의 두 끝 단면에서 발생한다. 상기 두 끝 단면에는 캡(cap) 모양의 홀더(holder)가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캡은 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를 조작 시에, 예컨대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 시에, 지지부재의 끝 에지에 의해 가해지는 인적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켜 준다. 언급한 유형(DE 19802451.7 A1)의 공지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상기 캡은, 예를 들어 클로(claw)를 이용하여 지지부재를 하부에서 고정하면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착할 시에 와이퍼 스트립과 지지부재 사이의 연결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캡에 대해 혹은 지지부재에서의 상기 캡의 피팅 위치에 대해, 앞서 언급한 이유에근거하여 지지부재의 폭은 이 지지부재의 단부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 상이한 크기를 갖는 점이 적용된다. 그러므로 모든 적용예에 상응하게 적응되는 캡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러한 점은 상기 캡에 대한 제조장치로부터 시작하여 보관 그리고 조립 시 혼동의 위험에 이르기까지 매우 비용 집약적이다.
와이퍼 블레이드를 설계할 시에 법률 제정자 및 차량 제조업체에 의해 사전 지정된 다수의 기준들, 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맞닿아 스치게 될 유리 패널 영역, 유리 패널 크기, 유리 패널 곡률, 유리 패널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압착력, 유리 패널 전방 공기의 흐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사항들은 분명한 이유에서 결과적으로 모든 차종 그리고 운전석 및 조수석 측면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리 패널에 인접하는 와이퍼 스트립에 대한 매우 특수한 지지부재를 필요로 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부재에는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연결장치 반쪽부가 제공되어야 하며, 상기 반쪽부를 통해서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또 다른 반쪽부가 장치되는 와이퍼 암과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90°정도 회전시켜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절결선(III-III)을 따라 절결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절결면을 90°정도 회전시켜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절결선(IV-IV)을 따라 절결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절결면을 90°정도 회전시켜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르게 설계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 따르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절결선(VI-VI)을 따라 절결한 절결면을 그에 적합하게 회전시킨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절결선(VII-VII)을 따라 절결한 절결면을 그에 적합하게 회전시킨 단면도이다.
도8에서 도10까지는 도1에서 도4까지에 따르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속하면서 상이하게 설계된 지지부재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11에서 도13까지는 도8에서 도10까지에 따르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속하면서, 상이하게 설계된 지지부재들에 대한 평면도이다.
특징을 설명하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언급한 길이방향 중심 단면 내 지지부재의 폭을 규격화함으로써 적어도 다수 개의 지지부재 타입에는 동일한 장치 반쪽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반쪽부에 대한 제조 비용은 절감되고, 그 보관도 간소화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연결장치 반쪽부는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는, 각 지지부재의 두 외부 길이방향 에지들을 길이방향 견부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커버함으로써, 연결장치 반쪽부와 지지부재 사이의 연결부의 고정성이 계속해서 개선된다.
청구항 제3항에 제시된 특징들을 통해서는 다수 개의 캡들이 그에 상응하게 감소되며, 그로 인해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한 비용도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과 제3항에 따른 조치들은 지지부재 설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왜냐하면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중심 단면 내에서 뿐 아니라 끝 단면에 인접하여서도, 상기 지지부재들은 그곳에 위치 결정된 추가 부품에 의해 항상 보강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은 이미 상기 지지부재의 치수화 시에 그에 적합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지지부재에 대한 캡들의 규정에 따른 피팅은, 상기 캡들이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는 각 지지부재의 두 외부 길이방향 에지들을 길이방향 견부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커버할 때, 달성된다.
지정된 적용예들에 있어서 바람직한 사례는, 지지부재가 장치 반쪽부의 피팅 위치 영역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 일체형 스트립(one-piece strip)으로서 설계되는 경우이다.
지지부재의 효율적인 스프링 영역 내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폭이 지정된 치수를 초과한 경우, 목적에 적합한 사례는, 피팅 위치의 폭이 지지부재의 부분적인 측면의 수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만약 지지부재 설계 시에 지지부재에 대해 규정된 폭 치수에 미치지 못한다면, 간단한 방식으로 피팅 위치의 폭이 지지부재의 부분적인 측면의 팽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팽창의 길이가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장치 반쪽부의 길이에 맞추어져 있다면, 추가적인 조치 없이도, 상기 장치 반쪽부에 대해 정확하게 고정된 피팅 위치가 제공된다.
지정된 적용예의 경우 바람직한 사례는 지지부재가 캡의 피팅 위치 영역에서 동일한 폭을 가지는 일체형 스트립으로 설계되는 경우이다.
캡의 피팅 위치 영역 내에 지지부재 폭의 치수를 적응시키기 위해, 지지부재 설계에 의해 고정된 각각의 폭에 종속되면서, 캡에 대한 피팅 위치의 폭이 지지부재의 부분적인 측면의 수축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혹은 캡에 대한 피팅 위치의 폭이 지지부재의 부분적인 측면의 팽창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치수가 유지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해 평행하면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스프링 레일들에 의한 지지부재의 형성예는 다수의 적용예에 있어서 일체형 설계식 지지부재에 대한 바람직한 대체 방식을 나타낸다.
이러한 점에서 단 하나의 지지부재에 속하는 상기의 스프링 레일들은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 그루브들 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 그루브들은 유리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공통의 평면 내에 위치해 있으며, 그리고 그 그루브들의 바닥면들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예들과 형성예들은 관련된 도면 내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음의 명세서에서 제시된다.
도1과 도2 내에 도시된 자동차의 유리 패널(12)용 와이퍼 블레이드(10)는 길게 연장된 하나의 스프링 탄성 지지부재(14)를 포함하고 있다. 닦여질 유리 패널(12)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지지부재(14)의 상부 측면(15)에는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연결장치(18)의 반쪽부(16)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반쪽부를 이용하면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동차의 차체에 인접하여 안내되고, 구동되며, 도1에서는 대시 및 도트 선으로 도시된 하나의 와이퍼 암(20)과 착탈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리 패널(12)에 대면하는 지지부재(14)의 하부 측면에는 길게 연장되는 하나의 고무 탄성 와이퍼 스트립(22)이 지지부재에 대해 종축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암(20)과 그로 인한 와이퍼 블레이드(10)는 닦여질 유리 패널에 대해 화살표(24) 방향으로 하중을 받게되며, 상기 유리 패널의 닦여질 표면은 도1에서 대시 및 도트 선(26)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시 및 도트 선(26)은 유리 패널 표면의 가장 강한 곡률을 나타내기 때문에, 분명히, 자신이 두 단부와 더불어유리 패널(12)에 인접하면서 하중을 받지 않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곡률은, 최대의 유리 패널 곡률보다 보다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압착력(화살표 24) 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자신의 와이퍼 스트립(22)을 이용하여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유리 패널 표면(26)에 밀착된다. 이때 스트립 모양의 스프링 탄성 지지부재(24) 내에는 차량 유리 패널(12)에 대해 와이퍼 스트립(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와이퍼 스트립(22)의 적합한 정렬을 제공하는 압력이 형성된다. 또한 도1과 도2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두 단부들에는 각각 하나의 캡(28)이 배치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캡의 기능에 대해서는 차후 다루어지게 된다.
다음에서는 제1 실시예의 특별한 형성예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상세하게 설명하게 된다. 도3 내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단면에서 알 수 있듯이,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연결장치(18) 반쪽부(16)는 판형의 기초부(3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기초부에는 와이퍼 암(20)의 자유 단부에 대한 커플링 수단(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기초판(30)은 자신의 측벽에 있어서 L자 모양의 연장부(3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자신의 하나의 L자 다리부(31)를 이용하여서는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해 있는 지지부재(14)의 외부 길이방향 에지(34)를 커버하며, 그리고 상기 연장부는 또한 자신의 다른 하나의 L자 다리부(33)를 이용하여서는 지지부재(14)를 하부에서 고정하면서, 지지부재(14)의 하부 측면(21)에 인접한다. 서로 마주보고 향해있는 L자 다리부(31)의 내부 측면들간 간격(36)은 반쪽부(16)가 위치 결정되어 있는 곳에서 상기 지지부재(14)를 포함하는 치수에 상응한다.
반쪽부(16)의 피팅 위치는 본원에서 제시된 발명의 두 실시예들의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지지부재(14)의 길이방향 중심 단면 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길이방향 중심 단면"이라는 명칭은 상기 길이방향 중심 단면이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지지부재의 두 끝 단면들 중 하나의 끝 단면에 근접하여 위치한다는 점, 다시 말해 상기 길이방향 중심 단면이 지지부재의 두 끝 단면들 중 하나의 끝 단면과 일치하며, 그럼으로써 반쪽부(16)가 캡(28)의 기능들 중 한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도1에서 도4까지에 따르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는 일체형 스트립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장치 반쪽부(16)의 피팅 위치 영역 내에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 두 길이방향 에지들(34)이 대체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럼으로써 반쪽부(16)에 대한 전체 피팅 위치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되는 치수(36)가 제공된다. 두 L자 다리부들(31)(대개 그 자체를 고려한다면, 길이방향 에지들(34)과 상호 작용하는 길이방향 견부(shoulder)로서도 명명할 수 있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치수에 상응하는 간격(36)으로 상기 다리부들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해 있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작동방향(도2 내 양방향 화살표(37))으로 볼 때 지지부재(14)와 반쪽부(16) 사이에 양호한 압입끼워맞춤(press fit)이 제공된다. 또한 도3은, 와이퍼 블레이드(10)가 자신의 와이퍼 스트립(22)을 이용하여 유리 패널(12)에 대한 자신의 작동 위치를 취할 때,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지지부재(14)가 닦여질 유리 패널(12)의 전방에 한 간격(38)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2로부터는 궁극적으로 반쪽부(16)에 대한 피팅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지지부재 자신의 두 단부로 갈 수록 지지부재(14)의 폭이 가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또한 캡들(28)에 대한 제2 치수(40)(도4)와 반쪽부(16)의 피팅 위치에 대한 치수(36)를 비교하여서도 알 수 있다. 상기 캡들(28)은 대체로 U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상기 캡들의 U자 베이스(42)(정확히는 반쪽부(16)의 기초판(30)과 같다)는 유리 패널(12)로부터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는 지지부재(14)의 상부측면(15)에 인접한다. 상기의 캡들(28)의 두 U자 다리부(43)는 치수(40)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해 있다. U자 다리부(43)의 자유 단부들에 있어서는 캡들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클로들(44)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클로들은 와이퍼 스트립(22)의 길이방향 그루브들(45) 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2)은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패널(12)의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는 자신의 단부면(47)과 더불어 접착 이음부를 통해 지지부재(14)의 하부측면(21)과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착 이음부는 와이핑 작동동안 높은 지속적 교번하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지지부재(14)의 단부들에 배치되어 있는 캡들이 자신의 클로들과 더불어 와이퍼 스트립에 고정된다면, 상기 캡들은 와이퍼 스트립(22)과 지지부재(14) 사이의 접착 이음부를 고정시키는데 현저하게 기여한다.
최초에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급업체의 전체 와이퍼 블레이드 팔레트의 와이퍼 블레이드들은 상이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음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바로 앞서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해, 도8에서 도10까지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제적인 관점에 대해 다루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의 도들에서 도시되는 지지부재들(도9의 114, 도8의 214, 및 도10의 314)은 특히 길이방향으로 기준과 무관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결코 공작도와 같이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도9 내에 도시된 지지부재(114)가 자신의 윤곽에 있어서 도2의 지지부재(14)에 상응한다고 가정한다면, 상기 지지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중간 크기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는 연결장치(18)의 반쪽부에 대한 피팅 위치(115)의 영역 내에서 치수(36)를 갖는다. 두 캡들(28)에 대한 피팅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지지부재의 두 끝 단면(116)에서는 지지부재(114)의 폭이 치수(40)에 상응한다.
도8 내에 도시된 지지부재(214)의 유형은 대개 보다 큰, 예를 들어 지지부재(114)(도9)가 이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보다 긴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지지부재(214)는 반쪽부(16)를 위한 피팅 위치(215)와 캡들(28)을 위한 두 피팅 위치들 사이의 자신의 길이방향 측면에 있어서, 지지부재(114)(도9)의 그에 해당하는 영역보다 그 폭이 보다 넓다. 상기의 지지부재(214)에서, 지지부재(115)와 동일한 반쪽부(16)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재는 피팅 위치(215)의 영역 내 자신의 두 길이방향 측면에 있어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단면 수축부(217)(contraction)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단면 수축부의 길이(217)는 반쪽부(16)의 길이에 맞추어져 있다. 상기 단면 수축부(217)의 깊이의 치수는 피팅 위치(21)의 영역 내에서 치수(36)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다. 그에 해당하는 설계는 지지부재(214)의 두 단부들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두 단부들에 인접하여서는 마찬가지로 지지부재(214)의 단면 수축부(219)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그 곳에서는 캡들(28)의 피팅 위치들의 영역 내에 있어서 치수(40)에 상응하는 폭이 제공되고, 그로 인해 도8에 따른 지지부재(214)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도9에 상응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도 또한 이용되는 반쪽부(16) 뿐 아니라 캡들(28)이 이용될 수 있다.
도10에 따른 지지부재(314)는 최초에 언급한 유형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도9 및 도8에 따르는 지지부재(114) 및 지지부재(214)가 이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보다 작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지지부재(114)에서와 동일한 반쪽부(16) 역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314)에는 반쪽부(16)를 위한 피팅 위치(315)의 영역 내에 있어서 이 지지부재의 두 길이방향 측면에 있어서 부분적인 측면 팽창부(317)가 제공되어 있다. 반쪽부(16)의 피팅 위치(315)의 영역 내 지지부재(314)의 양측면 팽창부(317)의 치수는, 그 곳에 치수(36)와 일치하는 지지부재(314)의 폭이 제공될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14)에 대해서도 또한, 지지부재(114)와 지지부재(214)에 대해서도 가능한 것과 같이, 연결장치(18)용 반쪽부(16)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홀더(28)에 대한 피팅 위치(316)를 의미하는 지지부재(314)의 두 단부 영역들은 마찬가지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팽창부들(318)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팽창부들의 치수는, 캡들(28)에 대한 피팅 위치들(316)의 영역 내에서 도4에 따른 치수(40)에 상응하는 치수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도10에 따른 지지부재(314)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에는 지지부재(114)와 지지부재(214)에서 이용되는 상기와 같은 캡들(28)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5 내지 도7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50)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지지부재(55)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2개의 스프링 레일(56)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의 와이퍼 블레이드(50)는 하나의 와이퍼 스트립(52)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에는 유리 패널(12)로부터의 간격(53) 내에 있어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측면의 길이방향 그루브들(54)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그루브들은 지지부재(55)에 속하는 두 스프링 레일(56)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 스프링 레일들(56)은 하나의 공통의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그러나 이러한 점은 강제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두 길이 방향 그루브들(54)의 기초면들은 서로에 대한 간격(57) 내에 위치해 있다(도6). 두 스프링 레일들(56)의 폭은, 상기 레일들의 에지 영역들이 자신들을 수용하는 길이방향 그루브들(54)로부터 돌출되는 방식으로 치수화 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연결장치(18)의 반쪽부(16)와 캡들(28)에 대한 피팅 위치가 제공되어 있어야 하는 곳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퍼 스트립(52)은 지지부재(55)의 상부 측면(58) 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헤드 스트립(59)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반쪽부(16)에는 헤드 스트립(59)용으로 그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용 그루브가 제공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반쪽부(16)의 기초판(60)의 길이방향 측면에는 L자 모양의 연장부(61)가 제공되어 있으며, 동시에 하나의 L자 다리부(62)는 스프링 레일(56)의 평면을 횡단하여 통과하며, 또 다른 L자다리부(63)를 이용하여서는 지지부재(55) 또는 이 지지부재의 스프링 레일(56)을 하부에서 고정한다. 서로에 대해 반대편에 위치하는 L자 다리부들(62) 사이의 간격은, 길이방향 그루브의 두 기초면들 사이의 치수(57)를 가산하여 캡들(28)에 대한 피팅 위치의 영역 내 스프링 레일들(56)의 폭으로 이루어진 치수(36)에 상응한다(도6). 상기 실시예(도7)에 있어서의 캡들은 도6에 따른 반쪽부(16)의 구조에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캡 기초판(65)의 길이방향 측면에는 클로 모양의 연장부(65)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각각의 스프링 레일(56)을 하부에서 고정한다. 스프링 레일들(56)의 영역 내 두 클로들(65) 사이의 간격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하는 길이방향 그루브들(54)의 기초면들 사이의 치수(57)를 가산하여 지지부재(55)의 두 단부들 영역 내 두 스프링 레일들(56)의 폭으로부터 제공되는 치수(40)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치수화 되어 있다. 상기 치수(40)는 치수(36)보다 작은데, 왜냐하면 두 스프링 레일들(56)이 반쪽부(16)에 대한 피팅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캡들(2)에 대한 피팅 위치에 이르기까지 가늘어지기 때문이다. 와이퍼 스트립(52)은 통상 압축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그 횡단면은 반쪽부에 대한 피팅 위치의 영역 내에서 그리고 캡들의 피팅 위치들의 영역 내에서도 또한 동일하다. 그러므로 캡(28)은 마찬가지로 헤드 스트립(59)에 대한 수용 그루브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도11에서 도13까지에 있어서는 지지부재(55)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12에 따르는 지지부재의 도면 부호는 "414"로 제공되어 있다. 도11에 따른 지지부재의 실시예는 도면 부호(514)를 갖는다. 도13에 있어서는도면부호(614)를 가지는 지지부재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2에 따르는 지지부재(414)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그리고 와이퍼 스트립(52) 내에 있어서 길이방향 그루브들(54)의 두 기초면들 사이의 간격(57)(도6)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스프링 레일들(456)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점은 도11과 도13 내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지지부재(514)와 지지부재(614)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프링 레일들(556)과 스프링 레일들(656)에 대해서도 또한 적용된다. 도11에서부터 도13까지에 따르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들에 대해 도8에서부터 도10까지(지지부재 114, 214 및 314)에 따르는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졌던 모든 진술 사항들이 관계한다. 그러므로 지지부재(414)는 연결장치(18)의 반쪽부에 대한 피팅 위치(415)의 영역 내에 있어서, 치수(36)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다. 또한 캡들(28)에 대한 피팅 위치들(416)의 영역 내 스프링 레일들의 폭은 치수(40)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치수화 되어 있다.
반쪽부(16)에 대한 피팅 위치(515)의 영역 내에 있어서 도11에 따르는 보다 넓은 지지부재(514)가 치수(36)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영역 내에 있어서는 각각 하나의 스프링 레일(556)에 마찬가지로 단면 수축부(517)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단면 수축부는 지지부재(214)(도8)에 따른 단면 수축부에 상응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또한 단면 수축부(517)의 길이는 반쪽부(16)의 길이에 맞추어져 있다. 그에 해당되는 사항은 캡들(28)에 대한 피팅 위치의 영역 내에 있어서 지지부재(514)의 두 단부들의 배치 및 설계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또한 상기 피팅위치의 영역 내에 있어서 치수(40)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치수화 되어 있는 그에 해당하는 단면 수축부들(519)이 배치되어 있다. 도11에서부터 도13까지에 따른 실시예들의 경우 캡들(28) 뿐 아니라 반쪽부(16)는 와이퍼 스트립(52)의 길이방향 그루브들(54) 내에 스프링 레일들을 적절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13에 따른 지지부재의 실시예는(지지부재(314)의 실시예에 있어서 두 스프링 레일들(656) 사이의 길이방향 부분과 이 부분과 연결된 간격(57)을 제외하고) 도10 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상응한다. 반쪽부(16)에 대한 피팅 위치(615)의 영역 내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레일은 외부 방향으로 향해 있는 하나의 팽창부(617)를 가지고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의 폭이 좁은 지지부재(614)의 경우에도 또한 치수(36)가 제공된다. 상기에 상응하는 사항은 지지부재(614)의 두 단부들의 형성예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상기의 경우 마찬가지로 그에 상응하는 팽창부(618)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홀더(28)의 피팅 위치들 영역 내에 있어서 치수(40)가 제공된다. 도11에서 도13까지에 따르는 실시예의 경우 캡들(28) 뿐 아니라 반쪽부(16)는 와이퍼 스트립(52)의 길이방향 그루브들(54) 내에 스프링 레일들을 적절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자명한 사실에 있어서, 앞서 언급하고, 도면으로부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모든 지지부재들(414, 514, 614)에 있어서 치수(3636 및 40)를 치수화 할 시에 간격(57)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분명하게는 도1에서부터 도4까지 그리고 도8에서부터 도10까지 뿐 아니라 도5에서 도7까지 그리고도11에서 도13까지에 따라 기술된 두 실시예의 경우, 비록 와이퍼 블레이드들이 특히 길이에 있어서 그리고 폭에 있어서 상이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지지부재(114, 214, 314) 또는 지지부재(414, 514, 614)들을 그에 상응하게 설계함으로써 연결장치(18)용의 동일한 반쪽부들(16)과 동일한 홀더(28)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모든 지지부재들의 폭들이 반쪽부 및 캡에 대한 상기의 피팅 위치들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혹은 와이퍼 스트립의 다른 치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크기를 갖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몇몇 타입의 연결장치 반쪽부 및 캡을 이용하여 상이한 크기의 와이퍼 블레이드들의 광범위한 팔레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각각의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속하고 유리 패널(12)에 인접 가능하고 유리 패널에 대면하는 하부의 밴드표면(21)에 배치되는 각각의 와이퍼 스트립(22)을 위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모양 스프링 탄성 지지부재(14)를 구비하며, 유리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부의 밴드 표면(15)에서 각각의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단면 내에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연결장치(18) 반쪽부(16)가 고정되어 있는,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상이한 치수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 단면 내 지지부재의 폭(36)은 상기 지지부재의 다른 치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연결장치(18) 반쪽부(16)는 각각의 지지부재(14)의,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는 두 외부 길이방향 에지들(34)을 길이방향 견부(31)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각각의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속하고 유리 패널(12)에 인접 가능하고 유리 패널에 대면하는 하부의 밴드 표면(21)에 배치되는 각각의 와이퍼 스트립(22)을 위한 스트립 모양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탄성 지지부재(14)를 구비하며, 유리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부의 밴드 표면(15)에서 각각 지지부재(14)의두 끝 단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 하나의 캡(28)이 고정되어 있는, 특히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의 끝 단면에서의 지지부재(14)의 폭은 상기 지지부재의 다른 치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28)은 각각의 지지부재(14)의,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해 있는 두 외부 길이방향 에지들(34)을 길이방향 견부(43)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재(14)가 장치 반쪽부(16)의 피팅 위치 영역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 일체형 스트립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스트립.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쪽부(18)에 대한 피팅 위치의 폭(36)이 지지부재(214 또는 514)의 부분적 측면 단면 수축부(217 또는 517)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쪽부(18)에 대한 피팅 위치의 폭(36)이 지지부재(314 또는 614)의 부분적 측면 팽창부(317 또는 617)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8. 제6항에 있어서, 단면 수축부(217 또는 517)의 길이(218 또는 518)가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의 장치 반쪽부(18)의 길이에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지지부재(114 또는 214 또는 314)가 캡(28)의 피팅 위치 영역에서 동일한 폭(40)을 포함하는 일체형 스트립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캡(28)에 대한 피팅 위치의 폭이 지지부재(214 또는 514)의 부분적 측면 단면 수축부(219 또는 519)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9항에 있어서, 캡(28)에 대한 피팅 위치의 폭(40)이 지지부재(314 또는 614)의 부분적 측면 단면 팽창부(318 또는 618)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10항에 있어서, 단면 수축부(519)의 길이가 캡(28)의 길이에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414 또는 514 또는 614)가 서로 평행하고 서로에 대해 간격(57)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는 2개의 스프링 레일(456 또는 556 또는 656)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나의 지지부재(414 또는 514 또는 614)에 속하는 두 개의 스프링 레일들(456 또는 556 또는 656)이 와이퍼 스트립(52)의 길이방향 그루브(44) 내에 배치되고, 상기 그루브는 간격(53) 만큼 이격되어 유리 패널(12) 전방에 위치하는 공동의 평면 내에 위치하며 상기 그루브의 기초면들은 서로에 대해 간격(57)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027003828A 1999-09-24 2000-08-30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다양한 치수의 와이퍼 블레이드들 KR100765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5858A DE19945858A1 (de) 1999-09-24 1999-09-24 Wischblätter unterschiedlicher Abmessungen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945858.8 199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412A true KR20020059412A (ko) 2002-07-12
KR100765590B1 KR100765590B1 (ko) 2007-10-09

Family

ID=792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828A KR100765590B1 (ko) 1999-09-24 2000-08-30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다양한 치수의 와이퍼 블레이드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10556B1 (ko)
EP (1) EP1663745A1 (ko)
JP (1) JP2003510218A (ko)
KR (1) KR100765590B1 (ko)
CN (1) CN1182994C (ko)
AU (1) AU7505800A (ko)
BR (1) BR0014202A (ko)
CZ (1) CZ20021019A3 (ko)
DE (2) DE19945858A1 (ko)
RU (1) RU2260528C2 (ko)
WO (1) WO20010232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43B1 (ko) * 2005-11-30 2008-03-14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12047T2 (de) * 2001-05-08 2006-06-01 Federal-Mogul S.A.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20220355U1 (de) 2002-11-15 2004-04-01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335394A1 (de) * 2003-02-21 2004-09-0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US7150066B1 (en) 2005-06-15 2006-12-19 Shih Hsien Huang Windshield wiper structure for vehicles
TWM288871U (en) * 2005-09-23 2006-03-21 Shih-Hsien Huang Special connector for car wiper arm
US20070266517A1 (en) * 2005-10-04 2007-11-22 Adm 21 Co., Ltd Automotive wiper assembly
KR100699187B1 (ko) 2005-11-30 2007-03-2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KR100733623B1 (ko) 2005-12-05 2007-06-29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US7299520B2 (en) * 2006-03-24 2007-11-27 Shih-Hsien Huang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US20070221365A1 (en) * 2006-03-24 2007-09-27 Evapco, Inc. U-shaped heat exchanger tube with a concavity formed into its return bend
US8122560B2 (en) * 2006-08-04 2012-02-28 Dongguan Hongyi Wiper Co., Ltd. Windshield wiper bridge base assembly
US20080028564A1 (en) * 2006-08-04 2008-02-07 Shu-Lan Ku Wiper blade support structure
US7992248B2 (en) 2007-05-22 2011-08-09 Federal-Mogul Corporation Spoilerless flat wiper blade assembly
KR100988456B1 (ko) 2008-11-26 2010-10-20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
KR101098004B1 (ko)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HUE041441T2 (hu) * 2009-08-27 2019-05-28 Trico Products Corp Ablaktörlõ elrendezés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8495787B2 (en) 2010-08-03 2013-07-30 Rally Manufacturing, Inc. Windshield wiper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A2843637C (en) 2011-07-29 2018-12-1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474838B1 (ko)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E102013217983A1 (de) * 2013-09-09 2015-03-26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mit verbessertem Kriechverhalten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9539987B2 (en) 2014-04-01 2017-01-1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434355B2 (en) 2014-04-01 2016-09-0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EP3368383B1 (en) 2015-10-26 2021-08-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DE102015225991A1 (de) * 2015-12-18 2017-06-2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ischblattvorrichtung
US11345316B2 (en) * 2016-02-15 2022-05-31 Trico Belgium S.a.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70313285A1 (en) * 2016-05-02 2017-11-02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US10717414B2 (en) 2016-05-19 2020-07-2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US10766462B2 (en) 2016-05-19 2020-09-0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513246B2 (en) 2016-05-19 2019-12-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8081791A1 (en) 2016-10-31 2018-05-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CN111845642A (zh) * 2020-06-10 2020-10-30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无骨雨刮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0617A (en) * 1950-05-23 1956-06-19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GB862036A (en) * 1958-02-01 1961-03-01 Bosch Gmbh Robert Improvements in windscreen wipers
DE1243998B (de) 1961-02-03 1967-07-06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uer Scheibenwischer
US3192551A (en) * 1964-08-31 1965-07-06 Walter D Appel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US3696497A (en) * 1970-11-19 1972-10-10 Hastings Mfg Co Method of making a backing strip for a wiper blade
GB1565955A (en) 1976-03-31 1980-04-23 Trico Folberth Ltd Wipers primarily for vehicle headlamps
DE9201307U1 (ko) * 1992-02-04 1993-05-2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US5361896A (en) * 1993-07-12 1994-11-08 Yang Ming Tung Self-assembly type interchangeable windshield wiper
DE19729865A1 (de) 1997-07-11 1999-01-14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Windschutz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802451A1 (de) * 1998-01-23 1999-07-2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langgestreckten, federelastischen Trage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43B1 (ko) * 2005-11-30 2008-03-14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505800A (en) 2001-04-30
KR100765590B1 (ko) 2007-10-09
WO2001023232A1 (de) 2001-04-05
CZ20021019A3 (cs) 2002-08-14
CN1376122A (zh) 2002-10-23
DE10082922D2 (de) 2002-08-29
RU2002109235A (ru) 2004-01-27
CN1182994C (zh) 2005-01-05
US6810556B1 (en) 2004-11-02
BR0014202A (pt) 2002-05-21
RU2260528C2 (ru) 2005-09-20
EP1663745A1 (de) 2006-06-07
JP2003510218A (ja) 2003-03-18
DE19945858A1 (de) 200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590B1 (ko)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다양한 치수의 와이퍼 블레이드들
JP4813719B2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装置
KR100501753B1 (ko) 자동차의윈드실드용와이퍼블레이드
KR100622840B1 (ko) 차량의 윈드실드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와이퍼블레이드 장착 방법
US9446741B2 (en) Wiper blade comprising a support mount, an internal vertebra and a connecting element
KR101680042B1 (ko) 연결 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KR100578703B1 (ko) 자동차 유리창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JP4204480B2 (ja) 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と、該ワイパアームに枢着された、ガラス特に自動車のガラスを清掃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とを備えたワイパレバー
JP4944333B2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ウガラス用のワイパブレード
US6668419B1 (en) Wiper blade for glass surfaces of motor vehicles
US8769762B2 (en) Wiper blade
JP4001638B2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ガラスに用いられるワイパブレード
US8499408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6779661B1 (en) Packing unit for a vehicle windscreen wiper blade which is at least partly located therein
EP1745997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50177970A1 (en) Wiper device comprising a flat wiper blade and wiper arm
US20130185889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JP2001500090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に用いられるワイパ装置
KR20000068680A (ko) 차유리 와이퍼
JP458675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4523403A (ja) 自動車用のワイパー装置
DE59811717D1 (de)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langgestreckten, einendig am kraftfahrzeug geführten, angetriebenen wischerarm
US20100218334A1 (en) windscreen wiper arm
US20150135466A1 (en) Locking coupler for wiper assembly
CA2582102A1 (en) A windscreen wiper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