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874A - 푸쉬-풀 증폭기 및 pwm 리미터 - Google Patents

푸쉬-풀 증폭기 및 pwm 리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874A
KR20020056874A KR1020027000955A KR20027000955A KR20020056874A KR 20020056874 A KR20020056874 A KR 20020056874A KR 1020027000955 A KR1020027000955 A KR 1020027000955A KR 20027000955 A KR20027000955 A KR 20027000955A KR 20020056874 A KR20020056874 A KR 20020056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output
pulse width
width modulator
pul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9241B1 (ko
Inventor
버크하우트마르코
Original Assignee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Publication of KR2002005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6Push-pull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조 깊이를 한정하는 펄스폭 변조기 리미터를 갖는 개선된 푸쉬-풀 증폭기를 제공한다. 이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극복될 수 있으며, 하이측 출력 스위치가 왜곡을 일으키는 기간동안 폐쇄될 수 있다.

Description

푸쉬-풀 증폭기 및 PWM 리미터{PWM LIMITER}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에는 D급 증폭기(class D amplifier)와 같은 DS 101277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연장된 기간동안 스위치들 중 하나가 활성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터(limiter)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푸쉬-풀 증폭기 및 펄스폭 변조기의 문제점은 상기 푸쉬-풀 증폭기의 칩 동작으로 출력 신호의 스펙트럼이 예측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개시된 푸쉬-풀(push-pull)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푸쉬-풀 증폭기용 펄스폭 변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푸쉬-풀 증폭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펄스폭 변조기 및 발진기 신호들의 타이밍도.
도 3은 펄스폭 변조기의 리미팅 로직의 상태도.
도 4는 펄스폭 변조기의 리미터 로직의 카르노 맵(karnaugh map)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펄스폭 변조기의 리미터 로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리미터를 갖는 펄스폭 변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태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타이밍 신호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갖지 않는 푸쉬-풀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푸쉬-풀 증폭기를 보다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증폭기는 청구항 1의 특징을포함한다.
본원 명세서에는 본원 출월인과 동일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된 다음의 계류중인 특허출원이 상호참조되어 있다.
"Carrousel handshake" applicant's ref.Nr.ID603908, Application No.0 201 818.2
"Level shifter" applicant's ref.Nr.ID60468, Application No.0 201 826.5
"Silent start" applicant's ref.Nr.ID604681, Application No.0 201 827.3
"Demodulation filter"applicant's ref.Nr.ID604683, Application No.0 201 829.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하기에 개시된 예들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증폭기(PPA)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입력 유닛(IU)을 통하여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 유닛은 펄스폭 변조기(PWM)에 결합되어 있으며, PWM의 출력측은 스위칭 유닛(SU)에 결합되어 있다. 스위칭 유닛은 복조 필터(DF)를 통해 증폭기의 출력측(O)에 출력 신호를 공급한다.
펄스폭 변조기는 피드백 소자(RF)를 갖는 피드백 루프 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백 소자의 한 쪽은 스위칭 유닛(SU)의 출력측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펄스폭 변조기의 입력측에 결합된다.
펄스폭 변조기는 제 1 적분기(FI)와 제 2 적분기(SI) 및 비교기(COM)을 포함하고, 제 1 적분기의 입력측은 입력 유닛(IU)의 출력측에 결합되고, 제 2 적분기의 입력측은 제 1 적분기(FI)의 출력측에 결합되며 또한 발진기(OSC)에 결합된다.
스위칭 유닛(SU)은 스위치 제어 유닛(SCU)과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를 각각 포함한다. 본 예에서, 복조 필터는 인덕턴스(L)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캐패시턴스(C)가 2차 저역 복조 필터 또는 보다 높은 차수의 복조 필터일 수 있다.
펄스폭 변조기(PWM)를 갖는 제어루프의 안정성은, 루프로 공급된 신호전류(Isig)가 피드백 전류(Ifb)를 초과하지 않는 한 보장될 수 있다. 신호 전류가 너무 크게 되면, 내부 신호가 다시 감소하여 루프가 제어를 다시 시작할 때까지, 내부 3각 신호(internal triangular signal)가 발산하여 출력이 영구적으로 하이측(highside) 또는 로우측(lowside)으로 스위칭된다. 복조 필터 다음에서 이것은 출력 신호의 클리핑(clipping)으로 나타난다. 변조 깊이가 0-100%로 한정되기 때문에, 클리핑은 실제로 펄스폭 변조 영역(the pulse width modulation domain)에서 발생한다.
출력이 영구적으로 한 쪽으로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출력 신호의 모든 스펙트럼이 예측불가능하게 된다. PWM 신호 및 스펙트럼 해석에 있어서, 변조는 0-100%로 제한된다. 그 결과, 고주파수 스펙트럼은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 근방에 집중된다. 이 효과는 PWM 신호가 다른 대역의 한정된 고주파수 신호들과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PWM 신호가 클리핑되면, 캐리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며, 스펙트럼 성분들이 어떠한 주파수에서도 나타나게 되어 다른 신호들을 교란시킬 수 있다.
둘째, 푸쉬-풀 증폭기 내의 스위칭 유닛이 이른바 부트스트랩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하이측 드라이버를 대신할 수 있다. 출력이 하이측으로 스위칭되면, 부트스트랩 캐패시터는 하이측 드라이버에 의해 방전된다. 부트스트랩 전압이 소정의값 이하로 강하하면, 하이측 스위치는 오프되고 스위칭 유닛의 출력은 고저항으로 된다. 이것은 부하에서(예를 들면, 확성기에서) 스트레인지 가청 효과(strange audible effect)를 유발할 수 있다.
전술한 두 효과는, 변조 깊이가 예를 들어 5-95%로 한정되면 회피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캐리어 주파수는 항상 출력 스펙트럼 내에 존재하며, 부트스트랩 캐패시터는 각각의 클록 사이클에서 재충전된다. 변조 깊이는 비교기(COM)의 출력 신호를 클록 신호와 결합함으로서 자동으로 한정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적분기 대신에, 단지 하나의 적분기만 사용하여 비교기의 반전 입력측에 예를 들어 톱니파 신호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발진기에 대해 비교된 pwm 신호의 타이밍이 5%, 50%, 95%의 변조 깊이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pwm 신호의 상승 에지는 항상 발진기 신호의 상승 에지에 선행하며, 하강 에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결국, 발진기의 상승 에지 동안 pwm 신호가 로우이면, 루프는 제어 범위 밖에 있게 된다. 이제 클록의 상승 에지에 의해 아주 짧은 펄스가 발생되어 스위칭 유닛을 스위칭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출력측에 최소 펄스폭이 발생할 수 있다. 하강 에지에 대해 그 역이 성립한다. 이런 방식으로, 변조 깊이는 자동으로 한정된다. 최소 출력 펄스의 길이는, 파워 경로에 사용될 수 있는 이른바 핸드세이크 시스템(handshake system)의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형태로 변조 경로의 한정이 논리 함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논리 함수의 상태 변화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태 변화 도면으로부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카르노 맵(karnaugh map)이 유도된다. 카르노 맵은 다음의 상황을 고려하여 비트 R 및 S에 대한 복합 로직 회로를 구현함으로서 직접 번역된다. 제어 루프가 조절 범위 외부에 있고, 비교기의 출력(comp)이 항상 하이라고 가정하자. 또한 osc 신호가 하이인 경우, PWM 리미터 로직은 상태 11로 점프하고 출력 pwm은 하이가 된다. 이제 osc가 로우가 되면, 로직은 상태 10으로 점프하고 pwm은 하이로 남게 된다. 그 다음 osc가 다시 하이로 되면, 로직은 상태 00으로 점프하여 pwm이 로우가 되며 그 바로 다음에 상태 11로 점프하여 pwm이 다시 하이로 된다. 그 결과, pwm 신호는 아주 짧은 펄스를 나타내는데, 이 짧은 펄스는 스위칭 유닛의 출력이 또한 (최소) 길이 펄스를 나타내도록 한다. pwm 펄스가 스위칭 유닛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PWM 리미터는 그 목적이 사라지게 된다. pwm 신호의 검출을 보장하기 위해, 핸드세이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pwm 신호의 변화가 스위칭 유닛으로부터 확인될 때까지 PWM 리미터 로직이 상태 00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핸드세이크가 조직된다. 상기 확인은 릴리스(release) 신호로부터 획득된다.
PWM 리미터의 로직 구현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enablepower가 로우이면, 스위칭 유닛은 비활성이 되고 이 경우에 release는 계속해서 하이가 되며, pwm 신호는 바로 피드백되고 핸드세이킹이 스위칭 유닛으로 행해진다. enablepower가 하이이면 스위칭 유닛은 활성으로 된다. 이제 release가 pwm 대신에 피드백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release 신호는 약간의 지연을 갖고 pwm 신호를 뒤따른다. 결국, PWM 리미터 로직의 타이밍은 캐로설(carrousel)과 동기한다.
스위칭 유닛의 출력에서 펄스의 최소 길이는 스위칭 유닛에 의해 제어됨에 주목하라. PWM 리미터는 출력 펄스를 발진기의 주기와 비교함으로서 출력 펄스의 최대 길이를 한정한다.
도 6에서, 푸쉬-풀 증폭기의 예의 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또한 도 1을 참조하라). 입력 유닛(IU6)은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펄스폭 변조기(PWM6)에서, 종래의 푸쉬-풀 증폭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신호가 얻어지며, 펄스폭 변조기(PWM6)와 스위칭 유닛(SU6) 사이에 펄스폭 변조기 리미터(PLIM6)가 배치되어, 이에 따라 로직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한다.
각각의 클록 사이클 대신에 출력에서 각각의 두 클록 사이클마다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변조 깊이는 종래 기술의 단점 없이 개선될 수 있다.
도 7은 발진기 신호(osc)로부터 두 개의 신호(osclow, oschigh)를 갖는 보정된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로써, 클리핑 동안 스위칭의 횟수가 반분되어 증폭기의 성능을 보다 더 향상시키며 EMC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의 발명의 명칭이 "caroussel Handshake"인 특허출원을 참조하라. 상기 출원에는 출력에서 펄스의 최소 길이가 크로설(caroussel)에서 결정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Claims (4)

  1.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출력부를 갖는 푸쉬-풀 증폭기(a push-pull amplifier)에 있어서,
    상기 푸쉬-풀 증폭기는 적어도 두 개의 적분기, 비교기, 피드백 소자를 포함하는 펄스폭 변조기와, 상기 펄스폭 변조기의 출력부에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유닛과, 상기 스위칭 유닛의 출력에 결합된 복조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폭 변조기는 복조 깊이를 한정하는 펄스폭 변조기 리미터를 포함하는
    푸쉬-풀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기 리미터는 제 1 입력부에서 비교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입력부에서 발진기 신호를 수신하는 두 개의 입력과 상기 푸쉬-풀 증폭기의 출력부에 결합된 출력부를 갖는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푸쉬-풀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풀 증폭기는 D급 증폭기(class D amplifier)인 푸쉬-풀 증폭기
  4. 제 1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푸쉬-풀 증폭기에 사용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기 리미터.
KR1020027000955A 2000-05-25 2001-05-03 푸쉬-풀 증폭기 및 pwm 리미터 KR100809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1828.1 2000-05-25
EP00201828 2000-05-25
PCT/EP2001/004997 WO2001091284A1 (en) 2000-05-25 2001-05-03 Pwm limi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874A true KR20020056874A (ko) 2002-07-10
KR100809241B1 KR100809241B1 (ko) 2008-02-29

Family

ID=817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955A KR100809241B1 (ko) 2000-05-25 2001-05-03 푸쉬-풀 증폭기 및 pwm 리미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77186B2 (ko)
EP (1) EP1293038B1 (ko)
JP (1) JP2003534691A (ko)
KR (1) KR100809241B1 (ko)
AT (1) ATE429070T1 (ko)
DE (1) DE60138382D1 (ko)
WO (1) WO2001091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2478B1 (fr) * 2000-07-27 2003-01-10 Rene Lambruschi Circuit electronique de conversion d'un signal et amplificateur integrant ledit circuit
JP2002299968A (ja) * 2001-03-30 2002-10-11 Pioneer Electronic Corp D級アンプ
AT411415B (de) * 2001-12-11 2003-12-29 Bier Guenther 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einem eingangs-datenstrom folgenden wechselspannung
US7038535B2 (en) * 2003-03-29 2006-05-02 Wai Laing Lee PWM digital amplifier with high-order loop filter
US7271650B2 (en) * 2004-03-26 2007-09-18 Asp Technologies PWM digital amplifier with high-order loop filter
US7516114B2 (en) * 2004-10-22 2009-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 structuring of multivariable data
US7218173B2 (en) * 2005-04-08 2007-05-15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inimum on time, dual supply class D amplifiers with ground speaker returns and methods of class D amplification
JP2008536434A (ja) * 2005-04-15 2008-09-04 ボビナドス デ トランスフォルマドレス エセ エレ D級増幅器
JP2010504004A (ja) * 2006-07-07 2010-02-04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D級音声増幅器
US7518442B1 (en) * 2006-10-10 2009-04-1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suppressing switching and supply-related errors in a PWM power stage by instantaneous per-pulse feedback
US8081022B2 (en) * 2007-03-14 2011-12-20 Nxp B.V. Data processing system for clipping correction
EP2162984B1 (en) * 2007-06-27 2014-05-21 Nxp B.V. Pulse width modulation circuit and class-d amplifier comprising the pwm circuit
JP2011097504A (ja) * 2009-11-02 2011-05-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電源回路
WO2011052357A1 (en) * 2009-10-28 2011-05-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wm limiter circuit
EP2562933A1 (en) 2011-08-25 2013-02-27 Nxp B.V. Class D amplifier and control method
EP3281293B1 (en) * 2015-04-09 2019-02-13 Icepower A/S Duty cycle clipper
US11646707B2 (en) * 2020-05-21 2023-05-09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Analog front end with pulse width modulation current compensation
US11463052B2 (en) 2020-11-30 2022-10-04 Stmicroelectronics S.R.L. PWM driving circui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829A (en) * 1991-09-27 1995-02-14 Exar Corporation Output limiter for class-D BICMOS hearing aid output amplifier
US5777512A (en) * 1996-06-20 1998-07-07 Tripath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sampled, noise-shaping, mixed-signal processing
US5974089A (en) * 1997-07-22 1999-10-26 Tripath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by qualifying pulses in an oversampled noise-shaping signal processor
JP2001515694A (ja) 1998-01-22 2001-09-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Pwm増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91284A1 (en) 2001-11-29
EP1293038A1 (en) 2003-03-19
KR100809241B1 (ko) 2008-02-29
US20020000877A1 (en) 2002-01-03
US6577186B2 (en) 2003-06-10
JP2003534691A (ja) 2003-11-18
ATE429070T1 (de) 2009-05-15
DE60138382D1 (de) 2009-05-28
EP1293038B1 (en)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241B1 (ko) 푸쉬-풀 증폭기 및 pwm 리미터
US20040232978A1 (en) Filterless class D amplifiers using spread spectrum PWM modulation
US20080030270A1 (en) Startup and shutdown click noise elimination for class d amplifier
US6737843B2 (en) PWM switching regul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H10224159A (ja) 時間遅延補償広帯域クラスs変調器およびその方法
KR20070094980A (ko) 엔벨로프 제거 및 복원 송신기 구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가변 대역폭 엔벨로프 변조기 및 엔벨로프 제거 및 복원송신기용 방법
CN109687853B (zh) 脉冲宽度调制电路、对应的设备和方法
JPH10163764A (ja) 広帯域クラスs変調器およびその方法
KR960006363A (ko) 비연속적인 수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수신기에 대한 턴온 시간을 최소화하는 장치 및 방법
JPH03132117A (ja) 位相周波数比較器
US20050146366A1 (en) High-resolution digital pulse width modulator and method for generating a high-resolution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EP1184973B1 (en) Power amplification equipment
US6384678B2 (en) Silent start
US11329618B2 (en) Fully differential PWM/PFM power converter control
EP0058724B1 (en) Power amplifier
DE59601583D1 (de) Umrichter
US6518837B2 (en) Push-pull amplifier
JP2843728B2 (ja) パルス幅変調増幅回路
US6331801B1 (en) RF amplifier system having an improved power supply
JP2734415B2 (ja) レーザダイオード駆動回路
JPH0846497A (ja) 周波数位相比較器
KR100222075B1 (ko) 고속응답기능을 갖는 주파수합성pll
KR960007571B1 (ko) 교환기 가입자회로에 있어서 스위칭 레귤레이터
CN114977806A (zh) 功率转换器以及变压方法
JP2001197755A (ja) スイッチ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