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689A -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689A
KR20020055689A KR1020000084890A KR20000084890A KR20020055689A KR 20020055689 A KR20020055689 A KR 20020055689A KR 1020000084890 A KR1020000084890 A KR 1020000084890A KR 20000084890 A KR20000084890 A KR 20000084890A KR 20020055689 A KR20020055689 A KR 20020055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bonder
semiconductor package
pusher
di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9504B1 (ko
Inventor
이태헌
Original Assignee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Priority to KR10-2000-008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5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7Means for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2Alig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를 다이본더의 작업대상에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배열시켜, 반도체 칩 부착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다이본더 작업대의 한쪽 모서리에 보상홈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대각방향의 모서리에 직각 형상의 푸셔를 피스톤축으로 갖는 공압실린더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Device for fixing substrate of die bonder and method for fix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를 다이본더의 작업대상에 항상 일정한 위치로 정확하게 배열시켜, 반도체 칩 부착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패키지는 리드프레임, 인쇄회로기판, 회로필름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로 제조되는 바, 공통적으로 상기 나열한 부재의 칩부착영역에 반도칩을 부착하는 공정과; 반도체 칩의 본딩패드와 부재의 와이어 본딩영역간을 와이어로 본딩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칩과 와이어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수지로 몰딩하는 공정등을 거치게 된다.
상기 반도체 칩 부착 공정은 다이 본더(Die bonder) 장비에서 이루어지는데, 일단 반도체 칩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다이본더의 작업대상으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가 이송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낱개의 단위 또는 다수의 반도체 패키지 영역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스트립 단위의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가 상기 다이본더의 작업대상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본더의 작업대로 이송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의 칩부착영역에 반도체 칩을 픽업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다이본더의 작업대로 이송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가 정확하게 배열되지 않으면, 칩부착영역이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나, 정확한 반도체 칩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수의 반도체 패키지 영역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스트립 단위의 부재보다, 낱개 단위의 부재를 다이본더의 작업대에 포함되어 있는 다이본딩 위치에 정확하게 배열시키기 어려워 다이 부착상태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다이본더의 작업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다이본딩 영역에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를 항상 정확하게 배열시킬 수 있는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이 본더의 작업대12 : 지지대
14 : 보상홈16 : 공압실린더
18 : 푸셔(Pusher)20 :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이본더의 작업대의 한쪽 모서리에 보상홈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대각방향의 모서리에 직각 형상의 푸셔를 피스톤축으로 갖는 공압실린더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대와 푸셔는 완충용 고무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이본더의 작업대에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가 이송되는 단계와; 이송된 부재의 일측 모서리가 작업대에 설치된 지지대의 보상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부재를 공압실린더의 푸셔가 밀어주는 단계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푸셔에 의하여 부재가 보상홈에 삽입되는 동시에 직각 형상의 지지대에 완착되어 다이본딩 위치로 정확하게 제어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와 그 작동상태를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상기 다이본더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의 칩부착영역에 반도체 칩을 부착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장비이다.
상기 다이본더의 작업대(10)에는 다이(=반도체 칩)본딩을 위하여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가 안착되는 다이 본딩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본더의 작업대(10)의 한쪽 모서리에 직각형상의 지지대(12)를 형성하되, 이 지지대(12)의 꼭지점 부위에는 오목한 보상홈(14)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2)와 대각방향을 이루는 다이본더 작업대(10)의 모서리에는 직각 형상의 푸셔(18)를 피스톤축으로 갖는 공압실린더(16)가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지지대(12)와 푸셔(18)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완충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다이본더의 작업대(10)로 스트립 또는 낱개 단위의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20)가 이송되면, 상기 공압실리더(16)의 구동으로 피스톤축 역할을 하는 푸셔(18)가 상기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20)의 한쪽 모서리를 밀게 되고, 동시에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20)의 반대쪽 모서리가 상기 지지대(12)에 밀착되며 보상홈(14)으로 삽입되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압실린더(16)의 푸셔(18)는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각 형상을 띠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20)의 일측 모서리와 밀착되어 용이하게 밀어줄 수 있고, 동시에 상기 푸셔(18)에 의하여 밀리게 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20)의 대각 방향 모서리는 지지대(12)에 밀착되되, 그 꼭지점이 보상홈(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20)는항상 일정하고 정확한 배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20)를 밀어주는 푸셔(18)와, 상기 지지대(12)는 완충 고무재로 형성되어,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20)에 충격을 주지 않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다이본더의 작업대상에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가 항상 일정하고 정확한 배열을 이루게 됨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의 칩탑재영역에 반도체 칩을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이본더의 작업대상에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가 항상 일정하고 정확한 배열을 이루게 되어, 부재의 칩부착영역에 반도체 칩을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다이본더의 작업대의 한쪽 모서리에 보상홈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형성하고, 대각방향의 모서리에 직각 형상의 푸셔를 피스톤축으로 갖는 공압실린더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푸셔는 완충용 고무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3. 다이본더의 작업대에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부재가 이송되는 단계와;
    이송된 부재의 일측 모서리가 작업대에 설치된 지지대의 보상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부재의 반대쪽 모서리를 밀어주는 단계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푸셔에 의하여 상기 부재가 보상홈에 밀리며 삽입되는 동시에 직각 형상의 지지대에 완착되어 다이본딩 위치로 정확하게 제어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 방법.
KR10-2000-0084890A 2000-12-29 2000-12-29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 KR10036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890A KR100369504B1 (ko) 2000-12-29 2000-12-29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890A KR100369504B1 (ko) 2000-12-29 2000-12-29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689A true KR20020055689A (ko) 2002-07-10
KR100369504B1 KR100369504B1 (ko) 2003-01-30

Family

ID=2768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890A KR100369504B1 (ko) 2000-12-29 2000-12-29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5165B2 (en) 2014-04-16 2016-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e bonding device
KR20190056548A (ko) * 2017-11-17 2019-05-27 김광석 포토마스크 표면 이물질 세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5165B2 (en) 2014-04-16 2016-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e bonding device
KR20190056548A (ko) * 2017-11-17 2019-05-27 김광석 포토마스크 표면 이물질 세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9504B1 (ko) 200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154B1 (ko) 흡착 기구 및 흡착 방법, 그리고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89098B1 (ko)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US7304362B2 (en) Molded integrated circuit package with exposed active area
MY1344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JP5345475B2 (ja) 切削装置
JP2011040542A (ja) パッケージ基板の分割方法
KR20090030540A (ko) 반도체 패키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반도체 패키지의제조장치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그리고 반도체패키지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2005142554A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これを適用した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KR20190031130A (ko) 보유 지지 부재, 보유 지지 부재의 제조 방법, 보유 지지 기구 및 제품의 제조 장치
KR20200038852A (ko) 직사각형 기판의 연삭 방법
US20020139235A1 (en) Sing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s
KR100369504B1 (ko) 다이본더의 부재 고정장치 및 방법
KR100571515B1 (ko) 반도체 제조용 척 테이블 및 반도체 패키지 절단방법
JPH0837225A (ja) 半導体製造用治具および前記治具を使用した検査装置
WO2006033498A1 (en) Chuck table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KR20050064292A (ko) 반도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7263B1 (ko) 기판 고정용 플레이트
KR20070042336A (ko) 단일 블레이드를 이용한 이중 소잉 장치 및 방법
KR100329389B1 (ko) 반도체 패키지용 스트립의 위치 정렬 장치
WO2006043901A1 (en) Singulating and de-tapping arrays of semiconductor packages
KR20210059975A (ko) 웨이퍼 이송 장치
JPH1027995A (ja) Ic位置決め方法
KR100355744B1 (ko) 반도체 패키지 구조
KR20160135472A (ko) 반도체 소자 픽업 장치
JP2004074359A (ja) Xy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