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202A -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202A
KR20020051202A KR1020000080755A KR20000080755A KR20020051202A KR 20020051202 A KR20020051202 A KR 20020051202A KR 1020000080755 A KR1020000080755 A KR 1020000080755A KR 20000080755 A KR20000080755 A KR 20000080755A KR 20020051202 A KR20020051202 A KR 20020051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ot
hot link
ports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1202A/ko
Publication of KR2002005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2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2Fault indication and loc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7Redund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전송부에서 다른 전송부로 8비트 데이터, 워치독(watch dog) 커맨드 및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함께 송신한 후 되돌아오는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먼저 판단하고 나서 워치독을 나중에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송신된 워치독과 수신된 워치독의 일치 여부를 계속 판단하여야 하는 과정 이전에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에러발생여부를 판단하고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에러발생이 있는 즉시 이중화 수신포트를 신속히 절체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전송로의 안정적인 절체를 이룩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method for switching data transmission port}
본 발명은 핫링크포트(hot-link port)의 이중화 절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핫링크포트의 이중화 절체를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의 안정화를 이룩하도록 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나 전송장치에서는 핫링크를 이용한 단대단(end to end)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상기 단대단 사이의 데이터전송로가 단절되는 현상과 같은 선로케이블 상의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단대단 사이의 데이터전송이 불가능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단대단 사이의 핫링크포트를 이중화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 방법은 단대단 사이의 이중화된 데이터전송로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워치독커맨드(watchdog command) 4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전송로의 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로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핫링크포트의 이중화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단대단 사이의 데이터전송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교환기나 전송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부(100)와 전송부(200)가 핫링크를 이용한 단대단간 이중화된 데이터전송로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전송부(100)는 핫링크송신부(110), 송신제어부(120), 핫링크수신부(130), 수신제어부(140) 및 에러발생경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핫링크송신부(110)는 송신제어부(120)로부터의 데이터 및 워치독을 전송부(200)의 핫링크수신부(210)로 송신한다. 핫링크수신부(130)는 전송부(200)의 핫링크송신부(220)로부터의 데이터 및 워치독을 수신한다. 수신제어부(140)는 핫링크수신부(130)로부터의 데이터 및 워치독을 수신하고 데이터전송의 에러발생이 있으면 수신제어부(130)로 핫링크수신포트의 절체를 요구하고 아울러 에러발생경보부(150)를 거쳐 데이터전송의 에러발생경보를 제어한다.
여기서, 핫링크송신부(110)의 송신포트는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111),(112)와 다른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113),(114)로 2중화된다. 마찬가지로, 핫링크수신부(130)의 수신포트도 1쌍의 핫링크수신포트(131),(132)와 다른 1쌍의 핫링크수신포트(133),(134)로 이중화된다. 핫링크수신부(210)의 수신포트는 1쌍의 핫링크수신포트(211),(212)와 다른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213),(214)로 2중화된다. 마찬가지로, 핫링크송신부(220)의 송신포트도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221),(222)와 다른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223),(224)로 이중화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데이터전송장치를 이용한 이중화 절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가령, 전송부(100)의 핫링크송신부(110)의 핫링크송신포트(111),(112)와 핫링크수신부(130)의 핫링크수신포트(131),(132)가 액티브상태라고 가정한다.
먼저, 단계(S1)에서 전송부(100)의 핫링크송신부(110)가 송신제어부(120)로부터의 8비트 데이터 및 워치독커맨드 4비트를 전송받아서 핫링크송신포트(111),(112)를 거쳐 상기 8비트 데이터를 핫링크수신부(210)의 핫링크수신포트(211),(213)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워치독커맨드 4비트를 예를 들어 "0001"로 셋팅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부(200)의 핫링크수신부(210)의 핫링크수신포트(211),(213)로 송신한다.
상기 8비트 데이터 및 워치독 데이터가 송신되고 나면, 단계(S3)에서 핫링크수신부(130)가 핫링크송신부(220)의 핫링크송신포트(221),(223)를 거쳐 핫링크수신포트(131),(132)로 송신되는 8비트 데이터 및 워치독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다시 수신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상기 8비트 데이터 및 워치독 데이터가 수시되고 나면, 단계(S5)에서 수신제어부(140)는 상기 핫링크송신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워치독 데이터가 미리 세팅한 "0001"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핫링크를 이용한 단대단 사이의 이중화된 데이터전송로의 단절이나 기타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8비트 데이터가 수신되더라도 정상적인 8비트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아니면 노이즈가 포함된 비정상적인 8비트 데이터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수신된 워치독이 미리 세팅한 워치독과 일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단계(S1)로 되돌아가서 상기 데이터 및 워치독을 송신한다. 반면에, 상기 수신된 워치독이 미리 세팅한 워치독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단계(S7)에서 핫링크수신부(130)가 상기 워치독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5)로 되돌아가서 다음에 수신되는 워치독이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반면에,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9)에서 상기 수신제어부(140)가 상기 핫링크수신포트(131),(132)를 핫링크수신포트(133),(134)로 절체하도록 하기 위해 핫링크수신부(130)를 제어한다. 이와 함께, 상기 수신제어부(140)가 에러발생경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에러발생경보부(15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단계(S11)에서는 상기 핫링크수신부(130)가 상기 핫링크수신포트(131),(132)를 핫링크수신포트(133),(134)로 절체한 후 단계(S1)로 되돌아간다. 또한, 에러발생경보부(150)가 에러발생을 경보하기 위한 경보음 또는 경보광과 같은 에러발생경보를 출력하거나, 경보메세지와 같은 에러발생경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상기 핫링크수신부(130)가 전송부(200)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절체된 핫링크수신포트(133)(134)를 거쳐 수신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주기적인 워치독커맨드 4비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내에"0001"의 데이터를 수신되는 지를 체크함으로써 핫링크를 이용한 단대단간 이중화된 데이터전송로에 선로이상이 발생하였는 지를 감지하고, 선로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이중화 포트를 절체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에는 "0001"을 기다리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므로 신속한 이중화 절체가 어렵다. 더욱이, 신속한 절체가 지연되는 동안 선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핫링크를 이용한 단대단 사이의 이중화된 데이터전송로의 이상여부를 신속히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로를 신속히 절체하도록 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전송로의 안정적인 절체를 이룩하도록 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중화된 포트를 갖는 전송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된 포트를 갖는 전송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은
데이터, 워치독을 제 1 전송부의 핫링크송신부에서 제 2 전송부의 핫링크수신부로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핫링크송신부의 링크실패지시자신호발생부에서 연속적인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송부의 핫링크송신부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워치독 및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상기 제 1 전송부의 핫링크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송부의 핫링크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이상발생여부를 상기 제 1 전송부의 수신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이상발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전송부의 핫링크수신부의 수신포트를 절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이상발생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워치독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워치독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워치독의 일치 여부를 일정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워치독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워치독 및 LFI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이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포트를 절체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핫링크간 주기적인 전기적인 캐리어를 서로 체크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부분과 동일 구성 및 동일 작용의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에 적용된 전송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송부(300)와 전송부(400)가 핫링크를 이용한 단대단간 이중화된 데이터전송로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전송부(300)는 핫링크송신부(310),송신제어부(320), 핫링크수신부(330), 수신제어부(340) 및 에러발생경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핫링크송신부(310)는 송신제어부(320)로부터의 데이터 및 워치독을 전송부(400)의 핫링크수신부(410)로 송신한다. 핫링크송신부(310)의 링크실패지시자(LFI) 신호발생부(315)가 링크실패지시자(LFI) 신호를 발생하여 핫링크수신부(410)로 송신한다. 핫링크수신부(330)는 전송부(400)의 핫링크송신부(420)로부터의 데이터 및 워치독을 수신하고 아울러 링크실패지시자신호(LFI)로 수신한다. 수신제어부(340)는 핫링크수신부(330)로부터의 데이터 및 워치독 및 링크실패지시자신호(LFI)를 수신하고 데이터전송의 에러발생이 있으면 수신부(330)로 핫링크수신포트의 절체를 요구하고 아울러 에러발생경보부(350)를 거쳐 데이터전송의 에러발생경보를 제어한다.
여기서, 핫링크송신부(310)의 송신포트는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311),(312)와 다른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313),(314)로 2중화된다. 마찬가지로, 핫링크수신부(330)의 수신포트도 1쌍의 핫링크수신포트(331),(332)와 다른 1쌍의 핫링크수신포트(333),(334)로 이중화된다. 핫링크수신부(410)의 수신포트는 1쌍의 핫링크수신포트(411),(412)와 다른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413),(414)로 2중화된다. 마찬가지로, 핫링크송신부(420)의 송신포트도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421),(422)와 다른 1쌍의 핫링크송신포트(423),(424)로 이중화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전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령, 전송부(300)의 핫링크송신부(310)의 핫링크송신포트(311),(312)와 핫링크수신부(330)의 핫링크수신포트(331),(332)가 액티브상태라고 가정한다.
먼저, 단계(S21)에서 전송부(300)의 핫링크송신부(310)가 송신제어부(320)로부터의 8비트 데이터 및 워치독커맨드 4비트를 전송받아서 핫링크송신포트(311),(312)를 거쳐 상기 8비트 데이터를 전송부(400)의 핫링크수신부(410)의 핫링크수신포트(411),(413)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워치독커맨드 4비트를 예를 들어 "0001"로 셋팅하여 주기적으로 핫링크수신부(410)의 핫링크수신포트(411),(413)로 송신한다. 그리고, 핫링크송신부(310)의 링크실패지시자(LFI) 신호발생부(315)가 예를 들어 2∼3초의 주기로 연속하여 링크실패지시자(LFI) 신호를 발생하여 핫링크수신부(410)로 송신한다. 상기 LFI신호는 핫링크간 전기적인 캐리어(carrier)를 연속적으로 체크하여 발생시키는 신호이다.
상기 8비트 데이터 및 워치독 데이터 및 링크실패지지자(LFI) 신호가 송신되고 나면, 단계(S23)에서 핫링크수신부(330)가 핫링크송신부(420)의 핫링크송신포트(421),(423)를 거쳐 핫링크수신포트(331),(332)로 송신되는 8비트 데이터 및 워치독 데이터 및 링크실패지시자(LFI)를 수신하고 이를 다시 수신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상기 8비트 데이터, 워치독 및 LFI가 수신되고 나면, 단계(S25)에서 수신제어부(340)는 상기 핫링크송신부(420)로부터 수신되는 LFI신호의 에러발생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이는 일정시간을 경과한 후에 워치독의 이상여부를 결정함에 따른 종래의 신속하지 못한 절체를 신속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수신된 LFI신호의 에러발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전송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단계(S27)에서 상기 수신제어부(340)가 상기 핫링크수신포트(331),(332)를 핫링크수신포트(333),(334)로 절체를 요구하기 위해 핫링크수신부(330)를 제어한다. 이와 함께, 상기 수신제어부(340)가 에러발생경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에러발생경보부(35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치독의 일치 여부 판단에 상관없이 LFI신호의 이상여부만을 간단히 판단함으로써 수신포트의 신속한 절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신된 LFI신호의 에러발생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9)에서 상시 수신제어부(340)는 상기 수신된 워치독 데이터가 미리 세팅한 "0001"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핫링크를 이용한 단대단 사이의 이중화된 데이터전송로의 단절이나 기타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8비트 데이터가 수신되더라도 정상적인 8비트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아니면 노이즈가 포함된 비정상적인 8비트 데이터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수신된 워치독이 미리 세팅한 워치독과 일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단계(S21)로 되돌아가서 상기 데이터 및 워치독 및 LFI신호를 송신한다. 반면에, 상기 수신된 워치독이 미리 세팅한 워치독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단계(S31)에서 핫링크수신부(330)가 상기 워치독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9)로 되돌아가서 다음에 수신되는 워치독이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반면에,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7)로 진입하여 상기 수신제어부(340)가 상기 핫링크수신포트(331),(332)를 핫링크수신포트(333),(334)로 절체를 요구하기 위해 핫링크수신부(330)를 제어한다. 이와 함께, 상기 수신제어부(340)가 에러발생경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에러발생경보부(35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단계(S33)에서는 상기 핫링크수신(330)가 상기 핫링크수신포트(331),(332)를 핫링크수신포트(333),(334)로 절체한 후 단계(S1)로 되돌아간다. 또한, 에러발생경보부(350)가 에러발생을 경보하기 위한 경보음 또는 경보광과 같은 에러발생경보를 출력하거나, 경보메세지와 같은 에러발생경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상기 핫링크수신부(330)가 전송부(400)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절체된 핫링크수신포트(333)(334)를 거쳐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과 상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함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은 하나의 전송부에서 다른 전송부로 8비트 데이터, 워치독커맨드 및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함께 송신한 후 되돌아오는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먼저 판단하고 나서 워치독을 나중에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송신된 워치독과 수신된 워치독의 일치 여부를 계속 판단하여야 하는 과정 이전에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에러발생여부를 판단하고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에러발생이 있는 즉시 이중화 수신포트를 신속히 절체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전송로의 안정적인 절체를 이룩할 수 있다.

Claims (3)

  1. 데이터, 워치독을 제 1 전송부의 핫링크송신부에서 제 2 전송부의 핫링크수신부로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핫링크송신부의 링크실패지시자신호발생부에서 연속적인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송부의 핫링크송신부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워치독 및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상기 제 1 전송부의 핫링크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송부의 핫링크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이상발생여부를 상기 제 1 전송부의 수신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이상발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전송부의 핫링크수신부의 수신포트를 절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실패지시자신호의 이상발생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워치독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워치독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워치독의 일치 여부를 일정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워치독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워치독 및 LFI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이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포트를 절체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실패지시자신호를 핫링크간 주기적인 전기적인 캐리어를 서로 체크함으로써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KR1020000080755A 2000-12-22 2000-12-22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KR20020051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755A KR20020051202A (ko) 2000-12-22 2000-12-22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755A KR20020051202A (ko) 2000-12-22 2000-12-22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202A true KR20020051202A (ko) 2002-06-28

Family

ID=2768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755A KR20020051202A (ko) 2000-12-22 2000-12-22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12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1318A (en) Circuit and method of testing for silent faults in a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248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ment of Ethernet link loss forwarding
KR100233261B1 (ko) 대국장애표시신호를 이용한 1+1 양방향 선로절체 제어방법
US6590864B1 (en) Protection switching using standby system for transmission of line status signals
KR20020051202A (ko) 데이터전송로 절체방법
JP2002281109A (ja) 二重化方法、二重化方式及び光加入者終端装置
US8553530B1 (en) Operating state control in redundancy protection systems
US66504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protection
JP3781523B2 (ja) 光加入者線伝送装置および予備系光伝送路監視方法
KR200317560Y1 (ko)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KR20010038483A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아이피씨 경로의 에러 복구 장치
RU2286014C2 (ru) Системы для защитного контролирования линии связи
JP3440239B2 (ja) 光通信用線路切替システム
JPS61156928A (ja) 通信回線の自動切替方式
JP2000151755A (ja) 通信経路切替装置
KR100630066B1 (ko) 전송 시스템에서 선로감시를 통한 메시지 전달 방법
KR200182664Y1 (ko) 교환기의 통화로계에서 클럭 유실 방지 장치
JPH0213034A (ja) 伝送路切替回路
JPH0787065A (ja) データ切替え器
JP2833543B2 (ja) データ通信の回線切替方式
JPH03222525A (ja) 二重化自動切替制御方式
JPH07154302A (ja) 伝送路切替装置
JP2001119359A (ja) 伝送装置
JPH04345219A (ja) 光中継局および光端局
JPH08149101A (ja) 冗長系切替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