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056A - 마이크로제너레이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제너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056A
KR20020048056A KR1020000077319A KR20000077319A KR20020048056A KR 20020048056 A KR20020048056 A KR 20020048056A KR 1020000077319 A KR1020000077319 A KR 1020000077319A KR 20000077319 A KR20000077319 A KR 20000077319A KR 20020048056 A KR20020048056 A KR 2002004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ube
air
water
micro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028B1 (ko
Inventor
김선자
Original Assignee
강성일
김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김선자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10-2000-007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0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water) 또는 오수(汚水)와 공기(air)를 정적(定績)식 고압(高壓) 펌프(pump)로써 다단(多段) 압축(壓縮) 튜브(tube)에 압송시키게 되면 토출(吐出) 압력(壓力)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압력콘트롤(control) 밸브(valve)에 의하여 미세(微細)기포(氣泡)가 토출(吐出)되도록한 미세기포 발생 장치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제너레이터{MICRO GENERATER}
본 발명은 공기(AIR)와 물(WATER)을 일정한 압력으로 분출(噴出) 시킴으로써 미세(微細) 기포(氣泡)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압력 용기(容器)에 유체(流體)성 물질(物質)을 이송시키는 장치와 공기를 자흡(自吸)하는 장치 및 압력 용기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치등을 이용한 복합(複合)식 미세기포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분야의 종래 기술에는 물(WATER) 또는 오수(汚水)를 일정한 압력 용기에 압송한 후 고압(高壓)의 공기를 불어넣고 압력 용기내의 고압수(高壓水)를 분사(噴射)하면 토출관(吐出管) 선단(先端)에서 발생하는 빈압(貧壓)을 이용하여 미세기포를 만드는 가압 장치들이 있다.
종래의 가압 장치에서는 고압수를 만들기 위하여 압력 용기에 물 또는 오수와 별도의 공기를 가압하여야 하며, 물 또는 오수등에 가압된 공기가 포화(飽和)될 수 있도록 일정시간 체류(滯留) 시켜야 하고 포화 과정(過 程)이 일회(一回)로 한정 됨으로써 분출시 발생되는 기포(氣泡)의 크기가 50㎛ 내외(內外)이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HDRL 가압 장치 없이 자흡(自吸)된 공기와 물을 다단(多段)으로 압축(壓縮) 분출(噴出)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체류시간 없이 10㎛이내(以內)의 기포(氣泡)를 발생 시킬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조립 계통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공기 자흡(自吸) 블록 평면도
제 3 도는 제2도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차압 노즐(NOZZLE)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압력 콘트롤 밸브(VALVE)의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내부 리턴(RETURN) 블럭LOCK)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기 자흡 블록(AIR 自吸 BLOCK) 2) 에어파이프(AIR PIPE) 3)공기량 조절밸브(VALVE)
4) 고압펌프(PUMP) 5)튜브(TUBE) 6)차압노즐(NOZZLE) 7)순환노즐RETURN NOZZLE)
8)리턴 파이프(RETURN PIPE) 9)밸브(VALVE) 10)리턴 펌프(PUMP)
11)내부 리턴 블록(內部 RETURN BLOCK) 12)압력 콘트롤 밸브(PRESSURE CONTROL VALVE)
13)압력조절나사(PRESSURE CONTROL SCREW) 14)밸브 디스크(DISK)
15)스프링(SPRING)
일반적으로 물(WATER)에 공기(AIR)를 포화 시키는 과정에서는 압력 용기에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는 장치들이 있으며 그 구성품은 고압 펌프, 고압 공기 콤프레셔, 고압 탱크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기포 생성 과정 및 구성을 함께 설명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 장치인 마이크로(MICRO) 제너레이터(GENERATOR)는 공기를 자흡하는 자흡 블록(BLOCK, 1)과 고압펌프(PUMP,4), 차압 노즐(NOZZLE,6)이 다단(多段)으로 설치된 튜브( TUBE,5) 및 내부(內部) 리턴(RETURN) 블록(BLOCK,11), 압력 콘트롤( CONTROL) 밸브( VALVE,12)등으로 구성 된다.
공기 자흡 블록에서는 베르누이 방정식의 응용에 의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공기량 조절 밸브(3)에 의해 일정한 량만큼 조절되어 흡입된 공기는 고압 펌프(4)에 의하여 물과 혼합(混合)되어 튜브(5) 내로 압송(壓送)된다.
차압 노즐( NOZZLE,6)이 2단(二段) 이상으로 구성된 튜브(5) 내에서는 차압 노즐(6)에 의하여 형성된 압력차에 의하여 압축(壓縮)과 팽창(膨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되며 이 과정에서 물과 혼합되어 유입된 공기는 포화(飽和)와 분리(分離)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미세기포화 된다.
위와같은 과정에서 미세화되지 못한 100㎛이상의 직경을 갖는 기포들은 압력이 높은 내부 리턴(RETURN) 블록(BLOCK,11)에서 압력이 낮은 순환(RETURN)노즐(NOZZLE,7)로 자연적인 순환 또는 리턴 펌프(PUMP,10)에의한 강제 순환이 이루어 지면서 미세화 과정을 갖게된다.
튜브내의 평균 압력이 약 3.5kgf/㎠을 유지하게되면 공기가 물속에 포화되는 효율(效率)이 가장 높게 나타나므로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입과 분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튜브(5)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압력조절나사(13)로써 스프링(SPRING,15)의 압력을 조절하여 분출측의 밸브 디스크(VALVE DISK,14)가 일정한 압력으로 개방(OPEN)될 수 있도록한 압력 콘트롤 밸브(12)를 튜브(5)의 끝단에 설치 하였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춘 본 발명은 기존의 단일형 압력 탱크(PRESSURE TANK)를 갖는 가압 장치들에서 나타나는 약 500㎛이상의 조대(粗大)기포(氣泡)의 혼재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었으며, 분출되는 기포의 크기가 기존의 가압장치들에서는 약50㎛ 내외(內外)이나 본 발명의 마이크로 제너레이터에서는 10㎛미만의 미세한 기포들을 분출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 장치는 자흡된 공기를 물 또는 오수와 함께 정적(定績)식 고압 펌프에 의하여 고압수를 만들어내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함으로써 가압(加壓) 탱크(TANK)에 물 또는 오수(汚水)와 별도로 공기(AIR)를 가압하는데 필요한 콤프레셔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압 장치들과 비교하여 동력(動力)이 50%이상 절약되며, 약 50㎛정도의 미세 기포를 발생하는 기존의 장치에 비하여 10㎛미만의 미세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물 또는 오수에 대기중의 산소(OXIGEN)를 전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오수중의 부유(浮游) 물질(物質)들에 미세기포를 부착시켜부상(浮上)시키는 효율(效率)이 기존의 가압 부상 장치들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나는 효과를 갖는다.
.

Claims (1)

  1. 공기 자흡 블록(1)으로 유입된 공기(AIR)가 물(WATER)과 혼합되어 고압 펌프(4)에 의하여 튜브(5)로 압송된 후 튜브(5)내에 설치된 다단(多段) 차압노즐(6)에 의하여 압축과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미세기포화 되고, 미세화 되지 못한 기포들은 반복적으로 튜브(5) 내에서 재 순환(循環) 될 수 있는 내부 리턴 블록(RETURN BLOCK,11)과 튜브(5)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압력 콘트롤 밸브(12)를 갖춘 미세기포 발생 장치.
KR10-2000-0077319A 2000-12-15 2000-12-15 마이크로제너레이터 KR100387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319A KR100387028B1 (ko) 2000-12-15 2000-12-15 마이크로제너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319A KR100387028B1 (ko) 2000-12-15 2000-12-15 마이크로제너레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664U Division KR200227257Y1 (ko) 2000-12-27 2000-12-27 마이크로제너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056A true KR20020048056A (ko) 2002-06-22
KR100387028B1 KR100387028B1 (ko) 2003-06-18

Family

ID=2768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319A KR100387028B1 (ko) 2000-12-15 2000-12-15 마이크로제너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3084A1 (en) * 2008-12-25 2010-07-01 Siltronic Ag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Silicon Wafer Clean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179B1 (ko) 2008-11-10 2009-04-10 김광태 압축공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232300B1 (ko) 2012-01-17 2013-02-13 박현석 유체 산소공급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KR101524403B1 (ko) * 2014-02-26 2015-05-29 김홍노 미세 기포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287A (ja) * 1989-04-28 1990-11-30 Hisao Kojima 水改質装置
KR960009015Y1 (ko) * 1994-01-14 1996-10-14 임규창 수조용 정화장치
US5897772A (en) * 1995-12-22 1999-04-27 Chiang; Shiao-Hung Multi-stage flotation column
KR100191423B1 (ko) * 1995-12-28 1999-06-15 김덕중 압력맥동을 이용한 산기장치
JP3306440B2 (ja) * 1998-02-05 2002-07-24 民生 中島 気液混合気泡発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3084A1 (en) * 2008-12-25 2010-07-01 Siltronic Ag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Silicon Wafer Cleaning Apparatus
US8408221B2 (en) * 2008-12-25 2013-04-02 Siltronic Ag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silicon wafer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7028B1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133B1 (ko) 마이크로·나노 버블의 발생 방법, 발생 노즐 및 발생 장치
JP2003181260A (ja) 液体にガスを含ませるプロセスと装置
JPWO2006088207A1 (ja) オゾン水生成装置、オゾン水生成装置に用いる気液混合構造、オゾン水生成方法及びオゾン水
US4211733A (en) Gas-liquid mixing process and apparatus
JP4929874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H084731B2 (ja) 気液混合装置
CN109731490A (zh) 一种二次加压多级破碎的纳米气泡发生方法及装置
WO2023040755A1 (zh) 一种微纳米气泡发生系统
JP6449531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7000848A (ja) 微細気泡発生方法
TW589226B (en) Ozone mixing device and ozone mixing method
JP7193826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0387028B1 (ko) 마이크로제너레이터
JP2016112477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KR101898605B1 (ko)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JP2001276589A (ja) エアレータ
WO2019198225A1 (ja) 気泡生成装置
JP4631561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0227257Y1 (ko) 마이크로제너레이터
JP2005000882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KR101162576B1 (ko) 수질 개선용 폭기 시스템
JP2001259395A (ja) エアレータ
JPH10230150A (ja) エアレータ
JP2022027354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278548B1 (ko) 초미세기포 발생장치의 혼합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