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015Y1 - 수조용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용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015Y1
KR960009015Y1 KR2019940000597U KR19940000597U KR960009015Y1 KR 960009015 Y1 KR960009015 Y1 KR 960009015Y1 KR 2019940000597 U KR2019940000597 U KR 2019940000597U KR 19940000597 U KR19940000597 U KR 19940000597U KR 960009015 Y1 KR960009015 Y1 KR 960009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pipe
nozzle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284U (ko
Inventor
임규창
Original Assignee
임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창 filed Critical 임규창
Priority to KR2019940000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015Y1/ko
Publication of KR950023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2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조용 정화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정화장치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정화장치가 수조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정화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정화장치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정화장치의 측단면도.
제7도는 종래 기술의 정화장치가 수조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8도는 종래의 정화장치에 펌핑부를 분해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케이스 3,3a : 흡입구
5 : 에어 정류 파이프 7 : 토출구
9 : 상부 마개 11 : 제2 에어 호스
13,13a : 에어 토출 파이프 15, 15a : 분사관
17 : 수조 19 : 기포 발생부재
21 : 노즐 23 : 가속 파이프
25 : 구멍 27 : 송기판
29 : 공간부 31 : 바이오 휠터
33, 33a : 휠터 37 : 단부재
39 : 입구 포트 41 : 플랜지
43 : 흡입파이프
본 고안은 수조용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상이 등을 넣는 수조 등의 물을 정화시키도록 한 수조용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잉어와 열대어 등의 관상어를 수조에 넣고 장기간 관상용으로 사용할 때,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관성어의 호흡에 의한 산소 부족현상을 방지하도록 에어 펌프가 적용된 에어 공급장치가 마련되어 있거나, 수조 안의 물을 펌핑하여 소정의 경로를 거쳐 물을 정화시킨 다음, 다시 수조로 재순환시키는 장치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종래 기술의 수조용 정화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펌핑부를 분해한 단면도로서, 소정의 위치까지 물이 채원진 수조(50)의 상측에 활성탄을 포함하여 이물질을 제거, 정화시키도록 하는 휠터(52)를 보유하는 휠터 케이스(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휠터케이스(54)는 일측에는 휠터(52)에 의해 정화된 물이 수조(50)로 낙하되도록 낙하 파이프(56)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낙하 파이프(56)의 타측에는 수조(50)에 채워진 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바, 상기 펌핑수단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모우터(58)와, 상기 모우터(58)의 축상에 제공된 원심 펌프(60)와, 상기한 원심 펌프(60)로 부터 연장되어 수조(50)의 물이 흡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스트레이너(62)를 보유하는 흡입 파이프(64)와, 상기한 원심 펌프(60)에 의해 펌핑된 물이 휠터 케이스(54)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 파이프(66)로 구성되어 수조(5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휠터 케이스(54)로 토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정화장치는, 모우터(58)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우터(58)가 작동되어 원심 펌프(60)가 작동됨에 따라 수조(50)에 저장된 물이 흡입 파이프(64)를 통해 펌핑되어 배출 파이프(66)를 통해 휠터 케이스(54)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수조(50)에 저장된 물 속의 이물질은 흡입 파이프(64)의 하단에 제공된 스트레이너(62)에 흡인되면서 1차적으로 제거되고, 원심펌프(60)에 의해 펌핑된 물이 필터케이스(54)에 제공된 필터(52)를 통과하면서 물속의 이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되어 낙하 파이프(56)를 통해 수조(50)에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조(50)에 저장된 물을 정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조(50)속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물속의 이물질을 스트레이너(62)와 휠터(52)에 의해서 정화시킬 수 있으나, 수조(50)에 저장된 물 속의 산소 공급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허약한 어류가 죽게되는 결과를 초래함은 물론 별도의 산소 공급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제반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상어등을 넣는 수조의 물을 순환시킴과 아울러 순환시 충분한 바이오 기포수를 공급하여 박테리아 양생을 촉진함으로써, 물 속에 있는 분비물 등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정화하여 산소 공급효과가 증대되도록 함에 따라 관상어의 생명력을 연장시킬 수 있는 수조용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양측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측 가장자리에는 물이 흡입되도록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의 상측에 에어 펌프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제1 에어 호스로 연결된 에어 정류 파이프가 제공됨과 아울러 물이 토툴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마개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의 하측단에 공기 정류 파이프와 제2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 토출 파이프를 보유하는 하부 마개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어 에어 토출 파이프로 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수조에 채워진 물을 순환시켜 정화시키는 정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조용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정화수단은 에어 토출 파이프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공이 서로 연통하여 이를 통과한 공기가 미립자상의 기포를 형성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기포 발생부재와, 상기한 기포 발생부재로 붜 발생된 기포를 가속 정류시키는 노즐과, 상기한 노즐의 상측에 마련됨은 물론 가속 파이프를 보유하고, 가장자리에 물이 유입되어 흐르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느즐과 설치 거리에 따라 배분비가 일정하게 결정되도록 하는 송기판과, 상기한 송기판의 가속 파이프와 본체 케이스가 형성하는 공간부에 제공되어 다수의 호기성 박테리아가 발생되도록 하는 바이오 휠터와, 상기한 기포 발생부재의 바깥부분을 감싸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속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휠터로 이뤄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노즐은 기포 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된 기포가 가속되도록 그 단면적이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송기판은 노즐로부터 송출된 기포의 유입 비율이 가속 파이프와 공간부에 제공된 바이오 휠터 측에 7 : 3 또는 8 : 2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그 위치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조용 정화장치는, 기포 발생부재에 공급된 공기에 의해 다수의 기포가 발생되어 노즐과 가속 파이프를 보유하는 송기판의 적절한 거리에 의해 가속 파이프와 공간부에 배분되는 비율이 일정하게 보전되도록 하고, 그 기포의 흐름에 의해 물의 흐름이 함께 이루어져 수조에 채워진 물속의 이물질이 흡입구의 외주면에 제공된 휠터와 공간부에 제공된 바이오 훨터에서 발생된 다수의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정화시킴으로써, 그 정화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측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정화장치가 수조 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1)은 본체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본체 케이스(1)는 양측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측 가장자리에는 물이 흡입되도록 다수의 흡입구(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본체 케이스(1)의 상측에는 모우터(M)의 작동에 따라 에어펌프(P)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제1 에어 호스(H)로 연결된 에어 정류 파이프(5)가 제공됨과 아울러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7)가 형성된 상부마개(9)가 제공되고, 그 하측단에는 상기 공기 정류 파이프(5)와 제2 에어호스(11)로 연결되어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 토출 파이프(13)를 보유하는 하부마개(15)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체 케이스(1)의 내측에는 수조(17)에 채워진 물을 순환시켜 정화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바, 상기한 정화수단은 에어토출 파이프(13)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공이 서로 연통하여 이를 통과한 공기가 미립자상의 기포를 형성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재질의 기포 발생부재(19)와, 상기 기포 발생부재(19)로 부터 발생된 기포를 가속 정류시키는 노즐(21)과, 상기한 노즐(21)의 상측에 마련됨은 물론 가속 파이프(23)를 보유하고, 가장자리에 물이 유입되어 흐르도록 다수의 구멍(25)이 형성된 송기판(27)과, 상기한 송기판(27)의 가속 파이프(23)를 본체 케이스(1)가 형성하는 공가눕(29)에 제공되어 다수의 호기성 박테리아가 발생되도록 하는 바이오 훨터(31)와, 상기한 기포 발생부재(19)의 바깥부분을 감싸 물 속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훨터(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노즐(21)은 기포 발생부재(19)로 부터 발생된 기포가 가속되도록 그 단면적이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송기판(27)은 노즐(21)로부터 기포의 유입 비율이 가속 파이프(23)와 공간부(29)에 제공된 바이오 휠터(31) 측에 7 : 3 또는 8 : 2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그 위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바이오 휠터(31)로부터 발생된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최적의 정화 효율을 추구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5는 본체 케이스(1)를 수조(17)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수조용 정화장치는, 모우터(M)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에어펌프(P)가 작동된다.
따라서 제1 에어호스(H)를 통해 공급된 에어는 상부 마개(9)의 에어 정류 파이프(5) 및 제2 에어호스(11)를 통해 하부 마개(15)의 에어 토출 파이프(13)를 통해 공급된다.
따라서 에어 토출 파이프(13)에 설치된 기포 발생부재(19)에 의해 다수의 기포가 발생되어 노즐(21)에 보내지게 되는 데, 이때 발생된 기포의 흐름에 의해 물의 흐름도 함께 발생되어 기포와 물이 혼합되어 노즐(19)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수조(17)에 채워진 물이 본체 케이스(1)의 하단부에 형성된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데, 이 물속의 비교적 큰 이물질이 휠터(33)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고, 노즐(19)을 통과한 기포와 물은 제4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기판(21)과의 거리(L1, L2)가 너무 가까이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가속 파이프(23)에 집중적으로 분배되어 바이오 휠터(31)로부터 호기성 박테리아의 발생이 작아 정화 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노즐(19)과 송기판(21)의 거리(L3)가 제4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 파이프(23)와 바이오 휠터(31)측으로 분배되는 비율이 7 : 3 또는 8 : 2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음에 기인하여 공간부(29)를 통해 흐르는 물 속에는 바이오 휠터(31)로부터 발생되는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이물질을 정화시킴으로써, 그 정화 효율이 증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본체 케이스(1)의 상측에 마련된 상부 마개(9)의 토출구(7)를 통해 수조(17)내로 재순환되어 지속적인 정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산소 공급효과가 증대되게 됨과 아울러 물의 흡입 순환 효율도 최적의 상태를 보전하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정화장치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서, 기포 발생부재(19)는 하부 마개(15a)의 내측에 마련된 단부재(37)에 의해 지지된 니은자 형상의 에어 토출 파이프(13a)와 연결되어 기포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토출 파이프(13a)는 본체 케이스(1)의 일측에 마련된 제2 에어호스(11)와 연결되도록 하부마개(15a)의 측면을 관통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하부 마개(15a)는 그 하측단에 입구 포트(39)를 보유하는 플랜지(41)가 형성되어 다수의 흡입구(3a)가 형성된 흡입 파이프(4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 파이프(43)의 외주면에는 흡인되는 물속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33a)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는 모우터(M)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에어 펌프(P)가 작동됨에 제1 에어 호스(H)를 통해 공급된 에어는 상부 마개(9)의 에어 정류 파이프(5) 및 제2 에어호스(11)를 통해 하부 마개(15)의 에어 토출 파이프(13)를 통해 공급된다.
다라서 에어 토출 파이프(13)에 설치된 기포 발생부재(19)에 의해 다수의 기포가 발생된 노즐(21)에 보내지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기포의 흐름에 의해 물의 흐름도 함께 발생되어 기포와 물이 혼합되어 노즐(19)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수조(17)에 채워진 물이 본체 케이스(1)의 하단부에 제공된 하부마개(15a)의 플랜지(41)에 결합된 흡입파이프(43)의 흡임구(3a)를 통해 흡인되는 데, 이 물속의 비교적 큰 이물질이 휠터(33a)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고, 노즐(19)을 통과한 기포와 물은 제4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 파이프(23)와 바이오 휠터(31)측으로 분배되는 비율이 7 : 3 또는 8 : 2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음에 기인하여 공간부(29)를 통해 흐르는 물 속에는 바이오 필터(31)로부터 발새오디는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이물질을 정화시킴으로써, 그 작용 효과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조용 정화장치는, 기포 발생부재에 공급된 공기에 의해 다수의 기포가 발생되어 노즐과 가속 파이프를 보유하는 송기판이 적절한 거리에 의해 가속 파이프와 공간부에 배분되는 비율이 일정하게 보전되도록 하고, 그 기포의 흐름에 의해 물의 흐름이 함께 이루어져 수조에 채워진 물 속의 이물질이 흡입구의 외주면에 제공된 훨터와 공간부에 제공된 바이오 휠터에서 발새된 다수의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정화시킴으로써, 그 정화 효율은 더욱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상어의 생명력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양측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측 가장자리에는 물이 흡입되도록 다수의 흡입구(3)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1)의 상측에 에어 펌프(P)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제1 에어 호스(H)로 연결된 에어 정류 파이프(5)가 제공됨과 아울러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7)가 형성된 상부 마개(9)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1)의 하측단에 공기 정류 파이프(5)와 제2 에어호스(11)로 연결되어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 토출 파이프(13)를 보유하는 하부 마개(15)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1)의 내측에 마련되어 에어 토출 파이프(13)로 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수조(17)에 채워진 물을 순환시켜 정화시키는 정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조용 정화장치.
  2. 제1항에서 있어서 정화수단은 에어 토출 파이프(13)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공이 서로 연통하여 이를 통과한 공기가 미립자상의 기포를 형성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기포 발생부재(19)와, 상기한 기포 발생부재(19)로 부터 발생된 기포를 가속 정류시키는 노즐(21)과, 상기한 노즐(21)의 상측에 마련됨은 물론 가속 파이프(23)를 보유하고, 가장자리에 물이 유입되어 흐르도록 다수의 구멍(25)이 형성되어 노즐(21)과 설치 거리에 따라 배분비가 일정하게 결정되도록 하는 송기판(27)과, 상기한 송기판(27)의 가속 파이프(23)와 본체 케이스(1)가 형성하는 공간부(29)에 제공되어 다수의 호기성 박테리아가 발생되도록 하는 바이오 휠터(31)와, 상기한 기포 발생부재(19)의 바깥부분을 감싸 흡입구(3)로부터 유입되는 물속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휠터(3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노즐(21)은 기포 발생부재(19)로 부터 발생된 기포가 가속되도록 그 단면적이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정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송기판(27)은 노즐(21)로부터 송출된 기포의 유입 비율이 가속 파이프(23)와 공간부(29)에 제공된 바이오 휠터(31)측에 7 : 3 또는 8 : 2의 비유로 이루어지도록 그 위치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토출 파이프(31a)는 하부마개(15a)의 내측에 마련된 단부재(37)에 의해 별도로 저지되고, 본체 케이스(1)의 일측에 마련된 제2 에어 호스(11)와 연결하도록 하부 마개(15a)의 측면을 관통하고 있으며, 수조(17)에 채워진 물이 흡입되도록 하부 마개(15a)의 하측단에 입구 포트(39)를 보유하는 플랜지(41)가 형성되어, 그 플랜지(41)에 다수의 흡입구(3a)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 필터(33a)가 장착된 별도의 흡입 파이프(43)가 결합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정화장치.
KR2019940000597U 1994-01-14 1994-01-14 수조용 정화장치 KR960009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597U KR960009015Y1 (ko) 1994-01-14 1994-01-14 수조용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597U KR960009015Y1 (ko) 1994-01-14 1994-01-14 수조용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84U KR950023284U (ko) 1995-08-21
KR960009015Y1 true KR960009015Y1 (ko) 1996-10-14

Family

ID=1937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597U KR960009015Y1 (ko) 1994-01-14 1994-01-14 수조용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0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028B1 (ko) * 2000-12-15 2003-06-18 강성일 마이크로제너레이터
KR100800537B1 (ko) * 2007-02-05 2008-02-04 케미코아 주식회사 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84U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6331B1 (en) Aquatic aeration and filtering system
JP4950203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US4622148A (en) Aquarium filter system
US20080159061A1 (en) Mixers and the Submersible Aerators With Using These Mixers
KR101018677B1 (ko) 공기정화기
JP3771231B2 (ja) 魚介類用水槽の空気混入装置
KR960009015Y1 (ko) 수조용 정화장치
KR20220089620A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0331005Y1 (ko) 수중폭기장치
CN107673474A (zh) 利用沉水风机和污泥回流实现脱氮除磷的mbr一体化设备
JPS6447330A (en) Container system for transportation of live fish
JP2747205B2 (ja) 水槽用浄化装置
KR200353645Y1 (ko) 오수처리용 제트폭기장치
KR840000892Y1 (ko) 폐수 정화용 공기 공급 확산기
KR920007046Y1 (ko) 필터가 부설된 어항용 산소공급장치
US20090206497A1 (en) Liquid waste aeration system and method
JP2593799B2 (ja) 曝気処理装置における汚水吸入口
WO1999025657A3 (en) Well-mixed flow bioreactor for aerobic treatment of aqueous wastes at high organic and solids loadings
JPS63398Y2 (ko)
KR850002364Y1 (ko) 폐수 처리용 폭기 장치
JP2002186991A (ja) 散気装置
JPH06178994A (ja) 機械式水中曝気装置
KR20000013165U (ko) 상향 수직 폭기형 수중 산소공급장치
JPH08108197A (ja) 浄化用フロート噴水
KR20230116282A (ko) 젯트이젝터와 볼텍스 제너레이터가 결합된 에어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