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728A -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728A
KR20020047728A KR1020000076309A KR20000076309A KR20020047728A KR 20020047728 A KR20020047728 A KR 20020047728A KR 1020000076309 A KR1020000076309 A KR 1020000076309A KR 20000076309 A KR20000076309 A KR 20000076309A KR 20020047728 A KR20020047728 A KR 2002004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warf
oil
filter
m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7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7728A/ko
Publication of KR2002004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7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스틸의 연마작업과정에서 분사되는 연마유를 제거하여주는 탈지탱크에 관한 것으로, 연결배관(170)의 흐름관로상에 그 하단부를 따라 드레인라인(11)을 구비함은 물론 그 전후방측에 차압센서(12,12')를 구비한 분리함체 (10)가 장착되되, 분리함체(10)의 내벽에 스와프가 걸러지는 경사필터(20)와 오일이 걸러지는 거름종이(30)가 장착되며, 경사필터(20)에 차압센서(12,12')의 신호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41)를 통해 흐름관로가 개폐되는 공기압송관(40)이 장착되고, 거름종이(30)의 측부에 오일에 의해 부유되는 부유공(51)으로 작동되는 감지센서(52)를 통해 흐름관로가 개폐되는 오일배출관(50)이 장착되는 한편, 분리함체 (10)의 외측벽에 모우터(61)로 작동되는 이송스크류(62)의 회전과정에서 경사필터 (20)로 걸러진 스와프를 스와프박스(66)로 배출하여주는 스와프분리관(60)이 장착되어, 용액탱크내의 알카리용액의 오염이 최소화되어 탈지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스와프로 인해 발생되는 분사노즐의 막힘현상이 방지되어 탈지탱크의 수명이 연장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Device for separating the oil awarf of dust tank}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스틸의 연마작업과정에서 분사되는 연마유를 제거하여주는 탈지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지탱크에서 흡입되어지는 미스트중에 함유되어진 스와프를 별도의 여과장치를 통해 걸러 제거시킬 수 있도록 된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지탱크는, 스테인레스스틸 스트립의 연마작업과정에서 분사되어진 연마유를 제거하기 위한 함체로서, 이러한 탈지탱크에 알카리용액을 연마유를 향해 분사하여주는 공급배관과, 연마유와 알카리용액의 미스트(mist)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배관이 연결되어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탈지탱크(100)는, 그 내부상하부에 연마스트립(110)이 이송되는 백업롤(120)과 브러쉬롤(130)이 장착되되; 탈지탱크(100)에, 용액탱크(20 0)의 알카리용액이 연마스트립으로 분사되는 공급배관(140)과, 연마스트립으로 분사되어진 오염된 알카리용액이 리턴되는 리턴배관(150)이 장착되어 있다.
물론, 공급배관(140)의 흐름관로상에, 용액탱크(200)내의 알카리용액을 탈지탱크(100)로 압송하는 펌프(141)가 장착되면서, 그 선단부에 알카리용액의 분사관로로 이용되는 분사노즐(142)이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탈지탱크(100)의 상부측에, 집진배관(160)을 매개로 모우터(171)의 작동과정에서 회전하면서 탈지탱크내의 미스트를 흡입하는 팬하우징(172)을 구비한 연결배관(170)이 연결되며, 연결배관(170)에 팬하우징(172)의 팬이 작동과정에서 포집되어진 미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관(180)과, 미스트중에 함유되어진 스와프가 용액탱크(200)로 리턴되는 드레인관(190)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마작업과정에서 연마유가 묻어있던 스트립(110)이, 탈지탱크(100)로 유도되어 백업롤(120)과 브러쉬롤(130)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공급배관 (140)으로부터 공급되어지는 알카리용액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 즉, 탈지상태에서 후처리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물론, 탈지탱크(100)내에서 발생되어지는 미스트는, 집진배관(160)과 연결배관(170)을 경유하여 포집되다가 팬하우징(172)의 작동과정에서 배출관(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미스트중에 함유된 스와프는 드레인관(190)을 통해 용액탱크(200)로 리턴되는 것이다.
즉, 탈지탱크(100)내에서 흡입되어지는 미스트는 팬하우징(172)의 작동과정에서 배출관(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는 반면, 미스트중에 포함되어진 스와프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드레인관(190)을 통해 용액탱크(200)로 리턴되어 알카리용액과 혼합되는 것이다.
그런데, 탈지탱크(100)내의 미스트가 배출관(180)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예컨대 미스트중에 포함되어진 스와프가 드레인배관(190)을 통해 용액탱크(200)로 리턴되므로써, 용액탱크(200)내의 알카리용액과 혼합되어 오염시키는 오염원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액탱크(200)내에서 스와프에 의해 오염되어진 알카리용액이 공급배관(140)을 경유하여 연마스트립(110)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공급배관(140)의 분사노즐(142)을 막아버리게 되는 경우, 연마스트립의 탈지능력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이로인해 분사노즐을 청소하기 위한 작업공수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탈지탱크에서 흡입되어지는 미스트중의 스와프를 별도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알카리용액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일스와프 분리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와프 분리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와프 분리장치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장치를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리함체 12,12' : 차압센서
20 : 경사필터 30 : 거름종이
40 : 공기압송관 50 : 오일배출관
41,55,71 : 밸브 60 : 스와프분리관
62 : 이송스크류 70 : 굴곡부
72 : 드레인라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와프 분리장치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와프 분리장치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장치를 도시한 내부구조도로서, 탈지탱크(100)의 상측에 모우터(171)의 작동과정에서 회전하는 팬을 통해 미스트를 흡입하여주는 연결배관 (170)이 연결되며, 팬하우징(172)에 미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관(180)과 스와프가 배출되는 드레인관(190)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장치에 있어서, 연결배관(170)의 흐름관로상에 그 하단부를 따라 드레인라인(11)을 구비함은 물론 그 전후방측에 차압센서(12,12')를 구비한 분리함체(10)가 장착되되, 분리함체(10)의 내벽에 스와프가 걸러지는 경사필터(20)와 오일이 걸러지는 거름종이(30)가 장착되며, 경사필터(20)에 차압센서(12,12')의 신호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41)를 통해 흐름관로가 개폐되는 공기압송관(40)이 장착되고, 거름종이(30)의 측부에 오일에 의해 부유되는 부유공(51)으로 작동되는 감지센서(52)를 통해 흐름관로가 개폐되는 오일배출관(50)이 장착되는 한편, 분리함체(10)의 외측벽에 모우터(61)로 작동되는 이송스크류(62)의 회전과정에서 경사필터(20)로 걸러진 스와프를 스와프박스(66)로 배출하는 스와프분리관(60)이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중 탈지탱크(100)의 연마스트립(110)과 백업롤(120)과 브러쉬롤(130)과 공급배관(140)과 리턴배관(150)과 집진배관(160)과 연결배관(170)과 배출관(180)과 드레인관(190)과 용액탱크(200)는 종래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분리함체(10)는, 연결배관(170)의 흐름경로상에 설치되어진 깔대기형상의 함체로서, 그 하우징의 하단부에 용액탱크(200)를 향하도록 된 드레인라인 (11)이 장착되되, 분리함체(10)의 전후방 즉, 연결배관(170)의 흐름관로상에 분리함체의 내압을 감지하여주는 차압센서(12,1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필터(20)는, 분리함체(10)의 내부공간 상부측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되어 연결배관(170)을 통해 흡입되어지는 스와프를 걸러주는 통상적인 필터부재로서, 그 하단부에 분리함체(10)의 외부로 돌출됨은 물론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스와프배출라인(21)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거름종이(30)는, 분리함체(10)의 내부공간 하부측에 장착되어 경사필터(20)로부터 낙하되는 오일을 걸러주는 깔대기 형상의 필터부재로서, 그 바닥면에 오일이 걸러진 상태에서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오일배출관(50)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압송관(40)은, 경사필터(20)의 측부 즉, 분리함체(10)의 측벽에 장착되어 경사필터(20)를 향해 압송공기를 분사하여주는 공기흐름관체로서, 그 흐름경로상에 차압센서(12,12')의 신호를 입력받아 그 흐름경로를 개폐하여주는 솔레노이드밸브(4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배출관(50)은, 거름종이(30)의 측부 즉, 분리함체(10)의 측벽에 장착되어 거름종이로 걸려지는 오일을 오일탱크(미도시)로 배출하여주는 오일배출관체로서, 그 흐름경로상에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감지센서(52)의 신호를 입력받아 그 흐름경로를 개폐하여주는 솔레노이드밸브(55)가 장착되어 있다.
물론, 분리함체(10)의 내벽 즉, 거름종이(30)의 상부측에 힌지축(53)을 통해 회동축(54)이 장착되되, 회동축(54)에는 하단부를 따라 거름종이로 걸러지는 오일을 통해 부유되는 부유공(51)이 장착됨은 물론, 상단부를 따라 솔레노이드밸브(55)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2)로 접촉되는 터치바(56)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와프분리관(60)은, 분리함체(10)의 측벽에 지지부재(63)를 통해 부착되어진 관체로서, 그 내부공간에 모우터(61)로 작동되는 이송스크류(62)가 축설치되며, 그 몸체에 스와프배출라인(21)과 연통되는 인입라인(64)과, 스와프박스 (62)를 향해 스와프를 배출하여주는 배출라인(65)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배관(170)의 후단부 즉, 팬하우징(172)과의 연결부분에 경사필터(20)를 통해 미처 제거되지 못한 스와프가 걸러지는 굴곡부(70)가 형성되되, 굴곡부(70)의 하단부에 그 흐름경로상에 구비된 밸브(71)에 의해 흐름관로가 개방되는 드레인라인(72)이 장착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탈지탱크(100)내에서 발생되어지는 미스트는, 집진배관(160)과 연결배관(170)을 경유하여 흡인되다가 배출관(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미스트중에 함유되어진 스와프와 오일은 경사필터(20)와 거름종이(30)에 걸러진 상태에서 머물러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경사필터(20)에 의해 걸러진 스와프는, 스와프배출라인(21)과 인입라인(64)의 빗면을 따라 낙하되면서 스와프분리관(60)으로 공급되고, 이러한 스와프분리관(60)으로 공급되어진 스와프는 모우터(61)로 작동되는 이송스크류(62)의 회전과정에서 하향되어 스와프박스(66)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경사필터(20)에 다량의 스와프가 적층되는 경우, 분리함체(10)의 내압이 증대되므로, 차압센서(12,12')에서는 제어부로 작동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의 신호를 입력받은 솔레노이드밸브(41)가 개방되므로, 공기압송관(40)의 분사돌기가 경사필터(20)로 압송되어 스와프를 제거한다.
또한, 거름종이(30)에 다량의 오일이 적층되는 경우에, 즉 거름종이(30)에 다량의 오일이 적측되어 부유공(51)이 상승되어 회동축(54)의 상단부를 이루는 터치바(56)가 감지센서(52)로 접촉되는 경우, 제어부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55)로 개방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오일배출관(50)의 흐름경로가 개방되므로. 거름종이 (30)에 적층되어 있던 오일이 오일배출관(50)의 빗면을 따라 흘러가면서 오일탱크(미도시)로 이송되는 것이다.
물론, 연결배관(170)으로 흡인되는 과정에서 경사필터(20)에 의해 미처 제거되지 못한 스와프는, 연결배관(170)의 단부를 이루는 굴곡부(70)로 저장된 상태에서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밸브(71)가 개방되는 경우 드레인라인(72)을 통해 후처리공정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에 의하면, 탈지탱크내에서 흡입되는 미스트 중에 포함되어진 스와프나 오일이 경사필터와 거름종이에 의해 걸러진 상태에서 용액탱크내로 공급되므로써, 용액탱크내의 알카리용액의 오염이 최소화되어 탈지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스와프로 인해 발생되는 분사노즐의 막힘현상이 방지되어 탈지탱크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탈지탱크(100)의 상측에 모우터(171)의 작동과정에서 회전하는 팬을 통해 미스트를 흡입하여주는 연결배관(170)이 연결되며, 팬하우징(172)에 미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관(180)과 스와프가 배출되는 드레인관(190)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장치에 있어서,
    연결배관(170)의 흐름관로상에 그 하단부를 따라 드레인라인(11)을 구비함은 물론 그 전후방측에 차압센서(12,12')를 구비한 분리함체(10)가 장착되되, 분리함체(10)의 내벽에 스와프가 걸러지는 경사필터(20)와 오일이 걸러지는 거름종이(30)가 장착되며, 경사필터(20)에 차압센서(12,12')의 신호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 (41)를 통해 흐름관로가 개폐되는 공기압송관(40)이 장착되고, 거름종이(30)의 측부에 오일에 의해 부유되는 부유공(51)으로 작동되는 감지센서(52)를 통해 흐름관로가 개폐되는 오일배출관(50)이 장착되는 한편, 분리함체(10)의 외측벽에 모우터 (61)로 작동되는 이송스크류(62)의 회전과정에서 경사필터(20)로 걸러진 스와프를 스와프박스(66)로 배출하는 스와프분리관(60)이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KR1020000076309A 2000-12-14 2000-12-14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KR20020047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309A KR20020047728A (ko) 2000-12-14 2000-12-14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309A KR20020047728A (ko) 2000-12-14 2000-12-14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728A true KR20020047728A (ko) 2002-06-22

Family

ID=2768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309A KR20020047728A (ko) 2000-12-14 2000-12-14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77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00B1 (ko) * 2002-07-16 2008-11-1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톱부 오일 제거장치
KR100868499B1 (ko) * 2002-07-16 2008-11-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탈지 설비의 연마유와 스와프 분리 장치
CN107123480A (zh) * 2017-04-18 2017-09-01 广东精迅里亚特种线材有限公司 一种低速漆包机漆箱
CN112833069A (zh) * 2020-12-31 2021-05-25 沈小荣 一种具有分离液体杂质功能的智能液压阀及其使用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00B1 (ko) * 2002-07-16 2008-11-1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톱부 오일 제거장치
KR100868499B1 (ko) * 2002-07-16 2008-11-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탈지 설비의 연마유와 스와프 분리 장치
CN107123480A (zh) * 2017-04-18 2017-09-01 广东精迅里亚特种线材有限公司 一种低速漆包机漆箱
CN112833069A (zh) * 2020-12-31 2021-05-25 沈小荣 一种具有分离液体杂质功能的智能液压阀及其使用方法
CN112833069B (zh) * 2020-12-31 2023-12-08 沈小荣 一种具有分离液体杂质功能的智能液压阀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526B2 (en) Filter dust collector
RU2002134126A (ru) Пылесос-робот, создающий возмущ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воздуха
KR100928073B1 (ko) 복합식 준설차
KR101890118B1 (ko) 탈수여액의 이중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KR20020047728A (ko) 탈지탱크의 오일스와프 분리 장치
KR20170122153A (ko) 자동 재생 기능을 구비한 로터 필터 시스템
JP2583763Y2 (ja) クーラント供給装置
JP4708174B2 (ja) プレエアクリーナ
US5034038A (en) Separator for vacuum pump loading system
JPH09479A (ja) 床面清掃機
JP3457079B2 (ja) 容器洗浄装置
CN100417360C (zh) 湿式清洁装置
KR20090093063A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JP2003145139A (ja) 液処理装置
JPH06210198A (ja) 固形体回収装置
KR20080086190A (ko) 빌트인 공기정화기
JPH108900A (ja) トンネル内の排ガス及び粉塵除去装置
JP3012139B2 (ja) 塗装廃液回収装置
CN219729547U (zh) 清洁装置以及清洁橇
KR20050043839A (ko) 액체저장 탱크의 이동식 다기능 청소기
JP2003112132A (ja) 洗浄水交換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258813B1 (ko) 자동차의 에어크리너
JPS632437Y2 (ko)
JP3047545U (ja) クーラントタンク内の砥粒を含むスラッジの堆積防止装置
JPH06126216A (ja) 自動車整備工場等におけるダスト捕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