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190A - 빌트인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빌트인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190A
KR20080086190A KR1020070028019A KR20070028019A KR20080086190A KR 20080086190 A KR20080086190 A KR 20080086190A KR 1020070028019 A KR1020070028019 A KR 1020070028019A KR 20070028019 A KR20070028019 A KR 20070028019A KR 20080086190 A KR20080086190 A KR 2008008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air purifier
supply valv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용
Original Assignee
김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용 filed Critical 김덕용
Priority to KR102007002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6190A/ko
Priority to PCT/KR2008/001354 priority patent/WO2008114950A1/en
Publication of KR2008008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B01D47/085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with nozzles which are partly immersed in the washing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내 수도배관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는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로서, 건물의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개폐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정화용 물을 공급받는 저수공간과, 상기 저수공간내의 물을 이용하여 공기중 오염물질을 포획하는 포획수단과,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된 배수밸브와, 상기 배수밸브와 연결되고 건물내에 위치한 다른 물사용 설비와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저수공간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와,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수위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저수공간내 물이 미리 설정한 최소 수위 이하로 내려갔다고 판단하면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이어서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사전 설정한 최대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습식 공기정화기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청소나 급수의 번거로움을 제거하며, 자원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습식, 공기정화기, 급수관, 배수밸브, 급수밸브, 자원재활용

Description

빌트인 공기정화기{Built-in air cleaner}
도 1 내지 4는 종래의 습식 공기정화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가 건물내 물 사용 설비(예컨대, 변기)에 연결되는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의 외형 및 급수관 및 배수관 설치 위치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저수조를 최소화하고 수도 배관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는 습식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건식과 습식으로 분류되는데, 건식 공기정화 장치는 건식여과수단에 의해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크기가 습식에 비해 소형이며, 전기식 집진장치나 카본필터 및 여러 형태의 여과필터 등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 형태의 먼지는 높은 집진효율을 발휘하나, 필터의 막힘 현상으로 송풍손실이 발생하고, 필터의 교환과 청소가 반드시 필요하며, 유해가스나 냄새 및 세균 등의 제거에는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고, 습도 조절기능은 전혀 없다.
습식 공기정화장치는 오염공기에 대해 물을 분사시키거나, 비산, 혹은 낙수시키서 공기와 접촉시켜 오염공기를 정화하는데, 공기정화 효율은 높으나, 장치가 복잡하고 대형이며, 물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습식 공기정화기의 몇몇 예를 들자면, 국내특허출원 제2003-00400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에서 오염된 공기 속의 여러 오염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물의 큰 흡착력을 이용하는 습식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와 통로가 형성되어 정화기 몸체(10)내부로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의 흡입구(11)에 연통되며, 오염공기를 샤워시키는 샤워통로(12)가 아래방향으로 형성되며, 샤워통로(12) 내부에는 샤워노즐(13)이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여 오염공기를 샤워시키고, 상기 샤워통로(12)에 연통되어 샤워한 오염공기와 샤워물이 함께 혼합되고 섞여서 흐르면서 오염공기를 세척하고, 세척 후에는 물과 공기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세척기(20)와, 상기 세척기(20)를 통과하여 깨끗하게 정화되고 분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임펠러(50)와 임펠러를 구동하는 모터(51)와, 오염공기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와 상기 세척기(20)를 통과하여 분리되고 회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30)와, 상기 저수조(30)에 물을 보충하는 자동급수발브(31)와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발브(32)와 세척수질을 관리하는 약품을 투입하는 투입 구(33)와, 세척수를 냉각하는 냉각장치(34)와, 상기 저수조(3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샤워통로(12)에 있는 샤워노즐(13)에서 분사되는 물을 공급하는 펌프(40)와 부속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 공기정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는, 국내특허출원 제2006-73991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미세수분입자로 포집하고 습공기를 비중차이에 의하여 공기와 물로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심 형식의 습식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와 무화수를 흡입하도록 회전 무화디스크(470)와 같이 회전하는 원심임펠러(408)를 갖는 본체(407)와, 본체(407)의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를 길이 방향으로 습공기에 원심력을 유지하도록 설치한 기체 통로실린더(413)와, 본체(407)의 내부에서 하우징(409)의 내벽과 기체 통로실린더(413)의 사이에 위치한 환형의 와류실(504)과,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본체(407)의 하부 설치한 세정수통(401)과; 및 세정수를 이용하여 포집한 후 기체 흡입공(405)을 통하여 공기중 오염물질을 유입하고 공기와 세정수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공기를 원심분리 정화하도록 기체 흡입공(405)과 통로를 형성한 세정수통(4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형식의 습식 공기 정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습식 공기정화기가 개시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특허출원 제2004-90541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를 내장하지 않고 물(3)을 저장한 수조에 잠겨서 동작하는 공기정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652487호는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과도한 습기를 머금지 않도록, 흡입구(81) 및 토출구(84)가 형성된 송풍부(80)와, 상기 송풍 부(80) 내벽을 적셔주는 내벽수분공급장치와, 상기 흡입구(8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84)를 통해 토출시키는 팬(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송풍부(80)에 연통되게 형성된 저장조(50)와, 상기 저장조(50)의 수위를 변화시키는 수위가변장치로 인하여, 수위가변장치는 저장조(50)의 수위를 가변시키는 장치로, 저장조(50)의 수위를 상승시켜서 저장조(50)의 물을 통해 송풍부(80) 바닥면(82) 및 리브(60) 하부를 적시게 하고, 다시 수위가 낮아지면 공기가 흡입되어 리브(60)에 함유된 습기와 닿으며 오염물질을 제가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저장조(50)는 물이 저장되며, 상기 송풍부(80)에 연통되도록 하측 내부에 배치된다.
그외 디스크형, 나선형 블레이드 구비형 등 수분과 공기의 접촉을 가급적 많이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공기 정화기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습식 공기정화기는 예외없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기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흡착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습식 공기정화기내의 물은 정화전 공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포함하게 되기 때문에 적기에 교환하여 주지 않으면 정화효율이 떨어지며 정화기 내부에 오염물질이 부착될 경우 정화기의 수명도 단축된다.
즉, 종래의 습식 공기정화기는 부피가 건식 공기정화기에 비하여 크거나, 또는 저수통의 물을 빈번하게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므로,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정화효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주택과 같은 주거공간이나 병원, 호텔, 사무실과 같은 준주거공간과 같은 일반 생활 공간에의 이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생활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의 습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정화기 내의 정화용 물을 자동으로 교환되도록 하여 정화용 물 교환에 따른 번거로움을 제거한 습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내 수도배관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는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로서, 건물의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개폐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정화용 물을 공급받는 저수공간과, 상기 저수공간내의 물을 이용하여 공기중 오염물질을 포획하는 포획수단과,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된 배수밸브와, 상기 배수밸브와 연결되고 건물내에 위치한 다른 물사용 설비와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저수공간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와,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수위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저수공간내 물이 미리 설정한 최소 수위 이하로 내려갔다고 판단하면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이어서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사전 설정한 최대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밸브는 역류방지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급수밸브는 1입구 2 출구 구조의 밸브이고, 상기 배수밸브는 2입구 1출구 구조의 밸브로서, 상기 급수밸브의 2출구 중 하나는 상기 공기정화기의 본체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별도의 우회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수밸브의 2입구 중 하나는 상기 공기정화기의 본체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우회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배수밸브 및 급수밸브는 상기 공기정화기 본체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수공간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 또는 반구형이고,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되거나, 상기 저수공간은 급수밸브측 보다 배수밸브측이 낮은 경사진 형상이고, 상기 저수공간의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필터 자동 물세척 기능이 있는 빌트인 공기정화기로서,공기내 오염 물질을 포획하며 물세척이 가능한 필터와, 상기 필터 상부에 위치하고, 건물의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개폐되는 급수밸브와, 상기 필터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를 세척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저수공간과,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된 배수밸브와, 상기 배수밸브와 연결되고 건물내에 위치한 다른 물사용 설비와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와,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수위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저수공간내 물이 미리 설정한 최소 수위 이하로 내려갔다고 판단하면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이어서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사전 설정한 최대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물세척 기능이 있는 빌트인 공기정화기가 제공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는 본체(50)와 급수밸브(55) 및 배수밸브(56 또는 56')로 구성된다.
본체(500)는, 급수된 정화용 물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획하는 오염물 포획수단(51), 흡기구(52), 배기구(53), 정화용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54), 정화용 물을 저수하는 저수공간(5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오염물 포획수단(51)은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의한 습식 공기정화장치거나, 또는 이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습식 공기정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면에 직접 관련된 것이 아니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흡기구(52)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며, 배기구(53)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중 오염물질은 실내 바닥 부분에 많이 밀집되어 있으므로 가급적 흡기구(53)는 공기정화기 본체(5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기구(54)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므로 본체(50)의 상면 또는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감지기(54)는 저수공간(57)내의 정화용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위감지기(54)는 부표를 이용한 기계적 장치 또는 전압 검출을 통한 전기적 장치 또는 기타 어떤 방식이든 무방하지만,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 어수단에 저수공간(57)내 정화용 물의 수위를 알려야 하므로 이와 관련한 신호전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수위감지기(54)는 사전 설정한 최대 저수량과 최소 저수량의 범위에서 수위를 감지하여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 최소 저수량은 정화용 물이 완전히 배출되어 없는 상태이다.
급수밸브(55)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건물내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기정화기내 저수공간(57)으로 물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수공간(57)내의 수위가 사전 설정한 최소 저수량일 때만 일시적으로 개방되어 물을 급수하고, 정화용 물이 최대 저수량에 도달하면 폐쇄되어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극히 예외적으로 저수 공간의 물이 장시간 교환되지 않고 자연 증발되어 최대 저수량과 최소 저수량의 사이에서 미소하게 감소되고 있다고 제어수단이 판단할 경우, 최대 저수량까지 정화용 물을 급수하도록 개방될 수 있을 것이다.
급수밸브(55)는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동작하므로 전기/전자적 구동부를 포함하는데, 공기정화기(50)의 유지보수 등의 경우를 대비하여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 개폐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밸브(56 또는 56')는 공기정화기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단방향(저수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물을 이동시키는 역류방지밸브이다. 역류방지밸브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조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배수밸브(56 또는 56')는 수압의 변화에 의하여 개폐되는 기계식 밸브이면 충분하고 제어장치와 연결되거나 전기/전자적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나,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동작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배수밸브는 포획한 오염물질을 포함하게 되어 오염된 저수공간내 물을 배출하는 통로가 되므로, 배수밸브(56)처럼 저수공간(57)의 하면에 위치하는 것이 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내 공기중 오염물질은 실내 위쪽 보다는 아래쪽에 많으므로,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기정화기를 실내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는 배수밸브(56')처럼 측면의 최하부에 배치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따른 공기정화기(50)와, 예컨대 실내의 수세식 변기와 같은 물 사용 설비(60)의 급배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50)가 자동으로 정화용 물을 교환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50)는 수도배관 또는 급수관(61)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배수관(62)을 거쳐 물 사용 설비(60)로 물을 배출하도록 설치되는데,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공기정화기는 물 사용 설비(60) 위에 설치된다.
그 다음, 공기정화기(50)의 제어수단은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정화용 물이 최대 저수량에 달할 때까지 급수관(61)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는다. 설치 직후에는 물 사용 설비(60)의 자체 저수량과 배수관(62)이 물로 찬 이후에 공기정화기의 저수공간이 채워질 것이다.
최대 저수량에 달한 정화용 물은, 포획수단(51)에 의하여 공기 정화에 이용되 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포획된 오염물질을 포함하게 된다.
물 사용 설비(60)는 공기정화기의 동작과 무관하게 자체의 사용에 의하여 물을 소비하게 된다. 예컨대 수세식 변기라면 변기 이용시마다 물을 소비하여 자체 저수통에 있는 물이 비워진다.
이 경우, 공기정화기(50)가 물 사용 설비(60)보다 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압에 의하여, 단방향으로만 유체를 흐르게 하는 배수밸브(56)을 통하여 저수공간(57)에 있던 물이 배수관(62)를 통하여 흐름(A)과 같이 배출되게 된다. 저수공간(57)내의 정화용 물은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므로 매 배출될 때마다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 좋으므로, 저수공간(57)의 저수용량은 물 사용 설비(60)의 자체의 저수용량보다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공간(57)내의 물이 완전히 배출되어 사전 설정한 최소 저수량에 도달하거나 그 미만일 경우, 제어수단이 급수밸브(55)를 개방하여 급수관(61)을 통하여 흐름(B)를 형성하며 건물 수도배관 내의 물이 저수공간(57)에 공급된다. 물 사용 설비(60)의 자체 저수량 및 배수관(62)이 모두 채워지고 저수공간의 최대 저수량에 달할 때까지 급수밸브는 개방된다.
이 때, 제어수단은 최소 저수량에 도달한 경우, 예컨대 저수공간(57)내 물이 모두 배출된 이후에, 소정의 시간(예컨대, 0초에서 10초 사이의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급수밸브(55)를 개방할 수 있다. 수위감지기(54)가 물이 모두 배출되었다고 감지하였더라도, 실제로는 물의 표면장력 등에 의하여 다소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야 모두 정화용 물이 배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공기정화기(50) 내의 저수공간(57)은 상수도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정수 필터(미도시)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깨끗한 물로 자동적으로 교체된다.
건물내 물 사용 설비(60)의 사용 빈도수에 따라 저수공간(57)내 정화용 물의 교체 빈도가 결정될 것이며, 예컨대 물 사용 설비(60)가 수세식 변기일 경우 하루에도 수회 이상의 사용이 있을 것이므로, 공기정화기내 저수공간(57)의 정화용 물은 대부분 시간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습식 공기정화기의 정화 효율이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자체 저수조를 포함하는 가정용 수세식 변기를 염두에 두었으나, 공공시설의 수세식 소변기나 자체 저수조가 없는 수세식 소변기가 물 사용 설비(60)로서 연결되어도 저수공간(57) 내의 정화용 물은 빈번하게 자동으로 교체되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며, 변기 이외의 기타 다양한 물 사용 설비에 연결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급배수 실시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저수공간(57)내의 정화용 물이 교체되는 주기를 물 사용 설비의 물 사용 빈도수보다 줄일 필요가 있거나, 또는 공기정화기(50)를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탈거할 때를 대비하여 수도배관 또는 급수관(61)으로부터 물 사용 설비(60)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우회배관(63)을 추가로 설치한다.
이 경우, 급수밸브(55)는 1입구 2출구 구조의 밸브로서, 2출구 중 하나는 상기 공기정화기의 본체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별도의 우회배관으로 연결되며, 배수 밸브(56)는 2입구 1출구 구조의 밸브로서, 2입구 중 하나는 상기 공기정화기의 본체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우회배관으로 연결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공기정화기(50)의 형상, 구체적으로는 공기정화기(50) 하부에 위치한 저수공간(57)의 형상에 대한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형상은 저수공간의 바닥면이 평평하여 공기정화기(50)를 높이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 바닥에도 설치할 수 있는 형상이다. 실내 바닥에 설치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공간(57)의 하면이 아니라 측부 최하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에 도시된 형상은 저수공간(57)의 정화용 물이 교환될 때, 잔존됨이 가급적 완전히 교체될 수 있도록 바닥을 원추형이나 반구형으로 두고 그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관(62)를 연결한 태양이다.
한편, 도 7b의 경우에, 저수공간의 바닥면 중 일부(70)는 급수관(61)로부터 급수되는 새로운 물에 의하여 잔존하는 오염물질 찌꺼기도 모두 배출될 수 있으나, 급수밸브와 반대쪽의 바닥면(70')은 오염물질 찌꺼기가 잔존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우를 피하기 위하여, 도 7c와 같이, 급수관(61) 쪽보다 배수관(62) 쪽이 낮도록 경사지게 하고, 배수관(62)을 급수관(61)의 정반대 위치에 연결하여 도 7b에 도시된 잔존 오염물이 남을 가능성이 있는 바닥면(70')이 생기지 않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공기정화기(50)가 물 사용 설비(60)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수압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정화용 물이 배출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인데, 도 7d와 같이 배 수 펌프(71)를 추가로 설치하여 배수를 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기정화기(50)를 실내의 낮은 부분, 예컨대 실내 바닥면에 배치한 경우에는, 공기정화기(50)의 위치가 물 사용 설비(60)보다 낮아질 수 있으므로 수압에 의한 자연적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배수 펌프(71)를 이용하여 저수공간(57)내의 정화용 물을 배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하는 다른 일 특징에 따라, 물 세척이 가능한 필터를 이용하는 건식 공기정화기에도 전술한 자동 물 급배수 메커니즘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자동 물 세척 공기 정화기는, 공기내 오염 물질을 포획하며 물세척이 가능한 필터와, 상기 필터 상부에 위치하고, 건물의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개폐되는 급수밸브와, 상기 필터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를 세척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저수공간과,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된 배수밸브와, 상기 배수밸브와 연결되고 건물내에 위치한 다른 물사용 설비와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수위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저수공간내 물이 미리 설정한 최소 수위 이하로 내려갔다고 판단하면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이어서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사전 설정한 최대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공기정화기내 제어수단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물 자동 교환 메커니즘을 수행하여 내부 필터를 자동으로 물 세척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로부터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인바,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식 공기정화기에 비한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빈번하고 번거로운 정화용 물의 교체가 수반되던 종래의 습식 공기정화기의 정화용 물 교환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수도 배관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고 건물내에 설치된 물 사용 설비에 정화용 물을 배출하는 구조로서, 물 사용 설비의 이용 빈도수에 따라서 하루에 수회 이상 물이 교환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물을 공기정화기 내에 자체적으로 저수할 필요가 없어서 저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따라서 소형의 습식 공기정화기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8)

  1. 건물내 수도배관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는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로서,
    건물의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개폐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정화용 물을 공급받는 저수공간과,
    상기 저수공간내의 물을 이용하여 공기중 오염물질을 포획하는 포획수단과,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된 배수밸브와,
    상기 배수밸브와 연결되고 건물내에 위치한 다른 물사용 설비와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저수공간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와,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수위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저수공간내 물이 미리 설정한 최소 수위 이하로 내려갔다고 판단하면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이어서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사전 설정한 최대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는 역류방지밸브인 것인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는 1입구 2출구 구조의 밸브이고, 상기 배수밸브는 2입구 1출구 구조의 밸브로서,
    상기 급수밸브의 2출구 중 하나는 상기 공기정화기의 본체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별도의 우회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수밸브의 2입구 중 하나는 상기 공기정화기의 본체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우회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배수밸브 및 급수밸브는 상기 공기정화기 본체와 분리될 수 있는 것
    인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는 배수 펌프를 더 포함하는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 또는 반구형이고,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인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은 일측보다 타측이 낮은 경사진 형상이고,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인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사용 설비는 화장실내 수세식 변기인 것인 빌트인 습식 공기정화기.
  8. 필터 자동 물세척 기능을 구비한 빌트인 공기정화기로서,
    공기내 오염 물질을 포획하며 물세척이 가능한 필터와,
    상기 필터 상부에 위치하고, 건물의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개폐되는 급수밸브와,
    상기 필터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를 세척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저수공간과,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된 배수밸브와,
    상기 배수밸브와 연결되고 건물내에 위치한 다른 물사용 설비와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와,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수위감지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저수공간내 물이 미리 설정한 최소 수위 이하로 내려갔다고 판단하면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이어서 상기 수위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사전 설정한 최대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물세척 기능을 구비한 빌트인 공기정화기.
KR1020070028019A 2007-03-22 2007-03-22 빌트인 공기정화기 KR20080086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019A KR20080086190A (ko) 2007-03-22 2007-03-22 빌트인 공기정화기
PCT/KR2008/001354 WO2008114950A1 (en) 2007-03-22 2008-03-10 Built-in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019A KR20080086190A (ko) 2007-03-22 2007-03-22 빌트인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190A true KR20080086190A (ko) 2008-09-25

Family

ID=3976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019A KR20080086190A (ko) 2007-03-22 2007-03-22 빌트인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86190A (ko)
WO (1) WO200811495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3921A (zh) * 2011-12-23 2012-05-02 郝中林 水箱气封阀
KR20210027068A (ko) * 2019-09-02 2021-03-10 노태식 공기 정화 처리 장치
WO2021045490A3 (ko) * 2019-09-02 2021-09-10 노태식 공기 정화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467A (ja) * 1997-04-17 1998-11-04 Inax Corp バックハンガ及び衛生器具取付構造
JP2000129748A (ja) * 1998-10-20 2000-05-09 Kayo Kishimoto トイレ用脱臭装置
TW404491U (en) * 1999-11-19 2000-09-01 Wang Sheng Shiung Air Cleaner
US7059023B1 (en) * 2004-11-19 2006-06-13 Kuan Hui Wu Becket with dual adjustable hoo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3921A (zh) * 2011-12-23 2012-05-02 郝中林 水箱气封阀
KR20210027068A (ko) * 2019-09-02 2021-03-10 노태식 공기 정화 처리 장치
WO2021045490A3 (ko) * 2019-09-02 2021-09-10 노태식 공기 정화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4950A1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0482926B1 (ko) 세정식 공기정화장치
KR20160035754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JP2005296623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置
US20060102001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CN112890706A (zh) 一种可过滤杂物的污水箱及洗地机
KR101906955B1 (ko) 공기정화장치
JP4364342B2 (ja) レンズ研削装置の脱臭システム
KR20080086190A (ko) 빌트인 공기정화기
KR20060055006A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KR200309268Y1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US11660551B2 (en) Household wastewater filter
KR100547286B1 (ko) 물세척 진공청소기
KR20190063521A (ko) 방향성을 갖는 습식 공기청정기
KR200427282Y1 (ko) 물 분사형 공기 정화기
KR2003005805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CN215348744U (zh) 一种可过滤杂物的污水箱及洗地机
KR101918729B1 (ko) 습식 진공청소기
JPH09155139A (ja) 空気清浄装置
JPH09287790A (ja) 油脂分解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レンジフード
KR20200007486A (ko) 물 세척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JPH1033926A (ja) 空気清浄装置及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KR20040049768A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709

Effective date: 2009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