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133A -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투명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투명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133A
KR20020046133A KR1020010018293A KR20010018293A KR20020046133A KR 20020046133 A KR20020046133 A KR 20020046133A KR 1020010018293 A KR1020010018293 A KR 1020010018293A KR 20010018293 A KR20010018293 A KR 20010018293A KR 20020046133 A KR20020046133 A KR 20020046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rubber
copolymer
modified
transpar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훈
권오진
이대우
Original Assignee
노기호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기호,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노기호
Priority to CN01820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277857C/zh
Priority to JP2002549752A priority patent/JP2004520459A/ja
Priority to US10/450,759 priority patent/US6849690B2/en
Priority to PCT/KR2001/002153 priority patent/WO2002048224A1/en
Publication of KR2002004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13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C08F25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on to polymers of styrene or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reformed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block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 중 고무입자들의 형태가 양파 구조 및 코어셀 구조의 이중구조를 갖음으로써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광택이 양호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RUBBER-MODIFIDE STYRENE RESIN HAVING SUPERIOR TRANSMITTANCY AND ANTI-STRESS IMPACT}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계 수지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열가소성 수지로 고무중합체의 존재 하에 스티렌계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얻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수지 중에 분산된 고무입자로 인하여 스티렌계 수지가 가지는 장점 중의 하나인 투명성을 상실하게 되어 투명한 용도로의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유럽공개특허공보 제070325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54484호, 평4-180907호 등에 고무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의 방법들로 제조된 고무변성 스티렌계 투명수지에 있어서 그라프트된 고무입자의 형태는 대부분 살라미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간혹 양파구조 또는 코어셀 구조의 단일 구조형태를 이루고 있다. 고무입자의 형태는 고무중합체의 점도, 분자량, 및 스티렌 골격 함유율에 영향을 받으며, 반응기의 교반속도, 그라프트율 등에 의존하게 된다. 이 중 살라미 구조의 입자 형태를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투명수지는 일반적으로 내충격성이 우수하지만, 투명성에 있어서 코어셀 구조의 입자형태보다 불리하다. 반면에 수지의 투명성과 관련하여 볼 때 고무입자의 크기는 작을수록 유리한데, 이러한 점에서 코어셀 구조의 입자 형태가 살라미 구조 형태보다 유리하다. 코어셀 구조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또한 광택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투명수지는 내충격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양파 구조의 경우 내충격성이 살라미 구조와 코어셀 구조의 수지 중간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살라미 구조형태의 고무입자를 이용하면서 입경을 작게하려는 기술이 연구되어 왔으며, 그 예를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72512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도 투명성이 우수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광택이 양호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고무입자의 형태가 양파 구조 및 코어셀 구조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작 용]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수지 중 고무입자들의 형태가 양파 구조 및 코어셀 구조의 이중구조를 가져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 광택이 양호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는
a)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혼합용액에 용해시켜 원료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혼합용액을 2 개 이상의 교반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중합장치의 제 1 반응기에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공중합체를 제 2 이상의 반응기에 연속투입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공중합체를 탈휘발, 및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a)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3 내지 15 중량부를
ⅰ) 스티렌계 모노머 30 내지 60 중량부; 및
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40 내지 70 중량부 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모노머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용해시켜 원료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혼합용액을 2 개 이상의 교반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중합장치의 제 1 반응기에 온도 120∼145 ℃로
투입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공중합체를 제 2 이상의 반응기에 연속투입하여
최종 중합전환률이 60∼90 %가 될 때까지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공중합체를 탈휘발, 및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는 매트릭스 수지 내에 고무입자가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의 이중구조 형태일 때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동시에 우수하며 광택도 양호하다. 일반적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서 얻어지는 살라미 구조의 입자형태는 투명성의 측면에서 불리하고, 코어셀 구조의 입자형태는 내충격성 면에서 약하다. 양파 구조의 입자형태는 살라미 구조와 코어셀 구조의 입자형태 중간의 내충격성을 보이나, 투명성에서는 살라미 구조와 비교할때 우수하지 못하다. 반면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투명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충격성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a)단계의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 % 미만이 되거나 50 %를 초과하게 되면 수지 중 고무의 입자 형태가 양파 구조 및 코어셀 구조의 이중구조를 나타내지 않으며, 따라서 투명성과 내충격성의 균형이 맞지 않는다.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 % 미만일 경우에는 투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5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또한 a)단계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의 것이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a)ⅰ) 스티렌계 모노머와 a)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또는 용매와의 혼합 용액에 3∼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a)단계의 공중합체가 3 중량부 미만이면 제조된 수지의 내충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된다.
상기 a)ⅰ)의 스티렌계 모노머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o-메틸 스티렌,p-메틸 스티렌,m-메틸 스티렌, 에틸 스티렌,i-부틸 스티렌,t-부틸 스티렌 등의 알킬 스티렌; 및o-브로모 스티렌,p-브로모 스티렌,m-브로모 스티렌,o-크로로 스티렌,p-크로로 스티렌,m-크로로 스티렌 등의 할로겐화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상기 a)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메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원료 용액 중 a)ⅰ) 스티렌계 모노머와 a)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의 중량비는 30∼60 : 4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의 굴절율과 a)ⅰ) 스티렌계 모노머와 a)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중합체의 굴절율이 일치하도록 두 종류의 모노머 조성을 결정하는 것이 투명성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통상적인 고분자중합에 사용되는 중합개시제, 용제, 연쇄이동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활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중합개시제는 1,1-비스(t-부틸 퍼옥시)-3,3,5-트리메틸 사이크로헥산등의 퍼옥시 케탈류; 디-t-부틸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등의 디알킬 퍼옥사이드류;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의 디아실 퍼옥사이드류;t-부틸 퍼옥시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등의 퍼옥시 에스테르류; 사이크로헥사논 퍼옥사이드 등의 케논 퍼옥사이드류;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그라프트 효율을 높이고 고무입자의 평균입경을 작게할 수 있는 유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중합용액의 점성을 낮추기 위해 원료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되며, 그 예로는 톨루엔, 에틸벤젠, 자이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쇄이동제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n-옥틸 머캅탄,n-도데실 머캅탄,t-도데실 머캅탄, 및 α-메틸 스티렌 다이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제조 공정으로는 연속, 또는 회분식 괴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현탁중합이 가능하며, 생산성과 품질의 균일성, 및 수질오염의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 연속 괴상중합, 또는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 중 고무입자의 평균입경은 1.2 ㎛ 이하로 할 때 투명성이 우수하였으며, 투명성 및 내충격성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0.4∼0.8 ㎛이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 39 cp, 스티렌 골격함유율 40 %) 7 중량부, 스티렌 3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n-부틸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및 에틸벤젠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중합개시제로 1,1-비스(t-부틸 퍼옥시)-3,3,5-트리메틸 사이크로헥산 0.03 중량부와 연쇄이동제로 n-옥틸 머캅탄 0.05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혼합된 용액은 4 개의 교반식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중합장치에 도입되어 연속적으로 그라프트 공중합하였다. 이때 중합장치 입구에서의 온도는 125 ℃, 출구의 온도는 145 ℃였다.
최종 중합혼합 용액은 탈휘발조로 보내져 230 ℃, 20 torr 하에서 미반응 단량체와 용제를 제거한 후, 펠렛화하여 최종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수득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한 수지의 전자현미경(TEM) 사진 분석 결과, 수지 중 고무입자들은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가 같이 존재하는 이중구조 형태였다.
실시예 2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 20 cp, 스티렌 골격함유율 35 %) 7 중량부, 스티렌 3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n-부틸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및 에틸벤젠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지의 전자현미경(TEM) 사진 분석 결과, 수지 중 고무입자들은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가 같이 존재하는 이중구조 형태였다.
실시예 3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 30 cp, 스티렌 골격함유율 30 %) 7 중량부, 스티렌 3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n-부틸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및 에틸벤젠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공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지의 전자현미경(TEM) 사진 분석 결과, 수지 중 고무입자들은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가 같이 존재하는 이중구조 형태였다.
실시예 4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 39 cp, 스티렌 골격함유율 40 %) 5 중량부, 스티렌 3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n-부틸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및 에틸벤젠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지의 전자현미경(TEM) 사진 분석 결과, 수지 중 고무입자들은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가 같이 존재하는 이중구조 형태였다.
실시예 5
4 개의 교반식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중합장치에 혼합된 원료 용액을 도입할 때, 중합장치 입구에서의 온도를 120 ℃, 출구의 온도를 137 ℃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지의 전자현미경(TEM) 사진 분석 결과, 수지 중 고무입자들은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가 같이 존재하는 이중구조 형태였다.
비교예 1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 33 cp,스티렌 골격함유율 22 %) 7 중량부, 스티렌 3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n-부틸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및 에틸벤젠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지의 전자현미경(TEM) 사진 분석 결과, 수지 중 고무입자들은 살라미 구조 형태였다.
비교예 2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 고무(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 40 cp, 스티렌 골격함유율 65 %) 7 중량부, 스티렌 3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n-부틸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및 에틸벤젠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지의 전자현미경(TEM) 사진 분석 결과, 수지 중 고무입자들은 코어셀 구조 형태였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수득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에 대한 물성을 하기의 ㄱ), ㄴ), ㄷ), ㄹ) 및 ㅁ)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고무입자의 평균입경 : 스티렌계 고무변성 수지 0.5 g을 메틸에틸케논 100 mL에 용해시켜 콜터 카운터(벡크만 콜터사 LS230)를 이용하여 고무입자의 평균입경을 측정하였다.
ㄴ) 입자의 형태 : 투과 전자현미경(TEM, Jeol사 JEM-1010)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시료는 오스뮴 테트록사이드로 처리한 후,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초박리 절단 시편으로 만들었다.
ㄷ) 헤이즈값 : 두께 3 ㎜의 사출 시험편을 제작하여 ASTM 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ㄹ) 전광선 투과율 : 두께 3 ㎜의 사출 시험편을 제작하여 ASTM 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ㅁ) 아이조드 충격강도 : 12.7 ×64 ×6.4 ㎜의 사출 시험편을 제작하여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평균입경 (㎛) 0.6 0.6 0.8 0.5 0.4 0.9 0.2
입자의 형태 양파+코어셀 양파+코어셀 양파+코어셀 양파+코어셀 양파+코어셀 살라미 코어셀
헤이즈값 (%) 4.3 4.8 5.3 4.0 2.7 7.5 2.8
전광선투과율(%) 88.3 89.8 90.0 90.1 89.4 89.7 89.9
Izod 충격강도(㎏·㎝/㎝) 7.5 8.4 9.0 5.6 3.2 9.7 3.0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가 같이 존재하는 이중 구조로 투명성과 내충격성에 있어서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1의 살라미 구조를 갖는 수지는 투명성이 약하고, 비교예 2의 코어셀 구조만을 갖는 수지는 내충격성이 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 중 고무입자들의형태가 양파 구조 및 코어셀 구조의 이중구조를 갖음으로써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광택이 양호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8)

  1.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a)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혼합용액에 용해시켜 원료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혼합용액을 2 개 이상의 교반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중합장치의 제 1 반응기에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공중합체를 제 2 이상의 반응기에 연속투입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공중합체를 탈휘발, 및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a) 25 ℃에서 5 % 톨루엔 용액점도가 20∼40 cp이고, 스티렌 골격
    함유율이 30∼50 %인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3 내지 15 중량부를
    ⅰ) 스티렌계 모노머 30 내지 60 중량부; 및
    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40 내지 70 중량부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모노머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용해시켜 원료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혼합용액을 2 개 이상의 교반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중합장치의 제 1 반응기에 온도 120∼145 ℃로
    투입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공중합체를 제 2 이상의 반응기에 연속투입하여
    최종 중합전환률이 60∼90%가 될 때까지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공중합체를 탈휘발, 및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분산되는 고무입자가 양파 구조와 코어셀 구조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ⅰ)의 스티렌계 모노머가 스티렌, α-메틸 스티렌,o-메틸 스티렌,p-메틸 스티렌,m-메틸 스티렌, 에틸 스티렌,i-부틸 스티렌, 또는t-부틸 스티렌의 알킬 스티렌; 및o-브로모 스티렌,p-브로모 스티렌,m-브로모 스티렌,o-크로로 스티렌,p-크로로 스티렌, 또는m-크로로 스티렌의 할로겐화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메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중합방법이 연속, 또는 회분식괴상중합, 용액중합, 및 괴상-현탁중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 중에 분산되는 고무입자의 평균입경이 1.2 ㎛ 이하인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KR1020010018293A 2000-12-12 2001-04-06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투명수지의 제조방법 KR20020046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1820441.4A CN1277857C (zh) 2000-12-12 2001-12-12 透明的橡胶改性苯乙烯共聚体
JP2002549752A JP2004520459A (ja) 2000-12-12 2001-12-12 ゴム変性スチレン系共重合透明樹脂の製造方法
US10/450,759 US6849690B2 (en) 2000-12-12 2001-12-12 Transparent, rubber-modified styrene copolymer
PCT/KR2001/002153 WO2002048224A1 (en) 2000-12-12 2001-12-12 Transparent, rubber-modified styrene co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75654 2000-12-12
KR1020000075654 2000-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133A true KR20020046133A (ko) 2002-06-20

Family

ID=2768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293A KR20020046133A (ko) 2000-12-12 2001-04-06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투명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13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0406A (en) * 1976-04-12 1978-03-21 Union Carbide Corporation Rubber-modified impact polystyrenes
KR950008603A (ko) * 1993-09-27 1995-04-19 채오병 고무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조성물
KR950011534A (ko) * 1993-10-28 1995-05-15 채오병 외관 특성이 개선된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조성물
KR960022762A (ko) * 1994-12-06 1996-07-18 유현식 내용제성이 우수한 고충격 고무변성 폴리스티렌계수지의 제조방법
JPH08193106A (ja) * 1995-01-13 1996-07-3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ゴム変性熱可塑性樹脂およびその組成物
JPH08311300A (ja) * 1995-05-23 1996-11-26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ゴム変性熱可塑性樹脂およびその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0406A (en) * 1976-04-12 1978-03-21 Union Carbide Corporation Rubber-modified impact polystyrenes
KR950008603A (ko) * 1993-09-27 1995-04-19 채오병 고무변성된 폴리스티렌 수지 조성물
KR950011534A (ko) * 1993-10-28 1995-05-15 채오병 외관 특성이 개선된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조성물
KR960022762A (ko) * 1994-12-06 1996-07-18 유현식 내용제성이 우수한 고충격 고무변성 폴리스티렌계수지의 제조방법
JPH08193106A (ja) * 1995-01-13 1996-07-3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ゴム変性熱可塑性樹脂およびその組成物
JPH08311300A (ja) * 1995-05-23 1996-11-26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ゴム変性熱可塑性樹脂およびその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7200B1 (en) Transparent rubber modified styrene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by continuous bulk polymerization
KR101903916B1 (ko) 개선된 특성 프로파일을 갖는 충격-저항성 몰딩 재료
KR20030034998A (ko) 내화학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 및그의 제조방법
US6316527B1 (en) Modified SAN resin blend composition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US4021509A (en) Production of impact-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JP2013104042A (ja) 透明な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EP0096527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rubber-modified thermoplastic resin
CN101058622B (zh) 一种基于连续本体法的消光注塑级abs聚合物制备方法
KR20020048605A (ko) 열가소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6849690B2 (en) Transparent, rubber-modified styrene copolymer
KR20020046133A (ko)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투명수지의 제조방법
KR10193158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415151B1 (ko) 이형성이 우수한 내충격성 스티렌계 투명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57739B1 (ko) 고충격 및 고광택을 갖는 내후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CN113943469A (zh) 改性聚甲基丙烯酸甲酯树脂及其制备方法和制备用组合物
EP1447417B1 (en) TRANSPARENT RUBBER−MODIFIED COPOLYMER RESIN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0346853B1 (en) Method for preparing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409074B1 (ko) 유동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공중합 투명수지의제조방법
KR100358234B1 (ko) 내후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 방법
KR970009230B1 (ko)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JPH10130344A (ja) Abs系樹脂の製造方法、abs系樹脂およびそれを用いたabs系樹脂/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0553497B1 (ko) 유동성 및 강성이 우수한 내충격성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JPH08269142A (ja) 透明な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353848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0135397B1 (ko) 내후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