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245A -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245A
KR20020044245A KR1020000073236A KR20000073236A KR20020044245A KR 20020044245 A KR20020044245 A KR 20020044245A KR 1020000073236 A KR1020000073236 A KR 1020000073236A KR 20000073236 A KR20000073236 A KR 20000073236A KR 20020044245 A KR20020044245 A KR 20020044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
blank
oscillator
crystal oscilla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8366B1 (ko
Inventor
문양호
김홍욱
양두열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2000-007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366B1/ko
Priority to US09/833,592 priority patent/US6628048B2/en
Priority to JP2001130695A priority patent/JP2002198768A/ja
Publication of KR2002004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 진동자(Crystal Oscillator)의 내충격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수정 진동자를 제공 하는 것으로 이는 특히, 상기 진동자 본체부(20)의 지지돌기(30) 상측으로 도전성 접착제(40)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수정 블랭크(50)의 지지부(60)와 브릿지부(90) 사이의 연결부(80)의 길이(L)를 일정간격 길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80)의 응력을 분산토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CRYSTAL OSCILLATOT OF IMPROVED IN SHOCK RESISTANCE}
본 발명은 수정의 온도 안정성과 압전특성(Piezo Electric Oscillator)을 이용하여 온도변화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주파수로 발진하는 수정 진동자(Crystal Oscillator)의 내충격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수정 진동자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진동자 본체부의 지지돌기 상측으로 도전성 접착제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수정 블랭크의 지지부와 브릿지부 사이의 연결부(Tine)와 상기 브릿지부의 길이를 일정간격 길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의 응력을 유효하게 분산(分散)시킴으로 인하여, 수정 진동자의 외부 충격 및 낙하에 따른 수정 블랭크의 연결부 파단(破斷) 현상을 방지시킴은 물론, 수정 진동자의 내충격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수정 진동자는, 수정(Crystal)의 온도 안정성과 압전특성(Piezo Electric Oscillator)을 이용하여 온도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주파수로 발진하는 수정 진동자(Crystal Oscillator)를 굴곡모드를 갖는 브릿지부(외팔보)를 이용하여 공진주파수를 상대적으로 저주파 대역을 갖게 할수 있고, 두 개의 브릿지부(외팔보)를 면대칭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완전 고정을 구현하여 지지부로 인한 주파수 틀어짐 현상을 거의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수정 진동자의 구조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부전극(10)이 형성되는 수정 진동자(100)의 진동자 본체부(20) 내부 일측으로 지지 돌기(30)가 양측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지지돌기(30)에는 도전성 접착제(40)를 개재하여 수정 블랭크(50)의 지지부(60)가 착설되고, 상기 수정 블랭크(50) 상측에는 진동자 커버(70)가 착설되어 수정 진동자를 완성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정 블랭크(5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부(60)의 후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연결부(80)를 개재하여 브릿지부(90)가 양측에 대칭으로 연설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수정 진동자는, 진동자 본체부(20)의 내부 일측으로 돌출되는 수정 블랭크를 지지하는 지지돌기(30) 표면에 도전성 접착제(40)를 일정두께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30) 상측으로 수정 블랭크(50)의 지지부(60)가 도전성 접착제(40)에 의해 착설토록 되고, 계속해서상기 수정 블랭크(50) 상측에는 진동자 커버(70)를 착설하여 수정 진동자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폰등에 설치되는 상기와같은 수정 진동자는, 진동자 본체부(20) 내부에 착설된 수정 블랭크(50)가 그 특성상 취성(脆性)을 갖게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낙하등에 상기 수정 블랭크(50)의 연결부(80)에 쉽게 파단(破斷)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따라 수정 진동자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진동자 본체부의 지지돌기 상측으로 도전성 접착제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수정 블랭크의 지지부와 브릿지부 사이의 경사진 연결부 및 브릿지부를 일정간격 길게 보강하여 외부의 충격시 상기 연결부의 응력을 유효하게 분산(分散)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상기 수정 진동자의 외부 충격 및 낙하에 따른 수정 블랭크의 연결부 파단(破斷) 현상을 방지시킴은 물론, 수정 진동자의 내충격성을 가일층 향상시켜 불량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정 진동자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정 진동자의 수정 블랭크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을 갖는 수정 진동자의 수정 블랭크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수정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외부전극 20...진동자 본체부
30...지지 돌기 40...도전성 접착제
50...수정 블랭크 60...지지부
70...진동자 커버 80...연결부
90...브릿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전극이 형성되는 수정 진동자의 진동자 본체부 내부 일측으로 지지 돌기가 양측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지지돌기에는 도전성 접착제를 개재하여 수정 블랭크의 지지부가 착설되고, 상기 수정 블랭크 상측에는 진동자 커버가 착설되는 수정 진동자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본체부의 지지돌기 상측으로 도전성 접착제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수정 블랭크의 지지부와 브릿지부 사이의 연결부 및 브릿지부의 길이를 일정간격 길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의 응력을 분산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을 갖는 수정 진동자의 수정 블랭크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로서, 도 1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외부전극(10)이 형성되는 수정 진동자(100)의 진동자 본체부(20) 내부 일측으로 지지 돌기(30)가 양측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지지돌기(30)에는 도전성 접착제(40)를 개재하여 수정 블랭크(50)의 지지부(60)가 착설되고, 상기 수정 블랭크(50) 상측에는 진동자 커버(70)가 착설된다.
또한, 상기 진동자 본체부(20)의 지지돌기(30) 상측으로 도전성 접착제(40)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수정 블랭크(50)의 지지부(60)와 브릿지부(90) 사이의 연결부(80)의 길이(L)를 일정간격 길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80)의 응력을 분산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부전극(110)이 형성되는 수정 진동자(100)의 진동자 본체부(20) 내부에 발진 주파수 특성을 갖는 수정 블랭크(50)를 설치할 경우, 상기 진동자 본체부(20) 내부 일측으로 지지 돌기(30)가 양측에 각각 돌출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30)에는 은(Ag)에 바인더가 혼합된 도전성 접착제(40)를 일정두께 각각 도포하여 내부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30)에 도포된 도전성 접착제(40)의 상측에는 수정 블랭크(50)의 일단에 형성되는 평탄부인 지지부(60)가 상기 도전성 접착제(40)를 통해착설토록 되며, 상기 진동자 본체부(20)의 지지돌기(30) 상측으로 도포되는 도전성 접착제(40)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수정 블랭크(50)의 지지부(60)와 브릿지부(90) 사이의 연결부(80)는, 그 길이(L)를 일정간격 길게 형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80)가 외부의 충격에 따른 응력을 상기 증가된 길이(L)에 의해 분산(分散)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정 블랭크(50)의 평탄한 지지부(60)와 브릿지부(90) 사이의 경사진 연결부(80)의 길이(L)는, 270∼290㎛로 설정하여 종래의 11㎛보다 훨씬 길게 형성하며, 상기 브릿지부(90)의 길이는 종래의 브릿지부 길이보다 90∼105㎛, 바람직하게로는 본 발명에서 99㎛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정 블랭크(50)의 평탄한 지지부(60)와 브릿지부(90) 사이의 경사진 연결부(8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따른 응력을 브릿지부(90)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사진 연결부(80)의 길이(L)가 270㎛ 이하로 설정될 경우에는 연결부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따른 충분한 파단(破斷)길이의 확보가 어렵게 되며, 290㎛ 이상일 경우에는 수정 진동자의 연결부가 파단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데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의 수정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정 블랭크(50)의 양측으로 대칭면을 갖는 브릿지부(90)의 폭을 종래 브릿지부의 폭인 0.218㎛ 보다 -34㎛ 작게 0.184㎛으로 설정 함으로써, 브릿지부(90) 자체의 중량을 줄여주어 지지부(80)와 도전성 접착제(40)의 접착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브릿지부의 파단 응력을 줄일 수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같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에에 의한 수정 블랭크(50)의 연결부(80) 파단시 최대응력 결과를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 내었다.
구분 최대응력(MPa)
변화량 수직(길이)방향 수평(폭)방향 두께방향
종래예 연결부길이 및 폭:0 134(1.00) 5.40(1.00) 239(1.00)
실시예 1 연결부길이:+99㎛ 110(0.82) 5.16(0.96) 198(0.82)
실시예 2 연결부 폭:-34㎛ 91(0.68) 5.24(0.97) 154(0.64)
()안의 수치는 종래예에 대한 값을 1로 설정했을때의 상대수치임.
상기 표1에서와 같이, 수정 블랭크의 연결부의 길이가 종래보다 99㎛ 크 수록, 연결부 폭이 종래보다 34㎛ 작을수록 브릿지부의 파단 응력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내충격성을 갖는 수정 진동자에 의하면, 수정 진동자의 내부에 도포되는 절연성 수지를 통한 수정 블랭크의 충격 완충효과를 증대시키며, 이에따라 상기 수정 진동자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수정 블랭크의 접착불량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외부전극(10)이 형성되는 수정 진동자(100)의 진동자 본체부(20) 내부 일측으로 지지 돌기(30)가 양측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지지돌기(30)에는 도전성 접착제(40)를 개재하여 수정 블랭크(50)의 지지부(60)가 착설되고, 상기 수정 블랭크(50) 상측에는 진동자 커버(70)가 착설되는 수정 진동자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본체부(20)의 지지돌기(30) 상측으로 도전성 접착제(40)를 개재하여 착설되는 수정 블랭크(50)의 지지부(60)와 브릿지부(90) 사이의 연결부(80)의 길이(L)를 일정간격 길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80)의 응력을 분산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블랭크(50)의 평탄한 지지부(60)와 브릿지부(90) 사이의 경사진 연결부(80)의 길이(L)는, 270∼29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블랭크(50)의 양측으로 대칭면을 갖는 브릿지부(90)의 폭은 0.184㎛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KR10-2000-0073236A 2000-11-29 2000-12-05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KR10039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236A KR100398366B1 (ko) 2000-12-05 2000-12-05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US09/833,592 US6628048B2 (en) 2000-11-29 2001-04-13 Crystal oscillator with improved shock resistance
JP2001130695A JP2002198768A (ja) 2000-11-29 2001-04-27 耐衝撃性が向上された水晶振動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236A KR100398366B1 (ko) 2000-12-05 2000-12-05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245A true KR20020044245A (ko) 2002-06-15
KR100398366B1 KR100398366B1 (ko) 2003-09-19

Family

ID=2767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236A KR100398366B1 (ko) 2000-11-29 2000-12-05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641B1 (ko) * 2005-11-24 2007-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3413A (en) * 1979-12-26 1981-07-29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Tuning fork quartz oscillator
JPS60140910A (ja) * 1983-12-27 1985-07-25 Matsushima Kogyo Co Ltd 音叉型振動子のフオトエツチング用マスクの形状
JPS61215931A (ja) * 1985-03-22 1986-09-25 Seiko Electronic Components Ltd 音叉型圧電振動子
JP3229005B2 (ja) * 1992-04-28 2001-11-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音叉型水晶振動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11226B2 (ja) * 1996-07-26 2006-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水晶振動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2153B2 (ja) * 1997-03-07 2002-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音叉型水晶振動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641B1 (ko) * 2005-11-24 2007-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8366B1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3600B (zh) 具有优化的运动电容的压电音叉谐振器
KR100330128B1 (ko) 압전 공진자
JP2002198768A (ja) 耐衝撃性が向上された水晶振動子
US7126260B2 (en) Surface mount crystal unit
JPH08330886A (ja) 表面実装形圧電デバイス
KR20020044245A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정 진동자
JPS6141215A (ja) 水晶振動子
US9030081B2 (en) Piezoelectric device
JPH09326657A (ja) 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US11063573B2 (en) Quartz crystal resonator and quartz crystal resonator unit
KR100327909B1 (ko) 압전소자및이를포함하는전자부품
JP5585240B2 (ja) 振動片及び振動デバイス
KR20020041870A (ko) 내충격성을 갖는 수정 진동자
JPH01227515A (ja) 圧電振動子
JP2005159967A (ja) 圧電振動子の支持構造
EP1041714A2 (en) Piezoelectric resonator supporting structure and a piezoelectric part including the same
JP3395665B2 (ja) 圧電部品
JPH0336103Y2 (ko)
JP2000165189A (ja) 圧電振動子及び圧電発振器とこれらの製造方法
JP2023000464A (ja) 水晶振動片および水晶振動子
JPS6324659Y2 (ko)
JPH0633706Y2 (ja) 圧電共振子
JP2020014044A (ja) 振動素子用の台座、振動子及び発振器
JPS6121861Y2 (ko)
JPS5896413A (ja) 厚みすべり水晶振動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