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576A -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576A
KR20020042576A KR1020020024629A KR20020024629A KR20020042576A KR 20020042576 A KR20020042576 A KR 20020042576A KR 1020020024629 A KR1020020024629 A KR 1020020024629A KR 20020024629 A KR20020024629 A KR 20020024629A KR 20020042576 A KR20020042576 A KR 20020042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battery
electrode
plate
electro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정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희 filed Critical 정병희
Priority to KR102002002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2576A/ko
Publication of KR20020042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576A/ko
Priority to KR10-2003-0024584A priority patent/KR100430466B1/ko
Priority to EP03252548A priority patent/EP1376719A1/en
Priority to CN03124346A priority patent/CN1455465A/zh
Priority to JP2003126527A priority patent/JP2003331808A/ja
Priority to US10/427,931 priority patent/US20030207170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batteries or cells of different types or different siz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배선없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에 의해 +전극판과 -전극판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이 전극판(4,6)은 상기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는 +전극판(4)과, 이 +전극판(4)의 내측에 구비된 -전극판(6)과,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판(6)과 +전극판(4)을 상호 절연 및 접착하는 접착시트(8)와, 상기 +전극판(4) 또는 -전극판(6)에 연결된 탄성부재(10,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판(6)과 접착시트(8)에는 배터리(1)의 +전극이 삽입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어, 배터리(1)의 +전극이 이 개구부(14)를 통해 +전극판(4)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판(4) 또는 -전극판(6)은 상기 탄성부재(10,12)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전극판(4)과 -전극판(6)이 배터리(1) 양단의 +전극과 -전극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battery connector and the mr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배선없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에 의해 +전극판과 -전극판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그 양단에는 각각 돌기형상의 +전극과, 평면의 -전극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케이스는 전자제품에 연결된 +전극판과 -전극판 내부 양측에 구비되어, 이 배터리를 전자제품의 배터리 케이스에 끼워넣으면, 배터리의 +전극과 -전극이 상기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자제품에 직류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배터리가 거꾸로 결합될 경우, 전류가 역으로 공급되어, 전자제품이 작동되지 않거나, 심할 경우,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제품의 배터리 케이스에는 배터리를 끼우는 방향을 표시한 안내문구나 표시그림을 그려 넣으므로써, 사용자가 그림이나 안내문구에 따라 배터리를 정확한 방향으로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제품의 경우, 배터리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여러개의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여, 높은 전압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양측에 여러개의 전극판(2)을 배치하여, 배터리(1)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끼워넣으면, 배터리(1)를 직렬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배터리(1)를 여러개 직렬로 연결할 경우, 다수개중 하나만 거꾸로 끼워넣어도 전자제품이 작동하지 않거나, 손상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터리(1)를 끼워넣을 때 주의해야 하나, 이러한 것이 매우 번거롭고, 사용에 익숙치 않거나, 전기를 잘 모르는 사람, 또는, 어린이나 노인들은 배터리(1)를 갈아넣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배터리(1) 소켓의 경우, 배터리(1)가 거꾸로 끼워질때를 대비하여, 회로의 중간부에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전자제품에 역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다이오드가 연결됨에 따라,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되고, 다이오드의 저항에 의해, 전류의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 소켓의 내부 양측에 +전극판(4)을 배치하고, 이 +전극판(4)의 내측 둘레부에 -전극판(6)을 배치함과 동시에,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여 +전극판(4)은 +전극판(4)끼리, 그리고, -전극판(6)은 -전극판(6) 끼리 상호 통전가능하게 연결한 무극성 배터리케이스가 특허출원된 바 있다. (출원번호 20-1992-9034, 10-1992-3649, 20-1992-10441호 등). 따라서, 상기 전극판의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볼록하게 튀어나온 배터리(1)의 +전극은 상기 +전극판(4)에 접촉되고, 넓게 형성된 배터리의 -전극은 상기 -전극판(6)에 접촉되어, 배터리(1)의 방향을 바꿔도 항상 순방향의 전력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는 구조가 복잡하고, 사이즈가 커서,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1)는 동일한 규격의 제품이라도, 제작사에 따라 각부분의 사이즈에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국내에 유통되는 AA규격의 배터리(1)의 경우, 제조사에 따라 전체길이가 대략 1.5mm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배터리(1)의 +전극의 돌출길이가 1~1.5mm 내외이다.), 이러한 종래의 무극성 배터리 케이스의 경우, 한가지 제품, 즉, 길이가 동일한 배터리(1)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길이가 긴 배터리(1)에 맞도록 제작된 배터리 케이스의 경우, 길이가 짧은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배터리(1)의 +전극이나 -전극이 에 밀착되지 않게 되며, 길이가 짧은 배터리(1)에 맞도록 제작된 배터리 케이스의 경우, 길이가 긴 배터리(1)는 잘 들어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배터리(1)의 +전극은 그 단부 형상이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을 뿐, 그 기단부는 -전극과 비슷한 넓이의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의 간격이 배터리(1)의 +전극의 돌출길이보다 멀 경우, 배터리(1)의 +전극은 +전극판(4)이 아닌 -전극판에 접촉되어, 쇼트를 발생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무극성 배터리 전극판은 +전극판(4)과 -전극판(6)의 간격이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으로 변하게 됨에 따라, 길이가 긴 배터리(1)를 끼워넣을 경우, +전극판(4)이 변형되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전극판(4)과 -전극판(6)의 간격이 멀어져, 배터리(1)의 +전극 기단부가 -전극판(6)에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여, 전극을 상호 연결하여야 하므로, 구성과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길이가 다른 배터리를 모두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의 +전극과 -전극판이 별도의 배선없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무극성 배터리케이스를 도시한 참고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극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3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극판의 생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터리 4. +전극판
6. -전극판 8. 접착시트
10. +탄성연결부재 12. -탄성연결부재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이 전극판(4,6)은 상기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는 +전극판(4)과, 이 +전극판(4)의 내측에 구비된 -전극판(6)과,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판(6)과 +전극판(4)을 상호 절연 및 접착하는 접착시트(8)와, 상기 +전극판(4) 또는 -전극판(6)에 연결된 탄성부재(10,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판(6)과 접착시트(8)에는 배터리(1)의 +전극이 삽입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어, 배터리(1)의 +전극이 이 개구부(14)를 통해 +전극판(4)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판(4) 또는 -전극판(6)은 상기 탄성부재(10,12)에 연결되어, 이 탄성부재(10,12)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전극판(4)과 -전극판(6)이 배터리(1) 양단의 +전극과 -전극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10,12)는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로 구성되고 그 양단이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에 일체로 연결된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로 구성되며, 이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는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의 하단 반대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이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에 의해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이 내측으로 탄성가압됨과 동시에, 별도의 배선없이,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이 전극판(4,6)은 배터리(1) 케이스의 양측에 구비되는 +전극판(4)과, 이 +전극판(4)의 내측에 구비된 -전극판(6)과,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판(6)과 +전극판(4)을 상호 절연 및 접착하는 접착시트(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판(6)과 접착시트(8)에는 배터리(1)의 +전극이 삽입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은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로 구성된 연결부재(18)의 양단 전후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각 전극판(4,6)의 사이에 끼워진 배터리(1)가 별도의 배선없이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긴 판형상의 연결부재(18) 양단 전후측에 +전극판(4)과 -전극판(6)이 일체로 형성된 1차전극판(20)을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와, 1차 성형단계를 거쳐 생산된 1차전극판(20)의 -전극판(6)을 다른 1차전극판(20)의 +전극판(4)에 겹쳐 배치하고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접착시트(8)를 개재하여 상호접착하는 접착단계와, 접착단계를 거친 전극판(4,6)을 필요한 개수로 잘라내는 전극 절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극판을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터리(1)를 한 개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전극판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1) 전극은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그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전극판(4,6)은 +연결판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대략 +전극판(4)과, 이 +전극판(4)의 내측에 구비된 -전극판(6)과,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판(6)과 +전극판(4)을 상호 절연 및 접착하는 접착시트(8)와,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에 연결된 탄성부재(10,12)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판(6)과 +접착시트(8)에는 배터리(1)의 +전극이 삽입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접착시트(8)는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상호 절연함과 동시에, 접착하는 것으로, 열에 의해 용융되어 접착력을 발휘하는 핫멜트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접착시트(8)를 끼워넣은 후, +전극판(4)과 -전극판(6)에 열을 가하여, 접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14)는 그 상측이 개방된 U자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극판(4,6)의 상측에서 전극판(4,6)의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폭이 좁은 배터리(1)의 +전극은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전극판(4)에 접촉되고, 폭이 넓은 배터리(1)의 -전극은 상기 -전극판(6)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0,12)는 양단이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에 연결된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로 구성된다. 이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는 통전성과 탄성이 뛰어난 구리합금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을 프레스가공하여 제작할 때 일체로 제작되며, 양단에 위치되는 +전극판(4)이나 -전극판(6)은 상향절곡되어, 전체 형상이 디귿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4,6)의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상기전극판(4,6)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전극판(4,6)이 배터리(1)의 +전극과 -전극에 밀착가압된다.
또한, 상기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는 상기 +전극판(4)을 +전극판(4)끼리, -전극판(6)을 -전극판(6)끼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배선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는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의 하단 반대쪽에 연결되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므로써, 별도의 절연체를 이용하지 않고 상호 절연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연결부재(10)는 +전극판(4)의 우측하단에 연결되고, -탄성연결부재(12)는 -전극판(6)의 좌측하단에 연결될 뿐 아니라, 각 탄성연결부재(18)의 폭이 전극판(4,6)의 폭에 비해 매우 좁게 형성되어, +전극판(4)의 내측에 -전극판(6)을 겹치게 배치하여도, 상기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가 상호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절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의 폭은 상기 전극판(4,6)의 폭에 비해 1/2 이하의 사이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6는 상기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의 중간부에 형성된 접점을 도시한 것으로, 이 접점(16)은 전자제품의 전원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판(4,6)을 배터리(1) 케이스에 장착하고, 이 전극판(4,6)의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배터리(1)의 +전극은 -전극판(6)과 접착시트(8)의 개구부(14)를 통해 +전극판(4)에 접촉되고, 배터리(1)의 -전극은 -전극판(6)에 접촉된다. 또한, +전극판(4)은 +전극판(4)끼리, -전극판(6)은 -전극판(6)끼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터리(1)를 임의의 방향으로 끼워넣어도, 항상 상기 접점(16)을 통해 순방향의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배터리 전극판(4,6)은 상기 접착시트(8)에 의해 상호 접착되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연결부재(18)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므로, 그 사이에 다양한 길이의 배터리(1)를 끼워넣어도 전극판(4,6)이 탄성적으로 전후진되면서, 배터리(1) 양측의 +전극과 -전극에 밀착가압되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배터리(1)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를 이용하여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별도의 배선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전극판(6)이 +전극판(4)에 접착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전후진된다. 따라서, 길이가 긴 배터리(1)를 끼워넣었을 때 +전극판(6)이 외측으로 밀려나간 만큼 -전극판(6)도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므로, 배터리(1) +전극의 기단부가 -전극판(6)에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착시트(8)는 핫멜트 소재를 이용하여, 열에 의해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상호 접착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접착시트(8)는 일반 합성수지 시트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상호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4쌍의 전극판(4,6)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그 사이에 끼워진 4개의 배터리(1)를 상호 직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은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로 구성된 연결부재(18)의 양단 전후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연결부재(18)에 형성된 -전극판(6)은 다른 연결부재(18)에 형성된 +전극판(4)의 내측면에 접착된다.
이와같이 상기 연결부재(18)의 양단 전후측에 +전극판(4)과 -전극판(6)을 형성하고, 이 연결부재(18)의 -전극판(6)을 다른 연결부재(18)에 형성된 +전극판(4)의 내측면에 접착하면, +전극판(4)과 -전극판(6)이 순차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극판(4,6)의 사이에 끼워진 배터리(1)를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지 않고, 다수개의 배터리(1)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이러한 전극판(4,6)을 제작하는 제작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이 제작방법은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긴 판형상의 연결부재(18) 양단 전후측에 +전극판(4)과 -전극판(6)이 일체로 형성된 1차 전극판(20)을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a)와, 1차 성형단계를 거쳐 생산된 1차 전극판(20)의 -전극판(6)을 다른 1차 전극판(20)의 +전극판(4)에 겹쳐 배치하고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접착시트(8)를 개재하여 상호접착하는 접착단계(b)와, 접착단계를 거친 전극판(4,6)을 필요한 개수로 잘라내는 전극 절단단계(c)와, 절단단계를 거쳐 완성된 전극판(4,6)을 배터리(1) 케이스에 장착하는 단계(d)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시트(8)는 열에 의해 용융되어 접착성을 발휘하는 핫멜트소재로 구성되므로, 열융착방식을 이용하여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상호 접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단계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여러개의 전극판(4,6)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절단단계(c)는 상기 전극판(4,6)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8)의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양단에 형성된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상호 분리하는 것으로, 잘라진 연결부재(18)는 전술한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8)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를 형성할 때, 그 중앙부에 조그마한 팁을 남겨두므로써, 이 팁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전술한 접점(16)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단계에서 전극판(4,6)을 4개씩 절단할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배터리(1)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극판(4,6)을 제작할 수 있으며, 하나씩 절단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 하나를 끼워넣을 수 있는 전극판(4,6)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부재(18)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상측으로 절곡하는 과정을 생략하였으나, 이 +전극판(4)과-전극판(6)은 상기 1차 성형단계 이후에 절곡성형하여, 접착단계를 거친 전극판(4,6)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4,6)을 연속적으로 직렬로 연결하여 제조한 후, 필요한 개수 만큼씩 잘라낼 수 있으므로, 직렬로 연결할 배터리(1)의 개수에 따라 각기 다른 제조공정을 거칠 필요 없이 한가지의 제조방법으로, 다양한 개수의 배터리(1)를 연결하는 전극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공정 전체를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탄성의 도전체로 구성된 판을 가공하여, 연결부재(18)의 양단 전후측에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일체로 성형하여 1차 전극판(20)을 제작하고,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절곡한 후, -전극판(6)을 다른 1차 전극판(20)의 +전극판(4) 내측에 접착시트(8)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필요한 개수로 잘라내므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1)에 의해 +전극판(4)과 -전극판(6)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이 전극판(4,6)은 상기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는 +전극판(4)과, 이 +전극판(4)의 내측에 구비된 -전극판(6)과,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판(6)과 +전극판(4)을 상호 절연 및 접착하는 접착시트(8)와, 상기 +전극판(4) 또는 -전극판(6)에 연결된 탄성부재(10,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판(6)과 접착시트(8)에는 배터리(1)의 +전극이 삽입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어, 배터리(1)의 +전극이 이 개구부(14)를 통해 +전극판(4)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판(4) 또는 -전극판(6)은 상기 탄성부재(10,12)에 연결되어, 이 탄성부재(10,12)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전극판(4)과 -전극판(6)이 배터리(1) 양단의 +전극과 -전극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0,12)는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로 구성되고 그 양단이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에 일체로 연결된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로 구성되며, 이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는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의 하단 반대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이 +탄성연결부재(10)와 -탄성연결부재(12)에 의해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이 내측으로 탄성가압됨과 동시에, 별도의 배선없이,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3. 배터리(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이 전극판(4,6)은 배터리(1) 케이스의 양측에 구비되는 +전극판(4)과, 이 +전극판(4)의 내측에 구비된 -전극판(6)과,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 개재된 접착시트(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판(6)과 접착시트(8)에는 배터리(1)의 +전극이 삽입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판(4)과 -전극판(6)은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로 구성된 연결부재(18)의 양단 전후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각 전극판(4,6)의 사이에 끼워진 배터리(1)가 별도의 배선없이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4.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긴 판형상의 연결부재(18) 양단 전후측에 +전극판(4)과 -전극판(6)이 일체로 형성된 1차전극판(20)을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와, 1차 성형단계를 거쳐 생산된 1차전극판(20)의 -전극판(6)을 다른 1차전극판(20)의 +전극판(4)에 겹쳐 배치하고 이 +전극판(4)과 -전극판(6)의 사이에접착시트(8)를 개재하여 상호접착하는 접착단계와, 접착단계를 거친 전극판(4,6)을 필요한 개수로 잘라내는 전극 절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제조방법.
KR1020020024629A 2002-05-04 2002-05-04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KR20020042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629A KR20020042576A (ko) 2002-05-04 2002-05-04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KR10-2003-0024584A KR100430466B1 (ko) 2002-05-04 2003-04-18 배터리 전극판
EP03252548A EP1376719A1 (en) 2002-05-04 2003-04-23 Contact plate assembly for battery pole electrical connection
CN03124346A CN1455465A (zh) 2002-05-04 2003-04-30 电池极板
JP2003126527A JP2003331808A (ja) 2002-05-04 2003-05-01 電池ケースの電極板
US10/427,931 US20030207170A1 (en) 2002-05-04 2003-05-02 Battery pole pl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629A KR20020042576A (ko) 2002-05-04 2002-05-04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576A true KR20020042576A (ko) 2002-06-05

Family

ID=277261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629A KR20020042576A (ko) 2002-05-04 2002-05-04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KR10-2003-0024584A KR100430466B1 (ko) 2002-05-04 2003-04-18 배터리 전극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584A KR100430466B1 (ko) 2002-05-04 2003-04-18 배터리 전극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207170A1 (ko)
EP (1) EP1376719A1 (ko)
JP (1) JP2003331808A (ko)
KR (2) KR20020042576A (ko)
CN (1) CN14554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32B1 (ko) 2019-12-10 2020-06-18 최항식 배터리 극판의 연속 제조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879B1 (ko) * 2003-10-31 2005-09-22 주식회사 에이텍 무극성 밧데리 케이스의 전극판 구조
US7527893B2 (en) * 2006-05-23 2009-05-05 Microsoft Corporation Eliminating incorrect battery installation
US8097355B2 (en) * 2007-11-16 2012-01-17 Microsoft Corporation Protecting against incorrect battery polarity
JP5203035B2 (ja) * 2008-05-08 2013-06-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
US20110068748A1 (en) * 2008-05-30 2011-03-2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Power Routing Circuit
CN102686991A (zh) * 2009-12-27 2012-09-19 泰尔茂株式会社 电子体温计
KR101497530B1 (ko) * 2014-09-16 2015-03-03 박병성 낚시용 발광 찌
CN106099024B (zh) * 2016-07-28 2019-04-02 天能电池(芜湖)有限公司 蓄电池过桥连接结构
CN110993851A (zh) * 2019-12-16 2020-04-10 盐城维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固定的动力电池盒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9550A (en) * 1944-11-23 1948-09-21 Robert L Eichberg Battery adapter
US2983778A (en) * 1959-01-26 1961-05-09 Prestole Corp Battery clip
JPS59127364A (ja) * 1983-01-10 1984-07-23 Canon Inc 電池収納装置
US5017441A (en) * 1989-08-08 1991-05-21 Elgin Molded Plastics, Inc. Battery pack
DE69116841T2 (de) * 1990-12-27 1996-05-30 Lg Electronics Inc Steckvorrichtung für Batterien
US5229220A (en) * 1991-12-12 1993-07-20 Motorola, Inc. Reverse polarity protection assembly
US5532080A (en) * 1993-07-02 1996-07-02 Konica Corporation Cylindrical type dry battery and battery chamber
US5376476A (en) * 1993-08-02 1994-12-27 Eylon; Dan Battery orientation-indifferent battery receptor
US5431575A (en) * 1994-02-18 1995-07-11 Cardiac Evaluation Center, Inc. Bi-directional battery holder
US5631098A (en) * 1994-09-06 1997-05-20 Nikon Corporation Battery holder
JPH09223488A (ja) * 1996-02-19 1997-08-26 Reader Denshi Kk 電池保持装置
KR0140109Y1 (ko) * 1996-05-15 1999-05-15 손욱 전지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32B1 (ko) 2019-12-10 2020-06-18 최항식 배터리 극판의 연속 제조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0466B1 (ko) 2004-05-12
KR20030045708A (ko) 2003-06-11
EP1376719A1 (en) 2004-01-02
CN1455465A (zh) 2003-11-12
JP2003331808A (ja) 2003-11-21
US20030207170A1 (en) 200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8937B2 (ja) 電極部材、および、電池ブロック
TWI279058B (e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pack and method thereof
US7762848B2 (en) Interconnect device for battery cell assemblies
CN102668165A (zh) 借助于电池连接器电联接电池组的电池的装置和具有这种电池连接器的电池组
EP0361848B1 (en) Packed batteri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40248517A1 (en) Power supply device
JP2012190678A (ja) 蓄電ユニット用のバスバーモジュール
KR20020042576A (ko)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US10438720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cellular electrical elements
US20230194572A1 (en) Shunt re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27751A (ko) 이차전지용 센싱모듈
CN216288853U (zh) 极耳引出组件、极芯组件及电池
JP2016092005A (ja)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WO2012144435A1 (ja) 導電部材への素子接続構造
WO2000024011A1 (fr) Piece electrique ayant un element metallique a fonction de borne, exempt de soudure
JP2006049024A (ja) 電池用パック
JPH0546069Y2 (ko)
JP2016119227A (ja) 電気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KR20030010447A (ko) 배터리용 접촉단자와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 직렬 및 병렬연결구조
CN214369475U (zh) 一种柔性led灯带及连接导体、连接导体阵列
JP3182797U (ja) 電気コネクタ
JP2019008877A (ja) 電線接続バスバ及び導電モジュール
EP4228078A1 (en) Battery connection module
JP4003868B2 (ja) コネクター
JP2000123819A (ja) 電 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