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466B1 - 배터리 전극판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극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0466B1 KR100430466B1 KR10-2003-0024584A KR20030024584A KR100430466B1 KR 100430466 B1 KR100430466 B1 KR 100430466B1 KR 20030024584 A KR20030024584 A KR 20030024584A KR 100430466 B1 KR100430466 B1 KR 100430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de plate
- battery
- plate
- plat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batteries or cells of different types or different siz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배선없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의 +전극이 -전극판에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배터리 전극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전도성이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된 +전극연결부재(12) 및 -전극연결부재(14)와, 상기 +전극연결부재(12)의 양단에 구비된 한쌍의 +전극판(16)과, 상기 -전극연결부재(14)의 양단에 구비되며 +전극판(16)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전극판(18)과,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판(18)과 고정부재(20)에는 배터리(1)의 +전극(26)이 삽입되는 개구부(22,23)가 형성되어, 배터리(1)의 +전극(26)이 상기 개구부(22,23)를 통해 +전극판(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배선없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의 +전극이 -전극판에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배터리 전극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그 양단에는 각각 돌기형상의 +전극과, 평면의 -전극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케이스는 전자제품에 연결된 +전극판과 -전극판 내부 양측에 구비되어, 이 배터리를 전자제품의 배터리 케이스에 끼워 넣으면, 배터리의 +전극과 -전극이 상기 전극판에 접촉되어, 전자제품에 직류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제품의 경우, 배터리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여러개의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여, 높은 전압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양측에 여러개의 전극판(2)을 배치하여, 배터리(1)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끼워넣으면, 배터리(1)를 직렬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배터리가 거꾸로 결합될 경우, 전류가 역으로 공급되어, 전자제품이 작동되지 않거나, 심할 경우,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제품의 배터리 케이스에는 배터리를 끼우는 방향을 표시한 안내문구나 표시그림을 그려 넣으므로써, 사용자가 그림이나 안내문구에 따라 배터리를 정확한 방향으로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배터리의 방향을 맞추어 끼워넣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사용에 익숙치 않거나, 전기를 잘 모르는 사람, 또는, 어린이나 노인들의 경우, 배터리를 끼워넣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배터리(1) 소켓의 경우, 배터리(1)가 거꾸로 끼워질때를 대비하여, 회로의 중간부에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전자제품에 역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다이오드가 연결됨에 따라,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되고, 다이오드에 의해, 전류의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 소켓의 내부 양측에 +전극판(4)을 배치하고, 이 +전극판(4)의 내측 둘레부에 -전극판(6)을 배치함과 동시에,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여 +전극판(4)은 +전극판(4)끼리, 그리고, -전극판(6)은 -전극판(6) 끼리 상호 통전가능하게 연결한 무극성 배터리케이스가 특허출원된 바 있다. (출원번호 20-1992-9034, 10-1992-3649, 20-1992-10441호 등). 따라서, 상기 전극판의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볼록하게 튀어나온 배터리(1)의 +전극은 상기 +전극판(4)에 접촉되고, 넓게 형성된 배터리의 -전극은 상기 -전극판(6)에 접촉되어, 배터리(1)의 방향을 바꿔도 항상 순방향의 전력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는 전극판(4,6)의 구조가 복잡하고, 각전극판(4,6)을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여 연결하므로, 제작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는 길이가 동일한 배터리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배터리(1)는 동일한 규격의 제품이라도, 제작사에 따라 각부분의 사이즈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따라서, 길이가 짧은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배터리(1)의 +전극이나 -전극이 +전극판(4)이나 -전극판(6)에 밀착되지 않게 되며, 길이가 긴 배터리(1)를 끼워넣을 경우, 배터리(1)의 +전극 기단부가 -전극판(6)에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판(4)의 위치를 고정할 경우, 전극판(4,6)의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거나, 배터리(1)를 빼내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여, 전극을 상호 연결하여야 하므로, 구성과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길이가 다른 배터리를 모두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의 +전극과 -전극판이 별도의 배선없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무극성 배터리케이스를 도시한 참고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극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극판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극판의 조립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터리 케이스 12. +전극연결부재
14. -전극연결부재 16. +전극판
18. -전극판(18) 20. 고정부재
22,23 개구부 30. 전극연결판
본 발명에 따르면, 베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전도성이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전극연결부재(12) 및 -전극연결부재(14)와, 상기 +전극연결부재(12)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한쌍의 +전극판(16)과, 상기 -전극연결부재(14)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며 +전극판(16)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전극판(18)과,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하는 고정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판(18)과 고정부재(20)에는 배터리(1)의 +전극(26)이 삽입되는 개구부(22,23)가 형성되어, 배터리(1)의 +전극(26)이 상기 개구부(22,23)를 통해 +전극판(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베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전도성재질로 구성된 다수개의 전극연결판(30)과, 각각의 전극연결판(30)의 양단에서 상호 측방향으로 이웃하도록 절곡되어 상향연장된 한쌍의 +전극판(16) 및 한쌍의 -전극판(18)과, 상기 +전극판(16)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전극판(18)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고정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은 동일한 전극판(16,18)끼리 상호 마주보며 상호 다른 전극판(16,18)은 상호 측방향에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어느 한 전극연결판(30)의 +전극판(16) 내측에 인접한 전극연결판(30)의 -전극판(18)이 배치되도록 조립하되, +전극판(16)과 -전극판(18) 사이에는 고정부재(20)를 개재시켜서 다수개의 전극연결판(3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며, 상기 -전극판(18)과 고정부재(20)에는 배터리(1)의 +전극(26)이 삽입되는 개구부(2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판(16) 또는 -전극판(18)에는 상기 돌기(32)에 대응되는 삽입공(34)이 형성되어, 이 돌기(32)를 삽입공(34)에 끼우므로써 고정부재(20)를 +전극판(16) 또는 -전극판(18)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는 +전극판(16)과 -전극판(18)이 끼움결합되는 삽입부(40)가 형성된 캡형상으로 구성되며, 이 삽입부(40)의 내부에는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소정간격 이격하는 돌출턱(42)이 형성되어, 고정부재(20)를 +전극판(16)과 -전극판(18)에 끼움결합하여,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극판을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터리(1)를 한 개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배터리 전극판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1) 전극은 베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배터리 전극판은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된 +전극연결부재(12) 및 -전극연결부재(14)와, 상기 +전극연결부재(12)의 양단에 구비된 한쌍의 +전극판(16)과, 상기 -전극연결부재(14)의 양단에 구비된 +전극판(16)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전극판(18)과,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전극연결부재(12)와 -전극연결부재(14)는 전기 전도성과 탄성이 뛰어난 구리판 등을 긴 판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긴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베터리 케이스(10)의 내부 저면에 상호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은 상기 전극 연결부재의 양단에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상측으로 90°절곡된다. 이때, 전극판은 상기 +전극연결부재(12)와 -전극연결부재(14)의 폭에 비해 2배 이상의 폭이 되도록 제작되며, 전극연결부재가 측면쪽으로 치우치도록 성형되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겹쳐 배치할 때, +전극연결부재(12)와 -전극연결부재(14)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열에 의해 용융되어 접착력을 발휘하는 핫멜트 소재를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고정부재(20)를 끼워넣은 후, 열을 가하여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접착하므로써,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의 두께는 0,5mm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 -전극판(18)과 고정부재(20)의 중앙부에는 배터리(1)의+전극(26)이 삽입되는 개구부(22,2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2,23)는 배터리(1)의 +전극(26)에 비해서는 폭이 넓고 배터리(1)의 -전극(28)에 비해서는 폭이 좁게 형성되어, 배터리(1)의 +전극(26)만이 이 개구부(22,23)를 통해 +전극판(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극연결부재(12)와 -전극연결부재(14)의 중간부에는 별도의 접점(24)이 형성되어, 이 접점(24)이 전자제품의 전원공급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의 개구부(23)는 상기 -전극판(18)의 개구부(22)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하여, 배터리(1)가 좌우로 움직이더라도, 배터리(1)의 +전극(26)이 -전극판(18)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전극판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터리 케이스(10)에 장착하고, 이 전극판의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배터리(1)의 +전극(26)은 -전극판(18)과 고정부재(20)의 개구부(22,23)를 통해 +전극판(16)에 접촉되고, 배터리(1)의 -전극(28)은 -전극판(18)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전극연결부재에 의해 +전극판(16)은 +전극판(16)끼리, -전극판(18)은 -전극판(18)끼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터리(1)를 임의의 방향으로 끼워넣어도, 전자제품의 전원공급단자에는 항상 순방향의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배터리 전극판은 +전극판(16)과 -전극판(18)이 상기 전극연결부재(12,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접방향으로 탄성가압될 뿐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20)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의 사이에 배터리(1)를 끼워넣으면,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이 함께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배터리(1)의 +전극(26)과 -전극(28)에 밀착가압되므로, 배터리(1)의 +전극(26)이 -전극판(18)에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길이가 길거나 짧은 다양한 사이즈의 배터리(1)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극연결부재(12)와 -전극연결부재(14)를 이용하여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별도의 배선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부재(20)는 핫멜트 소재를 이용하여, 열에 의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접착하도록 구성하였으나, 고정부재(20)는 일반 합성수지 시트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4쌍의 전극판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그 사이에 끼워진 4개의 배터리(1)를 상호 직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전극판은 전도성재질로 구성된 전극연결판(30)과, 이 전극연결판(30)의 양단을 상향 절곡성형하여 구성된 +전극판(16) 및 -전극판(18)과, 상기 +전극판(16)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전극(28)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전극연결판(30)은 제1 실시예의 +,-전극연결부재(12,14)과 같이, 전기 전도성과 탄성이 뛰어난 구리판 등을 긴 판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은 상기 전극연결판(3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형성후 상측으로 90°절곡된다. 이때,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은 전극연결판(30)의 양단 전후측에, 같은 종류의 전극판 끼리 상호 마주보고, 다른 종류의 전극판끼리 상호 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후술하는 조립방법에 따라, +전극판(16) 내측에 -전극판(18)을 배치할 때,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위치되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전극판(18)과 고정부재(20)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배터리(1)의 +전극(26)이 삽입되는 개구부(22,23)가 형성된다.
도 6은 이러한 전극판을 조립하는 조립공정 도시한 것으로, 탄성이 있는 도전성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전극연결판(30)의 양단 전후측에 +전극판(16)과 -전극판(18)이 일체로 형성된 1차 전극판(36)을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a)와, 1차 성형단계를 거쳐 생산된 1차 전극판(36)의 -전극판(18)을 다른 1차 전극판(36)의 +전극판(16)의 내측에 겹쳐지게 배치하고 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고정부재(20)를 개재하여 상호 고정하는 고정단계(b)와, 접착단계를 거친 전극판을 필요한 개수만큼 잘라내는 전극 절단단계(c)와, 절단단계를 거쳐 완성된 전극판을 베터리 케이스(10)에 장착하는 단계(d)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단계(b)에서는 고정부재(20)를 +전극(26)의 내측면이나 -전극(28)의 외측면에 미리 고정한 후, -전극판(18)이나 +전극판(16)을 고정부재(20)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겹치게 배치한 후, 그 사이에 고정부재(2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계(b)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여러개의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절단단계(c)는 전극연결판(30)의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양단에형성된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분리하는 것으로, 잘라진 전극연결판(30)는 제1 실시예의 +전극연결부재(12)와 -전극연결부재(14)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극연결판(30)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전극연결부재(12)와 -전극연결부재(14)를 형성할 때, 조그마한 팁을 남겨두므로써, 이 팁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전술한 접점(24)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상기 전극연결판(30)의 양단 전후측에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형성하고, 이 전극연결판(30)의 -전극판(18)을 다른 전극연결판(30)에 형성된 +전극판(16)의 내측면에 고정하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이 순차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극판의 사이에 끼워진 배터리(1)를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지 않고, 다수개의 배터리(1)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극연결판(3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측으로 절곡하는 과정을 생략하였으나, 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은 상기 1차 성형단계(a) 이후에 절곡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을 연속적으로 직렬로 연결하여 제조한 후, 필요한 개수 만큼씩 잘라낼 수 있으므로, 직렬로 연결할 배터리(1)의 개수에 따라 각기 다른 제조공정을 거칠 필요 없이 한가지의 제조방법으로, 다양한 개수의 배터리(1)를 연결하는 여러 종류의 전극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지 않고 구조가 매우 단순한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20)의 적어도 전후면에는 복수개의 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에는 상기 돌기(32)에 대응되는 삽입공(34)이 형성되어, 이 돌기(32)를 삽입공(34)에 끼우므로써, 고정부재(20)를 +전극판(16)과 -전극판(18)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돌기(32)와 삽입공(34)을 이용하여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고정부재(20)를 고정하면, 핫멜트와 같은 접착성 시트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더욱 견고하게 상호 고정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에 끼움결합되는 캡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이 고정부재(2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이 끼움결합되는 삽입부(40)가 그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삽입부(40)의 내부에는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소정간격 이격하는 돌출턱(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고정부재(20)의 삽입부(40)에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끼워넣으므로써,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베터리 케이스(10)는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에 고정부재(20)를 끼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이 더욱 간단하고,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케이스(10)의 내부 양측에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고정 및 절연하며, 전극연결부재(12,14) 및 전극연결판(30)을 이용하여 전극판(16,18)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므로써,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길이가 다른 배터리를 모두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의 +전극과 -전극판이 별도의 배선없이 다수개의 배터리 전극판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배터리 전극판이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 베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전도성이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전극연결부재(12) 및 -전극연결부재(14)와, 상기 +전극연결부재(12)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한쌍의 +전극판(16)과, 상기 -전극연결부재(14)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며 +전극판(16)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전극판(18)과,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하는 고정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판(18)과 고정부재(20)에는 배터리(1)의 +전극(26)이 삽입되는 개구부(22,23)가 형성되어, 배터리(1)의 +전극(26)이 상기 개구부(22,23)를 통해 +전극판(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 베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극판에 있어서, 전도성재질로 구성된 다수개의 전극연결판(30)과, 각각의 전극연결판(30)의 양단에서 상호 측방향으로 이웃하도록 절곡되어 상향연장된 한쌍의 +전극판(16) 및 한쌍의 -전극판(18)과, 상기 +전극판(16)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전극판(18)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고정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은 동일한 전극판(16,18)끼리 상호 마주보며 상호 다른 전극판(16,18)은 상호 측방향에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어느 한 전극연결판(30)의 +전극판(16) 내측에 인접한 전극연결판(30)의 -전극판(18)이 배치되도록 조립하되, +전극판(16)과 -전극판(18) 사이에는 고정부재(20)를 개재시켜서 다수개의 전극연결판(3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며, 상기 -전극판(18)과 고정부재(20)에는 배터리(1)의 +전극(26)이 삽입되는 개구부(2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판(16) 또는 -전극판(18)에는 상기 돌기(32)에 대응되는 삽입공(34)이 형성되어, 이 돌기(32)를 삽입공(34)에 끼우므로써 고정부재(20)를 +전극판(16) 또는 -전극판(18)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전극판(16)과 -전극판(18)이 끼움결합되는 삽입부(40)가 형성된 캡형상으로 구성되며, 이 삽입부(40)의 내부에는 상기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소정간격 이격하는 돌출턱(42)이 형성되어, 고정부재(20)를 +전극판(16)과 -전극판(18)에 끼움결합하여, +전극판(16)과 -전극판(18)을 상호 절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극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24629A KR20020042576A (ko) | 2002-05-04 | 2002-05-04 |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
KR1020020024629 | 2002-05-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45708A KR20030045708A (ko) | 2003-06-11 |
KR100430466B1 true KR100430466B1 (ko) | 2004-05-12 |
Family
ID=277261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24629A KR20020042576A (ko) | 2002-05-04 | 2002-05-04 |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
KR10-2003-0024584A KR100430466B1 (ko) | 2002-05-04 | 2003-04-18 | 배터리 전극판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24629A KR20020042576A (ko) | 2002-05-04 | 2002-05-04 | 배터리 전극판 및 이 배터리 전극판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30207170A1 (ko) |
EP (1) | EP1376719A1 (ko) |
JP (1) | JP2003331808A (ko) |
KR (2) | KR20020042576A (ko) |
CN (1) | CN145546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5879B1 (ko) * | 2003-10-31 | 2005-09-22 | 주식회사 에이텍 | 무극성 밧데리 케이스의 전극판 구조 |
US7527893B2 (en) * | 2006-05-23 | 2009-05-05 | Microsoft Corporation | Eliminating incorrect battery installation |
US8097355B2 (en) * | 2007-11-16 | 2012-01-17 | Microsoft Corporation | Protecting against incorrect battery polarity |
JP5203035B2 (ja) * | 2008-05-08 | 2013-06-05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接続構造 |
US20110068748A1 (en) * | 2008-05-30 | 2011-03-24 |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 Battery Power Routing Circuit |
WO2011077621A1 (ja) * | 2009-12-27 | 2011-06-30 | テルモ株式会社 | 電子体温計 |
KR101497530B1 (ko) * | 2014-09-16 | 2015-03-03 | 박병성 | 낚시용 발광 찌 |
CN106099024B (zh) * | 2016-07-28 | 2019-04-02 | 天能电池(芜湖)有限公司 | 蓄电池过桥连接结构 |
KR102124732B1 (ko) | 2019-12-10 | 2020-06-18 | 최항식 | 배터리 극판의 연속 제조금형 |
CN110993851A (zh) * | 2019-12-16 | 2020-04-10 | 盐城维实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方便固定的动力电池盒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49550A (en) * | 1944-11-23 | 1948-09-21 | Robert L Eichberg | Battery adapter |
US2983778A (en) * | 1959-01-26 | 1961-05-09 | Prestole Corp | Battery clip |
JPS59127364A (ja) * | 1983-01-10 | 1984-07-23 | Canon Inc | 電池収納装置 |
US5017441A (en) * | 1989-08-08 | 1991-05-21 | Elgin Molded Plastics, Inc. | Battery pack |
DE69116841T2 (de) * | 1990-12-27 | 1996-05-30 | Lg Electronics Inc | Steckvorrichtung für Batterien |
US5229220A (en) * | 1991-12-12 | 1993-07-20 | Motorola, Inc. | Reverse polarity protection assembly |
US5532080A (en) * | 1993-07-02 | 1996-07-02 | Konica Corporation | Cylindrical type dry battery and battery chamber |
US5376476A (en) * | 1993-08-02 | 1994-12-27 | Eylon; Dan | Battery orientation-indifferent battery receptor |
US5431575A (en) * | 1994-02-18 | 1995-07-11 | Cardiac Evaluation Center, Inc. | Bi-directional battery holder |
US5631098A (en) * | 1994-09-06 | 1997-05-20 | Nikon Corporation | Battery holder |
JPH09223488A (ja) * | 1996-02-19 | 1997-08-26 | Reader Denshi Kk | 電池保持装置 |
KR0140109Y1 (ko) * | 1996-05-15 | 1999-05-15 | 손욱 | 전지 소켓 |
-
2002
- 2002-05-04 KR KR1020020024629A patent/KR2002004257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03
- 2003-04-18 KR KR10-2003-0024584A patent/KR1004304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4-23 EP EP03252548A patent/EP1376719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4-30 CN CN03124346A patent/CN1455465A/zh active Pending
- 2003-05-01 JP JP2003126527A patent/JP2003331808A/ja active Pending
- 2003-05-02 US US10/427,931 patent/US20030207170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30207170A1 (en) | 2003-11-06 |
KR20020042576A (ko) | 2002-06-05 |
EP1376719A1 (en) | 2004-01-02 |
JP2003331808A (ja) | 2003-11-21 |
CN1455465A (zh) | 2003-11-12 |
KR20030045708A (ko) | 2003-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3141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430466B1 (ko) | 배터리 전극판 | |
WO2005083850A1 (ja) | コネクタ組立品及びコネクタ組立品の製造方法 | |
US9039442B2 (en) | Solder-less electrical assembly | |
KR20090033072A (ko) | 전지팩 | |
US8923006B2 (en) | Assembly with LED housing | |
US20120301762A1 (en) | Modular dry cell battery pack | |
KR20130103552A (ko) | 전자장치용 접속구조 | |
US5863674A (en) | Battery terminals for a miniature electronic apparatus and structure for holding the same | |
US10438720B2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cellular electrical elements | |
JP2007149762A (ja) | 電子部品の接続構造 | |
JP2003203726A (ja) | 電気コネクタの端子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 |
CN106500064B (zh) | 电连接件及led照明装置 | |
WO2012144435A1 (ja) | 導電部材への素子接続構造 | |
US6309241B2 (en) | Branch connection structure for flat cable | |
WO2001029936A1 (fr) | Connecteur d'extremi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nnecteur | |
KR20030010447A (ko) | 배터리용 접촉단자와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 직렬 및 병렬연결구조 | |
JP4665926B2 (ja) | コネクタ | |
CN221226328U (zh) | 信号采集组件及具有其的电池模组和电池包 | |
US6392530B2 (en) | Resistor array board | |
JP3281566B2 (ja) | 電気接続箱 | |
JP2000123819A (ja) | 電 池 | |
KR100216738B1 (ko) | 소형스위치의 단자핀 접속장치 | |
KR200375777Y1 (ko) | 건전지 소켓 | |
JP3540169B2 (ja) | 圧接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