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504A - 티눈 절단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티눈 절단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504A
KR20020038504A KR1020010070751A KR20010070751A KR20020038504A KR 20020038504 A KR20020038504 A KR 20020038504A KR 1020010070751 A KR1020010070751 A KR 1020010070751A KR 20010070751 A KR20010070751 A KR 20010070751A KR 20020038504 A KR20020038504 A KR 20020038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element
blade
cap
cutting treatme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6608B1 (ko
Inventor
뎀브스키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가브리엘 크라하트
"크레도"스탈바렌파브르크구스타브크라하트게엠베헤 & 캄파니.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브리엘 크라하트, "크레도"스탈바렌파브르크구스타브크라하트게엠베헤 & 캄파니.카게 filed Critical 가브리엘 크라하트
Publication of KR2002003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4Chiropodists' instruments, e.g. pedi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Knives (AREA)
  • Wire Bond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Glov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손잡이(10) 및 그 손잡이(1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4) 형태의 작동 요소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역(12)을 구비한 티눈 절단 치료 장치를 제안한다. 손잡이(10) 및 그 손잡이(1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4)의 형태의 작동 요소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역(12)을 구비한 그러한 티눈 절단 장치를 블레이드의 교환이 매우 안전하게 취급될 수 있도록 개선시키기 위해, 블레이드(14)는 유지 요소(16)와 함께 일체형 유닛을 형성하고, 유지 요소(16)는 마찰 결합에 의해 장치의 고정 구역(12)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티눈 절단 치료 장치{DEVICE FOR CUTTING-TREATMENT OF CORN}
본 발명은 손잡이 및 그 손잡이에 연결되어 블레이드 형태의 작동 요소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역을 구비한 티눈 절단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 손질 시에 피부 부위의 각질화된 세포 층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각종의 구성으로 된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특히, 그러한 유형의 장치는 티눈을 절단하는데도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장치는 다수의 굵은 톱니를 구비한 티눈 줄과 하나 이상의 칼날이 있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티눈 커터로 구분될 수 있다.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고 마모된 작동 요소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작동 요소는 교환이 가능하게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독일 실용신안 제299 01 517호에는 블레이드가 교환 가능하게 클램핑될 수 있는 티눈 커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는 손잡이의 전방 클램핑부와 그에 상응하게 형성된 고정 요소와의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고정 요소는제1 위치에서는 손잡이의 종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는 클램핑부에 형성된 가이드에 의해 손잡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요소는 손잡이의 후방 조작부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마찰 결합에 의해 클램핑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출된 블레이드를 수작업으로 고정 요소 상에 올려놓아야 하는데, 이 경우 어느 정도의 부상 위험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 및 그 손잡이에 연결되어 블레이드 형태의 작동 요소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역을 구비한 티눈 절단 치료 장치를 블레이드의 교환 조작이 매우 안전하게 달성될 수 있도록 개선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도 3의 Ⅰ-Ⅰ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3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을 제거한 상태의 도 1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용의 캡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2 : 고정 구역
14 : 블레이드
16 : 유지 요소
17 : 지지체
17a, 36, 44 : 절결부
18, 38 : 브래킷
20, 46 : 단부 면
22, 40 : 모따기 면
24 : 캡
26 : 작동 방향
30 : 장착 방향
32 : 평면형 연장부
34, 42 : 성형부
48, 50 : 그립 에지
52, 54 : 스토퍼
그러한 목적은 전술된 유형의 장치에서 블레이드가 유지 요소와 함께 일체형 유닛을 형성하고, 유지 요소가 마찰 결합에 의해 장치의 고정 구역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블레이드는 이의 전체 조작 중에 유지 요소에 유지되며, 그 결과 사용자는 유지 요소를 교환함으로써 블레이드를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자체의 조작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요소는 사용자가 일체형 유닛을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조작할 수 있는 그립 에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의 노출된 예리한 날 및 에지에 의한 부상이 회피될 수 있다.
추가로 제안되는 것은 지지체가 유지 요소용 고정 요소로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래킷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유지 요소를 지지체에 형성된 브래킷을 향하여장착함으로써 유지 요소와 장치간에 마찰 결합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은 그 단부면에서 모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브래킷은 유지 요소에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다. 예컨대 인체 공학적으로 유리하게 유지 요소의 장착 초기에 필요한 전단력을 작게 유지하여 장착 이동의 종료 경에야 비로소 마찰 결합을 수용하도록, 브래킷은 예컨대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 제안되는 것은 블레이드가 고정 구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로킹 요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한 로킹 요소에 의해, 부적절한 사용 또는 일체형 유닛의 빈번한 교환으로 인한 마찰 결합의 약화에도 불구하고 일체형 유닛이 확실하게 고정 구역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티눈 절단 치료 장치용으로 마찰 결합에 의해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캡이 제공된다. 그와 관련하여 제안되는 구성은 그러한 캡이 평면형 블레이드를 유지시키는 유지 요소를 구비하며, 이 경우 유지 요소의 치수가 블레이드의 치수보다 더 크다. 그와 같이 구성할 경우, 사용자는 블레이드로 인한 부상으로부터 확연히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은 대향된 2개의 날이 배치된 채로 내부 응력(prestress)이 걸려 있는 블레이드가 사용될 수 있어 블레이드의 한 날이 마모되었을 때에 캡을 반대로 씌움으로써 블레이드의 온전한 제2 날이 작동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제안되는 것은 유지 요소가 작동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구성이다. 그와 같이 볼록하게 만곡됨으로써 블레이드에 걸리는 내부 응력이 생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예컨대 피부 함몰부 또는 그 곳에 돌출된 가장자리에서도 티눈을 절단하게끔 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추가로 제안되는 것은 블레이드가 유지 요소에 의해 작동 방향으로 휨 응력이 걸린 채로 볼록하게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이다. 상응하는 형태로 볼록하게 만곡된 유지 요소로 인해 블레이드가 볼록하게 만곡됨으로써, 예컨대 작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구성을 통해 절단 깊이가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선까지 증가되게끔 하여 일체형 작동 요소의 작동 형식이 인간 공학적으로 양호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터를 그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작동 깊이를 미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유지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의 기술에 의해 저렴하고도 환경 친화적인 적절한 유지 요소가 제조될 수 있다. 그를 위해, 유지 요소는 예컨대 요소의 소모 시에 블레이드가 유지 요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한편, 그와 같이 분리된 재료가 추후의 적절한 사용에 각각 제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지 요소가 브래킷에 의해 간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는 바람직한 것은 유지 요소가 장착 방향을 가로질러, 그리고 평면형 연장부에 수직하게 세장형 구멍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절결부가 딸린 U형 링크의 형태의 성형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지지체의 브래킷이 맞물릴 수 있는 그러한 성형부는 예컨대 유지 요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를 위해, 성형부는 하나의 작업 단계로 유지 요소와 함께 저렴하게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될 수 있다.
그 밖에 제안되는 것은 유지 요소의 양쪽에 그립 에지가 각각 마련되는 구성이다. 그를 위해, 그러한 그립 에지는 예컨대 장착 방향으로 유지 요소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교환 중에 부상 위험을 낮추면서 캡을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립 에지는 장착 방향을 가로질러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럼으로써, 교환 시에 착탈력이 인간 공학적으로 양호하게 캡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및 특징은 이후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도 1은 손잡이(10) 및 그 손잡이(1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4) 형태의 작동 요소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역(12)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티눈 절단 치료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블레이드(14)는 사각형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에지에 칼날이 있는 사각형으로 되고, 유지 요소(16)와 함께 일체형 유닛을 형성하는데, 유지 요소(16)는 장치의 고정 구역(12)에서 마찰 결합에 의해 지지체(17)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17)는 도 2에 상응하게 볼록하게 만곡되고, 실질적으로 강성을 가지며 손잡이(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지지체(17)는 중앙 절결부(17a)를 구비하며, 이 절결부 속으로 유지 요소(6)용 고정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2개의 브래킷(18, 38)이 뻗어 있다(도 3을 참조). 또한, 브래킷(18, 38)은 그 자유 단부면(20, 46)에 모따기 되 경사면(22, 40)을 구비한다.
도 5는 도 1의 장치용의 캡(24)을 나타낸 것인데, 그 캡(24)은 마찰 결합에의해 티눈 제거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캡(24)은 유지 요소(16) 및 블레이드(14)로 구성된 조립체로서, 이 블레이드(14)는 유지 요소(16) 내부에 유지된다. 유지 요소(16)의 치수는 블레이드(14)의 치수보다 더 크다. 도 2에 따르면, 유지 요소(16)는 작동 방향(26)으로 볼록하게 만곡된다. 그러한 유지 요소(16)에 의해 블레이드(14)도 역시 작동 방향(26)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 유지 요소(16)는 얇은, 그에 따라 만곡되기 쉬운 블레이드(14) 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다.
유지 요소(16)는 그 장착 방향(30)에 대해 교차 방향으로, 그리고 그 평면형 연장부(3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2개의 교량형 성형부(34, 42)를 볼록하게 만곡된 측에 구비하며, 이 성형부(34, 42)에는 마찰 결합에 의해 브래킷(38, 18)이 맞물릴 수 있는 절결부(36, 44)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요소(16)를 통해 블레이드(14)가 충분하게 돌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부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유지 요소(16)는 그립 구역(48, 5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구역에서 사용자는 캡(24)의 교환을 위해 캡(24)을 파지할 수 있고, 캡(24)의 착탈에 필요한 힘을 인체 공학적으로 양호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한 그립 구역(48, 50)은 유지 요소(16)의 종방향 에지이다.
캡(24)을 교환하려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장치의 손잡이(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캡(24)의 그립 에지(48, 50)를 잡는다. 작동 방향(26)으로 유지력 이상의 힘을 작용시키면, 캡(24)이 마찰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는데, 그 때 브래킷(18, 38)은 절결부(36, 44)로부터 벗어나도록 안내된다. 브래킷(18, 38)이 절결부(36,44)로부터 이탈된 후에는 캡(24)이 그 속에 수용된 블레이드와 함께 완전히 떼어내어질 수 있다.
새로운 캡(24)을 장착하기 위해, 캡(24)은 브래킷(18, 28)이 유지 요소(16)의 절결부(36, 44)의 전방에 놓이도록 고정 구역(12)에 배치된다. 그런 연후에는 캡(24)이 장착 방향(30)으로 이동되는데, 그 때에 브래킷(18, 38)은 절결부(36, 44) 내로 안내된다. 브래킷(36, 44)의 단부 면(20, 46)에 있는 모따기된 경사면(22, 40)에 의해 캡(24)의 장착 시에 캡이 정확한 배치 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캡(24)의 배치 방향에 대한 미세한 편차가 보상될 수 있다. 캡(24)은 상응하는 힘의 작용 하에 고정 구역(12)의 스토퍼(52, 54)까지 안내된다(도 4를 참조). 마찰 결합을 달성하는데는 볼록하게 만곡된 유지 요소(16)가 휘어지기 쉬운 블레이드(14)보다는 잘 만곡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유지 요소(16)는 플라스틱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눈 절단 치료 장치에서는 블레이드가 이의 전체 조작 중에 유지 요소에서 유지되며, 그 결과 사용자는 유지 요소를 교환함으로써 블레이드를 교환할 수 있고, 블레이드 자체의 조작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요소는 사용자가 일체형 유닛을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조작할 수 있는 그립 에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예리한 날 및 에지가 노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부상이 회피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손잡이(10) 및 그 손잡이(1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4) 형태의 작동 요소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역(12)을 구비한 티눈 절단 치료 장치에 있어서,
    블레이드(14)는 유지 요소(16)와 함께 일체형 유닛을 형성하고, 유지 요소(16)는 마찰 결합에 의해 장치의 고정 구역(12)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 절단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볼록하게 만곡된 지지체(17)가 고정 구역(12)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 절단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17) 및 유지 요소(16)는 서로 나란히 볼록하게 만곡되고, 양자 사이에는 휨 응력이 걸려 있는 블레이드(1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 절단 치료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체(17)는 유지 요소(16)용 고정 요소로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래킷(18, 3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 절단 치료 장치.
  5. 선행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14)는 고정 구역(12)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로킹 요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 절단 치료 장치.
  6. 선행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티눈 절단 치료 장치용으로 마찰 결합에 의해 그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캡(24)에 있어서,
    캡(24)은 평면형 블레이드(14)를 유지시키는 유지 요소(16)를 구비하고, 유지 요소(16)의 치수는 블레이드(14)의 치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 절단 치료 장치용 캡.
  7. 제6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16)는 작동 방향(26)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블레이드(14)는 유지 요소(16)에 의해 작동 방향(26)으로 휨 응력이 걸린 채로 볼록하게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9. 제6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16)는 장착 방향(30)을 가로질러, 그리고 평면형 연장부(32)에 수직하게 U형 링크의 형태의 성형부(34)를 구비하고, 그 성형부에는 지지체(17)의 브래킷(18, 38)이 맞물릴 수 있는 세장형 구멍의 형태의 절결부(36, 4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16)의 양쪽에는 그립 에지(48, 50)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KR1020010070751A 2000-11-16 2001-11-14 티눈 절단 치료 장치 KR100756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19442.9 2000-11-16
DE20019442U DE20019442U1 (de) 2000-11-16 2000-11-16 Vorrichtung zur abtragenden Behandlung von Hornha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504A true KR20020038504A (ko) 2002-05-23
KR100756608B1 KR100756608B1 (ko) 2007-09-10

Family

ID=794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751A KR100756608B1 (ko) 2000-11-16 2001-11-14 티눈 절단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216664B1 (ko)
JP (1) JP2002191612A (ko)
KR (1) KR100756608B1 (ko)
CN (1) CN1212808C (ko)
AT (1) ATE489903T1 (ko)
DE (2) DE20019442U1 (ko)
DK (1) DK1216664T3 (ko)
ES (1) ES2357049T3 (ko)
HK (1) HK1046086B (ko)
RU (1) RU2275873C2 (ko)
TR (1) TR200103257A2 (ko)
TW (1) TW528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7005B4 (de) * 2003-06-12 2007-01-18 Ernst U. Willy Niegeloh Gmbh & Co. Kg Hornhauthobel
DE102004017102B3 (de) * 2004-04-07 2005-09-15 Mozart Ag Hornhauthobel
DE102008009082B4 (de) 2008-02-14 2017-08-31 Peiniger Gmbh Vorrichtung sowie Schneidwerkzeug für die abtragende Hautbehandlung
JP5345805B2 (ja) * 2008-06-30 2013-11-20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角質除去具
GB0817794D0 (en) * 2008-09-29 2008-11-05 Lrc Products Skin treating device
DE202009018989U1 (de) 2009-05-13 2015-04-01 Armin Flörke Pediküregerät
CN103027729B (zh) * 2012-12-18 2014-08-20 刘伟忠 美容整形手术用削切刀
CN108697440A (zh) * 2016-02-17 2018-10-23 特利布兰茨公司 研磨皮肤处理设备
DE202018106126U1 (de) 2018-10-26 2018-11-29 "Credo" Stahlwarenfabrik Gustav Kracht Gmbh & Co. Kg Hornhauthobel
DE102019124943A1 (de) 2018-10-26 2020-04-30 "Credo" Stahlwarenfabrik Gustav Kracht Gmbh & Co. Kg Hornhauthobel
DE202018106127U1 (de) 2018-10-26 2018-11-29 "Credo" Stahlwarenfabrik Gustav Kracht Gmbh & Co. Kg Hornhauthob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214C (de) * 1921-06-18 1922-11-06 Paul Fraenkel Fa Huehneraugenhobel
DE512593C (de) * 1928-08-02 1930-11-14 Daniel Petar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Huehneraugen o. dgl.
US3636625A (en) 1969-07-25 1972-01-25 Gunter Pracht Apparatus for the care of the body
GB1386499A (en) 1971-08-10 1975-03-05 Credo Stahlwaren Fabrik Gustav Planing instrument for calloused skin
DE3320594A1 (de) * 1983-06-08 1984-12-13 Fa. A.& W. Göddert, 5650 Solingen Hornhautraspel
DE29919293U1 (de) * 1999-11-03 2000-02-24 Floerke Armin Hornhautho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6664B1 (de) 2010-12-01
EP1216664A3 (de) 2003-01-29
CN1353971A (zh) 2002-06-19
DK1216664T3 (da) 2011-03-21
EP1216664A2 (de) 2002-06-26
HK1046086A1 (en) 2002-12-27
TR200103257A3 (tr) 2002-06-21
CN1212808C (zh) 2005-08-03
TW528589B (en) 2003-04-21
RU2275873C2 (ru) 2006-05-10
ATE489903T1 (de) 2010-12-15
DE20019442U1 (de) 2001-01-11
HK1046086B (zh) 2005-10-14
DE50115726D1 (de) 2011-01-13
ES2357049T3 (es) 2011-04-15
KR100756608B1 (ko) 2007-09-10
TR200103257A2 (tr) 2002-06-21
JP2002191612A (ja) 200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08B1 (ko) 티눈 절단 치료 장치
EP3907045B1 (en) Electric beard trimmer
US8042444B2 (en) Knife holder for microtome blades
JP4875074B2 (ja) キャップ前方枢動を有するシェービング器具
AU2006290228B2 (en) Blade mounting members for a razor cartridge
WO2002002283A9 (en) Shaving razor
CA2557297A1 (en) Razors and shaving cartridges with guard
US20080072431A1 (en) Ergonomically arcuate multi-blade razor
JPS59500258A (ja) かみ剃り刃組立体
US6526663B1 (en) Detachable comb-and-sheers apparatus
US6058824A (en) Cutter holder for accommodating wedge-shaped microtome cutters
KR20010031489A (ko) 신축작동가능한 습식 면도기
EP3960402A1 (en) Razor cartridge
JP2009005912A (ja) 鼻毛処理具
KR920005783Y1 (ko) 정원수 등을 깍아 손질하는 기기
JPH09173667A (ja) 電気かみそり
JP2009165622A (ja) 狭隘部用剃刀
EP1385675A1 (en) Traction rotated disc cutter
JP6149064B2 (ja) 鋸及び鋸用の替え刃
JP2611817B2 (ja) 替刃式理容用かみそり
WO2019123651A1 (ja) 替え刃式手鋸
JPH0525406Y2 (ko)
SU353720A1 (ru) Д. с. жиботовский
RU1818211C (ru) Безопасна бритва
GB2294229A (en) Safety raz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