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299A -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299A
KR20020038299A KR1020000068450A KR20000068450A KR20020038299A KR 20020038299 A KR20020038299 A KR 20020038299A KR 1020000068450 A KR1020000068450 A KR 1020000068450A KR 20000068450 A KR20000068450 A KR 20000068450A KR 20020038299 A KR20020038299 A KR 20020038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ing
braid
chips
shot
st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우
남병섭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6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8299A/ko
Publication of KR2002003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29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58Mask illumination systems
    • G03F7/70091Illumination settings, i.e.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pupil plane or angular distribution in the field plane; On-axis or off-axis settings, e.g. annular, dipole or quadrupole settings; Partial coherence control, i.e. sigma or numerical aperture [N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 에지(Edge)의 이물을 방지하고 총 다이(Die)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8개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들로 구성되며, 샷 내부의 가용 셀 위치에 따라서 상기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용 셀만이 디바이스 맵에 포함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Structure of Stepper Masking Blad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퍼 에지부에서 이물없이 샷(Shot) 당 칩(Die)의 개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현재 양산하고 있는 웨이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4개의 칩이 1샷인 경우, 웨이퍼 에지부에서의 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샷에 대한 종래 마스킹 브레이드의 디바이스 맵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8개의 칩이 1샷인 경우, 웨이퍼 에지부에서의 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샷에 대한 종래 마스킹 브레이드의 디바이스 맵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현재 양산하고 있는 웨이퍼는 디바이스 맵 내부의 총 다이(Die)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 에지부의 샷(Shot)(1)을 다수개의 칩(Die)(2)으로 나누고, 각 칩(2)의 위치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가용 칩 또는 사용 불가능한 불용칩으로 구분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웨이퍼 에지부 샷(1) 내부의 칩(2)들 중에 짙게 표시된 칩(2)은 가용 칩이고, 그 외의 밝게 표시된 칩(2)은 불용 칩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킹 브레이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3)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3)은 샷내부 칩(2)들의 가용 또는 불가용 여부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디바이스 맵을 설정한다.
웨이퍼 에지부에서 샷(1)이 도 3에 도시된 같이, 4개의 칩(2)으로 구성되고 상기 칩(2)들 중에 하나의 가용 칩이 존재한다면, 종래의 마스킹 브레이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되게 되어 가용칩만이 디바이스 맵에 포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예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이 하나의 샷(1)이 4개의 칩(2)으로 구성되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종래 마스킹 브레이드를 이용한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하나의 샷(1)이 8개의 칩(2)으로 구성되는 5와 같은 경우에, 가용 칩에 대한 종래 마스킹 브레이드는 도 6a 또는 도 6b와 같이 설정된다.
마스킹 브레이드가 도 6a와 같이 설정되면, 실제 가용 칩의 개수는 4개이지만 디바이스 맵 내부에는 하나의 칩(2)만이 포함되어 하나의 칩(2)만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마스킹 브레이드가 도 6b와 같이 설정되면, 실제 가용 칩을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디바이스 맵 내부에 2개의 불용 칩이 포함됨에 따라서 2개의 칩에서 이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웨이퍼의 맵(Map) 설정 시에 총 다이(Die) 수를 증가시키면 불필요한칩의 잔류로 인한 이물 발생률이 높아진다.
둘째, 이물을 감소시키면 총 다이 수가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웨이퍼 에지부에서 불필요한 칩의 잔류로 인한 이물 문제를 개선하고 총 다이의 개수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현재 양산하고 있는 웨이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4개의 칩이 1샷인 경우, 웨이퍼 에지부서의 샷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샷에 대한 종래의 마스킹 브레이드의 디바이스 맵 설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8개의 칩이 1샷인 경우, 웨이퍼 에지부에서의 샷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샷에 대한 종래의 마스킹 브레이드의 디바이스 맵 설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브레이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샷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브레이드의 디바이스 맵 설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샷(Shot) 2 : 칩(Die)
3 :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는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8개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들로 구성되며, 샷 내부의 가용 셀 위치에 따라서 상기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용 셀만이 디바이스 맵에 포함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브레이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샷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브레이드의 디바이스 맵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브레이드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3)으로 구성되며 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3)과, 상기 사각형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의 각 모서리에 구성되는 4개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8개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3)들은 독립적으로 이동할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샷(1)이 8개의 셀(2)로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3)들은 독립적으로 움직이어 도 8과 같이 디바이스 맵을 설정한다.
즉, 디바이스 맵 내부에 모든 가용칩을 포함하고 불가용칩은 포함하지 않도록 마스킹 브레이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디바이스 맵 내부에 불가용 칩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웨이퍼 에지부에서 이물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모든 가용 칩을 디바이스 맵 내부에 포함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의 총 다이 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8개의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들로 구성되며, 샷 내부의 가용 셀 위치에 따라서 상기 마스킹 브레이드 제어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용 셀만이 디바이스 맵에 포함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
KR1020000068450A 2000-11-17 2000-11-17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 KR20020038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450A KR20020038299A (ko) 2000-11-17 2000-11-17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450A KR20020038299A (ko) 2000-11-17 2000-11-17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299A true KR20020038299A (ko) 2002-05-23

Family

ID=1969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450A KR20020038299A (ko) 2000-11-17 2000-11-17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82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8767A (zh) * 2020-10-20 2021-01-0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曝光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8767A (zh) * 2020-10-20 2021-01-0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曝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0233A2 (en) Library group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structured thereof
US5716889A (en) Method of arranging alignment marks
US20070077666A1 (en) Efficient provision of alignment marks on semiconductor wafer
JPS55156370A (en)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US20120196402A1 (en) Implementing multiple different types of dies for memory stacking
CN102799060A (zh) 虚设图案以及形成虚设图案的方法
JPH02211648A (ja) 半導体装置
US5912502A (en) Wafer having a plurality of IC chips having different sizes formed thereon
KR20020038299A (ko) 스텝퍼 마스킹 브레이드 구조
US20030052417A1 (en) Semiconductor device
US6005294A (en) Method of arranging alignment marks
JP2001313319A (ja) 半導体基板における電子回路の構造部の製造と検査のための方法
JP200129797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420780B1 (en) Voltage regulator
CN112563250B (zh) 一种多颗芯片同时制备封装使用的方法
WO2024066218A1 (zh) 掩膜版及其布局方法、芯片的排版图形
JPH0239455A (ja) 大規模集積回路
JPS63306641A (ja) 半導体集積回路
JPS6126323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32220B1 (ko) 핀 배치 구조
KR100224671B1 (ko) 게이트 어레이의 마스터 슬라이스 구조
JPH02191361A (ja) 集積回路
Kosai et al. Throughput enhancement in electron beam direct writing by multiple-cell shot technique for logic devices
JPH03265166A (ja) Iilを有する半導体装置
CN114914331A (zh) 一种led芯粒排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